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4954B1 - 철주기초용 앙카 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철주기초용 앙카 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4954B1
KR101584954B1 KR1020140166405A KR20140166405A KR101584954B1 KR 101584954 B1 KR101584954 B1 KR 101584954B1 KR 1020140166405 A KR1020140166405 A KR 1020140166405A KR 20140166405 A KR20140166405 A KR 20140166405A KR 101584954 B1 KR101584954 B1 KR 101584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plate
convex portion
concave portion
coupling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성
Original Assignee
(유)도로앤도시
이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도로앤도시, 이효성 filed Critical (유)도로앤도시
Priority to KR1020140166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9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95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주기초용 앙카 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자재를 절반으로 대폭 절감하면서 미려한 디자인을 갖는 2장의 상부 연결판 및 하부 연결판을 가공한 후 이를 이용하여 철추기초용 앙카 구조물을 제작하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개시된 철주기초용 앙카 구조물은 원자재의 비용이 증가하여 코스트의 상승을 초래함은 물론 상부 연결판 및 하부 연결판을 가공하고 남는 폐자재의 양이 많아 원자재의 낭비를 초래하며, 상기 상부 연결판 및 하부 연결판은 제품 자체로서의 디자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적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1장의 원자재를 이용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볼록부와 오목부가 교대로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연결된 레이저 가공선을 따라 레이저로 가공하여 2장의 상부 연결판 및 하부 연결판을 한꺼번에 제작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주기초용 앙카 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Anchor structure for steel prop bas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원자재를 절반으로 대폭 절감하면서 미려한 디자인을 갖는 2장의 상부 연결판 및 하부 연결판을 가공한 후 이를 이용하여 철추기초용 앙카 구조물을 제작하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통시설물(표지판, 신호등, 이정표 등)은 운전자가 쉽게 볼 수 있도록 도로 바로 위쪽에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교통시설물을 설치하기 위한 방법으로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교통시설물 철주는, 도로의 일측 지면에 매설된 채로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철주와, 상기 철주의 상단에서 도로 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가로보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교통시설물 철주는 자중이 80㎏에 이르면서 길이는 약 3~6m에 이르는 가로보에 대한 철주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가로보를 플랜지 이음방식(Flange Coupling Type)으로 철주에 결합하고 있다.
상기 교통시설물 철주에 관련한 대표적인 기술로는 본 발명 출원인의 선등록 발명인 「특허등록 제1314058호, 명칭/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교통시설물 철주」가 제안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특히 교통시설물 철주를 간편하게 제작하고, 가로보를 설치하기 위한 일체형 플랜지를 철주의 규격에 맞추어 간단하게 접목하여 사용하며, 시공 후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한 선행기술을 포함하는 여타 모든 교통시설물 철주(1)는 도 8 내지 도 9와 같이 지중에 매설되는 철주기초(2)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철주기초(2)는 콘크리트 성형틀을 이용하여 공장에서 제작하거나 콘크리트를 현장 타설하여 제작하며, 상기 철주기초(2)의 내부에는 교통시설물 철주(1)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앙카 구조물(3)이 상부로 부분 노출되게 매설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앙카 구조물(3)은 중앙에 콘크리트 타설공(4a)(5a)이 형성된 한 쌍의 동일한 상부 연결판(4) 및 하부 연결판(5)을 원주방향을 따라 상하로 관통하는 다수의 앙카볼트(6)가 용접작업을 통해 일체로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한꺼번에 상기 상부 연결판(4) 및 하부 연결판(5)을 동시에 가공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직경보다 큰 면적이 2배로 확보된 원자재를 레이저로 절단 가공하여야만 함으로써 원자재의 비용이 증가하여 코스트의 상승을 초래함은 물론 상기 상부 연결판(4) 및 하부 연결판(5)을 가공하고 남는 폐자재의 양이 많아 원자재의 낭비를 초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 연결판(4) 및 하부 연결판(5)은 평범한 와셔의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제품 자체로서의 디자인성이 저하됨은 물론 상기 콘크리트 타설공이 원형으로 제한되어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타설면적이 협소하여 매설력이 저하됨으로써 철주기초(2)와의 일체성이 미약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선행기술에 따른 앙카 구조물이 내포하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1장의 원자재를 이용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볼록부와 오목부가 교대로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연결된 레이저 가공선을 따라 레이저로 가공하여 2장의 상부 연결판 및 하부 연결판을 한꺼번에 제작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 연결판의 오목부 및 하부 연결판의 볼록부에 형성된 결합통공이 동일 원주상에 형성되면서 상기 결합통공을 앙카볼트로 관통하여 상호 일체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부 연결판의 중앙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상부 볼록부와 상부 오목부가 상호 교대로 반복하면서 연속적으로 연결된 상부 콘크리트 타설공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오목부에는 각각 동일 원주상으로 결합통공을 관통 형성하는 한편, 하부 연결판의 중앙에는 하부 콘크리트 타설공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연결판의 외측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하부 볼록부와 하부 오목부가 상호 교대로 반복하면서 연속적으로 연결된 외부 엣지면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 볼록부에는 동일 원주상으로 결합통공을 관통 형성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상기 상부 결합통공 및 하부 결합통공을 상호 다수의 앙카볼트로 관통하여 일체화 결합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1장의 원자재를 이용하여 2장의 상부 연결판 및 하부 연결판을 가공하여 앙카 구조물을 제작함으로써 원자재의 사용량을 줄여 코스트를 획기적으로 절감함은 물론 불필요하게 남는 폐자재를 줄여 원자재의 낭비를 방지하고, 후처리에 따른 번거로움을 없애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부 연결판의 상부 콘크리트 타설공 및 하부 연결판의 외부 외부 엣지면은 꽂문양을 형성함으로써 디자인성이 뛰어나고, 시각적인 미려함을 제공함은 물론 특히 상기 상부 연결판에 형성된 상부 콘크리트 타설공은 면적이 확대되어 콘크리트의 타설면적이 넓어 매설력이 향상됨으로써 상기 철주기초와 견고한 일체성을 유지하면서 구조적인 강성을 증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앙카 구조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앙카 구조물의 설치상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상부 연결판 및 하부 연결판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상부 연결판 및 하부 연결판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원자재에 레이저 가공선이 형성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상부 연결판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 하부 연결판의 평면도
도 8은 종래 앙카 구조물의 사시도
도 9는 종래 앙카 구조물의 설치상태 종단면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상부 연결판(10), 하부 연결판(20), 다수의 앙카볼트(30)의 구성요소로 대분 됨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상부 연결판(10)은 중앙에 형성되는 상부 콘크리트 타설공(11)이 원형으로 형성된 종래의 단순한 형태를 탈피하여 디자인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꽃문양으로 형성된다.
이를 위한 기술구성으로 중앙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상부 볼록부(12)와 상부 오목부(13)가 상호 교대로 반복하면서 연속적으로 연결된 상부 콘크리트 타설공(11)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 콘크리트 타설공(11)은 전체적으로 꽃문양의 형태를 이루어 디자인성이 뛰어나고, 시각적인 미려함을 제공함은 물론 특히 상기 상부 콘크리트 타설공(11)은 면적이 확대되어 철주기초(2)의 내부에 타설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의 타설면적이 넓어 매설력을 획기적으로 향상함으로써 상기 철주기초(2)와 견고한 일체성을 유지하면서 구조적인 강성을 증대하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볼록부(12)에는 각각 동일한 원주상으로 앙카볼트(30)가 관통 결합되는 상부 결합통공(14)이 관통 형성됨으로써 다수의 앙카볼트(30)가 도 1과 같이 상기 상부 결합통공(14)을 각각 관통하면서 용접작업을 통해 상호 견고한 일체성을 유지한다.
상기 상부 연결판(10)과 1조를 이루는 하부 연결판(20)은 상호 분리된 별도의 단품이지만 도 3과 같이 상기 상부 콘크리트 타설공(11)에 끼워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1장의 원자재(7)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 연결판(10) 및 하부 연결판(20)을 2장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연결판(20)은 상기 상부 볼록부(12)와 맞물림 상태로 밀착되는 하부 오목부(23) 및 상기 상부 오목부(13)와 맞물림 상태로 맞물리는 하부 볼록부(22)가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교대로 반복하면서 연속적으로 연결된 외부 엣지면(25)을 형성하며, 상기 외부 엣지면(25)의 경우에도 꽃문양을 이루면서 디자인성을 제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볼록부(22)에는 각각 동일 원주상으로 하부 결합통공(24)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각각의 하부 결합통공(24)을 다수의 앙카볼트(30)가 관통한 상태로 용접작업을 통해 상호 일체성을 유지하며, 상기 하부 연결판(20)의 중앙에는 하부 콘크리트 타설공(21)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앙카볼트(30)는 상부 결합통공(14) 및 하부 결합통공(24)을 동시에 관통하여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부 연결판(10) 및 하부 연결판(20)은 다수의 앙카볼트(30)의 상하부를 각각 일체로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상부 연결판(10)의 상부 결합통공(14) 및 하부 연결판(20)의 하부 결합통공(24)은 전체적으로 상호 동일 원주상에 형성되고, 상호 등간격을 유지함으로써 다수의 앙카볼트(30)가 동일한 원주상에 등간격을 유지하면서 원활하게 연결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 볼록부(12), 상부 오목부(13), 하부 볼록부(22), 하부 오목부(23)는 상호 반원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전체적으로 부드럽게 연결된 꽃문양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 5와 같이 상기 상부 볼록부(12), 상부 오목부(13), 하부 볼록부(22) 및 하부 오목부(23)는 각각 상기 상부 연결판(10) 및 하부 연결판(20)으로 가공되기 이전에 1장의 원자재(7)에 상호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레이저 절단 가공을 위한 가상의 레이저 가공선(L)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레이저 가공선(L)을 따라 절단 가공을 하면 1장의 원자재(7)를 2장의 상부 연결판(10) 및 하부 연결판(20)으로 가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원자재(7)의 사용량을 절반으로 줄여 코스트를 획기적으로 절감함은 물론 불필요하게 남는 폐자재를 줄여 원자재의 낭비를 방지하고, 후처리에 따른 번거로움을 없애면서도 시각적인 미려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철주기초용 앙카 구조물을 제작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1) 제1 단계
우선적으로 본 발명은 도 5와 같이 1장의 원자재(7)를 이용하여 중앙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상부 볼록부(12), 상부 오목부(13), 하부 볼록부(22) 및 하부 오목부(23)가 상호 일체로 연결된 가상의 레이저 가공선(L)을 따라 절단하여 2장의 상부 연결판(10) 및 하부 연결판(20)을 동시에 가공한다.
이때 상기 2장의 상부 연결판(10) 및 하부 연결판(20)을 동시에 가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하부 연결판(20)이 가공되어 빠져나간 구멍은 자연적으로 도 6과 같이 상부 콘크리트 타설공(11)으로 형성됨으로써 철주기초(2)와 견고한 일체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2) 제2 단계
상기 상부 연결판(10)의 상부 오목부(13)에는 각각 도 6과 같이 앙카볼트(30)가 관통 결합되는 상부 결합통공(14)을 관통 형성한다.
3) 제3 단계
상기 상부 연결판(10)에 상부 결합통공(14)을 형성하는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하부 연결판(20)의 하부 볼록부(22)에는 각각 도 7과 같이 앙카볼트(30)가 관통 결합되는 하부 결합통공(24)을 관통 형성한다.
4) 제4 단계
그리고 상기 하부 결합통공(24)이 형성된 하부 연결판(20)에는 중앙에 하부 콘크리트 타설공(21)을 형성한다.
5) 제5 단계
상기 상부 연결판(10)의 상부 결합통공(14) 및 하부 연결판(20)의 하부 결합통공(24)을 다수의 앙카볼트(30)를 이용하여 동시에 관통하여 용접작업을 통해 일체로 결합하면 비로소 도 1과 같은 앙카 구조물(A)의 제작이 완료된다.
L: 레이저 가공선 1: 교통시설물 철주
2: 철주기초 3, A: 앙카구조물
4, 10: 상부 연결판 4a, 5a: 콘크리트 타설공
5, 20: 하부 연결판 6, 30: 앙카볼트
7: 원자재 11: 상부 콘크리트 타설공
12: 상부 볼록부 13: 상부 오목부
14: 상부 결합통공 21: 하부 콘크리트 타설공
22: 하부 볼록부 23: 하부 오목부
24: 하부 결합통공 25: 외부 엣지면

Claims (6)

  1. 중앙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상부 볼록부(12)와 상부 오목부(13)가 상호 교대로 반복하면서 연속적으로 연결된 상부 콘크리트 타설공(1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볼록부(12)에 각각 동일 원주상으로 상부 결합통공(14)이 관통 형성된 상부 연결판(10)과;
    상기 상부 볼록부(12)와 밀착되는 하부 오목부(23) 및 상기 상부 오목부(13)와 밀착되는 하부 볼록부(22)가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교대로 반복하면서 연속적으로 연결된 외부 엣지면(25)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볼록부(22)에 각각 동일 원주상으로 하부 결합통공(24)이 형성되며, 중앙에 하부 콘크리트 타설공(21)이 형성된 하부 연결판(20)과;
    상기 상부 결합통공(14) 및 하부 결합통공(24)을 동시에 관통하여 일체로 결합된 다수의 앙카볼트(30)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상부 볼록부(12), 상부 오목부(13), 하부 볼록부(22) 및 하부 오목부(23)는 상호 반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연결판(10)의 상부 결합통공(14) 및 상기 하부 연결판(20)의 하부 결합통공(24)은 상호 동일한 원주상에 형성되고, 상호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볼록부(12), 상부 오목부(13), 하부 볼록부(22) 및 하부 오목부(23)는 각각 상기 상부 연결판(10) 및 하부 연결판(20)으로 가공되기 이전에 1장의 원자재(7)에 상호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레이저 절단 가공을 위한 가상의 레이저 가공선(L)을 형성하고, 상기 레이저 가공선(L)을 따라 절단 가공을 하면 1장의 원자재(7)를 이용하여 2장의 상부 연결판(10) 및 하부 연결판(20)으로 가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주기초용 앙카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중앙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상부 볼록부(12)와 상부 오목부(13)가 상호 교대로 반복하면서 연속적으로 연결된 상부 콘크리트 타설공(1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볼록부(12)에 각각 동일 원주상으로 상부 결합통공(14)이 관통 형성된 상부 연결판(10)과;
    상기 상부 볼록부(12)와 밀착되는 하부 오목부(23) 및 상기 상부 오목부(13)와 밀착되는 하부 볼록부(22)가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교대로 반복하면서 연속적으로 연결된 외부 엣지면(25)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볼록부(22)에 각각 동일 원주상으로 하부 결합통공(24)이 형성되며, 중앙에 하부 콘크리트 타설공(21)이 형성된 하부 연결판(20)과;
    상기 상부 결합통공(14) 및 하부 결합통공(24)을 동시에 관통하여 일체로 결합된 다수의 앙카볼트(30)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상부 볼록부(12), 상부 오목부(13), 하부 볼록부(22) 및 하부 오목부(23)는 상호 반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연결판(10)의 상부 결합통공(14) 및 상기 하부 연결판(20)의 하부 결합통공(24)은 상호 동일한 원주상에 형성되고, 상호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볼록부(12), 상부 오목부(13), 하부 볼록부(22) 및 하부 오목부(23)는 각각 상기 상부 연결판(10) 및 하부 연결판(20)으로 가공되기 이전에 1장의 원자재(7)에 상호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레이저 절단 가공을 위한 가상의 레이저 가공선(L)을 형성하고, 상기 레이저 가공선(L)을 따라 절단 가공을 하면 1장의 원자재(7)를 이용하여 2장의 상부 연결판(10) 및 하부 연결판(20)으로 가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주기초용 앙카 구조물을 제작하는 방법은,
    1장의 원자재(7)를 이용하여 중앙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상부 볼록부(12), 상부 오목부(13), 하부 볼록부(22) 및 하부 오목부(23)가 상호 일체로 연결된 가상의 레이저 가공선(L)을 따라 절단하여 2장의 상부 연결판(10) 및 하부 연결판(20)을 동시에 가공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상부 연결판(10)의 상부 오목부(13)에 각각 상부 결합통공(14)을 관통 형성하는 제2 단계와;
    상기 하부 연결판(20)의 하부 볼록부(22)에 각각 하부 결합통공(24)을 관통 형성하는 제3 단계와;
    상기 하부 연결판(20)의 중앙에 하부 콘크리트 타설공(21)을 형성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상부 결합통공(14) 및 하부 결합통공(24)을 다수의 앙카볼트(30)를 이용하여 동시에 관통하여 일체로 결합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2장의 상부 연결판(10) 및 하부 연결판(20)을 동시에 가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하부 연결판(20)이 가공되어 빠져나간 구멍은 자연적으로 상부 콘크리트 타설공(11)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주기초용 앙카 구조물의 제작방법.
  6. 삭제
KR1020140166405A 2014-11-26 2014-11-26 철주기초용 앙카 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584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405A KR101584954B1 (ko) 2014-11-26 2014-11-26 철주기초용 앙카 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405A KR101584954B1 (ko) 2014-11-26 2014-11-26 철주기초용 앙카 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4954B1 true KR101584954B1 (ko) 2016-01-13

Family

ID=55172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405A KR101584954B1 (ko) 2014-11-26 2014-11-26 철주기초용 앙카 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49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812B1 (ko) * 2019-07-02 2021-01-13 디와이컴퍼니 주식회사 울타리 지주용 결합수단이 구비된 기초콘크리트 구조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4518B2 (ja) * 1995-08-02 2000-03-2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制御装置
JP2001049855A (ja) 1999-08-09 2001-02-20 Itoki Co Ltd 床パネル支持脚装置
JP2004019303A (ja) 2002-06-18 2004-01-22 Sadao Yoshida アンカーボルト固定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4518B2 (ja) * 1995-08-02 2000-03-2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制御装置
JP2001049855A (ja) 1999-08-09 2001-02-20 Itoki Co Ltd 床パネル支持脚装置
JP2004019303A (ja) 2002-06-18 2004-01-22 Sadao Yoshida アンカーボルト固定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812B1 (ko) * 2019-07-02 2021-01-13 디와이컴퍼니 주식회사 울타리 지주용 결합수단이 구비된 기초콘크리트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0165B2 (ja) 露出型柱脚部接合構造
KR101827846B1 (ko) 강제 교각과 콘크리트제 말뚝기초의 접합구조
CN109869028B (zh) 一种装配式钢筋混凝土筒仓及其制作方法
CN104428472A (zh) 复合结构
KR101648008B1 (ko) 프리캐스트 트러스구조체를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
US20150259917A1 (en) Column structure
CN104088291A (zh) 一种环形楔块组合式混凝土预制块塔吊基础
JP5420030B1 (ja) 木柱の設置構造
KR20180072968A (ko) 교각 구조물용 영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교각 시공방법
KR101584954B1 (ko) 철주기초용 앙카 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750177B1 (ko) 절단 브리지형 펀칭전단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기초판의 시공방법
KR101565154B1 (ko) 지주용 스크류 파일
CN201738329U (zh) 桅杆式机械设备与基础的垂直连接构造
KR101428539B1 (ko) 중심부재가 구비된 개량형 콘크리트 충전 기둥 및 이의 시공방법
CN202157418U (zh) 柱脚基础连接件及其轻钢结构
CN204645318U (zh) 一种叠合板式剪力墙
KR101542197B1 (ko) 강재교량상부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강재교량 시공방법
JP6301742B2 (ja) 鋼管ポールおよびその設置方法
CN202509515U (zh) 组合式塔基
EP3187658A1 (en) Form structure of precast segmen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119228B1 (ko) 기성바닥판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US9051708B2 (en) Tower foundation
KR101542198B1 (ko) 강재교량상부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강재교량 시공방법
CN106049710A (zh) 一种可拆卸剪力墙装配式结构体系
KR200479334Y1 (ko) 조립식 펜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