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7322B1 -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 - Google Patents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7322B1
KR101587322B1 KR1020130092394A KR20130092394A KR101587322B1 KR 101587322 B1 KR101587322 B1 KR 101587322B1 KR 1020130092394 A KR1020130092394 A KR 1020130092394A KR 20130092394 A KR20130092394 A KR 20130092394A KR 101587322 B1 KR101587322 B1 KR 101587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assembly
jig
correction
unit cel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6671A (ko
Inventor
박지원
고명훈
안창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30092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322B1/ko
Priority to PCT/KR2014/002684 priority patent/WO2015020295A1/ko
Priority to JP2015531028A priority patent/JP2015531156A/ja
Priority to CN201480000972.9A priority patent/CN104737351B/zh
Priority to EP14761941.5A priority patent/EP2858163B1/en
Priority to TW103126009A priority patent/TWI518971B/zh
Priority to US14/475,246 priority patent/US9300003B2/en
Publication of KR20150016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5Cells or batteries with folded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59Cells or batteries with folded separator between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크기의 제1 단위셀과 제2 단위셀이 분리막을 통해 폴딩되어 제작되는 전극조립체에서 상기 제1 단위셀과 상기 제2 단위셀을 서로 정렬시키기 위해 상기 제2 단위셀의 위치를 보정하는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로서, 상기 전극조립체가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전극조립체의 일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전극조립체를 상기 본체의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지그부; 및 상기 본체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 지그부에 의해 이동된 전극조립체의 타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제2 단위셀의 위치를 보정하는 보정 지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CORRECTION APPARATUS OF ZIGZAG LINE FOR ELECTRODE ASSEMBLY}
본 발명은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에서 다단으로 적층된 제1 단위셀과 제2 단위셀을 동일 방향을 향하게 정렬시킴과 동시에 고정하는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지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지자동차(HEV), 병렬형 하이브리드 전지자동차(PHEV) 등의 동력원으로서도 주목 받고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자동차 등과 같은 중대형 디바이스에는 고출력, 대용량의 필요성으로 인해, 다수의 단위셀을 연결한 중대형 전극 조립체가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전자기기에 사용 가능한 소형의 이차전지가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여기서,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음극, 분리막, 양극을 차례로 적층하여 권취한 젤리 롤형 전극조립체와, 음극, 분리막, 양극이 차례로 적층된 단위셀을 긴 필름형태의 분리막에 배치한 후 단일 방향으로 권취한 스택(stack) & 폴딩(folding)형 전극조립체와, 음극, 분리막, 양극이 차례로 적층된 단위셀을 긴 필름형태의 분리막에 배치한 후 지그재그 방향으로 권취한 스택 & 폴딩형 전극조립체가 있다.
상기한 전극 조립체 중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는 본 출원인의 한국 특허출원공개 제2001-0082058호, 제2001-0082059호 및 제2001-0082060호에 자세히 개시되어 있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화되는 제품에 내장할 수 있도록 다단(Stepped)으로 제작되고 있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진 제1 단위셀(10)과 제2 단위셀(20)을 긴 필름형태의 분리막(30)에 배치한 다음, 단일 방향으로 권취하여 제작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에서 도 2를 참조하면, 최 하단에 배치된 제2 단위셀(20)은 긴 필름형태의 분리막(30)의 끝단에 배치된 상태로 권취되며, 이에 제2 단위셀(20)의 일단은 고정되지만 타단은 고정되지 못함에 따라 유동현상에 의해 사행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1-0082058호 한국공개특허 제2001-0082059호 한국공개특허 제2001-0082060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단으로 적층된 제1 단위셀과 제2 단위셀을 정렬시켜서 사행을 보정하는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서로 다른 크기의 제1 단위셀과 제2 단위셀이 분리막을 통해 폴딩되어 제작되는 전극조립체에서 상기 제1 단위셀과 상기 제2 단위셀을 서로 정렬시키기 위해 상기 제2 단위셀의 위치를 보정하는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로서, 상기 전극조립체가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전극조립체의 일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전극조립체를 상기 본체의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지그부; 및 상기 본체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 지그부에 의해 이동된 전극조립체의 타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제2 단위셀의 위치를 보정하는 보정 지그부를 포함한다.
상기 보정 지그부는 상기 제2 단위셀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제1 보정지그와, 상기 제1 보정지그에 적층되고 상기 제1 보정지그가 상기 제2 단위셀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동안 상기 제1 단위셀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제2 보정지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정 지그부는 상기 제1 보정지그와 상기 제2 보정지그를 연속적으로 관통한 다음에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고정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정지그와 상기 제2 보정지그 중에 상측에 위치한 보정지그는 상면에 상기 전극조립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길게 장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장홀을 관통할 수 있다.
한편, 본원발명의 제2 실시예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n개의 단위셀이 분리막을 통해 폴딩되어 제작되는 전극조립체에서 상기 n개의 단위셀을 정렬시키는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로서, 상기 전극조립체가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전극조립체의 일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전극조립체를 상기 본체의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지그부; 및 상기 본체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 지그부에 의해 이동된 전극조립체의 타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단위셀의 위치를 보정하는 보정 지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정 지그부는 상기 이동 지그부에 의해 이동된 전극조립체의 n개의 단위셀의 타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n개의 보정지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정 지그부는 상기 n개의 보정지그를 연속적으로 관통한 다음에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고정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개의 보정지그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면에 상기 전극조립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길게 장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장홀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지그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지그부의 양 측부에는 상기 전극조립체의 양 측부를 각각 지지하는 걸림편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정 지그부를 가열하여 상기 보정 지그부와 맞닿아 있는 분리막을 상기 보정 지그부를 통해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보정 지그부에 구비되는 유도코일과, 상기 유도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발열시키는 제너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보정 지그부를 120℃~170℃로 가열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이동 지그부에 의해 이동하는 전극조립체의 상면을 지지하는 프레스 지그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스 지그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편과, 상기 승강편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유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보정지그의 상호 대응하는 대응면에는 상기 제2 보정지그를 상기 전극조립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전진 또는 반대방향으로 후진시키는 가이드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제1 보정지그의 상면에 상기 전극조립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제2 보정지그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개의 보정지그 중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보정지그의 상호 대응하는 대응면에는 어느 하나의 보정지그를 상기 전극조립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전진 또는 반대방향으로 후진시키는 가이드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2개의 보정지그 중 어느 하나의 상면에 상기 전극조립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다른 하나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행보정장치를 이용하여 다단으로 적층된 단위셀들을 서로 정렬되게 사행을 보정함과 동시에 고정하며, 이에 제품 불량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에서 보정 지그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는 다단으로 적층된 단위셀들을 각각 지지하여 정렬시키며, 이에 전극조립체의 사행을 보정하여 불량 발생을 방지하는 구성을 가진 기술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
한편, 전극조립체(100)는 도 3을 참조하면,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진 제1 단위셀(110)과 제2 단위셀(120), 및 제1 및 제2 단위셀(120)이 배치된 후 단일방향으로 권취되는 긴 필름 형태의 분리막(130)을 포함한다.
일례로, 제1 단위셀(110), 제1 단위셀(110), 제2 단위셀(120), 제1 단위셀(110) 및 제2 단위셀(120) 순서로 긴 필름 형태의 분리막(130)에 배치한 다음, 최초 제1 단위셀(110)이 배치된 분리막(130)의 일단부터 타단까지 권취한다.
그러면, 제1 단위셀(110)은 제1 단위셀(110) 끼리, 제2 단위셀(120)은 제2 단위셀(12) 끼리 상하로 분리 적층되면서 다단(stepped) 구조를 가지는 전극 조립체(100)가 제작된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최 하단에 배치된 제2 단위셀(120)은 긴 필름 형태의 분리막(130)의 타단에 배치된 상태로 권취되는데, 이때 분리막(130)의 타단은 고정되어 있지 않기에 외부 충격 및 마찰에 의해 제2 단위셀(120)이 좌 또는 유로 유동되면서 사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단으로 분리 적층된 제1 단위셀(110)과 제2 단위셀(120)을 가압하여 사행을 보정하는 사행보정장치(20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2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조립체(100)에서 제1 단위셀(110)과 제2 단위셀(120)을 서로 정렬시키기 위해 제2 단위셀(120)의 위치를 보정하는 것으로, 전극조립체(100)가 배치되는 본체(210), 본체(210)의 일측에 구비되고 전극조립체(100)의 일측면을 가압하여 전극조립체(100)를 본체(210)의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지그부(220), 본체(210)의 타측에 구비되고 이동 지그부(220)에 의해 이동된 전극조립체(100)의 타측면을 지지하여 제2 단위셀(120)의 위치를 보정하는 보정 지그부(230)를 포함한다.
본체(210)는 전극조립체(100)가 배치되게 상면이 평평한 평판으로 마련되며, 상면 일측에는 이동 지그부(220)가 설치되고, 상면 타측에는 보정 지그부(230)가 설치된다.
여기서 전극조립체(100)는 본체(210)의 상면에 최 외각에 배치된 제1 단위셀(110)과 제2 단위셀(120) 사이의 분리막(130)이 보정 지그부(230)를 향하게 배치한다.
한편, 본체(210)의 상면 일측에는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211)이 형성되며, 가이드홈(211)에 이동지그부(22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본체(100)의 상면 타측에는 보정 지그부(230)의 설치 위치를 표시하는 단턱, 문자 및 선(미도시) 중 하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보정 지그부(230)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이동 지그부(220)는 가이드홈(1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편(221)과, 가이드편(221)의 상부에 구비되고 본체(210)의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전극조립체(100)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지지편(222)을 포함한다.
즉, 이동 지그부(220)는 지지편(222)을 본체(210)의 타측으로 밀면, 지지편(222)과 함께 전극조립체(100)가 본체(210)의 타측으로 이동하며, 이때 가이드편(221)이 가이드홈(1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전극조립체(100)를 직선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동 지그부(220)의 가이드편(221)은 가이드홈(11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전극조립체(100)의 길이 또는 높이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이동 지그부를 가이드홈(110)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지지편(222)의 양 측부에는 전극조립체(100) 방향으로 연장되어 전극조립체(100)의 측부를 지지하는 걸림편(223)이 구비될 수 있으며, 걸림편(223)을 통해 전극조립체(100)의 이탈을 방지한다.
보정 지그부(230)는 제2 단위셀(120)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제1 보정지그(231)와, 제1 보정지그(231)에 적층되고 제1 보정지그(231)가 제2 단위셀(120)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동안 제1 단위셀(110)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제2 보정지그(232)를 구비하며, 제1 보정지그(231)와 제2 보정지그(232)는 연속적으로 관통한 다음 본체(100)에 결합되는 고정볼트(233)에 의해 고정된다.
즉, 보정 지그부(230)는 크기가 서로 다른 제1 보정지그(231)와 제2 보정지그(232)를 적층한 다음, 고정볼트(233)를 통해 본체(100)에 고정한다.
한편, 도 3에서 보았을 때 최 상단에 배치된 보정지그인 제2 보정지그(232)의 상면에는 전극조립체(100)를 향하는 방향으로 길게 장홀(232a)이 형성되며, 장홀(232a)에 고정볼트(223)가 관통하게 된다.
즉, 고정볼트(223)를 완전히 조이지 않은 상태에서 제2 보정지그(232)를 장홀(232a) 범위에서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제1 및 제2 단위셀(110)(120)의 간격에 맞게 제2 보정지그(232)의 위치를 조절하여 제1 및 제2 보정지그(231)(232)의 간격을 조절한다.
이와 같은 보정 지그부(230)는 제1 보정지그(231)와 제2 보정지그(232)에 제2 및 제1 단위셀(120)(110)이 동시에 지지되며, 이때 사행이 있는 제2 단위셀(120)이 제1 보정지그(232)에 면밀착되면서 위치가 보정되어 제1 단위셀(110)과 제2 단위셀(120)을 정렬시킬 수 있다.
한편, 사행보정장치(200)는 보정 지그부(230)를 가열하여 보정 지그부(230)가 지지되는 제1 및 제2 단위셀(110)(120)에 폴딩된 분리막(130)을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가열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240)는 보정 지그부(230)에 구비되는 유도코일(241)과, 유도코일(241)에 전류를 인가하여 발열시키는 제너레이터(242)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열부(240)는 보정 지그부(230)를 120℃~170℃도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열부(240)는 보정 지그부(230)를 120℃이하로 가열할 경우 분리막(130)이 견고하게 응고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보정 지그부(230)를 170℃이상으로 가열할 경우 분리막(130)이 훼손되는 문제가 있다.
즉, 제1 보정지그(231)에 의해 최 하단에 배치된 제2 단위셀(120)과 제1 단위셀(110) 사이의 분리막(130)까지 제2 단위셀(120)에 지지되게 가압되며(도 8 참조), 이때 가열부(240)에 의해 가열된 제1 보정지그(231)가 분리막(130)을 간접적으로 가열함에 따라 분리막(130)에 코팅된 접착력을 가진 코팅물질이 용융되면서 제2 단위셀(120)에 권취된 분리막(130)과 접착되며, 이에 최외각에 배치된 제2 단위셀(120)을 유동되지 않게 고정하고, 사행 발생을 방지한다.
한편, 사행보정장치(200)는 본체(100)의 상부에는 이동 지그부(220)에 의해 이동하는 전극조립체(100)의 상면을 지지하는 프레스 지그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스 지그(250)는 본체(100)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편(251)과, 승강편(251)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유압장치(252)를 포함한다.
즉, 프레스 지그(250)는 전극조립체(100)가 보정 지그부(230)에 지지됨과 동시에 상부로 들리지 않게 지지하며, 이에 전극조립체(100)가 보정 지그부(230)에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유도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를 통한 사행보정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부(240)를 통해 보정 지그부(230)를 설정된 온도로 가열한 다음, 사행을 보정할 전극조립체(100)의 높이까지 프레스 지그(250)의 유압장치(252)를 이용하여 승강편(251)을 하강시킨다.
그런 다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지그부(220)와 보정 지그부(230) 사이의 본체(100) 상면에 전극조립체(100)를 배치한다. 그런 다음 이동 지그부(220)를 보정 지그부(230)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동지그부(220)가 전극조립체(100)의 일측면을 가압하면서 전극조립체(100)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 지지부(220)에 의해 전극조립체(100)가 이동하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정 지그부(230)에 지지되는데, 이때 제1 및 제2 단위셀(110)(120)이 제2 및 제1 보정지그(232)(231)에 동시에 지지되면서 제2 단위셀(120)의 각도를 보정하며, 이에 제1 및 제2 단위셀(110)(120)을 서로 정렬시켜서 사행을 보정한다.
이와 동시에 제1 및 제2 단위셀(110)(120)을 폴딩한 분리막(130)를 보정 지그부(230)가 간접적으로 가열하며, 이에 분리막(130)에 코팅된 접착력을 가진 코팅물질이 용융되면서 제1 단위셀(110)에 폴딩된 분리막(130)에 접착되고, 제2 단위셀(120)을 고정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성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보정지그(231')(232')의 상호 대응하는 대응면에는 제2 보정지그(232')를 전극조립체(100) 방향으로 전진 또는 반대방향으로 후진시키는 가이드수단(26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가이드수단(260)은 제1 보정지그(231')의 상면에 전극조립체(100)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홈(261)과, 제2 보정지그(232')의 저면에 형성되고 가이드홈(26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이드돌기(262)를 포함한다.
이에, 가이드수단(260)은 제2 보정지그(232')를 직선으로 수평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제2 보정지그(232')에 각도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단위셀로 이루어지는 2단 구조의 전극조립체에 있어 단위셀의 위치를 보정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와 동일하게 3단 이상의 전극조립체에 있어 단위셀의 위치를 보정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성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
한편, 전극조립체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n개의 단위셀이 분리막 시트를 통해 폴딩되어 제작된다.
예를 들면, 전극조립체(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제1, 제2 및 제3 단위셀(110)(120)(140)을 분리막(130)을 통해 폴딩되어 형성된다(참고로, 각각의 단위셀은 서로 같은 크기를 가지는 복수 개의 셀들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n개의 단위셀이 분리막 시트를 통해 폴딩된 전극조립체(100)는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200)에 의해 사행을 보정하여 불량 발생을 방지한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200)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n개의 단위셀이 적층된 전극조립체(100)에서 n개의 단위셀을 정렬시키기 위한 것으로, 전극조립체(100)가 배치되는 본체(210), 본체(210)의 일측에 구비되고 전극조립체(100)의 일측면을 가압하여 전극조립체(100)를 본체(210)의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지그부(220), 및 본체(210)의 타측에 구비되고, 이동 지그부(220)에 의해 이동된 전극조립체(100)의 타측면을 지지하여 단위셀의 위치를 보정하는 보정 지그부(230)를 포함한다.
한편, 본체(210) 및 이동 지그부(22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본체(210) 및 이동 지그부(220)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기에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보정 지그부(230)는 이동 지그부(220)에 의해 이동된 전극조립체(100)의 n개의 단위셀의 타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n개의 보정지그를 포함한다.
또한, 보정 지그부(230)는 상기 n개의 보정지그를 연속적으로 관통한 다음에 본체(210)에 결합되는 고정볼트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3단 구조를 가지는 보정지그부(230)를 하나의 실시예로 설명한다.
3단 구조를 가지는 보정지그부(2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단위셀(140)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제3 보정지그(234), 제3 보정지그(234)에 적층되고 제2 단위셀(120)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제1 보정지그(231)와, 제1 보정지그(231)에 적층되고 제1 단위셀(110)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제2 보정지그(232)를 구비하며, 제3 보정지그(234), 제1 보정지그(231) 및 제2 보정지그(232)는 연속적으로 관통한 다음 본체(210)에 결합되는 고정볼트(233)에 의해 고정된다.
즉, 3단 구조를 가지는 보정지그부(230)는 제3 보정지그(234), 제1 보정지그(231) 및 제2 보정지그(232)가 제3 단위셀(140), 제2 단위셀(120) 및 제1 단위셀(110)의 타측면에 동시에 지지되면서 사행을 보정한다.
한편, n개의 보정지그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면에 전극조립체(100)를 향하는 방향으로 길게 장홀(232a)이 형성되며, 고정볼트(233)는 장홀(232a)을 관통한다.
즉, 장홀(232a)이 형성된 보정지그는 전극조립체(1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n개의 단위셀의 폭에 맞게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200)는 n개의 단위셀이 적층된 전극조립체(100)의 사행을 간편하게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전극조립체
200: 사행보정장치 210: 본체
220: 이동 지그부 230: 보정 지그부
240: 가열부 250: 프레스 지그부
260: 가이드수단

Claims (19)

  1. 서로 다른 크기의 제1 단위셀과 제2 단위셀이 분리막을 통해 폴딩되어 제작되는 전극조립체에서 상기 제1 단위셀과 상기 제2 단위셀을 서로 정렬시키기 위해 상기 제2 단위셀의 위치를 보정하는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로서,
    상기 전극조립체가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전극조립체의 일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전극조립체를 상기 본체의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지그부; 및
    상기 본체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 지그부에 의해 이동된 전극조립체의 타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제2 단위셀의 위치를 보정하는 보정 지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정 지그부는 상기 제2 단위셀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제1 보정지그와, 상기 제1 보정지그에 적층되고 상기 제1 보정지그가 상기 제2 단위셀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동안 상기 제1 단위셀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제2 보정지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정 지그부는 상기 제1 보정지그와 상기 제2 보정지그를 연속적으로 관통한 다음에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고정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정지그와 상기 제2 보정지그 중에 상측에 위치한 보정지그는 상면에 상기 전극조립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길게 장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장홀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
  5.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n개의 단위셀이 분리막을 통해 폴딩되어 제작되는 전극조립체에서 상기 n개의 단위셀을 정렬시키는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로서,
    상기 전극조립체가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전극조립체의 일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전극조립체를 상기 본체의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지그부; 및
    상기 본체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 지그부에 의해 이동된 전극조립체의 타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단위셀의 위치를 보정하는 보정 지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정 지그부는 상기 이동 지그부에 의해 이동된 전극조립체의 n개의 단위셀의 타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n개의 보정지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보정 지그부는 상기 n개의 보정지그를 연속적으로 관통한 다음에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고정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보정지그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면에 상기 전극조립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길게 장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장홀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
  9. 청구항 1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이동 지그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
  10. 청구항 1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이동 지그부의 양 측부에는 상기 전극조립체의 양 측부를 각각 지지하는 걸림편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
  11. 청구항 1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보정 지그부를 가열하여 상기 보정 지그부와 맞닿아 있는 분리막을 상기 보정 지그부를 통해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보정 지그부에 구비되는 유도코일과, 상기 유도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발열시키는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보정 지그부를 120℃~170℃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
  14. 청구항 1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이동 지그부에 의해 이동하는 전극조립체의 상면을 지지하는 프레스 지그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지그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편과, 상기 승강편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유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
  1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보정지그의 상호 대응하는 대응면에는 상기 제2 보정지그를 상기 전극조립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전진 또는 반대방향으로 후진시키는 가이드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제1 보정지그의 상면에 상기 전극조립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제2 보정지그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
  1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보정지그 중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보정지그의 상호 대응하는 대응면에는 어느 하나의 보정지그를 상기 전극조립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전진 또는 반대방향으로 후진시키는 가이드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2개의 보정지그 중 어느 하나의 상면에 상기 전극조립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다른 하나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
KR1020130092394A 2013-08-05 2013-08-05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 KR101587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394A KR101587322B1 (ko) 2013-08-05 2013-08-05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
PCT/KR2014/002684 WO2015020295A1 (ko) 2013-08-05 2014-03-28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
JP2015531028A JP2015531156A (ja) 2013-08-05 2014-03-28 電極組立体用蛇行補正装置
CN201480000972.9A CN104737351B (zh) 2013-08-05 2014-03-28 电极组装体用歪斜校正装置
EP14761941.5A EP2858163B1 (en) 2013-08-05 2014-03-28 Meandering correction device for electrode assembly
TW103126009A TWI518971B (zh) 2013-08-05 2014-07-30 用於電極組件之曲折校正裝置
US14/475,246 US9300003B2 (en) 2013-08-05 2014-09-02 Meandering correction apparatus for electrode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394A KR101587322B1 (ko) 2013-08-05 2013-08-05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671A KR20150016671A (ko) 2015-02-13
KR101587322B1 true KR101587322B1 (ko) 2016-01-20

Family

ID=52461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394A KR101587322B1 (ko) 2013-08-05 2013-08-05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858163B1 (ko)
JP (1) JP2015531156A (ko)
KR (1) KR101587322B1 (ko)
CN (1) CN104737351B (ko)
TW (1) TWI518971B (ko)
WO (1) WO20150202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9857A (ko) * 2021-07-09 2023-01-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조립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211B1 (ko) * 2013-12-09 2018-08-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텝드 배터리 사행 방지 장치 및 방법
EP2913865B1 (en) * 2014-01-06 2017-08-30 Lg Chem, Ltd. Stepped battery,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me
KR101538272B1 (ko) 2014-01-06 2015-07-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텝드 배터리와 이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KR102133915B1 (ko) * 2016-03-29 2020-07-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의 불량검출시스템 및 불량검출방법
KR102354184B1 (ko) 2018-03-06 2022-01-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단위셀 정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조립체 제조 방법
KR102479303B1 (ko) 2018-04-10 2022-12-2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지그 프레스 장치
KR102540600B1 (ko) * 2021-07-09 2023-06-0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4172A (ja) * 2011-03-25 2012-10-22 Toyota Motor Corp 組電池の製造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678A (en) * 1891-02-03 End-gate
US4619446A (en) * 1985-01-03 1986-10-28 Yang Tai Her Adjustable support arm-type three-dimensional work bench
US5289861A (en) * 1992-03-23 1994-03-01 Hedrick David G Multi-purpose quick-change work surface platform for use with power tools
JP2000182609A (ja) * 1998-12-17 2000-06-30 Toshiba Battery Co Ltd シート状電極の加工装置
KR100515572B1 (ko) 2000-02-08 2005-09-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첩 전기화학 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515571B1 (ko) 2000-02-08 2005-09-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첩 전기 화학 셀
KR100497147B1 (ko) 2000-02-08 2005-06-29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중 중첩 전기화학 셀 및 그의 제조방법
JP3883929B2 (ja) * 2001-09-25 2007-02-21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薄膜形成装置および薄膜形成方法
KR100440934B1 (ko) * 2002-02-06 2004-07-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JP4293247B2 (ja) * 2007-02-19 2009-07-08 ソニー株式会社 積層型非水電解質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95297B2 (ja) * 2010-03-26 2012-08-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電池、及びこの電池の製造に用いられる超音波溶接システム
CN102884665B (zh) * 2010-04-06 2015-09-30 株式会社Lg化学 改进的堆叠型电池胞或者双电池胞、用于使用该电池胞的二次电池的电极组件及其制造方法
WO2012008743A2 (ko) * 2010-07-14 2012-01-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의 폴딩 장치
KR101113424B1 (ko) * 2010-08-19 2012-03-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권취기용 사행보정장치
KR20130113301A (ko) * 2012-04-05 2013-10-15 주식회사 엘지화학 계단 구조의 전지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4172A (ja) * 2011-03-25 2012-10-22 Toyota Motor Corp 組電池の製造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9857A (ko) * 2021-07-09 2023-01-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조립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579153B1 (ko) 2021-07-09 2023-09-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조립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58163B1 (en) 2019-11-13
WO2015020295A1 (ko) 2015-02-12
CN104737351A (zh) 2015-06-24
TWI518971B (zh) 2016-01-21
JP2015531156A (ja) 2015-10-29
TW201526364A (zh) 2015-07-01
KR20150016671A (ko) 2015-02-13
EP2858163A4 (en) 2015-08-12
CN104737351B (zh) 2017-05-24
EP2858163A1 (en) 201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7322B1 (ko)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
US9893376B2 (en) Methods of preparing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KR102015898B1 (ko) 2차전지셀 리드탭 절곡 장치
US11482763B2 (en) Device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secondary battery
JP6056964B2 (ja) 燃料電池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1571210B1 (ko) 이차전지용 지그장치
US10622645B2 (en) Assembly system that assembles insulating plate and mounting bar, and assembly method
KR101609424B1 (ko)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US10897058B2 (en) Secondary battery,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336490B2 (en) Taping machine for attaching insulation tape to outer peripheral sealing part of battery cell
JP2018511912A (ja) パウチ型二次電池の封止装置
KR20200069171A (ko) 이차전지의 셀 스태킹 장치 및 이차전지의 제조시스템
US20210098751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Folding Pouch Case of Battery Cell
US9300003B2 (en) Meandering correction apparatus for electrode assembly
JP5494726B2 (ja) 双極型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114303284A (zh) 电解质注入装置和使用该电解质注入装置的电解质注入方法
EP4293772A1 (en) Zigzag stacking device
KR102265219B1 (ko) 분리막 잉여부를 접합시키는 전지셀 제조방법
KR20210120295A (ko) 파우치형 배터리의 충방전 장치
KR20190089377A (ko) 스테이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셀 연결을 위한 용접 장치
US20220293903A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attery cell
JP2010040338A (ja) 燃料電池スタック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ならびに燃料電池スタック
KR20240076164A (ko) 라미네이션장치 및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KR20230134927A (ko) 이차전지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KR20240007503A (ko) 스택셀 테이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