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1911B1 - 복지 시설을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양방향 교통 정보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복지 시설을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양방향 교통 정보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1911B1
KR101581911B1 KR1020140169628A KR20140169628A KR101581911B1 KR 101581911 B1 KR101581911 B1 KR 101581911B1 KR 1020140169628 A KR1020140169628 A KR 1020140169628A KR 20140169628 A KR20140169628 A KR 20140169628A KR 101581911 B1 KR101581911 B1 KR 101581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ser
information
valu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9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다혜
Original Assignee
허다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다혜 filed Critical 허다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복지 시설을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양방향 교통 정보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양방향 교통 정보 시스템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활성화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탑승한 차량의 운행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기기;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움직임 정보를 수집하여 수집된 상기 움직임 정보와 기 생성된 차량 운행 정보를 전송하는 차량용 기기; 및 상기 움직임 정보와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전송 받아 전송 받은 상기 움직임 정보와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분석하여 그 분석한 결과를 제공하는 관리자 기기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기기는 획득된 상기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충격 또는 낙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한 결과를 상기 차량용 기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지 시설을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양방향 교통 정보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INTERACTIVE TRAFFIC INFORMATION SYSTEMS BASED ON SMART DEVICES FOR WELFARE FACILITIE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교통 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지 시설(또는 유아원/유치원 등의 교육기관)을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양방향 교통 정보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단방향의 버스 정보 시스템이 다수 존재하였으나 안전하면서도 사용하기가 편한 사용자와의 양방향 교통 정보 시스템의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운행에 따라 차량 운행 정보와 탑승자 정보를 수집하되, 그 수집된 차량 운행 정보와 탑승자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차량의 운행 정보로 활용하도록 하는 복지 시설 시설(또는 유아원/유치원 등의 교육기관)을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양방향 교통 정보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양방향 교통 정보 시스템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활성화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탑승한 차량의 운행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기기;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움직임 정보를 수집하여 수집된 상기 움직임 정보와 기 생성된 차량 운행 정보를 전송하는 차량용 기기; 및 상기 움직임 정보와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전송 받아 전송 받은 상기 움직임 정보와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분석하여 그 분석한 결과를 제공하는 관리자 기기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기기는 획득된 상기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충격 또는 낙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한 결과를 상기 차량용 기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차량의 이용을 예약하여 예약한 상기 차량을 탑승하면, 그 탑승한 차량의 운행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센싱값을 획득하고, 상기 센싱값을 획득한 시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센싱값과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움직임 정보를 상기 차량용 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차량의 이용을 예약하여 예약한 상기 차량을 탑승하면 센서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고, 그 확인한 결과로 상기 센서가 정상적인 작동 상태인 경우 각 센서의 영점 조정하여 보정한 후, 탑승한 상기 차량의 운행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센싱값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기기는 획득한 상기 센싱값과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한 결과로 상기 센싱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크면 충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차량의 이용을 예약하여 예약한 상기 차량을 탑승한 후, 그 탑승한 차량의 운행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센싱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센서값과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한 결과로 낙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낙상이 발생하였다면, 낙상 위험을 알려주기 위한 기 설정된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기기는 획득한 상기 센싱값과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한 결과로 상기 센싱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크면 낙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상기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량용 기기는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의 차량 이용에 대한 예약 정보를 제공 받아 그 제공 받은 예약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 운행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차량 운행 정보에 따라 탑승 위치로의 도착 시간을 알려주기 위한 도착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생성된 상기 도착 알림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관점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양방향 교통 정보 시스템은 차량에 탑승하거나 하차하는 경우 사용자의 승차 또는 하차를 확인하는 근거리 통신부; 상기 승차가 확인되면, 탑승한 차량이 운행함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센싱값을 획득하는 센서부; 및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획득한 센싱값을 기반으로 충격 또는 낙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한 결과를 차량용 기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차량의 이용을 예약하여 예약한 상기 차량을 탑승하면, 그 탑승한 차량의 운행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센싱값을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센싱값과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한 결과로 상기 센싱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크면 충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센싱값과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움직임 정보를 상기 차량용 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차량의 이용을 예약하여 예약한 상기 차량을 탑승한 후, 그 탑승한 차량의 운행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센싱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센서값과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한 결과로 상기 센싱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크면 낙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며, 상기 낙상이 발생하였다면, 낙상 위험을 알려주기 위한 기 설정된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관점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양방향 교통 정보 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사용자 기기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활성화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탑승한 차량의 운행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차량용 기기가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움직임 정보를 수집하여 수집된 상기 움직임 정보와 기 생성된 차량 운행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관리자 기기가 상기 움직임 정보와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전송 받아 전송 받은 상기 움직임 정보와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분석하여 그 분석한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기기는 획득된 상기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충격 또는 낙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한 결과를 상기 차량용 기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차량의 이용을 예약하여 예약한 상기 차량을 탑승하면, 그 탑승한 차량의 운행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센싱값을 획득하고, 상기 센싱값을 획득한 시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센싱값과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움직임 정보를 상기 차량용 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차량의 이용을 예약하여 예약한 상기 차량을 탑승하면 센서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고, 그 확인한 결과로 상기 센서가 정상적인 작동 상태인 경우 각 센서의 영점 조정하여 보정한 후, 탑승한 상기 차량의 운행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센싱값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획득한 상기 센싱값과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한 결과로 상기 센싱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크면 충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차량의 이용을 예약하여 예약한 상기 차량을 탑승한 후, 그 탑승한 차량의 운행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센싱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센서값과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한 결과로 낙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낙상이 발생하였다면, 낙상 위험을 알려주기 위한 기 설정된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획득한 상기 센싱값과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한 결과로 상기 센싱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크면 낙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상기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의 차량 이용에 대한 예약 정보를 제공 받아 그 제공 받은 예약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 운행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차량 운행 정보에 따라 탑승 위치로의 도착 시간을 알려주기 위한 도착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생성된 상기 도착 알림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관점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양방향 교통 정보 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차량에 탑승하거나 하차하는 경우 사용자의 승차 또는 하차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승차가 확인되면, 탑승한 차량이 운행함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센싱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획득한 센싱값을 기반으로 충격 또는 낙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한 결과를 차량용 기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차량의 이용을 예약하여 예약한 상기 차량을 탑승하면, 그 탑승한 차량의 운행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센싱값을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센싱값과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한 결과로 상기 센싱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크면 충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센싱값과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움직임 정보를 상기 차량용 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차량의 이용을 예약하여 예약한 상기 차량을 탑승한 후, 그 탑승한 차량의 운행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센싱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센서값과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한 결과로 상기 센싱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크면 낙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며, 상기 낙상이 발생하였다면, 낙상 위험을 알려주기 위한 기 설정된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차량 운행에 따라 차량 운행 정보와 탑승자 정보를 수집하되, 그 수집된 차량 운행 정보와 탑승자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차량의 운행 정보로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차량 운행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탑승자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운전 패턴과 그로 인한 차량의 움직임을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고 발생을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측면에서 차량의 운행 정보를 실시간으로 조회하여 예약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교통 정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기기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정보 획득 과정을 나타내는 제1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정보 획득 과정을 나타내는 제2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지 시설을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양방향 교통 정보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고령자가 이용하는 복지관 시설(또는 유아원/유치원 등의 교육기관)을 위한 차량의 운행에 따라 차량 운행 정보와 탑승자 정보를 수집하되, 그 수집된 차량 운행 정보와 탑승자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차량의 운행 정보로 활용하도록 하는 새로운 방안을 제안한다. 여기서는 복지관 시설을 일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시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교통 정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교통 정보 시스템은 사용자 기기(110), 차량용 기기(120), 관리자 기기(130), 및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교통 정보 시스템은 1)실시간 위치 정보 및 탑승자 정보 관리, 2)차량 예약 및 도착 정보 제공, 3)차량 운행에 관련된 이력 생성 및 관리, 4)복지관 관리 시스템과 연동을 통한 사용 이력 및 사용 통계 기반 보고서, 통계 자료 등의 문서 생성, 5)차량 운행 영상 제공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110)는 사용자의 메뉴 또는 키 조작에 따라 기 설정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그 활성화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차량의 운행 정보 확인, 차량 예약 및 도착 정보 제공, 차량 이용 정보 확인 등의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안전한 운행을 위해 사용자 기기(110)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차량의 운행에 따른 탑승자의 움짐임을 나타내는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움직임 정보를 차량용 기기(12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움직임 정보는 GPS 등을 이용하여 획득하는 위치 정보, 및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획득하는 센싱값 또는 센싱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센싱 정보는 차량 운행 중 좌석에 착석하거나 착석이 완료된 상태, 좌석에서 기립하거나 기립하고 있는 상태 등의 여러 가지 상황에서 탑승자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되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의 값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기기(110)는 차량에 탑승하는 탑승자가 사용하는 기기로서, 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스마트 카메라, 스마트 시계, 스마트 안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기기(110)는 통신부(111), 입력부(112), 근거리 통신부(113), 제어부(114), 표시부(115), 저장부(116), 센서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1)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망과 연동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12)는 사용자의 메뉴 또는 키 조작에 따라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13)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근거리 통신부(113)는 차량 내에 설치된 NFC 단말 또는 RFID 단말과 통신하여 사용자가 차량에 승차하거나 하차하는 경우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어부(114)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탑승한 차량의 운행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움직임 정보를 차량용 기기(120)에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14)는 획득된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충격 또는 낙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한 결과를 차량용 기기(120)에 전송하게 된다.
표시부(115)는 복지 시설(또는 유아원/유치원 등의 교육기관)의 차량 이용에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115)는 차량 이용 예약, 차량 도착 정보 등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116)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센싱값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센서부(117)는 차량의 움직임에 따른 사용자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117)는 예컨대,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일 수 있다.
사용자 기기(110)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양방향 교통 정보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1)실시간 차량 호출: 차량 탑승 신청 및 취소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고, 2)차량 도착 알림 제공: 도착 예상 시간 제공, 탑승 준비 알림 등의 기능을 이용 가능하며, 3)실시간 차량 노선 정보 확인: 실시간 운행 정보 및 위치 정보 제공이 가능하며, 4)차량 사용 이력 정보 확인: 차량 예약 및 사용 이력 확인이 가능하며, 5) 프로그램 및 공지사항 정보 확인: 관리자가 제공하는 각종 운영 프로그램의 정보와 이용자 공지사항 등의 정보 확인이 가능하다.
차량용 기기(120)는 차량 내에 장착되어 탑승자의 사용자 기기(110)로부터 개인 정보와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는 탑승자 정보를 제공 받아 그 제공 받은 탑승자 정보를 관리자 기기(1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차량용 기기(120)는 사용자의 차량 이용 예약 등에 의한 차량의 운행에 따라 차량 운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데, 이렇게 생성된 차량 운행 정보와 함께 사용자 기기(110)로부터 제공 받은 탑승자 정보를 관리자 기기(13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기기(130)로부터의 공지사항 등의 정보를 사용자 기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기기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기기(120)는 차량 내에 장착되는 차량용 단말(121), 블랙박스(122), NFC 단말 또는 RFID 단말(12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단말(121)은 차량 운행 구간 별로 차량 운행 정보 및 현재 차량의 위치를 표시하고, 블랙박스(122)는 차량 운행에 따른 차량 운행 영상을 획득하며, NFC 단말 또는 RFID 단말(123)은 사용자의 탑승 및 하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차량용 단말(121)은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현재 차량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차량용 단말은 블랙박스, NFC 단말 또는 RFID 단말과 연동하여 블랙박스로부터 획득한 차량 운행 영상, NFC 단말 또는 RFID 단말로부터 획득한 사용자의 탑승 및 하차 여부에 대한 정보 등을 수집하여 관리자 기기(130)에 전송할 수 있다.
차량용 기기(120)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차량 운행 및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통합 관리할 수 있다.
1)운행정보 확인: 차량의 운행에 관련된 전반적인 이력을 확인할 수 있고, 2)탑승자 하차 스케쥴 관리: 탑승 예정자, 탑승 인원 등에 대한 정보 제공 및 관리가 가능하며, 3)도착 예정 시간 관리: 경로의 목적지에 대한 도착 예상 시간 및 일정에 대한 관리가 가능하며, 4)RFID 및 NFC 기반의 편리한 승하차 관리 가능하다.
관리자 기기(130)는 차량용 기기(120)로부터 탑승자 정보와 차량 운행 정보 등을 제공 받아 그 제공 받은 탑승자 정보와 차량 운행 정보 등을 분석할 수 있으며 차량용 기기(120)에 이용자들에게 알리는 공지사항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 기기(130)는 저장된 탑승자 정보와 차량 운행 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차량 운행 중 운전자의 운행 패턴, 각 도로 상황에 대한 차량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되는 탑승자의 움직임의 영향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이렇게 분석된 정보들은 차량의 안전한 운행을 위한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탑승자 정보와 차량 운행 정보 등을 저장 및 갱신할 수 있다.
관리자 기기(130)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차량 운행 및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통합 관리할 수 있다.
1)통합 운행 정보 관리: 차량의 모든 정보를 관리, 차량의 운행에 관련된 전반적인 이력을 확인할 수 있고, 2)실시간 차량 운행 상황 확인: 도착 시간 등에 대한 정보 제공 및 관리가 가능하며, 3)기존 복지 시설 관리 시스템과의 연동: 기존 복지 시설 관리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한 보고서 작성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기기는 사용자의 메뉴 또는 키 조작에 따라 교통 정보를 제공 받기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S410).
다음으로, 사용자 기기는 활성화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복지 시설(또는 유아원/유치원 등의 교육기관)을 이용하기 위한 차량의 이용 예컨대, 이동할 시간 등을 예약함에 따라 예약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예약 정보를 차량용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S411).
다음으로, 차량용 기기는 사용자 기기로부터의 차량 이용에 대한 예약 정보를 제공 받아 그 제공 받은 예약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 운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412).
다음으로, 차량용 기기는 생성된 차량 운행 정보에 따라 해당 사용자가 탑승하게 될 위치 예컨대, 정류장의 도착 시간을 알려주기 위한 도착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생성된 도착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S413).
다음으로, 사용자 기기는 제공 받은 도착 알림 메시지의 도착 시간에 차량에 탑승할 때, 탑승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차량용 기기에 개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414).
다음으로, 차량용 기기는 사용자 기기로부터 개인 정보를 제공 받으면, 제공 받은 개인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 이용을 예약한 사용자의 승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415).
다음으로, 사용자 기기는 사용자의 승차가 확인된 후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움직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16).
다음으로, 사용자 기기는 사용자가 하차할 때 하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차량용 기기에 개인 정보와 함께 기 획득한 움직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417).
다음으로, 차량용 기기는 사용자 기기로부터 제공 받은 개인 정보, 움직임 정보,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탑승자 정보를 생성하여(S418) 생성된 탑승자 정보와 기 생성된 차량 운행 정보를 관리자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S419).
다음으로, 관리자 기기는 차량용 기기로부터 탑승자 정보와 차량 운행 정보를 제공 받아 제공 받은 탑승자 정보와 차량 운행 정보를 저장하고(S420) 분석할 수 있다(S421).
다음으로, 관리자 기기는 그 분석한 결과로 분석 정보 예컨대, 운전자의 운전 패턴 등을 생성하고 생성된 분석 정보를 차량용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S422).
다음으로, 차량용 기기는 분석 정보를 제공 받으면, 제공 받은 분석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423).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정보 획득 과정을 나타내는 제1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기기는 사용자가 차량내에 승차하게 되면(S510), 센서의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S511). 즉, 데이터 획득에 따른 센서값을 보정하기 위해 GPS와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의 작동 상태를 확인한다.
다음으로, 사용자 기기는 그 확인한 결과로 센서가 정상적인 작동 상태인 경우 각 센서의 정확한 센서값을 획득하기 위해 센서값을 영점 조정하여 보정할 수 있다(S512).
다음으로, 사용자 기기는 GPS를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S513).
다음으로, 사용자 기기는 센서값을 획득하고(S514) 획득된 센서값과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한 결과로 충격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15). 즉, 사용자 기기는 획득한 센서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면 충격이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이때, 임계값은 사용자의 연령, 성별, 장애도(근력이나 자세제어 능력 등) 등에 따라 설정된 값을 나타내는데, 사용자가 설정하거나 서버로부터 제공 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기기는 충격이 발생한 시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516).
다음으로, 사용자 기기는 충격이 발생한 시점에서 획득한 센서 정보와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517). 이렇게 저장된 정보는 탑승자가 탑승하였을 경우 해당 구간에서의 속도, 회전 반경 등의 안전 운행 정보를 산출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기기는 사용자가 차량에서 하차하게 되면(S518), 충격이 발생한 시점에서 획득하여 저장한 센서값과 위치 정보를 차량용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S519).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는 의자에 착석하거나 좌석의 등받이, 유리창 위, 천장에 설치된 손잡이를 잡고 운행하는데 차량의 운행에 따른 급제동, 급가속, 회전, 요철 등의 도로 상태나 운전자의 습관에 의해 차량의 움직임이 발생한다. 이러한 차량의 움직임은 탑승자의 근골격계에 영향을 미치고 때에 따라서는 넘어지거나 낙상의 위험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낙상에 의한 사고는 운행 중일 경우 운전자는 탑승자의 낙상을 인지하지 못하고 계속적으로 차량을 운행함으로써 부상의 정도를 키우거나 2차 사고의 발생을 동반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의 사용자 기기 또는 다른 인식 기기를 이용하여 탑승자의 낙상이 발생할 경우 운전자에게 낙상 발생의 여부를 알려줌으로써, 차량 운행을 중지하고 응급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거나 대처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정보 획득 과정을 나타내는 제2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기기는 사용자가 차량내에 승차하게 되면(S610), 센서의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S611). 즉, 데이터 획득에 따른 센서값을 보정하기 위해 GPS와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의 작동 상태를 확인한다.
다음으로, 사용자 기기는 그 확인한 결과로 센서가 정상적인 작동 상태인 경우 각 센서의 정확한 센서값을 획득하기 위해 센서값을 영점 조정하여 보정할 수 있다(S612).
다음으로, 사용자 기기는 센서값을 획득하고(S613) 획득된 센서값과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한 결과로 낙상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14). 즉, 사용자 기기는 획득한 센서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면 낙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이러한 낙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낙상 발생을 인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알고리즘은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낸다.
[수학식 1]
ax + by + cz = k
여기서, a, b, c는 비례 상수를 나타내는데, 0~1 사이의 값을 갖는다. x는 좌우를 나타내는 축이고, y는 전후를 나타내는 축이며, z는 상하를 나타내는 축이다.
상기 [수학식 1]을 통해 구한 k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낙상 발생을 인지한다.
다음으로, 사용자 기기는 낙상 발생 위험을 주변에 알리기 위한 기 설정된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S615).
다음으로, 사용자 기기는 낙상 발생으로 인한 응급 상황을 차량용 기기에 알려줄 수 있다(S616). 이에 따라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응급 상황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기기는 응급 상황이 발생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확인하고(S617) 그 확인한 결과로 경과되었으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S618).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사용자 기기
111: 통신부
112: 입력부
113: 근거리 통신부
114: 제어부
115: 표시부
116: 저장부
117: 센서부
120: 차량용 기기
121: 차량용 단말
122: 블랙박스
123: NFC 단말
130: 관리자 기기
140: 데이터베이스

Claims (20)

  1.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활성화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탑승한 차량의 운행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기기;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움직임 정보를 수집하여 수집된 상기 움직임 정보와 기 생성된 차량 운행 정보를 전송하는 차량용 기기; 및
    상기 움직임 정보와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전송 받아 전송 받은 상기 움직임 정보와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분석하여 그 분석한 결과를 제공하는 관리자 기기;
    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차량의 이용을 예약하여 예약한 사용자가 상기 차량을 탑승하면 센서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고 그 확인한 결과로 상기 센서가 정상적인 작동 상태인 경우 각 센서의 영점 조정하여 보정한 후 탑승한 상기 차량의 운행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센싱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센싱값을 기반으로 충격 또는 낙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한 결과를 상기 차량용 기기에 제공하여 낙상 발생에 따른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하되,
    수학식 (ax + by + cz = k)를 통해 구한 k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낙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여기서 a, b, c는 비례 상수를 나타내는데 0~1 사이의 값을 갖고, x는 좌우를 나타내는 축이며, y는 전후를 나타내는 축이며, z는 상하를 나타내는 축이며,
    사용자가 차량에서 하차하면 충격이 발생한 시점에서 획득한 센싱값과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움직임 정보를 상기 차량용 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양방향 교통 정보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차량의 이용을 예약하여 예약한 상기 차량을 탑승하면, 그 탑승한 차량의 운행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센싱값을 획득하고,
    상기 센싱값을 획득한 시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센싱값과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움직임 정보를 상기 차량용 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양방향 교통 정보 시스템.
  3. 삭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는,
    획득한 상기 센싱값과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한 결과로 상기 센싱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크면 충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양방향 교통 정보 시스템.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차량의 이용을 예약하여 예약한 상기 차량을 탑승한 후, 그 탑승한 차량의 운행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센싱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센싱값과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한 결과로 낙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낙상이 발생하였다면, 낙상 위험을 알려주기 위한 기 설정된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양방향 교통 정보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는,
    획득한 상기 센싱값과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한 결과로 상기 센싱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크면 낙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상기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양방향 교통 정보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기기는,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의 차량 이용에 대한 예약 정보를 제공 받아 그 제공 받은 예약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 운행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차량 운행 정보에 따라 탑승 위치로의 도착 시간을 알려주기 위한 도착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생성된 상기 도착 알림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양방향 교통 정보 시스템.
  8. 차량에 탑승하거나 하차하는 경우 사용자의 승차 또는 하차를 확인하는 근거리 통신부;
    상기 승차가 확인되면, 탑승한 차량이 운행함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센싱값을 획득하는 센서부; 및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획득한 센싱값을 기반으로 충격 또는 낙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한 결과를 차량용 기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차량의 이용을 예약하여 예약한 사용자가 상기 차량을 탑승하면 센서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고 그 확인한 결과로 상기 센서가 정상적인 작동 상태인 경우 각 센서의 영점 조정하여 보정한 후 탑승한 상기 차량의 운행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센싱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센싱값을 기반으로 충격 또는 낙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한 결과를 상기 차량용 기기에 제공하여 낙상 발생에 따른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하되,
    수학식 (ax + by + cz = k)를 통해 구한 k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낙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여기서 a, b, c는 비례 상수를 나타내는데 0~1 사이의 값을 갖고, x는 좌우를 나타내는 축이며, y는 전후를 나타내는 축이며, z는 상하를 나타내는 축이며,
    사용자가 차량에서 하차하면 충격이 발생한 시점에서 획득한 센싱값과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움직임 정보를 상기 차량용 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양방향 교통 정보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차량의 이용을 예약하여 예약한 상기 차량을 탑승하면, 그 탑승한 차량의 운행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센싱값을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센싱값과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한 결과로 상기 센싱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크면 충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센싱값과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움직임 정보를 차량용 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양방향 교통 정보 시스템.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차량의 이용을 예약하여 예약한 상기 차량을 탑승한 후, 그 탑승한 차량의 운행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센싱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센싱값과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한 결과로 상기 센싱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크면 낙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며,
    상기 낙상이 발생하였다면, 낙상 위험을 알려주기 위한 기 설정된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양방향 교통 정보 시스템.
  11. 사용자 기기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활성화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탑승한 차량의 운행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차량용 기기가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움직임 정보를 수집하여 수집된 상기 움직임 정보와 기 생성된 차량 운행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관리자 기기가 상기 움직임 정보와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전송 받아 전송 받은 상기 움직임 정보와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분석하여 그 분석한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차량의 이용을 예약하여 예약한 사용자가 상기 차량을 탑승하면 센서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고 그 확인한 결과로 상기 센서가 정상적인 작동 상태인 경우 각 센서의 영점 조정하여 보정한 후 탑승한 상기 차량의 운행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센싱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센싱값을 기반으로 충격 또는 낙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한 결과를 상기 차량용 기기에 제공하여 낙상 발생에 따른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하되,
    수학식 (ax + by + cz = k)를 통해 구한 k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낙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여기서 a, b, c는 비례 상수를 나타내는데 0~1 사이의 값을 갖고, x는 좌우를 나타내는 축이며, y는 전후를 나타내는 축이며, z는 상하를 나타내는 축이며,
    사용자가 차량에서 하차하면 충격이 발생한 시점에서 획득한 센싱값과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움직임 정보를 상기 차량용 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양방향 교통 정보 시스템의 운영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차량의 이용을 예약하여 예약한 상기 차량을 탑승하면, 그 탑승한 차량의 운행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센싱값을 획득하고,
    상기 센싱값을 획득한 시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센싱값과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움직임 정보를 상기 차량용 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양방향 교통 정보 시스템의 운영 방법.
  13. 삭제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획득한 상기 센싱값과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한 결과로 상기 센싱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크면 충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양방향 교통 정보 시스템의 운영 방법.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차량의 이용을 예약하여 예약한 상기 차량을 탑승한 후, 그 탑승한 차량의 운행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센싱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센싱값과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한 결과로 낙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낙상이 발생하였다면, 낙상 위험을 알려주기 위한 기 설정된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양방향 교통 정보 시스템의 운영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획득한 상기 센싱값과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한 결과로 상기 센싱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크면 낙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상기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양방향 교통 정보 시스템의 운영 방법.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의 차량 이용에 대한 예약 정보를 제공 받아 그 제공 받은 예약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 운행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차량 운행 정보에 따라 탑승 위치로의 도착 시간을 알려주기 위한 도착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생성된 상기 도착 알림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양방향 교통 정보 시스템.
  18. 차량에 탑승하거나 하차하는 경우 사용자의 승차 또는 하차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승차가 확인되면, 탑승한 차량이 운행함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센싱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획득한 센싱값을 기반으로 충격 또는 낙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한 결과를 차량용 기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차량의 이용을 예약하여 예약한 사용자가 상기 차량을 탑승하면 센서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고 그 확인한 결과로 상기 센서가 정상적인 작동 상태인 경우 각 센서의 영점 조정하여 보정한 후 탑승한 상기 차량의 운행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센싱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센싱값을 기반으로 충격 또는 낙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한 결과를 상기 차량용 기기에 제공하여 낙상 발생에 따른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하되,
    수학식 (ax + by + cz = k)를 통해 구한 k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낙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여기서 a, b, c는 비례 상수를 나타내는데 0~1 사이의 값을 갖고, x는 좌우를 나타내는 축이며, y는 전후를 나타내는 축이며, z는 상하를 나타내는 축이며,
    사용자가 차량에서 하차하면 충격이 발생한 시점에서 획득한 센싱값과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움직임 정보를 상기 차량용 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양방향 교통 정보 시스템의 운영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차량의 이용을 예약하여 예약한 상기 차량을 탑승하면, 그 탑승한 차량의 운행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센싱값을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센싱값과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한 결과로 상기 센싱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크면 충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센싱값과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움직임 정보를 차량용 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양방향 교통 정보 시스템의 운영 방법.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차량의 이용을 예약하여 예약한 상기 차량을 탑승한 후, 그 탑승한 차량의 운행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센싱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센싱값과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한 결과로 상기 센싱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크면 낙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며,
    상기 낙상이 발생하였다면, 낙상 위험을 알려주기 위한 기 설정된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양방향 교통 정보 시스템의 운영 방법.
KR1020140169628A 2014-07-09 2014-12-01 복지 시설을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양방향 교통 정보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15819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294 2014-07-09
KR20140086294 2014-07-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1911B1 true KR101581911B1 (ko) 2016-01-04

Family

ID=55164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628A KR101581911B1 (ko) 2014-07-09 2014-12-01 복지 시설을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양방향 교통 정보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19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8335A (ko) * 2004-09-24 2006-03-29 박수영 셔틀차량의 운행관리 시스템
KR101234269B1 (ko) * 2012-07-25 2013-02-18 주식회사 와이티 어린이 위치정보 제공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130081034A (ko) * 2012-01-06 2013-07-16 주식회사 시노펙스 위험방지 기능을 가진 스마트기기 및 이를 이용한 위험방지 방법.
KR20130096502A (ko) * 2012-02-22 2013-08-30 황기현 지그비 태그를 이용한 사용자 자동인식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8335A (ko) * 2004-09-24 2006-03-29 박수영 셔틀차량의 운행관리 시스템
KR20130081034A (ko) * 2012-01-06 2013-07-16 주식회사 시노펙스 위험방지 기능을 가진 스마트기기 및 이를 이용한 위험방지 방법.
KR20130096502A (ko) * 2012-02-22 2013-08-30 황기현 지그비 태그를 이용한 사용자 자동인식 시스템
KR101234269B1 (ko) * 2012-07-25 2013-02-18 주식회사 와이티 어린이 위치정보 제공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4103B2 (en) Methods of facilitating emergency assistance
CN111361572B (zh) 车辆控制设备、车辆控制方法和车辆控制系统
JP7253446B2 (ja) 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869391B1 (ko) 지능형 주차 관리 시스템
JP2020111223A (ja) 車両制御装置及び車両制御方法
KR20170053903A (ko) 차량 간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JP7428839B2 (ja) 情報処理方法
KR20150042477A (ko) 유무선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6030934A1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101994171B1 (ko) 버스 도착 알림 시스템
KR102319383B1 (ko) 블랙박스 영상을 이용하여 교통 법규 위반 차량을 자동으로 신고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60111278A (ko) 차량 운전 행태의 모니터링 장치,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KR101581911B1 (ko) 복지 시설을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양방향 교통 정보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US20220103994A1 (en) Inconsistency-determining apparatus for vehicle accident
KR101958238B1 (ko) 통학차량용 안전관리 시스템
KR101718064B1 (ko) 대중교통 수단의 탑승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7422344B2 (ja) 報知制御装置、報知装置、報知制御方法および報知制御プログラム
JP5809539B2 (ja) 車載器、運行管理システム及び通過確認方法
KR20120063836A (ko) 대중교통수단의 교통 위반 통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통 위반 통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