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537B1 - 석탄 슬러리 및 그의 점도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석탄 슬러리 및 그의 점도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537B1
KR101582537B1 KR1020140059420A KR20140059420A KR101582537B1 KR 101582537 B1 KR101582537 B1 KR 101582537B1 KR 1020140059420 A KR1020140059420 A KR 1020140059420A KR 20140059420 A KR20140059420 A KR 20140059420A KR 101582537 B1 KR101582537 B1 KR 101582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l slurry
viscosity
coal
functional group
repell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9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3305A (ko
Inventor
라호원
이재구
서명원
윤상준
김용구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59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537B1/ko
Publication of KR20150133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32Liquid carbonaceous fuels consisting of coal-oil suspensions or aqueous emulsions or oil emulsions
    • C10L1/326Coal-water suspen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2Inorganic compounds
    • C10L1/1216Inorganic compounds metal compounds, e.g. hydrides, carb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14Injection, e.g. in a reactor or a fuel stream during fuel production
    • C10L2290/141Injection, e.g. in a reactor or a fuel stream during fuel production of additive or catalys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quid Carbonaceous Fu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탄 슬러리 및 그의 점도 조절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를 이용하여 석탄 슬러리의 점도를 석탄 슬러리가 처해 있는 환경에 맞게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석탄, 물 및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석탄 슬러리를 형성한 후, 석탄 슬러리에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와 중화제를 첨가하여 석탄 슬러리의 점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와 중화제가 첨가된 석탄 슬러리에 염 또는 산을 추가하여 석탄 슬러리의 점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Description

석탄 슬러리 및 그의 점도 조절 방법{Coal water slurry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scosity of the same}
본 발명은 석탄 슬러리(coal water slurry)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를 이용하여 석탄 슬러리의 점도를 석탄 슬러리가 처해 있는 환경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석탄 슬러리 및 그의 점도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석탄 가스화 분야에서, 보통 2가지 종류의 방법이 가스화용 가스화기에 석탄을 공급하는데 사용된다. 하나는 압력이 가해진 질소와 함께 분상의 석탄을 공기로 이동시켜 가스화기로 석탄을 분사하는 것이다. 다른 것은 석탄 및 물의 슬러리(이하 "석탄 슬러리"로 칭함)를 제조하고, 석탄 슬러리를 가스화기에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석탄 슬러리는 "coal water slurry" 또는 "coal water Mixture(CWM)"이라고 칭해진다.
석탄 슬러리 방법은 건조 상태에서 석탄을 사용하는 방법에 비해 더 믿을 수 있고, 쉽게 이동가능하고 더 높은 가스화 압력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석탄 슬러리의 더 높은 석탄 농도는 더 높은 가스화 효율 및 더 낮은 석탄 및 산소 소비를 가져온다. 그러므로 제조하는 동안 경제적으로 석탄 슬러리를 가스화하기 위해 더 높은 농도의 석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석탄 슬러리 방법에 있어서, 석탄 슬러리는 가스화기에 투입될 때와, 저장 및 운반할 때의 점도에 차이가 있다. 즉 석탄 슬러리는 가스화기에 투입될 때의 점도(이하 '제1 점도') 보다 저장 및 운반할 때의 점도(이하 '제2 점도')가 더 높다. 이유는 제1 점도의 석탄 슬러리를 탱크에 저장하거나 차량 등을 이용하여 운반하는 경우, 저장 또는 운반하는 과정에서 석탄 슬러리에서 석탄이 침전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저장 또는 운반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더욱 심하게 석탄 침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115473호(2012.10.18.)
따라서 석탄 슬러리를 저장하거나 운반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석탄 슬러리가 고점도, 예컨대 5,000cps 이상의 제2 점도를 갖도록 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물론 저장 또는 운반된 석탄 슬러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석탄 슬러리의 점도를 5,000cps 이상에서 가스화기에 투입할 수 있는 제1 점도로 떨어뜨려야 한다. 이때 석탄 슬러리의 점도 조절 방법으로는 물을 추가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런데 물을 추가하는 방법을 사용할 경우, 석탄 슬러리의 점도를 조절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와 CMW에 함유되어 있는 석탄의 농도가 저하되어 CWM연료의 발열량 저하가 발생된다. 즉 석탄 슬러리의 점도를 떨어뜨리면서 석탄 슬러리 내의 석탄의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작업도 함께 병행해야 하기 때문에, 석탄 슬러리의 점도를 조절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더욱이 제1 점도와 제2 점도 간의 차이가 5,000cps 이상인 경우, 제1 점도에서 제2 점도로 조절하거나, 제2 점도에서 제1 점도로 조절하는 것 또한 현실적으로 쉬운 일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석탄 슬러리의 점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를 이용한 석탄 슬러리 및 그의 점도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석탄, 물 및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석탄 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석탄 슬러리에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를 넣고, pH 조절제 추가를 통한 상기 석탄 슬러리의 pH 조절을 통하여 상기 석탄 슬러리의 점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석탄 슬러리의 점도 조절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석탄 슬러리의 점도 조절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는 카보폴(Carbopol), Sepigel 305 또는 Sepinov EMT 1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석탄 슬러리의 점도 조절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석탄 슬러리에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와, pH 조절제로 중화제를 첨가하여 상기 석탄 슬러리의 점도를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석탄 슬러리의 점도 조절 방법에 있어서,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이 추가된 석탄 슬러리는 산성이며, 상기 중화제로는 알칼리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석탄 슬러리의 점도 조절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화제는 NaOH, TEA 또는 KOH를 포함할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석탄 슬러리의 점도 조절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승시키는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상기 석탄 슬러리에 pH 조절제로서 염 또는 산을 추가하여 상기 석탄 슬러리의 점도를 떨어뜨리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석탄 슬러리의 점도 조절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점도를 떨어뜨리는 단계에서, 상기 석탄 슬러리에 추가되는 염 또는 산에 의해 상기 석탄 슬러리의 pH가 변화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석탄 슬러리의 점도 조절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염은 NaCl, MgCl 또는 CaCl2 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석탄, 물 및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석탄 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석탄 슬러리에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와 중화제를 첨가하여 상기 석탄 슬러리의 점도를 상승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와 중화제가 첨가된 석탄 슬러리에 염을 추가하여 상기 석탄 슬러리의 점도를 떨어뜨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석탄 슬러리의 점도 조절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석탄, 물, 계면활성제,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 및 중화제를 추가하여 점도가 5000cps 이상인 석탄 슬러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석탄 슬러리에 있어서, 상기 석탄 50~70 중량% 및 상기 물 30~50 중량%을 포함하며, 상기 석탄 무게를 기준으로 상기 계면활성제 2 중량% 이하, 상기 카보폴 0.1~1 중량% 및 상기 중화제 0.15~1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석탄 슬러리에 있어서, 염 또는 산이 추가되어 점도가 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석탄 슬러리에 있어서, 상기 염 또는 산은 석탄 무게를 기준으로 0.3~3 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석탄 슬러리의 점도를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를 이용하여 조절함으로써, 석탄 슬러리가 처해 있는 환경에 맞게 신속하면서 쉽게 석탄 슬러리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석탄 슬러리에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와 중화제를 첨가하여 석탄 슬러리의 pH를 중성에 가깝게 변화시킴으로써, 석탄 슬러리의 점도를 5,000cps 이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가 포함된 석탄 슬러리의 염이나 산을 추가하여 pH를 변화시킴으로써, 석탄 슬러리의 점도를 신속하게 떨어드릴 수 있다.
여기서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과 중화제가 포함된 석탄 슬러리는 저장 및 운반용으로 사용하고,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과 중화제가 포함된 석탄 슬러리를 가스화기에 사용할 때는 염 또는 산을 추가하여 석탄 슬러리의 점도를 신속하게 낮추어 사용할 수 있다. 즉 석탄 슬러리에 포함된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는 중화제에 의해 중화되면서 점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저장 및 운반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와 중화제가 포함된 석탄 슬러리에 염이나 산을 추가하여 pH를 변환시키면서, 상승했던 점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가스화기에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를 이용한 석탄 슬러리의 점도 조절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를 이용한 석탄 슬러리의 점도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를 이용한 석탄 슬러리의 점도 조절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석탄 슬러리의 점도 조절 방법은 석탄 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S10)와, 석탄 슬러리에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를 넣고, pH 조절제 추가를 통한 석탄 슬러리의 pH 조절을 통하여 석탄 슬러리의 점도를 조절하는 단계(S20)를 포함한다.
먼저 S10단계에서 석탄 슬러리를 제조한다. 이때 석탄 슬러리는 석탄 50~70 중량% 및 물 30~50 중량%을 포함하며, 계면활성제는 석탄 무게를 기준으로 2 중량% 이하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즉 석탄과 물을 혼합 및 분쇄한 후, 계면활성제를 추가하여 기본적인 석탄 슬러리를 제조한다. 또한 석탄 슬러리에 침강안정제가 석탄 무게를 기준으로 1 중량% 이하로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석탄으로는 이탄, 갈탄, 아역청탄, 역청탄 또는 무연탄이 사용될 수 있다. 석탄은 평균 입자 크기가 74㎛ 이하의 석탄이 75% 이상이 포함되고, 농도가 60~70%인 미분탄이 사용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CWM1002(formaldehyde condensate of sodium naphthalene sulfonate), CWM1001(polymer sulfonate), Na-CMC(carboxymethyl cellulose), Na-DBS(Alkylbenzene sulfate), Na-LS(alkylsulfate sodium salt), NP1020(alkylphenol ethyleneoxide(10)), NP1060(alkylphenol ethyleneoxide(50)), CA1053(casteroil ethyleneoxide(50)), ATLOX4913(methyl methacrylate graft copolymer), cetyltrimethylammonium brimide 또는 cetyltrimethylammonium chloride, naphthalenesulfonic acid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S20단계에 따른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를 이용한 석탄 슬러리의 점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이 수행할 수 있다.
먼저 S21단계에서 석탄 슬러리에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와, pH 조절제로 중화제를 첨가하여 석탄 슬러리의 점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즉 석탄 슬러리에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와 중화제를 첨가하여 pH를 7에 가깝게 변화시킴으로써, 석탄 슬러리의 점도를 5,000cps 이상의 고점도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는 산성을 띄고 있으나 염기성물질(알칼리제)을 통해 중화되면, 점도가 상승하며 pH 7 부근에서 가장 높은 점도를 나타내는 특성을 갖고 있다.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는 물과 결합하기 전에는 교차 결합된 폴리아크릴산이 고리 형태로 꼬여 있다.
이러한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로는 카보폴(Carbopol), Sepigel 305, Sepinov EMT 10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카보폴은 카르복시 그룹(COOH)을 작용기로 갖는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PAA)이 교차 결합된 중합체이다. 카보폴은 INCI name이 카보머(Carbomer)이며, 예컨대 카보폴로는 Ultrez 10 Polymer, ETD 2020 Polymer의 제품이 사용될 수 있다. Sepigel 305은 INCI name이 Polyacrylamide, C13-14 Isoparaffin 및 Laureth-7 중에 하나이다. Sepinov EMT 10은 INCI name이 Hydroxyethyl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 이다.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가 석탄 슬러리와 혼합될 때, 석탄 슬러리에 포함된 물에 용해되면서 교차 결합된 폴리아크릴산이 조금씩 풀리기 시작한다.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가 첨가된 석탄 슬러리에 중화제가 첨가되면, 염기가 음전하를 만들게 되고, 체인 상에서 음전하 간에 반발력이 생기게 된다. 이 반발력에 의해 교차 결합된 폴리아크릴산의 고리가 풀려 펼쳐지게 된다. 즉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는 산성 pH에서 중성 pH로 바뀌면서 카르복시 그룹에서 수소가 떨어져 나오면서 차지(charge)의 변화가 발생한다. 또한 폴리아크릴산의 고리가 풀려 펼쳐지게 됨으로써, 궁극적으로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와 중화제가 첨가된 석탄 슬러리의 점도가 상승하게 된다.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는 석탄 무게를 기준으로 0.1~1 중량%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가 0.1 중량% 이하로 사용되는 경우, 석탄 슬러리의 점도가 목표하는 점도로까지 상승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반대로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가 1 중량% 이상으로 사용되는 경우, 석탄 슬러리의 점도가 필요 이상으로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중화제로는,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가 추가된 석탄 슬러리가 산성이기 때문에, 알칼리제가 사용된다. 예컨대 중화제로는 NaOH, TEA, KOH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화제는 석탄 무게를 기준으로 0.15~1 중량%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중화제가 0.15 중량% 이하로 사용되는 경우, 석탄 슬러리의 점도가 목표하는 점도로까지 상승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반대로 중화제가 1 중량% 이상으로 사용되는 경우, 석탄 슬러리의 점도가 필요 이상으로 상승하거나 상승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S21단계에 따른 고점도의 석탄 슬러리는 탱크에 저장하거나 차량을 이용하여 운반할 때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S23단계에서 석탄 슬러리에 pH 조절제로서 염 또는 산을 추가하여 석탄 슬러리의 점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석탄 슬러리에 추가되는 염 또는 산에 의해 석탄 슬러리의 pH가 변화한다. 이때 석탄 슬러리는 S21단계에서 제조된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와 중화제가 첨가되어 점도가 상승한 석탄 슬러리이다.
즉 S21단계에서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를 이용하여 점도를 높인 석탄 슬러리에 염 또는 산을 첨가하여 석탄 슬러리의 pH에 변화를 줌으로써, 카르복시 그룹에서 떨어져 나갔던 수소가 다시 결합시켜 폴리아크릴산의 고리를 회복시켜 석탄 슬러리의 점도를 다시 떨어뜨릴 수 있다.
이때 염 또는 산은 석탄 무게를 기준으로 0.3~3 중량%가 사용될 수 있다. 염으로는 NaCl, MgCl, KCl, CaCl2,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산으로는 HCl, HNO3, CH3COOH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S23단계의 석탄 슬러리는 가스화기에 투입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석탄 슬러리의 점도를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를 이용하여 조절함으로써, 석탄 슬러리가 처해 있는 환경에 맞게 신속하면서 쉽게 석탄 슬러리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석탄 슬러리에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와 중화제를 첨가하여 석탄 슬러리의 pH를 중성에 가깝게 변화시킴으로써, 석탄 슬러리의 점도를 5,000cps 이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가 포함된 석탄 슬러리의 염이나 산을 추가하여 pH를 변화시킴으로써, 석탄 슬러리의 점도를 신속하게 떨어드릴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따른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를 이용한 석탄 슬러리에 대해서 실시 예를 통하여 알아보면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112014046423930-pat00001
표 1에서 Solution1, Solution2, Solution3은 22℃에서 제조하였다.
Solution1은 실시예1에 따른 석탄 슬러리로서, 기본 석탄 슬러리에 석탄 무게 기준으로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 1 중량%와, NaOH 1 중량%가 혼합된 조성을 갖는다. 기본 석탄 슬러리는 "CWM"으로 표시하였으며, 석탄 54 중량%, 물 45 중량%, 계면활성제 1 중량%로 조성된다. 이때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로는 카보폴을 사용하였다. 계면활성제로는 나프탈렌설폰산(Naphthalenesulfonic acid) 축합물을 사용하였고, 예컨대 Sikament-NN(씨카코리아)을 사용하였다.
Solution2는 실시예2에 따른 석탄 슬러리로서, 기본 석탄 슬러리에 석탄 무게 기준으로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 0.2 중량%와, TEA 0.3 중량%가 혼합된 조성을 갖는다.
그리고 Solution3은 실시예3에 따른 석탄 슬러리로서, 기본 석탄 슬러리에 석탄 무게 기준으로 카보폴 0.1 중량%와, TEA 0.15 중량%가 혼합된 조성을 갖는다.
여기서 "CWM+카보폴"의 pH는 7.4이고, 점도는 약 1,800 cps이다. Solution1은 pH가 6.04이고, 점도가 10,000 cps 이상이다. Solution1에 NaCl 3 중량%를 추가하는 경우, pH는 5.83이 되고, 점도가 7,860 cps로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olution2는 pH가 7.33이고, 점도가 8,410 cps 이다. Solution2에 NaCl 0.3 중량%를 추가하는 경우, pH는 7.1이 되고, 점도가 2,840 cps로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Solution2에 NaCl 0.6 중량%를 추가하는 경우, pH는 7이 되고, 점도가 2,930 cps로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1의 CWM, Solution2, (Solution2+NaCl)의 점도 변화를 그래프로 표시하면 도 2와 같다. 이대 NaCl은 0.3 중량%가 사용된 경우이다. Solution2에 따른 실시예2가 점도 변화의 편차가 5,000 cps 이상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Solution3은 pH가 6.86이고, 점도가 2,300 cps 이다. Solution3에 NaCl 0.3 중량%를 추가하는 경우, pH는 6.88이 되고, 점도가 1,830 cps로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본 석탄 슬러리에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를 추가한 후, pH 조절제를 통하여 석탄 슬러리의 pH 조절을 통하여 석탄 슬러리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Claims (15)

  1. 석탄, 물 및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석탄 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석탄 슬러리에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를 넣고, pH 조절제 추가를 통한 상기 석탄 슬러리의 pH 조절을 통하여 상기 석탄 슬러리의 점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는 카보폴(Carbopol), Sepigel 305 또는 Sepinov EMT 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 슬러리의 점도 조절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석탄 슬러리에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와, pH 조절제로 중화제를 첨가하여 상기 석탄 슬러리의 점도를 상승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 슬러리의 점도 조절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가 추가된 석탄 슬러리는 산성이며, 상기 중화제로는 알칼리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 슬러리의 점도 조절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화제는 NaOH, TEA 또는 KOH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 슬러리의 점도 조절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시키는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상기 석탄 슬러리에 pH 조절제로서 염 또는 산을 추가하여 상기 석탄 슬러리의 점도를 떨어뜨리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 슬러리의 점도 조절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점도를 떨어뜨리는 단계에서,
    상기 석탄 슬러리에 추가되는 염 또는 산에 의해 상기 석탄 슬러리의 pH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 슬러리의 점도 조절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염은 NaCl, MgCl 또는 CaCl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 슬러리의 점도 조절 방법.
  9. 석탄, 물 및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석탄 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석탄 슬러리에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와 중화제를 첨가하여 상기 석탄 슬러리의 점도를 상승시키는 단계;
    상기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와 중화제가 첨가된 석탄 슬러리에 염을 추가하여 상기 석탄 슬러리의 점도를 떨어뜨리는 단계; 포함하며
    상기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는 카보폴(Carbopol), Sepigel 305 또는 Sepinov EMT 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 슬러리의 점도 조절 방법.
  10. 삭제
  11. 석탄, 물, 계면활성제,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 및 중화제를 추가하여 점도가 5000cps 이상이며,
    상기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는 카보폴(Carbopol), Sepigel 305 또는 Sepinov EMT 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 슬러리.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석탄 50~70 중량% 및 상기 물 30~50 중량%을 포함하며, 상기 석탄 무게를 기준으로 상기 계면활성제 1 중량% 이하, 상기 기능기의 전하 반발력에 기반한 점증제 0.1~1 중량% 및 상기 중화제 0.15~1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 슬러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염 또는 산이 추가되어 점도가 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 슬러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염 또는 산은 석탄 무게를 기준으로 0.3~3 중량%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 슬러리.
KR1020140059420A 2014-05-19 2014-05-19 석탄 슬러리 및 그의 점도 조절 방법 KR101582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420A KR101582537B1 (ko) 2014-05-19 2014-05-19 석탄 슬러리 및 그의 점도 조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420A KR101582537B1 (ko) 2014-05-19 2014-05-19 석탄 슬러리 및 그의 점도 조절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305A KR20150133305A (ko) 2015-11-30
KR101582537B1 true KR101582537B1 (ko) 2016-01-06

Family

ID=54867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420A KR101582537B1 (ko) 2014-05-19 2014-05-19 석탄 슬러리 및 그의 점도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5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8406A (ko) 2017-04-21 2018-10-3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온 석탄 슬러리 점도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온 석탄 슬러리의 안정성 평가 방법
KR101917465B1 (ko) * 2016-12-23 2018-11-09 주식회사 포스코 칼슘 함유 슬러지를 포함하는 석탄-물 슬러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78007A (ko) 2018-12-21 2020-07-0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건식 및 습식 연료 공급장치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가스화장치 및 운전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64469B (zh) * 2019-10-08 2021-05-14 万华化学(宁波)有限公司 一种极性高分子型水煤浆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4671B2 (ja) * 1987-04-08 1995-10-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石炭水スラリ−の低粘性安定化法
JP2631826B2 (ja) * 1995-07-05 1997-07-1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高濃度石炭・水スラリーの製造方法
KR101083876B1 (ko) * 2009-01-19 2011-11-15 김영일 연탄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2732341A (zh) 2011-04-07 2012-10-17 通用电气公司 水煤浆及其制备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465B1 (ko) * 2016-12-23 2018-11-09 주식회사 포스코 칼슘 함유 슬러지를 포함하는 석탄-물 슬러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18406A (ko) 2017-04-21 2018-10-3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온 석탄 슬러리 점도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온 석탄 슬러리의 안정성 평가 방법
KR20200078007A (ko) 2018-12-21 2020-07-0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건식 및 습식 연료 공급장치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가스화장치 및 운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305A (ko) 2015-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2537B1 (ko) 석탄 슬러리 및 그의 점도 조절 방법
CN104327280B (zh) 一种碱木质素改性聚羧酸系水煤浆分散剂的制备方法
CA2984558C (en) Inhibiting fouling tendency in high coal ash-containing water systems
TW201129520A (en) Redispersible polymer powders stabilized with protective colloid compositions
US20120255221A1 (en) Coal water slurry and methods for making the coal water slurry
WO2016081112A3 (en) Synthetic water retention agent and rheology modifier for use in cement, admixtures
WO2009041627A1 (ja) 膨潤性架橋ヒアルロン酸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80065887A1 (en) High Quality Calcium Hydroxide Slurries
CN104556810A (zh) 一种水泥助磨剂
RU2018118571A (ru) Добавка размола для твердого углеродистого вещества
WO2022120370A3 (en) Methods of engineering immune cells for enhanced potency and persistence and uses of engineered cells in immunotherapy
CN101293631B (zh) 水葫芦的用途
CN103627455B (zh) 一种复合型水煤浆或水焦浆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RU2011113243A (ru) Комплексная добавка для цементных систем
CN102559308A (zh) 一种水煤浆制造方法
KR102177978B1 (ko) 무회탄의 제조 방법
CN103951835A (zh) 一种多元醛交联磺甲基化腐植酸水煤浆分散剂的制备方法
JP2012180481A (ja) 高濃度石炭−水スラリーの製造方法
CN102173640B (zh) 一种树脂锚固剂的复合贮存稳定剂
CN106833776B (zh) 原位接枝改性褐煤制备水煤浆添加剂的方法
KR101813097B1 (ko) 바이오매스 석탄 혼합 슬러리 및 이의 제조방법
JP5976616B2 (ja) 改質石炭の製造方法
Wang et al. Origin and evolution of the west slope belt in Member 4 of Quantou Formation to Yaojia Formation, South Songliao Basin.
KR101464920B1 (ko) 소수성 바이오액 또는 오일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연료,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Narra Structural development of clay soil with the amendment of coal combustion by-product FGD Gypsum in Lusatia German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