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7358B1 - 하이브리드 차량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7358B1
KR101587358B1 KR1020140116048A KR20140116048A KR101587358B1 KR 101587358 B1 KR101587358 B1 KR 101587358B1 KR 1020140116048 A KR1020140116048 A KR 1020140116048A KR 20140116048 A KR20140116048 A KR 20140116048A KR 101587358 B1 KR101587358 B1 KR 101587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attery
main
power conversion
main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6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훈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6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358B1/ko
Priority to US14/812,820 priority patent/US20160059712A1/en
Priority to EP15179599.4A priority patent/EP2993074A1/en
Priority to CN201510542887.1A priority patent/CN105391108A/zh
Priority to JP2015172090A priority patent/JP2016054635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28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electric energy storing mean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84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control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12Recording operating variables ; Monitoring of operating vari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1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by batteries charged by engine-driven generators, e.g. series hybrid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having different nominal volt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2Balancing the charge of battery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2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 B60L58/26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by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7/00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 B60L7/10Dynamic electric regenerative braking
    • B60L7/14Dynamic electric regenerative braking for vehicles propelled by a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 B60W10/2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ies or capaci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2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with multipl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69Regulation of the charging current or voltage otherwise than by variation of field
    • H02J7/1492Regulation of the charging current or voltage otherwise than by variation of field by means of controlling devices between the generator output and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10DC to DC converters
    • B60L2210/14Boost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30AC to D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40DC to A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5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9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70/0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L2270/20Inrush current reduction, i.e. avoiding high currents when connecting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8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2Energy efficient charging or discharging system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Dc-Dc Converter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실시예의 배터리 팩은, 복수 개의 배터리 셀로 구성되는 메인 배터리와, 상기 메인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레벨을 변환시키기 위한 전력 변환부와, 상기 메인 배터리와 전력 변환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메인 배터리가 상기 전력 변환부에 연결되는 것을 단속하는 메인 릴레이부와, 상기 메인 배터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전력 변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에는 상기 메인 배터리의 전압, 전류 및 온도값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들과, 상기 전력 변환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이 함께 마련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차량{A hybrid vehicl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에 마련되는 에너지 저장 장치인 배터리팩에 대한 것으로서, 대용량의 48V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팩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솔린이나 디젤을 주연료로 사용하는 내연 엔진을 이용하는 차량은 대기오염 등 공해 발생에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으며, 최근에는 공해 발생을 줄이기 위하여, 전기 차량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전기 차량은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동작하는 배터리 엔진을 이용하는 차량이고, 이러한 전기 차량은 충방전이 가능한 다수의 2차 전지가 하나의 팩으로 형성된 배터리를 주동력원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배기가스가 없으며, 소음이 아주 작은 장점이 있다.
한편, 하이브리드 차량은 두 가지 이상의 동력원, 예를 들면, 내연 엔진과 배터리로 이용되는 액츄에이터를 사용하는 차량이다. 현재는, 내연 엔진과 수소와 산소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화학반응을 일으켜 직접 전기 에너지를 얻는 연료 전지를 이용하거나, 배터리와 연료 전지를 이용하는 등 혼합된 형태의 하이브리드 차량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전기 차량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 내의 배터리 전원 공급 장치는 관련 전자 기기 및 액츄에이터에 에너지를 제공하는 전원으로서, 멀티셀 배터리를 적용한다. 단일셀보다는 멀티셀의 팩을 이용함으로써, 고전압을 인가하거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하이브리드 차량 내에서는 텔레매틱스(telematics), ISG, 전동식 스티어링 휠 등의 12V 배터리의 전장 부하의 수요가 증가하고, 기존의 12V 배터리 시스템으로는 그 전력량을 충족시키기 부족한 상황에 이르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 시스템을 저비용으로 하이브리드화 하기 위한 48V 시스템이 대안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전력 소모가 심한 전장 부하들을 48V 정격으로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48V 시스템으로는 BSG(Belted Starter Generator)와 에어컨, 전동식 스티어링 휠 등의 고부하를 담당하도록 하고, 오디오, 디스플레이 및 램프와 같은 전장 부하들은 12V 시스템이 부담하도록 하는 방안이 있다.
도 1과 도 2는 기존의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들이고, 도 3은 기존의 프리차지 릴레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기존의 하이브리드 차량의 배터리 시스템은, 엔진(10)측으로 풀리(11)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하거나, 엔진(10)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기 위한 모터 제너레이터(20)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제너레이터(20)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거나 상기 모터 제너레이터(20)로부터 전달되는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메인 배터리팩(40)으로 전달하는 인버터(30)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 제너레이터는 엔진과 트랜스미션 사이에 장착되어 엔진 시동 온오프와, 주행에 필요한 기동 토크를 조정하며, 차량의 정상 동작시에는 발전기로 동작하고, 브레이크 구동시에는 회생 제동 에너지를 회수하는 IGS에 해당한다.
또한, 기존의 배터리 시스템은, 서브 배터리(60)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배터리팩(40)과 서브 배터리(60) 사이에서 전압을 승압시키거나 전압을 강압시키기 위한 DCDC 컨버터(50)가 마련된다.
상세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배터리팩(40)은 차량의 배터리 상태를 센싱하고 배터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 배터리 제어부로서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를 포함한다.
상기 BMS(41)는 차량 시스템의 배터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센싱하고, 또한, 배터리의 충방전과 관련되는 회로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며, 크게, 제어 전원부, 다수의 센싱부들, 및 메인 마이컴과, 백업 마이컴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기존의 BMS(41)는 메인 배터리(43)를 구성하는 각각의 배터리 셀들에 대한 전압을 측정하여 배터리 셀 들간의 전압을 균일화하기 위한 셀 밸런싱 회로를 구비하고, 배터리 셀 및 배터리 팩(4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들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BMS(41)는 입출력 전압과 전류들을 측정하기 위한 센싱 회로들과, 차량 내 통신을 위한 CAN, LIN등의 통신 모듈과, 배터리 셀 밸런싱과 시스템 각 위치에서의 온도를 모니터링하고 셀 밸런싱을 수행하기 위한 ASIC을 구비하고 있다.
이외에, 상기 BMS(41)는 포함된 각 회로 및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 마이컴과, 상기 메인 마이컴이 고장나는 등 비상시에 사용되거나 보조 연산을 처리하기 위한 백업 마이컴(Backup DSP)을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각각의 회로 및 센서에 공급할 각 제어 전원을 12V의 보조 배터리로부터 생성하기 위한 SMPS(Switching Mode Power System)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기 에너지를 차량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동작과, 구성 요소의 보호를 위하여 다수의 회로들과 센서들 및 이들을 관리하기 위한 마이컴들이 구비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BMS(41)는 차량 시스템에 상기 메인 배터리(43)가 접속되는 것을 단속하기 위한 메인 릴레이에 해당하는 BDU(Battery Diconnect Unit)(42)를 제어한다. 기존의 BDU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살펴보기로 한다.
종래에는 상기 메인 배터리팩(40)과는 별도의 물리적인 구성으로 DCDC 컨버터(50)를 상기 메인 배터리팩(40)과 서브 배터리(60) 사이에 배치하고 있다. 상기 DCDC 컨버터(50)는 크게 컨버터 파워부(51)와, 컨버터 제어부(52)로 구성된다.
상기 컨버터 파워부(51)는 상기 컨버터 제어부(52)로부터 전달되는 게이트 신호에 따라 직류 전압을 승압시키거나, 반대로 낮추는 강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회로로 구성된다.
상기 컨버터 제어부(52)는 앞선 BMS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안정적인 동작과, 포함되는 다수의 회로 및 센서들을 보호하기 위한 마이컴을 포함한다.
상세히 설명하여 보면, 앞선 BMS에서도 다수의 회로 및 센서들이 구성된 것과 유사하게, 각종 제어를 위한 마이컴과, DCDC컨버터 내에 필수적인 파워 소자(FET, IGBT등)을 제어하기 위한 PWM 컨트롤러 및 게이트 드라이버 회로를 구비하여야 하고, 차량 내에서 타 장비와의 CAN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과, 필요한 각 영역에서의 온도 센싱을 위한 NTC 회로 및, 입출력 전압/전류 및 각 상의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센싱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DCDC 컨버터(50) 내부의 상기 각 회로들과 센서들을 과전압, 과전류, 고온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 회로들이 구비되고, 각각의 회로 소자들로 제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SMPS등이 더 구비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기존의 전기 에너지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차량에 있어서는, 메인 배터리팩(40) 뿐만 아니라, DCDC 컨버터(50) 양쪽 모두, 수많은 센서들과, 센싱된 값을 읽어들이기 위한 수단들, 그리고, 이들을 제어하고, 보호하기 위한 회로들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수많은 와이어가 복잡하게 연결되어야 하고, 메인 배터리팩(4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냉각 구조와 DCDC 컨버터(5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냉각 구조 역시 별개로 각각 마련되어야 했다.
또한, 차량의 초기 시동시에 메인 배터리(43)가 차량 시스템에 곧바로 연결될 경우에, 급격하게 차량 시스템으로 대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리차지 릴레이가 구성되어야 한다.
즉, 종래에는, 메인 배터리(43)와 인버터(30) 사이, 및 메인 배터리(43)와 DCDC 컨버터(50) 사이 위치에, 메인 배터리(43)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컨택터(contactor)(42a)와, 상기 컨택터(42a)와 병렬로 연결되는 프리차지 릴레이(42b) 및, 프리차지 저항(42c)과, 전체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한 퓨즈를 마련하고 있다.
차량 시동시에, 메인 릴레이에 해당하는 상기 컨택터(42a)가 바로 연결되어 버리면, 붙는 순간 급격한 전류 흐름 즉, 배터리가 일시적으로 쇼트되어 대전류가 흐르는 것에 의하여 릴레이 융착 현상이 나타나게 되고, 차량 시스템(예를 들면, 인버터 평활용 커패시터 등)에 큰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초기 시동시에, 컨택터(42a)가 오프된 상태에서, 프리차지 릴레이(42b)가 온되고, 프리차지 릴레이(42b)에 연결된 프리차지 저항(42c)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제한하게 된다. 이때, 저항의 크기에 따라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달라지므로,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기준으로 프리차지 릴레이 사양을 결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량 시스템에 있어서는, 메인 배터리팩과 DCDC 컨버터 각각에 수많은 센서들과, 회로들을 구비하여야만 하였고, 이들 센서와 회로들을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들이 구성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차량의 배터리 시스템에 대한 비용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차량의 무게를 증가시키고 있었다.
그리고, 메인 배터리팩과, DCDC 컨버터 각각에 대해서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각 구조가 마련되어야 하였으며, 안정적인 시스템 동작을 위해서 프리차지 릴레이를 별도로 구성하여야만 했다.
이러한 기존의 차량 배터리 시스템에 대하여, 48V를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에 필수적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배터리 팩, BDU, BMS 및 DCDC 컨버터를 통합시킴으로써, 시스템의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 필요로 하는 센서들 및 회로들을 공통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배터리 팩과, 그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단일의 시스템 장치를 제안함으로써,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으며, 각종 회로 및 센서들과 연결되는 와이어를 줄여 원가 절감 및 차량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과, 그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을 제안하고자 한다.
실시예의 배터리 팩은, 복수 개의 배터리 셀로 구성되는 메인 배터리와, 상기 메인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레벨을 변환시키기 위한 전력 변환부와, 상기 메인 배터리와 전력 변환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메인 배터리가 상기 전력 변환부에 연결되는 것을 단속하는 메인 릴레이부와, 상기 메인 배터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전력 변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에는 상기 메인 배터리의 전압, 전류 및 온도값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들과, 상기 전력 변환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이 함께 마련된다.
또한, 실시예의 하이브리드 차량은, 복수 개의 전장 부하가 구비되는 하이브리드 차량으로서, 메인 배터리와, 차량의 운행 상태에 따라 발전기로 동작하거나 상기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회생 제동 에너지를 회수하여 상기 메인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에너지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전장 부하 중 대용량 부하 요소인 제 1 전장 부하로 전원을 제공하고, 상기 메인 배터리 및 인버터와 연결되는 전력 변환부와, 상기 전력 변환부와 연결되고, 상기 전장 부하 중 표준 용량 부하 요소인 제 2 전장 부하로 전원을 제공하는 서브 배터리와, 상기 메인 배터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전력 변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메인 배터리와 상기 전력 변환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인 배터리를 상기 전력 변환부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메인 릴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제 1 전장 부하측 또는 상기 인버터측에 형성되는 커패시터를 프리차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력 변환부를 제어하여 상기 서브 배터리의 전원이 상기 커패시터로 제공된다.
제안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서, 배터리 팩에 차량의 배터리 시스템을 감시하고,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단일로 통합 구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의 배터리 팩 내에 배터리의 상태 정보, 및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단일로 형성되는 것을 통하여, 그 동안 차량 내에 이중으로 마련되어야 했던 센서 및 회로들을 반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BMS와 DCDC 컨버터의 냉각을 위한 냉각 구조를 각각 별개로 구성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단일로 통합된 제어 수단을 통해서, 차량 시동시에 발생될 수 있는 대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프리차지 동작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프리차지를 위한 별도의 프리차지 릴레이 회로와, 프리차지 저항을 별도로 구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차량에 필요로 하는 회로들 및 센서들을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안정적인 배터리 동작에 대해서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과 도 2는 기존의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은 기존의 프리차지 릴레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배터리 팩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배터리 팩에 구성되는 제어 수단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배터리 팩에서 프리차지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배터리 팩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실시예의 배터리 팩(100)은, 복수개의 배터리 셀로 구성된 메인 배터리(10)와, 상기 메인 배터리(10)의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 릴레이부(130)와, 배터리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배터리의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200)과, 직류 전압의 크기를 변환하기 위한 전력 변환부(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배터리(10), 제어 수단(200) 및 전력 변환부(120)의 일단은 그라운드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전력 변환부(120)의 경우, 그라운드 분리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전력 변환부(120)는 서브 배터리(60) 및 12V 전장 부하측(71)과 연결된다.
상기 제어 수단(200)은 기존의 BMS, BDU 및 DCDC 컨버터를 제어하기 위한 컨버터 제어부의 역할들을 단일의 구성으로 수행하며, 배터리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 수단(200)은 상기 배터리 팩(100)에 연결되는 고전압의 전장 부하(70)와, 전기 에너지를 차량의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에너지 변환하는 인버터(30)에 구성되는 커패시터를 프리차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력 변환부(120)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수단(200)의 경우, 메인 릴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수단(200)의 구성 및, 동작에서는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좀 더 자세한 설명을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전력 변환부(120)는 상기 제어 수단(200)으로부터 전달되는 게이트 신호에 따라 직류 전압을 더 높은 전압으로 승압시키거나, 직류 전압을 더 낮은 전압으로 강압시키는 DCDC 컨버터의 파워부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메인 릴레이부(130)는 상기 메인 배터리(10)를 상기 전력 변환부(120), 48V의 전장 부하들(70) 및 인버터(30)에 연결되는 것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스위칭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종래에는, 메인 릴레이부에 프리차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릴레이와, 저항이 필요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력 변환부(120)의 동작에 따라 필요로 하는 프리차지가 수행될 수 있으므로, 상기 메인 릴레이부(130)에는 프리차지를 위한 릴레이와, 저항이 구성될 필요가 없다.
상기 메인 배터리(10)는 고전압인 48V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알려진 바와 같이, 복수개의 배터리 셀들이 직렬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기존의 분산되어 있던 메인 배터리의 BMS, BDU 등의 구성과, DCDC 컨버터 제어를 위한 컨버터 마이컴 등이 통합됨으로써, 상기 단일의 제어 수단(200)에 의하여 차량 배터리의 모니터링 및 관리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20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배터리 팩에 구성되는 제어 수단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의 배터리 팩(100)은 메인 배터리(110)와, 상기 메인 배터리(110)와 릴레이 회로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전력 변환부(120)와, 상기 메인 배터리(110) 및 전력 변환부(120)를 모니터링하거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20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수단(200)은, 상기 메인 배터리(110)의 상태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가 필요로 하는 각종 센서와 모니터링 회로들과, DCDC 컨버터의 컨버터 제어부가 필요로 하는 각종 센서와 모니터링 회로들을 통합 관리/제어한다.
상세히, 상기 제어 수단(200)은 셀 밸런싱부(220), 셀 센싱 관리부(230), 입출력 센싱부(240), 보호 회로인 프로텍팅부(250), 온도 센싱부(260), 통신부(270)와, 이들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 제어부(2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수단(200)은 상기 메인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PWM 듀티비를 결정하는 PWM 컨트롤러(291)와, 상기 PWM 컨트롤러(291)로부터 출력되는 PWM 듀티비에 따라 게이트 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 드라이버(29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반드시 구성되지 않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 수단(200)으로부터 출력되는 게이트 신호, 더 정확하게는,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92)로부터 출력되는 게이트 신호는 전력 변환부(120)로 전달되고, 상기 전력 변환부(120)는 전달받은 게이트 신호에 따라 직류 전압을 승압시키거나, 강압시키는 파워부로서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 수단(200)을 구성하는 셀 밸런싱부(220)는, 상기 메인 배터리(220)를 구성하는 배터리 셀들 간의 전압 편차를 줄여줌으로써, 배터리 성능과 내구 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배터리 셀들 사이에 전압 편차가 발생한 상태에서, 메인 배터리를 사용하게 되면, 일부 배터리 셀이 다른 전압 영역에서 다른 효율을 갖고 사용되며, 이것은 특정 배터리 셀의 열화를 촉진하는 것으로서, 배터리 팩 전체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배터리 셀들 사이의 전압 편차를 줄이기 위한 셀 밸런싱이 필요하다.
상기 제어 수단(200)을 구성하는 셀 센싱 관리부(230)는, 셀 센싱을 위한 사용자 주문형 반도체(ASIC for cell sensing)으로서, 각각의 배터리 셀에 대한 전압, 전류값 및 온도값들을 수신하고, 이들 아날로그의 데이터를 디지털 변환한 다음, 상기 메인 제어부(21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 수단(200)을 구성하는 입출력 센싱부(240)는, 상기 메인 배터리(110)의 입출력 전압/전류와, 온도 등을 센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텍팅부(250)는, 상기 입출력 센싱부(240)에 의하여 측정되는 값들로부터, 과전압의 발생유무, 과전류의 발생유무, 저전압 발생여부 및 보호 온도 범위의 초과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 시스템의 회로 보호를 위하여 과전압, 과전류 등이 회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저전압 발생시에는 사용자에게 해당 정보를 전달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 수단(200)을 구성하는 온도 센싱부(260)는 온도 검출 소자를 사용하여 배터리 팩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통신부(270)는 차량의 ECU 또는 다른 구성요소와 상기 메인 제어부(210) 사이에 CAN 또는 LIN 등의 통신이 수행되도록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어 수단(200)을 구성하는 제어 전원부(280)는 상기 셀 밸런싱부(220), 셀 센싱 관리부(230), 입출력 센싱부(240), 프로텍팅부(250), 온도 센싱부(260), 통신부(270), 메인 제어부(210), PWM 컨트롤러(291) 및 게이트 드라이버(292)가 동작하는데 필요로 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메인 배터리(110)가 포함되는 배터리 팩(100) 내에 제어 수단(200)이 함께 마련되고, 상기 제어 수단(200)은 배터리 팩에 필요한 BMS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수단(200)은 전류를 센싱하는 역할과, 메인 릴레이부를 제어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수단(200)은 DCDC 컨버터의 제어를 위한 컨버터 제어부의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즉, 배터리의 상태 정보로서, 전압, 전류 및 온도값들을 센싱하고, 센싱된 값들로부터 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고, 외부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물론이고, 직류 전압의 레벨을 변환시키는 전력 변환부(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 역시 수행한다.
메인 제어부(210)로 이러한 배터리의 상태 정보, 및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단일로 형성되는 것을 통하여, 그 동안 차량 내에 이중으로 마련되어야 했던 센서 및 회로들을 반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부(210)는 상기 PWM 컨트롤러(291)를 제어함으로써, 차량 시동시에, 상기 서브 배터리(60)에 축전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전력 변환부(120)를 경유하여 인버터의 커패시터 및 차량내 전장 부하의 커패시터로 제공함으로써, 해당 커패시터들의 프리차지가 수행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배터리 팩에서, 프리차지를 수행하는 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배터리 팩에서 프리차지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차량이 초기 시동되면(S610), 상기 메인 제어부(210)는 메인 배터리(110)와 전력 변환부(120)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메인 릴레이부(130)의 오프 상태를 기설정된 시간만큼 유지시킨다(S602).
그리고, 상기 메인 제어부(210)는 상기 PWM 컨트롤러(291) 및 게이트 드라이버(292)를 제어하여, 상기 전력 변환부(120)에 의한 부스트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S603). 즉, 상기 전력 변환부(120)가 서브 배터리(60)의 전기 에너지를 인버터 및 전장 부하의 커패시터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부스트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전력 변환부(120)와 연결된 전장 부하 및 인버터의 커패시터에 대한 프리차징이 수행되도록 한다(S604).
인버터 및 전장 부하측에 형성되는 커패시터들의 프리차지가 기설정된 전압 레벨로 상승한 다음에는, 상기 메인 릴레이부(130)를 온(ON) 시킴으로써, 상기 메인 배터리(110)와 전력 변환부(1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S605).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차량 내의 인버터 및 전장 부하의 커패시터에 충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메인 배터리가 연결되는 것에 의하여 급격한 대전류가 차량을 흐르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프리차지를 위한 별도의 프리차지 릴레이 회로와, 프리차지 저항을 별도로 구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통합된 제어 수단을 통하여, 차량에 필요로 하는 회로들 및 센서들을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안정적인 배터리 동작에 대해서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배터리 팩 110 : 메인 배터리
120 : 전력 변환부 200 : 제어 수단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복수 개의 전장 부하가 구비되는 하이브리드 차량으로서,
    메인 배터리와,
    차량의 운행 상태에 따라 발전기로 동작하거나 상기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회생 제동 에너지를 회수하여 상기 메인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에너지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전장 부하 중 대용량 부하 요소인 제 1 전장 부하로 전원을 제공하고, 상기 메인 배터리 및 인버터와 연결되는 전력 변환부와,
    상기 전력 변환부와 연결되고, 상기 전장 부하 중 표준 용량 부하 요소인 제 2 전장 부하로 전원을 제공하는 서브 배터리와,
    상기 메인 배터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전력 변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메인 배터리와 상기 전력 변환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인 배터리를 상기 전력 변환부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메인 릴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차량 시동시
    상기 제 1 전장 부하측과 제 2 전장 부하측과 인버터측 중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로 상기 서브 배터리의 전원이 상기 커패시터로 제공되게 상기 전력 변환부를 제어하여 상기 커패시터를 프리차지하고,
    상기 메인 릴레이부가 오프되는 구간을 형성되도록 상기 메인 릴레이부를 제어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메인 제어부와,
    게이트 드라이버로 PWM 듀티비를 전달하는 PWM 컨트롤러와,
    상기 전력 변환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차량 시동시 상기 PWM 컨트롤러를 제어하여 상기 서브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전력 변환부를 경유하여 상기 커패시터로 제공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배터리 셀들 사이의 전압 편차를 줄이기 위한 셀 밸런싱부와,
    상기 배터리 셀 및 메인 배터리의 전압 및 전류값을 수신하여 디지털 변환하는 셀 센싱 관리부와, 상기 배터리 셀 및 메인 배터리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싱부와, CAN통신이 수행되도록 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메인 배터리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센싱하기 위한 입출력 센싱부와, 상기 입출력 센싱부의 측정값에 따라 보호 회로를 구성하는 프로텍팅부를 더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에는, 상기 셀 밸런싱부, 셀 센싱 관리부, 온도 센싱부, 통신부 및 게이트 드라이버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 전원부도 포함되는 하이브리드 차량.
KR1020140116048A 2014-09-02 2014-09-02 하이브리드 차량 KR101587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048A KR101587358B1 (ko) 2014-09-02 2014-09-02 하이브리드 차량
US14/812,820 US20160059712A1 (en) 2014-09-02 2015-07-29 Battery pack and hybrid vehicle including the battery pack
EP15179599.4A EP2993074A1 (en) 2014-09-02 2015-08-04 Battery pack and hybrid vehicle including the battery pack
CN201510542887.1A CN105391108A (zh) 2014-09-02 2015-08-28 一种蓄电池组和包含该蓄电池组的混合动力车辆
JP2015172090A JP2016054635A (ja) 2014-09-02 2015-09-01 バッテリパックと、前記バッテリパックを含むハイブリッド車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048A KR101587358B1 (ko) 2014-09-02 2014-09-02 하이브리드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7358B1 true KR101587358B1 (ko) 2016-02-02

Family

ID=53776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048A KR101587358B1 (ko) 2014-09-02 2014-09-02 하이브리드 차량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059712A1 (ko)
EP (1) EP2993074A1 (ko)
JP (1) JP2016054635A (ko)
KR (1) KR101587358B1 (ko)
CN (1) CN105391108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46585A (zh) * 2016-06-02 2016-09-21 观致汽车有限公司 一种车辆电源管理系统及电动车辆
KR20180008118A (ko) * 2016-07-15 2018-01-24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및 전기 자동차의 전력 분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09187A (ko) * 2016-07-18 2018-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 공급 시스템
WO2018186573A1 (ko) * 2017-04-07 2018-10-11 삼성에스디아이(주) 차량 구동용 전력 공급 시스템
KR20180114838A (ko) * 2017-04-11 2018-10-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시스템
KR101928040B1 (ko) * 2017-06-27 2018-12-11 김인수 차량용 전자 디바이스 보조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2214573B1 (ko) * 2019-12-13 2021-02-09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력 공급 시스템 제어 방법
KR102250108B1 (ko) * 2019-12-13 2021-05-10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력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온오프 시퀀스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77228B (zh) * 2014-12-25 2017-01-11 杭州协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均衡模块电压偏差检测修调系统
KR102475482B1 (ko) * 2015-11-18 2022-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제어 방법, 배터리 제어 장치, 및 배터리 팩
GB2546789A (en) * 2016-01-29 2017-08-02 Bombardier Primove Gmbh Arrangement with battery system for providing electric energy to a vehicle
KR102194985B1 (ko) * 2016-09-07 2020-12-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보호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18056270A1 (ja) * 2016-09-21 2018-03-29 Ntn株式会社 車両動力補助システム
JP6976083B2 (ja) * 2016-09-21 2021-12-01 Ntn株式会社 車両動力補助システムおよび車両従動輪回生システム
KR102522608B1 (ko) * 2016-11-18 2023-04-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인버터 고전원선 누설 전류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US10391864B2 (en) 2017-02-08 2019-08-2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 to balance high voltage battery for vehicle
JP6545230B2 (ja) * 2017-08-31 2019-07-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電源システム
KR102308299B1 (ko) * 2017-11-06 2021-10-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셀 모듈 균등화 및 프리차지 장치 및 방법
CN108216086B (zh) * 2017-12-15 2020-01-21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48v微混系统的dcdc转换器及其控制方法
CN108100201A (zh) * 2018-01-25 2018-06-01 广西师范大学 一种电动船用高压箱
US20210020998A1 (en) * 2018-03-19 2021-01-21 EVchip Energy Ltd. Power pack and power pack circuitry
CN108663218B (zh) * 2018-04-24 2019-06-25 武汉理工大学 一种48v轻型混合动力汽车下线检测系统及方法
CN108599298B (zh) * 2018-04-25 2022-05-13 氢驰动力科技(山西)有限公司 一种电池包并联装置及其控制方法
CN110761584B (zh) * 2018-07-25 2021-04-13 武汉北方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室外电动汽车充电站
JP7159805B2 (ja) * 2018-11-21 2022-10-25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電源制御装置
CN109501701B (zh) * 2018-12-18 2024-03-15 北奔重型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主、副蓄电池组控制电路
US11476679B2 (en) * 2019-06-11 2022-10-18 A123 Systems, LLC Dual voltage battery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DE102019129170A1 (de) * 2019-10-29 2021-04-2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teuerungsanordnung für eine Hochvoltbatteri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teuerungsanordnung
US20210249872A1 (en) * 2020-02-06 2021-08-12 Samsung Sdi Co., Ltd. Battery system
EP3863141A1 (en) * 2020-02-06 2021-08-11 Samsung SDI Co., Ltd. Battery system
CN111262431B (zh) * 2020-03-18 2021-03-30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用于车辆的升压控制电路和方法
CN111591168A (zh) * 2020-04-26 2020-08-28 义乌吉利动力总成有限公司 混合动力车辆低温冷启动方法、装置、存储介质及设备
JP7481187B2 (ja) * 2020-07-27 2024-05-10 株式会社Subaru 車両用電源装置
US11365711B2 (en) * 2020-10-30 2022-06-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nergy storage system with multiple battery modules for a vehicle propulsion system
KR20220100332A (ko) * 2021-01-08 2022-07-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장치 및 전압 공급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7851A (ja) * 2003-03-25 2004-10-21 Sansha Electric Mfg Co Ltd モータ制御用電源装置
KR101251812B1 (ko) * 2011-10-05 2013-04-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전원관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6611A (ja) * 1992-06-01 1993-12-17 Fuji Electric Co Ltd 電気自動車の電気システム
CN101174715A (zh) * 2007-09-28 2008-05-07 深圳先进技术研究院 一种集控制与保护功能的动力电池管理系统及方法
WO2010109956A1 (ja) * 2009-03-27 2010-09-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蓄電装置
KR101084214B1 (ko) * 2009-12-03 2011-11-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계통 연계형 전력 저장 시스템 및 전력 저장 시스템 제어 방법
CN102753379B (zh) * 2010-02-09 2015-12-09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电动车辆的电源系统及其控制方法
US9007028B2 (en) * 2010-04-28 2015-04-1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ontrol device for electric power storage device and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JP5594893B2 (ja) * 2010-12-22 2014-09-2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池制御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蓄電装置
JP5278512B2 (ja) * 2011-08-10 2013-09-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US20140285135A1 (en) * 2013-03-22 2014-09-25 Ec Power, Llc Systems for heating a battery and processes thereof
US9403438B2 (en) * 2013-09-06 2016-08-02 Samsung Sdi Co., Ltd. Control device for hybrid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hybrid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7851A (ja) * 2003-03-25 2004-10-21 Sansha Electric Mfg Co Ltd モータ制御用電源装置
KR101251812B1 (ko) * 2011-10-05 2013-04-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전원관리시스템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46585A (zh) * 2016-06-02 2016-09-21 观致汽车有限公司 一种车辆电源管理系统及电动车辆
KR20180008118A (ko) * 2016-07-15 2018-01-24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및 전기 자동차의 전력 분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887749B1 (ko) 2016-07-15 2018-08-10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및 전기 자동차의 전력 분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09187A (ko) * 2016-07-18 2018-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 공급 시스템
KR102606225B1 (ko) * 2016-07-18 2023-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 공급 시스템
WO2018186573A1 (ko) * 2017-04-07 2018-10-11 삼성에스디아이(주) 차량 구동용 전력 공급 시스템
US11155172B2 (en) 2017-04-07 2021-10-26 Samsung Sdi Co., Ltd. Power supply system for driving vehicle
KR20180114838A (ko) * 2017-04-11 2018-10-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시스템
KR102117645B1 (ko) 2017-04-11 2020-06-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시스템
KR101928040B1 (ko) * 2017-06-27 2018-12-11 김인수 차량용 전자 디바이스 보조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2214573B1 (ko) * 2019-12-13 2021-02-09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력 공급 시스템 제어 방법
KR102250108B1 (ko) * 2019-12-13 2021-05-10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력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온오프 시퀀스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54635A (ja) 2016-04-14
CN105391108A (zh) 2016-03-09
US20160059712A1 (en) 2016-03-03
EP2993074A1 (en)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7358B1 (ko) 하이브리드 차량
CN107696863B (zh) 电动汽车的能量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电动汽车
US7692430B2 (en) Power control unit
US8754654B2 (en) Power supply device for detecting disconnection of voltage detection lines
JP5552218B2 (ja) 電源装置
US9221345B2 (en) Battery charging device for motor vehicle
KR101047831B1 (ko) 수동적 안전장치를 이용한 배터리의 센싱 라인의 단락으로 인한 2차 사고 방지장치
US9270135B2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power supply switching method
WO2011102458A1 (ja) 電源システム、及び、電気自動車
CN108791120A (zh) 用于车辆的双电压单元
WO2006065364A2 (en) Hybrid fuel cell system with battery capacitor energy storage system
US20130300192A1 (en) Electric vehicle power storage system
KR20080032454A (ko) 자동차 배터리 관리 시스템
JP2013500893A (ja) 車載システム用の回路装置
JP2011130551A (ja) 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
JP5839047B2 (ja) 監視システムおよび車両
JP7140852B2 (ja) 補助バッテリーを備えたハイブリッドエネルギー貯蔵モジュールシステム
KR101927124B1 (ko) 배터리 고장 방지 장치
EP3566894B1 (en) Battery pack for vehicle
KR20180006187A (ko) 차량 전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11734A (ko) 연료전지 차의 절연저항 측정방법 및 절연저항 측정장치
KR102336964B1 (ko) 마일드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배터리 및 배터리 제어 방법
JP2012074333A (ja) 蓄電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監視制御装置
KR20210028991A (ko) 전기자동차의 보조배터리 운영 방법
KR20140081309A (ko) 모듈 전압 비교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