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4389B1 - Warehouse facility - Google Patents

Warehouse fac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4389B1
KR101584389B1 KR1020110008634A KR20110008634A KR101584389B1 KR 101584389 B1 KR101584389 B1 KR 101584389B1 KR 1020110008634 A KR1020110008634 A KR 1020110008634A KR 20110008634 A KR20110008634 A KR 20110008634A KR 101584389 B1 KR101584389 B1 KR 101584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arriage
elevating
ladder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6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89821A (en
Inventor
다케시 아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10089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98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3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69Stor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97Wafer casset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비용면에서 유리하고, 더욱이, 원활한 보수작업을 할 수 있는 창고 설비를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천정(S)측으로부터 매달아 지지된 상태로 설정 주행 영역(K)을 주행 가능한 물품 반송용의 천정 반송차(2)의 설정 주행 영역(K)에, 평면에서 보아 근접하는 상태로 바닥면(F)측에 설치되고, 복수의 물품을 종횡으로 나열한 상태에서 수납 가능한 창고 본체(4)와, 창고 본체(4)의 외벽(4S)에 설치된 보수작업자 진입용의 상층용의 진입구(11H)에 대해서 작업자가 바닥면(F)으로부터 오르내리기 위해서 이용되는 승강구가 구비되고, 승강구가, 창고 본체(4)의 외벽(4S)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고, 또한, 이동용의 차륜(21)을 구비하여 인위 조작에 의해 바닥면(F)상을 이동 가능한 승강용 대차(20)로 구성되고, 또한, 상단부(20T)의 바닥 위 높이(H3)가 설정 주행 영역(K)의 하한 높이(H2)보다 낮게 구성되어 있다.
[PROBLEMS] To provide a warehouse facility tha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and can perform a smooth maintenance work.
[MEANS FOR SOLVING PROBLEMS] In a state in which a set running region (K) is suspended from a ceiling (S) side and a set running region (K) of a ceiling conveying car (2) A warehouse main body 4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loor F and capable of storing a plurality of articles in a state in which the articles are arranged in a vertical and a horizontal direction and an inlet 11H for the upper layer for entering a maintenance worker installed on the outer wall 4S of the warehouse body 4 The elevator is detachable from the outer wall 4S of the warehouse body 4 and is provided with a wheel 21 for movement And a height H3 at the bottom of the upper end portion 20T is smaller than the lower limit height H2 of the set travel region K. In this case, Respectively.

Description

창고 설비{WAREHOUSE FACILITY}Warehouse Facility {WAREHOUSE FACILITY}

본 발명은, 천정측으로부터 매달아 지지된 상태로 설정 주행 영역을 주행 가능한 물품 반송용의 천정 반송차의 상기 설정 주행 영역에, 평면에서 보아 인접하는 상태에서 바닥면측에 설치되어 복수의 물품을 종횡으로 나열한 상태로 수납 가능한 창고 본체와, 상기 창고 본체의 외벽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상기 설정 주행 영역과 적어도 일부가 겹치는 높이에 설치된 보수작업자 진입용의 진입구에 대해서 작업자가 바닥면으로부터 오르내리기 위해서 이용되는 승강구(昇降具)가 구비된 창고 설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transporting a product in a predetermined traveling region of a ceiling-conveying car for transporting a product, which is capable of traveling in a set traveling region in a state of being suspended from a ceiling, And an entrance port for entering a maintenance worker installed at a height at least partially overlapping with the set travel area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outer wall of the warehouse main body, And an elevator (elevator).

상기 창고 설비는, 예를 들면, 반도체 기판 제조 공장에 있어서, 천정 반송차로 반송되는 기판 수납용기를 물품으로서 수납하기 위해서, 천정 반송차의 설정 주행 영역을 따른 복수의 설치 개소에 설치되는 것이다.The storage facility is, for example, provided at a plurality of installation sites along a set travel region of the overhead traveling carriage so as to house a substrate storage container transported as a ceiling transportation vehicle as an article in a semiconductor substrate manufacturing factory.

상기 창고 설비에서의 창고 본체의 내부에는,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종횡으로 나열하여 구성한 수납선반과, 이 수납선반에서의 각 수납부에 대해서 물품의 이재(移載)를 자동으로 행하는 물품 반송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창고 본체는 평면에서 본 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의 직방체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설치공간의 사정상, 평면에서 보아 장변(長邊)측을 천정 반송차의 설치 주행 영역을 따르게 한 상태로 배치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창고 본체에는, 천정 반송차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수수(授受)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나, 천정 반송차와의 사이에서는 물품의 수수를 행하지 않고, 바닥면측에 설치된 다른 이재수단이나 작업자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수수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 있다.A storage shelf in which a storage section for storing articles is arranged in a longitudinal side and a back side, and an article carry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ransferring articles to each storage section in the storage shelf, Respectively. For this reason, in many cases, the warehouse body is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viewed from the top, and the long side of the warehouse body in the plane is viewed along the installation running region of the ceiling- In many cases. In addition, the warehouse body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capable of transferring articles between the ceiling-carrying truck and the ceiling-conveying vehicle, but not between the ceiling-carrying truck and another transportation means provided on the bottom- And the like.

이러한 창고 본체의 보수작업은, 작업자가 창고 본체의 내부에 진입하여 행하여지지만, 수납 선반의 상층 부분에 대한 보수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창고 본체의 내부에서 상층 작업용의 높이에 작업용의 내부 발판을 형성하여 보수작업을 행하도록 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The maintenance work of the warehouse main body is performed by the operator entering the inside of the warehouse main body. However, when the maintenance work is performed on the upper layer portion of the storage shelf, an inner footrest for work is formed at the height for the upper layer work inside the warehouse body (For example, refer to Patent Document 1).

창고 본체의 외벽에는, 보수작업을 행하는 작업자가 내부에 진입하기 위한 진입구가 설치되어 있다. 진입구로서는, 바닥면 부근에 설치되는 하층용 진입구 외에, 작업용의 내부 발판이 형성되는 높이에 맞추어서 설치되는 상층용 진입구가 있다. 작업용의 내부 발판의 높이의 사정상, 상층용의 진입구는, 상하방향으로 설정 주행 영역과 적어도 일부가 겹치는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창고 본체가 평면에서 보아 장변측을 천정 반송차의 설치 주행 영역을 따르게 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고려하여, 상층용의 진입구는 평면에서 보아 단변(短邊)측의 외벽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On the outer wall of the warehouse main body, an entry port is provided for an operator to perform maintenance work. As the entrance, there is an entrance for the upper floor, which is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at which the inner footrest for work is formed, in addition to the entryway for the lower floor installed near the floor. The entry opening for the upper layer is located at a height at least partially overlapping the set running reg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account of the height of the inner foot plate for work. Considering that the warehouse body is disposed in a state in which the long side is viewed along the installation running area of the ceiling conveying car in plan view, the entry port for the upper layer is often provided on the outer wall on the short side side in plan view.

작업자는, 창고 본체의 외부에 설치된 승강구를 사용하여 상층용의 진입구까지 오름으로써 진입구로부터 창고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작업용의 내부 발판에 탑승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특허문헌 1과 같이, 작업자가 상층용의 진입구까지 오르기 위해서 이용하는 승강구는, 창고 본체의 외벽에 고정 상태의 사다리로 구성되어 있었다.The worker rides on the inner footrest for work installed inside the warehouse body from the entrance by raising the entrance to the upper layer using the entrance raised on the outside of the warehouse body. Conventionally, a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the hatch used for an operator to reach the entrance for the upper layer is formed of a ladder fixed on the outer wall of the warehouse body.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 1의 경우에는, 창고 본체의 내부에서 작업용의 내부 발판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작업자는, 승강구로 상층용의 진입구의 높이까지 오른 후, 내부에 진입하기 전에, 창고 본체의 외벽에 설치된 외부 작업대에 탑승한 상태에서, 수동식의 승강 장치를 조작함으로써 창고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작업용의 내부 발판을 상층 작업용의 높이로 하강시키고 나서 내부에 진입하도록 되어 있다.In this connection, 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1, an inner footrest for work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in the interior of the warehouse body, and the worker moves up to the height of the entrance for the upper layer by the entrance, The user operates the manual lifting device to lower the work footrest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warehouse body to the height for the upper work, and then enters the inside of the warehouse body by operating the manual lifting device.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 2009-73627호 공보Patent Document 1: JP-A-2009-73627

종래의 창고 설비에서는, 승강구가 창고 본체의 외벽에 고정 상태로 설치된 사다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하는 창고 본체의 수만큼 승강구가 필요하다. 특히 특허문헌 1과 같이, 창고 본체의 외벽에 외부 작업대를 설치하는 경우, 이에 대해서도 설치하는 창고 본체의 수만큼 필요하다. 따라서, 창고 본체를 공장내에 복수대 배치하는 경우, 복수의 창고 본체의 각각에 승강구가 구비되도록 되어, 비용면에서 불리한 창고 설비였다.In the conventional warehouse facility, the hatch is formed of a ladder fixedly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warehouse body, so that the hatch is required for the number of the warehouse bodies to be installed. Especially when an external workbench is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warehouse body as in Patent Document 1, the number of the external workbenches is required as much as the number of the warehouse bodies to be installed. Therefore, when a plurality of warehouse bodies are arranged in a factory, each of the plurality of warehouse bodies is provided with a doorway, which is a disadvantageous warehouse facility in terms of cost.

또한, 창고 본체에 고정 상태로 설치된 사다리를 대신하여, 이동 가능한 사다리나 접사다리 등의 일반적인 운반식의 승강구를 이용하면, 창고 본체의 내부에 진입하기 전에 승강구에 탑승한 채 그 상태에서 어떠한 작업(예를 들면, 상술과 같은 작업용의 내부 발판의 승강 조작이나, 상층용의 진입구에 설치된 문의 개폐 작업)을 행하면, 발판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작업을 행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창고 본체의 보수작업 중에도 천정 반송차의 주행을 계속시키는 운용의 경우, 이용하는 승강구의 높이에 따라서는, 그 승강구의 운반·설치작업 및 설치 후의 창고 본체의 보수작업시에 있어서, 주행하는 천정반송차와의 간섭에 많은 주위를 기울이면서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어, 원활한 보수작업을 할 수 없는 우려가 있다.In addition, when a general portable type hatch, such as a movable ladder or a close-up leg, is used instead of a ladder fixedly installed in the warehouse main body, For example, when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inner footrest for work or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installed at the entrance for the upper layer as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not only is it difficult to carry out the work because the footrest is unstable, In the case of operation in which the vehicle continues to run,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hatch used, much attention is paid to the interference with the traveling ceiling transportation vehicle during the transportation and installation work of the hatchery and the maintenance work of the warehouse body after installation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an operation while performing maintenance work.

본 발명은 상기 실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비용면에서 유리하고, 더욱이, 원활한 보수작업을 할 수 있는 창고 설비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rehouse facility tha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and can perform a smooth maintenance work.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창고 설비의 제1 특징 구성은, 천정측으로부터 매달아 지지된 상태로 설정 주행 영역을 주행 가능한 물품 반송용의 천정 반송차의 상기 설정 주행 영역에, 평면에서 보아 근접하는 상태로 바닥면측에 설치되고, 복수의 물품을 종횡으로 나열한 상태로 수납 가능한 창고 본체와, 상기 창고 본체의 외벽에서 상하방향으로 상기 설정 주행 영역과 적어도 일부가 겹치는 높이에 설치된 보수작업자 진입용의 상층용의 진입구(進入口)에 대해서 작업자가 바닥면으로부터 오르내리기 위해서 이용되는 승강구(昇降具)가 구비된 것에 있어서,In order to attain this object, a first feature of the inventive storage facility is that, in a set traveling region of a product carrying transportable article carrying region in a state of being suspended from a ceiling, A plurality of articles arrang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in a state of being close to each other and being housed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articles are arranged in a vertical and a horizontal direction; (Elevator) used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worker from the floo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entrance for the upper layer of the elevator,

상기 승강구가, 상기 창고 본체의 외벽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면서, 이동용의 차륜을 구비하여 인위 조작에 의해 바닥면상을 이동 가능한 승강용 대차(臺車)로 구성되고, 또한, 상단부의 바닥 위 높이가 상기 천정 반송차의 상기 설정 주행 영역의 하한 높이보다 낮게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Wherein the elevation gate is constituted by a lift truck which is detachable from the outer wall of the warehouse body and is provided with a movable wheel and is movable on the floor surface by an artificial operation, Is lower than the lower limit height of the set travel region of the overhead traveling carriage.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승강구는, 창고 본체의 외벽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므로, 승강구를 창고 본체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또한, 승강구는, 이동용의 차륜을 구비하여 인위 조작에 의해 바닥면상을 이동 가능한 승강용 대차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수동에 의한 밀고 당김 조작에 의해 바닥면상을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창고 본체가 복수 설치되는 경우, 하나의 승강구로서의 승강용 대차를 어느 창고 본체로부터 이탈시킨 상태에서, 타 창고 본체까지 이동시켜 당해 타 창고 본체의 외벽에 장착함으로써, 당해 타 창고 본체의 보수작업시에 승강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창고 본체의 각각에 승강구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비용면에서 유리한 창고 설비로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feature, since the hatch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outer wall of the warehouse body, the hatch can be removed from the warehouse body. Further, since the hatch is constituted by a lift truck which is provided with a wheel for movement and is movable on the floor surface by artificial manipulation, it can be stably moved on the floor surface by manual pushing and pulling operation. Therefore, when a plurality of warehouse bodies are installed, the elevating truck as one of the hatches is moved from the other warehouse body to the other warehouse body and mounted on the outer wall of the other warehouse body, It can be used as a hatchway when working.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each of the plurality of warehouse bodies with a companion opening, resulting in a warehouse facility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또한, 승강구의 바닥 위 높이가 천정 반송차의 설정 주행 영역의 하한 높이보다 낮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승강구로서의 승강용 대차를 바닥면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에 천정 반송차와 간섭하는 경우가 없다. 그 때문에, 승강용 대차를 이동 조작하는 작업자는, 천정 반송차와의 간섭에 많은 주위를 기울일 필요가 없고, 창고 본체의 보수작업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eight above the floor of the hatch is smaller than the lower limit height of the set travel region of the overhead traveling carriage, there is no chance of interference with the overhead traveling carriage when the elevating carriage as the hatching is moved on the floor. Therefore, the operator who moves the elevator truck does not have to pay much attention to the interference with the ceiling-carrying truck, and the maintenance work of the warehouse body can be smoothly proceeded.

이와 같이, 비용면에서 유리하고, 더욱이, 원활한 보수작업을 할 수 있는 창고 설비를 얻기에 이르렀다.Thus, a warehouse facility tha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and capable of smooth maintenance work has been obtained.

본 발명에 의한 창고 설비의 제2 특징 구성은, 수평방향을 따른 판 형상의 횡방향 보호 커버가, 상기 승강용 대차의 상단부(上端部)에 고정 상태로 구비되고, 연직 방향을 따라서 상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판 형상의 종방향 보호 커버가, 상기 승강용 대차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진입구가, 상기 설정 주행 영역과 교차하는 방향의 외벽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용 대차는, 상기 외벽의 전면(前面)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상기 창고 본체에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횡방향 보호 커버는, 상기 승강용 대차가 상기 창고 본체의 상기 외벽에 대해서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진입구가 설치되어 있는 외벽의 전면측이면서 상기 승강용 대차의 상단부의 높이에서, 상기 설정 주행 영역을 따르는 자세로 상기 천정 반송차의 상기 설정 주행 영역의 존재 공간과 그 하방의 공간을 구획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종방향 보호 커버는, 상기 창고 본체의 상기 외벽에 대해서 장착된 상기 승강용 대차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진입구가 설치되어 있는 외벽의 전면측이면서 상기 승강용 대차의 상단부보다 상방에서, 상기 설정 주행 영역을 따르는 자세로 상기 천정 반송차의 상기 설정 주행 영역의 존재 공간과 상기 창고 본체의 존재 공간을 구획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The second feature of the inventive storage facility is that the plate-like lateral protective cover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and lowering carriage, Is provided on an outer wall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predetermined running region, and the elevation bogie is provided on an outer wall of the elevation bogie, And the lateral protection cover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lifting truck is mounted on the outer wall of the warehouse body, the lateral opening protection cover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outer wall, And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carriage is set to a predetermined attitude along the set traveling area, Wherein the longitudinal protection cover is configured to partition the existence space of the reverse side and the space below the reverse side of the outer wall of the warehouse body,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artition the existence space of the set traveling region of the overhead traveling carriage and the existing space of the warehouse main body in a posture that is above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carriage and along the set traveling region.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횡방향 보호 커버는, 수평방향을 따른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승강용 대차의 상단부에 고정 상태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승강용 대차를 이동 조작할 때에는, 승강용 대차의 상단부의 높이는, 설정 주행 영역의 하한 높이보다 낮다는 것은 변함이 없기 때문에, 횡방향 보호 커버를 구비한 것이라도, 승강용 대차를 바닥면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에 횡방향 보호 커버가 천정 반송차와 간섭하지 않는다.According to this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since the transverse protection cover is formed in a plate shape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fixedly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and lowering carriage, when the lifting and lowering carriage is moved, The height of the lower limit height of the set travel area remains unchanged. Therefore, even if the transverse protection cover is provided, the lateral protection cover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verhead traveling carriage when the elevating truck is moved on the bottom surface Do not.

또한, 종방향 보호 커버는, 연직 방향을 따라서 상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승강용 대차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므로, 승강용 대차를 이동 조작할 때에는, 종방향 보호 커버를 승강용 대차의 상단부로부터 이탈시켜둠으로써, 승강용 대차의 상단부의 높이를, 천정 반송차의 설정 주행 영역의 하한 높이보다 낮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방향 보호 커버를 구비한 것이라도, 승강용 대차를 바닥면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에 천정 반송차와 간섭하지 않는다.The vertical protection cover is formed in a plate shape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end portion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However, since the vertical protection cover is detachably provided 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lifting and lowering carriage, The height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elevating truck can be made lower than the lower limit height of the set traveling region of the overhead traveling carriage by releasing the cover from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elevating truck. Therefore, even with the longitudinal protective cover,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verhead traveling carriage when the elevating carriage is moved on the floor surface.

이와 같이, 승강용 대차에는, 횡방향 보호 커버 및 종방향 보호 커버가 구비되지만, 승강용 대차를 바닥면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에, 승강용 대차와 천정 반송차가 간섭하지 않고, 승강용 대차를 문제없이 바닥면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levating truck is provided with the lateral protection cover and the longitudinal protection cover. However, when the elevating truck is moved on the floor, the elevating truck and the overhead traveling carrier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It can be moved on the floor.

횡방향 보호 커버는, 승강용 대차가 창고 본체의 외벽의 전면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장착된 상태에서, 진입구가 설치되어 있는 외벽의 전면측이면서 승강용 대차의 상단부의 높이에서, 설정 주행 영역을 따르는 자세로 천정 반송차의 설정 주행 영역의 존재 공간과 창고 본체의 존재 공간을 구획하므로, 승강용 대차를 이동 조작하여 창고 본체의 외벽에 대해서 장착함으로써, 진입구가 설치되어 있는 외벽의 전면측이면서 승강용 대차의 상단부의 높이에서, 설정 주행 영역의 존재 공간과 그보다 하방인 공간을 판 형상의 횡방향 보호 커버로 구획할 수 있다. 따라서, 외벽의 전면측에서 천정 반송차의 설정 주행 영역내로 하방으로부터 진입하는 것을 횡방향 보호 커버에 의해 저지할 수 있으므로, 외벽의 전면(前面)에 승강용 대차를 장착함으로써, 이 승강용 대차를 사용하여 진입구까지 오르려고 하는 작업자의 머리부 등이 천정 반송차의 설정 주행 영역내로 하방으로부터 진입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천정 반송차에 작업자가 하방으로부터 접촉함을 방지할 수 있다.The lateral protection cover is a front surface side of the outer wall on which the entrance is provided and a height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lifting and lowering carriage in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and lowering carriage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side of the outer wall of the warehouse body, Since the existing space of the set travel region of the overhead traveling carriage and the existing space of the warehouse main body are partitioned by the following attitude, the lifting and lowering bogie is mounted on the outer wall of the warehouse body by moving operation, The present space of the setting running area and the space lower than the present space can be partitioned by the plate-like lateral protection cov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wall from entering the set travel region of the overhead traveling carriage from the front surface side, by mounting the elevating carriag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wal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ad portion of an operator or the like who wants to climb to the entry port from entering from the lower side into the set running region of the ceiling conveying vehicle. Thereb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orker from touching the overhead traveling carriage from below.

종방향 보호 커버는, 창고 본체의 외벽의 전면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장착된 승강용 대차에 장착된 상태에서, 진입구가 설치되어 있는 외벽의 전면측이면서 승강용 대차의 상단부보다 상방에서, 설정 주행 영역을 따르는 자세로 천정 반송차의 설정 주행 영역의 존재 공간과 창고 본체의 존재 공간을 구획하므로, 승강용 대차를 이동 조작하여 창고 본체의 외벽에 대해서 장착하고 종방향 보호 커버를 승강용 대차에 장착함으로써, 진입구가 설치되어 있는 외벽의 전면측이면서 승강용 대차의 상단부보다 상방에서, 설정 주행 영역의 존재 공간과 창고 본체의 존재 공간을 종방향 보호 커버로 구획할 수 있다. 따라서, 외벽의 전면측에서 천정 반송차의 설정 주행 영역내에 횡방향으로부터 진입하는 것을 종방향 보호 커버에 의해 저지할 수 있으므로, 창고 본체의 외벽에 대해서 장착된 승강용 대차에 장착함으로써, 이 승강용 대차를 사용하여 진입구까지 오르려고 하는 작업자의 팔 등이 천정 반송차의 설정 주행 영역내로 측방으로부터 진입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천정 반송차에 작업자가 측방으로부터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longitudinal protection cover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outer wall of the warehouse body and in a state of being mounted on the lifting and lowering carriage mounted on the front side of the outer wall of the warehouse body, Since the existing space of the set travel region of the overhead traveling carriage and the existing space of the warehouse main body are divided by the attitude following the region, the elevating truck is moved and mounted on the outer wall of the warehouse body, and the longitudinal protective cover is mounted on the elevating truck The present space of the setting running area and the existing space of the warehouse main body can be partitioned by the longitudinal protective cover at the front side of the outer wall on which the entrance is provided and above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ca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ngitudinal direction protective cover from entering from the lateral direction into the set travel region of the overhead traveling carriage from the front surface side of the outer wall, so that the longitudinal protective cover can be mounted on the elevating truck mounted on the outer wall of the warehouse bod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rm or the like of the worker who is going to climb to the entrance using a bogie from entering from the side into the set running area of the ceiling conveying vehicle. Thereb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orker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overhead traveling carriage from the side.

이와 같이, 천정 반송차의 설정 주행 영역과 교차하는 방향의 외벽에 진입구가 설치되어, 그 외벽의 전면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승강용 대차가 창고 본체에 장착된 경우에, 횡방향 보호 커버 및 종방향 보호 커버를 구비함으로써, 승강용 대차를 사용하여 진입구까지 오르려고 하는 작업자가 천정 반송차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보호 커버를 구비해도,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용 대차와 천정 반송차가 간섭하지 않고 승강용 대차를 문제없이 바닥면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승강용 대차를 이동 조작하는 경우의 지장이 되지 않는다.Thus, when the elevating truck is mounted on the warehouse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entrance is provided on the outer wall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set travel region of the ceiling-tangled conveyance truck and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outer wall, With the provision of the directional protection cover,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operator who tries to climb to the entrance using the elevating truck to contact the ceiling carriage. Furthermore, even if such a protective cover is provided, since the elevating truck and the overhead traveling carriage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and the elevating truck can be moved on the floor without any problem as described above, this does not hinder the moving operation of the elevating truck .

본 발명에 의한 창고 설비의 제3 특징 구성은, 상기 승강용 대차는, 상하방향의 중간 높이에 수평방향을 따른 작업 발판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작업 발판은, 상기 승강용 대차가 이동 조작될 때에는, 상기 승강용 대차로부터 이탈된 상기 종방향 보호 커버를 수평방향을 따른 자세로 재치(載置) 지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The third feature of the inventive storage facility is that the elevating bogie comprises a work foot plate along a horizontal direction at an intermediat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work foot plat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elevating bogie is moved And the vertical protection cover separated from the lifting carriage is capable of being mounted in a posture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승강용 대차에는 상하방향의 중간 높이에 수평방향을 따른 작업 발판이 있으므로, 승강용 대차를 창고 본체의 외벽에 대해서 장착한 상태로 승강용 대차를 사용하는 작업자는, 진입구에 들어감에 있어서 일단 작업 발판에서 기립 자세로, 예를 들면, 종방향 보호 커버의 장착 작업이나, 내부 작업대의 승강 조작이나, 진입구에 설치된 문의 개폐 조작을 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좋다. 또한, 보수작업 종료후에 행하는 종방향 보호 커버의 이탈 작업등에 관해서도 작업 발판에서 기립 자세로 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좋다.According to the present feature, since the elevating truck has a work foot plate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at an intermediat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 operator using the elevating truck with the elevating truck mounted on the outer wall of the warehouse body,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mounting operation of the longitudinal protection cover,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inner work tabl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installed at the entrance, for example. In addition, work for detaching the longitudinal protective cover after completion of the maintenance work can also be performed in the standing posture in the operation footrest, so that workability is good.

또한, 승강부 대차를 바닥면상에서 이동 조작함에 있어서, 착탈 가능한 종방향 보호 커버를 승강용 대차로부터 이탈시키지만, 그 이탈시킨 종방향 보호 커버를 그대로 작업 발판에 수평방향을 따른 자세로 재치해두면 되기 때문에, 이탈 후의 종방향 보호 커버의 처리에 시간이 걸리지 않고, 그 후의 이동 처리로 신속히 이행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다.In addition, when the elevator truck is moved on the floor, the detachable longitudinal protective cover is detached from the elevating truck. However, if the detached longitudinal protective cover is directly placed on the operation footboard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fore, the process of the longitudinal protective cover after release does not take much time, and the process can be quickly performed by the subsequent moving process, and the workability is good.

더욱이, 승강용 대차에 작업 발판이 있으면, 종래와 같이 창고 본체에 외부 발판을 설치하지 않아도 창고 외부에서의 상층부에서의 작업을 행하기 쉽기 때문에, 비용면에서도 한층 유리하다.Further, if there is an operation footrest on the elevating truck, it is easy to perform the operation at the upper part of the outside of the warehouse without installing an external footrest on the body of the warehouse as in the prior art.

본 발명에 의한 창고 설비의 제4 특징 구성은, 상기 승강용 대차는, 바닥면과 상기 작업 발판과의 사이를 오르내리기 위한 제1 사다리 및 상기 작업 발판과 상기 진입구와의 사이를 오르내리는 제2 사다리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사다리는, 하단이 바닥면에 접지하고 상단이 상기 작업 발판에 연결된 경사자세로 되는 사용상태와, 하단이 바닥면으로부터 부상(浮上)하고 상단이 상기 작업 발판보다 상방이고, 상기 승강용 대차의 상단부보다 하방인 높이로 돌출하는 상태에서 길이방향의 중간부에 설정된 피계지부(被係支部)가 상기 승강용 대차측에 설치된 계지부(係支部)에 결합되어 연직 방향을 따라서 지지되는 격납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2 사다리는, 하단이 상기 작업 발판에 접지하고 상단이 상기 진입구의 하부에서 상기 외벽에 연결된 경사자세로 되는 사용상태와, 상기 작업 발판에 수평방향을 따른 자세로 재치되는 격납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A fourth feature of the inventive storage facility is that the lifting truck comprises a first ladder for lifting up and down between a floor surface and the work footrest and a second ladder for moving up and down between the work footrest and the entrance Wherein the first ladder is in a usable state in which the lower end is grounded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upper end is in an inclined posture connected to the operation footrest and the lower end is floated from the floor surface, (Engaging portion) provided in the intermediat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rovided on the elevating carriage side in a state of being projected at a height higher than the operating footrest and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carriage, And the second ladd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ladder is grounded to the footrest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leg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entry opening In the use state in which the work foot is placed in the inclined posture connected to the outer wall and in the retracted state in which the work foot is placed in the postur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바닥면과 작업 발판 사이를 오르내리기 위한 제1 사다리 및 작업 발판과 진입구와의 사이를 오르내리는 제2 사다리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고 있으므로, 제1 사다리와 제2 사다리를 장착상태로 함으로써, 중간 높이의 작업 발판에 수평면 부분을 이용하여, 바닥면과 진입구 사이를 2단계로 나누어 오르내릴 수 있으므로, 사다리를 잘못 밟아 빠지지 않고, 작업자는 오르내리기 쉽다.According to the present feature, since the first ladder for moving up and down between the floor surface and the work foot plate, and the second ladder for moving up and down between the work foot and the entrance are detachably mounted, the first ladder and the second ladder are mounted By using the horizontal height portion of the operation footrest at the middle height, the floor surface and the entrance can be divided into two steps, so that the ladder is not stepped on by mistake, and the worker can easily ascend and descend.

또한, 제1 사다리는 사용 상태에서는, 하단이 바닥면에 접지하고 상단이 작업 발판에 연결된 경사자세로 되므로, 작업자의 하중을 바닥면에서 확실히 받아낼 수 있고, 더욱이 작업 발판에 연결되어 제1 사다리의 이동이 규제됨으로써, 제1 사다리를 오르내릴 때의 작업자의 발디딤이 안정된다. 제1 사다리는 격납 상태에서는, 하단이 바닥면으로부터 부상하며 상단이 작업 발판보다 상방이고, 승강용 대차의 상단부로부터 하방인 높이로 돌출하는 상태에서 길이방향의 중간부에 설정된 피계지부가 승강용 대차측에 설치된 계지부에 결합되어 연직 방향을 따라서 지지되므로, 이탈 후의 제1 사다리의 처리에 시간이 걸리지 않고, 더욱이, 승강용 대차를 이동 조작할 때에는 제1 사다리를 격납 상태로 함으로써, 제1 사다리의 하단이 바닥면에 걸려 승강용 대차의 이동 조작을 행하기 어려운 등의 불편이 없고, 또한, 물품 반송 상태의 천정 반송차와 간섭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first ladder can reliably receive the load of the worker from the floor surface, since the lower end of the first ladder is grounded on the floor surface and the upper end thereof is inclined posture connected to the work foot plate. The movement of the operator when the first ladder is moved up and down is stabilized. In the first ladder,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ladder is lifted from the bottom surfac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ladder is above the work foot plate. In the state where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ladder protrudes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elevator car, Since the first ladder is held in the retracted state when the elevating truck is moved and the first ladder is moved to the retracted state, There is no inconvenience such that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carriage is hung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moving operation of the lifting carriage is difficult and there is no interference with the overhead transportation carriage in the article transportation state.

또한, 제2 사다리는 사용 상태에서는, 하단이 작업 발판에 접지하고 상단이 진입구의 하부에서 외벽에 연결되므로, 작업자의 하중을 작업 발판으로 확실히 받아낼 수 있고, 더욱이 창고 본체의 외벽에 연결되어 제2 사다리의 이동이 규제됨으로써, 제2 사다리를 오르내릴 때의 작업자의 발디딤이 안정된다. 제2 사다리는 격납 상태에서는, 작업 발판에 수평방향을 따른 자세로 재치되므로, 작업자는, 작업 발판에서 제2 사다리를 승강용 대차로부터 이탈시키는 작업을 한 후에는, 그대로 작업 발판에 제2 사다리를 재치하면 되기 때문에, 이탈 후의 제2 사다리의 처리에 시간이 걸리지 않고, 그 후의 작업으로 신속히 이행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다.In addition, the second ladder can reliably receive the load of the worker with the work foot, because the lower end of the second ladder is grounded to the work foot plate and the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outer wall at the lower portion of the entrance, By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two ladders, the worker's stance when the second ladder is moved up and down is stabilized. The second ladder is placed in a posture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work pedestal in the retracted state. Therefore, after the work pedestal leaves the second ladder from the elevating lane, the worker moves the second ladder Therefore, the second ladder after the departure does not take much time, and the work can be quickly carried out by the subsequent work, and workability is good.

도 1은 창고 설비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창고 본체의 개관 사시도.
도 3은 창고 본체의 평면도.
도 4는 제1 사다리의 사용 상태(실선)와 격납 상태(가상선)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승강용 대차와 창고 본체와의 연결 개소를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
도 6은 도 4에서의 제1 사다리의 상부 확대 정면도.
도 7은 종방향 보호 커버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종방향 보호 커버의 부착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정면도.
도 9는 창고 본체에 장착 상태인 승강용 대차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제2 사다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제2 사다리와 창고 본체와의 연결 개소를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
1 is a front view showing a warehouse facility;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rehouse body.
3 is a plan view of the warehouse body.
4 is a front view showing a use state (solid line) and a containment state (virtual line) of the first ladder;
5 is an enlarged side view showing a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lifting truck and the warehouse main body.
Fig. 6 is a top enlarged front view of the first ladder in Fig. 4; 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ngitudinal protective cover is mounted.
8 is an enlarged front view showing the attachment structure of the longitudinal protective cover.
Fig. 9 is a front view showing a lifting and lowering vehicle in a state of being mounted on a warehouse main body; Fig.
10 is a side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second ladder.
11 is an enlarged side view showing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econd ladder and the warehouse body.

본 발명에 의한 창고 설비를 반도체 기판 제조 공장에 적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공장내에는, 천정으로부터 매달아 지지된 주행 레일(1)이 설치되고, 이 주행 레일(1)로 안내 지지되어 천정(S)측으로부터 매달아 지지된 상태에서, 주행 레일(1)을 따라서 주행 가능한 물품 반송용의 천정 반송차(2)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천정 반송차(2)는, 반도체 기판을 복수 수납하는 FOUP이라 불리는 기판 반송용의 용기(3)를 물품으로서 반송한다. 천정 반송차(2)는, 도시되지 않은 파지부로 용기(3)의 상부를 매달아 지지한 상태로 용기(3)를 반송하지만, 이와 같이 용기(3)를 매달아 지지한 상태로 주행 이동할 때의 천정 반송차(2) 및 용기(3)의 통과 영역이 천정 반송차(2)의 설정 주행 영역(K)이다.An embodiment in which a warehous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semiconductor substrate manufacturing factor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plant is provided with a running rail 1 suspended from a ceiling and supported by the running rail 1 and suspended from the ceiling S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running rail 1 A plurality of transporting ceiling-carrying trucks 2 are provided. The ceiling-conveying car 2 conveys a container 3 for carrying a substrate called FOUP, which houses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substrates, as an article. The ceiling-carrying truck 2 carries the container 3 while hol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3 with a grip portion (not shown), but when the car 3 is moved in a state of being hung and supported The passing area of the ceiling conveying car 2 and the container 3 is the set traveling area K of the ceiling conveying car 2.

공장내에는, 용기(3)에 수납되어 있는 기판에 대해서 가공·세정·검사 등의 처리를 행하는 도시되지 않은 기판처리장치 및 복수의 용기(3)를 보관하는 스톡커 (stocker, 4)(본 발명의 창고 본체에 상당함)가, 천정 반송차(2)의 설정 주행 영역 (K)을 따라서 적절 개소로 분산되어 설정된 복수의 설치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즉, 스톡커(4)는, 천정 반송차(2)의 설정 주행 영역(K)에, 평면에서 보아 근접하는 상태에서 바닥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천정 반송차(2)가, 복수의 기판처리장치 및 복수의 스톡커(4) 사이에서 용기(3)를 반송한다.In the factory, there are provided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not shown) for performing processing such as machining, cleaning, inspection and the like on the substrate stored in the vessel 3 and a stocker 4 (Corresponding to the warehouse main body of the invention) are provided at a plurality of installation sites which are set and dispersed at appropriate locations along the set running region K of the ceiling-borne transfer truck 2. [ That is, the stocker 4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side in a state of being close to the set running region K of the ceiling-carrying truck 2 in a plan view. Then, the ceiling-conveying car 2 carries the container 3 between the plurality of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es and the plurality of stocker 4.

스톡커(4)에는, 천정 반송차(2)와의 사이에서 용기(3)를 수수(授受) 가능하게 구성된 것 외에, 천정 반송차(2)와의 사이에서는 용기(3)의 수수를 행하지 않고, 바닥면(F)측에 설치된 다른 이재수단이나 작업자(P)와의 사이에서 용기(3)를 수수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 설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톡커(4)의 일례로서 작업자(P)가 인위 작업에 의해 용기(3)를 반입 및 반출하는 타입의 것을 예로 이하에 설명한다.The stocker 4 is constructed so as to be capable of receiving and receiving the container 3 with respect to the ceiling-conveying car 2, and the container 3 is not exchanged with the ceiling- There is provided another transfer mean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ottom surface F and a means for transferring the container 3 between the transfer means and the worker P. [ As shown in Figs. 2 and 3,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an example of the stocker 4, a type in which a worker P loads and unloads the container 3 by an artificial ope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as an example.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스톡커(4)는, 물품 수납용의 수납부(5)가 선반 상하방향, 그리고 선반 가로폭 방향으로 병설된 물품 수납선반(6)과, 그 물품 수납선반(6)의 전방의 이동공간(7)을 선반 상하방향으로 승강 이동하는 승강식 내부 발판(8)과, 수납부(5)와 물품 반출입부(9) 사이에서 물품을 반송하는 반송장치(1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2 and 3, the stocker 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article storage shelf 6 in which a storage section 5 for storing articles is juxta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helf and in the widthwise direction of the shelf A lifting inner footrest 8 for lifting and moving the moving space 7 in front of the product storage shelf 6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helf and an elevating inner footrest 8 for transporting the articles between the storage portion 5 and the product loading / And a transfer device 10 for transferring the image data.

물품 수납선반(6)은, 물품 출납 방향이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배치된 한 쌍의 수납 선반부분(6a·6b)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한 쌍의 수납선반 부분의 사이에 이동공간(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납부(5) 중, 바닥면(F)측에서 용기(3)의 반출입작업을 행하는 작업자의 작업 높이에 위치하는 수납부(5)를 이용하여 복수의 물품 반입출부(9)가 선반 가로폭 방향으로 병설되어 있다.The article storage racks 6 are constituted by a pair of storage shelf parts 6a and 6b arranged in a state in which the articles in / out direction are opposed to each other. A moving space 7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storage shelf parts, Respectively. A plurality of product carry-in / out units 9 are arranged on the bottom surface F side of the storage unit 5 by using the storage unit 5 located at the work height of the worker who carries out the loading / unloading operation of the container 3, Widthwise direction.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톡커(4)의 정면의 외벽(4S)에는, 보수작업을 행하는 작업자(P)가 내부로 진입하기 위한 진입구(11)가 설치되어 있다. 진입구(11)로서는, 바닥면(F)에 위치하는 작업자가 이동공간(7)으로 출입하기 위해서 바닥면(F)부근에 설치되는 하층용 진입구(11L) 외에, 승강식 내부 발판(8)이 설치되는 상층 작업용의 높이에 맞추어서 설치되는 상층용 진입구(11H)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층용 진입구(11L)를 개폐하는 종축(縱軸) 중심 주위의 요동 조작에 의해 개폐 조작 가능한 하층용 메인터넌스 도어(12L)와, 상층용 진입구(11H)를 개폐하는 종축 중심 둘레의 요동조작에 의해 개폐 조작 가능한 상층용 메인터넌스 도어(12H)가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an entry port 11 is provided in an outer wall 4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tocker 4 for an operator P to perform a maintenance work. The entrance 11 is provided with an elevating inner footrest 8 in addition to a lower floor entrance 11L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floor F to allow an operator located on the floor F to enter and exit the moving space 7 And an upper layer entrance 11H is provided so as to match the height of the upper layer work to be installed. The lower layer maintenance door 12L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swinging operation around the center of the vertical axi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ower layer entrance 11L. And an upper-layer maintenance door 12H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upper-layer maintenance door 12H.

상층용 진입구(11H)는, 천정 반송차(2)의 설정 주행 영역(K)과 상하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겹치는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천정 반송차(2)의 설정 주행 영역(K)의 상하방향의 전 범위가, 상층용 진입구(11H)의 상하방향의 범위내에 위치하고 있고, 상층용 진입구(11H)의 하단 높이(H1)는, 천정 반송차(2)의 설정 주행 영역(K)의 하단 높이(H2)보다 낮아져 있다.The upper layer entrance 11H is located at a height at least partially overlapping with the set running region K of the ceiling conveying vehicle 2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entire rang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set travel region K of the overhead traveling carriage 2 is located within the range of the up and down directions of the upper layer entrance 11H and the lower end height of the upper layer entrance 11H (H2) of the set travel region (K) of the overhead traveling carriage (2).

또한, 스톡커(4)는, 평면에서 보아 장변측의 외벽(4L)을 천정 반송차(2)의 설정 주행 영역(K)을 따르게 한 상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하층용 진입구(11L) 및 상층용 진입구(11H)는 스톡커(4)의, 평면에서 보아 단변측의 외벽(4S)에 설치되어 있다. 즉,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의 스톡커(4)에는, 이동 공간(7)에서의 선반 가로폭 방향의 양측을 덮는 한 쌍의 외벽(4S)의 한쪽에 작업용 높이에 위치하는 승강식 발판(8)에 대해서 탑승하기 위한 상층용 진입구(11H)가 형성되고, 상층용 진입구(11H)가, 설정 주행 영역(K)과 교차하는 방향의 외벽(4S)에 설치되어 있다. Since the outer wall 4L on the side of the long side of the stocker 4 is arranged so as to follow the set running region K of the ceiling conveyor car 2 in plan view, The use inlet 11H is provided on the outer wall 4S on the short side of the stocker 4 in plan view. In other words, the stocker 4 having a rectangular shape in plan view is provided with a pair of outer walls 4S covering both sides in the widthwise direction of the shelf in the moving space 7, And the upper layer entrance 11H is provided on the outer wall 4S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set travel region K. The entrance entrance 11H for the upper layer is provided on the outer wall 4S,

승강식 내부 발판(8)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윈치(13)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스톡커(4)의 천정 부근에 설정된 격납용 높이와, 스톡커(4)의 중간 높이로 설정된 작업용 높이와의 사이에서 승강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승강식 내부 발판(8)을 승강시키는 기구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윈치(13)를 회전 조작하면 조작 와이어(14)가 권취 및 풀기 조작되어, 이에 의해 회전체(15)가 회전 조작됨으로써, 승강식 내부 발판(8)을 매달아 지지하고 있는 현가 와이어(16)를 권취 및 풀기의 조작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윈치(13)는, 상층용 진입구(11H)가 형성되어 있는 외벽(4S)에서 상층용 진입구(11H)의 하방측의 횡협(橫脇)에 설치되어 있고, 승강구로서의 후술하는 승강용 대차(20)에 탑승한 작업자(P)에 의해 수동 조작된다. 또한, 도 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층용 메인터넌스 도어(12H)에는 확인창(17)이 설치되어 있어, 작업자(P)는, 승강식 내부 발판(8)의 승강 위치를 확인하면서 윈치(13)를 회전 조작하여, 승강식 내부 발판(8)을 작업용 높이로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lifting inner footrest 8 is set to the height for storage set near the ceiling of the stocker 4 and the middle height of the stocker 4 by rotating the winch 13 shown in Figs. And is movable up and down between a work heigh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mechanism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lifting inner footrest 8 is omitted. However, when the winch 13 is rotated, the operating wire 14 is wound and unwound, whereby the rotating body 15 is rotated, So that the suspending wire 16 supporting the lifting inner footrest 8 can be wound and unwound. The winch 13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layer entrance 11H in the outer wall 4S on which the upper layer entrance 11H is formed and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elevator carriage 20 And is manually operated by a worker P aboard the vehicle. 1, the upper layer maintenance door 12H is provided with a check window 17. The operator P confirms the position of the winch 13 while ascertaining the elevation position of the elevating foot 8, So that the elevating inner footrest 8 can be installed at a working height.

작업자(P)는, 도 1, 도 4, 도 7, 및, 도 9에 나타내는 승강용 대차(20)를 사용하여 상층용 진입구(11H)까지 오름으로써 상층용 진입구(11H)로부터 스톡커(4)의 내부에 설치된 승강식 내부 발판(8)에 탑승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자세하게는 후술하지만, 작업자(P)는, 승강용 대차(20)를 스톡커(4)의, 평면에서 보아 단변측에 위치하는 외벽(4S)의 전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 사다리(31), 제2 사다리(32) 등을 장착함으로써, 승강용 대차(20)를 사용하여 바닥면(F)과 상층용 진입구(11H) 사이를 오르내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 승강용 대차(2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의 지면(紙面)의 왼쪽 방향을 승강용 대차 (20)의 앞방향, 동일 지면의 오른쪽 방향을 승강용 대차(20)의 뒷방향, 동일 지면의 안방향을 승강용 대차(20)의 오른쪽방향, 동일 지면의 앞방향을 승강용 대차 (20)의 왼쪽 방향으로 하여 전후좌우의 각 방향을 규정하고 있다.The worker P uses the elevator truck 20 shown in Figs. 1, 4, 7 and 9 to ascend up to the upper entrance 11H so that the occupant P can ascend from the upper entrance 11H to the stocker 4 And can be mounted on a liftable inner footrest 8 provided inside the vehicle. The worker P can move the first and second ladders 31 and 31 in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and lowering carriage 20 is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wall 4S located on the short side of the stocker 4 in plan view The second ladder 32 and the like are mounted so that the lifting truck 20 can be used to move up and down between the bottom surface F and the entrance for the upper layer 11H.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elevating truck 20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left direction of the paper surface of Fig. 1 is referred to as the front direction of the lifting bogie 20, the right direction of the same paper is referred to as the back direction of the lifting bogie 20, Right direction of the elevating truck 20, and the front direction of the same ground plane is the left direction of the elevating truck 20, the forward, rearward, left and right angular directions are defined.

승강용 대차(20)는, 스톡커(4)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한, 바닥부에 차륜으로서의 잠금 기능 캐스터(21)를 구비하여 바닥면(F)상을 인위 조작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작업자(P)는, 스톡커(4)의 외벽 (4S)의 전면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스톡커(4)에 장착되어 있는 승강용 대차(20)를 당해 스톡커(4)로부터 이탈시키고, 밀고 당김의 조작에 의해, 승강용 대차(20)를 타 스톡커(4)의 외벽(4S)의 전면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당해 타 스톡커(4)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스톡커(4)의 각각에 승강구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비용면에서 유리한 창고 설비로 되어 있다.The elevating truck 2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stocker 4 and has a locking function caster 21 as a wheel at its bottom so that the elevating truck 20 can move on the bottom surface F . The worker P can move the lifting truck 20 mounted on the stocker 4 from the stocker 4 in a state of being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of the outer wall 4S of the stocker 4 And can be attached to the other stocker 4 in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and lowering carriage 20 is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of the outer wall 4S of the other stocker 4 by the operation of pushing and pulling.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plurality of stocker (s) on each of the plurality of stockers 4, which makes the warehouse facility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층용 진입구(11H)가 설치된 외벽(4S)에는, 계지부로서의 전측(前側) 고정 핀(19) 및 후측(後側) 고정 핀(18)이 설치되어 있고, 승강용 대차(20)의 우측에 위치하는 전후의 지지기둥(23·24)에는, 피계지부로서의 전측 고정 훅(27) 및 후측 고정 훅(28)이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a front fixing pin 19 and a rear fixing pin 18 as an engaging portion are provided on the outer wall 4S provided with the upper layer entrance 11H, The front fixing hooks 27 and the rear fixing hooks 28 as the to-be-connected portions are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upport pillars 23 and 24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loading carriage 20.

전측 고정 훅(27)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 고정 핀(19)에 대해서 결합하는 노치(27b)가 형성되어 있고, 축중심(27a) 둘레로 회전 조작 가능하게, 좌우 한쌍의 전측(前側) 지주(支柱, 23) 중 우측의 전측 지주(23)에 연결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후측 고정 훅(28)도 마찬가지로 후측 고정 핀(18)에 대해서 결합하는 노치를 구비하고, 횡축 중심 둘레로 회전 조작 가능하게, 좌우 한쌍의 후측 지주(24) 중 우측의 후측 지주(24)에 연결되어 있다.5, the front side fixing hook 27 is formed with a notch 27b engaging with the front side fixing pin 19. The front side fixing hook 27 has a pair of right and left front side hooks 27a, And is connected to the front side post 23 on the right side of the front (post) post 23. Although not shown, the rear fixing hook 28 also has a notch for engaging with the rear fixing pin 18, and is rotatably operable around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axis, (24).

그리고, 전측 고정 훅(27) 및 후측 고정 훅(28)을, 도 5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해제 자세로 한 상태에서, 승강용 대차(20)를 밀고 당김 조작하여 이동 조작하고, 도 4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벽(4S)의 전면측에 위치시킨 후, 전측 고정 훅(27) 및 후측 고정 훅(28)을 회동(回動) 조작하여, 전측 고정 핀(19) 및 후측 고정 핀(18)에 전측 고정 훅(27) 및 후측 고정 훅(28)의 노치를 결합시켜, 도 5에서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잠금 자세로 전환하는 동시에, 잠금 기능 캐스터(21)를 잠금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승강용 대차(20)가 스톡커(4)에 대해서 위치 유지된다. 이와 같이, 승강용 대차(20)를 스톡커(4)에 대해서 위치 유지하는 승강용 대차 고정수단으로서, 전후의 고정 훅(27·28) 및 전후의 고정 핀(19·18) 및 복수의 잠금 기능 캐스터(21)를 구비하고 있다.5, the lifting and lowering carriage 20 is pushed and pulled to perform the shifting operation, and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lifting and lowering carriage 20 is pushed and pulled in the state in which the front fixing hook 27 and the rear fixing hook 28 are in the releasing postures shown by solid lines in Fig. The front fixing hook 27 and the rear fixing hook 28 are rotated to position the front side fixing pin 19 and the rear side fixing pin 18 , The notches of the front fixed hook 27 and the rear fixed hook 28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o switch to the locking posture shown by the imaginary line in FIG. 5 and at the same time, the lock function castor 21 is switched to the locked state, The elevating truck 20 is held in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tocker 4. As the elevating / braking means for holding the elevating truck 20 relative to the stocker 4, the front and rear fixing hooks 27 and 28, the front and rear fixing pins 19 and 18, And a function castor (21).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용 대차(20)는, 그 상단부(20T)의 바닥 위 높이(H3)가, 천정 반송차(2)의 설정 주행 영역(K)의 하한 높이(H2)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작업자(P)가 승강용 대차(20)를 밀고 당김 조작하여 바닥면 (F)상을 이동 조작하는 경우에, 승강용 대차(20)와 천정 반송차(2)가 간섭하지 않으므로, 작업자(P)는, 승강용 대차(20)와 천정 반송차(2)의 간섭에 많은 주위를 기울일 필요가 없고, 승강용 대차(20)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복수의 스톡커 (4)의 보수작업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1, the height H3 of the elevating carriage 20 is set such that the bottom height H3 of the upper end portion 20T is lower than the lower limit height H2 of the set traveling region K of the overhead traveling carriage 2 Is set. Thus, when the worker P pushes and pulls the elevating truck 20 to move on the floor F, the elevating truck 20 and the ceiling carrier truck 2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The worker P does not need to pay much attention to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elevating truck 20 and the ceiling transporting truck 2 and can move the elevating truck 20 smoothly, ) Can be smoothly performed.

승강용 대차(20)는, 상하방향의 중간 높이에 수평방향을 따른 작업 발판(22)을 구비하고, 바닥면(F)과 작업 발판(22) 사이를 오르내리기 위한 제1 사다리(31) 및 작업 발판(22)과 상층용 진입구(11H)와의 사이를 오르내리는 제2 사다리(32)를 착탈 가능하고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elevating truck 20 includes a first ladder 31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floor between the floor F and the work foot 22 and a second ladder 31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floor between the floor F and the work foot 22, And a second ladder (32) for moving up and down between the work footrest (22) and the upper layer entrance (11H).

작업 발판(22)은, 좌우 한 쌍의 전측 지주(23) 및 좌우 한 쌍의 후측 지주 (24)로 지지되어 있고, 상면에는, 작업 발판(22)으로부터 작업자(P)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전측 안전펜스(25) 및 후측 안전펜스(26)가 설치되어 있다. The work footrest 22 is supported by a pair of right and left front supports 23 and a pair of right and left rear supports 24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face to prevent the worker P from dropping from the work footrest 22 A front safety fence 25 and a rear safety fence 26 are provided.

상기 제1 사다리의 상단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훅(47) 및 제2 훅(48)이, 상하로 간격을 두고 사다리의 폭방향으로 나열된 상태로 좌우 한 쌍 구비되어 있다. 제1 훅(47) 및 제2 훅(48)은 밸브 시트(36)에 고정되어 있고, 제1 사다리(31)의 폭에 상당하는 길이의 훅 장착 플레이트(38)에, 사다리의 폭방향으로 나열된 상태로 대좌(臺座, 36)를 좌우 한쌍 설치하고, 이 훅 장착 플레이트(38)가, 제1 사다리 본체(31a)의 상단부에, 브래킷(37)을 통해 제1 사다리 본체(31a)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 6, a first hook 47 and a second hook 48 are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ladder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hook 47 and the second hook 48 are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adder with an interval therebetween. The first hook 47 and the second hook 48 are fixed to the valve seat 36 and hooked to the hook mounting plate 38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irst ladder 31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adder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pedestals 36 are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ladder main body 31a and the first ladder main body 31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hook mounting plate 38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ladder main body 31a through the bracket 37 And is fixed to the upper end portion.

제1 사다리(31)는, 도 4에서의 실선이나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단이 바닥면(F)에 접지하고 상단이 작업 발판(22)에 연결된 경사자세로 되는 사용상태와, 도 4에서의 가상선이나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단이 바닥면(F)으로부터 부상하며 상단이 작업 발판(22)보다 상방이고 상단부(20T)보다 하방인 높이로 돌출하는 상태에서, 제1 사다리(31)의 길이방향의 중간부에서 측부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피계지부로서의 핀(30)이 승강용 대차(20)의 전측 지주(23)에 설치된 계지부로서의 홀더(29)에 결합하여 연직 방향을 따라서 지지되는 격납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The first ladder 31 has a use stat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first ladder 31 is grounded on the floor F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ladder 31 is in an inclined posture connected to the operation pedestal 22 as shown by solid lines in FIG. , A state in which the lower end is floated from the floor surface F and the upper end is higher than the operation pedestal 22 and lower than the upper end 20T as shown in FIG. A pin 30 as an engaged porti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side in the longitudinal middle portion of the first ladder 31 is supported by a holder 29 serving as a locking portion provided on the front support 23 of the lifting bogie 20 And is capable of being switched to a retracted state support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제2 사다리(32)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단이 작업 발판 (22)의 상면에 접지하며 상단이 상층용 진입구(11H)의 하부에서 외벽(4S)에 연결된 경사자세로 되는 사용상태와, 도 1, 도 4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 발판(22)상에 수평방향을 따른 자세로 재치되는 격납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9 and 10, the lower end of the second ladder 32 is groun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peration pedestal 22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ladder 32 is connected to the outer wall 4S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As shown in Fig. 1, Fig. 4, and Fig. 7, it is configured to be switchable to a retracted state on the work footrest 22 in a posture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제2 사다리(32)의 상단부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용의 훅 (46)이 사다리의 폭방향으로 좌우 한 쌍 설치되어 있다. 스톡커(4)의 외벽(4S)에는, 상층용 진입구(11H)의 하단부에 있어서, 제2 사다리(32)의 상단부가 연결되는 구멍 형성 브래킷(45)이 설치되어 있고, 이 구멍 형성 브래킷(45)의 구멍에 제2 사다리(32)의 연결용의 훅(46)을 결합시킴으로써, 제2 사다리(32)를 사용 상태로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ladder 32, as shown in Fig. 11, hooks 46 for connection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adder. The outer wall 4S of the stocker 4 is provided with a hole forming bracket 45 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second ladder 32 is connect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layer entrance slot 11H, The second ladder 32 can be put into use by engaging the hook 46 for connecting the second ladder 32 to the hole of the second ladder 45. [

도 1, 도 4, 도 7,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방향을 따른 판 형상의 횡방향 보호 커버(35)가, 승강용 대차(20)의 상단부(20T)에 고정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4, 7, and 9, a plate-like lateral protection cover 35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ixedly mounted on the upper end 20T of the lifting and lowering carriage 20 .

횡방향 보호 커버(35)는, 승강용 대차(20)가 스톡커(4)의 상층용 진입구 (11H)가 설치되어 있는 외벽(4S)에 대해서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당해 외벽(4S)의 전면측이면서 승강용 대차(20)의 상단부(20T)의 높이에서, 천정 반송차(2)의 설정 주행 영역(K)을 따르는 자세로 설정 주행 영역(K)의 존재 공간과 그 하방의 공간을 구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transverse protection cover 35 is provided on the outer wall 4S of the stocker 4 in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and lowering carriage 20 is mounted on the outer wall 4S provided with the upper layer entrance 11H of the stocker 4, The height of the upper end portion 20T of the elevating truck 20 along the front side is set so that the present space of the set running region K and the space below the set running region K in the attitude following the set running region K of the overhead traveling carriage 2 As shown in FIG.

횡방향 보호 커버(35)는, 수평방향을 따른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승강용 대차(20)의 상단부(20T)에 고정 상태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승강용 대차(20)를 이동 조작할 때에는, 승강용 대차(20)의 상단부(20T)의 높이는, 설정 주행 영역(K)의 하한 높이보다 낮다는 것에는 변함이 없으므로, 횡방향 보호 커버(35)를 구비하고 있어도, 승강용 대차(20)를 바닥면(F)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에 횡방향 보호 커버(35)가 천정 반송차(2)와 간섭하지 않는다.Since the transverse protection cover 35 is formed in a plate shape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fixed to the upper end portion 20T of the lifting and lowering carriage 20, when the lifting carriage 20 is moved The height of the upper end portion 20T of the elevating truck 20 does not change from being lower than the lower limit height of the set running region K. Even if the transverse protection cover 35 is provided, The transverse protection cover 35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verhead traveling carriage 2. [0064] As shown in Fig.

승강용 대차(20)를 이동 조작하여 스톡커(4)의 상층용 진입구(11H)가 설치되어 있는 외벽(4S)에 대해서 장착함으로써, 외벽(4S)의 전면측이면서 승강용 대차 (20)의 상단부(20T)의 높이에 있어서, 설정 주행 영역(K)의 존재 공간과, 그보다 하방인 공간을 판 형상의 횡방향 보호 커버(35)로 구획할 수 있다. 따라서, 상층용 진입구(11H)가 설치되어 있는 외벽(4S)의 전면측에서 천정 반송차(2)의 설정 주행 영역(K)내로 하방으로부터 진입하는 것을 횡방향 보호 커버(35)에 의해 저지할 수 있으므로, 외벽(4S)의 전면에 승강용 대차(20)를 장착함으로써, 이 승강용 대차 (20)를 사용하여 상층용 진입구(11H)까지 오르려고 하는 작업자(P)의 머리부분 등이 천정 반송차(2)의 설정 주행 영역(K)내로 하방으로부터 진입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천정 반송차(2)에 작업자(P)가 하방으로부터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lifting and lowering carriage 20 is moved with respect to the outer wall 4S provided with the upper layer entrance 11H of the stocker 4 to move the lifting carriage 20 to the front side of the outer wall 4S, The presence space of the set running region K and the space below the set running region K can be partitioned by the plate-like lateral protection cover 35 at the height of the upper end portion 20T. Therefore, the lateral protective cover 35 prevents the front wall of the outer wall 4S provided with the upper layer entrance 11H from entering from below into the set running region K of the ceiling conveying car 2 The head portion of the worker P who intends to climb to the upper floor entrance 11H by using the elevator car 20 is mounted on the ceiling of the ceil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entry from the lower side into the set travel area K of the conveyance car 2. [ Thereb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verhead traveling carriage 2 from contacting the worker P from below.

도 7,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직 방향을 따라서 상단부(20T)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판 형상의 종방향 보호 커버로서의 앞 커버(33) 및 뒤 커버 (34)가, 승강용 대차(20)의 상단부(20T)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승강용 대차(20)로부터 이탈된 앞 커버(33) 및 뒤 커버(34)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의 작업 발판(22)상에 보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작업 발판 (22)은, 승강용 대차(20)가 이동 조작될 때에는, 승강용 대차(20)로부터 이탈된 앞 커버(33) 및 뒤 커버(34)를 수평방향을 따른 자세로 재치 지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The front cover 33 and the rear cover 34 as the plate-like longitudinal protective cover projecting upward from the upper end portion 20T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s. 7 and 9, 20 are detachably attached to the upper end 20T. The front cover 33 and the rear cover 34 which are separated from the elevating truck 20 can be stored on the above-mentioned work footrest 22 as shown in Figs. 1 and 3. That is, when the elevating carriage 20 is moved, the work footrest 22 is moved up and down by the front cover 33 and the rear cover 34, which are separated from the elevating carriage 20, .

앞 커버(33) 및 뒤 커버(34)의 장착 구조에 대해서, 앞 커버(33)를 예로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 커버(33)는, 커버 지지봉(40)에 고정 부재 (39)로 고정되어 있다. 승강용 대차(20)의 작업 발판(22)에 설치된 전측 안전펜스 (25)의 세로 프레임 부분에, 커버 지지봉(40)를 끼우고 뽑기 가능한 상면(上面) 및 커버 지지봉(40)의 하단을 지지 가능한 하면(下面)을 구비한 コ자 브래킷(41)이, 부착 높이가 조절 가능한 상하 한쌍의 장착 부재(42)로 고정되어 있다. コ자 브래킷(41)의 내면측에는, 커버 지지봉(40)의 하단측을 롤렛 나사(44)로 고정하기 위한 나사 받이(43)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 지지봉(40)를 コ자 브래킷(41)의 상면으로부터 삽입하여 커버 지지봉(40)의 하단을 コ자 브래킷(41)의 하면에 맞대어, 롤렛 나사(44)를 체결하여, 앞 커버(33)를 전측 안전펜스(25)에 고정 장착한다. 이탈은 장착과 반대의 요령으로 행하면 좋다.The front cover 33 and the rear cover 3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ront cover 33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8, the front cover 33 is fixed to the cover support rod 40 by a fixing member 39. As shown in Fig. The upper end of the cover supporting bar 40 and the lower face of the cover supporting bar 40 are fitted to the longitudinal frame portion of the front side safety fence 25 provided on the work foot plate 22 of the elevating truck 20, A bracket 41 having a lower surface (lower surface) is fixed by a pair of upper and lower mounting members 42 whose mounting height is adjustable. A screw receiver 43 for fixing the lower end side of the cover support bar 40 with the roll screw 44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bracket 41. The cover support rod 40 is inser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hoke bracket 41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cover support rod 4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hoke bracket 41 to fasten the roll screw 44 to the front cover 33 are fixedly mounted on the front safety fence 25. Disengagement can be done in the opposite way to mounting.

앞 커버(33) 및 뒤 커버(34)는, 연직 방향을 따라서 승강용 대차(20)의 상단부(20T)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승강용 대차(20)의 상단부(20T)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므로, 승강용 대차(20)를 이동 조작할 때에는, 앞 커버(33) 및 뒤 커버(34)를 승강용 대차(20)의 상단부(20T)로부터 이탈시켜 둠으로써, 승강용 대차(20)의 상단부(20T)의 높이를, 천정 반송차(2)의 설정 주행 영역(K)의 하한 높이보다 낮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앞 커버(33) 및 뒤 커버(34)를 종방향 보호 커버로서 구비한 것이라도, 승강용 대차(20)를 바닥면(F)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에 천정 반송차(2)와 간섭하지 않는다.The front cover 33 and the rear cover 34 are formed in a plate shape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end 20T of the lifting and lowering carriage 20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e front cover 33 and the rear cover 34 are separated from the upper end 20T of the elevating truck 20 when the elevating truck 20 is moved, The height of the upper end portion 20T of the elevating truck 20 can be made lower than the lower limit height of the set travel region K of the ceiling transporting vehicle 2. [ Therefore, even when the front cover 33 and the rear cover 34 are provided as longitudinal protective covers, it is possible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overhead conveying carriage 2 when the elevating carriage 20 is moved on the bottom surface F Do not.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톡커(4)의 상층용 진입구(11H)가 설치되어 있는 외벽(4S)에 대해서 장착된 승강용 대차(20)에 대해, 앞 커버(33) 및 뒤 커버(34)를 장착함으로써, 상층용 진입구(11H)가 설치되어 있는 외벽(4S)의 전면측이면서 승강용 대차(20)의 상단부(20T)보다 상방에서, 설정 주행 영역(K)을 따르는 자세로 천정 반송차(2)의 설정 주행 영역(K)의 존재공간과 스톡커(4)의 존재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따라서, 외벽(4S)의 전면측에서 천정 반송차(2)의 설정 주행 영역(K)내로 횡방향으로부터 진입하는 것을 앞 커버(33) 및 뒤 커버(34)에 의해 저지할 수 있으므로, 승강용 대차(20)를 사용하여 상층용 진입구(11H)까지 오르려고 하는 작업자(P)의 팔 등이 천정 반송차(2)의 설정 주행 영역(K)내로 측방으로부터 진입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천정 반송차(2)에 작업자(P)가 측방으로부터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7 to 9, the front cover 33 and the rear cover 32 are attached to the elevating carriage 20 mounted on the outer wall 4S provided with the entry opening 11H for the upper layer of the stocker 4, The cover 34 is mounted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of the outer wall 4S provided with the upper layer entrance 11H and above the upper end 20T of the elevating carriage 20, The existence space of the set running region K of the overhead traveling carriage 2 and the present space of the stocker 4 can be partitioned. Therefore, the front cover 33 and the rear cover 34 can prevent the front wall of the outer wall 4S from entering from the lateral direction into the set travel region K of the ceiling transporting vehicle 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rm or the like of the worker P who wants to climb to the entrance 11H for the upper layer from entering sideways into the set travel region K of the overhead traveling carriage 2 by using the carriage 20. [ Thereb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orker P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overhead traveling carriage 2 from the side.

다음으로, 승강용 대차(20)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using the lifting truck 20 will be described.

작업자(P)는, 제1 사다리(31)가 격납 상태이고, 또한, 제2 사다리(32), 앞 커버(33) 및 뒤 커버(34)가 작업 발판(22)상에 보관된 상태인 승강용 대차(20)(도 1 참조)를 이동 조작하여 보수작업 대상인 스톡커(4)의 외벽(4S)에 대해서 위치시킨다. 그리고, 승강용 대차 고정수단으로서의 전후의 고정 훅(27·28) 및 전후의 고정 핀(19·18) 그리고 복수의 잠금 기능 캐스터(21)로 승강용 대차(20)를 스톡커 (4)에 고정한다(도 5 참조).The worker P is allowed to move up and down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ladder 31 is in a retracted state and the second ladder 32, the front cover 33 and the rear cover 34 are kept on the work footrest 22 (See Fig. 1) is moved and positioned relative to the outer wall 4S of the stocker 4 to be subjected to the maintenance work. The lifting and lowering carriage 20 is fixed to the stocker 4 by the front and rear fixing hooks 27 and 28 and the front and rear fixing pins 19 and 18 and the plurality of locking function casters 21 as lifting / (See Fig. 5).

제1 사다리(31)를 다시 걸어 사용 상태로 하고(도 4 참조), 제1 사다리(31)를 올라가 작업 발판(22)에 탑승한다. 그리고, 작업 발판(22)에 보관되어 있는 앞 커버(33) 및 뒤 커버(34)를 상술한 부착 요령으로 승강용 대차(20)의 안전펜스(25·26)에 장착한다(도 7 참조). 그리고, 작업 발판(22)에 보관되어 있는 제2 사다리 (32)를 스톡커(4)의 외벽(4S)에 연결하여 승강용 대차(20)의 장착 작업이 완료된다.The first ladder 31 is again brought into use (see Fig. 4), and the first ladder 31 is lifted up to ride on the foot platform 22. The front cover 33 and the rear cover 34 stored in the work footrest 22 are attached to the safety fences 25 and 26 of the lifting and lowering carriage 20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see FIG. 7) . The second ladder 32 stored in the work foot plate 22 is connected to the outer wall 4S of the stocker 4 to complete the mounting operation of the lifting bogie 20.

제2 사다리(32)를 올라, 확인창(17)으로부터 스톡커(4)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윈치(13)를 회전 조작하여 승강식 내부 발판(8)을 소정의 작업용 높이까지 하강시켜 설치한다. 그리고, 닫은 상태의 상층용 메인터넌스 도어(12H)를 여는 조작을 하여, 상층용 진입구(11H)로부터 스톡커(4)의 내부에 진입하고 승강식 내부 발판(8)에 탑승하여, 필요한 보수작업을 행한다.The winch 13 is rotated and the elevating inner footboard 8 is lowered to a predetermined working height while ascending the second ladder 32 and visually checking the inside of the stocker 4 from the confirmation window 17 Respectively. The upper layer maintenance door 12H in the closed state is opened to enter the interior of the stocker 4 from the upper layer entrance 12H and ride on the liftable inner footboard 8 to perform necessary maintenance work I do.

보수작업 종료 후에는, 상층용 진입구(11H)로부터 스톡커(4)의 외부로 나와, 상층용 메인터넌스 도어(12H)를 닫는 조작을 하고, 윈치(13)를 회전 조작하여 승강식 내부 발판(8)을 격납용 높이까지 상승시켜 격납한다. 그리고, 제2 사다리(32)를 사용하여 작업 발판(22)까지 내리고, 작업 발판(22)상에서, 우선, 제2 사다리(32)를 떼어내 작업 발판(22)상에 재치한다. 이어서, 전후의 보호 커버(33·34)를 떼어내 작업 발판(22) 위에서, 제2 사다리(32)의 위에 포개서 재치한다.After completion of the maintenance work, the upper layer entrance door 11H is moved out of the stocker 4 to close the upper layer maintenance door 12H, and the winch 13 is rotated to lift the elevating inner foot plate 8 ) To the storage height and stores it. The second ladder 32 is then lowered to the foot pedestal 22 and the second foot 33 is first removed on the foot pedestal 22 and placed on the foot pedestal 22. Then, the front and rear protective covers 33, 34 are detached and placed on the operation pedestal 22 and overlaid on the second ladder 32.

그 후, 제1 사다리(31)를 사용하여 바닥면(F)까지 내리고, 제1 사다리(31)를 다시 걸어, 사용 상태로부터 격납 상태로 한다. 그리고, 전후의 고정 훅(27·28)을 요동조작하여, 고정핀(19·18)과의 결합을 해제하고, 복수의 잠금 기능 캐스터(21)의 잠금을 해제하여 승강용 대차(20)의 스톡커(4)에 대한 고정을 해제한다.Thereafter, the first ladder 31 is lowered to the bottom surface F, and the first ladder 31 is again engaged to put it in a retracted state from the use state. The front and rear fixing hooks 27 and 28 are pivoted to release the engagement with the fixing pins 19 and 18 to release the locking of the plurality of locking function casters 21, Releasing the fixing to the stocker (4).

그리고, 승강용 대차 고정 수단에 의한 고정이 해제되어 이동 가능한 상태로 된 승강용 대차(20)를, 상단부(20T)보다 상방으로 돌출하지 않음으로 해서 천정 반송차(2)와의 간섭의 우려가 없는 상태에서 밀고 당김 조작을 하고, 다음의 보수작업 대상인 스톡커(4)가 있으면, 그 스톡커(4)에서의 상층용 진입구(11H)가 설치된 외벽(4S)까지 이동시켜 상술과 같은 장착 작업을 행한다. 보수작업이 종료하면, 소정의 대차 보관 위치까지 승강용 대차(20)를 이동시킨다.The lifting and lowering carriage 20 which is released from the fixing by the lifting / lowering carriage fixing means and is in a movable state does not protrude upward beyond the upper end 20T, so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interference with the ceiling carriage carriage 2 And if there is a stocker 4 to be subjected to the next maintenance work, it is moved to the outer wall 4S provided with the upper layer entrance 11H of the stocker 4 to perform the above mounting operation I do. When the maintenance work is completed, the elevating truck 20 is moved to a predetermined truck storage position.

[다른 실시형태][Other Embodiments]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천정 반송차(2)의 설정 주행 영역(K)이, 스톡커 (4)의, 평면에서 보아 장변측의 외벽(4L)의 양측에 위치하는 것을 예시했지만, 천정 반송차(2)의 설정 주행 영역(K)의 스톡커(4)에 대한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스톡커(4)의, 평면에서 보아 장변측의 외벽(4L)의 한쪽에 위치하는 것이나, 스톡커(4)의, 평면에서 보아 단변측의 외벽(4S) 한쪽에 위치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설정 주행 영역(K)이 상하로 복수 배치된 것이라도 좋다.(1) In the above embodiment, the setting travel area K of the ceiling-carrying truck 2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wall 4L on the long side of the stocker 4 in the plan view, The position of the set travel area K of the conveyance carriage 2 relative to the stocker 4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a position of the outer wall 4L on the long side of the stocker 4, Or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outer wall 4S on the shorter side of the stocker 4 in plan view. Further, a plurality of the set running regions K may be arranged vertically.

(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하층용 진입구(11L) 및 이를 개폐하는 하층용 메인터넌스 도어(12L)를 구비한 스톡커(4)를 예시했지만, 하층용 진입구(11L) 및 하층용 메인터넌스 도어(12L)를 구비하지 않고, 상층용 진입구(11H) 및 상층용 메인터넌스 도어(12H)가 스톡커(4)의 중간 높이에 위치하는 것이라도 좋다.(2) In the above embodiment, the stocker 4 having the lower layer entrance opening 11L and the lower layer maintenance door 12L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ower layer entrance door 11L is exemplified. However, the lower layer entrance door 11L and the lower layer maintenance door 12L And the upper layer entrance 12H and the upper layer maintenance door 12H may be located at the intermediate height of the stocker 4.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승강용 대차(20)가, 제1 사다리(31) 및 제2 사다리(32)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예시했지만, 1개의 사다리 또는 3개 이상의 사다리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라도 좋다.(3) In the above embodiment, the elevating truck 20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first ladder 31 and the second ladder 32. However, the elevator truck 20 is configured to include one ladder or three or more ladders It is also good.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떼어낸 제2 사다리(32), 앞 커버(33), 및, 뒤 커버(34)를 작업 발판(22)상에 보관한 상태에서 승강용 대차(20)를 밀고 당김 조작을 하는 것을 예시했지만, 이를 대신하여, 떼어낸 제2 사다리(32), 앞 커버(33), 및, 뒤 커버(34)의 전부 또는 일부를 바닥면(F)까지 내리고, 작업 발판(22)상에 떼어낸 부재를 보관하지 않는, 또는 떼어낸 부재 중 일부의 부재만 보관하는 상태로 승강용 대차(20)를 밀고 당김 조작하는 것이라도 좋다.(4) In the above embodiment, the lifting and lowering carriage 20 is pushed in a state where the removed second ladder 32, the front cover 33, and the rear cover 34 are stored on the operation pedal 22 All or part of the second ladder 32, the front cover 33 and the rear cover 34 which have been removed are lowered to the bottom surface F and the operation footrest 22, the lifting and lowering carriage 20 may be pushed and pulled in a state in which only a part of the members that are not stored or removed are stored.

F : 바닥면
S : 천정
K : 설정 주행 영역
P : 작업자
2 : 천정 반송차
4 : 창고 본체
4S : 외벽
11H : 상층용의 진입구
18, 19 : 계지부
20 : 승강용 대차
20T : 상단부
21 : 차륜
22 : 작업 발판
27, 28 : 피계지부
31 : 제1 사다리
32 : 제2 사다리
33, 34 : 종방향 보호 커버
35 : 횡방향 보호 커버
F: bottom surface
S: Ceiling
K: Setting travel area
P: Worker
2: Ceiling conveyor
4:
4S: outer wall
11H: Entrance for upper layer
18, 19:
20: Lift truck
20T:
21: Wheel
22: Operation scaffolding
27, 28:
31: First ladder
32: Second ladder
33, 34: longitudinal protection cover
35: Lateral protection cover

Claims (4)

천정측에서 매달아 지지된 상태로 설정 주행 영역을 주행 가능한 물품 반송용의 천정 반송차의 상기 설정 주행 영역에, 평면에서 보아 근접하는 상태로 바닥면측에 설치되고, 복수의 물품을 종횡으로 나열한 상태로 수납 가능한 창고 본체와,
상기 창고 본체의 외벽에서 상하방향으로 상기 설정 주행 영역과 적어도 일부가 겹치는 높이에 설치된 보수작업자 진입용의 상층용의 진입구(進入口)에 대해서 작업자가 바닥면으로부터 오르내리기 위해서 이용되는 승강구(昇降具)가 구비된 창고 설비로서,
상기 승강구가, 상기 창고 본체의 외벽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면서, 이동용의 차륜을 구비하여 인위작업에 의해 바닥면상을 이동 가능한 승강용 대차로 구성되면서, 상단부의 바닥 위 높이가 상기 천정 반송차의 상기 설정 주행 영역의 하한 높이보다 낮게 구성되어 있으며,
수평방향을 따른 판 형상의 횡방향 보호 커버가, 상기 승강용 대차의 상단부에 고정 상태로 구비되고,
연직 방향을 따라서 상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판 형상의 종방향 보호 커버가, 상기 승강용 대차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진입구가, 상기 설정 주행 영역과 교차하는 방향의 외벽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용 대차는, 상기 외벽의 전면(前面)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상기 창고 본체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횡방향 보호 커버는, 상기 승강용 대차가 상기 창고 본체의 상기 외벽에 대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진입구가 설치되어 있는 외벽의 전면측이면서 상기 승강용 대차의 상단부의 높이에서, 상기 설정 주행 영역을 따르는 자세로 상기 천정 반송차의 상기 설정 주행 영역의 존재 공간과 그 하방의 공간을 구획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종방향 보호 커버는, 상기 창고 본체의 상기 외벽에 대해 장착된 상기 승강용 대차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진입구가 설치되어 있는 외벽의 전면측이면서 상기 승강용 대차의 상단부보다 상방에서, 상기 설정 주행 영역을 따르는 자세로 상기 천정 반송차의 상기 설정 주행 영역의 존재 공간과 상기 창고 본체의 존재 공간을 구획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창고 설비.
In a state in which the article is transported in a state in which it is suspended from the ceiling and is in a set traveling region of a ceiling-conveying car capable of traveling in a set running region, A storage body which can be stored,
An elevator for raising or lowering the worker from the floor surface with respect to an entrance for an upper layer for entering a maintenance worker installed at a height at least partially overlapping with the set running reg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outer wall of the warehouse body, And a storage unit
Wherein the elevation port is constituted by a lift truck which is detachable with respect to the outer wall of the warehouse body and is movable on the floor surface by an artificial operation provided with wheels for movement, And is lower than the lower limit height of the running area,
A transverse protection cover in the form of a plate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ixedly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and lowering carriage,
Shaped vertical protective cover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en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s detachably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and lowering carriage,
Wherein the entrance is provided on an outer wall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set running region,
Wherein the elevating truck is mounted on the warehouse body in a state of being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of the outer wall,
Wherein the lateral protection cover is provided at a height of an upper end portion of the elevating carriage and is a front side of an outer wall on which the entrance is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the elevating carriage is mounted on the outer wall of the warehouse body, And a space below the set traveling area of the ceiling-rail transportation vehicle,
Wherein the longitudinal protective cover is provided on the elevating carriage mounted on the outer wall of the warehouse body and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outer wall on which the entrance is provided and above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carriage, And the present space is divided into a present space of the set traveling region of the overhead traveling carriage and a present space of the storage body in a posture that follows the traveling reg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용 대차는, 상하방향의 중간 높이에 수평방향을 따른 작업 발판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작업 발판은, 상기 승강용 대차가 이동 조작될 때에는, 상기 승강용 대차로부터 이탈된 상기 종방향 보호 커버를 수평방향을 따른 자세로 재치(載置) 지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창고 설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vating / lowering bogie is provided with a work foot plate along a horizontal direction at an intermediate height in a vertical direction,
Wherein said work footrest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placing said longitudinal protective cover separated from said elevating truck in a posture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said elevating truck is mov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용 대차는, 바닥면과 상기 작업 발판 사이를 오르내리기 위한 제1 사다리 및 상기 작업 발판과 상기 진입구 사이를 오르내리는 제2 사다리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사다리는, 하단이 바닥면에 접지하고 상단이 상기 작업 발판에 연결된 경사자세로 되는 사용상태와, 하단이 바닥면으로부터 부상(浮上)하며 상단이 상기 작업 발판보다 상방이고, 상기 승강용 대차의 상단부보다 하방인 높이로 돌출하는 상태에서 길이방향의 중간부에 설정된 피계지부(被係支部)가 상기 승강용 대차측에 설치된 계지부(係支部)에 결합하여 연직 방향을 따라서 지지되는 격납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제2 사다리는, 하단이 상기 작업 발판에 접지하고 상단이 상기 진입구의 하부에서 상기 외벽에 연결된 경사자세로 되는 사용상태와, 상기 작업 발판에 수평방향을 따른 자세로 재치되는 격납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창고 설비.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levating bogie comprises a first ladder for raising and lowering between a bottom surface and the operation footrest, and a second ladder for moving up and down between the footrest and the entrance,
Wherein the first ladder is in a usable state in which the lower end is grounded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upper end is in an inclined posture connected to the operation footrest and the lower end is floated from the floor surface and the upper end is above the operation footrest, A retaining portion provided on an intermediat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engaged with an engaging portion provided on the elevating carriage side in a state of protruding at a height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carriage, State,
Wherein the second ladder is switchable from a usable state in which a lower end is grounded to the operation footrest and an upper end is in an inclined posture connected to the outer wall at a lower portion of the entrance and a retracted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pedestal is placed in a posture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Warehouse facilities that are constructed to




KR1020110008634A 2010-02-01 2011-01-28 Warehouse facility KR10158438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20597 2010-02-01
JP2010020597A JP5429559B2 (en) 2010-02-01 2010-02-01 Warehouse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821A KR20110089821A (en) 2011-08-09
KR101584389B1 true KR101584389B1 (en) 2016-01-11

Family

ID=44589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634A KR101584389B1 (en) 2010-02-01 2011-01-28 Warehouse facility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429559B2 (en)
KR (1) KR101584389B1 (en)
TW (1) TWI441765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17611B2 (en) * 2014-12-02 2017-10-25 株式会社ダイフク Goods storage facility
KR102503283B1 (en) * 2016-06-29 2023-02-23 세메스 주식회사 Workbench for clean room
KR101890160B1 (en) * 2016-11-23 2018-08-2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Maint lifter for transport carriage
US20210403235A1 (en) * 2017-01-23 2021-12-30 Murata Machinery, Ltd. Article relay apparatus and stocker
KR101937675B1 (en) 2017-06-14 2019-01-1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Vehicle transferring system
CN110104395A (en) * 2019-05-27 2019-08-09 武磊 A kind of storage and conveying articles system suitable for build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9232A (en) 1999-12-01 2001-06-12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Moving scaffold device and installation method using moving scaffold device
JP2006177020A (en) * 2004-12-22 2006-07-06 Daifuku Co Ltd Truck type work platform
JP2007001670A (en) * 2005-06-21 2007-01-11 Asyst Shinko Inc Stock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8280A (en) * 1991-06-17 1992-12-21 Daifuku Co Ltd Ladder cart having ascending/descending cargo receiving unit
JPH08290374A (en) * 1995-04-19 1996-11-05 N K Eng Kk Movable working platform equipment
JP2003276150A (en) * 2002-03-25 2003-09-30 Dainippon Screen Mfg Co Ltd Control of work flow for making printing plate
JP3889014B2 (en) * 2004-06-21 2007-03-07 株式会社中川鉄工所 Cargo truck loading platform lifting trap
JP4018703B2 (en) * 2005-04-08 2007-12-05 株式会社泉陽商会 Workbench
JP4941759B2 (en) 2007-09-20 2012-05-30 株式会社ダイフク Goods storage equip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9232A (en) 1999-12-01 2001-06-12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Moving scaffold device and installation method using moving scaffold device
JP2006177020A (en) * 2004-12-22 2006-07-06 Daifuku Co Ltd Truck type work platform
JP2007001670A (en) * 2005-06-21 2007-01-11 Asyst Shinko Inc Stoc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821A (en) 2011-08-09
TW201134738A (en) 2011-10-16
JP5429559B2 (en) 2014-02-26
TWI441765B (en) 2014-06-21
JP2011157185A (en)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389B1 (en) Warehouse facility
TW546234B (en) Load storage equipment
KR2021008875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retrieving or shifting containers in high-bay warehouses
TW462945B (en) Material handling and transport system and process
TWI758504B (en) Transport system and transport method
JP5683918B2 (en) Multi-story parking device with article storage function
US8882115B1 (en) Manual cart for transportation of electronic equipment within a data center
JP2023530976A (en) container handling vehicle elevator
JP3776654B2 (en) Automatic warehouse
JP5622003B2 (en) stocker
JP3175986U (en) Dedicated working cage and picking work system for picking forklift
JPH06206678A (en) Construction material carrying device
JP3074688U (en) Auto track equipment
JP6006099B2 (en) Mechanical parking equipment
JP2002370807A (en) High storage rack
JP4737713B2 (en) stocker
KR20210023098A (en) scaffold System
KR101763650B1 (en) Shake prevention device of the ladder unit
JP2012136861A (en) Mechanical parking device with cargo-handling parking room, and its operation method
JP7070522B2 (en) Stocker
US3606055A (en) Goods moving method
JP2577487Y2 (en) Safety device for elevator for transporting vehicles in underground parking systems
JP2578010Y2 (en) Elevator parking device with transfer device
JPH0867464A (en) Elevator for construction
JP6679217B2 (en) Elevator park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