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728B1 -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6728B1
KR101586728B1 KR1020150141959A KR20150141959A KR101586728B1 KR 101586728 B1 KR101586728 B1 KR 101586728B1 KR 1020150141959 A KR1020150141959 A KR 1020150141959A KR 20150141959 A KR20150141959 A KR 20150141959A KR 101586728 B1 KR101586728 B1 KR 101586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cradle
control data
pan
imag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1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산
Original Assignee
(주)조은세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조은세이프 filed Critical (주)조은세이프
Priority to KR1020150141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728B1/ko
Priority to CN201580083685.3A priority patent/CN108141566A/zh
Priority to US15/765,271 priority patent/US20180295271A1/en
Priority to PCT/KR2015/011060 priority patent/WO201706533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13Recognition of a predetermined image pattern or behaviour pattern indicating theft or intru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65Details related to the storage of video surveillance data
    • G08B13/19669Event triggers storage or change of storage polic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04N23/662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by using master/slave camera arrangements for affecting the control of camera image capture, e.g. placing the camera in a desirable condition to capture a desired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5Motion detection by distinguishing pan or tilt from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채널로부터 스마트폰이 캡쳐링하는 영상 영역의 변경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스마트폰이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제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탑재한 크래들의 팬과 틸트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기 위한 팬/틸트 제어 데이터로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크래들을 스마트폰이 제어하는 단계 및 크래들의 제어 후에, 스마트폰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캡쳐링된 영상을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영상을 인터넷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ONITERING REMOTELY UTILIZING SMART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폰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활용하여 스마트폰으로부터의 영상을 원격 모니터링하고 나아가 스마트폰의 거치대를 제어하여 모니터링되는 영상의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가 알려져 있다. CCTV는 감시 카메라와 감시 서버를 포함하여 감시 카메라로부터 캡쳐링된 영상이 감시 서버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CCTV는 산업용, 가정용, 교통 감시용, 방재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 가능하다.
CCTV의 감시 카메라는 영상 모니터링을 위한 전용 카메라를 구비하고 전용 카메라는 팬, 틸트, 줌 기능을 탑재할 수 있다. 원격의 감시 서버는 PTZ(Pan, Tilt, Zoom) 카메라로 원격에서 접속하여 해당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어 다양한 화각에서의 원격 영상을 모니터링 가능하다.
CCTV의 적용 분야는 확대되어 CCTV 시스템은 가정에서도 널리 활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유아, 노인, 애완동물이 기거하는 주택 내에서 유아, 노인 또는 애완동물을 모니터링하는 용도로 CCTV 시스템이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CCTV의 적용 분야는 기존 산업용, 교통 감시용 등을 넘어서서 가정용으로의 신규 적용과 같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한편, 통신기술과 소프트웨어 기술의 발전으로 스마트폰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스마트폰은 응용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를 구비하여 통화 기능 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다양한 기능의 수행을 위해, 스마트폰은 다양한 부품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은 카메라 모듈, 자이로 센서, LCD 모듈, 진동 센서, 내장 메모리, SD 메모리 등을 구비한다.
또한, 스마트폰의 빠른 확산과 빠른 교체 주기로 인해, 유휴(Idle) 스마트폰이 늘어나고 특히 가정 등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스마트폰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스마트폰은 전면과 후면에 카메라 모듈 등을 구비하고 있고 앱과 같은 응용 소프트웨어를 내장 메모리 등에 저장하고 구동할 수 있어 CCTV 시스템의 구성요소로 활용될 수 있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요 설비 모니터링 시스템"(등록특허 10-1425598호, 2014년 8월 4일 공고)이라는 발명이 알려져 있다. 이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주요 설비를 모니터링 가능한 발명으로서 스마트폰을 거치대에 설치하고 스마트폰이 거치대를 제어하여 모니터링 영상의 화각을 확대할 수 있다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이 발명의 근거리 근무자용 단말기는 거치대의 스마트폰에 근거리 통신 연결되어 스마트폰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발명은 일면 거치대를 통해 스마트폰의 위치를 조절 가능한 점이 있지만, 영상 모니터링 중에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영역 조절이 용이치 않은 문제가 있다. 특히 영상을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다른 스마트폰과의 원격의 인터넷 통신을 통한 모니터링 영역의 제어와 이에 따른 영상의 출력은 용이치 않다.
나아가, 원격의 인터넷 통신을 통한 스마트폰의 영상 영역의 제어시에 CCTV 시스템의 구성요소인 스마트폰의 현재 모니터링 영상 영역을 용이하게 파악할 필요도 존재한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CCTV 시스템을 구성하면서도 스마트폰의 CCTV 적용에 따른 다양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CCTV 시스템을 구성하면서도 실시간으로 스마트폰의 거치대를 제어하여 스마트폰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 영역을 제어하고 이에 따라 확대 가능한,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CCTV 시스템의 스마트폰의 현재의 모니터링 영상 영역과 틸트 및 팬 제어로 인해 실시간으로 변동되는 모니터링 영상 영역을 스마트폰에 구비된 센서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해 수신한 제어 데이터를 통해 거치대의 팬/틸트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고 대응하는 스마트폰의 센서 값의 확인으로 정확하게 팬/틸트를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구비된 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상상황을 감지한 경우에 감지된 비상상황의 대응 영상을 스마트폰의 메모리에 동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은 (c)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채널로부터 스마트폰이 캡쳐링하는 영상 영역의 변경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스마트폰이 수신하는 단계, (d) 수신된 제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탑재한 크래들의 팬과 틸트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기 위한 팬/틸트 제어 데이터로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크래들을 스마트폰이 제어하는 단계 및 (e) 크래들의 제어 후에, 스마트폰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캡쳐링된 영상을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영상을 인터넷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모니터링 장치는 크래들 및 크래들에 탑재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고, 스마트폰은 인터넷을 통해 스마트폰이 캡쳐링하는 영상 영역의 변경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 채널의 통신 패킷을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수신된 제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크래들의 팬과 틸트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기 위한 팬/틸트 제어 데이터로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크래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영상을 캡쳐링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크래들 제어 후에 카메라 모듈을 통해 캡쳐링된 영상을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영상을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니터링 단말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크래들에 탑재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고, 스마트폰은 인터넷을 통해 스마트폰이 캡쳐링하는 영상 영역의 변경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 채널의 통신 패킷을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수신된 제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크래들의 팬과 틸트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기 위한 팬/틸트 제어 데이터로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크래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영상을 캡쳐링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크래들 제어 후에 카메라 모듈을 통해 캡쳐링된 영상을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영상을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니터링 단말로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CCTV 시스템을 구성하면서도 실시간으로 스마트폰의 거치대를 제어하여 스마트폰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 영역을 제어하고 이에 따라 확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은 CCTV 시스템의 스마트폰의 현재의 모니터링 영상 영역과 틸트 및 팬 제어로 인해 실시간으로 변동되는 모니터링 영상 영역을 스마트폰에 구비된 센서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은 인터넷을 통해 수신한 제어 데이터를 통해 거치대의 팬/틸트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고 대응하는 스마트폰의 센서 값의 확인으로 정확하게 팬/틸트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은 스마트폰의 구비된 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상상황을 감지한 경우에 감지된 비상상황의 대응 영상을 스마트폰의 메모리에 동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상에서 한 구성요소로서 포함되는 스마트폰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크래들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상에서 스마트폰이 초기에 설치될 때, 구동 제어 데이터와 대응하는 움직임 위치를 맵핑시키는 처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원격에서 스마트폰을 통해서 촬영된 영상 영역을 맵핑 관계를 활용하여 제어하기 위한 예시적인 처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스마트폰(100)을 활용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스마트폰(100), 이 스마트폰(100)을 탑재(또는 거치)하는 크래들(200)(Cradle), 인터넷을 통해서 스마트폰(100)을 제어 및/또는 관리하기 위한 관리 서버(400) 및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캡쳐링된 영상을 확인할 수 있고 캡쳐링된 영상 영역을 변경할 수 있는 모니터링 단말(500)을 포함한다. 여기서, 크래들(200)은 거치대로 지칭되거나 인식될 수도 있다. 또한, 크래들(200)과 대응하는 스마트폰(100)은 원격 모니터링 장치를 구성한다. 이 원격 모니터링 장치는 스마트폰(100)의 카메라 모듈(107)과 크래들(200)의 팬/틸트 모터(207, 209)를 활용하여 알려진 팬/틸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적용 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시스템은 복수의 스마트폰(100)과 복수의 대응하는 크래들(200)을 포함할 수 있다.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각 단말 등을 간단히 살펴보면, 스마트폰(100)은 적어도 통신 인터페이스(101), 프로세서(115) 및 카메라 모듈(107)을 구비하여 카메라 모듈(107)을 통해서 캡쳐링된 영상을 통신 인터페이스(101)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는 기기이다.
스마트폰(100)은 이동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와이파이, 블루투스나 USB 등의 근거리 네트워크(300)에 접속하여 근거리 네트워크(300)를 통해 각종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다. 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영상 캡쳐링을 위해서 이용되는 스마트폰(100)은 바람직하게는 근거리 네트워크(300)를 이용하여 각종 장치나 기기에 연결될 수 있다. 이 스마트폰은 근거리 네트워크(300)를 통해 크래들(200)에 연결되고 근거리 네트워크(300)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스마트폰(100)에 관해서는 도 2, 도 4 내지 도 5를 통해서 좀 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크래들(200)은 스마트폰(100)을 탑재(거치)하는 기기이다. 크래들(200)은 스마트폰(10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구비하여 스마트폰(100)을 탑재 및 고정시킨다. 고정 수단은 예를 들어 나사나 걸쇠 등을 포함하여 스마트폰(100)을 크래들(200)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 수단은 알려져 있는 임의의 형태를 띨 수 있다.
크래들(200)은 팬 모터(207)와 틸트 모터(209)를 바람직하게 구비하고 팬 모터(207)를 통해 탑재된 스마트폰(100)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틸트 모터(209)를 통해 스마트폰(100)을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크래들(200)은 스마트폰(100)과 근거리 네트워크(300)를 통해 데이터를 적어도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크래들(200)은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300)를 통해 스마트폰(100)으로부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데이터에 따라 구비된 모터를 제어한다.
여기서, 스마트폰(100)과 크래들(200)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네트워크(300)는 예를 들어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300)이거나 USB, RS232 등과 같은 유선의 근거리 네트워크(300) 일 수 있다.
크래들(200)은 교류전원으로부터 직류전원을 생성하고 USB 케이블 등을 통해서 스마트폰(100)에 이용가능한 직류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크래들(200)에 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통해서 좀 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모니터링 단말(500)은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내의 특정 스마트폰(100)에서 캡쳐링된 영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단말이다. 모니터링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개인용 컴퓨터, 모니터를 포함하는 터미널 또는 본 발명에 따라 원격의 스마트폰(100)에 접속하기 위한 전용의 단말 등일 수 있다.
모니터링 단말(500)은 스마트폰(100) 및/또는 관리 서버(400)에 접속하기 위해서 구비된 프로그램을 통해서 관리 서버(400)에 접속하고 관리 서버(400)에 특정 스마트폰(100)의 연결이나 제어를 요청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모니터링 단말(500)은 모니터링 시스템 내의 특정 스마트폰(100)에서 캡쳐링된 영상을 수신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나아가 모니터링 단말(500)은 해당 스마트폰(100)이 촬영하고 있는 영상 영역을 변경할 수도 있다.
모니터링 단말(500)에 대해서는 도 5를 통해서 좀 더 살펴보도록 한다.
관리 서버(400)는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관리한다. 관리 서버(400)는 시스템 내에 크래들(200)을 통해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폰(100)들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저장하거나 관리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400)는 모니터링 단말(500)을 인증하고 인증된 모니터링 단말(500)이 접속 또는 영상 수신 가능한 스마트폰(100)을 식별하고 해당 스마트폰(100)과의 연결을 중재할 수 있다.
관리 서버(400)는 크래들(200)에 탑재된 스마트폰(100)으로부터 비상상황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비상상황의 데이터는 예를 들어 캡쳐링되고 있는 영상에서 사람, 사람의 얼굴, 동물 등과 같은 이동물체가 인식되는 경우에 스마트폰(100)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다. 스마트폰(100)은 비상상황의 발생시부터 캡쳐링된 영상을 압축 포맷에 따라 인코딩하여 내장 메모리(103)나 SD 카드 메모리(105) 등에 저장할 수 있다.
관리 서버(400)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5를 통해서 좀 더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상에서 한 구성요소로서 포함되는 스마트폰(100)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스마트폰(100)은 통신 인터페이스(101), 내장 메모리(103), SD 카드 메모리(105), 카메라 모듈(107), 움직임 감지 센서(109), 디스플레이 모듈(111), 입력 인터페이스(113), 프로세서(115) 및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117)를 포함한다. 도 2의 블록도는 바람직하게는 하드웨어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의 블록들 중 일부의 블록은 구성 변형 예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또는 다른 블록이 이 블록도에 더 포함될 수도 있다.
각 하드웨어 블록들을 간단히 살펴보면, 통신 인터페이스(101)는 근거리 네트워크(300)를 통해 통신 패킷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통신 인터페이스(101)는 예를 들어 파이 칩셋 및/또는 안테나 등을 구비하여 특정 근거리 네트워크(300)를 통한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01)는 예를 들어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표준에 따른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거나 USB 등의 표준에 따른 유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01)는 프로세서(115)로 수신된 통신 패킷을 전달하고 프로세서(115)로부터 전달받은 통신 패킷을 신호로서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101)는 이 스마트폰(100)이 캡쳐링하는 영상 영역의 변경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나타내는 통신 패킷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영상 영역의 변경을 위한 제어 데이터는 인터넷상에서 관리 서버(400) 또는 모니터링 단말(500)과 설정된 통신 채널을 통해서 수신된다.
내장 메모리(103)는 각종 데이터 및/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로서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이다. 내장 메모리(103)는 캡쳐링되고 있는 영상을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쳐링되는 영상의 인코딩 데이터가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내장 메모리(103)는 프로세서(115)에서 수행가능한 응용 프로그램을 또한 저장한다. 이 응용 프로그램(이하 '모니터링 프로그램'이라고도 함)은 관리 서버(400) 및/또는 모니터링 단말(500)과 연동하여 크래들(200)을 제어하고 캡쳐링되는 영상을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영상을 관리 서버(400)나 모니터링 단말(500)로 인터넷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은 소위 앱(App)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은 프로세서(115)에 탑재될 수 있고 프로세서(115)가 응용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SD 카드 메모리(105)는 스마트폰(100)에 분리가능한 메모리이다. SD 카드 메모리(105)는 내장 메모리(103)의 저장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는 메모리이다. SD 카드 메모리(105)는 비상상황의 발생시 이후에 캡쳐링되는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7)은 렌즈와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여 렌즈를 통해서 노출된 일정 영상 영역의 이미지를 캡쳐링한다. 카메라 모듈(107)은 프로세서(115)에 의한 제어하에 영상 영역에서의 영상을 캡쳐링하고 캡쳐링된 이미지 데이터를 프로세서(115)로 전달한다. 카메라 모듈(107)은 설정된 해상도의 이미지 데이터(신호)를 일정한 주기에 따라 프로세서(115)로 전달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 센서(109)는 스마트폰(1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다. 움직임 감지 센서(109)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일 수 있다. 움직임 감지 센서(109)는 바람직하게는 3축 이상의 자이로 센서일 수 있다. 3축 이상의 자이로 센서는 피치(pitch), 롤(roll) 및 요(yaw) 값을 획득가능하다. 이 피치, 롤 및 요 값은 스마트폰(100)이 위치하는 X, Y, Z 축(공간상)에서의 스마트폰(100)의 방위 변화를 알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움직임 감지 센서(109)는 스마트폰(100)의 방위(지향, 방향) 변화를 알수 있도록 한다. 움직임 감지 센서(109)는 크래들(200)의 팬/틸트 모터(207, 209)와 연동한 전체 촬영 가능한 영상 영역 중에서 현재 촬영중인 또는 촬영해야 하는 영상 영역의 특정을 가능토록 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통해서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11)은 이미지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11)은 예를 들어 LCD, LED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11)은 카메라 모듈(107)을 통해 캡쳐링되고 있는 영상을 프로세서(115)에 의한 제어로 출력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13)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13)는 터치 패널, 버튼 등의 사용자 입력 수단을 구비하여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상에서의 비상상황 감지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 기준 움직임 위치의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프로세서(115)에 전달된다.
프로세서(115)는 스마트폰(100)의 블록들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15)는 프로그램의 명령어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실행 유닛을 구비하여 로딩되는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프로그램의 수행에 따라 각각의 블록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5)는 사용자 입력이나 관리 서버(400)를 통한 모니터링 요청에 따라 내장 메모리(103) 등에 저장되어 있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내부 캐쉬나 휘발성 메모리에 로딩하고 해당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각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5)는 소위 AP(Application Processor)로 지칭되거나 나타낸다.
프로세서(115)에 이루어지는 여러 제어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5를 통해서 좀 더 살펴보도록 한다.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117)는 블록들간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117)는 병렬 버스, 시리얼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Output) 등을 포함한다.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117)는 블록들 간에 전달되는 데이터나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115)에 의한 제어로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117)를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된다. 또한, 각 블록들의 타입에 따라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117)의 버스 유형이나 제어 유형을 서로 달라질 수 있다.
도 3은 크래들(200)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크래들(200)은 근거리 인터페이스(201), 마이컴(203), 모터 구동 회로(205), 팬 모터(207), 틸트 모터(209)를 포함하고 파워 서플라이(211)(Power Supply)를 더 포함한다. 도 3의 블록도는 바람직하게는 하드웨어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의 블록들 중 일부의 블록은 구성 변형 예에 따라 생략되거나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 모터(207)와 틸트 모터(209)는 설계 변형에 따라 하나의 모터로 통합될 수도 있다. 또는 다른 블록이 이 블록도에 더 포함될 수도 있다.
각 하드웨어 블록들을 간단히 살펴보면, 근거리 인터페이스(201)는 근거리 네트워크(300)에 연결되어 스마트폰(100)과 근거리 통신을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근거리 인터페이스(201)는 예를 들어 유선 인터페이스이거나 무선 인터페이스이다. 근거리 인터페이스(201)는 유선의 USB, RS232 등이거나 무선의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등일 수 있다.
근거리 인터페이스(201)는 예를 들어 무선 또는 유선의 데이터 링크 레이어 및/또는 물리 레이어의 통신 패킷을 구성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한다. 근거리 인터페이스(201)를 통해서 크래들(200)은 스마트폰(100)으로부터 팬/틸트 모터(207, 209)를 제어하기 위한 팬/틸트 구동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마이컴(203)으로 전달할 수 있다.
마이컴(203)은 크래들(200)의 각 블록을 제어한다. 마이컴(203)은 예를 들어 8bit, 16bit, 32 bit의 명령어 코드를 수행할 수 있고 마이컴(203) 내부 또는 외부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다른 블록들을 제어할 수 있다.
마이컴(203)은 근거리 인터페이스(201)를 통해서 팬/필트 구동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팬/틸트 구동 제어 데이터에 따라 팬 모터(207) 및/또는 틸트 모터(209)를 구동한다. 수신된 팬 및/또는 틸트 구동 제어 데이터는 특정 방향으로 특정 모터를 움직이도록(회전하도록) 요청하는 데이터로서 예를 들어 해당 모터의 구동 방향(좌우 및/또는 상하 방향), 구동 기간(시간)을 포함하거나 나타낸다. 마이컴(203)은 수신된 팬/틸트 구동 제어 데이터에 따라 모터 구동 회로(205)를 제어한다. 구동 기간은 생략될 수도 있고 팬 및/또는 틸트 구동 제어 데이터의 인가 시간(시작시각과 종료시각 사이의 시간)으로 이 구동 기간이 계산될 수도 있다.
모터 구동 회로(205)는 마이컴(203)에 연결되어 마이컴(203)으로부터의 팬 및/또는 틸트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팬 제어 신호에 따라 팬 모터(207) 구동을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팬 모터(207)로 출력하고 틸트 모터(209) 구동을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틸트 모터(209)로 출력한다.
출력되는 팬 구동 신호는 팬 모터(207)의 구동 방향 신호와 함께 팬 모터(207)를 구동시키도록 하는 전원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출력되는 틸트 구동 신호는 틸트 모터(209)의 구동 방향 신호와 함께 틸트 모터(209)를 구동시키도록 하는 전원 신호를 출력한다.
팬 모터(207)는 한축(수평축) 방향으로 크래들(200)을 이동(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이다. 팬 모터(207)는 모터 구동 회로(205)로부터 출력되는 팬 구동 신호에 따라 특정 축에서의 하나의 방향(예를 들어 좌측)으로 또는 반대 방향(예를 들어 우측)으로 이동하기 위한 동력을 출력한다. 이에 따라 크래들(200)은 지정된 방향에서의 좌우 회전이 가능하다.
틸트 모터(209)는 한축(수직축) 방향으로 크래들(200)을 이동(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이다. 틸트 모터(209)는 모터 구동 회로(205)로부터 출력되는 틸트 구동 신호에 따라 특정 축에서의 하나의 방향(예를 들어 하측)으로 또는 반대 방향(예를 들어 상측)으로 이동하기 위한 동력을 출력한다. 이에 따라 크래들(200)은 지정된 방향에서의 상하 회전이 가능하다.
팬 모터(207)/틸트 모터(209)에 의해서 크래들(200)은 모터 중심점(예를 들어, 크래들(200)의 두 개의 회전축의 중심점 등)을 기준으로 상하좌우로 회전 가능하다. 이에 따라, 크래들(200)에 탑재된 스마트폰(100)도 회전 가능하여 스마트폰(100)을 통해 캡쳐링되는 영상 영역은 변경(예를 들어 스마트폰(100)의 카메라 모듈(107)의 위치나 스마트폰(100)의 중앙 위치의 방향 변경에 따른 영상 영역)될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211)는 크래들(200)에 전원을 공급한다. 파워 서플라이(211)는 전원 케이블을 통해서 교류전원을 공급받고 교류전원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직류전원 및/또는 교류전원을 생성하여 블록들로 출력한다.
출력되는 하나의 전원은 모터 구동 회로(205)로 출력되어 팬 모터(207)나 틸트 모터(209)의 구동에 이용가능하고 다른 전원은 마이컴(203)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출력되는 특정 직류전원은 스마트폰(100)에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워 서플라이(211)를 통해서 생성되는 3.3V 또는 5V의 직류전원은 스마트폰(100)에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되는 5V 직류전원은 USB의 전원 라인을 통해서 스마트폰(100)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크래들(200)은 스마트폰(10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구비하여 스마트폰(100)을 탑재 및 고정시킨다. 고정 수단은 예를 들어 나사나 걸쇠나 브래킷 등을 포함하여 스마트폰(100)을 크래들(2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 수단은 알려진 임의의 형태를 띨 수 있다.
도 4는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상에서 스마트폰(100)이 초기에 설치될 때, 구동 제어 데이터와 대응하는 움직임 위치를 맵핑시키는 처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모니터링 시스템상에서 스마트폰(100)의 영상이 이용되기 위해서, 먼저 스마트폰(100)은 크래들(200)의 고정 수단에 의해서 크래들(200)에 탑재되고 특정 환경에서 설치된다. 예를 들어 크래들(200)은 모니터링할 대상 영역이 있는 공간의 벽면에 고정 설치되고 스마트폰(100)은 해당 공간의 특정 영역을 촬영할 수 있도록 고정된다. 고정 설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나 설치자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스마트폰(100)은 구비된 모니터링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본 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스마트폰(100)(의 프로세서(115)는)은 팬 모터(207) 및/또는 틸트 모터(209)를 구동하는 팬/틸트 구동 제어 데이터와 스마트폰(100)의 움직임 감지 센서(109)를 이용하여 변동가능한 움직임 위치를 맵핑하는 과정(① 내지 ⑤ 참조)을 수행한다. 이러한 맵핑 과정을 통해서 스마트폰(100)의 프로세서(115)는 크래들(200)을 활용하여 회전 가능한 전체 영상 영역을 확인할 수 있고 특정 움직임 위치 값이 특정 영상 영역에 맵핑될 수 있다.
이 맵핑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고정 설치에 따라 스마트폰(100)이 캡쳐링(촬영)할 최초 영상 영역이 설정된다. 이 영상 영역은 기준 영상 영역으로 인식될 수 있고 관리자 등의 입력(입력 인터페이스(113))을 통해 기준 영상 영역에 대응하는 기준 움직임 위치를 스마트폰(100)이 결정(① 참조)한다.
기준 움직임 위치의 결정을 위해, 스마트폰(100)의 프로세서(115)는 기준 영상 영역의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 후의 스마트폰(100)의 움직임 위치를 움직임 감지 센서(109)로부터 결정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5)는 기준 영상 영역에 대응하는 3축의 위치(좌표) 값(예를 들어 피치, 롤, 요 값)을 기준 움직임 위치로 결정하고 이 위치값을 기준 움직임 위치(기준 영상 영역)에 대응(맵핑)시켜 내장 메모리(103) 또는 SD 카드 메모리(105)에 저장한다.
이후, 팬/틸트 중 하나의 축에서의 하나의 회전 방향으로의 팬/틸트 구동 제어 데이터를 프로세서(115)가 크래들(200)로 근거리 네트워크(300)를 통해서 출력(② 참조)한다. 출력되는 팬/틸트 구동 제어 데이터는 예를 들어 팬 구동 제어 데이터로서 좌측 방향으로의 팬 모터(207)가 구동되도록 하는 제어 데이터이다.
팬/틸트 구동 제어 데이터를 근거리 네트워크(300)를 통해서 수신함에 따라 크래들(200)의 마이컴(203)은 팬/틸트 모터(207, 209)를 제어(③ 참조)하도록 모터 구동 회로(205)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마이컴(203)은 팬 모터(207)를 좌측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모터 구동 회로(205)로 출력하고 이에 따라 팬 모터(207)가 구동되어 좌측 방향으로 크래들(200)이 회전할 수 있다. 팬/틸트 구동 제어 데이터는 구동 기간을 명시적으로 포함하거나 구동 제어 데이터의 인가 시간으로 그 구동 기간이 인식될 수 있다. 본 과정에서의 설정되는 구동 기간은 모터가 회전 가능한 최대 범위를 아우러는 기간일 수 있다.
팬/틸트 모터(207, 209)의 제어에 따라 해당 모터의 회전이 시작된다. 그 회전 과정에서 일정한 주기(예를 들어 0.05초, 0.1 초 등)로 스마트폰(100)의 프로세서(115)는 움직임 감지 센서(109)를 이용하여 움직임 감지 센서(109)로부터 출력된 움직임 감지 데이터에 대응하고 변동되는 움직임 위치들을 결정(④ 참조)한다. 즉, 구동 제어 데이터가 인가되는 동안에 지정된 주기에 따라 움직임 감지 센서(109)의 3축의 위치값(예를 들어 피치, 롤, 요 값)의 데이터가 결정된다.
또한, 프로세서(115)는 변동된 움직임 위치들 각각을 출력되거나 출력중인 구동 제어 데이터로부터 결정되는 구동 제어값에 맵핑(⑤ 참조)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5)는 3축의 위치값을 팬/틸트 모터(207, 209) 구분자, 팬/틸트 모터(207, 209)의 축상에서의 방향값 및 해당 위치값에 대응하는 구동 시간 값(예를 들어 구동 제어 데이터 출력후의 경과 시간 또는 주기 횟수값)에 맵핑시킨다.
팬/틸트 모터(207, 209)가 회전에 따라 회전 가능한 한계를 벗어나는 경우에 움직임 감지 센서(109)의 위치값은 동일하거나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는 임계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회전 한계를 벗어나는 경우에 한 축의 한 방향에서의 맵핑 과정은 종료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15)는 동일한 축(팬)의 다른 방향(우측)에서의 맵핑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기준 움직임 위치로 팬/틸트 모터(207, 209)를 제어하여 이동할 수 있고 이후 다른 방향에서의 맵핑 과정을 ② 내지 ⑤ 과정을 통해서 수행한다. 마찬가지로 다른 축(틸트)에서의 양방향(상하측)에서의 맵핑 과정을 기준 움직임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② 내지 ⑤ 과정을 통해서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프로세서(115)는 크래들(200)을 통해서 회전 가능한 전체 영상 영역(예를 들어 회전에 따른 영상 영역들을 모두 아우러는 펼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전체 영상 영역은 카메라 모듈(107)이 캡쳐링 가능한 영상 영역이 확장된 것으로서 팬 모터(207)와 틸트 모터(209)를 활용하여 확장가능한 영역을 나타낸다. 전체 영상 영역은 2차원 좌표계로 표현될 수 있고 카메라 모듈(107)에서의 영상 영역 또한 전체 영상 영역 내의 좌표계에서 표현될 수 있다.
스마트폰(100)의 프로세서(115)는 맵핑된 구동 제어값과 대응하는 움직임 위치를 각각 메모리에 저장하고 또한 기준 움직임 위치를 저장(⑥ 참조)한다. 또한, 프로세서(115)는 움직임 감지 센서(109)로부터의 위치값(좌표값, 움직임값이라고 지칭할 수도 있음)을 이용하여 스마트폰(100)을 기준 움직임 위치로 회전(⑥ 참조)시킨다. 기준 움직임 위치로의 회전은 앞서 설정된 기준 움직임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값 또는 이 위치값의 임계범위 내의 위치값이 움직임 감지 센서(109)로부터 획득가능하도록 팬/틸 모터(207, 209)의 구동을 제어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프로세서(115)는 각 움직임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 영역을 나타내는 2차원 좌표 영역을 각 움직임 위치별로 맵핑시켜 저장한다. 각각의 영상 영역은 전체 영상 영역 내에 포함되는 좌표 영역으로 표현된다. 또한, 프로세서(115)는 기준 움직임 위치를 캡쳐링하고 있는 영상 영역에 대응하는 현재 움직임 위치로 설정하여 저장한다. 현재 움직임 위치는 움직임 감지 센서(109)로부터의 위치값들로 설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피치, 롤, 요 데이터값으로 설정된다.
메모리에 저장되는 맵핑 관계(맵핑 데이터)는 이후 프로세서(115)에 의해서 팬/틸트 제어 데이터의 생성에 활용된다. 이와 같이 맵핑 데이터는 크래들(200)의 제어에 이용된다.
이후, 스마트폰(100)의 프로세서(115)는 통신 인터페이스(101)를 통해서 관리 서버(400)와 통신 채널을 설정(⑦ 참조)한다. 이 통신 채널은 인터넷을 통해서 관리 서버(400)와 제어 데이터 및/또는 캡쳐링된 영상을 송수신하기 위한 채널이다. 이 통신 채널은 보안 채널로 구성되고 필요시 암호화될 수 있다.
통신 채널의 설정에 따라 스마트폰(100)은 통신 채널을 통해서 관리 서버(400)로 크래들(200)과 연동한 스마트폰(100)이 모니터링 가능한 전체 영상 영역(예를 들어 2차원 좌표 범위)과 기준 움직임 위치에 따라 현재 모니터링 중인 기준 영상 영역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관리 서버(400)로 출력(⑧ 참조)한다.
이 전체 영상 영역과 기준 영상 영역의 정보(데이터)는 이후 모니터링 단말(500)을 통한 스마트폰(100)의 영상 영역의 변경을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도 5는 원격에서 스마트폰(100)을 통해서 촬영된 영상 영역을 맵핑 관계를 활용하여 제어하기 위한 예시적인 처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처리 과정은 바람직하게는 도 4의 맵핑 처리 과정의 수행 완료된 후에 수행된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100)과 관리 서버(400)는 미리 통신 채널이 설정되어 있다.
원격에서 스마트폰(100)을 통해 영상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단말(500)은 관리 서버(400)와 통신 채널 연결을 설정(① 참조)한다. 통신 채널의 설정과정에서 모니터링 단말(500)은 관리 서버(400)에 로그인할 수 있고 관리 서버(400)는 패스워드나 개인 인증키 등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단말(500)을 인증한다. 모니터링 단말(500)의 인증은 단말 자체의 인증을 나타내거나(고) 모니터링 단말(500)의 사용자 인증을 나타낸다.
모니터링 단말(500)의 인증에 따라 관리 서버(400)는 모니터링 단말(500)로 사용자가 액세스 가능한 웹 페이지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웹 페이지는 예를 들어 해당 모니터링 단말(500)의 사용자가 액세스 또는 제어 가능한 카메라들의 선택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 리스트의 특정 감시 카메라는 스마트폰(100)의 카메라 모듈(107)로 구성되는 카메라일 수 있다.
사용자는 선택 리스트를 브라우징하고 특정 스마트폰(100)(감시 카메라로 인식되는 스마트폰(100))에 대한 원격 제어를 모니터링 단말(500)을 통해 관리 서버(400)로 요청(② 참조)한다.
원격 제어 요청에 따라 관리 서버(400)는 모니터링 시스템상에서 제어가 요청된 제어 대상 스마트폰(100)을 내부의 데이터베이스 등을 이용하여 식별(③ 참조)한다. 이 과정에서 관리 서버(400)는 스마트폰(100)과 인터넷을 통해서 연결된 통신 채널을 또한 식별할 수 있다. 인터넷을 통한 통신 채널을 통해서 관리 서버(400)는 스마트폰(100)을 관리 가능하다.
관리 서버(400)는 제어 대상 스마트폰(100)의 식별에 따라, 제어 요청한 모니터링 단말(500)과 식별된 스마트폰(100) 사이에서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통신 채널을 설정(④ 참조)한다.
모니터링 단말(500)과 스마트폰(100) 사이에서 설정되는 통신 채널은 관리 서버(400)를 경유하는 통신 채널이거나 관리 서버(400)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모니터링 단말(500)과 스마트폰(100)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채널일 수 있다. 인터넷을 통한 단일의 통신 채널로 직접 데이터가 서로 송수신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영상을 위한 통신 채널과 제어를 위한 통신 채널은 분리된다. 바람직하게 영상 통신 채널은 모니터링 단말(500)과 스마트폰(100) 사이에 직접 설정되고 제어 통신 채널은 관리 서버(400)를 경유하여 스마트폰(100)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제어용 통신 채널은 통신 채널 설정(도 5의 ① 참조)과 도 4의 통신 채널 설정(도 4의 ⑦ 참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모니터링 단말(500)은 설정된 영상 통신 채널을 통해서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인코딩된 영상을 수신하고 인코딩된 영상을 디코딩하여 모니터링 단말(5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관리 서버(400)는 영상 통신 채널의 설정과 함께 연결된 스마트폰(100)이 캡쳐링하고 있는 현재 영상 영역과 스마트폰(100)이 모니터링 가능한 전체 영상 영역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 단말(500)로 설정된 통신 채널로 출력(⑤ 참조)한다.
모니터링 단말(500)은 설정된 영상 통신 채널로부터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출력하고 전체 영상 영역과 현재 영상 영역의 좌표 정보(예를 들어 직사각형 좌표 영역)를 통해서 어떠한 영상 영역이 현재 캡쳐링되는지를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또한 출력할 수 있다.
전체 영상 영역은 해당 스마트폰(100)이 팬/틸트 모터(207, 209)를 통해서 모니터링 가능한 영역을 나타내고 현재 영상 영역은 전체 영상 영역 내에서 캡쳐링되는 영상의 좌표 영역을 나타낸다. 현재 영상 영역은 초기에는 기준 움직임 위치에 대응하는 기준 영상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입력 수단을 통해서 모니터링 단말(500)의 사용자는 전체 영상 영역 내에서 모니터링할 영상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체 영상 영역 캔버스 내에서 하일라이트된 현재 영상 영역을 선택하고 다른 위치의 영역으로 현재 영상 영역의 변경을 선택하고 이를 모니터링 단말(500)로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따라, 모니터링 단말(500)은 영상 영역 변경을 나타내는 변경 요청을 생성하여 생성된 변경 요청을 설정된 통신 채널을 통해서 관리 서버(400)로 출력(⑥ 참조)한다.
관리 서버(400)로 전달되는 변경 요청은 변경하고자 하는 영상 영역을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전체 영상 영역 내에서의 절대 좌표 영역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거나 현재 영상 영역으로부터 변경될 오프셋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관리 서버(400)는 영역 변경을 포함하는 각종 제어 요청을 모니터링 단말(500)로부터 수신하고 제어 요청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전달되는 영상 영역 변경 요청은 관리 서버(400)가 먼저 수신하여 스마트폰(100)으로 약속된 형태의 영상 영역 제어 데이터로 출력(⑥ 참조)할 수 있다. 또는 모니터링 단말(500)이 직접 스마트폰(100)으로 스마트폰(100)과 약속된 형태의 영상 영역 제어 데이터로 출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100)은 관리 서버(400)나 모니터링 단말(500)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다. 인터넷을 통해서 설정된 통신 채널로 수신하고 영상 영역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는 변경될 영상 영역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변경될 영상 영역의 제어 데이터는 예를 들어 절대적 좌표 영역을 나타내거나 현재 영상 영역으로부터의 상대적 오프셋(Offset)을 나타낸다. 수신되는 제어 데이터는 스마트폰(100)의 통신 인터페이스(101)를 통해서 통신 패킷으로 수신된다.
이후, 스마트폰(100)(의 프로세서(115))은 수신된 제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스마트폰(100)이 탑재된 크래들(200)의 팬과 틸트 중에 하나 이상을 제어하기 위한 팬/틸트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팬/틸트 제어 데이터를 통신 인터페이스(101)를 통해 근거리 네트워크로 출력(⑦ 내지 ⑪ 참조)한다. 팬/틸트 제어 데이터는 팬 모터(207) 및/또는 틸트 모터(209)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100)이 크래들(200)을 제어하여 캡쳐링 중인 영상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크래들(200)의 제어를 통해 영상 영역의 변경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스마트폰(100)의 프로세서(115)는 수신된 제어 데이터로 변경될 영상 영역에 대응하는 변동 예상 움직임 위치를 결정하고 이 위치로 변경하기 위한 구동 제어 데이터를 생성(⑦ 참조)한다.
프로세서(115)는 수신된 제어 데이터로부터 변동 예상 움직임 위치를 결정하는 데, 프로세서(115)는 수신된 제어 데이터로부터의 변경될 영상 영역에 대응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움직임 위치값들로 이 변동 예상 움직임 위치를 결정한다. 또는 프로세서(115)는 수신된 제어 데이터의 오프셋 값을 이용하여 변경될 영상 영역을 결정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움직임 위치값들로 이 변동 예상 움직임 위치를 결정한다.
프로세서(115)는 지금 현재 움직임 위치로부터 변동 예상 움직임 위치로 회전(이동)하기 위한 구동 제어 데이터를 또한 생성한다. 구동 제어 데이터는 팬 모터(207)의 구동을 위한 제어 데이터 및/또는 틸트 모터(209)의 구동을 위한 제어 데이터로 구성된다. 팬 모터(207)의 구동 제어 데이터는 팬 모터(207)의 회전 방향, 해당 회전 방향에서의 구동 시간값을 포함하거나 나타낸다.
구동 시간값은 팬 또는 틸트의 맵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계산된다. 예를 들어 구동 시간값은 변동 예상 움직임 위치에 대응하는 구동 시간값과 현재 움직임 위치의 구동 시간값의 차로 계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제어 데이터는 회전 방향과 해당 회전 방향에서의 모터 구동 시간의 데이터를 포함하거나 나타낸다. 회전 방향 또한 맵핑 데이터(모터의 축상에서의 방향값)로부터 추출가능하다.
이후, 스마트폰(100)의 프로세서(115)는 생성된 팬/틸트 구동 제어 데이터를 통신 인터페이스(101)로 전달하여 근거리 네트워크(300)를 통해서 출력(⑧ 참조)한다.
팬/틸트 구동 제어 데이터의 수신에 따라 크래들(200)의 마이컴(203)은 모터 구동 회로(205)를 제어하여 팬/틸트 구동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팬 모터(207) 및/또는 틸트 모터(209)를 제어하여 지정된 구동 시간 동안 지정된 방향으로 구동시킨다.
출력되는 팬/틸트 구동 제어 데이터는 팬 모터(207)의 구동 제어 데이터와 틸트 모터(209)의 구동 제어 데이터로 분리되어 출력되거나 동시에 출력될 수 있다. 동시 또는 분리되어 수신된 구동 제어 데이터에 따라 크래들(200)은 대응하는 모터(207, 209)를 제어한다.
모터의 회전 중에 또는 모터의 회전 완료 후에, 스마트폰(100)의 프로세서(115)는 움직임 감지 센서(109)를 통해서 모터의 회전에 따라 변동된 움직임 위치를 결정(⑨ 참조)한다. 변동된 움직임 위치는 예를 들어 측정된 피치, 롤, 요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후, 스마트폰(100)의 프로세서(115)는 변동된 움직임 위치와 변동 예상 움직임 위치를 비교(⑩ 참조)한다. 이 두 위치의 비교로 정확한 방향 위치로 크래들(200)에 탑재된 스마트폰(100)이 회전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변동 움직임 위치의 값들과 변동 예상 움직임 위치의 대응 값들의 차이가 지정된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 변동될 위치를 프로세서(115)가 확정(⑪ 참조)한다. 만일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프로세서(115)는 변동된 움직임 위치로부터 변동 예상 움직임 위치로의 회전(이동)을 위한 구동 제어 데이터를 다시 생성하고 이를 크래들(200)로 출력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스마트폰(100)의 프로세서(115)는 정확한 위치로 회전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맵핑 관계(데이터)가 튜닝될 수 있다.
이후, 스마트폰(100)의 프로세서(115)는 움직임 감지 센서(109)에 의해서 측정된 변동된 움직임 위치를 현재 움직임 위치로 설정 및 메모리(103, 105)에 저장하고 맵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움직임 위치에 대응하는 현재 영상 영역을 전체 영상 영역에서 결정한다. 결정된 현재 영상 영역에 대한 정보는 관리 서버(400) 및/또는 모니터링 단말(500)로 인터넷을 통해서 출력(⑫ 참조)된다.
또한, 스마트폰(100)의 프로세서(115)는 카메라 모듈(107)을 통해서 현재 영상 영역의 영상을 캡쳐링하고 캡쳐링된 영상을 지정된 압축 포맷에 따라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영상을 인터넷을 통해 출력(⑬ 참조)한다. 출력되는 영상은 바람직하게는 설정된 영상 통신 채널을 통해서 출력되어 모니터링 단말(500)로 전달된다.
모니터링 단말(500)은 인코딩된 영상을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영상을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100)의 프로세서(115)는 캡쳐링된 영상으로부터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⑭ 참조)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5)는 지정된 압축 포맷의 인코딩과정에서의 움직임 벡터 등을 이용하여 지정된 임계치 이상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15)는 영상에서 사람이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에 프로세서(115)는 캡쳐링되는 영상을 스마트폰(100)의 메모리에 저장(⑭ 참조)한다.
움직임 감지에 따라 스마트폰(100)의 관리 서버(400)로 움직임 감지를 나타내는 상태를 출력하고 관리 서버(400)로부터의 영상 전송 요청에 따라 스마트폰(100)의 프로세서(115)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을 관리 서버(400)로 출력(⑮ 참조)한다.
이와 같은 제어 흐름을 통해서 스마트폰(100)에서 측정된 정확한 위치에서의 영상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인터넷을 통한 원격에서의 영상 영역의 변경을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스마트폰
101 : 통신 인터페이스 103 : 내장 메모리
105 : SD 카드 메모리 107 : 카메라 모듈
109 : 움직임 감지 센서 111 : 디스플레이 모듈
113 : 입력 인터페이스 115 : 프로세서
117 :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
200 : 크래들
201 : 근거리 인터페이스 203 : 마이컴
205 : 모터 구동 회로 207 : 팬 모터
209 : 틸트 모터 211 : 파워 서플라이
300 : 근거리 네트워크 400 : 관리 서버
500 : 모니터링 단말

Claims (11)

  1.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으로서,
    (b) 상기 스마트폰을 탑재한 크래들의 팬/틸트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폰이 촬영가능한 전체 영상 영역을 결정하고 전체 영상 영역 내에서 변경 가능한 영상 영역들에 대응하는 움직임 위치들을 상기 크래들의 팬/틸트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에 맵핑하기 위해, 상기 스마트폰에 의해 상기 크래들의 팬/틸트 모터의 구동을 위한 구동 제어 데이터를 상기 크래들로 출력하고 상기 구동 제어 데이터에 따른 상기 크래들의 팬/틸트 모터의 구동 중에 상기 스마트폰에 구비된 움직임 감지 센서로부터 결정되는 움직임 위치들 각각과 상기 구동 제어 데이터로부터의 구동 제어값 각각을 맵핑하는 단계;
    (c)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채널로부터 상기 전체 영상 영역 내에서 상기 스마트폰이 캡쳐링하는 영상 영역의 변경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스마트폰이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영상 영역의 변경을 위한 제어 데이터는 상기 전체 영상 영역에서의 절대 좌표 영역을 포함하거나 촬영중인 현재 영상 영역으로부터의 상대적 오프셋을 포함하는, 영상 영역의 변경을 위한 제어 데이터의 수신 단계;
    (d) 수신된 제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크래들의 팬과 틸트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기 위한 팬/틸트 제어 데이터로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크래들을 상기 스마트폰이 제어하는 단계; 및
    (e) 상기 크래들의 제어 후에, 상기 스마트폰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캡쳐링된 영상을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영상을 인터넷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영상 영역의 변경을 위한 제어 데이터의 수신에 따라 변경될 영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스마트폰의 변동 예상 움직임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변동 예상 움직임 위치로 회전하기 위해 움직임 위치들과 구동 제어값들의 맵핑 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크래들의 팬/틸트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구동 제어 데이터를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에 구비된 움직임 감지 센서로 변동된 움직임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변동된 움직임 위치와 변동 예상 움직임 위치의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네트워크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인 와이파이이거나 블루투스이거나 또는 유선 근거리 네트워크인 USB인,
    모니터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위치는 3축 이상의 센서인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로부터 측정가능한 피치, 롤, 요값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제어값은 설정된 기준 움직임 위치로부터 팬/틸트 모터를 이용하여 맵핑된 움직임 위치로의 회전에 필요한 구동 시간값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기준 움직임 위치를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단계, 상기 크래들의 팬/틸트 모터의 구동 제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출력된 구동 제어 데이터에 따른 팬/틸트 모터의 구동 중에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에 의해서 측정되고 팬/틸트 모터의 구동에 따라 변동된 움직임 위치들 각각을 상기 구동 제어 데이터로부터 결정되는 구동 제어값들 각각에 맵핑하는 단계 및 맵핑된 복수의 구동 제어값들 및 움직임 위치들을 상기 스마트폰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폰에 저장된 맵핑 데이터는 상기 단계 (d)의 팬/틸트 제어 데이터의 생성에 이용되는,
    모니터링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캡쳐링된 영상으로부터 물체의 움직임을 상기 스마트폰이 감지하는 단계; 및 물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캡쳐링된 영상을 상기 스마트폰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저장된 영상은 인터넷을 통해서 연결된 관리 서버로 출력가능한,
    모니터링 방법.
  7.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서,
    크래들에 탑재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인터넷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이 캡쳐링하는 영상 영역의 변경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 채널의 통신 패킷을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움직임 감지 센서;
    상기 크래들의 팬/틸트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폰이 촬영가능한 전체 영상 영역을 결정하고 전체 영상 영역 내에서 변경 가능한 영상 영역들에 대응하는 움직임 위치들을 상기 크래들의 팬/틸트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에 맵핑하기 위해, 상기 크래들의 팬/틸트 모터의 구동을 위한 구동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구동 제어 데이터에 따른 상기 크래들의 팬/틸트 모터의 구동 중에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로부터 결정되는 움직임 위치들 각각과 상기 구동 제어 데이터로부터의 구동 제어값 각각을 맵핑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수신되고 상기 전체 영상 영역 내에서의 영상 영역의 변경을 위한 제어 데이터에 따라 생성되는 크래들의 팬과 틸트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기 위한 팬/틸트 제어 데이터로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크래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영상을 캡쳐링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크래들 제어 후에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캡쳐링된 영상을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영상을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니터링 단말로 출력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팬/틸트 제어 데이터로 상기 크래들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는 제어 데이터의 수신에 따라 변경될 영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스마트폰의 변동 예상 움직임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변동 예상 움직임 위치로 회전하기 위해 움직임 위치들과 구동 제어값들의 맵핑 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크래들의 팬/틸트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구동 제어 데이터를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출력하며, 상기 스마트폰에 구비된 움직임 감지 센서로 변동된 움직임 위치를 결정하고 변동된 움직임 위치와 변동 예상 움직임 위치의 데이터를 비교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영역의 변경을 위한 제어 데이터는 상기 전체 영상 영역에서의 절대 좌표 영역을 포함하거나 촬영중인 현재 영상 영역으로부터의 상대적 오프셋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단말; 및 상기 스마트폰을 인터넷을 통해서 원격에서 관리하기 위한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모니터링 단말을 인증하고 상기 모니터링 단말이 접속 가능한 모니터링 시스템상의 스마트폰을 식별하며 상기 모니터링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어 요청에 대응하고 상기 크래들 제어를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인터넷을 통해서 출력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모니터링 단말과 식별된 스마트폰 사이의 영상 통신 채널을 설정하고,
    상기 모니터링 단말은 설정된 상기 영상 통신 채널을 통해서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의 인코딩된 영상을 수신하고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출력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11.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모니터링 장치로서,
    크래들; 및 상기 크래들에 탑재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인터넷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이 캡쳐링하는 영상 영역의 변경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 채널의 통신 패킷을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움직임 감지 센서;
    상기 크래들의 팬/틸트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폰이 촬영가능한 전체 영상 영역을 결정하고 전체 영상 영역 내에서 변경 가능한 영상 영역들에 대응하는 움직임 위치들을 상기 크래들의 팬/틸트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에 맵핑하기 위해, 상기 크래들의 팬/틸트 모터의 구동을 위한 구동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구동 제어 데이터에 따른 상기 크래들의 팬/틸트 모터의 구동 중에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로부터 결정되는 움직임 위치들 각각과 상기 구동 제어 데이터로부터의 구동 제어값 각각을 맵핑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수신되고 상기 전체 영상 영역 내에서의 영상 영역의 변경을 위한 제어 데이터에 따라 생성되는 상기 크래들의 팬과 틸트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기 위한 팬/틸트 제어 데이터로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크래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영상을 캡쳐링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크래들 제어 후에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캡쳐링된 영상을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영상을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니터링 단말로 출력하는,
    모니터링 장치.
KR1020150141959A 2015-10-12 2015-10-12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586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959A KR101586728B1 (ko) 2015-10-12 2015-10-12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201580083685.3A CN108141566A (zh) 2015-10-12 2015-10-20 应用智能手机的远程监测方法、装置及系统
US15/765,271 US20180295271A1 (en) 2015-10-12 2015-10-20 Remote monitor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ing smart phone
PCT/KR2015/011060 WO2017065336A1 (ko) 2015-10-12 2015-10-20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959A KR101586728B1 (ko) 2015-10-12 2015-10-12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6728B1 true KR101586728B1 (ko) 2016-01-21

Family

ID=55308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959A KR101586728B1 (ko) 2015-10-12 2015-10-12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80295271A1 (ko)
KR (1) KR101586728B1 (ko)
CN (1) CN108141566A (ko)
WO (1) WO20170653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6740A (ko) * 2017-05-18 2018-11-28 주식회사 오퍼스원 유휴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9341519A1 (en) 2018-09-17 2021-03-18 Dsm Ip Assets B.V. Animal feed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CN109167967A (zh) * 2018-09-29 2019-01-08 桂林智神信息技术有限公司 监控摄影设备的方法、云台系统及移动设备
JP7204569B2 (ja) * 2019-04-05 2023-01-1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システム、撮像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10897564B1 (en) * 2019-06-17 2021-01-19 Snap Inc. Shared control of camera device by multiple devices
US11340857B1 (en) 2019-07-19 2022-05-24 Snap Inc. Shared control of a virtual object by multiple devices
US11924583B2 (en) * 2020-01-20 2024-03-05 Ronald Baker Mobilarm
US11593997B2 (en) 2020-03-31 2023-02-28 Snap Inc. Context based augmented reality communic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6278A (ko) * 2013-05-20 2014-11-28 (주)마이크로디지털 스마트폰을 이용한 ptz 감시 장치 및 감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33282A1 (en) * 2003-05-22 2004-11-25 Stavely Donald J.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surveillance of an area
JP4958420B2 (ja) * 2005-09-14 2012-06-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CN201533372U (zh) * 2009-10-19 2010-07-21 动力盈科实业(深圳)有限公司 依靠网络供电和传输数据的摄像机
US9014848B2 (en) * 2010-05-20 2015-04-21 Irobot Corporation Mobile robot system
US9441781B2 (en) * 2011-11-14 2016-09-13 Motrr Llc Positioning apparatus for photographic and video imaging and recording and system utilizing same
WO2013074612A2 (en) * 2011-11-14 2013-05-23 Motrr Llc Positioning apparatus for photographic and video imaging and recording and system utilizing same
KR20140075963A (ko) * 2012-12-11 2014-06-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단말을 이용한 카메라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31115B1 (ko) * 2013-01-30 2014-08-1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감시 장치
US10261023B1 (en) * 2013-10-28 2019-04-16 David Curtis Gaw Remote illumination and detection method, node and system
KR101592080B1 (ko) * 2014-01-10 2016-02-04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원격 제어가 가능한 강의 자동 녹화 시스템
KR101460112B1 (ko) * 2014-06-11 2014-11-11 김산 동영상 출력이 가능한 감시 카메라 및 이 감시 카메라를 포함하는 동영상 송수신 시스템
CN104853162A (zh) * 2015-05-11 2015-08-19 杭州轨物科技有限公司 基于智能手机的网络实时监控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6278A (ko) * 2013-05-20 2014-11-28 (주)마이크로디지털 스마트폰을 이용한 ptz 감시 장치 및 감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6740A (ko) * 2017-05-18 2018-11-28 주식회사 오퍼스원 유휴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서버
KR101942798B1 (ko) * 2017-05-18 2019-01-29 주식회사 오퍼스원 유휴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141566A (zh) 2018-06-08
US20180295271A1 (en) 2018-10-11
WO2017065336A1 (ko) 2017-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6728B1 (ko)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K2944078T3 (en) Wireless camcorder
US201402548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scanning vehicle license plates
KR20190134922A (ko) 허브를 통해 복수의 전자 장치를 서버에 연결시키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20150018696A (ko) 감시 카메라 임대 방법, 중계 장치 및 사용자 단말
US20150264322A1 (en) IP Camera Smart Controller
US20190306334A1 (en) Communication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030047343A (ko) 인터넷을 이용한 감시 및 관리 시스템
KR20160053601A (ko)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16197797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EP3291546B1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control, by a control device, of a video camera in a video surveillance system
KR20110119116A (ko) 로봇 청소기, 원격 감시 시스템, 및 로봇 청소기를 이용한 원격 감시 방법
KR101632924B1 (ko) 중고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스마트 허브 장치
KR101207985B1 (ko) 스마트폰의 3d 터치 위치값에 따른 ptz 카메라의 위치?영상 제어 장치 및 방법
US10049546B2 (en) Anti-theft system, anti-theft device and anti-theft method
KR101677144B1 (ko) 기존의 인터폰을 활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Srilakshmi et al. IOT Based Smart Surveillance System
KR102295565B1 (ko) 활용도가 향상된 3d 실내공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80122862A (ko) 드론의 영상을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사람인식 영상분석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드론 시스템
KR101267566B1 (ko) 저장장치 분리형 방범 시스템
KR100660576B1 (ko) 홈 영상 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13730B1 (ko) Sns 서버와 통신이 가능한 무인감시장치
CN106970729B (zh) 用于投影触控式设备的投影控制装置、方法及设备
KR101045683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관리 장치와 그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0474732Y1 (ko) 태양광 led 가로등에 장착되는 감시 카메라 장치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