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7114B1 - 물홈통 - Google Patents

물홈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7114B1
KR101587114B1 KR1020140043444A KR20140043444A KR101587114B1 KR 101587114 B1 KR101587114 B1 KR 101587114B1 KR 1020140043444 A KR1020140043444 A KR 1020140043444A KR 20140043444 A KR20140043444 A KR 20140043444A KR 101587114 B1 KR101587114 B1 KR 101587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member
cover plate
plate
condensation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8231A (ko
Inventor
김진수
강병욱
Original Assignee
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에코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에코팜 filed Critical 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43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114B1/ko
Publication of KR20150118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76Greenhouse g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홈통에 관한 것으로서, 몸통부재의 외주면에 발생되어 상기 몸통부재의 외주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결로가 상기 몸통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는 연장부의 결로수용홈내로 유입되어 상기 몸통부재의 외부방향으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몸통부재의 외주면에 발생된 결로가 유리온실 등의 내부에서 생육되는 작물로 낙하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몸통부재의 하부방향에 별도의 결로받이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물홈통{GUTTER}
본 발명은 몸통부재의 외주면에 발생되어 상기 몸통부재의 외주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결로가 상기 몸통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는 연장부의 결로수용홈내로 유입되어 상기 몸통부재의 외부방향으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몸통부재의 외주면에 발생된 결로가 유리온실 등의 내부에서 생육되는 작물로 낙하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몸통부재의 하부방향에 별도의 결로받이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는 물홈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온실은 각종 식물이나 작물에 인위적인 성장조건을 제공하여 원하는 시기에 최상의 작물을 재배하여 출하시키기 위해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빛의 투과가 용이한 유리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작한 구조물로써,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유리온실은 벽면을 이루는 측벽수단과 지붕을 이루는 지붕수단 그리고 상기 지붕수단에서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회전 작동함에 의해 개폐하게 되는 천창수단으로 구성하게 되는바, 상기 지붕수단은 그 상부 중앙에 설치되는 용마루부재의 측방하부로 일정한 경사를 이루도록 서까래부재에 의해 판유리를 설치하고, 상기 천창수단은 용마루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천창 회전재와 하부의 천창마감재 사이로 서까래부재에 의해 판유리를 설치하며, 또한 상기 측벽수단은 수직재에 의해 판유리를 결합한 상태로 설치하게 되고, 지붕수단의 하측이나 지붕수단과 지붕수단이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는 빗물을 받아 유리온실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물홈통이 설치되게 된다.
기존의 물홈통은 경사지게 설치된 지붕수단의 유리를 타고 흐르는 빗물을 받아 외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U자형태를 갖게 되나, 기존의 금속으로 제작되는 물홈통은 단순히 물만 받아주는 형태를 갖추게 됨으로써 외부 온도와 내부온도와의 온도차이가 크게 되어 물홈통의 외측으로 결로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결로는 작물에떨어져 작물 생육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기존의 물홈통은 폭이 넓게 형성되어 양쪽으로 지붕수단의 유리를 받쳐주게 되므로, 햇빛을 가리는 면적이 넓어 온실내부로 많은 면적에 그늘을 드리우게 되는 것이었다.
이 같이 철판을 절곡하여 벌어진 U자 형태로 제작되는 기존 물홈통은 폭이 넓어 그늘을 많이 드리우게 되는 문제가 있음은 물론 결로 현상이 많이 발생하여 결로가 작물에 떨어지게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함으로써 지붕수단이 서로 맞닿게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연동 유리온실에서는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없게 된다.
이에 최근에는 지붕 유리를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키는 한편 면적을 적게 차지하여 작물에 그늘이 지지 않도록 하고, 또한 내,외부 온도차로 인하여 발생되는 결로가 작물에 떨어지지 않고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결로가 적게 발생하도록 하는 유리온실의 물홈통이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0949553호로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0949553호의 경우 덮개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결로가 덮개부에 형성되는 결로홈을 통과하여 몸통부재의 내측공간으로 유입되어 상기 몸통부재의 외부방향으로 원활히 배출될 수는 있겠으나, 상기 몸통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결로가 상기 결로홈방향으로 원활히 유입될 수 없어 상기 몸통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로가 상기 몸통부재의 외부방향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작물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094955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몸통부재의 외주면에 발생되어 상기 몸통부재의 외주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결로가 상기 몸통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는 연장부의 결로수용홈내로 유입되어 상기 몸통부재의 외부방향으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몸통부재의 외주면에 발생된 결로가 유리온실 등의 내부에서 생육되는 작물로 낙하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몸통부재의 하부방향에 별도의 결로받이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는 물홈통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측에 내측공간이 형성되는 몸통부재와; 상기 몸통부재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부에 빗물이 모아지는 빗물 배출부가 형성되며,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서까래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덮개부와; 상기 몸통부재의 하부에 상기 몸통부재의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판과, 상기 연장판의 하부에서 상기 몸통부재의 일측과 상기 몸통부재의 타측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는 연장날개로 구성되고, 상기 연장날개와 상기 몸통부재의 하부 사이에 각각 결로수용홈이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홈통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몸통부재의 상부방향에 형성되는 상부덮개판과; 상기 상부덮개판의 일측 상부와 상기 상부덮개판의 타측 상부에 각각 하부가 연결되고, 상부가 상기 몸통부재의 일측 상부방향 및 상기 몸통부재의 타측 상부방향으로 각각 절곡형성되는 일측상부절곡판 및 타측상부절곡판과; 상기 상부덮개판의 일측 하부와 상기 몸통부재의 상부 일측 내주면 사이 및 상기 상부덮개판의 타측 하부와 상기 몸통부재의 상부 타측 내주면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일측덮개판 및 타측덮개판과; 상기 상부덮개판의 일측과 상기 몸통부재의 일측 사이 및 상기 상부덮개판의 타측과 상기 몸통부재의 타측 사이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덮개판의 외주면에서 상기 일측덮개판의 외부방향으로 연장형성 및 상기 타측덮개판의 외주면에서 상기 타측덮개판의 외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일측격벽 및 타측격벽;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일측상부절곡판의 하부와 상기 타측상부절곡판의 하부 사이에 상기 빗물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상부절곡판의 상부와 상기 일측격벽 사이 및 상기 타측상부절곡판의 상부와 상기 타측격벽 사이에 각각 상기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몸통부재, 상기 덮개부 및 상기 연장부는 일체로 알루미늄 압출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몸통부재의 전측과 상기 몸통부재의 후측을 각각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는 내측에 상기 몸통부재를 수용하는 상측이 개방된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연장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의 하부 일측과 상기 지지몸체의 하부타측에서 각각 상기 지지몸체의 외부방향으로 수평연장형성되는 일측지지날개 및 타측지지날개와;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 하부와 상기 수용홈의 일측 상부 사이 및 상기 수용공간의 타측 하부와 상기 수용홈의 타측 상부사이에서 각각 상기 결로수용홈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로수용홈에 삽입되는 일측삽입돌기 및 타측삽입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결로수용홈의 상하간격은 상기 결로수용홈의 외측에서 상기 결로수용홈의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몸통부재의 외주면에 발생되어 상기 몸통부재의 외주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결로가 상기 몸통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는 연장부의 결로수용홈내로 유입되어 상기 몸통부재의 외부방향으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몸통부재의 외주면에 발생된 결로가 유리온실 등의 내부에서 생육되는 작물로 낙하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몸통부재의 하부방향에 별도의 결로받이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물홈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몸통부재가 지지부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사시도이고,
도 3은 몸통부재가 지지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결로수용홈의 외측에서 결로수용홈의 내측으로 갈수록 결로수용홈의 상하간격이 점차 커지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7은 유리온실의 지주에 지지부가 안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사시도이고,
도 8은 유리온실의 지주에 지지부가 안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물홈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몸통부재(10)가 지지부(40)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물홈통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몸통부재(10), 덮개부(20) 및 연장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은 몸통부재(10)가 지지부(40)에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정면도이다.
먼저,상기 몸통부재(10)는 상기 몸통부재(10)의 전측에서 상기 몸통부재(1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통부재(10)의 내측에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U'자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측이 개방된 내측공간(110)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몸통부재(10)의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몸통부재(10)를 따라 일정길이로 전후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20)의 상부에는 빗물이 모아지는 빗물 배출부(201)가 형성된다.
상기 덮개부(20)의 일측과 상기 덮개부(20)의 타측에는 유리온실(도 8의 3) 등의 구조물 상부에 형성되는 서까래(도 7의 5)가 삽입되는 삽입홈(202)이 각각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덮개부(20)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부덮개판(210), 일측상부절곡판(220), 타측상부절곡판(230), 일측덮개판(240), 타측덮개판(250), 일측격벽(260) 및 타측격벽(2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덮개판(210)은 상기 몸통부재(10)의 상부방향에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상부절곡판(220)의 하부는 상기 상부덮개판(210)의 일측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일측상부절곡판(220)의 상부는 상기 몸통부재(10)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수평절곡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상부절곡판(230)의 하부는 상기 상부덮개판(210)의 타측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타측상부절곡판(230)의 상부는 상기 몸통부재(10)의 타측 상부방향으로 수평절곡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덮개판(240)은 상기 상부덮개판(210)의 일측 하부와 상기 몸통부재(10)의 상부 일측 내주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덮개판(250)은 상기 상부덮개판(210)의 타측 하부와 상기 몸통부재(10)의 상부 타측 내주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격벽(260)은 상기 상부덮개판(210)의 일측과 상기 몸통부재(10)의 일측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덮개판(240)의 외주면에서 상기 일측덮개판(240)의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격벽(270)은 상기 상부덮개판(210)의 타측과 상기 몸통부재(10)의 타측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타측덮개판(250)의 외주면에서 상기 타측덮개판(250)의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상부절곡판(220)의 하부와 상기 타측상부절곡판(230)의 하부 사이에 상기 빗물배출부(201)가 상기 몸통부재(10)의 상부에서 상기 몸통부재(1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202)은 일측삽입홈(202a)과 타측삽입홈(202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삽입홈(202a)은 상기 일측상부절곡판(220)의 상부와 상기 일측격벽(26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삽입홈(202a)내에는 어느 하나의 상기 서까래(5)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타측삽입홈(202b)은 상기 타측상부절곡판(230)의 상부와 상기 타측격벽(27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삽입홈(202b)내에는 다른 하나의 상기 서까래(5)의 일측이 삽입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격벽(260)과 상기 몸통부재(10)의 일측 상부사이 및 상기 타측격벽(270)과 상기 몸통부재(10)의 타측 상부사이에는 상기 덮개부(20)의 표면에서 발생된 결로가 유입되는 일측결로유입홈(280)과 타측결로유입홈(29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결로유입홈(28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일측덮개판(240)의 하부 및 상기 타측결로유입홈(29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타측덮개판(250)의 하부에는 상기 몸통부재(10)의 내측공간(110)과 연통되는 결로안내공(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로안내공(50)은 일측결로안내공(501)과 타측결로안내공(50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결로안내공(501)은 상기 일측결로유입홈(28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일측덮개판(24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결로안내공(502)은 상기 타측결로유입홈(29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타측덮개판(25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20)의 표면에서 발생되어 상기 일측결로유입홈(280)과 상기 타측결로유입홈(290)내로 각각 유입된 결로는 상기 결로안내공(50)을 통해 상기 몸통부재(10)의 내측공간(110)으로 유입될 수 있다.(도 5의 점선 화살표 참조.)
상기 몸통부재(10)의 내측공간(110)으로 유입된 결로는 상기 몸통부재(10)를 따라 상기 몸통부재(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유리온실(3) 등의 구조물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연장부(30)는 상기 몸통부재(10)를 따라 일정길이로 전후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30)는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연장판(310)과 연장날개(320)로 구성된다.
상기 연장판(310)은 상기 몸통부재(10)의 하부 중심부에서 상기 몸통부재(10)의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날개(320)는 일측연장날개(321)와 타측연장날개(3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연장날개(321)는 상기 연장판(310)의 하부 일측에서 상기 몸통부재(10)의 하부 일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연장날개(321)는 상기 몸통부재(10)의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호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연장날개(322)는 상기 연장판(310)의 하부 타측에서 상기 몸통부재(10)의 하부 타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연장날개(322) 또한 상기 일측연장날개(321)처럼 호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날개(320)와 상기 몸통부재(10)의 하부 사이에는 결로수용홈(330)이 형성된다.
상기 결로수용홈(330)은 일측결로수용홈(331)과 타측결로수용홈(3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결로수용홈(331)은 상기 일측연장날개(321)의 상부와 상기 몸통부재(10)의 하부 일측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결로수용홈(332)는 상기 타측연장날개(322)의 상부와 상기 몸통부재(10)의 하부 타측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통부재(10)의 외주면에서 발생되어 상기 몸통부재(10)의 외주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결로는 각각 상기 결로수용홈(330)내로 유입(도 5의 점선화살표 참조.)된 후 상기 몸통부재(10)를 따라 상기 몸통부재(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유리온실(3) 등의 구조물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몸통부재(10), 상기 덮개부(20) 및 상기 연장부(30)의 성형의 용이성을 위해 상기 몸통부재(10), 상기 덮개부(20) 및 상기 연장부(30)는 일체로 알루미늄 압출성형될 수 있다.
도 6은 결로수용홈(330)의 외측에서 결로수용홈(330)의 내측으로 갈수록 결로수용홈(330)의 상하간격이 점차 커지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결로수용홈(330)내로 보다 많은 양의 결로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결로수용홈(330)의 상하간격(D)은 상기 결로수용홈(330)의 외측에서 상기 결로수용홈(330)의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커질 수 있다.
도 7은 유리온실(3)의 지주(31)에 지지부(40)가 안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사시도이고, 도 8은 유리온실(3)의 지주(31)에 지지부(40)가 안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4 및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통부재(10)의 전측과 상기 몸통부재(10)의 후측을 각각 지지하는 지지부(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0)는 지지몸체(410), 일측지지날개(420), 타측지지날개(430), 일측삽입돌기(440) 및 타측삽입돌기(4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몸체(410)의 내측에는 상기 몸통부재(10)의 전측과 상기 몸통부재(10)의 후측을 각각 수용하는 상측이 개방된 수용공간(4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몸체(410)의 내측에는 상기 수용공간(411)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수용공간(411)의 하부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연장부(30)를 수용하는 수용홈(4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지지날개(420)는 상기 지지몸체(410)의 하부 일측에서 상기 지지몸체(410)의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지지날개(430)는 상기 지지몸체(410)의 하부 타측에서 상기 지지몸체(410)의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몸체(410)와 상기 일측지지날개(420) 및 상기 타측지지날개(430)는 유리온실(3) 등의 구조물의 지주(31)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지주(31)는 사각기둥, 사각관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주(31)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지지몸체(410), 상기 일측지지날개(420) 및 상기 타측지지날개(430)를 위치고정시키기 위해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일측지지날개(420) 및 상기 타측지지날개(430)는 상기 지주(31)의 상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일측삽입돌기(440)는 상기 수용공간(411)의 일측 하부와 상기 수용홈(412)의 일측 상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삽입돌기(440)는 상기 결로수용홈(330)의 일측결로수용홈(331)의 일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일측결로수용홈(331)의 일측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타측삽입돌기(450)는 상기 수용공간(411)의 타측 하부와 상기 수용홈(412)의 타측 사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삽입돌기(450)는 상기 결로수용홈(330)의 타측결로수용홈(332)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타측결로수용홈(332)의 타측내에 삽입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몸통부재(10)의 외주면에 발생되어 상기 몸통부재(10)의 외주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결로가 상기 몸통부재(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연장부(30)의 결로수용홈(330)내로 유입되어 상기 몸통부재(10)의 외부방향으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몸통부재(10)의 외주면에 발생된 결로가 유리온실 등의 내부에서 생육되는 작물로 낙하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몸통부재(10)의 하부방향에 별도의 결로받이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
10; 몸통부재, 20; 덮개부,
30; 연장부.

Claims (5)

  1. 내측에 내측공간(110)이 형성되는 몸통부재(10)와;
    상기 몸통부재(1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부에 빗물이 모아지는 빗물 배출부(201)가 형성되며,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서까래(5)가 삽입되는 삽입홈(202)이 형성되는 덮개부(20)와;
    상기 몸통부재(10)의 하부에 상기 몸통부재(10)의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판(310)과, 상기 연장판(310)의 하부에서 상기 몸통부재(10)의 일측과 상기 몸통부재(10)의 타측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는 연장날개(320)로 구성되고, 상기 연장날개(320)와 상기 몸통부재(10)의 하부 사이에 각각 결로수용홈(330)이 형성되는 연장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홈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몸통부재(10)의 상부방향에 형성되는 상부덮개판(210)과;
    상기 상부덮개판(210)의 일측 상부와 상기 상부덮개판(210)의 타측 상부에 각각 하부가 연결되고, 상부가 상기 몸통부재(10)의 일측 상부방향 및 상기 몸통부재(10)의 타측 상부방향으로 각각 절곡형성되는 일측상부절곡판(220) 및 타측상부절곡판(230)과;
    상기 상부덮개판(210)의 일측 하부와 상기 몸통부재(10)의 상부 일측 내주면 사이 및 상기 상부덮개판(210)의 타측 하부와 상기 몸통부재(10)의 상부 타측 내주면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일측덮개판(240) 및 타측덮개판(250)과;
    상기 상부덮개판(210)의 일측과 상기 몸통부재(10)의 일측 사이 및 상기 상부덮개판(210)의 타측과 상기 몸통부재(10)의 타측 사이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덮개판(240)의 외주면에서 상기 일측덮개판(240)의 외부방향으로 연장형성 및 상기 타측덮개판(250)의 외주면에서 상기 타측덮개판(250)의 외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일측격벽(260) 및 타측격벽(27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일측상부절곡판(220)의 하부와 상기 타측상부절곡판(230)의 하부 사이에 상기 빗물배출부(201)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상부절곡판(220)의 상부와 상기 일측격벽(260) 사이 및 상기 타측상부절곡판(230)의 상부와 상기 타측격벽(270) 사이에 각각 상기 삽입홈(20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홈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재(10), 상기 덮개부(20) 및 상기 연장부(30)는 일체로 알루미늄 압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홈통.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재(10)의 전측과 상기 몸통부재(10)의 후측을 각각 지지하는 지지부(4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40)는 내측에 상기 몸통부재(10)를 수용하는 상측이 개방된 수용공간(411)과, 상기 수용공간(411)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수용공간(411)의 하부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연장부(30)를 수용하는 수용홈(412)이 형성되는 지지몸체(410)와;
    상기 지지몸체(410)의 하부 일측과 상기 지지몸체(410)의 하부타측에서 각각 상기 지지몸체(410)의 외부방향으로 수평연장형성되는 일측지지날개(420) 및 타측지지날개(430)와;
    상기 수용공간(411)의 일측 하부와 상기 수용홈(412)의 일측 상부 사이 및 상기 수용공간(411)의 타측 하부와 상기 수용홈(412)의 타측 상부사이에서 각각 상기 결로수용홈(330)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로수용홈(330)에 삽입되는 일측삽입돌기(440) 및 타측삽입돌기(4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홈통.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수용홈(330)의 상하간격은 상기 결로수용홈(330)의 외측에서 상기 결로수용홈(330)의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홈통.
KR1020140043444A 2014-04-11 2014-04-11 물홈통 KR101587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444A KR101587114B1 (ko) 2014-04-11 2014-04-11 물홈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444A KR101587114B1 (ko) 2014-04-11 2014-04-11 물홈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231A KR20150118231A (ko) 2015-10-22
KR101587114B1 true KR101587114B1 (ko) 2016-01-21

Family

ID=54426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444A KR101587114B1 (ko) 2014-04-11 2014-04-11 물홈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71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927B1 (ko) 2018-07-09 2018-10-11 주앤보주식회사 막 재인장 장치가 적용된 조립형 거터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772B1 (ko) 2009-05-26 2009-12-03 엠에스건설주식회사 온실 하우스용 곡부홈통
KR100949553B1 (ko) 2008-02-26 2010-03-25 팜스코 주식회사 유리온실의 물홈통
KR101263858B1 (ko) 2013-01-22 2013-05-13 박영환 온실지붕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636Y1 (ko) * 1994-10-18 1997-05-15 원완희 연동식 하우스의 물받이 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553B1 (ko) 2008-02-26 2010-03-25 팜스코 주식회사 유리온실의 물홈통
KR100929772B1 (ko) 2009-05-26 2009-12-03 엠에스건설주식회사 온실 하우스용 곡부홈통
KR101263858B1 (ko) 2013-01-22 2013-05-13 박영환 온실지붕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927B1 (ko) 2018-07-09 2018-10-11 주앤보주식회사 막 재인장 장치가 적용된 조립형 거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231A (ko) 2015-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84392A1 (en) Covered rain gutter assembly
US5315090A (en) Awning gutter
US8015753B2 (en) Gutter cover with barrier over water channel
EP1460199B1 (en) Rounded gutter with gutter guard
KR100949553B1 (ko) 유리온실의 물홈통
KR101207429B1 (ko) 비닐하우스용 물홈통
KR100929772B1 (ko) 온실 하우스용 곡부홈통
US20160168857A1 (en) Gutter system
JP2012107451A (ja) 雨水の貯留構造及びこれを使用した雨水の循環システム
KR101587114B1 (ko) 물홈통
KR200480099Y1 (ko) 건물창틀용 빗물받이기구
EP2921800A1 (en) Clamping means for fastening frameless solar modules
JP5102651B2 (ja) ガラリ
KR101531014B1 (ko) 온실용 프로파일
KR200444575Y1 (ko) 갤러리 창호
JP2006316532A (ja) 雨樋集水ます
JP6376415B2 (ja) 植栽ルーバ構造
JP2006299589A (ja) 組立建物
KR102436015B1 (ko) 결로받이를 구비한 비닐하우스
JP6134948B2 (ja) 建物外部構築物
JP3478779B2 (ja) フ−ド付き防雪ル−バ−
JPS6029545Y2 (ja) 軒樋
KR200372569Y1 (ko) 경질필름온실의 결로수 배출구조
JP4575113B2 (ja) 排水管飾り部材
JP3584846B2 (ja) 外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