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936B1 - 주물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주물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936B1
KR101582936B1 KR1020150043089A KR20150043089A KR101582936B1 KR 101582936 B1 KR101582936 B1 KR 101582936B1 KR 1020150043089 A KR1020150043089 A KR 1020150043089A KR 20150043089 A KR20150043089 A KR 20150043089A KR 101582936 B1 KR101582936 B1 KR 101582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ing
casting material
additive
stirring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3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섭
Original Assignee
(주)성창스크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창스크랩 filed Critical (주)성창스크랩
Priority to KR1020150043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9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35/00Equipment for conveying molten metal into beds or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35/00Equipment for conveying molten metal into beds or moulds
    • B22D35/04Equipment for conveying molten metal into beds or moulds into moulds, e.g. base plates,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7/00Treating the metal in the mould while it is molten or ductile ; Pressure or vacuum casting
    • B22D27/18Measures for using chemical processes for influencing the surface composition of castings, e.g. for increasing resistance to acid at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5/00Equipment for ca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더욱 상세하게는 규산나트륨 또는 마그네슘을 주물 재료로 사용하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주물을 제조하는 주물 제조장치가 개시된다. 본 주물 제조장치는 주물 재료가 주입되도록 하는 호퍼부; 일측의 상단이 개방되어 상기 호퍼부에서 배출되는 주물 재료가 주입되며, 상기 일측에서 상기 주물 재료가 배출되는 타측까지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 부재가 마련되는 이송부; 및 일측의 상단이 개방되어 상기 이송부에서 배출되는 주물 재료가 주입되며, 상기 일측에서 상기 주물 재료가 배출되는 타측까지 상기 주물 재료가 이송과 교반(攪拌)이 함께 수행되도록 상기 주물 재료의 이송 경로를 따라 나란하게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교반 회전축과 상기 교반 회전축을 따라 대칭되는 한 쌍의 원호 형상의 날개가 나선형으로 복수 개 마련되는 교반 날개를 포함하는 교반 부재가 마련되는 교반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제조되는 주물의 응집력과 결속력이 향상되도록 하며 주물의 표면에 얇은 막을 형성하여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분진상태로 폭발의 위험성이 있는 주물의 재료의 경우에도 안전하게 주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송과 교반이 동시에 수행됨으로써, 기존의 주물 제조시간보다 제조시간이 단축될 수 있어 시간대비 주물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주물 제조장치{Machine for casting}
본 발명은 주물 제조장치에 과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규산나트륨 또는 마그네슘을 주물 재료로 사용하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주물을 제조하는 주물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물(Casting)은 뜨거운 쇳물을 견딜 수 있는 금속덩어리로 만든 주형에 중력,압력,원심력 등을 이용해 금속을 주입시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주물에는 분진 형태의 금속을 주형에 주입시키고 압력, 열 등을 이용해 제조되는 것도 포함된다.
한편, 여러 산업분야에서 사용되는 규산나트륨 또는 마그네슘은 분진 형태의 규산나트륨 또는 마그네슘을 가압주조법(Press casting process)을 사용하여 주물을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주물 제조방법에는 제조시간이 길어지면 제작된 주물의 경도(Hardness)가 약해지는 등 제작되는 주물의 품질이 떨어지거나 제작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분진 형태의 주물 재료를 사용하다 보면 폭발의 위험성이 존재하여 안전상의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출원특허 10-2015-0016075와 같이 첨가제를 첨가하고 압력을 이용하여 주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가 발명되고 있지만, 첨가제로 경화제를 이용하기 때문에 첨가제와 주물 재료가 혼합되고 짧은 시간 안에 주물이 제조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분진 형태의 주물 재료를 첨가제와 혼합할 때, 이송과 교반이 함께 가능한 교반 장치를 이용하여 짧은 시간 안에 주물을 제조함으로써, 주물 제조의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또한, 주물 재료에 첨가제를 혼합하여 주물을 제조함으로써, 주물의 응집력과 결속력이 향상되며 제조되는 주물의 표면에 얇은 막을 형성하여 산화가 방지되는 주물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제조장치는, 주물 재료가 주입되도록 하는 호퍼부; 일측의 상단이 개방되어 상기 호퍼부에서 배출되는 주물 재료가 주입되며, 상기 일측에서 상기 주물 재료가 배출되는 타측까지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 부재가 마련되는 이송부; 및 일측의 상단이 개방되어 상기 이송부에서 배출되는 주물 재료가 주입되며, 상기 일측에서 상기 주물 재료가 배출되는 타측까지 상기 주물 재료가 이송과 교반(攪拌)이 함께 수행되도록 상기 주물 재료의 이송 경로를 따라 나란하게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교반 회전축과 상기 교반 회전축을 따라 대칭되는 한 쌍의 원호 형상의 날개가 나선형으로 복수 개 마련되는 교반 날개를 포함하는 교반 부재가 마련되는 교반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 부재는, 상기 주물 재료의 이송 경로를 따라 연장형성되는 이송 회전축; 및 상기 호퍼부에서 주입된 상기 주물 재료가 이송되도록,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결합되어 회전하는 이송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 부재는, 이송되는 상기 주물 재료를 가르고 합하는 과정을 통해 교반됨과 함께 이송되도록, 상기 교반 날개가 상호 교차되어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조되는 주물의 응집력과 결속력이 향상되도록 상기 주물 재료에 제1 첨가제가 첨가되도록 하는 첨가제 첨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부는, 상기 타측의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첨가제가 첨가된 주물 재료가 주입되면, 상기 제조되는 주물의 응고 시간이 단축되도록 상기 주입된 주물 재료에 제2 첨가제가 첨가되도록 하는 첨가제 분출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첨가제 분출장치는, 상기 교반부의 타측의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제2 첨가제가 주입되도록 하는 첨가제 주입구; 및 상기 주물 재료와 상기 제2 첨가제의 교반 효과가 증대되도록 상기 제2 첨가제의 분출 경로가 상기 주물 재료의 이송 경로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첨가제 분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부에서 배출되는 주물 재료에 압력을 가하여 주물을 형성하며, 상기 형성된 주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주물 배출구가 마련되는 주물 형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물 형성부는, 상기 주물 재료가 내부에 주입되면, 상기 주물 재료에 압력을 가하여 원기둥 형상의 주물이 형성되도록 하는 가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물 형성부는, 가열 코일의 형태로 마련되되, 상기 주물 재료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원기둥 형상의 주물이 형성될 때, 상기 주물 재료에 열을 가하여 상기 원기둥 형상의 주물이 압력만 가할 때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가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주물 재료를 첨가제와 혼합할 때, 이송과 교반이 함께 가능한 교반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첨가제로 경화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짧은 시간 안에 주물이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주물 제조시간보다 제조시간이 단축될 수 있어 시간대비 주물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주물 재료에 첨가제를 혼합하여 주물을 제조함으로써, 제조되는 주물의 응집력과 결속력이 향상되도록 하며 주물의 표면에 얇은 막을 형성하여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분진상태로 폭발의 위험성이 있는 주물의 재료의 경우에도 안전하게 주물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제조장치의 호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제조장치의 이송부를 도시한 도면입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제조장치의 교반부를 도시한 도면입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제조장치의 교반부의 교반 부재를 도시한 도면입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제조장치의 교반부의 첨가제 분출장치를 도시한 도면입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제조장치의 주물 형성부를 도시한 도면입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물 제조장치의 주물 형성부를 도시한 도면입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주물 재료와 첨가제를 이용하는 주물 제조장치는 첨가제로 경화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주물 재료와 첨가제가 혼합되고 짧은 시간 안에 주물이 제조되지 않으면, 첨가제가 혼합된 주물 재료는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제조장치는 주물 재료와 첨가제가 혼합될 때, 주물 재료의 이송과 교반이 함께 가능한 교반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하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주물 제조장치는 주물 재료가 주입되도록 하는 호퍼부(100), 주물 재료가 이송되는 이송부(200), 주물 재료가 이송과 교반이 함께 수행되는 교반부(300) 및 주물을 형성하는 주물 형성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송부(200)는 일측의 상단이 개방되어 호퍼부(100)에서 배출되는 주물 재료가 주입되면, 주입된 주물 재료가 일측에서 타측까지 이송된다.
또한, 교반부(300)는 일측의 상단이 개방되어 이송부(200)에서 배출되는 주물 재료가 주입되면, 주입된 주물 재료가 일측에서 타측까지 이송과 교반(攪拌)이 함께 수행된다.
여기서 교반(攪拌)은 물리적 또는 화학적 성질이 다른 2종 이상의 물질을 외부적인 기계 에너지를 사용하여 균일한 혼합상태로 만드는 일을 의미한다.
또한, 주물 형성부(400)는, 일측의 상단이 개방되고 교반부(300)에서 배출되는 주물 재교가 주입되면, 주입된 주물 재료를 이용하여 주물을 형성한다.
첨언하면, 교반부(300) 및 주물 형성부(400)의 개방된 일측의 상단에는 호퍼 형상의 주입구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주물 재료에 제1 첨가제가 첨가되도록 하는 첨가제 첨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물 제조장치의 첨가제 첨가부(미도시)는 호퍼부(10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첨가제는, 제1첨가제는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글리세롤 트라이아세테이트(Glycerol triacetate), 석신산 다이메틸(Butanedioic acid dimethyl ester), 글루타르산(Glutarate) 및 다이메틸 아디페이트(Hexanedioic acid dimethyl ester)로 구성된다.
제1 첨가제의 구성 물질을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 첨가제의 구성 물질들 각각의 구성비율은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30중량%~40중량%, 글리세롤 트라이아세테이트(Glycerol triacetate) 30중량%~40중량%, 석신산 다이메틸(Butanedioic acid dimethyl ester) 10중량%~15중량%, 글루타르산(Glutarate) 20중량%~25중량% 및 다이메틸 아디페이트(Hexanedioic acid dimethyl ester) 5중량%~10중량%으로 구성(함유)된다.
다음 표는 본 발명의 제1 첨가제의 사양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5030188099-pat00001
여기서, 트리아세틴(Triacetine)의 정식명칭은 글리세롤 트라이아세테이트(Glycerol triacetate)이며, 숙식산 다이메틸의 정식명칭은 석신산 다이메틸(Butanedioic acid dimethyl ester)이며, 다이메틸 지방질의 정식명칭은 다이메틸 아디페이트(Hexanedioic acid dimethyl ester)이다.
또한, 상기 표에 기재된 함유량은 제1 첨가제의 중량에 따른 각 물질의 함유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제조장치의 호퍼부(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물 제조장치의 호퍼부(100)는 주물 재료가 주입되도록 마련된다.
자세히 설명하면, 주물 재료가 주입되도록 상단은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상단에서 하단으로 높이방향을 따라 바닥면의 면적이 감소 되도록 형성되되, 하단에 제1 배출구(110)가 마련된다.
이를 통해, 제1 배출구(110)로 주물 재료가 배출되는 양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호퍼부(100)의 양측에는 호퍼부(100)가 넘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지지 부재(120)가 마련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제조장치의 이송부(200)를 도시한 도면입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물 제조장치의 이송부(200)는 일측의 상단이 개방되어 호퍼부(100)에서 배출되는 주물 재료가 주입되면, 주입된 주물 재료를 일측에서 타측까지 이송하기 위해 마련된다.
자세히 설명하면, 이송부(200)는 개방된 일측의 상단이 제1 배출구(110)의 하단방향으로 인접되도록 마련되어 주물 재료가 제1 배출구(110)에서 배출되면, 개방된 일측의 상단을 통해 이송부(200)에 주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송부(200)의 타측의 하단에는 제2 배출구(210)가 마련된다.
또한, 이송부(20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호퍼부(100)에서 주입된 주물 재료가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 부재(2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송 부재(220)가 회전되도록 하는 이송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이송 구동장치가 구동하면 이송 부재(220)가 회전되어 주입된 주물 재료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여기서, 이송 부재(220)는, 주물 재료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되도록 하기 위해 주물 재료의 이송경로를 따라 연장형성되며, 일단이 이송 구동장치와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이송 회전축(221)과 이송 회전축(2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결합되어 회전됨으로써, 주물 재료가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 날개(2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송 날개(222)는 주물 재료의 이송경로를 따라 제2 배출구(210)가 마련된 타측에 다다르면 때까지 연장형성되되, 타측에는 타측에서 제2 배출구(210)를 향하도록 하며, 이송 회전축(2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배출구(210)를 통해 배출되지 못하고 타측의 가장자리까지 이송된 주물 재료도 이송 날개(222)가 회전됨으로써 타측에서 제2 배출구(210)로 이송되어, 제2 배출구(21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제조장치의 교반부(300)를 도시한 도면입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물 제조장치의 교반부(300)는 일측의 상단이 개방되어 이송부(200)에서 배출되는 주물 재료가 주입되면, 주입된 주물 재료가 일측에서 타측까지 이송과 교반이 함께 수행되도록 마련된다.
자세히 설명하면, 교반부(300)는 개방된 일측의 상단이 제2 배출구(210)의 하단방향으로 인접되도록 마련되어 주물 재료가 제2 배출구(210)에서 배출되면, 개방된 일측의 상단을 통해 교반부(300)에 주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교반부(300)는 타측의 하단에 제3 배출구(310)가 마련된다.
또한, 교반부(30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주물 재료가 이송과 교반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하는 교반 부재(320)와 교반 부재(320)가 회전되도록 하는 교반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교반부(300)는, 타측의 상단에 마련되어 제1 첨가제가 첨가된 주물 재료가 주입되면, 제조되는 주물의 응고 시간이 단축되도록 주입된 주물 재료에 제2 첨가제가 첨가되도록 하는 첨가제 분출장치(330)를 포함한다.
여기서, 교반 부재(32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와 함께 설명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첨가제 분출장치(33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과 함께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제조장치의의 교반 부재(320)를 도시한 도면입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물 제조장치의 교반 부재(320)는 주물 재료의 이송 경로를 따라 나란하게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교반 회전축(321)과 교반 회전축(321)을 따라 대칭되는 한 쌍의 원호 형상의 날개가 나선형으로 복수 개 마련되는 교반 날개(322)를 포함한다.
그리고 교반부(300)재는, 이송되는 주물 재료를 가르고 합하는 과정을 통해 교반됨과 함께 이송되도록, 교반 날개(322)가 상호 교차되어 회전하도록 한다.
특히, 교반 날개(322)는 이송부(200)의 이송 날개(222)와는 다르게 연장형성되지 않고, 원호 형상의 날개로 형성되어, 주물 재료와 제2 첨가제가 충분히 교반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제조장치의 첨가제 분출장치(330)를 도시한 도면입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물 제조장치의 첨가제 분출장치(330)는 제1 첨가제가 첨가된 주물 재료가 주입되면, 제조되는 주물의 응고 시간이 단축되도록 주입된 주물 재료에 제2 첨가제가 첨가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교반부(300)의 타측의 상단에 마련되어 제2 첨가제가 주입되도록 하는 첨가제 주입구(331)와 주물 재료와 제2 첨가제의 교반 효과가 증대되도록 하기 위해 제2 첨가제의 분출 경로가 주물 재료의 이송 경로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첨가제 분출구(332)를 포함한다.
다만, 첨가제 분출장치(330)가 마련되는 위치는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일 뿐, 교반부(300) 타측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첨가제 분출장치(330)를 교반부(300) 상단 중 개방되지 않은 어느 한 곳에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첨가제 분출장치(330)를 교반부(300)의 측면에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첨가제 분출구(332)의 형상 역시 첨자게 분출장치의 위치가 이동되면 그 위치에 따라 주물 재료와 제2 첨가제의 교반 효과가 증대되도록 하기 위해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첨가제는 페놀수지(Phenolic resin), 수산화 칼륨(Potassium hydroxide), 수산화 나트륨(Sodium hydroxide) 및 물로 구성된다.
제2 첨가제의 구성물질을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2 첨가제의 구성물질들 각각의 구성비율은 페놀수지(Phenolic resin) 40중량%~45중량%, 수산화 칼륨(Potassium hydroxide) 3중량%~4중량%, 수산화 나트륨(Sodium hydroxide) 10중량%~15중량% 및 물 35중량%~40중량%으로 구성(함유)된다.
다음 표는 본 발명의 제2 첨가제의 사양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5030188099-pat00002
또한, 상기 표에 기재된 함유량은 제2 첨가제의 중량에 따른 각 물질의 함유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 제조장치의 주물 형성부(400)를 도시한 도면입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물 제조장치의 주물 형성부(400)는, 일측의 상단이 개방되고 교반부(300)에서 배출되는 주물 재교가 주입되면, 주입된 주물 재료를 이용하여 주물을 형성하기 위해 마련된다.
자세히 설명하면, 개방된 일측의 상단이 교반부(300)에 마련된 제3 배출구(310)의 하단방향으로 인접되도록 마련되며, 주물 재료가 제3 배출구(310)에서 배출되어 개방된 일측의 상단을 통해 주물 형성부(400)에 주입되면, 주물 재료에 압력을 가하여 주물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주물 형성부(400)는, 주물 재료가 내부에 주입되면, 주물 재료에 압력을 가하여 원기둥 형상의 주물을 형성하는 가압장치(420) 및 형성된 주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주물 배출구(410)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압장치(420)는 후면에 유압 실린더가 마련되어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이 주물의 배출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을 하며 주물 재료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주물 형성부(400)는, 주물 재료에 압력만 가할 때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주물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가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열장치는 압력을 가하여 원기둥 형상의 주물이 형성될 때, 추가적으로 열을 가할 수 있도록 전기가 흐르면 가열되는 가열 코일의 형태로 마련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물 제조장치의 주물 형성부(400)를 도시한 도면입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물 제조장치의 주물 형성부(400)는, 개방된 일측의 상단이 교반부(300)에 마련된 제3 배출구(310)의 하단방향으로 인접되도록 마련되며, 주물 재료가 제3 배출구(310)에서 배출되어 개방된 일측의 상단을 통해 주물 형성부(400)에 주입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주물 형성부(400)의 상단에 주물 재료에 압력을 가하여 주물을 형성하는 가압장치(420)가 마련된다.
여기서 가압장치(420)는 주물 재료의 주입방향에 따라 상하 왕복 운동을 하며 주물 재료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유압 실린더가 마련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가 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호퍼부 110 : 제1 배출구
120 : 지지 부재
200 : 이송부 210 : 제2 배출구
220 : 이송 부재 221 : 이송 회전축
222 : 이송 날개
300 : 교반부 310 : 제3 배출구
320 : 교반 부재 321 : 교반 회전축
322 : 교반 날개 330 : 첨가제 분출장치
331 : 첨가제 주입구 332 : 첨가제 분출구
400 : 주물 형성부 410 : 주물 배출구
420 : 가압장치

Claims (9)

  1. 주물 재료가 주입되도록 하는 호퍼부;
    일측의 상단이 개방되어 상기 호퍼부에서 배출되는 주물 재료가 주입되며, 상기 일측에서 상기 주물 재료가 배출되는 타측까지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 부재가 마련되는 이송부; 및
    일측의 상단이 개방되어 상기 이송부에서 배출되는 주물 재료가 주입되며, 상기 일측에서 상기 주물 재료가 배출되는 타측까지 상기 주물 재료가 이송과 교반(攪拌)이 함께 수행되도록 상기 주물 재료의 이송 경로를 따라 나란하게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교반 회전축과 상기 교반 회전축을 따라 대칭되는 한 쌍의 원호 형상의 날개가 나선형으로 복수 개 마련되는 교반 날개를 포함하는 교반 부재가 마련되는 교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조되는 주물의 응집력과 결속력이 향상되도록 상기 주물 재료에 제1 첨가제가 첨가되도록 하는 첨가제 첨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교반부는,
    상기 타측의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첨가제가 첨가된 주물 재료가 주입되면, 상기 제조되는 주물의 응고 시간이 단축되도록 상기 주입된 주물 재료에 제2 첨가제가 첨가되도록 하는 첨가제 분출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 분출장치는,
    상기 교반부의 타측의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제2 첨가제가 주입되도록 하는 첨가제 주입구; 및
    상기 주물 재료와 상기 제2 첨가제의 교반 효과가 증대되도록 상기 제2 첨가제의 분출 경로가 상기 주물 재료의 이송 경로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첨가제 분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부재는,
    상기 주물 재료의 이송 경로를 따라 연장형성되는 이송 회전축; 및
    상기 호퍼부에서 주입된 상기 주물 재료가 이송되도록,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결합되어 회전하는 이송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부재는,
    이송되는 상기 주물 재료를 가르고 합하는 과정을 통해 교반됨과 함께 이송되도록, 상기 교반 날개가 상호 교차되어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 제조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에서 배출되는 주물 재료에 압력을 가하여 주물을 형성하며, 상기 형성된 주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주물 배출구가 마련되는 주물 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물 형성부는,
    상기 주물 재료가 내부에 주입되면, 상기 주물 재료에 압력을 가하여 원기둥 형상의 주물이 형성되도록 하는 가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 제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물 형성부는,
    가열 코일의 형태로 마련되되, 상기 주물 재료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원기둥 형상의 주물이 형성될 때, 상기 주물 재료에 열을 가하여 상기 원기둥 형상의 주물이 압력만 가할 때보다 상기 주물이 더욱 효과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가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 제조장치.
KR1020150043089A 2015-03-27 2015-03-27 주물 제조장치 KR101582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089A KR101582936B1 (ko) 2015-03-27 2015-03-27 주물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089A KR101582936B1 (ko) 2015-03-27 2015-03-27 주물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2936B1 true KR101582936B1 (ko) 2016-01-08

Family

ID=55170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3089A KR101582936B1 (ko) 2015-03-27 2015-03-27 주물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9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195B1 (ko) * 2021-11-01 2023-02-10 주식회사 장원금속 주물 성형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9755A (ja) * 1989-12-19 1991-08-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メモリ間転送装置
KR20000073547A (ko) * 1999-05-12 2000-12-05 강창신 소각재 벽돌 성형용 프레스 성형기
JP3189755B2 (ja) * 1997-09-22 2001-07-16 日本電気株式会社 Lanエ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KR20070101126A (ko) * 2006-04-11 2007-10-16 주식회사 아이엠스틸 분철을 이용한 강괴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9755A (ja) * 1989-12-19 1991-08-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メモリ間転送装置
JP3189755B2 (ja) * 1997-09-22 2001-07-16 日本電気株式会社 Lanエ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KR20000073547A (ko) * 1999-05-12 2000-12-05 강창신 소각재 벽돌 성형용 프레스 성형기
KR20070101126A (ko) * 2006-04-11 2007-10-16 주식회사 아이엠스틸 분철을 이용한 강괴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195B1 (ko) * 2021-11-01 2023-02-10 주식회사 장원금속 주물 성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25809B2 (en) Mixer, system for applying a building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a structure from building material
TW533122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uding cementitious articles
CN102555056B (zh) 强制连续式复合搅拌机
JP6285748B2 (ja) 連続式二軸混練機による電極ペーストの製造方法
JP2011240334A5 (ko)
KR101582936B1 (ko) 주물 제조장치
CN210138609U (zh) 一种将粉末状莫来石加工成浆糊状的搅拌装置
CN103598827A (zh) 一种食品加工用的下料装置
US11325080B2 (en) Mixer/vacuum coater
CN212241665U (zh) 具有预混功能的eva片材捏合密炼机
KR102498195B1 (ko) 주물 성형 장치
US7279126B2 (en) Method of producing shared articles
KR101530497B1 (ko) 칩형태의 중량체 및 그 제조장치
CN111151704A (zh) 一种集成式树脂砂生产混合一体机
CN205340623U (zh) 一种带上料装置的食品加工搅拌机
KR101910082B1 (ko) 주물사 믹서
CN203484078U (zh) 一种新型搅拌机搅拌系统
CN104589496B (zh) 一种纳米氧化锆粉料的混炼装置
WO2017094740A1 (ja) 熱可塑性樹脂と強化用繊維とが混合溶融された溶融樹脂を射出する射出成形機及び射出成形機用スクリュー
CN108819043A (zh) 一种快速且均匀进料的进料斗
CN218795552U (zh) 一种醇基涂料生产用预混釜
CN207980939U (zh) 一种双轴桨叶式高效混合装置
CN214973179U (zh) 一种连续无重力盘管混合机
CN211514342U (zh) 连续混合机
CN215389090U (zh) 一种不定型耐火材料生产用搅拌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