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3065B1 - 터널등의 조명유니트 - Google Patents

터널등의 조명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3065B1
KR101583065B1 KR1020140029827A KR20140029827A KR101583065B1 KR 101583065 B1 KR101583065 B1 KR 101583065B1 KR 1020140029827 A KR1020140029827 A KR 1020140029827A KR 20140029827 A KR20140029827 A KR 20140029827A KR 101583065 B1 KR101583065 B1 KR 101583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inge member
side plate
inclined support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7237A (ko
Inventor
박귀주
박홍배
Original Assignee
(주)휴먼라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먼라이텍 filed Critical (주)휴먼라이텍
Priority to KR1020140029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065B1/ko
Publication of KR20150107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1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out a self-contained power source, e.g. for mains connection
    • F21L1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out a self-contained power source, e.g. for mains connection capable of hand-held use, e.g. inspection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8Latch-type fastening, e.g. with rotary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1Outdoor lighting of tunnels or the like, e.g. under b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내에 설치되어 터널 내부를 조명하는 터널등의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광을 케이스 외부로 출사하는 터널등의 조명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 내에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상판과, 상판의 타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2측판을 갖는 하우징 본체와, 하우징 본체의 제1측판의 하단과 제2측판의 하단에서 각각 경사지게 연장된 제1 및 제2 경사지지판과, 제1경사지지판과 제2경사지지판의 내부공간을 향하는 종단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힌지부재와, 판형 베이스 기판과, 판형 베이스 기판의 저면에 실장되어 광을 출사하는 발광다이오드 칩과, 판형 베이스 기판의 상면에 제1힌지부재 또는 제2힌지부재를 일부 에워싸는 형상으로 형성된 삽입홈을 갖는 걸이구가 형성되어 제1힌지부재 또는 상기 제2힌지부재에 걸이구가 삽입되게 삽입한 상태에서 상면이 제1경사지지판 또는 상기 제2경사지지판의 저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회전 또는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전에 의해 걸이구에 대해 착탈될 수 있도록 된 발광패널을 구비한다. 터널등의 조명유니트에 의하면, 발광패널의 걸이구를 하우징 본체의 힌지부재에 삽입한 상태로 회동시키는 조작에 의해 설치가 완료되고, 발광모듈의 교체시에도 회동조작에 의해 하우징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설치 및 수리가 매우 용이한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터널등의 조명유니트{lighting unit of tunnel lamp}
본 발명은 터널등의 조명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터널등의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하우징 본체로부터 발광패널을 회동에 의해 착탈할 수 있도록 된 터널등의 조명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다이오드(LED;Light Emitting Diode)는 전기 에너지를 받으면 빛을 발하는 소자이며이며, 조명등으로 실용화가 비약적으로 진전되면서 기존의 백열등이나 형광등을 대체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등은 종래의 일반적인 조명등에 비하여 전기 소모량이 적으며, 현저히 높은 강도 및 내구성을 갖고 있다.
특히, 터널 내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터널등은 케이스와, 케이스 내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의 바닥면에 실장되는 다수의 엘이디 칩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터널등은 국내 등록특허 제10-1118527호 등 다양하게 게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터널등은 고장이나 수리 등의 이유로 케이스 내의 조명용 부품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조명부품을 분리하기 위한 해체 과정이 복잡하고, 부품 교체를 위한 작업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특히, 터널내에서의 터널등 수리공사는 안전사고의 위험성 때문에 가능한한 수리작업시간이 짧아질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광의 조사각도 또는 조사영역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대부분 복잡한 각도 조정기구를 통해 조정하도록 되어 있어 시공시에도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발광모듈의 회동조작에 의해 케이스 내에 설치된 하우징 본체에 착탈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 및 수리에 요구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터널등의 조명유니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사영역의 조정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의 터널등의 조명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널등의 조명유니트는 터널내에 설치되어 상기 터널 내부를 조명하는 터널등의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광을 상기 케이스 외부로 출사하는 터널등의 조명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에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일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측판과, 상기 제1측판과 이격되게 상기 상판의 타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2측판을 갖는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기 제1측판의 하단에서 상기 제2측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되 상기 제2측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록 점진적으로 높이가 높아지게 경사진 제1경사지지판과;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기 제2측판의 하단에서 상기 제1측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되 상기 제1측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록 점진적으로 높이가 높아지게 경사진 제2경사지지판과; 상기 제1경사지지판의 상기 제2측판을 향하는 방향을 따르는 종단에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외주면이 호형으로 형성된 제1힌지부재와; 상기 제2경사지지판의 상기 제1측판을 향하는 방향을 따르는 종단에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외주면이 호형으로 형성된 제2힌지부재와; 판형 베이스 기판과, 상기 판형 베이스 기판의 저면에 실장되어 광을 출사하는 발광다이오드 칩과, 상기 판형 베이스 기판의 상면에 상기 제1힌지부재 또는 상기 제2힌지부재를 일부 에워싸는 형상으로 형성된 삽입홈을 갖는 걸이구가 형성되어 상기 제1힌지부재 또는 상기 제2힌지부재에 상기 걸이구가 삽입되게 삽입한 상태에서 상면이 상기 제1경사지지판 또는 상기 제2경사지지판의 저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회전 또는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전에 의해 상기 걸이구에 대해 착탈될 수 있도록 된 발광패널;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기 상판으로부터 수직상으로 하방으로 연장된 상기 제1측판의 수직길이보다 상기 제2측판의 수직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힌지부재는 상기 제1경사지지판의 종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제1목부분과 상기 제1목부분의 상단에서 상기 제1목부분보다 확장된 외경을 갖되 반구형으로 형성된 제1반구체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2힌지부재는 상기 제2경사지지판의 종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제2목부분과 상기 제2목부분의 상단에서 상기 제2목부분보다 확장된 외경을 갖되 반구형으로 형성된 제2반구체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걸이구는 상기 제1 반구체부분 또는 상기 제2반구체부분에 삽입될 수 있는 'C'자형 삽입홈을 갖는 호형링부분과, 상기 호형링부분이 상기 제1 반구체부분 또는 상기 제2반구체부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경사지지판의 저면 또는 상기 제2경사지지판의 저면에 밀착되는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상기 제1목부분 또는 상기 제2목부분에 밀착될 수 있게 상기 발광패널의 상면에서 경사지게 상기 호형링부분 까지 연장된 제3목부분;을 갖는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터널등의 조명유니트에 의하면, 발광패널의 걸이구를 하우징 본체의 힌지부재에 삽입한 상태로 회동시키는 조작에 의해 설치가 완료되고, 발광모듈의 교체시에도 회동조작에 의해 하우징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설치 및 수리가 매우 용이한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등이 설치된 터널을 나타내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터널등의 케이스 내에 설치된 조명 유니트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의 하우징 본체로부터 발광패널을 분리한 상태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하우징 본체에 발광패널을 착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널등의 조명유니트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등이 설치된 터널을 나타내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터널등의 케이스 내에 설치된 조명유니트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의 하우징 본체로부터 발광패널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명유니트(110)는 터널등(100)의 케이스(101) 내에 설치되어 케이스(101) 외부를 통해 터널(10) 내부를 조명한다.
터널등(100)은 케이스(101)와 케이스(101) 내에 설치된 조명 유니트(110)를 구비한다.
케이스(101)는 지지부재(20)를 통해 터널내에 지지되게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101)는 조명 유니트(110)를 내부에 밀폐되게 수용할 수 있도록 개폐가능한 통상의 함체 형태로 형성되면 되고, 하부는 투명소재로 된 투광영역을 갖는 것을 적용하면 된다.
조명 유니트(110)는 케이스(101) 내에 설치되어 광을 케이스(101)를 통해 조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조명 유니트(110)는 하우징 본체, 제1 및 제2경사지지판(121)(122), 제1 및 제2힌지부재(131)(132), 발광패널(150)을 구비한다.
하우징 본체는 하부가 개방된 사각패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를 구분하면, 케이스(101) 내의 상면에 결합부재(미도시)를 통해 지지되며 사각판 형태로 형성된 상판(113)과, 상판(113)의 일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측판(111)과, 제1측판(111)과 이격되게 상판(113)의 타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내부공간(115)을 형성하는 제2측판(112)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판(113)에는 결합부재로 적용할 볼트가 삽입되어 너트등을 통해 결합하기 위한 결합홀(113a)이 형성되어 있고, 상판(113)의 결합구조는 도시된 예와 다른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하우징 본체의 상판(113)으로부터 수직상으로 하방으로 상호 나란하게 연장된 제1측판(111)과 제2측판(112) 중 제1측판(111)의 수직길이보다 제2측판(112)의 수직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측판(111)과 제2측판(112) 상호간의 상대 길이차를 갖게 형성하면 후술되는 발광패널(150)의 조사영역을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제1경사지지판(121)은 하우징 본체의 제1측판(111)의 하단에서 제2측판(112)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되 제2측판(112)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록 점진적으로 높이가 높아지게 경사져 있다.
제1경사지지판(12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판(111) 하단에서 제1측판(111)으로부터 외부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고, 내부공간(115) 방향으로도 일정길이 연장되게 판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경사지지판(122)도 제1경사지지판(121)과 대칭되게 하우징 본체의 제2측판(112)의 하단에서 제1측판(111)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되 제1측판(111)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록 점진적으로 높이가 높아지게 경사져 있다.
제2경사지지판(122)도 제2측판(112) 하단에서 제2측판(112)으로부터 외부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고, 내부공간(115) 방향으로도 일정길이 연장되게 판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힌지부재(131)는 제1경사지지판(121)의 제2측판(112)을 향하는 방향을 따르는 종단(121a)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상단에 외주면이 호형으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제1힌지부재(131)를 구분하면, 제1경사지지판(121)의 종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제1목부분(131a)과, 제1목부분(131a)의 상단에서 제1목부분(131a)보다 확장된 외경을 갖되 반구형으로 형성된 제1반구체부분(131b)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2힌지부재(132)도 제1힌지부재(131)와 대칭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제2경사지지판(122)의 제1측판(111)을 향하는 방향을 따르는 종단(122a)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외주면이 호형으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제2힌지부재(132)는 제2경사지지판(122)의 종단(122a)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제2목부분(132a)과 제2목부분(132a)의 상단에서 제2목부분(132a)보다 확장된 외경을 갖되 반구형으로 형성된 제2반구체부분(132b)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발광패널(150)은 제1힌지부재(131) 또는 제2힌지부재(132)에 착탈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발광패널(150)은 판형 베이스 기판(152)과, 판형 베이스 기판(152)의 저면에 실장되어 광을 출사하는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 칩(154)과, 판형 베이스 기판(152)의 상면에 제1힌지부재(131) 또는 제2힌지부재(132)를 일부 에워싸는 형상으로 형성된 삽입홈(157)을 갖는 걸이구(156)가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판형 베이스 기판(152)은 발광다이오드 칩(154)을 회로적으로 연결하는 인쇄회로기판이 적용된다.
걸이구(156)는 제1 반구체부분(131b) 또는 제2반구체부분(132b)에 삽입될 수 있는 'C'자형 삽입홈(157)을 갖는 호형링부분(156a)과, 호형링부분(156a)이 제1 반구체부분(131b) 또는 제2반구체부분(132b)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경사판부분(121)의 저면 또는 제2경사판부분(122)의 저면에 밀착되는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제1목부분(131a) 또는 제2목부분(132a)에 밀착될 수 있게 발광패널(150)의 상면에서 경사지게 호형링부분(156a) 까지 연장된 제3목부분(156b)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발광패널(150)은 제1힌지부재(131) 또는 제2힌지부재(132)에 걸이구(156)가 삽입홈(157)을 통해 삽입되게 삽입한 상태에서 상면이 제1경사지지판(121) 또는 제2경사지지판(122)의 저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회전 또는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전에 의해 걸이구(156)에 대해 착탈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걸이구(156)는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가 발광패널(150)에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하우징 본체와 결합되는 걸이구(156)의 위치를 조정하면 광조사영역을 조정할 수 있다.
걸이구(156)들은 제1힌지부재(131) 또는 제2힌지부재(132)에 삽입된 상태에서 발광패널(150)은 제1경사지지판(121) 또는 제2경사지지판(122)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무게중심이 편심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터널등(100)의 조명유니트(110)는 발광패널(150)에 형성된 걸이구(156)를 하우징 본체의 힌지부재(131)(132)에 삽입한 상태로 회동시키는 조작에 의해 설치가 완료되고, 발광모듈(150)의 교체시에도 회동조작에 의해 하우징 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설치 및 수리가 매우 용이한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하우징 본체와 결합되는 걸이구(156)의 위치를 조정하면 광조사 영역도 조정할 수 있다.
110: 조명유니트 121: 제1경사지지판
122: 제2경사지지판 131: 제1힌지부재
132: 제2힌지부재 150: 발광패널
156: 걸이구

Claims (3)

  1. 터널내에 설치되어 상기 터널 내부를 조명하는 터널등의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광을 상기 케이스 외부로 출사하는 터널등의 조명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에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일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측판과, 상기 제1측판과 이격되게 상기 상판의 타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2측판을 갖는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기 제1측판의 하단에서 상기 제2측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되 상기 제2측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록 점진적으로 높이가 높아지게 경사진 제1경사지지판과;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기 제2측판의 하단에서 상기 제1측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되 상기 제1측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록 점진적으로 높이가 높아지게 경사진 제2경사지지판과;
    상기 제1경사지지판의 상기 제2측판을 향하는 방향을 따르는 종단에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외주면이 호형으로 형성된 제1힌지부재와;
    상기 제2경사지지판의 상기 제1측판을 향하는 방향을 따르는 종단에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외주면이 호형으로 형성된 제2힌지부재와;
    판형 베이스 기판과, 상기 판형 베이스 기판의 저면에 실장되어 광을 출사하는 발광다이오드 칩과, 상기 판형 베이스 기판의 상면에 상기 제1힌지부재 또는 상기 제2힌지부재를 일부 에워싸는 형상으로 형성된 삽입홈을 갖는 걸이구가 형성되어 상기 제1힌지부재 또는 상기 제2힌지부재에 상기 걸이구가 삽입되게 삽입한 상태에서 상면이 상기 제1경사지지판 또는 상기 제2경사지지판의 저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회전 또는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전에 의해 상기 걸이구에 대해 착탈될 수 있도록 된 발광패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등의 조명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기 상판으로부터 수직상으로 하방으로 연장된 상기 제1측판의 수직길이보다 상기 제2측판의 수직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등의 조명유니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부재는
    상기 제1경사지지판의 종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제1목부분과 상기 제1목부분의 상단에서 상기 제1목부분보다 확장된 외경을 갖되 반구형으로 형성된 제1반구체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2힌지부재는
    상기 제2경사지지판의 종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제2목부분과 상기 제2목부분의 상단에서 상기 제2목부분보다 확장된 외경을 갖되 반구형으로 형성된 제2반구체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걸이구는
    상기 제1 반구체부분 또는 상기 제2반구체부분에 삽입될 수 있는 'C'자형 삽입홈을 갖는 호형링부분과, 상기 호형링부분이 상기 제1 반구체부분 또는 상기 제2반구체부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경사지지판의 저면 또는 상기 제2경사지지판의 저면에 밀착되는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상기 제1목부분 또는 상기 제2목부분에 밀착될 수 있게 상기 발광패널의 상면에서 경사지게 상기 호형링부분 까지 연장된 제3목부분;을 갖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등의 조명유니트.
KR1020140029827A 2014-03-13 2014-03-13 터널등의 조명유니트 KR101583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827A KR101583065B1 (ko) 2014-03-13 2014-03-13 터널등의 조명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827A KR101583065B1 (ko) 2014-03-13 2014-03-13 터널등의 조명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237A KR20150107237A (ko) 2015-09-23
KR101583065B1 true KR101583065B1 (ko) 2016-01-06

Family

ID=54245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827A KR101583065B1 (ko) 2014-03-13 2014-03-13 터널등의 조명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30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72456B (zh) * 2018-09-13 2024-02-20 梁晋强 一种挂钩式高速公路用隧道灯快速拆装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2204A (ja) * 2010-12-29 2012-07-26 Central Nippon Highway Engineering Nagoya Co Ltd トンネル用照明灯具群の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トンネル用照明灯具群の保守・管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4259A (ko) * 2009-09-28 2011-04-05 한빔 주식회사 Led 조명등 구조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2204A (ja) * 2010-12-29 2012-07-26 Central Nippon Highway Engineering Nagoya Co Ltd トンネル用照明灯具群の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トンネル用照明灯具群の保守・管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237A (ko) 201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651908U (zh) Led照明灯
WO2009054649A3 (en) Led lighting lamp
CN205806973U (zh) 一种多角度环形光源
KR102207850B1 (ko) 천장 매립형 등기구
KR101583065B1 (ko) 터널등의 조명유니트
KR100695532B1 (ko) 엘이디를 이용한 확산램프
KR101251079B1 (ko) Led 조명장치
CN102121631B (zh) 光源模组
KR20160127216A (ko) 엘이디 조명장치
US8240895B2 (en) Light fixture
CN102052588A (zh) 发光二极管灯具
KR20100084768A (ko) 눈부심 방지 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등
KR101214959B1 (ko) Led 조명 장치
KR20110019071A (ko) 엘이디 조명등
US20160040832A1 (en) Led illumination module
KR200467344Y1 (ko) 장식용 조명등 장치
CN104566031A (zh) 一种照明灯及其安装方法
KR101065867B1 (ko) 가로등 장치용 led 조명기구
JP6560911B2 (ja) 三角コーン
CN102781807A (zh) 电梯的轿厢内照明装置
CN213479978U (zh) 一种结构防水无灌胶的投光灯
CN102954361A (zh) 一种无论安装方向如何都可以定向发光的led灯泡
KR20100099604A (ko) 교체형 엘이디 조명등
KR20120083074A (ko) 배광이 향상된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KR200467651Y1 (ko) 조명기구의 엘이디 고정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