KR101587415B1 - 브러시사, 멀티 브러시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브러시사, 멀티 브러시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7415B1
KR101587415B1 KR1020140065241A KR20140065241A KR101587415B1 KR 101587415 B1 KR101587415 B1 KR 101587415B1 KR 1020140065241 A KR1020140065241 A KR 1020140065241A KR 20140065241 A KR20140065241 A KR 20140065241A KR 101587415 B1 KR101587415 B1 KR 101587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brush
abrasive
adhesive
app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1226A (ko
Inventor
김정수
김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산
Priority to KR1020140065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415B1/ko
Publication of KR20140111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3/00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 B24D13/02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acting by their periphery
    • B24D13/10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acting by their periphery comprising assemblies of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4Preparing bris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3/00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ushes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사의 제조방법 및 브러시사는 제 1 원사(51) 내부에도 제 1 연마제(11)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브러시사(50)가 마모되거나 부러지더라도 내부에 함유된 연마제가 지속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상기 제 1 원사(51)의 외측에 추가적으로 제 2 연마제(12) 및 제 3 연마제(13)가 일체화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인성 및 강도를 유지하면서 기존의 브러시사에 대비하여 월등한 연삭력을 발휘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제 1 원사(51) 외부에 고정되는 제 2 연마제(12)의 중량% 및 종류를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브러시사, 멀티 브러시사 및 이의 제조방법{Brush, milti-brush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브러시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마제가 30 중량% 이상 혼합되어 연삭량이 높고, 연마제의 높은 함유량에도 불구하고 인성 및 강도가 우수한 브러시사에 관한 것이다.
브러시 롤은 강판의 연마 공정 또는 표면세척 공정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브러시 롤은 연마와 표면세척 시 강판과 브러시의 마찰열로 인해 브러시가 쉽게 손상되어 철판의 연마효과 또는 세척효과를 기대할 수 없어 자주 교체해야 되는 단점이 있다.
종래의 브러시 장치에서 철판(비철금속 strip 포함)표면의 오염물(산화철 또는 표면의 오일 또는 dust)의 제거는 외관이 철판의 품질을 결정하는 기준의 하나로 부각되어 있고, 1990년대 이전까지 주로 사용하던 천연섬유(탄피코 화이바, horse hair등), 화학섬유(nylon, pp등)등으로는 철판표면의 오염물질 제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국제 시장에서 경쟁하는 각국의 제철소(철판, 비철금속판을 생산하는)들은 이물질을 완벽히 제거하여 철판 고유의 광택을 발현한 제품 생산을 목적으로, 1990년대 전후로 연마사(沙)가 들어 있는 brush((연마 brush(abrasive brush))를 사용하여 오염물(산화철 또는 표면의 오일 또는 dust)을 제거하고 있다.
여기서 연마사(沙) 粒子가 큰(#60-500) brush絲로 만들어진 roll은 주로 산화철의 제거와 같은 철판 표면의 연삭을 주요목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연마사(沙) 粒子가 작은(#500이상) brush絲로 만들어진 roll은 미세한 산화막 제거와 철판 표면의 요철 굴곡에 적응하여 세정력을 높이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연마사(沙) 粒子가 크고, 작은 brush絲로 만들어진 roll은 공통되게 우수한 연삭력과 내구성 및 세세(細細)한 세정력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연삭력과 내구성 및 세정력의 증대를 위해 당사를 비롯한 각국의 brush maker들은 brush絲 외부(외경)에 가는 실(絲)을 직조(covering)하여 brush絲의 허리힘을 보다 보강하여 내구성과 연삭력을 높이고 있다.
그리고 서술한 roll은 공히 우수한 연삭력과 내구성 및 세세(細細)한 세정력의 발현을 위해 철판(strip) 표면에 일정한 압력(일반적으로 brush roll과 철판표면 접촉 시작점 기준 2-5m/m 권장)을 가하여 사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brush unit의 brush roll에서, brush 絲(bristle)의 마모(rubbed off)등에 의하여 또는, 연마사(沙)가 들어 있는 絲(bristle)〔(연마 brush絲)(abrasive brush)〕의 경우, 연마 brush絲에 의해 제거된 이물질(제거된 산화철 또는 표면의 오일 또는 dust)이 필연적으로 발생된다.
이러한 이물질(제거된 산화철 또는 표면의 오일 또는 dust)은 대다수가 brush를 식히기 위해 brush roll과 철판표면 접촉 시작점 기준 압하량 5m/m(권장 최고치) 정도의 가압 상태의 brush와 철판의 접촉 시작점을 향하여(setting) 분사되는 하나의 노즐에 의하여 제거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브러시사의 모재는 나일론 합성수지를 주체로 하여 다이아몬드 파우더, 스테인리스 가루, 티탄 가루, 탄화규소(Silicon carbide)가루, 알루미나 가루 적어도 하나 이상을 혼합한 연마제를 압출하여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브러시사는 나일론에 연마제를 혼합하여 압출되는 방식으로 제작되고, 나일론 분자의 특성 상 압출 후 압출된 브러시사를 연신시켜 상기 나일론 분자구조를 안정화시켜야만 브러시사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브러시사는 압출 후 연신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브러시사에 혼합된 연마제가 30중량% 이내로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연마제가 30 중량% 이상 포함된 상태에서 연신을 시키는 경우, 상기 연마제의 함유량으로 인해 연신과정에서 브러시사가 끊어지게 되고, 연마제가 30 중량% 이상 함유된 상태에서 상기 연신공정 없이 브러시사를 제작하느느 경우 사용 중 절손(부러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연마제의 함유량이 높을수록 브러시사의 연삭력이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연마제의 함유량을 높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 제2002-187073 한국 등록특허 10-0435299 한국 등록특허 10-0468478 한국 등록특허 10-1017450 한국 등록특허 10-0395482 한국 등록특허 10-0395481
본 발명은 연마제가 30 중량% 이상 혼합되어 연삭량이 높고, 연마제의 높은 함유량에도 불구하고 인성 및 강도가 우수한 브러시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합성수지 및 연마제를 혼합 후 압출하여 제작하는 브러시사 제조방법에 있어서, 합성수지(14) 및 제 1 연마제(11)가 혼합되어 제 1 원사(51)를 압출시키는 단계(S10); 상기 제 1 원사(51)의 외주면에 제 1 접착제(21)를 도포하여 제 2 원사(52)를 제조하는 단계(S20); 상기 제 1 접착제(21)가 도포된 제 2 원사(52)의 외주면에 제 2 연마제(12)를 고정시켜 제 3 원사(53)를 제조하는 단계(S30); 및 상기 S30 단계의 제 3 원사(53) 표면에 제 2 접착제(22)를 도포하여 제 4 원사(54)를 제조하는 단계(S40)를 포함하는 브러시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 2 접착제(22)가 굳기 전에 상기 제 4 원사(54)의 외주면을 직물(41)로 감싸 함침시키는 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10 단계에서 상기 제 1 원사(51)를 위한 압출 후 제 1 원사(51)를 연신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 접착제(21) 또는 제 2 접착제(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합성수지(14)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브러시사(50)를 복수개 배열하여 제 1 배열브러시사(61)를 형성시키는 단계(S60); 상기 제 1 배열브러시사(61)의 각 브러시사(50)를 모두 감싸도록 제 3 접착제(23)를 도포하여 제 2 배열브러시사(62)를 형성시키는 단계(S70); 상기 제 2 배열브러시사(62)의 도포된 제 3 접착제(23)에 제 3 연마제(13)를 도포하여 흡착시켜 제 3 배열브러시사(63)를 형성시키는 단계(S80); 제 3 연마제(13)가 흡착된 상기 제 3 배열브러시사(63)에 제 4 접착제(24)를 도포하여 제 4 배열브러시사(64)를 형성시키는 단계(S90); 상기 제 4 배열브러시사(64)의 외부를 제 2 직물(42)로 직조하여 감싸 멀티 브러시사(90)를 제작하는 단계(S100)를 포함하는 멀티 브러시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사의 제조방법 및 브러시사는 제 1 원사(51) 내부에도 제 1 연마제(11)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브러시사(50)가 마모되거나 부러지더라도 내부에 함유된 연마제가 지속적인 효과를 발휘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사의 제조방법 및 브러시사는 제 1 원사(51)의 연마제 함유량이 한계치인 30 중량% 이내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 1 원사(51)의 외측에 추가적으로 제 2 연마제(12), 제 3 연마제(13)를 일체화시키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인성 및 강도를 유지하면서 연삭력은 월등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사의 제조방법 및 브러시사는 외부에 고정되는 제 2 연마제(12)의 중량% 및 종류를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사의 제조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브러시사의 평단면도
도 3은 도 2의 정단면도
도 4는 도 1에 따른 브러시사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멀티 브러시사의 제조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6은 5에 따른 멀티 브러시사의 평단면도
도 7은 도 5에 따른 멀티 브러시사의 정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사의 제조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브러시사의 평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브러시사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의 제조방법은 제 1 연마제(11) 및 합성수지(14)가 혼합된 제 1 원사(51)를 압출시키는 단계(S10)와, 상기 제 1 원사(51)의 외주면에 제 1 접착제(21)를 도포하여 제 2 원사(52)를 제조하는 단계(S20)와, 상기 제 1 접착제(21)가 도포된 제 2 원사(52)의 외주면에 제 2 연마제(12)를 고정시켜 제 3 원사(53)를 제조하는 단계(S30)와, 상기 S30 단계의 제 3 원사(53) 표면에 제 2 접착제(22)를 도포하여 제 4 원사(54)를 제조하는 단계(S40)와, 상기 제 2 접착제(22)가 굳기 전에 상기 제 4 원사(54)의 외주면을 직물(41)로 감싸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상기 S10 단계는 제 1 연마제(11)가 혼합된 합성수지(14)를 압출하여 제 1 원사(51)를 제작하는 단계로서, 상기 연마제(12)는 다이아몬드 파우더, 탄화수소 파우더, 산화알루미늄 파우더, 철 또는 비철금속의 파우더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제 1 원사(51)에서 제 1 연마제(11)는 1중량% ~ 30 중량%가 사용되고, 상기 합성수지(14)는 80 중량% ~ 50 중량%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14)는 본 실시예에서 나일론이 사용되고, 본 실시예와 달리 다양한 재질의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마제(11)의 크기는 60메시~2000메시 까지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제 1 원사(51)의 압출 직경에 따라서도 다양한 크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원사(51)는 본 실시예에서 4mm의 직경으로 압출된 후, 연신되는 과정을 거쳐 1.2mm의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신과정에서 나일론의 분자가 직선으로 배열된다.
상기 제 1 연마제(11)의 크기는 상기 제 1 원사(51)의 직경과 관계되는 바, 상기 제 1 원사(51)의 직경이 큰 경우 큰 직경의 연마제를 사용할 수 있고, 작은 경우 작은 직경의 연마제를 사용하여야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원사(51)에 혼합되는 제 1 연마제(11)는 상기 제 1 원사(51) 중량에 대해 30 중량% 이하로 혼합되어 압출된 후 연신된다.
상기 S20 단계의 제 2 원사(52)는 제 1 원사(51)에 제 1 접착제(21)를 도포한 것으로서, 상기 제 1 접착제(21)의 재질은 우레탄, 나일론, 에폭시 등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합성수지(14)와 같은 재질의 나일론 성분의 접착제가 사용되어 접착력 및 상기 합성수지(14)의 이질감을 최소화시킨다.
상기 S30 단계의 제 3 원사(53)는 제 2 원사(52)에 제 2 연마제(12)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 2 연마제(12)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연마제(11)와 같은 재질이 사용되고, 본 실시예와 달리 다른 종류의 연마제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S30 단계로서 상기 브러시사의 제조를 완료하여도 무방하고, 상기 S30 단계로 상기 브러시사의 제조를 완료하는 경우 상기 연마제의 총 중량%는 상기 브러시사 중량의 20 중량% ~ 90 중량%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S30 단계이후에 추가적인 단계를 실시하여 브러사사의 연삭력을 증가시킨다.
상기 S40 단계는 상기 제 3 원사(53)에 제 2 접착제(22)를 도포하여 제 4 원사(54)를 제작한다. 그리고 상기 S40 단계로서 상기 브러시사의 제조를 완료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S40 단계 이후 상기 S50 단계를 이어서 실시할 경우, 상기 S50 단계는 제 2 접착제(22)가 굳기 전에 직물(41)을 이용하여 상기 4 원사(54)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함으로서 상기 직물(41)이 상기 제 2 접착제(56)에 함침되면서 상기 제 4 원사(54)의 외주면에 직조된다. 여기서 상기 직물(41)이 접착제에 완전히 함침되지 않을 경우에는 직조 후 상기 제 2 접착제를 재 도포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접착제(22)는 상기 제 1 접착제(21)와 동일한 재질이고, 본 실시예와 달리 다른 재질의 접착제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직물(41)은 본 실시예에서 합성수지 재질의 직물이 사용되고,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스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리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직물(41)은 상기 S40 단계의 상기 제 4 원사(54)에 감기면서 상기 제 2 접착제(22)에 함침되고, 상기 제 2 접착제(22)가 굳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접착제(22)와 함께 상기 제 4 원사(54)에 경화되어 일체가 된다.
여기서 상기 직물(41) 및 상기 제 2 접착제(22)는 상기 제 3 원사(53)의 제 2 연마제(12)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제 2 연마제(12)의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상기 직물(41)은 본 실시예에서 서로 직교되어 직조된다.
한편,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S20 단계 및 S30 단계는 반복적으로 수행되어도 무방하고, 상기 S20 단계 및 S30 단계의 반복 수행을 통해 브러시사(50)의 연마제 중량%를 높일 수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이 제조된 브러시사(50)에서 상기 연마제의 중량%는 상기 브러시사 중량의 20 중량% ~ 90 중량%로 형성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 50 중량%로 형성될 경우 인성 및 탄성력이 증가되어 내구성이 향상되고, 반복 굽힘에 의한 부러짐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러시사(50)는 제 1 원사(51) 내부에도 제 1 연마제(11)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브러시사(50)가 마모되거나 부러져 탈락되더라도 내부에 함유된 연마제가 지속적인 효과를 발휘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브러시사(50)는 외부에 고정되는 제 2 연마제(12)의 중량% 및 종류를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래서 제 1 원사(51)에 함유되는 제 1 연마제(11)는 합성수지(14)의 탄성력 및 인성 저하를 최소화하는 연마제를 선핵할 수 있고, 상기 제 1 원사(51)의 외부에 고정되는 제 2 연마제(12)는 열 및 마모에 강한 연마제를 선택함으로서 인성, 탄성이 높고, 내구성이 향상된 브러시사(50)를 보다 다양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멀티 브러시사의 제조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고, 도 6은 5에 따른 멀티 브러시사의 평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 따른 멀티 브러시사의 정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브러시사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 1 실시예에 의해 제작된 브러시사(50)를 복수개 배열하여 제 1 배열브러시사(61)를 형성시키는 단계(S60)와, 상기 제 1 배열브러시사(61)의 각 브러시사(50)를 모두 감싸도록 제 3 접착제(23)를 도포하여 제 2 배열브러시사(62)를 형성시키는 단계(S70)와, 상기 제 2 배열브러시사(62)의 도포된 제 3 접착제(23)에 제 3 연마제(13)를 도포하여 흡착시켜 제 3 배열브러시사(63)를 형성시키는 단계(S80)와, 제 3 연마제(13)가 흡착된 상기 제 3 배열브러시사(63)에 제 4 접착제(24)를 도포하여 제 4 배열브러시사(64)를 형성시키는 단계(S90)와, 상기 제 4 배열브러시사(64)의 외부를 제 2 직물(42)로 직조하여 감싸 멀티 브러시사(60)를 제작하는 단계(S100)를 포함한다.
상기 제 3, 4 접착제(23)(24)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접착제(21)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 3 연마제(13)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연마제(11)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S60 단계의 제 1 배열브러시사(61)는 복수개의 브러시사를 평행하게 배치하거나 나선형 등으로 꼬아서 배치할 수 있다.
상기 S70 단계 내지 S100 단계는 상기 브러시사를 제조하는 것과 같이, 접착제 도포, 연마제 흡착고정, 접착제 재 도포 후 직물 함침을 수행하여 다수개의 브러시사(50)를 하나의 멀티 브러시사(60)로 제작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제작된 멀티 브러시사(60)는 단일한 브러시사(50)보다 내구성이 월등하고, 함유되는 연마제의 중량%를 보다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 2 직물(42)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직물(41)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나, 내구성 및 탄성 강화를 위해 다른 재질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나머지 구성 및 방법은 상기 1 실시예와 동일한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 : 제 1 연마제 12 : 제 2 연마제
13 : 제 3 연마제 14 : 합성수지
21 : 제 1 접착제 22 : 제 2 접착제
23 : 제 3 접착제 24 : 제 4 접착제
41 : 직물 42 : 제 2 직물
50 : 브러시사 51 : 제 1 원사
52 : 제 2 원사 53 : 제 3 원사
54 : 제 4 원사 61 : 제 1 배열브러시사
62 : 제 2 배열브러시사 63 : 제 3 배열브러시사
64 : 제 4 배열브러시사 60 : 멀티 브러시사

Claims (8)

  1. 합성수지 및 연마제를 혼합 후 압출하여 제작하는 브러시사 제조방법에 있어서,
    합성수지(14) 및 제 1 연마제(11)가 혼합되어 제 1 원사(51)를 압출시키는 단계(S10);
    상기 제 1 원사(51)의 외주면에 제 1 접착제(21)를 도포하여 제 2 원사(52)를 제조하는 단계(S20);
    상기 제 1 접착제(21)가 도포된 제 2 원사(52)의 외주면에 제 2 연마제(12)를 고정시켜 제 3 원사(53)를 제조하는 단계(S30);
    상기 S30 단계의 제 3 원사(53) 표면에 제 2 접착제(22)를 도포하여 제 4 원사(54)를 제조하는 단계(S40); 및
    상기 제 2 접착제(22)가 굳기 전에 상기 제 4 원사(54)의 외주면을 직물(41)로 감싸 함침시키는 단계(S50)를 포함하고,
    상기 S10 단계에서 상기 제 1 원사(51)를 위한 압출 후 제 1 원사(51)를 연신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S20 단계 및 S30 단계는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브러시사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 접착제(21) 또는 제 2 접착제(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합성수지(14)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브러시사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사(50)를 복수개 배열하여 제 1 배열브러시사(61)를 형성시키는 단계(S60);
    상기 제 1 배열브러시사(61)의 각 브러시사(50)를 모두 감싸도록 제 3 접착제(23)를 도포하여 제 2 배열브러시사(62)를 형성시키는 단계(S70);
    상기 제 2 배열브러시사(62)의 도포된 제 3 접착제(23)에 제 3 연마제(13)를 도포하여 흡착시켜 제 3 배열브러시사(63)를 형성시키는 단계(S80);
    제 3 연마제(13)가 흡착된 상기 제 3 배열브러시사(63)에 제 4 접착제(24)를 도포하여 제 4 배열브러시사(64)를 형성시키는 단계(S90);
    상기 제 4 배열브러시사(64)의 외부를 제 2 직물(42)로 직조하여 감싸 멀티 브러시사(90)를 제작하는 단계(S100)를 포함하는 멀티 브러시사의 제조방법.
  6. 청구항 5를 통해 제작된 멀티 브러시사.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을 통해 제작된 브러시사.
  8. 삭제
KR1020140065241A 2014-05-29 2014-05-29 브러시사, 멀티 브러시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87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241A KR101587415B1 (ko) 2014-05-29 2014-05-29 브러시사, 멀티 브러시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241A KR101587415B1 (ko) 2014-05-29 2014-05-29 브러시사, 멀티 브러시사 및 이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24165A Division KR101511321B1 (ko) 2013-03-06 2013-03-06 브러시사, 멀티 브러시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226A KR20140111226A (ko) 2014-09-18
KR101587415B1 true KR101587415B1 (ko) 2016-01-22

Family

ID=51756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241A KR101587415B1 (ko) 2014-05-29 2014-05-29 브러시사, 멀티 브러시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741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6646A (ja) * 2007-03-30 2008-10-16 Noritake Super Abrasive:Kk レジンボンドワイヤソー
JP2009202298A (ja) * 2008-02-28 2009-09-10 Toray Monofilament Co Ltd 研磨用ブラシ毛材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研磨ブラシ
KR101253248B1 (ko) * 2013-02-05 2013-04-16 주식회사 마산 브러시사, 멀티 브러시사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4064B2 (ja) 2000-12-19 2010-09-29 優一郎 新崎 線状のブラシ用素材
KR100395481B1 (ko) 2001-04-12 2003-08-25 가부시키가이샤 호타니 브러쉬 롤
JP2003129347A (ja) 2001-10-25 2003-05-08 Hotani:Kk ブラシ毛材
KR100468478B1 (ko) 2001-12-12 2005-01-27 가부시키가이샤 호타니 연마브러쉬 롤의 브러쉬모재 및 연마브러쉬 롤
KR100435299B1 (ko) 2001-12-18 2004-06-10 주식회사 엠아이텍 표면처리 연마재 함유 브러시 및 그 고정치구
JP2008012126A (ja) 2006-07-07 2008-01-24 Yuichiro Niizaki ブラシ毛素材およびブラシ
JP4942409B2 (ja) * 2006-07-07 2012-05-30 優一郎 新崎 ブラシ毛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6646A (ja) * 2007-03-30 2008-10-16 Noritake Super Abrasive:Kk レジンボンドワイヤソー
JP2009202298A (ja) * 2008-02-28 2009-09-10 Toray Monofilament Co Ltd 研磨用ブラシ毛材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研磨ブラシ
KR101253248B1 (ko) * 2013-02-05 2013-04-16 주식회사 마산 브러시사, 멀티 브러시사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226A (ko) 2014-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6145B1 (ko) 필라멘트 브러시 강모 소재
KR101253248B1 (ko) 브러시사, 멀티 브러시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306518A (zh) 研磨垫与其应用及其制造方法
KR101511321B1 (ko) 브러시사, 멀티 브러시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87415B1 (ko) 브러시사, 멀티 브러시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7015096A (ja) ねじりブラシ
WO2017209050A1 (ja) 研磨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研磨物の製造方法
JP7274499B2 (ja) 含浸織布及び研磨粒子を含む研磨製品
US10813444B2 (en) Porous polymeric polishing bristle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KR20120089169A (ko) 샌드페이퍼 제작방법 및 샌드페이퍼
JP2000033553A (ja) 研磨パッドおよび研磨方法
JP2015037823A (ja) 砥粒入りフィラメントを用いた研磨材
CN110385653B (zh) 圆盘形砂盘磨削制品
KR101991251B1 (ko) 플라스틱 흠집 제거 장치
KR102001370B1 (ko) 플라스틱 흠집 제거 방법
US20050107018A1 (en) Polishing product element, particularly for finishing optical lenses
KR20120009489A (ko) 워크 캐리어, 브러시용 모 소재 및 브러시, 그리고 워크 캐리어 및 브러시용 모 소재의 제조방법
JP2009269118A (ja) 研磨ブラシ用毛材および研磨ブラシ
CN219359123U (zh) 研磨垫
JP2014014905A (ja) 組合ブラシ
JP2018051668A (ja) 研磨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研磨物の製造方法
JP2008036044A (ja) ブラシ用毛材
JP2008213116A (ja) 研磨用ブラシ毛材および研磨ブラシ
JP2014113404A (ja) ブラシ素材及びブラシ
JP2011239928A (ja) 紙製ブラシ毛作製方法および紙製ブラシ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