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5015B1 - 차량용 유리창 - Google Patents

차량용 유리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5015B1
KR101585015B1 KR1020130160496A KR20130160496A KR101585015B1 KR 101585015 B1 KR101585015 B1 KR 101585015B1 KR 1020130160496 A KR1020130160496 A KR 1020130160496A KR 20130160496 A KR20130160496 A KR 20130160496A KR 101585015 B1 KR101585015 B1 KR 101585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erminal
additional
power supply
hot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0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2866A (ko
Inventor
최경수
Original Assignee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0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015B1/ko
Publication of KR20150072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2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clear vision, e.g. anti-frost or defog panes, rain sh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H05B3/86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the heating conductors being embedded in the transparent or reflecting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유리창에 관한 것으로서, 표면에 열전도성 재질의 열선이 패턴형태로 인쇄되되, 상기 열선의 기점과 종점이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유리창본체; 상기 열선과 동일한 열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열선의 기점과 종점에 각각 인쇄되는 열선단자; 상기 열선단자에 각각 솔더링으로 접속되는 박판상의 양극판과 음극판을 갖는 전원공급단자; 상기 전원공급단자의 양극판과 음극판에 일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양극선과 음극선으로 구성되고, 상기 양극선과 음극선의 타단부를 통해 전원이 유입되는 전원케이블; 및 상기 전원공급단자나 상기 열선단자에 도통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전원공급단자가 상기 열선단자에 솔더링되면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여 냉각시키는 냉각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전원공급단자나 열선단자에 마련된 냉각수단이 전원공급단자가 열선단자에 솔더링으로 접속되면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여 냉각시키므로, 솔더링 공정시 유리창본체의 표면에 열이 집중되어 열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유리창{Glas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이나 후방에 설치되는 차량용 유리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솔더링 공정시 유리창에 발생되는 열균열을 방지할 수 있는 냉각수단이 마련된 차량용 유리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방이나 후방에 설치되는 유리창은 운전자의 시야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겨울철이나 우천시 등과 같이 차내의 온도가 외부의 온도와 차이가 발생할 경우에는 그 온도차로 인해서 습기가 발생되어 차량의 유리창에 부착됨에 따라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한다.
이러한 경우에 윈도우 디프로스터를 가동하여 온기나 냉기를 차량의 유리창으로 공급해주어 습기를 제거하거나, 열선을 가동하여 습기를 제거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열선이 설치되는 차량의 유리는 유리창 표면에 열선이 인쇄되며, 상기 열선의 양 단부에는 전원단자가 연결된다. 상기 전원단자는 서로 인접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전원단자에는 케이블단자가 납땜으로 접속되는데, 제조시에 납땜 공정이 상기 유리창의 일지점, 즉 상기 전원단자가 인접한 부위에서 납땜공정이 집중적으로 진행되고, 납땜공정 중에 발생하는 열이 그 부위에 응집되어 열균열이 발생되며, 특히 겨울철에 심하게는 유리창이 파열되게 된다. 이렇게 불량이 발생함에 따라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생산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열균열이 발생되지 않고서 공정이 완료되었더라도, 차량에 설치된 열선을 가동시킬 때 마다 열선이 발열하면서 발생하는 열이 납땜부위에도 전열되고, 이렇게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열로 인해 납땜부위에 크랙이 발생하여 접속이 불량하거나 케이블단자가 끊어질 수 있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의 솔더링시 발생하는 열을 신속하게 방열하여 솔더링시 유리창본체의 일부분에 열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유리창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유리창본체에 구비된 열선의 발열시 발생하는 열이 납땜부위에 전열되어도 전열되는 열을 신속하게 방열하여 납땜부위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유리창을 제공하는 것이 다른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유리창은, 표면에 열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열선이 패턴형태로 인쇄되되, 상기 열선의 기점과 종점이 이격상태로 인쇄되는 유리창본체; 상기 열선과 동일한 열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선의 기점 및 종점의 단부에 일체적으로 제각기 인쇄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서 상기 열선에 인가하는 열선단자; 상기 열선단자에 각각 솔더링으로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고, 박판상의 양극판과 음극판으로 구성되는 전원공급단자; 상기 전원공급단자의 양극판 및 음극판에 각각 연결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양극전원 및 음극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케이블; 및 상기 전원공급단자나 상기 열선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도통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전원공급단자가 상기 열선단자에 솔더링되면서 발생되는 열이나 상기 열선의 발열에 의한 열을 방열하여 냉각시키는 냉각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냉각수단은 예컨대, 상기 전원공급단자의 양극판 및 음극판에 각각 연장형성되어 양극판 및 음극판과 함께 길이를 갖는 판재를 형성하고, 상기 전원공급단자의 솔더링에 의해 발생되는 양극판 및 음극판의 열이나 상기 열선의 발열에 의한 열이 전이됨에 따라 전이되는 열을 흡열하여 방열하는 열전도성 재질의 금속박판; 및 상기 금속박판을 절연하는 절연피복;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금속박판은 상기 전원공급단자의 대응하는 폭 및 30mm 내지 160mm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상기 냉각수단은 예컨대, 상기 열선과 동일한 열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선단자의 각 단부에 연장상태로 인쇄되어 상기 열선단자와 함께 길이를 갖는 열전도성 인쇄면을 형성하며, 상기 전원공급단자의 양극판 및 음극판이 밀착상태로 솔더링됨에 따라 발생되는 솔더링에 의한 열을 흡열하여 방열하거나 상기 열선의 발열에 의한 열을 흡열하여 방열하는 방열패턴;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방열패턴은 상기 열선단자에 대응하는 폭 및 30mm 내지 160mm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선은, 상기 기점 및 종점 사이가 20mm 내지 120mm의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선단자는 5mm 내지 15mm의 길이로 형성되고, 15mm 내지 25mm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공급단자는 상기 열선단자보다 작은 길이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선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유리창본체에 열을 제공하는 추가 가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가열유닛은 예컨대, 상기 열선에서 분기되는 추가 열선; 상기 추가 열선의 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인쇄되는 추가 열선단자; 상기 추가 열선단자에 솔더링으로 접속되는 박판상의 추가 전원공급단자; 및 상기 추가 전원공급단자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차량의 전원장치에 접속되는 추가 전원케이블;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추가 가열유닛은, 상기 추가 전원공급단자나 상기 추가 열선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도통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추가 전원공급단자가 상기 추가 열선단자에 솔더링되면서 발생하는 열이나 상기 추가 열선의 발열에 의한 열을 방열하여 냉각시키는 추가 냉각수단;을 더 포함할 필요가 있다.
상기 추가 냉각수단은, 전술한 냉각수단과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유리창은, 전원공급단자나 열선단자에 냉각수단이 마련되어 전원공급단자가 열선단자에 솔더링으로 접속되면서 발생하는 열이나 열선의 발열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여 냉각시키므로 유리창본체의 국부적 발열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선의 발열에 의한 솔더링부위의 열적스트레스에 의한 크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솔더링 공정시에 열균열에 의해서 유리창본체가 파열되는 불량률을 감소시켜 제조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적스트레스에 의한 전원공급단자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냉각수단을 전원공급단자와 일체로 형성되는 금속박판으로 구성하는 경우 냉각수단을 열선단자와 별개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방열이 우수한 다양한 재질이나 구조로 제조가 가능하고, 이와 달리 냉각수단을 열선단자와 일체로 유리창본체의 표면에 인쇄되는 방열패턴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열선단자의 제조시 냉각수단을 함께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제조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금속박판이나 방열패턴의 길이를 설정된 길이(30mm 내지 160mm)로 형성하므로 금속박판이나 방열패턴을 방열효율을 위해 열선단자나 전원공급단자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속박판이나 방열패턴이 요구되는 방열성능에 비해 비효율적으로 길게 제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선의 기점과 종점 사이의 간격을 20mm의 거리로 이격시킬 경우, 전원케이블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기점 및 종점의 이격거리를 최소화하면서 솔더링이나 열선의 발열에 의하여 기점과 종점에 집중되는 열기가 유리창본체로 전열되면서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120mm의 거리로 이격시킬 경우 전원케이블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범위에서 기점 및 종점의 이격거리를 최대화할 수 있으므로 기점 및 종점간의 열간섭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아울러, 열선단자가 5mm 내지 15mm의 길이 및 15mm 내지 25mm의 폭으로 형성되므로 열선단자가 과도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최적의 크기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전원공급단자의 크기가 열선단자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므로 전원공급단자가 열선단자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추가 가열유닛을 통해 유리창본체의 가열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으므로 유리창본체에 발생되는 성에나 결로현상을 더욱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추가 가열유닛에 추가 냉각수단이 마련될 경우 전술한 냉각수단과 같이 추가 열선단자의 솔더링시 발생하는 열이나 추가 열선의 발열시 발생하는 열을 신속하게 방열하여 유리창본체의 국부적 발열을 방지하거나 솔더링부위의 열적스트레스에 의한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유리창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유리창의 일부분을 확대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유리창의 일부분을 확대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유리창의 평면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유리창을 설명하며, 설명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유리창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창본체(1), 열선단자(20), 전원공급단자(30), 전원케이블(40) 및 냉각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유리창본체(1)는 통상의 차량용 유리창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열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열선(10)이 패턴형태로 인쇄된다. 상기 열선(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점(11)과 종점(12)이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형성된다. 이때, 상기 기점(11)과 종점(12)은 20mm 내지 120mm의 거리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선단자(20)는 후술되는 전원공급단자(30)로부터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열선(10)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것으로서, 상기 열선(10)과 동일한 열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선(10)의 기점(11)의 단부에 연결되는 기점단자(21)와 상기 종점(12)의 단부에 연결되는 종점단자(22)로 구성되어 상기 기점(11)과 종점(12)에 각각 인쇄된다. 이때, 상기 열선단자(20)는 5mm 내지 15mm의 길이 및 15mm 내지 25mm의 폭을 갖는 장방형의 면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술한 길이는 상기 열선(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변을 지칭하고, 위의 폭은 상기 열선(10)의 두께(너비)에 평행한 변을 지칭한다.
상기 전원공급단자(30)는 상기 열선단자(20)에 각각 솔더링으로 접합되어 접속되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점(11)의 상기 기점단자(21)에 부착되는 양극판(31)과, 상기 종점(12)의 상기 종점단자(22)에 부착되는 음극판(32)으로 구성되며, 후술되는 전원케이블(40)로부터 인가되는 외부전원을 상기 기점단자(21) 및 상기 종점단자(22)를 통해 상기 열선(10)으로 공급한다.
이러한 상기 전원공급단자(30)는 열전도성의 금속재로 이루어진 박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열선단자(20)의 상기 기점단자(21) 및 상기 종점단자(22)에 솔더링으로 각각 부착될 수 있으며, 도 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선단자(20)보다 작은 길이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케이블(40)은 상기 전원공급단자(30)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를 통해 외부의 전원이 유입되는 전선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선(41) 및 음극선(4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원공급단자(30)의 상기 양극판(31) 및 상기 음극판(32)에 통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케이블(40)은 상기 양극선(41) 및 상기 음극선(42)을 통해 외부에서 공급되는 양극전원 및 음극전원을 상기 양극판(31) 및 상기 음극판(32)을 통해 상기 전원공급단자(30)에 인가한다.
한편, 전술한 상기 냉각수단(50)은 상기 전원공급단자(30)나 상기 열선단자(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도통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전원공급단자(30)가 상기 열선단자(20)에 솔더링되면서 발생되는 열이나 상기 열선(10)의 발열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여 냉각키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냉각수단(50)은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박판(51) 및 절연피복(51a)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금속박판(51)은 열전도성 재질로 구성되고, 도 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공급단자(30)의 상기 양극판(31) 및 상기 음극판(32)에 각각 연장형성되어 상기 양극판(31) 및 상기 음극판(32)과 함께 길이를 갖는 판재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금속박판(51)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극판(31) 및 상기 음극판(32)에 연장형성됨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단자(30)의 길이를 실질적으로 연장시킨다. 따라서, 상기 전원공급단자(30)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극판(31)이나 상기 음극판(32)이 위치하는 전극구간(S1) 및 상기 금속박판(51)으로 구성되어 상기 전극구간(S1)에 연장형성되는 금속박판구간(S2)으로 구성된다.
상기 금속박판(51)은 상기 양극판(31)이나 상기 음극판(32)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원공급단자(30)의 솔더링에 의해 가열되는 양극판(31) 및 음극판(32)의 열이나 상기 열선(10)의 발열에 의한 열이 전이됨에 따라 전이되는 열을 흡열하여 방열한다. 이때, 상기 금속박판(51)은 열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길이방향을 따라서 면상발열하면서 열을 방열한다.
여기서, 상기 금속박판(51)은 상기 전원공급단자(3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전원공급단자(30)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되고, 길이는 상기 전원공급단자(30)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30mm 내지 160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금속박판(51)은 방열효율이 향상되도록, 도시된 바와 달리 테두리에 미도시된 복수의 방열날개나 방열핀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열날개나 방열핀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통상의 기술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절연피복(51a)은 도 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박판(51)의 외측면, 즉 상기 전극구간(S1)을 제외한 상기 금속박판구간(S2)을 차폐하여 절연한다. 상기 절연피복(51a)은 예컨대, 상기 금속박판(51)의 외주면을 감싸는 절연테이프(51b)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냉각수단(50)은 전술한 바와 달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패턴(52)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방열패턴(52)은 상기 열선(10)이나 상기 열선단자(20)와 동일한 열전도성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열선단자(20)의 각 단부에 각각 연장형성된다. 즉, 방열패턴(52)은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점단자(21) 및 상기 종점단자(22)로 이루어진 상기 열선단자(20)의 단부에 연장상태로 인쇄된다. 따라서, 상기 방열패턴(52)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선단자(20)와 함께 길이를 갖는 열전도성 인쇄면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방열패턴(52)은 상기 열선단자(2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므로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선단자(20)의 길이를 실질적으로 길게 연장시킨다. 따라서, 상기 열선단자(20)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점단자(21)나 상기 종점단자(22)를 구성하는 전극구간(S3) 및 상기 방열패턴(52)을 구성하는 패턴구간(S4)으로 구성된다. 상기 방열패턴(52)은 상기 열선단자(20)의 외측으로 너무 과도하게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열선단자(20)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되고, 길이는 상기 열선단자(20)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30mm 내지 160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열패턴(52)은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공급단자(30)의 양극판(31) 및 음극판(32)이 밀착상태로 솔더링됨에 따라 발생되는 솔더링에 의한 열을 흡열하여 방열하거나 상기 열선(10)의 발열에 의한 열을 흡열하여 방열한다. 이때, 상기 방열패턴(52)은 열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길이방향을 따라서 면상발열하면서 열을 방열한다.
상기 방열패턴(52)은 방열효율이 향상되도록, 도시된 바와 달리 테두리에 미도시된 복수의 방열날개나 방열핀이 지그재그 형태 또는 플렉시블 안테나의 안테나선(엘리먼트)과 같이 패턴으로 인쇄되어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열날개나 방열핀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통상의 기술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기 유리창본체(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가열유닛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추가 가열유닛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열선(61), 추가 열선단자(62), 추가 전원공급단자(63) 및 추가 전원케이블(64)을 포함하여 구성할수 있다.
상기 추가 열선(61)은 전술한 상기 열선(10)과 동일한 재질에 의해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추가 열선(61)은 열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유리창본체(1)의 표면에 패턴형태로 인쇄된다. 이러한 상기 추가 열선(61)은 전술한 상기 열선(10)으로부터 열이나 전원을 공급받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선(10)에서 분기되어 상기 유리창본체(1)에 인쇄된다.
상기 추가 열선단자(6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상기 열선단자(20)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상기 추가 열선(61)의 단부에 통전가능하게 인쇄된다. 즉, 상기 추가 열선단자(62)는 상기 추가 열선(61)의 단부에 동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추가 전원공급단자(6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상기 전원공급단자(30)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상기 추가 열선단자(62)에 솔더링으로 접속된다. 상기 추가 전원케이블(6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상기 전원케이블(40)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상기 추가 전원공급단자(63)에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추가 열선단자(62), 추가 전원공급단자(63) 및 추가 전원케이블(64)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앞서 설명된 열선단자(20), 전원공급단자(30) 및 전원케이블(40)과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추가 가열유닛은 추가 냉각수단(65)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추가 냉각수단(6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가 열선단자(62)에 도통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추가 전원공급단자(63)가 상기 추가 열선단자(62)에 솔더링되면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여 냉각시키는 것으로서, 전술한 상기 냉각수단(50)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추가 냉각수단(65)은 전술한 상기 금속박판(51) 및 상기 절연피복(51a)으로 구성되거나 상기 방열패턴(52)으로 구성되어 상기 추가 전원공급단자(63)에 연장형성된 후 절연되거나, 상기 추가 열선단자(62)에 연장상태로 인쇄된다. 따라서, 상기 추가 냉각수단(65)은 전술한 상기 냉각수단(50)과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추가 냉각수단(65)은 상기 금속박판(51)과 별개를 이루고, 상기 추가 전원공급단자(63)나 상기 추가 열선단자(62)에 절연상태로 연장형성되는 또 다른 금속박판(51)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상기 방열패턴(52)과 별개를 이루고, 상기 추가 열선단자(62)에 연장상태로 인쇄되는 또 다른 방열패턴(52)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유리창의 작동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유리창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공급단자(30)의 상기 양극판(31) 및 상기 음극판(32)에 상기 전원케이블(40)을 통전가능하게 연결한 후, 상기 유리창본체(1)에 인쇄된 상기 열선(10)의 상기 열선단자(20)에 상기 양극판(31) 및 상기 음극판(32)을 솔더링으로 접합하여 상기 전원케이블(40)을 상기 열선(10)과 도통상태로 연결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리창본체(1)에 상기 열선(10)과 함께 패턴된 상기 열선단자(20)는, 솔더링 열에 의해 가열되면서 주변의 상기 유리창본체(1)에 열을 전이하여 상기 유리창본체(1)를 국부적으로 가열시킨다. 하지만, 상기 유리창본체(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박판(51)이나 상기 방열패턴(52)으로 구성된 상기 냉각수단에 의해 상기 열선단자(20) 및 그 주변이 원활하게 냉각됨에 따라 파열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냉각수단은 도 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극판(31)이나 상기 음극판(32)에 연장형성되는 상기 금속박판(51) 및 상기 절연피복(51a)으로 구성될 경우, 상기 양극판(31)이나 상기 음극판(32)을 통해 전이되는 솔더링 열을 전술한 상기 금속박판(51)이 절연상태, 즉 누전이 방지되는 상태로 표면적을 통해 방열한다. 이와 달리, 상기 냉각수단은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선단자(20)의 상기 기점단자(21) 및 상기 종점단자(22)에 패턴형태로 연장형성되는 방열패턴(52)으로 구성될 경우, 표면적을 통해 상기 열선단자(20)에서 전이되는 솔더링 열을 방열한다.
한편, 상기 냉각수단은 상기 열선(10)의 가열을 위해 상기 전원케이블(40)에서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발열되는 상기 열선단자(20)나 상기 전원공급단자(30)의 열도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방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선단자(20)나 상기 전원공급단자(30)는 상기 냉각수단에 의해 열기가 냉각되므로 솔더링에 의한 접합부위의 크랙, 즉 솔더링된 납땜의 열적 스트레스에 의한 균열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접합부위가 분리되지 않는다.
다른 한편, 상기 유리창본체(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선(10)을 통해 일측(하부)을 가열하여 일측의 습기나 성애를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유리창본체(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가 가열유닛의 상기 추가 열선(61), 상기 추가 열선단자(62), 상기 추가 전원공급단자(63) 및 상기 추가 전원케이블(64)이 구비될 경우 타측(상부)를 가열하여 타측의 습기나 성애도 제거한다. 이때, 상기 유리창본체(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가 열선(61)이 타측에 설치됨에 따라 타측의 습가나 성애를 제거한다.
상기 추가 가열유닛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상기 냉각수단(50)과 동일하게 구성된 상기 추가 냉각수단(65)을 통해 상기 추가 열선단자(62)나 상기 추가 전원공급단자(63)의 솔더링 열이나 전원공급에 의한 발열시의 열을 방열한다. 따라서, 상기 추가 가열유닛은 상기 추가 냉각수단(65)에 의해 상기 유리창본체(1)의 국부적 가열 및 솔더링 부위의 열적 스트레스를 방지하여 상기 유리창본체(1)의 파열이나 솔더링 부위의 크랙을 예방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유리창은, 상기 전원공급단자(30)나 상기 열선단자(20)에 상기 냉각수단(50)이 마련되어 상기 전원공급단자(30)가 상기 열선단자(20)에 솔더링으로 접속되면서 발생하는 열이나 상기 열선(10)의 발열시 발생되는 열(전원 공급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여 냉각시키므로 상기 유리창본체(1)의 국부적 발열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열선(10)의 발열에 의한 솔더링부위의 열적스트레스에 의한 크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솔더링 공정시에 열균열에 의해서 상기 유리창본체(1)가 파열되는 불량률을 감소시켜 제조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적스트레스에 의한 상기 전원공급단자(3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수단(50)을 상기 전원공급단자(30)와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금속박판(51)으로 구성하는 경우, 상기 냉각수단(50)을 상기 열선단자(20)와 별개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방열이 우수한 다양한 재질이나 구조로 제조가 가능하고, 이와 달리 상기 냉각수단(50)을 상기 열선단자(20)와 일체로 상기 유리창본체(1)의 표면에 인쇄되는 상기 방열패턴(52)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열선단자(20)의 제조시 상기 냉각수단(50)을 함께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제조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금속박판(51)이나 상기 방열패턴(52)의 길이를 설정된 길이(30mm 내지 160mm)로 형성하므로 상기 금속박판(51)이나 상기 방열패턴(52)을 방열효율을 위해 상기 열선단자(20)나 상기 전원공급단자(3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금속박판(51)이나 상기 방열패턴(52)이 요구되는 방열성능에 비해 비효율적으로 길게 제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선(10)의 상기 기점(11)과 상기 종점(12) 사이의 간격을 20mm의 거리로 이격시킬 경우, 상기 전원케이블(40)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상기 기점(11) 및 상기 종점(12)의 이격거리를 최소화하면서 솔더링이나 상기 열선(10)의 발열에 의하여 상기 기점(11)과 상기 종점(12)에 집중되는 열기가 상기 유리창본체(1)로 전열되면서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120mm의 거리로 이격시킬 경우 상기 전원케이블(40)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범위에서 상기 기점(11) 및 상기 종점(12)의 이격거리를 최대화할 수 있으므로 상기 기점(11) 및 상기 종점(12) 간의 열간섭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열선단자(20)가 5mm 내지 15mm의 길이 및 15mm 내지 25mm의 폭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열선단자(20)가 과도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최적의 크기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단자(30)의 크기가 상기 열선단자(20)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므로 상기 전원공급단자(30)가 상기 열선단자(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추가 가열유닛을 통해 상기 유리창본체(1)의 가열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유리창본체(1)에 발생되는 성애나 결로현상을 더욱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추가 가열유닛에 상기 추가 냉각수단(65)이 마련될 경우 전술한 상기 냉각수단(65)과 같이 상기 추가 열선단자(62)의 솔더링시 발생하는 열이나 상기 추가 열선(61)의 발열시 발생하는 열을 신속하게 방열하여 상기 유리창본체(1)의 국부적 발열을 방지하거나 솔더링부위의 열적스트레스에 의한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것은 아니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 예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하는 것이다.
1 : 유리창본체 10 : 열선
11 : 기점 12 : 종점
20 : 열선단자 30 : 전원공급단자
40 : 전원케이블 50 : 냉각수단
51 : 금속박판 52 : 방열패턴
61 : 추가 열선 62 : 추가 열선단자
63 : 추가 전원공급단자 64 : 추가 전원케이블
65 : 추가 냉각수단

Claims (3)

  1. 표면에 열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열선(10)이 패턴형태로 인쇄되되, 상기 열선(10)의 기점(11)과 종점(12)이 이격상태로 인쇄되는 유리창본체(1);
    상기 열선(10)과 동일한 열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선(10)의 기점(11) 및 종점(12)의 단부에 일체적으로 제각기 인쇄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서 상기 열선(10)에 인가하는 열선단자(20);
    상기 열선단자(20)에 각각 솔더링으로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고, 박판상의 양극판(31)과 음극판(32)으로 구성되는 전원공급단자(30);
    상기 전원공급단자(30)의 양극판(31) 및 음극판(32)에 각각 연결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양극전원 및 음극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케이블(40); 및
    상기 전원공급단자(30)나 상기 열선단자(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도통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전원공급단자(30)가 상기 열선단자(20)에 솔더링되면서 발생되는 열이나 상기 열선(10)의 발열에 의한 열을 방열하여 냉각시키는 냉각수단(50);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수단(50)은,
    상기 전원공급단자(30)의 양극판(31) 및 음극판(32)에 각각 연장형성되어 양극판(31) 및 음극판(32)과 함께 길이를 갖는 판재를 형성하고, 상기 전원공급단자(30)의 솔더링에 의해 발생되는 양극판(31) 및 음극판(32)의 열이나 상기 열선(10)의 발열에 의한 열이 전이됨에 따라 전이되는 열을 흡열하여 방열하는 열전도성 재질의 금속박판(51); 및
    상기 금속박판(51)을 절연하는 절연피복(51a);을 포함하며,
    상기 열선단자(20)는 5mm 내지 15mm의 길이와 15mm 내지 25mm의 폭을 갖는 장방형의 면체로 구성되고,
    상기 금속박판(51)은 상기 전원공급단자(30)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되며, 30mm 내지 160mm의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전원공급단자(30) 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열선(10)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유리창본체(1)에 열을 제공하는 추가 가열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 가열유닛은,
    상기 열선(10)에서 분기되는 추가 열선(61);
    상기 추가 열선(61)의 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인쇄되는 추가 열선단자(62);
    상기 추가 열선단자(62)에 솔더링으로 접속되는 박판상의 추가 전원공급단자(63); 및
    상기 추가 전원공급단자(63)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차량의 전원장치에 접속되는 추가 전원케이블(64);을 포함하고,
    상기 추가 가열유닛은,
    상기 추가 전원공급단자(63)나 상기 추가 열선단자(6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도통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추가 전원공급단자(63)가 상기 추가 열선단자(62)에 솔더링되면서 발생하는 열이나 상기 추가 열선(61)의 발열에 의한 열을 방열하여 냉각시키는 추가 냉각수단(65);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 냉각수단(65)은,
    상기 금속박판(51)과 별개를 이루고, 상기 추가 전원공급단자(63)나 상기 추가 열선단자(62)에 절연상태로 연장형성되는 또 다른 금속박판(51) 또는, 상기 추가 열선단자(62)에 연장상태로 인쇄되는 방열패턴(52)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리창.
  2. 삭제
  3. 표면에 열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열선(10)이 패턴형태로 인쇄되되, 상기 열선(10)의 기점(11)과 종점(12)이 이격상태로 인쇄되는 유리창본체(1);
    상기 열선(10)과 동일한 열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선(10)의 기점(11) 및 종점(12)의 단부에 일체적으로 제각기 인쇄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서 상기 열선(10)에 인가하는 열선단자(20);
    상기 열선단자(20)에 각각 솔더링으로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고, 박판상의 양극판(31)과 음극판(32)으로 구성되는 전원공급단자(30);
    상기 전원공급단자(30)의 양극판(31) 및 음극판(32)에 각각 연결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양극전원 및 음극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케이블(40); 및
    상기 전원공급단자(30)나 상기 열선단자(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도통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전원공급단자(30)가 상기 열선단자(20)에 솔더링되면서 발생되는 열이나 상기 열선(10)의 발열에 의한 열을 방열하여 냉각시키는 냉각수단(50);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수단(50)은,
    상기 열선(10)과 동일한 열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선단자(20)의 각 단부에 연장상태로 인쇄되어 상기 열선단자(20)와 함께 길이를 갖는 열전도성 인쇄면을 형성하며, 상기 전원공급단자(30)의 양극판(31) 및 음극판(32)이 밀착상태로 솔더링됨에 따라 발생되는 솔더링에 의한 열을 흡열하여 방열하거나 상기 열선(10)의 발열에 의한 열을 흡열하여 방열하는 방열패턴(52);으로 구성되며,
    상기 열선단자(20)는 5mm 내지 15mm의 길이와 15mm 내지 25mm의 폭을 갖는 장방형의 면체로 구성되고,
    상기 방열패턴(52)은 상기 열선단자(20)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되며, 30mm 내지 160mm의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열선단자(20) 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열선(10)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유리창본체(1)에 열을 제공하는 추가 가열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 가열유닛은,
    상기 열선(10)에서 분기되는 추가 열선(61);
    상기 추가 열선(61)의 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인쇄되는 추가 열선단자(62);
    상기 추가 열선단자(62)에 솔더링으로 접속되는 박판상의 추가 전원공급단자(63); 및
    상기 추가 전원공급단자(63)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차량의 전원장치에 접속되는 추가 전원케이블(64);을 포함하고,
    상기 추가 가열유닛은,
    상기 추가 전원공급단자(63)나 상기 추가 열선단자(6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도통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추가 전원공급단자(63)가 상기 추가 열선단자(62)에 솔더링되면서 발생하는 열이나 상기 추가 열선(61)의 발열에 의한 열을 방열하여 냉각시키는 추가 냉각수단(65);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 냉각수단(65)은,
    상기 방열패턴(52)과 별개를 이루고, 상기 추가 열선단자(62)에 연장상태로 인쇄되는 또 다른 방열패턴(5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리창.
KR1020130160496A 2013-12-20 2013-12-20 차량용 유리창 KR101585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496A KR101585015B1 (ko) 2013-12-20 2013-12-20 차량용 유리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496A KR101585015B1 (ko) 2013-12-20 2013-12-20 차량용 유리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866A KR20150072866A (ko) 2015-06-30
KR101585015B1 true KR101585015B1 (ko) 2016-01-13

Family

ID=53518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0496A KR101585015B1 (ko) 2013-12-20 2013-12-20 차량용 유리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50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83074C1 (ru) * 2015-10-13 2019-03-26 Сэн-Гобэн Гласс Франс Нагреваемое ламинированное стекл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 улучшенным распределением тепла
JP6589897B2 (ja) * 2017-01-25 2019-10-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カメラ用フロントガラス加熱装置
KR101879678B1 (ko) * 2018-02-28 2018-08-16 비클시스템주식회사 자동차 유리용 발열 단자
WO2021091126A1 (ko) * 2019-11-07 2021-05-1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열선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6373A1 (ja) * 2011-01-14 2012-07-19 旭硝子株式会社 車両用窓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6373A1 (ja) * 2011-01-14 2012-07-19 旭硝子株式会社 車両用窓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866A (ko) 201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015B1 (ko) 차량용 유리창
US6875962B2 (en) Electric heat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KR101076191B1 (ko) 피티씨 로드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피티씨 히터
CN101920721A (zh) 电子控制装置
CN111566414B (zh) 包括接地装置的电加热装置
US20170288321A1 (e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and laminated plate using the same
US20080137308A1 (en) Therma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emiconductor lighting systems
TWI438375B (zh) 光源模組及其光源組件
US20170194548A1 (en) Semiconductor device
KR101132979B1 (ko) 프리 히터 조립체
EP3367770B1 (fr) Module de puissance avec système de refroidissement des cartes électroniques
CN105050360A (zh) 一种具有摄像头散热以及抗esd干扰结构的移动终端
US20140124494A1 (en) Car interior compartment heater
JP6127205B2 (ja) デフロスタ及び車輌
KR100892393B1 (ko) 히트로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커버결합형 차량용프리히터
JP4455473B2 (ja) 車載用ヒータ
JP6914809B2 (ja) 車両用のウインドシールド
JP2019114801A5 (ja) 放熱構造
EP3098898B1 (en)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a battery, in particular of a motor vehicle
KR101030869B1 (ko) Pwm 제어 고용량 피티씨 히터
CN109219320A (zh) 电子设备及其散热装置和车辆设备
JP2015536435A (ja) ヒートシンク、関連する加熱モジュール、および、対応する組み立て方法
KR200235499Y1 (ko) 정 특성 서미스터 소자를 이용한 히터
KR101516612B1 (ko) Pcb 그라운드를 이용하는 방열시스템을 구비한 led 조명등.
JP7163165B2 (ja) ヒーター装置及び車両用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