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144B1 - 전진 5단 및 후진 1단을 가지는 자동차용 변속기 - Google Patents

전진 5단 및 후진 1단을 가지는 자동차용 변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6144B1
KR101586144B1 KR1020140054653A KR20140054653A KR101586144B1 KR 101586144 B1 KR101586144 B1 KR 101586144B1 KR 1020140054653 A KR1020140054653 A KR 1020140054653A KR 20140054653 A KR20140054653 A KR 20140054653A KR 101586144 B1 KR101586144 B1 KR 101586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input shaft
speed change
shaft
rotation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9116A (ko
Inventor
신택현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40054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144B1/ko
Publication of KR20150129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9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with means for synchronisation not incorporated in the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087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 F16H3/093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with two or more counter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20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 F16H2200/203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engaging friction means not of the freewheel type, e.g. friction clutches or brakes
    • F16H2200/2043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engaging friction means not of the freewheel type, e.g. friction clutches or brakes with five engag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진 5단 및 후진 1단을 가지는 자동차용 변속기에 관한 것으로, 엔진의 출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 입력축, 상기 제1 입력축의 외측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엔진의 출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2 입력축, 상기 제1 입력축 및 상기 제2 입력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입력축 또는 상기 제2 입력축으로부터 전달받는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출력하게 하는 복수의 싱크로나이저를 포함하는 제1 기어부, 상기 제1 입력축 및 상기 제2 입력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입력축 또는 상기 제2 입력축으로부터 전달받는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출력하게 하는 복수의 싱크로나이저를 포함하는 제2 기어부 및 상기 제1 기어부 및 상기 제2 기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기어부 또는 상기 제2 기어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축을 포함하는 유성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전진 5단 및 후진 1단을 가지는 자동차용 변속기{TRANSMISSION FOR VEHICLE HAVING ADVANCE 5 SPPED AND BACK 1 SPEED}
본 발명은 전진 5단 및 후진 1단을 가지는 자동차용 변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의 출력을 상시 입력받아 변속하고, 변속되는 동력의 출력을 싱크로나이저 장치를 통해 단속함으로써 듀얼 클러치 변속기와 같은 변속 구조를 구현하는 전진 5단 및 후진 1단을 가지는 자동차용 변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듀얼 클러치 변속기는 현재 소형 차량에 적용중인 ASG(automated shift gear) 변속기에서 단점으로 대두되는 변속시 클러치 단절에 따른 변속 지연감을 개선한 2세대 자동화된 수동 변속기의 일종으로서, 자동 변속기에 대비 연비와 효율의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듀얼 클러치 변속기는 입력축에 2개의 클러치를 사용하여, 미리 변속될 기어의 싱크로를 결합하고, 현재 결합된 하나의 클러치를 해제하는 동시에, 새로운 클러치를 결합하여 변속을 함으로써, 클러치의 단절에 의한 변속 지연감(변속중 토크의 저하)을 개선하였다.
현재 개발된 듀얼 클러치 변속기는 습식 클러치를 적용하는 것과, 건식 클러치를 적용하는 것에 따라 습식 듀얼 클러치 변속기와 건식 듀얼 클러치 변속기로 구분되고 있다. 건식 클러치의 경우에는 마모에 따른 문제의 발생으로 인해 클러치 제어에 어려움이 있는 반면에 습식 클러치는 제어에 있어 이미 자동 변속기에서 적용되는 기술을 적용하는 데 큰 무리가 없기 때문에, 현재 고토크의 고급 차종에서는 습식 클러치를 이용한 듀얼 클러치 변속기를 채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보다 작은 공간내에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듀얼 클러치 변속기는 한국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007459호 및 한국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109514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듀얼 클러치 변속기는 엔진의 출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플라이휠에 클러치가 붙거나 떨어지는 작동시 동력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듀얼 클러치 변속기는 플라이휠에 클러치가 붙거나 떨어지는 작동시 충격 및 진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플라이휠과 클러치의 결합을 통한 동력 단속 구조를 사용하지 않고 엔진의 출력을 전달받아 변속기 내부에서 변속기 외부로 출력되는 동력을 단속함으로써, 듀얼 클러치 변속기와 유사한 변속 구조를 형성하여 변속 효율 및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진 5단 및 후진 1단을 가지는 자동차용 변속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이휠과 클러치의 결합 구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플라이휠에 클러치가 붙거나 떨어지는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동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전진 5단 및 후진 1단을 가지는 자동차용 변속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이휠과 클러치의 결합 구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플라이휠에 클러치가 붙거나 떨어지는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 및 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전진 5단 및 후진 1단을 가지는 자동차용 변속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엔진의 출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 입력축, 상기 제1 입력축의 외측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엔진의 출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2 입력축, 상기 제1 입력축 및 상기 제2 입력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입력축 또는 상기 제2 입력축으로부터 전달받는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출력하게 하는 복수의 싱크로나이저를 포함하는 제1 기어부, 상기 제1 입력축 및 상기 제2 입력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입력축 또는 상기 제2 입력축으로부터 전달받는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출력하게 하는 복수의 싱크로나이저를 포함하는 제2 기어부 및 상기 제1 기어부 및 상기 제2 기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기어부 또는 상기 제2 기어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축을 포함하는 유성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기어부는 상기 유성기어부에 연결되는 제1 회전축, 상기 제2 입력축에 연결되는 제1 변속 기어 및 제3 변속 기어, 상기 제2 입력축으로부터 상기 제1 변속 기어 및 상기 제3 변속 기어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상기 제1 회전축으로 선택적으로 전달하게 하는 제1 싱크로나이저, 상기 제1 입력축에 연결되는 제5 변속 기어 및 상기 제1 입력축으로부터 상기 제5 변속 기어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상기 제1 회전축으로 선택적으로 전달하게 하는 제2 싱크로나이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싱크로나이저는 상기 제1 변속 기어 또는 상기 제3 변속 기어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회전축으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기어부는 상기 유성기어부에 연결되는 제2 회전축, 상기 제2 입력축에 연결되는 제2 변속 기어, 상기 제2 입력축으로부터 상기 제2 변속 기어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상기 제2 회전축으로 선택적으로 전달하게 하는 제3 싱크로나이저, 상기 제1 입력축에 연결되는 제4 변속 기어 및 제6 변속 기어 및 상기 제1 입력축으로부터 상기 제4 변속 기어 및 상기 제6 변속 기어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상기 제2 회전축으로 선택적으로 전달하게 하는 제4 싱크로나이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기어부는 상기 제2 변속 기어, 상기 제4 변속 기어 또는 상기 제6 변속 기어 중 어느 하나가 후진단 기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4 싱크로나이저는 상기 제4 변속 기어 또는 상기 제6 변속 기어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제2 회전축으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성기어부는 선기어, 복수의 유성기어 및 링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축이 상기 선기어, 상기 유성기어 또는 상기 링기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기어부는 상기 선기어, 상기 유성기어 또는 상기 링기어 중 상기 출력축이 결합되는 하나를 제외한 다른 기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성기어부는 상기 선기어, 상기 유성기어 또는 상기 링기어 중 상기 제1 기어부에 결합되는 기어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1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기어부는 상기 선기어, 상기 유성기어 또는 상기 링기어 중 상기 출력축 및 상기 제1 기어부가 결합되는 기어를 제외한 나머지 하나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성기어부는 상기 선기어, 상기 유성기어 또는 상기 링기어 중 상기 제2 기어부에 결합되는 기어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2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라이휠과 클러치의 결합을 통한 동력 단속 구조를 사용하지 않고 엔진의 출력을 전달받아 변속기 내부에서 변속기 외부로 출력되는 동력을 변속기 내부에서 싱크로나이저 장치를 통해 단속함으로써, 듀얼 클러치 변속기와 유사한 변속 구조를 형성하여 변속 효율 및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플라이휠과 클러치의 결합 구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플라이휠에 클러치가 붙거나 떨어지는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동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플라이휠과 클러치의 결합 구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플라이휠에 클러치가 붙거나 떨어지는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 및 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진 5단 및 후진 1단을 가지는 자동차용 변속기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전진 5단 및 후진 1단을 가지는 자동차용 변속기의 홀수단 변속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전진 5단 및 후진 1단을 가지는 자동차용 변속기의 짝수단 및 후진단 변속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진 5단 및 후진 1단을 가지는 자동차용 변속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진 5단 및 후진 1단을 가지는 자동차용 변속기(100)는 엔진(10)으로부터 출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 입력축(110) 및 제2 입력축(120)과, 제1 입력축(110) 및 제2 입력축(120)에 연결되는 제1 기어부(130) 및 제2 기어부(140)와, 제1 기어부(130) 및 제2 기어부(140)에 연결되는 유성기어부(150)를 포함한다.
제1 입력축(110)은 엔진(10)으로부터 엔진(10)의 출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중실축으로 형성된다. 제1 입력축(110)은 일측에 제1 입력 기어(111)와 제2 입력 기어(112)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한다. 여기서, 제1 입력 기어(111)는 제2 기어부(140)로 제1 입력축(110)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또한, 제2 입력 기어(112)는 제1 기어부(130) 및 제2 기어부(140)로 제1 입력축(110)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제2 입력축(120)은 제1 입력축(110)의 외측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중공축으로 형성되고, 엔진(10)으로부터 엔진(10)의 출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제2 입력축(120)은 일측에 제3 입력 기어(121)와 제4 입력 기어(122)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한다. 여기서, 제3 입력 기어(121)는 제1 기어부(130)로 제2 입력축(120)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또한, 제4 입력 기어(122)는 제1 기어부(130) 및 제2 기어부(140)로 제2 입력축(120)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제1 기어부(130)는 제1 입력축(110) 및 제2 입력축(120)에 연결되어 제1 입력축(110) 또는 제2 입력축(120)으로부터 전달받는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출력하게 하는 복수의 싱크로나이저를 포함한다. 제1 기어부(130)는 유성기어부(150)에 연결되는 제1 회전축(131)과, 제2 입력축(120)에 연결되는 제1 변속 기어(132) 및 제3 변속 기어(133), 제2 입력축(120)으로부터 제1 변속 기어(132) 및 제3 변속 기어(133)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제1 회전축(131)으로 선택적으로 전달하게 하는 제1 싱크로나이저(134)와, 제1 입력축(110)에 연결되는 제5 변속 기어(135) 및 제1 입력축(110)으로부터 제5 변속 기어(135)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제1 회전축(131)으로 선택적으로 전달하게 하는 제2 싱크로나이저(136)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변속 기어(132)는 제3 입력 기어(121)에 연결되고, 제3 변속 기어(133)는 제4 입력 기어(122)에 연결되어 제2 입력축(12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또한, 제5 변속 기어(135)는 제2 입력 기어(112)에 연결되어 제1 입력축(11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이때, 제1 변속 기어(132), 제3 변속 기어(133) 및 제5 변속 기어(135)는 제1 회전축(131)과 별개로 회전하도록 제1 회전축(131)에 결합된다.
제1 기어부(130)는 제1 입력축(110) 및 제2 입력축(120)으로부터 전달받는 회전력을 제1 싱크로나이저(134) 또는 제2 싱크로나이저(136)를 통해 제1 회전축(131)으로 전달되는 것을 단속함으로써, 유성기어부(150)로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이때, 제1 싱크로나이저(134)는 제1 변속 기어(132) 및 제3 변속 기어(133)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싱크로나이저(136)는 제5 변속 기어(135)의 일측에 이격되게 배치된다. 즉, 제1 싱크로나이저(134)는 제1 변속 기어(132) 및 제3 변속 기어(133)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제1 회전축(131)으로 연결한다.
제2 기어부(140)는 제1 입력축(110) 및 제2 입력축(120)에 연결되어 제1 입력축(110) 또는 제2 입력축(120)으로부터 전달받는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출력하게 하는 복수의 싱크로나이저를 포함한다. 제2 기어부(140)는 유성기어부(150)에 연결되는 제2 회전축(141)과, 제2 입력축(120)에 연결되는 제2 변속 기어(142)와, 제2 입력축(120)으로부터 제2 변속 기어(142)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제2 회전축(141)으로 선택적으로 전달하게 하는 제3 싱크로나이저(143)와, 제1 입력축(110)에 연결되는 제4 변속 기어(144) 및 제6 변속 기어(145), 및 제1 입력축(110)으로부터 제4 변속 기어(144) 및 제6 변속 기어(145)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제2 회전축(141)으로 선택적으로 전달하게 하는 제4 싱크로나이저(146)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변속 기어(142)는 제4 입력 기어(122)에 연결되어 제2 입력축(12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는다. 또한, 제4 변속 기어(144)는 제1 입력 기어(111)에 연결되고, 제6 변속 기어(145)는 제2 입력 기어(112)에 연결되어 제1 입력축(11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이때, 제2 변속 기어(142), 제4 변속 기어(144) 및 제6 변속 기어(145)는 제2 회전축(141)과 별개로 회전하도록 제2 회전축(141)에 결합된다.
제2 기어부(140)는 제1 입력축(110) 및 제2 입력축(120)으로부터 전달받는 회전력을 제3 싱크로나이저(143) 또는 제4 싱크로나이저(146)를 통해 제2 회전축(141)으로 전달되는 것을 단속함으로써, 유성기어부(150)로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제2 기어부(140)는 제2 변속 기어(142)와, 제4 변속 기어(144) 또는 제6 변속 기어(145) 중 어느 하나가 후진단 기어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기어부(140)는 제2 변속 기어(142) 및 제4 변속 기어(144)는 전진단 기어로 형성되고, 제6 변속 기어(145)는 후진단 기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어부(140)는 제1 입력축(110)과 제6 변속 기어(145) 사이에 결합되는 후진 변속 기어(147)를 포함한다.
이때, 제3 싱크로나이저(143)는 제1 변속 기어(132)의 일측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제4 싱크로나이저(146)는 제4 변속 기어(144) 및 제6 변속 기어(145) 사이에 배치된다. 즉, 제4 싱크로나이저(146)는 제4 변속 기어(144) 또는 제6 변속 기어(145)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제2 회전축(141)으로 연결한다.
유성기어부(150)는 제1 기어부(130) 및 제2 기어부(140)에 연결되고, 제1 기어부(130) 또는 제2 기어부(14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축(151)을 포함한다. 유성기어부(150)는 선기어, 복수의 유성기어 및 링기어를 포함하고, 출력축(151)이 선기어, 복수의 유성기어 또는 링기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다. 이때, 제1 기어부(130)는 선기어, 복수의 유성기어 또는 링기어 중 출력축(151)이 결합되는 하나를 제외한 다른 기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다. 또한, 제2 기어부(140)는 선기어, 복수의 유성기어 또는 링기어 중 출력축(151) 및 제1 기어부(130)가 결합되는 기어를 제외한 나머지 하나에 결합된다.
또한, 유성기어부(150)는 선기어, 복수의 유성기어 또는 링기어 중 제1 기어부(130)에 결합되는 기어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1 브레이크(153)를 포함하고, 선기어, 복수의 유성기어 또는 링기어 중 제2 기어부(140)에 결합되는 기어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2 브레이크(15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브레이크(153) 및 제2 브레이크(154)는 습식 클러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성기어부(150)는 제1 기어부(130)가 제1 입력축(110) 또는 제2 입력축(120)에 연결되는 경우, 제2 브레이크(154)가 작동하여 제2 기어부(140)에 연결된 기어의 회전이 제한되고 출력축(151)으로 동력을 출력한다. 또한, 유성기어부(150)는 제2 기어부(140)가 제1 입력축(110) 또는 제2 입력축(120)에 연결되는 경우, 제1 브레이크(153)가 작동하여 제1 기어부(130)에 연결된 기어의 회전이 제한되고 출력축(151)으로 동력을 출력한다.
이러한 전진 5단 및 후진 1단을 가지는 자동차용 변속기(100)는 제1 기어부(130)가 홀수단으로 형성되고, 제2 기어부(140)가 짝수단 및 후진단으로 형성되어 듀얼 클러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듀얼 클러치 변속기와 같은 변속 구조를 구현한다. 즉, 전진 5단 및 후진 1단을 가지는 자동차용 변속기(100)는 제1 기어부(130)에 1단, 3단 및 5단 변속 기어를 구비하고, 제2 기어부(140)에 2단, 4단 및 후진 변속 기어를 구비하여 홀수단과 짝수단이 순차적으로 변속하도록 작동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통해 전진 5단 및 후진 1단을 가지는 자동차용 변속기(100)의 작동 상태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전진 5단 및 후진 1단을 가지는 자동차용 변속기의 홀수단 변속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진 5단 및 후진 1단을 가지는 자동차용 변속기(100)는 제1 기어부(130)가 홀수단 변속 기어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변속 기어(132)는 전진 1단 변속 기어로, 제3 변속 기어(133)는 전진 3단 변속 기어로, 제5 변속 기어(135)는 전진 5단 변속 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기어부(130)는 제1 변속 기어(132)와 제3 변속 기어(133) 사이에 배치된 제1 싱크로나이저(134)가 제1 변속 기어(132) 또는 제3 변속 기어(133) 중 어느 하나에 치합되어 전진 1단 또는 전진 3단을 구현한다. 또한, 제1 기어부(130)는 제5 변속 기어(135)의 일측에 배치된 제2 싱크로나이저(136)가 제5 변속 기어(135)에 치합되어 전진 5단을 구현한다.
여기서, 제1 변속 기어(132), 제3 변속 기어(133) 및 제5 변속 기어(135)는 제1 내지 제4 입력 기어(111, 112, 121, 122)와의 기어비 설계에 따라 다른 전진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전진 5단 및 후진 1단을 가지는 자동차용 변속기의 짝수단 및 후진단 변속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진 5단 및 후진 1단을 가지는 자동차용 변속기(100)는 제2 기어부(140)가 짝수단 또는 후진단 변속 기어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변속 기어(142)는 전진 2단 변속 기어로, 제4 변속 기어(144)는 전진 4단 변속 기어로, 제6 변속 기어(145)는 후진단 변속 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2 기어부(140)는 제2 변속 기어(142)의 일측에 배치된 제3 싱크로나이저(143)가 제2 변속 기어(142)에 치합되어 전진 2단을 구현한다. 또한, 제2 기어부(140)는 제4 변속 기어(144)와 제6 변속 기어(145) 사이에 배치된 제4 싱크로나이저(146)가 제4 변속 기어(144) 또는 제6 변속 기어(145) 중 어느 하나에 치합되어 전진 4단 또는 후진단을 구현한다. 이때, 제6 변속 기어(145)와 제2 입력 기어(112) 사이에는 후진 변속 기어(147)가 결합된다.
여기서, 제2 변속 기어(142), 제4 변속 기어(144) 및 제6 변속 기어(145)는 제1 내지 제4 입력 기어(111, 112, 121, 122)와의 기어비 설계에 따라 다른 전진단 또는 후진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진 5단 및 후진 1단을 가지는 자동차용 변속기(100)는 종래의 플라이휠과 클러치를 이용하여 변속기로 전달되는 엔진 동력을 단속하는 구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플라이휠과 클러치를 삭제하여 중량을 저감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진 5단 및 후진 1단을 가지는 자동차용 변속기(100)는 내부에서 외부로 출력되는 동력을 변속기 내부에서 싱크로나이저 장치를 통해 단속하고, 제1 기어부(130)를 홀수단으로, 제2 기어부(140)를 짝수단 및 후진단으로 구성하여 듀얼 클러치 변속기와 유사한 변속 구조를 형성하여 변속 효율 및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전진 5단 및 후진 1단을 가지는 자동차용 변속기
110 : 제1 입력축 111 : 제1 입력 기어
112 : 제2 입력 기어 120 : 제2 입력축
121 : 제3 입력 기어 122 : 제4 입력 기어
130 : 제1 기어부 131 : 제1 회전축
132 : 제1 변속 기어 133 : 제3 변속 기어
134 : 제1 싱크로나이저 135 : 제5 변속 기어
136 : 제2 싱크로나이저 140 : 제2 기어부
141 : 제2 회전축 142 : 제2 변속 기어
143 : 제3 싱크로나이저 144 : 제4 변속 기어
145 : 제6 변속 기어 146 : 제4 싱크로나이저
147 : 후진 변속 기어 150 : 유성기어부
151 : 출력축 152 : 유성기어
153 : 제1 브레이크 154 : 제2 브레이크

Claims (11)

  1. 엔진의 출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 입력축;
    상기 제1 입력축의 외측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엔진의 출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2 입력축;
    상기 제1 입력축 및 상기 제2 입력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입력축 또는 상기 제2 입력축으로부터 전달받는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출력하게 하는 복수의 싱크로나이저를 포함하는 제1 기어부;
    상기 제1 입력축 및 상기 제2 입력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입력축 또는 상기 제2 입력축으로부터 전달받는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출력하게 하는 복수의 싱크로나이저를 포함하는 제2 기어부; 및
    상기 제1 기어부 및 상기 제2 기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기어부 또는 상기 제2 기어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축을 포함하는 유성기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어부는
    상기 유성기어부에 연결되는 제1 회전축,
    상기 제2 입력축에 연결되는 제1 변속 기어 및 제3 변속 기어,
    상기 제2 입력축으로부터 상기 제1 변속 기어 및 상기 제3 변속 기어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상기 제1 회전축으로 선택적으로 전달하게 하는 제1 싱크로나이저,
    상기 제1 입력축에 연결되는 제5 변속 기어, 및
    상기 제1 입력축으로부터 상기 제5 변속 기어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상기 제1 회전축으로 선택적으로 전달하게 하는 제2 싱크로나이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진 5단 및 후진 1단을 가지는 자동차용 변속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싱크로나이저는
    상기 제1 변속 기어 또는 상기 제3 변속 기어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회전축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진 5단 및 후진 1단을 가지는 자동차용 변속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부는
    상기 유성기어부에 연결되는 제2 회전축,
    상기 제2 입력축에 연결되는 제2 변속 기어,
    상기 제2 입력축으로부터 상기 제2 변속 기어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상기 제2 회전축으로 선택적으로 전달하게 하는 제3 싱크로나이저,
    상기 제1 입력축에 연결되는 제4 변속 기어 및 제6 변속 기어, 및
    상기 제1 입력축으로부터 상기 제4 변속 기어 및 상기 제6 변속 기어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상기 제2 회전축으로 선택적으로 전달하게 하는 제4 싱크로나이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진 5단 및 후진 1단을 가지는 자동차용 변속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부는
    상기 제2 변속 기어, 상기 제4 변속 기어 또는 상기 제6 변속 기어 중 어느 하나가 후진단 기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진 5단 및 후진 1단을 가지는 자동차용 변속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싱크로나이저는
    상기 제4 변속 기어 또는 상기 제6 변속 기어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제2 회전축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진 5단 및 후진 1단을 가지는 자동차용 변속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기어부는
    선기어, 복수의 유성기어 및 링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축이 상기 선기어, 상기 유성기어 또는 상기 링기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진 5단 및 후진 1단을 가지는 자동차용 변속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부는
    상기 선기어, 상기 유성기어 또는 상기 링기어 중 상기 출력축이 결합되는 하나를 제외한 다른 기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진 5단 및 후진 1단을 가지는 자동차용 변속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기어부는
    상기 선기어, 상기 유성기어 또는 상기 링기어 중 상기 제1 기어부에 결합되는 기어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1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진 5단 및 후진 1단을 가지는 자동차용 변속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부는
    상기 선기어, 상기 유성기어 또는 상기 링기어 중 상기 출력축 및 상기 제1 기어부가 결합되는 기어를 제외한 나머지 하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진 5단 및 후진 1단을 가지는 자동차용 변속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기어부는
    상기 선기어, 상기 유성기어 또는 상기 링기어 중 상기 제2 기어부에 결합되는 기어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2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진 5단 및 후진 1단을 가지는 자동차용 변속기.
KR1020140054653A 2014-05-08 2014-05-08 전진 5단 및 후진 1단을 가지는 자동차용 변속기 KR101586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653A KR101586144B1 (ko) 2014-05-08 2014-05-08 전진 5단 및 후진 1단을 가지는 자동차용 변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653A KR101586144B1 (ko) 2014-05-08 2014-05-08 전진 5단 및 후진 1단을 가지는 자동차용 변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116A KR20150129116A (ko) 2015-11-19
KR101586144B1 true KR101586144B1 (ko) 2016-01-18

Family

ID=54843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653A KR101586144B1 (ko) 2014-05-08 2014-05-08 전진 5단 및 후진 1단을 가지는 자동차용 변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614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42575A1 (en) * 2012-09-11 2014-03-20 Scania Cv Ab Transmission system for a mot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0859A (ja) * 1982-04-17 1983-10-22 Yoichi Mori 平行軸自動変速機
KR100957149B1 (ko) * 2007-12-17 2010-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동 변속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42575A1 (en) * 2012-09-11 2014-03-20 Scania Cv Ab Transmission system for a mot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116A (ko) 2015-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6470B2 (en) Powertrain for hybrid vehicle
KR101664560B1 (ko) 차량용 다단 자동변속기
US9346462B2 (en) Powertrain for hybrid vehicle
JP5155910B2 (ja) 大型車両用ツインクラッチ式変速機
JP4782188B2 (ja) 気動車用ツインクラッチ式変速機
WO2015149515A1 (zh) 一种汽车双离合器变速器
WO2015106597A1 (zh) 内置式同步器及其换挡操纵机构
JP5351224B2 (ja) 自動化手動変速機
CN107559413B (zh) 用于混合动力车辆的变速器
JP2008309332A (ja) ツインクラッチ式変速機
KR101416377B1 (ko) 차량용 변속장치
JP2010117007A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2007085436A (ja) 歯車式多段変速装置
KR101586144B1 (ko) 전진 5단 및 후진 1단을 가지는 자동차용 변속기
US10641359B2 (en) Transmission for vehicle
JP2011085244A (ja) 自動変速機
US20180238427A1 (en) Double gearbox, and method for engaging an overall gear ratio therein
US20180031082A1 (en) Transmission for vehicle
JP5804293B2 (ja) 変速装置
KR20210108518A (ko) 차량의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US10072733B2 (en) Automated manual transmission
JP6665567B2 (ja) 多段変速機
KR20150129117A (ko) 전진 7단 및 후진 1단을 가지는 자동차용 변속기
KR102030198B1 (ko) 차량 변속기
KR101601439B1 (ko) 차량용 변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