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685B1 - 컬링 게임기 - Google Patents

컬링 게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6685B1
KR101586685B1 KR1020140025976A KR20140025976A KR101586685B1 KR 101586685 B1 KR101586685 B1 KR 101586685B1 KR 1020140025976 A KR1020140025976 A KR 1020140025976A KR 20140025976 A KR20140025976 A KR 20140025976A KR 101586685 B1 KR101586685 B1 KR 101586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p
path
game
target
traveling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5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4351A (ko
Inventor
김문기
최영열
Original Assignee
김문기
최영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기, 최영열 filed Critical 김문기
Priority to KR1020140025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685B1/ko
Publication of KR20150104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6Games simulating outdoor ball games, e.g. hockey or foo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4Curling stone; Shuffleboard; Similar slid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2Shooting or hurling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컬링 경기를 응용한 새로운 방식의 컬링 게임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칩(2)을 강약 조절하면서 전방으로 던지는 슈터(10)와, 상기 슈터에서 던져진 칩이 미끄럼 이동하되, 바닥에 형성된 에어공(21)에서 토출되는 에어에 의해 칩(2)이 부상하면서 미끄럼 이동하도록 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적(25)이 형성된 이동로(20) 및, 상기 이동로(20)의 측방으로 칩을 회수하기 위한 칩 회수수단(30)을 구성하여 상기 이동로에 던져진 칩(2)이 표적(25) 위치로 들어가는지에 따라 게임의 승패를 결정하도는 게임으로 컬링 경기를 응용한 새로운 방식에 의해 게임자의 재미와 흥미를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컬링 게임기{Curling Game Machine}
본 발명은 컬링 게임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칩을 슈터에서 던져 이동로를 따라 미끄럼 이동시키되, 상기 칩이 이동로에 형성된 표적 위치로 들어가는지에 따라 게임의 승패를 결정하는 게임으로 컬링 경기를 응용한 새로운 방식에 의해 게임자의 재미와 흥미가 우수한 컬링 게임기에 관한 것이다.
컬링이란 얼음판 위에서 평면으로 형성된 돌[磨石]을 던지고 브룸(Broom, 비 모양을 한 것)으로 미끄러지게 하여 표적에 넣어 득점을 겨루는 경기를 말한다.
이와 같은 컬링 경기는 스코틀랜드에서 발상한 경기로 16세기경에 성행하였다고 한다. 초기에는 돌을 사용하였고 1800년대에는 돌 대신 철을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현재에는 무게 20kg 이하, 둘레 91.4cm 이하, 높이 11.4cm의 돌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컬링 경기는 1팀 4명씩 2개조로 형성하여 길이 42.1m, 너비 4.3m의 링크 내에서, 하우스라고 하는 원 속의 표적에 2개의 돌을 상대 팀과 교대로 미끄러지게 하여 표적에 어느 편이 가까이 갔는가에 따라 점수를 겨루는 경기이다.
그러나 상기한 컬링 경기는 컬링의 발생지인 스코틀랜드나 겨울이 긴 캐나다 등에서 주로 즐기는 경기인데, 동계 올림픽 종록의 경기임에도 불구하고 겨울이 없거나 짧은 우리나라 등의 경우에 아이스링크를 갖춘 실내경기장이 적은 관계로 컬링은 대중적으로 즐길 수 없는 경기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상기 컬링 경기를 응용한 게임을 개발하여 컬링 경기의 관심을 증대시킴은 물론 겨울이 없거나 짧은 나라에서 새롭게 즐길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게임을 제공하고자 연구 노력하였다.
등록실용신안 20-0436642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칩을 슈터에서 던져 이동로를 따라 미끄럼 이동시키되, 상기 칩이 이동로에 형성된 표적 위치로 들어가는지에 따라 게임의 승패를 결정하는 게임으로 컬링 경기를 응용한 새로운 방식에 의해 게임자의 재미와 흥미를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이동로의 재질 또는 이동로에 수직으로 에어를 토출하는 것에 의해 칩의 미끄럼성을 달리 제공하거나, 상기 이동로를 직선, 곡선 또는 원형 등 다양하게 변형하여 게임의 난이도를 다양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게임자가 미끄럼 칩을 힘 조절하면서 전방으로 발사하는 슈터와, 상기 슈터에 의해 발사된 칩이 미끄럼 이동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적이 형성된 이동로 및, 상기 이동로 측방에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배출로를 형성하여 칩을 상기 경사로 외측의 회수로를 통해 회수하는 칩 회수수단으로 구성하여 게임자가 이동로로 던진 칩이 표적에 들어 갔는지에 따라 게임의 승패를 결정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상기 이동로는 다수의 에어공을 형성하여 에어 토촐에 의해 칩이 이동로에서 부상된 상태로 이동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상기 이동로는 활주로 상부에 위치하는 칩을 측방의 배출로로 배출하기 위해서 하부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상기 이동로는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칩을 슈터에서 던져 이동로를 따라 미끄럼 이동시키되, 상기 칩이 이동로에 형성된 표적 위치로 들어가는지에 따라 게임의 승패를 결정하는 게임으로 얼음판 위치에서 제한 적으로 행하던 컬링 경기를 응용한 새로운 방식에 의해 게임자의 재미와 흥미는 물론 때와 장소에 관계 없이 즐길 수 있어 만족성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이동로의 재질 또는 이동로에 수직으로 에어를 토출하는 것에 의해 칩의 미끄럼성을 달리 제공하거나, 상기 이동로를 직선, 곡선 또는 원형 등 다양하게 변형하여 게임의 난이도를 다양하게 제공하므로 게임의 재미와 흥미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게임기를 보여주는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슈터 및 이동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도 3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슈터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칩 회수수단을 보여주는 측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8은 도 7의 요부 측 단면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하다.
본 발명의 컬링 게임기는 컬링 경기를 응용한 새로운 방식의 게임으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칩(2)을 강약 조절하면서 전방으로 던지는 슈터(10)와, 상기 슈터에서 던져진 칩이 미끄럼 이동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적(25)이 형성된 이동로(20) 및, 상기 이동로(20)의 측방으로 칩을 회수하기 위한 칩 회수수단(30)을 구성하여 상기 이동로에 던져진 칩(2)이 표적(25) 위치로 들어가는지에 따라 게임의 승패를 결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칩(2)은 돌이나 금속, 그 밖에 중량감을 갖는 재질로 형성하되,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동로(20)에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슈터(10)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사대(11) 상부의 안내홈(11a)에 칩(2)을 안착시킨 상태로 게임자가 손가락으로 밀어 발사하되, 상기 발사대(11) 상부의 안내홈(11a)은 전후로 경사를 이루어 칩(2)을 더 효과적으로 미끄럼 발사하도록 구성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사대(11) 상부에 스프링(13)을 압축하면서 탄발 후퇴하는 타격구(12)를 설치하여 상기 타격구 전방의 칩(2)을 타격구의 탄발 전진 작동에 의해 가격하여 발사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이동로(20)는 칩(2)의 미끄럼 이동을 원활하게 제공하고자 마찰력이 적은 재질로 형성하거나, 상기 이동로(20)에 다수의 에어공(21)을 형성하여 에어 컴프레샤에 의해 상기 에어공(21)으로 토출되는 에어에 의해 칩(2)이 부상하면서 마찰력 최소 상태로 미끄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로(20)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직선 또는 약간의 곡선 형태로 형성하되, 이동로의 상부면도 평면 또는 요철 형태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표적(25) 위치에는 칩(2)이 표적에 들어가는지를 감지하는 칩 센서(미도시)가 설치 구성된다.
또한, 상기 칩 회수수단(30)은 이동로(20)의 측방에 경사 배출로(31)와 상기 경사 배출로 외측에 칩을 컨베이어에 의해 전방으로 회수하는 회수로(32)를 형성하되, 상기 이동로(20)는 하부 회전축(35)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하도록 구성하여 이동로 상부에 위치하는 칩(2)을 경사 배출로(31) 및 회수로(32)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동로(20)는 미도시된 실린더 또는 모터 구동에 의해 하부 회전축(35)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미설명부호로서, 5는 본체, 6은 경품 배출구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게임자는 슈터(10)에 의해 납작한 형상의 칩(2)을 이동로(20)로 던져 미끄럼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슈터(10)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발사대(11) 상부의 안내홈(11a)에서 칩(2)을 손가락으로 밀어 발사하되, 손가락으로 밀어주는 속도에 의해 칩(2)을 발사하는 강약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슈터(10)는 도 5에서와 같이 타격구(12)를 스프링(13)을 압축하면서 후퇴한 후 놓아 탄발 전진 작동하는 것에 의해 발사대(11) 상부의 칩(2)을 가격하여 발사하게 되는데, 상기 타격구(12)를 스프링(12)에 의해 압축하면서 후퇴하는 정도에 따라 칩(2)을 발사하는 강약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슈터(10)에 의해 이동로(20)로 던져진 칩(2)은 이동로(20)에서 미끄럼 이동하게 된다.
특히, 상기 이동로(20)는 마찰력이 적은 재질로 형성하거나 이동로에 다수 형성된 에어공(21)으로 에어 컴프레샤에 의해 에어를 토출하는 것에 의해 칩(2)이 부상하면서 마찰력이 최소 상태로 원활히 미끄럼 이동하면서 게임의 난이도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로(20)를 직선 또는 곡선 형태로 형성하거나 이동로(20)의 상부면을 평면 또는 요철 형태로 다양하게 형성하므로서 미끄럼 이동 경로 또는 미끄럼 이동 정도를 다양하게 제공하여 게임의 난이도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로(20)에서 미끄럼 이동하는 칩(2)이 이동로(20) 상에 마련된 표적(25)에 들어가 위치하느냐에 따라 게임의 승패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칩(2)이 이동로(20)의 표적(25)에 위치하면 게임에 승리하는 것이고, 표적(25)을 벗어나 위치하면 게임에 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표적(25)에 따라 게임의 경품을 달리 제공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단일의 표적을 여러개의 내,외측 구역으로 구분하여 어느 위치에 들어가는지에 따라 경품을 달리 제공할 수 있고, 표적을 여러 개 형성하여 해당 표적마다 경품을 달리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하여 게임이 종료되면 칩(2)은 칩 회수수단(30)에 의해 회수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칩(2)이 이동로(20)에서 벗어나 던져진 경우에는 이동로 측방의 경사 배출로(31)를 통해 외측의 회수로(32)로 배출되고 상기 회수로에서 컨베이어에 의해 전방으로 자동 회수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칩(2)이 이동로(20)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이동로(20)를 실린더 또는 모터 구동에 의해 하부 회전축(35)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하는 것에 의해 이동로(20)가 기울어져 칩이 이동로 측방의 경사 배출로(31)를 통해 외측의 회수로(32)로 배출되고 상기 회수로에서 컨베이어에 의해 전방으로 자동 회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리 실시할 수 있는데, 이는 칩(2)을 강약 조절하면서 전방으로 던지는 슈터(10)와, 상기 슈터가 접선 방향으로 설치되어 슈터에서 던져진 칩이 나선형으로 미끄럼 이동하도록 하되, 바닥에 형성된 에어공(21)에서 토출되는 에어에 의해 칩(2)이 부상하면서 미끄럼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칩이 미끄럼 이동하는 나선형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적(25)이 형성된 만곡진 요홈 형태의 원형 이동로(20') 및,
상기 원형 이동로(20') 중앙의 칩 배수공(33)으로 수거되는 칩을 회수하기 위한 칩 회수수단(30)을 구성하여 상기 이동로에서 나선형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칩(2)이 표적(25) 위치를 지나는지에 따라 게임의 승패를 결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전술한 실시 예와 비교하여 볼때 이동로를 요홈 형태의 원형 구조를 갖는 원형 이동로(20')로 형성하여 상기 원형 이동로에 칩을 나선형으로 미끄럼 이동하면서 칩(2)이 표적을 지나는지에 따라 게임의 승패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슈터(10)에 의해 원형 이동로(20')의 접선 방향으로 던져진 칩(2)이 만곡진 요홈 형태의 원형 이동로(20')에서 나선형으로 미끄럼 이동하게 된다.
이때에도 상기 원형 이동로(20')는 마찰력이 적은 재질로 형성하거나 원형 이동로 바닥에 다수 형성된 에어공(21)으로 에어 컴프레샤에 의해 에어를 토출하는 것에 의해 칩(2)이 부상하면서 마찰력이 최소 상태로 원활히 미끄럼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상기 원형 이동로(20')에 나선형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칩(2)이 원형 이동로에 형성된 표적(25) 위치를 지나는지에 따라 게임의 승패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칩(2)이 원형 이동로(20')의 표적(25) 위치를 지나면 게임에 승리하는 것이고, 표적(25) 위치를 벗어나 지나면 게임에 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원형 이동로(20')에서 나선형으로 미끄럼 이동한 칩(2)은 원형 이동로 중앙의 칩 배수공(33)으로 배출되어 칩 회수수단(30)에 의해 회수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칩 회수수단(30)은 컨베이어 등 다양한 방식으로 칩(2)을 회수할 수 있는 것이다.
2: 미끄럼 칩 10: 슈터
11: 발사대 12: 타격구
13: 스프링 15: 경사로
16: 안내로 20,20': 이동로
25: 표적 30: 칩 회수수단
31: 배출로 32: 회수로
33: 칩 배수공 35: 회전축

Claims (6)

  1. 삭제
  2. 칩(2)을 강약 조절하면서 전방으로 던지는 슈터(10)와,
    상기 슈터에서 던져진 칩이 미끄럼 이동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적(25)이 형성된 이동로(20) 및,
    상기 이동로(20)의 측방으로 칩을 회수하기 위한 칩 회수수단(30)을 구성하되,
    상기 이동로(20)에는 에어공(21)들을 형성하여 에어 컴프레샤에 의해 상기 에어공(21)으로 토출되는 에어에 의해 칩(2)이 부상하면서 미끄럼 이동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이동로에 던져진 칩(2)이 표적(25) 위치로 들어가는지에 따라 게임의 승패를 결정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링 게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로(20)는 직선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링 게임기.
  4.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로(20)는 곡선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링 게임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칩 회수수단(30)은 이동로(20)의 측방에 경사 배출로(31)와 상기 경사 배출로 외측에 칩을 컨베이어에 의해 전방으로 회수하는 회수로(32)를 형성하되, 상기 이동로(20)는 하부 회전축(35)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하도록 구성하여 이동로 상부에 위치하는 칩(2)을 경사 배출로(31) 및 회수로(32)로 배출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링 게임기.
  6. 칩(2)을 강약 조절하면서 전방으로 던지는 슈터(10)와,
    상기 슈터가 접선 방향으로 설치되어 슈터에서 던져진 칩이 나선형으로 미끄럼 이동하도록 하되, 바닥에 형성된 에어공(21)에서 토출되는 에어에 의해 칩(2)이 부상하면서 미끄럼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칩이 미끄럼 이동하는 나선형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적(25)이 형성된 만곡진 요홈 형태의 원형 이동로(20') 및,
    상기 원형 이동로(20') 중앙의 칩 배수공(33)으로 수거되는 칩을 회수하기 위한 칩 회수수단(30)을 구성하여 상기 이동로에서 나선형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칩(2)이 표적(25) 위치를 지나는지에 따라 게임의 승패를 결정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링 게임기.
KR1020140025976A 2014-03-05 2014-03-05 컬링 게임기 KR101586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976A KR101586685B1 (ko) 2014-03-05 2014-03-05 컬링 게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976A KR101586685B1 (ko) 2014-03-05 2014-03-05 컬링 게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351A KR20150104351A (ko) 2015-09-15
KR101586685B1 true KR101586685B1 (ko) 2016-01-19

Family

ID=54244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976A KR101586685B1 (ko) 2014-03-05 2014-03-05 컬링 게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66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553A (ko) 2018-03-12 2019-09-20 최해용 컬링 게임 장치
WO2021162571A1 (ru) * 2020-02-10 2021-08-19 Андрей Николаевич ПЕТРОВ Комплекс для интерактивной спортивной игры в кёрлинг лайт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727B1 (ko) * 2018-04-11 2018-07-06 오경근 컬링 게임세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8782B2 (ja) * 1994-02-21 2004-03-22 株式会社セガ エアゲーム機
JP3617536B2 (ja) * 1994-04-11 2005-02-09 株式会社セガ 玉入れゲーム機
KR200436642Y1 (ko) 2006-10-13 2007-09-19 송진언 에어컬링 유닛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553A (ko) 2018-03-12 2019-09-20 최해용 컬링 게임 장치
US11052305B2 (en) 2018-03-12 2021-07-06 Hae-Yong Choi Curling game apparatus
WO2021162571A1 (ru) * 2020-02-10 2021-08-19 Андрей Николаевич ПЕТРОВ Комплекс для интерактивной спортивной игры в кёрлинг лай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351A (ko) 201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4947B1 (en) Lawn dart
US8267738B2 (en) Toy
KR101586685B1 (ko) 컬링 게임기
KR102230673B1 (ko) 컬링 게임 장치
US7775915B2 (en) Water disk sports game and target
US3537707A (en) Manually operated projectile throwing device for games
US3480277A (en) Table football game
CA2591165A1 (en) Playing surface for a game and method of using a game playing surface
US4258911A (en) Skateboard arena
US4968031A (en) Pinball machine with ball-launching ramps
US3856303A (en) Basketball game
US20150137454A1 (en) 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US5358256A (en) Horsesticks game assembly and method of play
US3559990A (en) Bowling game apparatus with surface of parabolid shape
US1987000A (en) Bowling alley
JP2014180527A (ja) カーリング様卓上遊戯具
JP3217959U (ja) ダブルプレイ用ピンボールゲーム機のボール回収・分割装置
CN212662658U (zh) 游戏装置
JP3132382U (ja) 遊戯具
US4183533A (en) Game with pivoting projector and target compartments
US1680356A (en) Indoor parlor miniature football game
US3111315A (en) Bowling game with pins separated by divider strips
US3820788A (en) Up hill toy racing game
US1934502A (en) Game
US200701261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a projectile and board g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