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066B1 - 건축물용 매입형 배전반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용 매입형 배전반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6066B1
KR101586066B1 KR1020150122528A KR20150122528A KR101586066B1 KR 101586066 B1 KR101586066 B1 KR 101586066B1 KR 1020150122528 A KR1020150122528 A KR 1020150122528A KR 20150122528 A KR20150122528 A KR 20150122528A KR 101586066 B1 KR101586066 B1 KR 101586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board
plate
position information
installation hol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영
Original Assignee
(주)케이디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디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케이디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50122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0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52Mounting on r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0Wall-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4Hinged covers 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용 매입형 배전반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건축물용 매입형 배전반 고정구조는 일측이 개구되고, 내측으로 깊이를 갖는 설치홀(101)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홀(101)을 개폐하는 개폐 도어(110)가 설치되는 벽체부(100)와; 상기 설치홀(101)에 수평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수의 부품(10)이 내장되는 배전반(400)을 상기 설치홀(101)로부터 인출 또는 상기 설치홀(101)로 인입시키는 배전반 이동부(200); 및 상기 배전반 이동부(200)에 설치되며, 상기 배전반(400)을 수평 회전시키는 배전반 회전부(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물용 매입형 배전반 고정구조{SETTING STRUCTURE OF INSERT TYPE SWITCHBOARD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물용 매입형 배전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벽체에 매입되어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수평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원하는 측의 도어를 개방하도록 함과 아울러, 배전반 내부의 고장 부품을 교체하지 않고, 벽체 외부에 보조로 설치되는 부품으로 대치하여 구동을 중지하지 않도록 하여 고장 부품으로 인한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건축물용 매입형 배전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전기의 사용량이 많은 공장이나 빌딩, 또는 변전소 등지의 옥내나 옥외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벽체의 전방에 개폐가능한 도어가 구비되어 배전 조작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철재 케이스의 후방에도 도어가 구비되어 있는 구조의 배전반도 개시되어 있으며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며 그 형상 또한 다양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배전반을 벽체에 매립하거나, 지중에 매립하는 배전반 고정 구조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배전반은 벽체 또는 지중에 형성되는 공간에 단순히 삽입 설치 하는 구조로, 배전반 내의 부품들을 수리하는 경우, 부품들의 위치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배전반 자체를 벽체 또는 지중으로부터 분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 특허 등록 번호 제10-10618590000호(2011.08.29)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벽체에 매입되어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수평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원하는 측의 도어를 개방하도록 함과 아울러, 배전반 내부의 고장 부품을 교체하지 않고, 벽체 외부에 보조로 설치되는 부품으로 대치하여 구동을 중지하지 않도록 하여 고장 부품으로 인한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건축물용 매입형 배전반 고정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건축물용 매입형 배전반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건축물용 매입형 배전반 고정구조는 일측이 개구되고, 내측으로 깊이를 갖는 설치홀(101)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홀(101)을 개폐하는 개폐 도어(110)가 설치되는 벽체부(100)와; 상기 설치홀(101)에 수평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수의 부품(10)이 내장되는 배전반(400)을 상기 설치홀(101)로부터 인출 또는 상기 설치홀(101)로 인입시키는 배전반 이동부(200); 및 상기 배전반 이동부(200)에 설치되며, 상기 배전반(400)을 수평 회전시키는 배전반 회전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배전반 이동부(200)는, 상기 설치홀(101)의 내부 하단 양측벽에서 상기 설치홀(1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된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제 1이동 레일(210)과,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제 1이동 레일(210)에 연결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하측 지지 플레이트(220)와, 상기 한 쌍의 제 1이동 레일(210)에 연결되어, 상기 하측 지지 플레이트(220)를 이동시키는 제 1리니어 모터(230)와, 상기 설치홀(101)의 내부 상단 양측벽에서 상기 설치홀(1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된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제 2이동 레일(240)과,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제 2이동 레일(240)에 연결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측 지지 플레이트(250)와, 상기 한 쌍의 제 2이동 레일(240)에 연결되어, 상기 상측 지지 플레이트(250)를 이동시키는 제 2리니어 모터(260)와, 상기 제 1리니어 모터(230) 및 상기 제 2리니어 모터(260)를 구동시키는 제어기(270)를 구비한다.
상기 상측 지지 플레이트(250)와 상기 하측 지지 플레이트(220)는 상하를 따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배전반(400)은, 상기 상측 지지 플레이트(250)와 상기 하측 지지 플레이트(220)의 단부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배전반 회전부(300)는, 상기 하측 지지 플레이트(220)의 단부 상단에 수평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측 회전판(310)과, 상기 상측 지지 플레이트(250)의 단부 하단에 수평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측 회전판(320)과, 상기 제어기(27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하측 회전판(310) 또는 상기 상측 회전판(320)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회전기(330)를 구비한다.
상기 배전반(400)의 상단 중앙 및 하단 중앙 각각에는, 다각 형상의 끼움 돌기(20)가 형성된다.
상기 하측 회전판(310)과, 상기 상측 회전판(320)의 각각의 중앙에는, 상기 끼움 돌기(20)가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홈(311,32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배전반(40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 중앙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의 부품 설치 공간(a)을 형성하는 다수의 구획판(411)을 갖는 배전반 몸체(410)와, 상기 배전반 몸체(410)의 외주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부품 설치 공간(a)을 개폐하는 다수의 배전반 도어(420)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부품 설치 공간(a) 각각에는, 해당 위치 정보가 저장되며, 저장된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제어기(270)로 전송하는 다수의 위치 센서(430)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270)는, 목적 위치 정보를 선택하는 선택기(2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선택기(280)를 통해 상기 목적 위치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기(270)는, 상기 회전기(330)를 사용하여, 선택된 상기 목적 위치 정보에 해당되는 위치 정보를 갖는 상기 위치 센서(430)가 설치되는 부품 설치 공간(a)이 상기 설치홀(101)의 개구 측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하측 회전판(310) 또는 상기 상측 회전판(320)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킨다.
상기 목적 위치 정보는, 상기 다수의 위치 정보에서 측정되는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상측 회전판(320)의 중앙 상단에는 회전축(322)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322)은, 상기 상측 지지 플레이트(250)의 하단 중앙에 형성되는 회전홀(251)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상기 회전홀(251)에는, 상기 회전축(322)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252)이 개재되어, 상기 상측 회전판(320)은 상하를 따라 탄성 유동이 가능하다.
상기 배전반(400)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기 끼움 돌기(410a)에는 제 1단자들(S1)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부품(10)은, 상기 제 1단자들(S1)과 일대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끼움홈(321)의 내측벽에는, 상기 제 1단자들(S1)과 일대일 접촉되는 제 2단자들(S2)이 형성된다.
상기 벽체부(100)의 외측면부에는, 상기 다수의 부품(10) 각각과 동일 기능을 갖는 다수의 대체 부품(10')과 일대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3단자들(S3)이 형성된다.
상기 제 2단자들(S2)과, 상기 제 2단자들(S3)은 길이를 갖는 와이어(SA,SB)를 통해 일대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기(270)는, 상기 다수의 부품(10) 각각의 구동 상태가 정상 또는 비정상인지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센서(290)를 구비한다.
상기 모니터링 센서(290)를 통해, 비정상인 부품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비정상인 부품과 통일 기능을 갖는 교체 부품(10')을 구동시키고, 상기 비정상인 부품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상기 교체 부품의 구동시간과, 상기 비정상인 부품의 구동 시간 중, 서로 중첩되는 구동시간에 발생되는 출력 데이터는 미리 설정된 기준 데이터로 치환한다.
상기 개폐 도어(420)는, 승강 실린더(450)의 구동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설치홀(101)을 개폐한다.
상기 제 1단자들(S1)과, 상기 제 2단자들(S2)의 접촉 또는 비접촉 상태에 따르는 전기 신호 단락을 감지하는 감시 센서(460)가 더 설치된다.
상기 감지 센서(460)에 의해, 비접촉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기(270)는, 상기 다수의 부품(10) 및 상기 다수의 교체 부품(10')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승강 실린더(450)를 구동시켜 상기 설치홀(101)을 개방하고,
상기 제 1,2리니어 모터(230,260)를 사용하여 상기 배전반(300)이 상기 설치홀(101)의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에 매입되어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수평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원하는 측의 도어를 개방하도록 함과 아울러, 배전반 내부의 고장 부품을 교체하지 않고, 벽체 외부에 보조로 설치되는 부품으로 대치하여 구동을 중지하지 않도록 하여 고장 부품으로 인한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물용 매입형 배전반 고정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배전반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배전반의 부품 설치 영역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건축물용 매입형 배전반 고정구조를 통한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표시부호 C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건축물용 매입형 배전반 고정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물용 매입형 배전반 고정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배전반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배전반의 부품 설치 영역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건축물용 매입형 배전반 고정구조를 통한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표시부호 C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건축물용 매입형 배전반 고정구조는 일측이 개구되고, 내측으로 깊이를 갖는 설치홀(101)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홀(101)을 개폐하는 개폐 도어(110)가 설치되는 벽체부(100)와; 상기 설치홀(101)에 수평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수의 부품(10)이 내장되는 배전반(400)을 상기 설치홀(101)로부터 인출 또는 상기 설치홀(101)로 인입시키는 배전반 이동부(200); 및 상기 배전반 이동부(200)에 설치되며, 상기 배전반(400)을 수평 회전시키는 배전반 회전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배전반 이동부(200)는, 상기 설치홀(101)의 내부 하단 양측벽에서 상기 설치홀(1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된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제 1이동 레일(210)과,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제 1이동 레일(210)에 연결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하측 지지 플레이트(220)와, 상기 한 쌍의 제 1이동 레일(210)에 연결되어, 상기 하측 지지 플레이트(220)를 이동시키는 제 1리니어 모터(230)와, 상기 설치홀(101)의 내부 상단 양측벽에서 상기 설치홀(1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된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제 2이동 레일(240)과,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제 2이동 레일(240)에 연결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측 지지 플레이트(250)와, 상기 한 쌍의 제 2이동 레일(240)에 연결되어, 상기 상측 지지 플레이트(250)를 이동시키는 제 2리니어 모터(260)와, 상기 제 1리니어 모터(230) 및 상기 제 2리니어 모터(260)를 구동시키는 제어기(270)를 구비한다.
상기 상측 지지 플레이트(250)와 상기 하측 지지 플레이트(220)는 상하를 따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배전반(400)은, 상기 상측 지지 플레이트(250)와 상기 하측 지지 플레이트(220)의 단부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배전반 회전부(300)는, 상기 하측 지지 플레이트(220)의 단부 상단에 수평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측 회전판(310)과, 상기 상측 지지 플레이트(250)의 단부 하단에 수평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측 회전판(320)과, 상기 제어기(27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하측 회전판(310) 또는 상기 상측 회전판(320)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회전기(330)를 구비한다.
상기 배전반(400)의 상단 중앙 및 하단 중앙 각각에는, 다각 형상의 끼움 돌기(20)가 형성된다.
상기 하측 회전판(310)과, 상기 상측 회전판(320)의 각각의 중앙에는, 상기 끼움 돌기(20)가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홈(311,32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배전반(40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 중앙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의 부품 설치 공간(a)을 형성하는 다수의 구획판(411)을 갖는 배전반 몸체(410)와, 상기 배전반 몸체(410)의 외주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부품 설치 공간(a)을 개폐하는 다수의 배전반 도어(420)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부품 설치 공간(a) 각각에는, 해당 위치 정보가 저장되며, 저장된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제어기(270)로 전송하는 다수의 위치 센서(430)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270)는, 목적 위치 정보를 선택하는 선택기(2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선택기(280)를 통해 상기 목적 위치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기(270)는, 상기 회전기(330)를 사용하여, 선택된 상기 목적 위치 정보에 해당되는 위치 정보를 갖는 상기 위치 센서(430)가 설치되는 부품 설치 공간(a)이 상기 설치홀(101)의 개구 측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하측 회전판(310) 또는 상기 상측 회전판(320)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킨다.
상기 목적 위치 정보는, 상기 다수의 위치 정보에서 측정되는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상측 회전판(320)의 중앙 상단에는 회전축(322)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322)은, 상기 상측 지지 플레이트(250)의 하단 중앙에 형성되는 회전홀(251)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상기 회전홀(251)에는, 상기 회전축(322)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252)이 개재되어, 상기 상측 회전판(320)은 상하를 따라 탄성 유동이 가능하다.
상기 배전반(400)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기 끼움 돌기(410a)에는 제 1단자들(S1)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부품(10)은, 상기 제 1단자들(S1)과 일대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끼움홈(321)의 내측벽에는, 상기 제 1단자들(S1)과 일대일 접촉되는 제 2단자들(S2)이 형성된다.
상기 벽체부(100)의 외측면부에는, 상기 다수의 부품(10) 각각과 동일 기능을 갖는 다수의 대체 부품(10')과 일대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3단자들(S3)이 형성된다.
상기 제 2단자들(S2)과, 상기 제 2단자들(S3)은 길이를 갖는 와이어(SA,SB)를 통해 일대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기(270)는, 상기 다수의 부품(A,B) 각각의 구동 상태가 정상 또는 비정상인지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센서(290)를 구비한다.
상기 모니터링 센서(290)를 통해, 비정상인 부품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비정상인 부품과 통일 기능을 갖는 교체 부품(10')인 A'. B'를 구동시키고, 상기 비정상인 부품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상기 교체 부품의 구동시간과, 상기 비정상인 부품의 구동 시간 중, 서로 중첩되는 구동시간에 발생되는 출력 데이터는 미리 설정된 기준 데이터로 치환한다.
상기 개폐 도어(420)는, 승강 실린더(450)의 구동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설치홀(101)을 개폐한다.
상기 제 1단자들(S1)과, 상기 제 2단자들(S2)의 접촉 또는 비접촉 상태에 따르는 전기 신호 단락을 감지하는 감시 센서(460)가 더 설치된다.
상기 감지 센서(460)에 의해, 비접촉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기(270)는, 상기 다수의 부품(10) 및 상기 다수의 교체 부품(10')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승강 실린더(450)를 구동시켜 상기 설치홀(101)을 개방하고,
상기 제 1,2리니어 모터(230,260)를 사용하여 상기 배전반(300)이 상기 설치홀(101)의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한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건축물의 벽체에 매입되어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수평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원하는 측의 도어를 개방하도록 함과 아울러, 배전반 내부의 고장 부품을 교체하지 않고, 벽체 외부에 보조로 설치되는 부품으로 대치하여 구동을 중지하지 않도록 하여 고장 부품으로 인한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건축물용 매입형 배전반 고정구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부품
100 : 벽체부
200 : 배전반 이동부
300 : 배전반 회전부
400 : 배전반

Claims (5)

  1. 일측이 개구되고, 내측으로 깊이를 갖는 설치홀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홀을 개폐하는 개폐 도어가 설치되는 벽체부;
    상기 설치홀에 수평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배전반을 상기 설치홀로부터 인출 또는 상기 설치홀로 인입시키는 배전반 이동부; 및
    상기 배전반 이동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전반을 수평 회전시키는 배전반 회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전반 이동부는,
    상기 설치홀의 내부 하단 양측벽에서 상기 설치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된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제 1이동 레일과,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제 1이동 레일에 연결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하측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제 1이동 레일에 연결되어, 상기 하측 지지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 1리니어 모터와,
    상기 설치홀의 내부 상단 양측벽에서 상기 설치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된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제 2이동 레일과,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제 2이동 레일에 연결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측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제 2이동 레일에 연결되어, 상기 상측 지지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 2리니어 모터와,
    상기 제 1리니어 모터 및 상기 제 2리니어 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기를 구비하되,
    상기 상측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하측 지지 플레이트는 상하를 따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배전반은, 상기 상측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하측 지지 플레이트의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매입형 배전반 고정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 회전부는,
    상기 하측 지지 플레이트의 단부 상단에 수평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측 회전판과,
    상기 상측 지지 플레이트의 단부 하단에 수평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측 회전판과,
    상기 제어기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하측 회전판 또는 상기 상측 회전판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회전기를 구비하되,
    상기 배전반의 상단 중앙 및 하단 중앙 각각에는, 다각 형상의 끼움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 회전판과, 상기 상측 회전판의 중앙에는, 상기 끼움 돌기가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매입형 배전반 고정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 중앙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의 부품 설치 공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구획판을 갖는 배전반 몸체와, 상기 배전반 몸체의 외주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부품 설치 공간을 개폐하는 다수의 배전반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부품 설치 공간 각각에는, 해당 위치 정보가 저장되며, 저장된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다수의 위치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목적 위치 정보를 선택하는 선택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선택기를 통해 상기 목적 위치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회전기를 사용하여, 선택된 상기 목적 위치 정보에 해당되는 위치 정보를 갖는 상기 위치 센서가 설치되는 부품 설치 공간이 상기 설치홀의 개구 측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하측 회전판 또는 상기 상측 회전판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되,
    상기 목적 위치 정보는,
    상기 다수의 위치 정보에서 측정되는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매입형 배전반 고정구조.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회전판의 중앙 상단에는 회전축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상측 지지 플레이트의 하단 중앙에 형성되는 회전홀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회전홀에는, 상기 회전축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이 개재되어, 상기 상측 회전판은 상하를 따라 탄성 유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매입형 배전반 고정구조.
KR1020150122528A 2015-08-31 2015-08-31 건축물용 매입형 배전반 고정구조 KR101586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528A KR101586066B1 (ko) 2015-08-31 2015-08-31 건축물용 매입형 배전반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528A KR101586066B1 (ko) 2015-08-31 2015-08-31 건축물용 매입형 배전반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6066B1 true KR101586066B1 (ko) 2016-01-19

Family

ID=55306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528A KR101586066B1 (ko) 2015-08-31 2015-08-31 건축물용 매입형 배전반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60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1192A (ko) * 2018-10-11 2020-04-21 주식회사 아키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단지 내 배전반
KR102156226B1 (ko) * 2020-04-28 2020-09-16 (주)상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통신 단자함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8541A (ja) * 2002-11-22 2004-06-17 Mitsubishi Electric Corp 配電盤・制御盤の組立収納装置および配電盤・制御盤の組立収納方法
KR100436696B1 (ko) * 2002-07-23 2004-06-22 범아유니텍(주)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화물입출고장치
KR100781560B1 (ko) * 2007-08-20 2007-12-03 주식회사 신화에프이원 회전식 격납부를 구비한 분배전반용 캐비넷
KR100872461B1 (ko) * 2008-03-18 2008-12-05 주식회사 라이트 제림 변압기의 설치가 용이한 배전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696B1 (ko) * 2002-07-23 2004-06-22 범아유니텍(주)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화물입출고장치
JP2004168541A (ja) * 2002-11-22 2004-06-17 Mitsubishi Electric Corp 配電盤・制御盤の組立収納装置および配電盤・制御盤の組立収納方法
KR100781560B1 (ko) * 2007-08-20 2007-12-03 주식회사 신화에프이원 회전식 격납부를 구비한 분배전반용 캐비넷
KR100872461B1 (ko) * 2008-03-18 2008-12-05 주식회사 라이트 제림 변압기의 설치가 용이한 배전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1192A (ko) * 2018-10-11 2020-04-21 주식회사 아키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단지 내 배전반
KR102171880B1 (ko) * 2018-10-11 2020-10-29 (주)아키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단지 내 배전반
KR102156226B1 (ko) * 2020-04-28 2020-09-16 (주)상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통신 단자함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6066B1 (ko) 건축물용 매입형 배전반 고정구조
ES2445365T3 (es) Dispositivo para la detección de la posición de una manivela de activación y/o de una hoja de ventana, de una hoja de puerta o similar
US4888531A (en) Variable drive mechanism for the panel of a gate or similar structure
US7012516B2 (en) Cupboard monitoring device
KR101007520B1 (ko) 공동 주택용 배전반
KR20070114458A (ko) 감시카메라의 촬상각도 조정장치
BR112014024132B1 (pt) chave de segurança articulada eletrônica combinada com uma barreira de proteção de máquinas ou fábricas automáticas
CN104879016A (zh) 一种智能通信机箱
CN104295160A (zh) 一种无锁孔嵌入式旋转锁
WO2019175791A1 (en) Cabinet for electrical apparatuses
ES2911409T3 (es) Dispositivo de conmutación para conmutar un motor eléctrico
KR100748221B1 (ko) 수배전반의 셔터 도어장치
KR102254007B1 (ko) 특고압 지중 배전선로의 위치 감시 장치
US9243438B2 (en) Method for the arrangement of a drive unit at a ceiling element of a revolving door
KR20200039188A (ko) 수배전반의 셔터 도어장치
CN106229876B (zh) 断路器开关柜后上下门联锁装置
CN103108510A (zh) 适于容纳电气或电子装置的机柜
CN203513004U (zh) 无机房电梯装置
KR101670782B1 (ko) 공동주택 단지내 전력케이블 지지대
US7122986B1 (en) Motor operator system for a power switch
KR101055420B1 (ko) 자동문을 구비한 배전반
KR102320986B1 (ko) 냉장고
KR20150022577A (ko) 마감품질을 위해 높낮이 조절되는 가변형 분전함
JP6279381B2 (ja) 磁気検知式センサ
CN211228248U (zh) 一种摆动式检票闸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