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670Y1 - 사다리 일체형 쇼핑카트 - Google Patents

사다리 일체형 쇼핑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670Y1
KR200480670Y1 KR2020150005800U KR20150005800U KR200480670Y1 KR 200480670 Y1 KR200480670 Y1 KR 200480670Y1 KR 2020150005800 U KR2020150005800 U KR 2020150005800U KR 20150005800 U KR20150005800 U KR 20150005800U KR 200480670 Y1 KR200480670 Y1 KR 2004806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upper plate
support
shopping car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8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보
Priority to KR20201500058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6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6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6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14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 E06C1/16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 E06C1/18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with supporting struts formed as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9Ladders having platforms; Ladders changeable into platforms

Abstract

본 고안은 쇼핑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쇼핑카트에 접이 및 전개가 가능한 사다리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평상시 사다리를 접은 상태에서의 이동 및 물건의 수납이 가능하게 하며, 특히, 쇼핑중이나 직원으로 하여금 창고의 높은 곳에서 물건을 올리고 내릴때 사다리를 전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등 쇼핑카트의 기능을 향상시키며, 또한, 상기와 같이 사다리를 구비함에 있어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접이 보관 및 전개 사용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사다리를 이용시 쇼핑카트의 유동이 방지되는 등 높은곳의 물건을 내려 직접 수납이 가능하게 하는 등 사용상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사다리 일체형 쇼핑카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다리 일체형 쇼핑카트{Ladder integrated shopping cart}
본 고안은 쇼핑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쇼핑카트를 이용하여 물건의 수납 보관은 물론, 필요시 높은곳에 위치되어 있는 물건을 내릴시에도 별도의 사다리가 필요없이 쇼핑카트에 구비된 사다리를 이용하여 내릴수 있게 하는 등 쇼핑카트의 사용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다리 일체형 쇼핑카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상품 구매 형태가 대형 할인 매장을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어서 대형 할인 매장들이 곳곳에 들어서고 있다.
쇼핑카트는 대형할인점 또는 쇼핑몰 등에서 소비자들이 구매를 위해 선택한 물품을 담아서 운반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쇼핑카트는 내측에 물품을 담을 수 있도록 후방에 손잡이가 설치된 바스켓과 바스켓의 하부에서 바스켓을 지지하고 사방의 하단에 바퀴가 구비되는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쇼핑카트는 다수의 쇼핑카트를 보관할 때 그 수납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바스켓의 후면이 되는 커버면이 상부로 회동가능하게 형성하여 하나의 쇼핑카트에 다른 쇼핑카트가 겹쳐진 상태로 보관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쇼핑카트는 그 쇼핑카트를 사용함에 있어, 단순히 물건의 수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인바, 그 사용상의 한계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쇼핑카트는 쇼핑을 하는 고객들 뿐만아니라 매장의 직원들로 하여금 물건의 진열을 위해 창고로부터 물건을 실어 나르는데 사용되어지고 있는 것인바, 이때, 높은 위치에 있는 물건을 내리고자 할 시에는 별도의 사다리를 구비 및 그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 물건을 내려야 하는 등 상당한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출원등록 제10-1306012호. 대한민국특허출원등록 제10-1204265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쇼핑카트에 접이 및 전개가 가능한 사다리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평상시 사다리를 접은 상태에서의 이동 및 물건의 수납이 가능하게 하며, 특히, 쇼핑중이나 직원으로 하여금 창고의 높은 곳에서 물건을 올리고 내릴때 사다리를 전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등 쇼핑카트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다리 일체형 쇼핑카트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사다리를 구비함에 있어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접이 보관 및 전개 사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사다리 일체형 쇼핑카트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사다리를 이용시 쇼핑카트의 유동이 방지되는 등 높은곳의 물건을 내려 직접 수납이 가능하게 하는 등 사용상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사다리 일체형 쇼핑카트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물건의 수납이 가능한 바스켓과, 상기 바스켓이 설치되며 사방의 하단에는 바퀴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손잡이가 형성된 지지프레임과, 바스켓의 하부에서 이격되어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박스 수납부로 된 쇼핑카트에 있어서, 쇼핑카트에 사다리 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사다리 유닛은, 쇼핑카트의 후방에 형성되는 상판; 상판의 후방 하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판을 지지하는 한 쌍의 수직형 지지대와, 양측 지지대를 연결하는 한단 이상의 발판으로 된 사다리; 및 일단이 어느 하나의 발판에 힌지 연결되는 제1 링크대와, 일단이 제1 링크대와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판의 저면에 힌지 연결되는 제2 링크대로 된 지지링크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쇼핑카트와 사다리 유닛은, 상판의 선단 양측이 지지프레임 상부에 상판 회동축으로 연결어 상판이 회동하고, 상판과 사다리는 지지대의 상단이 상판의 하부에 사다리 회동축으로 연결되어 사다리가 회동하게 구성하거나, 쇼핑카트와 사다리 유닛은, 쇼핑카트의 후방에서 지지프레임에 형성되는 상판 수납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판 수납대는, 쇼핑카트의 지지프레임 후방 양측에서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며 후방으로 돌출되는 양측 한 쌍의 상,하부 수평대; 각쌍의 상,하부 수평대의 끝단을 연결하며, 각각의 후방 하부에는 절곡형 걸림쇠가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수직대; 및 하부의 수평대를 연결하는 수평 연결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판의 선단 양측이 수직대의 상부에 상판 회동축으로 연결되어 회동하고, 지지대의 상단이 상판의 하부에 사다리 회동축으로 연결되어 사다리가 회동하게 구성하며, 쇼핑카트와 사다리 유닛은, 상판의 양측면에 상판의 길이 방향으로 장공을 형성 및 그 장공에 가이드축이 관통되게 구성하고, 상판(110)의 저면 전방에서 양측에는 하방 돌출형 걸림돌부를 형성하며, 바스켓의 하부 양측에는 상판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양측 한 쌍의 "ㄴ"형 가이드레일을 형성하며, 가이드레일의 전방 및 후방 바닥면에는 상판의 걸림돌부가 걸림되는 전,후방 걸림홈을 더 형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이 본 고안 사다리 일체형 쇼핑카트는, 쇼핑카트의 후방에 접이 보관 및 전개 사용이 가능한 사다리 유닛이 형성되어, 평상시 사다리가 접혀진 상태에서 쇼핑카트에 물건을 수납 이동하는데 사용함은 물론, 사용자가 높은 곳에 위치한 물건을 내리고자 할 때에나 매장 직원으로 하여금 창고의 높은 곳에 위치한 물건을 올리고 내리고자 할때 별도의 사디리를 구비할 필요 없이 간편하게 사다리를 전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 쇼핑카트의 기능이 현격히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다리를 접어 보관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방식을 통해 가능하게 하는 등 사용자 누구나가 선택적으로 접어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다리를 이용시 사다리와 연결된 쇼핑카트의 유동이 방지되는 등 물건을 올리고 내림과 동시에 수납이 가능하게 하는 등 그 사용상의 편리함을 가져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사다리 일체형 쇼핑카트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사다리 일체형 쇼핑카트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사다리 일체형 쇼핑카트의 사다리 유닛 연결상태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사다리 일체형 쇼핑카트의 사다리 연결상태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사다리 일체형 쇼핑카트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고안 다리 일체형 쇼핑카트의 또 다른 실시예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 사다리 일체형 쇼핑카트의 사다리 사용상태 제1 실시예도.
도 8은 본 고안 사다리 일체형 쇼핑카트의 사다리 사용상태 제2 실시예도.
도 9는 본 고안 사다리 일체형 쇼핑카트의 사다리 사용상태 제3 실시예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사다리 일체형 쇼핑카트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사다리 일체형 쇼핑카트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사다리 일체형 쇼핑카트(1)는, 물건의 수납이 가능한 바스켓(10)과, 상기 바스켓(10)이 설치되며 사방의 하단에는 바퀴(21)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손잡이(22)가 형성된 지지프레임(20)과, 바스켓(10)의 하부에서 이격되어 지지프레임(20)에 설치되는 박스 수납부(30)로 된 쇼핑카트(1)로부터,
쇼핑카트(1)의 후방에 접이 및 전개가 가능한 사다리 유닛(100)이 더 포함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때, 사다리 유닛(100)은 상판(110)과, 사다리(120)와, 지지링크(1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판(110)은, 사용자가 밟고 올라설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한정된 구성을 가지는 것이 아니고, 플레이트 형태나 프레임체의 테두리에 플레이트가 마감된 형태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 형태로 구성되며, 쇼핑카트(1)의 후방 상부에 연결되게 구성된다.
상기 사다리(120)는, 상기 상판(110)의 후방을 지지하는 한편, 사용자가 밟고 올라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사다리(120)는 먼저, 상판(110)의 후방 하부에 연결되는 지지대(121)(121')가 구성된 것으로, 지지대(121)(121')는 수직형으로 구성되며, 그 상부가 상판(110)에 연결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양측 지지대(121)(121')는 한단 이상을 이루는 발판(122)으로 연결되게 구성된 것으로, 사용자는 발판(122)을 밟고 상판(110)으로 올라갈 수 있게 구성된다.
한편, 쇼핑카트(1)에 상판(110)을 연결함에 있어서는,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먼저,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상판(110)의 선단(쇼핑카트측) 양측이 쇼핑카트(1)의 후방에서 지지프레임(20)의 상부에서 상판 회동축(115)으로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쇼핑카트(1)에 상판(110)을 연결함에 있어서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쇼핑카트(1)의 후방에서 지지프레임(20)에 상판 수납대(200)를 더 포함되게 구성하되, 그 상판 수납대(200)에 상판(110)이 연결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판 수납대(200)는, 먼저, 지지프레임(20)의 후방에는 상부 및 하부가 한조를 이루며 양측 두개조가 한 쌍을 이루는 상,하부 수평대(210)(210')가 형성된 것으로, 상,하부 수평대(210)(210')는 지지프레임(20)의 후방으로 수평 돌출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각쌍의 상,하부 수평대(210)(210')의 후방 끝단은 수직대(220)(220')를 통해 연결되게 구성되며, 이때, 각각의 수직대(220)(220')의 후방 하부에는 절곡형 걸림쇠(221)가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양측의 하부 수평대(210')는 그 중간부가 수평 연결대(230)를 통해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에, 상판 수납대(200)에 상판(110)을 연결시에는 상판(110)의 선단 양측이 상기 수직대(220)(220')에 상판 회동축(115)으로 연결되어 회동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판(110)과 사다리(120)를 연결함에 있어서는,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먼저,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상판(110)의 후방 하부 양측에 한 쌍의 축설부(111)를 하방 돌출되게 구성하고, 사다리(120)의 양측 지지대(121)(121') 상부에는 힌지브라켓(123)을 형성하되, 상기 축설부(111)와 힌지브라켓(123)을 통해 사다리 회동축(125)으로 연결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사다리(120)는 상기 사다리 회동축(125)을 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며, 그 회동하는 사다리(120)가 전개시에는 지지대(121)(121')의 상단이 상판(110)의 저면에 지지되게 구성되며, 접이시에는 사다리(120)가 상판(110)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또한, 쇼핑카트(1)에 사다리(120)를 연결함에 있어서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먼저, 상판(110)의 후방 하부 양측에 한 쌍의 축설부(111)를 하방 돌출되게 구성한다.
그리고, 각각의 축설부(111)의 동일방향 일측에서 상판(110)의 하부에는 축설부(111)와 이격되는 위치에 한 쌍의 지지대 구속부재(112)가 더 포함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때, 각각의 지지대 구속부재(112)는 상판(110)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일측(축설부측) 및 하부로 개방되어 지지대 수용홈(113)을 이루도록 평단면상 "ㄷ"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축설부(111)와 지지대 구속부재(112)의 간격은 사다리(120)의 수직대(220)(220')의 폭보다는 소정 넓은 간격을 이루게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상기 각각의 지지대(121)(121') 상부가 축설부(111)와 지지대 구속부재(112)의 사이에서 사다리 회동축(125)으로 축설되는 한편, 각각의 지지대(121)(121')가 지지대 수용홈(113)으로 삽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사다리 회동축(125)을 구성함에 있어서는, 절곡형 "핀" 형태로 구성하되, 먼저, 상기 축설부(111)와 어느 하나의 지지대(121)(121')와 지지대 구속부재(112)를 수평 관통하는 축부(125a)와, 축부(125a)의 단부로부터 지지대 구속부재(112) 측이 후방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1 연장부(125b)와, 제1 연장부(125b)의 단부에서 지지대 구속부재(112)의 후방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2 연장부(125c)와, 제2 연장부(125c)로부터 지지대 수용홈(113) 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수용홈 개폐부(125d)로 구성된다.
즉, 지지대(121)(121')는, 지지대 구속부재(112)의 지지대 수용홈(113)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지지대 구속부재(112)에 구속되어 전개된 상태를 이루며 그 회동이 불가능하게 되고, 지지대 수용홈(113)으로부터 이탈시에는 그 회동이 가능하여 접이가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이때, 그 지지대(121)(121')의 삽탈은 사다리 회동축(125)이 회동시 수용홈 개폐부(125d)가 지지대 수용홈(113)을 개방 또는 폐쇄 함으로 가능하게 되며, 이러한 지지대(121)(121')의 작동 구조는 외력에 의한 작동 없이는 그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상판(110)을 지지함에 있어 안정성이 확보되게 된다.
한편, 사다리 유닛(100)을 쇼핑카트(1)에 연결함에 있어, 다른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이는, 도 5 및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판(110)의 양측면에 상판(110)의 길이 방향으로 장공(116)을 형성하되, 그 장공(116)에 가이드축(117)이 관통되게 구성함으로 상판(110)이 가이드축(117)을 가이드로 하여 전,후방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그 상판(110)의 저면 전방에서 양측에는 하방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부(118)가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바스켓(10)의 하부 양측에는 상기 상판(110)이 슬라이딩 및 소정의 상부 유동이 가능하도록 양측 대항되는 한 쌍의 "ㄴ"형 가이드레일(140)이 더 형성되며, 그 가이드레일(140)의 전방 및 후방 바닥면에는 상기 상판(110)의 걸림돌부(118)가 걸림 되도록 전,후방 걸림홈(141)(141')이 더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상판(110)은 가이드레일(140)을 따라 전,후방 슬라이딩 삽탈이 가능한 것인바, 사다리 유닛(100)이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걸림돌부(118)가 후방 걸림홈(141')에 걸림시 사다리 유닛(100)이 쇼핑카트(1)로부터 이탈 고정되어 사다리 유닛(100)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고, 사다리 유닛(100)이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걸림돌부(118)가 전방 걸림홈(141)에 걸림시 사다리 유닛(100)의 수납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돌부(118) 및 전,후방 걸림홈(141)(141')은 반원형 형태로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상판(110)이 가이드레일(140)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과정에서 외력을 가할시 걸림돌부(118)가 전,후방 걸림홈(141)(141')으로부터 진출이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장공(116)의 길이는 상기 전,후방 걸림홈(141)(141')의 길이를 벗어나지 않는 길이로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사다리 유닛(100)을 사용시 그 사다리 유닛(100)이 쇼핑카트(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등 그 안전성이 확보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레일(140)을 구성함에 있어, 그 가이드레일(140)이 바스켓(1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상향 경사를 이루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사다리 유닛(100)이 수납되는 과정에서 경사를 따라 수납시 사다리 유닛(100)의 수직대(220)(220')가 바닥면과의 간섭이 방지되게 하기 위함으로, 이에, 쇼핑카트(1)의 이동시 이동 간섭이 방지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사다리 유닛(100)의 상판(110) 삽탈 구조는 전술한 사다리(120)의 회동 전개가 필요없이 항시 전개된 상태가 유지되어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지지링크(130)는, 상기 상판(110)과 발판(122)을 연결하여 상판(110) 및 사다리(120)가 전개된 상태에서 상판(110)과 사다리(120)의 전개력을 부여하게 구성된 것으로, 제1 링크대(131)과, 제2 링크대(132)로 구성된다.
이때, 제1 링크대(131)는, 그 일단이 어느 하나의 발판(122)에 힌지(H)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하부로 개방되는 형태를 이루는 단면상 "ㄷ" 형을 이루는 하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2 링크대(132)는, 일단이 상기 제1 링크대(131)와 힌지(H) 연결되고 타단이 상판(110)의 저면에 힌지(H) 연결되게 구성되며, 상기 제1 링크대(131)와 힌지(H) 연결함에 있어서는 "ㄷ"형 제1 링크대(131)의 사이에 수용된 상태에서 끝단으로부터 소정 안쪽에 연결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제1 링크대(131)와 제2 링크대(132)는 상판(110)과 사다리(120)가 전개된 상태에서 경사형 직선 형태를 이루게 구성함으로 그 지지력이 부여되게 되는 것인바, 제2 링크대(132)가 전개시 제1 링크대(131)의 끝단으로부터 소정 안쪽에 연결되는 특성상 자연스럽게 제1 링크대(131)에 지지되어 직선 형태가 유지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 사다리 일체형 쇼핑카트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바와 같이 본 고안 사다리 일체형 쇼핑카트(1)는, 사다리 유닛(100)이 일체 형성된 것인바, 평상시 쇼핑카트로의 사용은 물론, 높은 곳의 물품을 올리고 내리고자 할 시 별도의 사다리의 필요없이 쇼핑카트(1)에 형성된 사다리 유닛(100)을 이용하여 가능하게 된다.
먼저, 사다리 유닛(100)을 사용함에 있어 제1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도 7의 도시와 같이 사다리 유닛(100)은, 쇼핑카트(1)의 지지프레임(20)에 상판 회동축(115)으로 연결된 상판(110)을 전개하면 되고, 이후 그 상판(110)의 후방에 형성된 사다리(120)를 사다리 회동축(125)을 축으로 하여 전개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전개된 사다리(120)는 지지대(121)(121')를 통해 상판(110)의 지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사용자는 사다리(120)를 밟고 올라가 상판(110)에 올라설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사용된 사다리 유닛(100)은,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것인바 이는, 먼저, 사다리 유닛(100)의 설치 역순으로 사다리(120)를 사다리 회동축(125)을 축으로 하여 접으면 되는 것으로, 이때에는 사다리를 1/2 정도만 접은 상태에서 상판(110)의 회동과 함께 사다리(120)를 쇼핑카트(1)의 하부에 형성된 박스 수납부(30)로 밀어 넣어 수납 보관하면 된다.
한편, 전술한 사다리 유닛(100)은 사용은 평상시 사다리 유닛(100)이 쇼핑카트(1)에 수납된 상태를 이루는 것인바, 사용시 전개하여 사용함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사다리 유닛(100)을 사용함에 있어 제2 실시예를 살펴보면,
이때에는, 그 사다리 유닛(100)을 사용시에는 도 3을 참조하여 도 8의 도시와 같이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이 상판 회동축(115)을 축으로 하여 상판(110)의 회동 및 사다리 회동축(125)을 축으로 하여 사다리(120)의 회동 및 상판(110)을 지지함으로 가능한 것인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 제2 실시예서는 그 상판 회동축(115)을 구성함에 있어, 도 3을 참조하여 상판 수납대(200)를 더 형성하되, 상판 회동축(115)이 상판 수납대(200)의 수직대(220)(220')에 형성되어 있을 것이다.
이후, 상기와 같이 사용된 사다리 유닛(100)은,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것인바 이는, 사다리(120)를 완전히 접어 상판(110)의 저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그 상판(110)을 상판 회동축(115)을 축으로 하여 하부로 회동시키면 되는 것으로, 이때에는 접혀진 사다리(120)가 수평 연결대(230)에 밀착 지지된 상태를 이루게 되며, 이후, 도 3을 참조하여 수직대(220)(220')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쇠(221)를 회동시켜 상판(110)의 하부를 걸어 줌으로 그 사다리 유닛(100)의 유동이 방지되어 안정된 수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사다리 유닛(100)은 사용은 평상시 사다리 유닛(100)이 상판 수납대(200)에 수납된 상태를 이루는 것인바, 사용시 전개하여 사용함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사다리 유닛(100)을 사용함에 있어 제3 실시예를 살펴보면,
이때에는, 그 사다리 유닛(100)을 사용시에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도 9의 도시와 같이 사다리 유닛(100)의 삽탈에 의해 가능하다.
이에, 사다리 유닛(100)을 쇼핑카트(1)의 후방으로 인출시키면 되는 것으로, 이는, 가이드축(117)이 상판(110)의 측면에 형성된 장공(116)에 관통 형성된 것인바, 상판(110)은 가이드축(117)을 가이드로 하여 바스켓(10)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40)을 따라 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판(110)이 인출되는 과정에서 그 상판(110)의 저면에 형성된 걸림돌부(118)는 가이드레일(140)의 후방에 형성된 후방 걸림홈(141')에 걸림 지지됨으로 그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상판(110)이 인출되는 과정에서 그 가이드레일(140)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소정의 상향 경사를 이루고 있는 것인바, 사다리(120)는 상판(110)이 인출된 상태에서 지지대(121)(121')의 하단이 지면에 접하게 됨으로 상판(110)의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사용된 사다리 유닛(100)을 수납시에는 그 설치의 역순으로 상판(110)을 전방으로 밀어 넣으면 되는 것으로, 상판(110)이 슬라이딩 되는 과정에서 걸림돌부(118)가 가이드레일(140)의 전방에 형성된 전방 걸림홈(141)에 걸려 수납 보관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 되는 과정에서 가이드레일(140)의 경사도에 따라 바닥에 지지되어 있던 사다리(120)의 지지대(121)(121')가 상부로 부양되어 쇼핑카트(1)의 이동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사다리 유닛(100)의 삽탈 구조는 별도의 상판(110)의 회동 및 사다리(120)의 회동 접이 및 전개가 필요 없게 되는 것인바, 그 사다리 유닛(100)의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사다리 유닛(100)은 사용은 평상시 사다리 유닛(100)이 바스켓(10)의 하부에 수납된 상태를 이루는 것인바, 사용시 인출하여 사용함은 당연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사다리 일체형 쇼핑카트는, 쇼핑카트에 사다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바, 사다리의 필요시 별도의 사다리를 구비할 필요없이 간편하게 사다리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며, 특히, 그 사다리를 수납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한 것인바,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 : 쇼핑카트 10 : 바스켓
20 : 지지프레임 30 : 박스 수납부
100 : 사다리 유닛 110 : 상판
111 : 축설부 112 : 지지대 구속부재
113 : 지지대 수용홈 115 : 상판 회동축
115a : 축구 115b : 제1 연장부
115c : 제2 연장부 115d : 수용홈 개폐부
116 : 장공 117 : 가이드축
118 : 걸림돌부
120 : 사다리 121,121' : 지지대
122 : 발판 123 : 힌지브라켓
125 : 사다리 회동축
130 : 지지링크 131 : 제1 링크대
132 : 제2 링크대
140 : 가이드레일 141,141' : 전,후방 걸림홈
200 : 상판 수납대 210,210' : 상,하부 수평대
220,220' : 수직대 221 : 걸림쇠
230 : 수평 연결대

Claims (7)

  1. 물건의 수납이 가능한 바스켓(10)과, 바스켓(10)이 설치되며 사방의 하단에는 바퀴(21)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손잡이(22)가 형성된 지지프레임(20)과, 바스켓(10)의 하부에서 이격되어 지지프레임(20)에 설치되는 박스 수납부(30)로 된 쇼핑카트에 있어서,
    쇼핑카트(1)에 사다리 유닛(1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사다리 유닛(100)은,
    쇼핑카트(1)의 후방에 형성되는 상판(110);
    상판(110)의 후방 하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판(110)을 지지하는 한 쌍의 수직형 지지대(121)(121')와, 양측 지지대(121)(121')를 연결하는 한단 이상의 발판(122)으로 된 사다리(120); 및
    일단이 어느 하나의 발판(122)에 힌지(H) 연결되는 제1 링크대(131)와, 일단이 제1 링크대(131)와 힌지(H) 연결되고 타단이 상판(110)의 저면에 힌지(H) 연결되는 제2 링크대(132)로 된 지지링크(130)를 포함하며,
    쇼핑카트(1)와 사다리 유닛(100)은,
    쇼핑카트(1)의 후방에서 지지프레임(20)에 형성되는 상판 수납대(2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판 수납대(200)는,
    쇼핑카트(1)의 지지프레임(20) 후방 양측에서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며 후방으로 돌출되는 양측 한 쌍의 상,하부 수평대(210)(210');
    각쌍의 상,하부 수평대(210)(210')의 끝단을 연결하며, 각각의 후방 하부에는 절곡형 걸림쇠(221)가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수직대(220)(220'); 및
    하부의 수평대(210')를 연결하는 수평 연결대(23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판(110)의 선단 양측이 수직대(220)(220')의 상부에 상판 회동축(115)으로 연결되어 회동하고, 지지대(121)(121')의 상단이 상판(110)의 하부에 사다리 회동축(125)으로 연결되어 사다리(120)가 회동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일체형 쇼핑카트.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판(110)과 사다리(120)는,
    상판(110)의 후방 하부에서 양측에 축설부(111)를 하방 돌출 형성하고,
    사다리(120)의 지지대(121)(121') 상부에는 힌지브라켓(123)을 형성하되,
    축설부(111)와 힌지브라켓(123)을 통해 사다리 회동축(125)으로 연결되어 사다리(120)의 회동이 가능하게하며, 사다리(120)의 전개시 지지대(121)(121')의 상단이 상판(110)의 저면에 지지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일체형 쇼핑카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판(110)과 사다리(120)는,
    상판(110)의 후방 하부에서 양측에 축설부(111)를 하방 돌출 형성하고,
    각각의 축설부(111)의 동일방향 일측에서 상판(110)의 하부에는 축설부(111)와 이격되는 위치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일측 및 하부로 개방되는 지지대 수용홈(113)을 갖는 양측 한 쌍의 지지대 구속부재(112)를 형성하며,
    각각의 지지대(121)(121') 상부가 축설부(111)와 지지대 구속부재(112)의 사이에서 사다리 회동축(125)으로 연결되는 한편, 지지대 수용홈(113)으로 삽탈되게 구성하며.
    사다리 회동축(125)은, 축설부(111)와 지지대(121)(121')와 지지대 구속부재(112)를 관통하는 축부(125a)와, 축부(125a)의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1 연장부(125b)와, 제1 연장부(125b)의 단부에서 지지대 구속부재(112)의 후방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2 연장부(125c)와, 제2 연장부(125c)로부터 지지대 수용홈(113)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수용홈 개폐부(125d)로 구성하되,
    사다리 회동축(125)의 회동시 수용홈 개폐부(125d)를 통해 지지대(121)(121')가 지지대 수용홈(113)에서의 구속 및 해제가 단속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일체형 쇼핑카트.
  6. 물건의 수납이 가능한 바스켓(10)과, 바스켓(10)이 설치되며 사방의 하단에는 바퀴(21)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손잡이(22)가 형성된 지지프레임(20)과, 바스켓(10)의 하부에서 이격되어 지지프레임(20)에 설치되는 박스 수납부(30)로 된 쇼핑카트에 있어서,
    쇼핑카트(1)에 사다리 유닛(1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사다리 유닛(100)은,
    쇼핑카트(1)의 후방에 형성되는 상판(110);
    상판(110)의 후방 하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판(110)을 지지하는 한 쌍의 수직형 지지대(121)(121')와, 양측 지지대(121)(121')를 연결하는 한단 이상의 발판(122)으로 된 사다리(120); 및
    일단이 어느 하나의 발판(122)에 힌지(H) 연결되는 제1 링크대(131)와, 일단이 제1 링크대(131)와 힌지(H) 연결되고 타단이 상판(110)의 저면에 힌지(H) 연결되는 제2 링크대(132)로 된 지지링크(130)를 포함하며,
    쇼핑카트(1)와 사다리 유닛(100)은,
    상판(110)의 선단 양측이 지지프레임(20) 상부에 가이드축(117)으로 결합되고,
    상판(110)의 양측면에 상판(110)의 길이 방향으로 장공(116)을 형성 및 그 장공(116)에 가이드축(117)이 관통되게 구성하여 상판(110)이 가이드축(117)을 가이드로 하여 전·후방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판(110)의 저면 전방에서 양측에는 하방 돌출형 걸림돌부(118)를 형성하며,
    바스켓(10)의 하부 양측에는 상판(110)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양측 한 쌍의 "ㄴ"형 가이드레일(140)을 형성하며,
    가이드레일(140)의 전방 및 후방 바닥면에는 상판(110)의 걸림돌부(118)가 걸림되는 전,후방 걸림홈(141)(141')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일체형 쇼핑카트.
  7. 제 6항에 있어서,
    가이드레일(140)은,
    바스켓(1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상향 경사를 이루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일체형 쇼핑카트.
KR2020150005800U 2015-08-31 2015-08-31 사다리 일체형 쇼핑카트 KR2004806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800U KR200480670Y1 (ko) 2015-08-31 2015-08-31 사다리 일체형 쇼핑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800U KR200480670Y1 (ko) 2015-08-31 2015-08-31 사다리 일체형 쇼핑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670Y1 true KR200480670Y1 (ko) 2016-06-23

Family

ID=56344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800U KR200480670Y1 (ko) 2015-08-31 2015-08-31 사다리 일체형 쇼핑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6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853Y1 (ko) 2019-08-30 2020-12-21 (주)씨엠26 접이식 운반용 카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35437A1 (de) * 1993-11-06 1995-05-11 Wanzl Metallwarenfabrik Kg Von Hand bewegbares Transportgerät
KR20000006008U (ko) * 1998-09-08 2000-04-06 안형국 사다리겸 짐운반손수레
KR101204265B1 (ko) 2010-07-15 2012-11-26 박점균 모드전환 기능을 갖는 쇼핑카트
KR101306012B1 (ko) 2011-08-31 2013-09-12 주식회사 삼보 쇼핑카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35437A1 (de) * 1993-11-06 1995-05-11 Wanzl Metallwarenfabrik Kg Von Hand bewegbares Transportgerät
KR20000006008U (ko) * 1998-09-08 2000-04-06 안형국 사다리겸 짐운반손수레
KR101204265B1 (ko) 2010-07-15 2012-11-26 박점균 모드전환 기능을 갖는 쇼핑카트
KR101306012B1 (ko) 2011-08-31 2013-09-12 주식회사 삼보 쇼핑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853Y1 (ko) 2019-08-30 2020-12-21 (주)씨엠26 접이식 운반용 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5928B2 (en) Foldable table having multiple functions
US10435055B1 (en) Collapsible cart
US8408581B1 (en) Collapsible shopping cart device
TWI361867B (ko)
US20150145224A1 (en) Collapsible cart
US2920900A (en) Shopping cart
TWM503146U (zh) 折疊置物架及折疊推車
US20080073880A1 (en) Collapsible and portable wheeled dolly particularly suitable for use by students or others in the transport of items
US4423882A (en) Shopping cart with baby seat
KR101524151B1 (ko) 절첩 가능한 보조상판을 갖는 테이블
US10974752B2 (en) Folding handcart
US11932299B2 (en) Collapsible cart with fabric in receiving space
US20070175369A1 (en) Fold away service tray
US20170119152A1 (en) Collapsible hanging shoe rack
KR200480670Y1 (ko) 사다리 일체형 쇼핑카트
CN216293323U (zh) 一种伸缩折叠桌
KR102034655B1 (ko) 접이식 핸드카트
KR101424583B1 (ko) 접이식 다용도 카트
KR200437559Y1 (ko) 접철 핸드카트.
KR101747047B1 (ko) 폴딩 타입 진열대
CN108420224B (zh) 折叠床
KR20090095404A (ko) 간이 가로대를 구비하는 선반형 수납수단
US20150176898A1 (en) Framed drying rack
KR200231094Y1 (ko) 가판대 결합구조
US20120055889A1 (en) Rack Assembly that can be Folded Partial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