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5956B1 - 접이식 카트 - Google Patents

접이식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5956B1
KR101585956B1 KR1020140062284A KR20140062284A KR101585956B1 KR 101585956 B1 KR101585956 B1 KR 101585956B1 KR 1020140062284 A KR1020140062284 A KR 1020140062284A KR 20140062284 A KR20140062284 A KR 20140062284A KR 101585956 B1 KR101585956 B1 KR 101585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hinged
center member
coupled
movable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2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4892A (ko
Inventor
이규상
Original Assignee
이규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상 filed Critical 이규상
Priority to KR1020140062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956B1/ko
Publication of KR20150134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 B62B1/1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단에 손잡이(140)가 구비되고 하단에 이동을 위한 바퀴(120)가 구비되는 중심부재(100)와, 상기 중심부재(100)의 하단 일측에 힌지(110) 결합되어 상기 중심부재(100)에 대해 평행하게 접힙되며 회전시 상기 힌지(110)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받침부재(200)와, 상기 중심부재(100)의 하측 양쪽에 위치되며 상단이 각각 상기 중심부재(100)의 하측에 고정된 고정용 슬라이더(340)에 힌지(310)(310a) 결합되어 양쪽으로 전개되는 지지바(300)(300a)와, 한 쌍으로 위치되며 각각 일측단이 상기 받침부재(200)의 타측단 힌지구에 힌지(410)(410a) 결합되고 타측단이 상기 지지바(300)(300a)의 하단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연동바(400)(400a)와, 상기 중심부재(10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상측 이동형 슬라이더(900)와, 상기 중심부재(100)에 대해 좌우 한 쌍으로 위치되며 각각 상단이 상기 중심부재(100)의 상기 이동형 슬라이더(900)에 힌지(610)(610a) 결합되고 하단이 각각 상기 연동바(400)(400a)의 연결부분에 힌지되는 보강바(600)(600a)와, 일단이 상기 받침부재(200)의 일측단에 힌지(210)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측 이동형 슬라이더(900)에 힌지되어 상기 받침부재(200)의 힌지(110)를 중심으로 한 회동시 상기 상측 이동형 슬라이더(900)를 승하강 시키게 되는 조절대(5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카트{a folding cart}
본 발명은 쇼핑에 의한 물품 운반 또는 적재물 운반을 위한 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트를 이루는 구조물이 부피가 작도록 접힘 가능하여 평상시에는 휴대하고 물품 등의 운반시에는 전개시켜 바퀴를 통해 이동하면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접이식 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트는, 쇼핑용 카트, 화물 운반용 카트, 골프백 이동용 카트 등으로 구분되어 사용되고 있다.
쇼핑용 카트는, 백화점 등 대형의 매장에서 소비자가 쇼핑을 할 때 여러 가지 물건을 적재시켜 운반 할 수 있도록 만든 것으로 금속 소재로 제작된다.
이는 하단에는 바퀴를 상측에는 수납함을 갖는 작은 손수레의 일종이며, 통상 백화점 등 대형의 매장에서 구비하여 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경우 이를 빌려 소비자가 매장의 물건을 담아 자신의 차량에 옮겨 싣고 쇼핑카트는 다시 처음의 위치에 갖다 놓는 방식으로 쇼핑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화물 운반용 카트는, 평활면을 갖는 판재가 바퀴를 통해 이동가능하도록 하고, 일측에 손잡이가 설치된 형태로 판재 상면에 이동 물건을 올려놓고 운반하게 된다. 또한 다수개의 바들이 서로 조립되어 접힘 가능하도록 하는 형태로 사용시에는 전개하여 사용하고 보관시에는 다수개의 바들을 접힘시켜 보관하는 것이다.
골프백 이동용 카트는, 특정 형태의 물건인 골프백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것으로 바퀴와 골프백 고정 구조물로 구성되며 골프백 보관 및 이동시 편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카트 중 화물 운반용 카트의 경우 물건 운반에는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지만 보관시 중량 및 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있어 이동이 힘든 문제점과 카트의 크기 문제로 보관이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물건을 운반하도록 된 카트가 접힘이 가능하도록 하여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기술 즉, 접힘상태에서는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고 전개상태에서 수평 유지는 물론 안정된 고정력을 갖도록 하는 접이식 카트가 본원 출원인에 의해 대한민국 특허 제10-1329768호로 제시된 바 있다.
이는, 카트에 있어서 상측 힌지를 중심으로 하측 양쪽이 벌어짐이 가능하며 각각 하단에 바퀴가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 상측 양쪽에 상기 수직부재의 상측 힌지가 각각 결합되는 중심부재; 상기 중심부재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와 일단이 슬라이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수직부재의 하측 대응면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수평 유지 및 접힘 가능하게 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 일단이 상기 중심부재의 하단부 일측에 일방향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보강부재; 일단이 상기 수직부재의 각각 하측단에 일방향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한 구조의 경우 접힘 상태에서의 전개 동작시 중심부재에 대해 지지부재를 이루는 슬라이더가 우산과 같이 상하 슬라이드 됨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시 접힘 및 전개가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문헌1] 대한민국 특허 제10-1329768호 공고일 2013년 11월 19일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접이식 카트의 접힘 및 전개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둘째; 접힘 상태에서는 평행상태를 유지하며 접힘되고 전개 상태에서는 받침을 갖는 안정된 삼각 구도를 이루도록 하는데 있다.
셋째; 접이식 카트의 접힘 상태에서 부피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접이식 카트에 있어서 상단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하단에 이동을 위한 바퀴가 구비되는 중심부재와, 상기 중심부재의 하단 일측에 일측이 힌지구를 통해 힌지 결합되어 상기 중심부재에 대해 평행하게 접힙되며 회전시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받침부재와, 상기 중심부재의 하측 양쪽에 좌우 한 쌍으로 위치되며 상단이 각각 상기 중심부재의 하측에 고정된 고정용 슬라이더에 힌지 결합되어 양쪽으로 전개되는 지지바와, 한 쌍으로 위치되며 각각 일측단이 상기 받침부재의 타측단 힌지구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단이 상기 지지바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각각 연결되는 연동바와, 상기 중심부재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상측 이동형 슬라이더와, 상기 중심부재에 대해 좌우 한 쌍으로 위치되며 각각 상단이 상기 중심부재의 상기 이동형 슬라이더에 힌지 결합되고 하단이 각각 상기 연동바의 양쪽 연결부분에 힌지 결합되는 보강바와, 일단이 상기 받침부재의 일측단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측 이동형 슬라이더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받침부재의 힌지를 중심으로 한 회동시 상기 상측 이동형 슬라이더를 승하강 시키게 되는 조절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물건을 운반하도록 된 카트의 전개 및 접힘을 중심부재에 대한 받침부재의 회동을 통해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접힘 상태에서 부피가 크게 축소됨에 따라 보관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이식 카트에 있어 물품을 받침부재가 지지함에 따라 비교적 큰 중량의 물품을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카트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전개 상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정면으로 전개 및 접힘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3은 도 2의 측면으로 접힘상태도,
도 4는 도 1의 측면으로 전개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카트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전개 상태 정면도,
도 6은 도 5에서 접힘되는 과정을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도 5의 측면으로 접힘 및 전개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카트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측면 사용상태도,
도 9는 도 1 및 도 2에서 전개된 상태에서 접힘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에서 접힘 완료전 상태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전개시 물건 이동이 가능하도록 받침공간을 형성하고 접힘시 보관 및 휴대 가능하게 되는 접이식 카트에 관한 것이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의 도시에 의하여 세로 방향의 중심부재(100)와, 상기 중심부재(100)에 대해 평행 상태에서 일측 힌지를 중심으로 90도 각도로 회동하게 되는 받침부재(200)와, 상기 중심부재(100)의 양쪽에 힌지된 지지바(300)(300a)와, 상기 받침부재(200)의 양쪽에 힌지되며 상기 지지바(300)(300a)와 각각 힌지 연결되는 연동바(400)(400a)와, 상기 중심부재(10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상측 이동형 슬라이더(900)와, 상기 중심부재(100)의 양쪽에서 일단이 상측 이동형 슬라이더(900)에 힌지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바(300)(300a)와 연동바(400)(400a)의 연결부에 힌지되는 보강바(600)(600a)와, 상기 받침부재(200)의 회동에 따라 상기 상측 이동형 슬라이더(900)를 승하강 시켜 접힘 및 전개가 유도되도록 하는 조절대(500)로 구성된다.
상기 중심부재(100)는, 금속 및 합성수지 소재가 가능하며, 상단에 손잡이(140)가 구비되고 하단에 이동을 위한 바퀴(120)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140)는 상기 중심부재(100)에 대해 인출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200)는, 금속 및 합성수지 소재가 가능하며, 상기 중심부재(100)의 하단 일측에 일측이 힌지구를 통해 힌지(110) 결합되어 상기 중심부재(100)에 대해 평행하게 접힙되며 전개 동작에 따른 회전시 상기 힌지(11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중심부재(100)의 하단에 대해 직교상태로 회전된다.
상기 지지바(300)(300a)는, 상기 중심부재(100)의 하측 양쪽에 좌우 한 쌍으로 위치되며 상단이 각각 상기 중심부재(100)의 하측에 고정된 고정용 슬라이더(340)에 힌지(310)(310a) 결합되어 양쪽으로 전개된다.
상기 연동바(400)(400a)는, 한 쌍으로 위치되며 각각 일측단이 상기 받침부재(200)의 타측단 힌지구에 힌지(410)(410a) 결합되고 타측단이 상기 지지바(300)(300a)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각각 연결된다.
상기 상측 이동형 슬라이더(900)는, 상기 중심부재(10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상기 보강바(600)(600a)는, 상기 중심부재(100)에 대해 좌우 한 쌍으로 위치되며 각각 상단이 상기 중심부재(100)의 상기 이동형 슬라이더(900)에 힌지(610)(610a) 결합되고 하단이 각각 상기 연동바(400)(400a)의 양쪽 연결부분에 힌지 결합된다.
상기 조절대(500)는, 일단이 상기 받침부재(200)의 일측단에 힌지(210)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측 이동형 슬라이더(900)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받침부재(200)의 힌지(110)를 중심으로 한 회동시 상기 상측 이동형 슬라이더(900)를 승하강 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바(300)(300a)와 상기 연동바(400)(400a)의 연결단부에 지면을 구르는 보조 바퀴(440)(440a)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 바퀴(440)(440a)는 절곡 또는 브래킷 등을 통해 상기 힌지(610)(610a)를 중심으로 한 회전시 전개동작에서는 상기 바퀴(120)와 평행하게 위치되어 지면을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200)는 내부에 안내홀(280)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홀(180)의 단부에는 연장부재(800)가 슬라이드 삽입되어 상기 받침부재(200) 보다 물품이 큰 경우 상기 받침부재(200)로부터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카트 사용을 위한 전개시에는,
접힘된 상태에서 중심부재(100)에 대해 받침부재(20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킨다. 그러면 상기 받침부재(200)가 힌지(110)를 중심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회동하면서 90도 각도의 위치에서 받침을 이루게 된다. 이와동시에, 상기 받침부재(200)의 일단에 힌지된 조절대(50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받침부재(200)의 회전에 따라 상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조절대(500)가 상측 이동형 슬라이더(900)를 상기 중심부재(100)에 대해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받침부재(200)와 힌지 연결된 연동바(400)(400a) 그리고 상기 연동바(400)(400a)와 연결된 지지바(300)(300a)가 연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지지바(300)(300a)의 상측 힌지(310)(310a)가 연결된 고정용 슬라이더(340)에 대해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양쪽으로 벌어지게 된다.
즉, 상기 고정용 슬라이더(340)가 상기 중심부재(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상측 이동용 슬라이더(900)가 상기 중심부재(100)에 대해 하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보조바퀴(440)(440a)를 갖는 상기 지지바(300)(300a)와 연동바(400)(400a)의 연결 부분이 전개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받침부재(200)의 상면에 물품을 수납하는 박스 등을 올려놓고 이동시키면 된다.
사용후 보관시에는, 전개시와 역순으로 상기 중심부재(100)를 잡고 상기 받침부재(200)를 회전시켜 상기 중심부재(100)와 상기 받침부재(20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서로 평행에 가깝도록 회전시키면 된다.
그러면, 상기 상측 이동용 슬라이더(900)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고정용 슬라이더(340)을 중심으로 하여 하향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서로 연결된 보조바(600)(600a), 지지바(300)(300a), 연동바(400)(400a)를 접힘시키게 된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은 접이식 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5 내지 도 7의 도시에 의하여 상단에 손잡이(140)가 구비되고 하단에 이동을 위한 바퀴(120)가 구비되는 중심부재(100)와, 상기 중심부재(100)의 하단 일측에 일측이 힌지구를 통해 힌지(110) 결합되어 상기 중심부재(100)에 대해 평행하게 접힙되며 회전시 상기 힌지(110)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받침부재(200)와, 상기 중심부재(100)의 하측에서 상하로 슬라이드 되는 하측 이동형 슬라이더(341)와, 상단이 각각 상기 하측 이동형 슬라이더(341)의 양쪽단에 힌지(310)(310a) 결합되고 각각 하단이 양쪽으로 전개되는 지지바(300)(300a)와, 한 쌍으로 위치되며 각각 일측단이 상기 받침부재(200)의 타측단 힌지구에 힌지(410)(410a) 결합되고 타측단이 상기 지지바(300)(300a)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각각 연결되는 연동바(400)(400a)와, 상기 중심부재(100)에 대해 좌우 한 쌍으로 위치되며 각각 상단이 상기 중심부재(100)의 상측 고정구(910)에 힌지(610)(610a) 결합되고 하단이 각각 상기 연동바(400)(400a)의 양쪽 연결부분에 힌지 결합되는 보강바(600)(600a)와, 일단이 상기 받침부재(200)의 일측단에 힌지(520)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측 이동형 슬라이더(341)에 힌지(520a) 연결되어 상기 받침부재(200)의 힌지(110)를 중심으로 한 회동시 상기 하측 이동형 슬라이더(341)를 승하강 시키게 되는 조절대(5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바(300)(300a)와 상기 연동바(400)(400a)의 연결단부에 지면을 구르는 보조 바퀴(440)(440a)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 바퀴(440)(440a)는 절곡 또는 브래킷 등을 통해 상기 힌지(610)(610a)를 중심으로 한 회전시 전개동작에서는 상기 바퀴(120)와 평행하게 위치되어 지면을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200)는 내부에 안내홀(280)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홀(180)의 단부에는 연장부재(800)가 슬라이드 삽입되어 상기 받침부재(200) 보다 물품이 큰 경우 상기 받침부재(200)로부터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카트 사용을 위한 전개시에는,
중심부재(100)에 대해 받침부재(200)를 회전 시킨다. 그러면 상기 받침부재(200)가 힌지(110)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90도 각도의 위치에서 받침을 이루게 된다. 이와동시에, 상기 받침부재(200)의 일단에 힌지(520)된 조절대(510)가 상기 받침부재(200)의 회전에 따라 하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조절대(510)가 하측 이동형 슬라이더(341)를 상기 중심부재(100)에 대해 하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받침부재(200)와 힌지 연결된 연동바(400)(400a) 그리고 상기 연동바(400)(400a)와 연결된 지지바(300)(300a)가 연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보조바(600)(600a)가 상기 중심부재(100)에 대해 상측에서 고정상태를 유지하는 상측 고정구(910)에 힌지됨에 따라 상기 지지바(300)(300a) 및 연동바(400)(400a)에 의해 양쪽 외측으로 벌어져 전개 상태를 완료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받침부재(200)의 상면에 물품을 수납하는 박스 등을 올려놓고 이동시키면 된다.
사용후 보관시에는, 전개시와 역순으로 상기 중심부재(100)를 잡고 상기 받침부재(200)를 회전시켜 서로 평행이 되도록 하면 된다.
그러면, 상기 하측 이동용 슬라이더(341)가 하향 이동되면서 보조바(600)(600a), 지지바(300)(300a), 연동바(400)(400a)를 접힘시키게 된다.
<제3실시예>
본 발명은 제1 및 제2 실시예를 조합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8의 도시에 의하여 상단에 손잡이(140)가 구비되고 하단에 이동을 위한 바퀴(120)가 구비되는 중심부재(100)와, 상기 중심부재(100)의 하단 일측에 일측이 힌지구를 통해 힌지(110) 결합되어 상기 중심부재(100)에 대해 평행하게 접힙되며 회전시 상기 힌지(110)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받침부재(200)와, 상기 중심부재(100)의 하측 양쪽에 좌우 한 쌍으로 위치되며 상단이 각각 상기 중심부재(100)의 하측에 상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하측 이동용 슬라이더(380)에 힌지(310)(310a) 결합되어 양쪽으로 전개되는 지지바(300)(300a)와, 한 쌍으로 위치되며 각각 일측단이 상기 받침부재(200)의 타측단 힌지구에 힌지(410)(410a) 결합되고 타측단이 상기 지지바(300)(300a)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각각 연결되는 연동바(400)(400a)와, 상기 중심부재(100)에 대해 좌우 한 쌍으로 위치되며 각각 상단이 상기 중심부재(100)의 상측에 상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 이동형 슬라이더(980)에 힌지(610)(610a) 결합되고 하단이 각각 상기 연동바(400)(400a)의 양쪽 연결부분에 힌지 결합되는 보강바(600)(600a)와, 일단이 상기 받침부재(200)의 일측단에 힌지(210)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측 이동형 슬라이더(980)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받침부재(200)의 힌지(110)를 중심으로 한 회동시 상기 상측 이동형 슬라이더(980)를 승하강 시키게 되는 제1 조절대(540)와, 일단이 상기 받침부재(200)의 일측단에 힌지(520)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측 이동형 슬라이더(380)에 힌지(520a) 연결되어 상기 받침부재(200)의 힌지(110)를 중심으로 한 회동시 상기 하측 이동형 슬라이더(380)를 승하강 시키게 되는 제2 조절대(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따라 접이식 카트를 사용하고자 중심부재(100)에 대해 받침부재(200)를 회전시키게 되면 제1 조절대(540)가 상측 이동형 슬라이더(980)를 상향 이동시킴과 동시에 제2 조절대(530)가 하측 이동형 슬라이더(380)를 하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지지바(300)(300a), 상기 연동바(400)(400a), 상기 보조바(600)(600a)의 연결부분을 상기 중심부재(100) 하단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벌어지도록 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받침부재(200)에 물품을 안치시킨 후 운반하면 된다.
그리고, 접이식 카트를 접힘시켜 보관하고자 하면 중심부재(100)에 대해 받침부재(200)를 접힘 상태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받침부재(200)가 회전되면서 상기 전개시와 반대방향으로 제1 및 제2 조절대(540)(530)를 이동시키고 이에 의하여 지지바(300)(300a), 상기 연동바(400)(400a), 상기 보조바(600)(600a)의 연결부분이 상기 중심부재(100)로 좁혀지면서 접힘되게 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실시형태로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고 이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중심부재
110: 힌지
120: 바퀴 140: 손잡이
200: 받침부재
300,300a: 지지바
310,310a: 힌지
400,400a: 연동바
410,410a: 힌지 440,440a: 보조바퀴
500: 조절대
600,600a: 보강바
610,610a: 힌지
900: 상측 이동형 슬라이더

Claims (4)

  1. 접이식 카트에 있어서,
    상단에 손잡이(140)가 구비되고 하단에 이동을 위한 바퀴(120)가 구비되는 중심부재(100)와,
    상기 중심부재(100)의 하단 일측에 일측이 힌지구를 통해 힌지(110) 결합되어 상기 중심부재(100)에 대해 평행하게 접힙되며 회전시 상기 힌지(110)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받침부재(200)와,
    상기 중심부재(100)의 하측 양쪽에 좌우 한 쌍으로 위치되며 상단이 각각 상기 중심부재(100)의 하측에 고정된 고정용 슬라이더(340)에 힌지(310)(310a) 결합되어 양쪽으로 전개되는 지지바(300)(300a)와,
    한 쌍으로 위치되며 각각 일측단이 상기 받침부재(200)의 타측단 힌지구에 힌지(410)(410a) 결합되고 타측단이 상기 지지바(300)(300a)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각각 연결되는 연동바(400)(400a)와,
    상기 중심부재(10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상측 이동형 슬라이더(900)와,
    상기 중심부재(100)에 대해 좌우 한 쌍으로 위치되며 각각 상단이 상기 중심부재(100)의 상기 이동형 슬라이더(900)에 힌지(610)(610a) 결합되고 하단이 각각 상기 연동바(400)(400a)의 양쪽 연결부분에 힌지 결합되는 보강바(600)(600a)와,
    일단이 상기 받침부재(200)의 일측단에 힌지(210)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측 이동형 슬라이더(900)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받침부재(200)의 힌지(110)를 중심으로 한 회동시 상기 상측 이동형 슬라이더(900)를 승하강 시키게 되는 조절대(5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카트.
  2. 삭제
  3. 접이식 카트에 있어서,
    상단에 손잡이(140)가 구비되고 하단에 이동을 위한 바퀴(120)가 구비되는 중심부재(100)와,
    상기 중심부재(100)의 하단 일측에 일측이 힌지구를 통해 힌지(110) 결합되어 상기 중심부재(100)에 대해 평행하게 접힙되며 회전시 상기 힌지(110)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받침부재(200)와,
    상기 중심부재(100)의 하측 양쪽에 좌우 한 쌍으로 위치되며 상단이 각각 상기 중심부재(100)의 하측에 상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하측 이동용 슬라이더(380)에 힌지(310)(310a) 결합되어 양쪽으로 전개되는 지지바(300)(300a)와,
    한 쌍으로 위치되며 각각 일측단이 상기 받침부재(200)의 타측단 힌지구에 힌지(410)(410a) 결합되고 타측단이 상기 지지바(300)(300a)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각각 연결되는 연동바(400)(400a)와,
    상기 중심부재(100)에 대해 좌우 한 쌍으로 위치되며 각각 상단이 상기 중심부재(100)의 상측에 상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 이동형 슬라이더(980)에 힌지(610)(610a) 결합되고 하단이 각각 상기 연동바(400)(400a)의 양쪽 연결부분에 힌지 결합되는 보강바(600)(600a)와,
    일단이 상기 받침부재(200)의 일측단에 힌지(210)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측 이동형 슬라이더(980)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받침부재(200)의 힌지(110)를 중심으로 한 회동시 상기 상측 이동형 슬라이더(980)를 승하강 시키게 되는 제1 조절대(540);
    일단이 상기 받침부재(200)의 일측단에 힌지(520)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측 이동형 슬라이더(380)에 힌지(520a) 연결되어 상기 받침부재(200)의 힌지(110)를 중심으로 한 회동시 상기 하측 이동형 슬라이더(380)를 승하강 시키게 되는 제2 조절대(5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카트.
  4. 삭제
KR1020140062284A 2014-05-23 2014-05-23 접이식 카트 KR101585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284A KR101585956B1 (ko) 2014-05-23 2014-05-23 접이식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284A KR101585956B1 (ko) 2014-05-23 2014-05-23 접이식 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892A KR20150134892A (ko) 2015-12-02
KR101585956B1 true KR101585956B1 (ko) 2016-01-20

Family

ID=54883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2284A KR101585956B1 (ko) 2014-05-23 2014-05-23 접이식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59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294B1 (ko) * 2020-03-27 2021-05-13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접이식 부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5816B2 (ja) 2000-09-08 2007-08-08 マイクラライト,リミテッド 折りたたみ自在な手押し車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768B1 (ko) * 2011-12-02 2013-11-19 이규상 접이식 카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5816B2 (ja) 2000-09-08 2007-08-08 マイクラライト,リミテッド 折りたたみ自在な手押し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892A (ko)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4045B2 (en) Foldable shopping cart
US6267393B1 (en) Wheeled personal item caddy
US10864932B2 (en) Foldable cart with deployable wheels
CA2958358A1 (en) Shopping cart bagging station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10226108B2 (en) Collapsible containers
AU2005213831A1 (en) Folding baby buggy
CA2867710C (en) Support structure for luggage
JP7212178B2 (ja) 折りたたみ式四輪ハンドカート
US9365970B2 (en) Ironing board with expandable legs
KR101585956B1 (ko) 접이식 카트
KR101329768B1 (ko) 접이식 카트
US20170334603A1 (en) Collapsible sewing basket
KR102034655B1 (ko) 접이식 핸드카트
KR20150131585A (ko) 접이식 카트
KR102277911B1 (ko) 바스켓 탈부착 가능한 슬라이딩 접이식 쇼핑카트
KR101161855B1 (ko) 절첩식 쇼핑 카트
TWM459155U (zh) 嬰幼兒載具
US20080251399A1 (en) Golf stand bag having folding body
JP2006204736A (ja) バッグ
US10336358B2 (en) Shopping cart bagging station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CN207191117U (zh) 一种仪器手推车
US20170166355A1 (en) Collapsible sewing basket
KR200480670Y1 (ko) 사다리 일체형 쇼핑카트
KR200477609Y1 (ko) 휴대 가능한 다용도 포켓 카트
KR101887037B1 (ko) 차량용 수납장치 및 이를 갖춘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