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719B1 - 신호 보정 모듈, 신호 보정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 신호 보정 모듈을 이용한 신호 보정 방법 - Google Patents

신호 보정 모듈, 신호 보정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 신호 보정 모듈을 이용한 신호 보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6719B1
KR101586719B1 KR1020150122980A KR20150122980A KR101586719B1 KR 101586719 B1 KR101586719 B1 KR 101586719B1 KR 1020150122980 A KR1020150122980 A KR 1020150122980A KR 20150122980 A KR20150122980 A KR 20150122980A KR 101586719 B1 KR101586719 B1 KR 101586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output
element unit
correc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환
Original Assignee
(주)아이피엠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피엠이엔지 filed Critical (주)아이피엠이엔지
Priority to KR1020150122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7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 보정 모듈에 관한 것으로써, 기준신호와 피드백신호가 입력되는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상기 기준신호를 입력받아 제1출력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피드백신호를 입력받아 제2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1소자부; 및 상기 제1소자부로부터 상기 제1출력신호를 전달받아 제1변환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제1출력신호와 상기 제1변환신호로부터 비례상수를 추출하고, 상기 비례상수를 기초로 상기 제2출력신호로부터 제2변환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서, 전력조정기에서 출력되는 전력량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호 보정 모듈, 신호 보정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 신호 보정 모듈을 이용한 신호 보정 방법{SIGNAL CORRECTION MODULE, POWER REGULATORS HAVING SIGNAL CORRECTION MODULE, METHOD FOR SIGNAL CORRECTION USING SIGNAL CORRECTION MODULE}
본 발명은 신호 보정 모듈, 신호 보정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 신호 보정 모듈을 이용한 신호 보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제1소자부로부터 제1출력신호를 전달받아 제1변환신호를 출력하되, 제1출력신호와 제1변환신호로부터 비례상수를 추출하고, 비례상수를 기초로 제2출력신호로부터 제2변환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출력되는 전력량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신호 보정 모듈, 신호 보정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 신호 보정 모듈을 이용한 신호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력조정기(Thyristor Unit)란,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전력을 조정하여 출력하는 제어기기로써, 히터, 전기로 등 가열장치의 가열 및 냉각시에 전력량을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전력조정기를 이용한 가열장치의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력조정기(10)는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온도제어기(20)에 연동하여 동작된다. 온도제어기(20)는 가열장치의 현재 온도정보를 감지하는 온도센싱부(21)와 사용자가 가열장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온도설정부(22)를 포함한다. 상술한 온도설정부(22)는 전력조정기(10)에 연결되어 전력조정기(10)로 설정온도정보를 전달한다. 전력조정기(10)는 설정온도정보를 온도설정부(22)로부터 전달받은 다음, 가열장치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가열되거나 냉각되도록 가열장치로 전력을 공급한다.
상술한 설정온도정보는 전력조정기 내부에 설치된 옵토커플러(Optocupler)로 전달된 후, 전력조정기 내부에 설치된 컨트롤러, 즉, MCU(Micro Control Unit)로 전달된다. 이후, MCU에서는 가열장치로 공급될 전력량을 계산한 후, 계산된 전력을 가열장치로 공급한다.
상술한 설정온도정보는 옵토커플러를 거쳐 MCU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주변 온도에 따라서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설정온도정보는 옵토커플러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옵토커플러의 제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자의 불균일성에 기인하여 본래의 값과는 다른 값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온도정보의 변화는 계산된 전력, 즉, 전력조정기에서 가열장치로 전달되는 전력량에 변화를 주기 때문에, 적절하게 보정될 필요성 있다.
종래에는 전력조정기의 제조과정에서 보정값을 별도로 설정하였다. 이는, 각 전력조정기에 설치되는 옵토커플러의 이득 값의 균일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필요한 과정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전력조정기의 제조방법은 이득 보정 값을 각각 설정해야하는 공정의 복잡성으로 인해 제조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의 전력조정기의 제조방법은 일반적인 공장의 실온의 변화에 대응되는 보정값을 계산한 다음, 계산된 보정값을 MCU에 입력하거나, 수동볼륨조정기를 작업자가 직접 조절함으로써, 설정온도정보를 보정하는 추가적인 과정이 더 포함되므로, 효율이 크게 떨어진다.
한편, 이러한 전력조정기가 현장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경우, 전력조정기의 내부 소자들이 노후화되는 과정에서, 오차값이 다시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오차값은 현장에서 작업자가 직접 튜닝작업을 실시함으로써 보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전력조정기는 현장에서의 작업 효율성도 크게 저하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제1소자부로부터 제1출력신호를 전달받아 제1변환신호를 출력하되, 제1출력신호와 제1변환신호로부터 비례상수를 추출하고, 비례상수를 기초로 제2출력신호로부터 제2변환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출력되는 전력량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신호 보정 모듈, 신호 보정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 신호 보정 모듈을 이용한 신호 보정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기준신호와 피드백신호가 입력되는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상기 기준신호를 입력받아 제1출력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피드백신호를 입력받아 제2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1소자부; 및 상기 제1소자부로부터 상기 제1출력신호를 전달받아 제1변환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제1출력신호와 상기 제1변환신호로부터 비례상수를 추출하고, 상기 비례상수를 기초로 상기 제2출력신호로부터 제2변환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신호 보정 모듈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위치부에서 상기 제1소자부로 상기 기준신호가 입력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며, 상기 스위치부에서 상기 제1소자부로 상기 피드백신호가 입력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제2소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드백신호와 상기 제1출력신호는, 아날로그(Analog) 신호이며, 상기 제1변환신호는, 디지털(Digital)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소자부는, 옵토커플러(Optocoupler)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소자부는, 포토커플러(Photocoupler)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기준신호와 피드백신호가 입력되는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상기 기준신호를 입력받아 제1출력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피드백신호를 입력받아 제2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1소자부; 상기 제1소자부로부터 상기 제1출력신호를 전달받아 제1변환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제1출력신호와 상기 제1변환신호로부터 비례상수를 추출하고, 상기 비례상수를 기초로 상기 제2출력신호로부터 제2변환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2변환신호에 대응되는 전력을 외부장치로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포함하는 신호 보정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위치부에서 상기 제1소자부로 상기 기준신호가 입력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며, 상기 스위치부에서 상기 제1소자부로 상기 피드백신호가 입력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제2소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드백신호는, 아날로그(Analog) 신호이며, 상기 제1변환신호는, 디지털(Digital) 신호인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소자부는, 옵토커플러(Optocoupler)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소자부는, 포토커플러(Photocoupler)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2소자부에 의해 기준신호가 스위치부를 통해 제1소자부로 입력되는 제1입력단계; 상기 제1소자부에서 제1출력신호가 제어부로 출력되는 제1출력단계; 상기 제1출력신호를 입력받은 상기 제어부에서 제1변환신호가 생성된 이후, 상기 제1출력신호와 상기 제1변환신호로부터 상기 제어부가 비례상수를 추출하는 추출단계; 상기 제2소자부에 의해 피드백신호가 스위치부를 통해 제1소자부로 입력되는 제2입력단계; 상기 제1소자부에서 제2출력신호가 상기 제어부로 출력되는 제2출력단계; 및 상기 비례상수를 기초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출력신호를 변환시켜 제2변환신호를 출력하는 제3출력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보정 모듈을 이용한 신호 보정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조정기에서 출력되는 전력량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보정값의 계산을 위한 실험을 실시할 필요가 없고, 수동볼륨조정과 같은 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없어, 전력조정기 제조공정의 효율이 대폭적으로 증대된다.
또한, 전력조정기 내부의 소자들의 노후화로 인한 전력조정기 출력의 변화가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지속적으로 전력조정기를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력조정기를 이용한 가열장치의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보정 모듈의 구성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보정 모듈의 신호 흐름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보정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의 구성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보정 모듈을 이용한 신호 보정 방법의 순서도 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보정 모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보정 모듈의 구성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보정 모듈의 신호 흐름도 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보정 모듈(100)은 스위치부(110)와 제1소자부(120)와 제어부(130)와 제2소자부(140)를 포함한다.
스위치부(110)는 기준신호와 피드백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써, 제1소자부(120)와 제2소자부(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기준신호란, 피드백신호를 보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비례상수를 추출할 때 이용되는 신호로써, 후술하는 제어부(130)의 명령에 의해 제2소자부(140)가 스위치부(110)를 제어함으로써 스위치부(110)에서 제1소자부(120)로 입력되는 신호이다. 이러한 기준신호는 아날로그(Analog) 신호로써, 전압신호이므로 전압최대치(RefVdd) 및 전압최소치(RefVss)를 포함한다.
여기서, 피드백신호란, 가열장치의 온도에 대한 신호로써, 사용자가 온도설정부(22)에서 설정한 온도 값 및 현재 가열장치의 온도 값에 대한 신호가 포함된다. 이러한 피드백신호는 온도설정부(22)에서 생성되어 스위치부(110)로 전달되는 신호이다. 이러한 피드백신호는 상술한 기준신호와 마찬가지로 아날로그(Analog) 신호이다.
상술한 스위치부(110)는 제2소자부(140)에 의해 제어되어 기준신호 또는 피드백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제1소자부(120)로 전달한다.
제1소자부(120)는 상술한 스위치부(110)로부터 기준신호를 입력받아 제1출력신호를 출력하거나, 피드백신호를 입력받아 제2출력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써, 스위치부(110)와 제어부(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술한 제1소자부(120)는 기준신호를 입력받아 후술하는 제어부(130)로 제1출력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제1출력신호는 전력조정기 주변의 온도에 의해서 영향을 받고, 제1소자부(120) 내부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제1소자부(120) 자체의 영향을 받아 변화된다. 상술한 과정은 제1소자부(120)가 피드백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30)로 제2출력신호를 출력할 때도 동일하게 발생한다.
한편, 이러한 제1소자부(120)는 리니어 옵토커플러(Optocoupler)로 마련되어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한다.
옵토커플러란, 아날로그 입력 신호와 아날로그 출력 신호를 광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소자로써, 일반적으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하나의 패키지에 결합한 것이다. 이러한 옵토커플러에 의하면, 아날로그 입력과 아날로그 출력 신호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에서 광으로 신호가 전달된다. 따라서, 상술한 옵토커플러에 의하면, 외부와 내부가 전기적으로 절연되므로, 외부의 모터 등의 전기장치, 낙뢰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노이즈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신호전달의 높은 신뢰성이 보장되는 이점이 있다.
제어부(130)는 상술한 제1소자부(120)로부터 제1출력신호를 전달받아 제1변환신호를 출력하되, 제1출력신호와 제1변환신호로부터 비례상수를 추출하고, 비례상수를 기초로 제2출력신호로부터 제2변환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써, 제1소자부(120)와 제2소자부(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부(130)는 제1출력신호를 제1변환신호로 변환시키는데, 이때, 제1변환신호는 디지털(Digital) 신호이다. 즉, 제어부(130)는 아날로그 신호인 제1출력신호로부터 디지털 신호인 제1변환신호를 생성하는데, 이때, 제어부(130)에 의해서 상기 신호들로부터 입력 대비 출력의 비, 즉, 이득 값인 비례상수가 획득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출력신호는 전력조정기 주변의 온도에 의해서 영향을 받고, 제1소자부(120) 내부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제1소자부(120) 자체의 영향을 받아 변화되므로, 상술한 비례상수는 이러한 영향이 그대로 반영된 값을 가지고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비례상수가 제어부(130)에서 획득된 이후, 피드백신호가 스위치부(110)에서 제1소자부(120)로 입력된 다음, 제1소자부(120)에서 제2출력신호가 제어부(130)로 출력된다. 이때, 제어부(130)는 제2출력신호에 상술한 비례상수를 반영하여 제2변환신호를 출력한다. 즉, 제2변환신호는 전력조정기 주변의 온도 및 제1소자 내부의 영향이 고려된 신호로써 출력되며, 따라서, 가열장치는 상술한 제2변환신호에 따라 적합하게 조절된 전력량을 공급받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실시간으로 반복하여 실시되므로, 상술한 과정에 의해서, 전력조정기에서 출력되는 전력량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제2소자부(140)는 스위치부(110)에서 제1소자부(120)로 기준신호가 입력될 수 있도록, 스위치부(110)를 제어하며, 스위치부(110)에서 제1소자부(120)로 피드백신호가 입력될 수 있도록 스위치부(110)를 제어하는 것으로써, 상술한 스위치부(110)와 제어부(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제2소자부(140)는 기준신호가 스위치부(110)에서 제1소자부(120)로 입력되거나, 피드백신호가 스위치부(110)에서 제1소자부(120)로 입력되도록 스위치부(110)를 제어한다.
이러한 제2소자부(140)는 포토커플러(Photocoupler)로 마련되어 디지털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신호를 출력한다.
포토커플러란, 디지털 입력 신호와 디지털 출력 신호를 광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소자로써, 일반적으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하나의 패키지에 결합한 것이다. 이러한 포토커플러에 의하면, 디지털 입력과 디지털 출력 신호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에서 광으로 신호가 전달된다. 따라서, 상술한 포토커플러에 의하면, 디지털 출력이 디지털 입력에 대해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디지털 신호전달에 있어 높은 신뢰성이 보장된다.
따라서, 상술한 스위치부(110)와 제1소자부(120)와 제어부(130)와 제2소자부(14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보정 모듈(100)에 따르면, 전력조정기에서 출력되는 전력량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보정값의 계산을 위한 실험을 실시할 필요가 없고, 수동볼륨조정과 같은 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없어, 전력조정기 제조공정의 효율이 대폭적으로 증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보정 모듈(100)에 의하면, 전력조정기 내부의 소자들의 노후화로 인한 전력조정기 출력의 변화가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지속적으로 전력조정기를 활용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보정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보정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200)는 스위치부(110)와 제1소자부(120)와 제어부(130)와 제2소자부(140)와 전력공급부(250)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스위치부(110)와 제1소자부(120)와 제어부(130)와 제2소자부(14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보정 모듈(100)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보정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의 구성도 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공급부(250)는 제2변환신호에 대응되는 전력을 외부장치로 공급하는 것으로써, 제어부(130)와 외부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외부장치란, 히터, 전기로 등 가열장치를 의미하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력공급부(250)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것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전력공급부(250)는 외부의 교류전원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전력을 변환시켜 외부장치로 공급한다. 전력공급부(250)는 전력변환과정에서, 제어부(130)에서 전달되는 제2변환신호에 기초하여, 출력되는 전력량을 조절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250)의 전력을 변환시키는 과정은 제로 크로스 스위칭(Zero Cross Switching) 방식 또는 위상제어 방식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전원공급부(250)의 전력변환방식은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력공급부(250)가 외부의 교류전원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전력을 외부장치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방식을 이용하더라도 무방하다.
한편, 상술한 전원공급부(250)의 전원변환방식 중 제로 크로스 스위칭(Zero Cross Switching) 방식의 경우, 전력공급부(250)는 스위칭 소자인 사이리스터(thyristor) 또는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과, 스위칭 소자에 연결되어 공급받는 전력량이 조절되는 부하(저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전력공급부(250)에 의하면, 제2변환신호, 즉, 전력조정기 주변의 온도 및 제1소자부(120) 내부의 영향이 고려된 신호에 의해서 외부장치로 공급되는 전력량이 적합하게 조절된다.
따라서, 상술한 제1소자부(120)와 제어부(130)와 제2소자부(140)와 전력공급부(25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보정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200)에 의하면, 전력조정기에서 출력되는 전력량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보정값의 계산을 위한 실험을 실시할 필요가 없고, 수동볼륨조정과 같은 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없어, 전력조정기 제조공정의 효율이 대폭적으로 증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보정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200)에 의하면, 전력조정기 내부의 소자들의 노후화로 인한 전력조정기 출력의 변화가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지속적으로 전력조정기를 활용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보정 모듈을 이용한 신호 보정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보정 모듈을 이용한 신호 보정 방법의 순서도 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보정 모듈을 이용한 신호 보정 방법(S100)은 제1입력단계(110)와 제1출력단계(S120)와 추출단계(S130)와 제2입력단계(S140)와 제2출력단계(S150)와 제3출력단계(S160)를 포함한다.
제1입력단계(110)는 제2소자부(140)에 의해 기준신호가 스위치부(110)를 통해 제1소자부(120)로 입력되는 단계이다. 기준신호는 피드백신호를 보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비례상수를 추출할 때 이용되는 신호로써, 후술하는 제어부(130)의 명령에 의해 제2소자부(140)가 스위치부(110)를 제어함으로써 스위치부(110)에서 제1소자부(120)로 입력되는 신호이다. 이러한 기준신호는 아날로그(Analog) 신호로써, 전압신호이므로 전압최대치(RefVdd) 및 전압최소치(RefVss)를 포함한다. 제2소자부(140)는 제어부(130)의 명령에 의해 스위치부(110)로 기준신호를 전달함과 동시에 스위치부(110)가 기준신호를 제1소자부(120)로 입력할 수 있도록 스위치부(110)를 제어한다.
제1출력단계(S120)는 제1소자부(120)에서 제1출력신호가 출력되는 단계로써, 제1소자부(120)에 의해 실시된다. 이러한 제1출력신호는 제어부(130)로 전달되는데, 이때, 제1출력신호는 전력조정기 주변의 온도에 의해서 영향을 받고, 제1소자부(120) 내부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제1소자부(120)의 영향을 받아 변화된다.
추출단계(S130)는 제1출력신호와 제1변환신호로부터 비례상수를 추출하는 단계로써, 제어부(130)에서 실시된다.
제어부(130)는 아날로그 신호인 제1출력신호로부터 디지털 신호인 제1변환신호를 생성하는데, 이때, 추출단계(S130)에 의해서, 상기 신호들로부터 입력 대비 출력의 비, 즉, 이득 값인 비례상수가 제어부(130)로 추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출력신호는 전력조정기 주변의 온도에 의해서 영향을 받고, 제1소자부(120) 내부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제1소자부(120)의 영향을 받아 변화되므로, 상술한 비례상수는 이러한 영향이 그대로 반영된 값을 가지고 있다.
제2입력단계(S140)는 피드백신호가 스위치부(110)를 통해 제1소자부(120)로 입력되는 단계이다. 피드백신호는 가열장치의 온도정보에 대한 신호로써, 외부에 설치되는 온도설정부(22)에서 생성되어 스위치부(110)로 전달되는 신호이다. 이러한 피드백신호는 제어부(130)의 명령에 의해서 동작되는 제2소자부(140)에 의해 선택되어 스위치부(110)에서 제2소자부(140)로 출력된다.
제2출력단계(S150)는 제1소자부(120)에서 제2변환신호가 출력되는 단계이다. 이러한 제2출력단계(S150)에 의해 출력되는 제2변환신호는 상술한 제1출력신호와 마찬가지로 전력조정기 주변의 온도에 의해서 영향을 받고, 제1소자부(120) 내부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제1소자부(120)의 영향을 받아 변화된다.
제3출력단계(S160)는 비례상수를 기초로 제1출력신호를 변환시켜 제2변환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로써, 제어부(130)에 의해 실시된다.
상술한 추출단계(S130)에 의해, 비례상수가 제어부(130)에서 추출된 이후, 피드백신호가 스위치부(110)에서 제1소자부(120)로 입력되면, 제2입력단계(S140)에 의해, 제1소자부(120)에서 제2출력신호가 제어부(130)로 출력된다.
이후, 상술한 제3출력단계(S160)에 의해서, 제어부(130)는 제2출력신호에 상술한 비례상수를 반영하여 제2변환신호를 출력한다. 즉, 제2변환신호는 전력조정기 주변의 온도 및 제1소자 내부의 영향이 고려된 신호로써 출력된다. 이에 의해서, 가열장치는 상술한 제2변환신호에 따라 적합하게 조절된 전력량을 공급받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제1입력단계(110)와 제1출력단계(S120)와 추출단계(S130)와 제2입력단계(S140)와 제2출력단계(S150)와 제3출력단계(S16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보정 모듈을 이용한 신호 보정 방법(S100)에 의하면, 전력조정기에서 출력되는 전력량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보정값의 계산을 위한 실험을 실시할 필요가 없고, 수동볼륨조정과 같은 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없어, 전력조정기 제조공정의 효율이 대폭적으로 증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보정 모듈을 이용한 신호 보정 방법(S100)에 의하면, 전력조정기 내부의 소자들의 노후화로 인한 전력조정기 출력의 변화가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지속적으로 전력조정기를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종래의 전력조정기 20 : 온도제어기
21 : 온도센싱부 22 : 온도설정부
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보정 모듈
110 : 스위치부 120 : 제1소자부
130 : 제어부 140 : 제2소자부
2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보정 모듈을 포함하는 전력조정기
250 : 전력공급부
S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보정 모듈을 이용한 신호 보정 방법
S110 : 제1입력단계 S120 : 제1출력단계
S130 : 추출단계 S140 : 제2입력단계
S150 : 제2출력단계 S160 : 제3출력단계

Claims (11)

  1. 기준신호와 피드백신호가 입력되는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상기 기준신호를 입력받아 제1출력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피드백신호를 입력받아 제2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1소자부; 및
    상기 제1소자부로부터 상기 제1출력신호를 전달받아 제1변환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제1출력신호와 상기 제1변환신호로부터 비례상수를 추출하고, 상기 비례상수를 기초로 상기 제2출력신호로부터 제2변환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신호 보정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에서 상기 제1소자부로 상기 기준신호가 입력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며, 상기 스위치부에서 상기 제1소자부로 상기 피드백신호가 입력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제2소자부를 더 포함하는 신호 보정 모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신호와 상기 제1출력신호는,
    아날로그(Analog) 신호이며,
    상기 제1변환신호는,
    디지털(Digital) 신호인 신호 보정 모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소자부는,
    옵토커플러(Optocoupler)로 마련되는 신호 보정 모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소자부는,
    포토커플러(Photocoupler)로 마련되는 신호 보정 모듈.
  6. 기준신호와 피드백신호가 입력되는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상기 기준신호를 입력받아 제1출력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피드백신호를 입력받아 제2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1소자부;
    상기 제1소자부로부터 상기 제1출력신호를 전달받아 제1변환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제1출력신호와 상기 제1변환신호로부터 비례상수를 추출하고, 상기 비례상수를 기초로 상기 제2출력신호로부터 제2변환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2변환신호에 대응되는 전력을 외부장치로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포함하는 신호 보정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에서 상기 제1소자부로 상기 기준신호가 입력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며, 상기 스위치부에서 상기 제1소자부로 상기 피드백신호가 입력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제2소자부를 더 포함하는 신호 보정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신호는,
    아날로그(Analog) 신호이며,
    상기 제1변환신호는,
    디지털(Digital) 신호인 신호 보정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소자부는,
    옵토커플러(Optocoupler)로 마련되는 신호 보정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소자부는,
    포토커플러(Photocoupler)로 마련되는 신호 보정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
  11. 제2소자부에 의해 기준신호가 스위치부를 통해 제1소자부로 입력되는 제1입력단계;
    상기 제1소자부에서 제1출력신호가 제어부로 출력되는 제1출력단계;
    상기 제1출력신호를 입력받은 상기 제어부에서 제1변환신호가 생성된 이후, 상기 제1출력신호와 상기 제1변환신호로부터 상기 제어부가 비례상수를 추출하는 추출단계;
    상기 제2소자부에 의해 피드백신호가 스위치부를 통해 제1소자부로 입력되는 제2입력단계;
    상기 제1소자부에서 제2출력신호가 상기 제어부로 출력되는 제2출력단계; 및
    상기 비례상수를 기초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출력신호를 변환시켜 제2변환신호를 출력하는 제3출력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보정 모듈을 이용한 신호 보정 방법.
KR1020150122980A 2015-08-31 2015-08-31 신호 보정 모듈, 신호 보정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 신호 보정 모듈을 이용한 신호 보정 방법 KR101586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980A KR101586719B1 (ko) 2015-08-31 2015-08-31 신호 보정 모듈, 신호 보정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 신호 보정 모듈을 이용한 신호 보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980A KR101586719B1 (ko) 2015-08-31 2015-08-31 신호 보정 모듈, 신호 보정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 신호 보정 모듈을 이용한 신호 보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6719B1 true KR101586719B1 (ko) 2016-01-20

Family

ID=55308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980A KR101586719B1 (ko) 2015-08-31 2015-08-31 신호 보정 모듈, 신호 보정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 신호 보정 모듈을 이용한 신호 보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67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5092A (ja) * 2004-02-25 2005-09-08 Omron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20100012239A (ko) * 2008-07-28 2010-02-0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도 오차 보정 기능이 있는 rfid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68887A (ko) * 2009-09-24 2012-06-27 기글 네트웍스 리미티드 전기 아이솔레이터들
KR20140074024A (ko) * 2012-12-07 2014-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력변환기의 출력 보정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5092A (ja) * 2004-02-25 2005-09-08 Omron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20100012239A (ko) * 2008-07-28 2010-02-0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도 오차 보정 기능이 있는 rfid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68887A (ko) * 2009-09-24 2012-06-27 기글 네트웍스 리미티드 전기 아이솔레이터들
KR20140074024A (ko) * 2012-12-07 2014-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력변환기의 출력 보정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7134985A (ru) Управление образующей аэрозоль системой
KR101604916B1 (ko) 입력 채널별 절연 구조 및, 상기 구조를 포함하는 온도 제어 장치 및, 온도 제어 방법
US11329565B2 (en) Feed-forward control for regulating a DC-DC voltage converter
CN104638899A (zh) 一种基于积分分离结构的快速启动数字电源
KR20190058634A (ko) Dc 컨버터용 제어 장치, dc 컨버터, 그리고 dc 컨버터의 제어 방법
CN112840549A (zh) 逆变器装置的测试装置
US10615690B2 (en) Feed-forward controlled DC-DC voltage converter and method for regulating a feed-forward controlled DC-DC voltage converter
CN106413165A (zh) 半导体微波加热设备及其功率控制方法和功率控制装置
KR101586719B1 (ko) 신호 보정 모듈, 신호 보정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 신호 보정 모듈을 이용한 신호 보정 방법
KR20160059801A (ko) 온도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5411418A (zh) 电烤箱及其基于气压变化智能调整工作时间的方法
CN115021562A (zh) 驱动芯片及其控制方法、电子设备
JP2011516962A (ja) 位相制御機能及びゼロクロス周期制御機能を有する温度調節器
CN110911962B (zh) 光模块消光比闭环控制系统
KR101507412B1 (ko) 아날로그와 디지털 피드백 보상방식을 연계한 전력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807275B (zh) 一种功率偏差值修正装置及方法
JP4687393B2 (ja) 調光器
CN108155558B (zh) 半导体激光器恒功率自适应调节系统
JP2017062542A (ja) 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8478153B2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fuser assembly power control
KR101619884B1 (ko) 무효 전력 감소 장치
KR101717103B1 (ko) 전원 공급 장치와 그에 사용되는 전력제어부 및 그의 전원 제어 방법
JP5194299B2 (ja) パルスレーザ用高圧電源の充電器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US20140253085A1 (en) Digital programmable control systems
CN111327812B (zh) 一种摄像机组件及摄像机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