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1856B1 - 산불 감시 카메라 - Google Patents

산불 감시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1856B1
KR101581856B1 KR1020140111471A KR20140111471A KR101581856B1 KR 101581856 B1 KR101581856 B1 KR 101581856B1 KR 1020140111471 A KR1020140111471 A KR 1020140111471A KR 20140111471 A KR20140111471 A KR 20140111471A KR 101581856 B1 KR101581856 B1 KR 101581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ghtning
detecting
occurrence
forest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1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춘래
조성호
양도근
Original Assignee
(주)테크맥스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크맥스텔레콤 filed Critical (주)테크맥스텔레콤
Priority to KR1020140111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8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856B1/ko

Links

Images

Abstract


산불 감시 카메라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불 감시 카메라는 영상을 촬영하여 산불을 감시하는 산불 감시 카메라에 있어서, 상용전원라인에 연결되어 상용전원을 입력받는 전원입력부와, 이 전원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상용전원을 상기 산불 감시 카메라의 동작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변환부와, 전원입력부를 전원변환부 또는 접지측으로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스위칭부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낙뢰의 발생위치를 감지하는 낙뢰감지부 및 카메라부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는 동안 낙뢰감지부를 통해 검출된 낙뢰의 발생위치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 전원입력부와 전원변환부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분리시켜 발생된 낙뢰로 인한 낙뢰전류가 전원변환부를 통해 산불 감시 카메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전원입력부를 접지측과 연결시켜 전원입력부에 유입되는 낙뢰전류를 접지측으로 바이패스시키도록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산불 감시 카메라{FOREST FIRE MONITORING CAMEARA}
본 발명은 산불 감시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불 감시를 위해 산 정상 등에 마련되어 산림을 촬영하는 산불 감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불도 다른 재난과 마찬가지로 철저한 사전 예방과 조기 발견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즉, 산불은 순식간에 생태계의 보고인 산림을 불태우고, 국민의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앗아 간다는 점에서 사전 예방 활동은 물론 산불이 발생하면 조기에 발견하여 신속한 진화 대응체계로 피해를 최소화하여야 한다.
최근에는 산불발생의 조기발견, 효율적인 감시체계 및 신속한 진화 대응체계를 이룰 수 있도록 산불 감시 카메라를 설치하고 있다. 산불 감시 카메라는 가시권과 지형의 관계를 고려하여 산불 감시에 적합한 산림 내에 설치된다.
이 산불 감시 카메라는 산 정상과 같이 비교적으로 고도가 높은 곳에 설치된다. 따라서, 산불 감시 카메라는 발생할 수 있는 낙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낙뢰보호시설과 함께 설치된다.
하지만, 산불 감시 카메라와 함께 낙뢰보호시설이 설치되어 있더라도 산불 감시 카메라로의 낙뢰의 유입을 100% 차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산불 감시 카메라가 낙뢰로 인해 손상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산불 감시 카메라를 낙뢰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별도의 대책이 요구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1873호(2013.09.06.)
본 발명의 실시예는 낙뢰의 발생위치를 정확하고 신뢰성 있게 파악할 수 있고 일정거리 이내에서 낙뢰발생시 낙뢰로부터 장비를 보호할 수 있는 산불 감시 카메라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영상을 촬영하여 산불을 감시하는 산불 감시 카메라에 있어서, 상용전원라인에 연결되어 상용전원을 입력받는 전원입력부; 상기 전원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상용전원을 상기 산불 감시 카메라의 동작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변환부; 상기 전원입력부를 상기 전원변환부 또는 접지측으로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스위칭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낙뢰의 발생위치를 감지하는 낙뢰감지부; 및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는 동안 상기 낙뢰감지부를 통해 검출된 낙뢰의 발생위치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전원변환부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분리시켜 상기 발생된 낙뢰로 인한 낙뢰전류가 전원변환부를 통해 상기 산불 감시 카메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상기 전원입력부를 상기 접지측과 연결시켜 상기 전원입력부에 유입되는 낙뢰전류를 상기 접지측으로 바이패스시키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산불 감시 카메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부는 일측이 전원입력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전원변환부와 연결되는 제1 스위치와, 일측이 상기 제1 스위치의 일측단과 연결되고 타측이 접지측과 연결되고, 제2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낙뢰감지부를 통해 검출된 낙뢰의 발생위치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 상기 제1 스위치를 오프시키고 상기 제2 스위치를 온 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낙뢰감지부는 낙뢰발생시의 전계 변화를 검출하는 전계 검출부, 낙뢰발생시의 자계 변화를 검출하는 자계 검출부, 낙뢰발생시의 천둥소리를 검출하는 음향 검출부 및 낙뢰발생시의 번개를 검출하는 광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계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전계의 변화를 이용하여 제1 낙뢰거리를 추정하는 제1 낙뢰거리추정부와, 상기 자계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자계의 변화를 이용하여 제2 낙뢰거리를 추정하는 제2 낙뢰거리추정부와, 상기 광 검출부를 통해 번개를 검출한 후 상기 음향 검출부를 통해 천둥소리가 검출될 때까지의 시간과 음속에 따라 제3 낙뢰거리를 추정하는 제3 낙뢰거리추정부와, 상기 추정된 제1 낙뢰거리 내지 제3 낙뢰거리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한 후 종합하여 최종 낙뢰거리를 추정하는 최종낙뢰거리추정부와, 상기 최종낙뢰거리추정부를 통해 추정된 최종낙뢰거리와 상기 광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낙뢰 방위를 근거로 낙뢰발생위치를 추정하는 낙뢰발생위치추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낙뢰감지부는 지주부와, 상기 지주부에 마련되고 낙뢰발생시의 전계를 검출하는 전계검출부와, 상기 지주부에 마련되고 낙뢰발생시의 자계를 검출하는 자계검출부와, 상기 지주부에 의해 받쳐지며, 내부에 상기 전계 검출부 및 자계 검출부를 수용하는 돔형 커버부와, 상기 돔형 커버부를 상기 지주부에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돔형 커버부에 낙뢰가 유입될 경우 전기가 상기 지지부를 거쳐 상기 지주부로 흐를 수 있도록 상기 돔형 커버부의 외표면에 길이방향으로 방사형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도전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돔형 커버부는 비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전스트립은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기저판과, 상기 기저판의 상부에 균일하게 마련된 열 경화성 수지와, 상기 열경화성 수지에 의해 상기 기저판에 부착되는 도전성 금속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영상을 촬영하여 산불을 감시하는 산불 감시 카메라에 있어서, 상용전원라인에 연결되어 낙뢰전류에 의해 상기 상용전원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낙뢰보호부; 상기 낙뢰보호부를 통과한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입력부; 상기 전원입력부를 상기 낙뢰보호부 또는 접지측으로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스위칭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낙뢰의 발생위치를 감지하는 낙뢰감지부; 및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는 동안 상기 낙뢰감지부를 통해 검출된 낙뢰의 발생위치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낙뢰보호부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분리시켜 상기 발생된 낙뢰로 인한 낙뢰전류가 전원입력부를 통해 상기 산불 감시 카메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상기 전원입력부를 상기 접지측과 연결시켜 상기 낙뢰보호부에 유입되는 낙뢰전류를 상기 접지측으로 바이패스시키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산불 감시 카메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부는 일측이 낙뢰보호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전원입력부와 연결되는 제1 스위치와, 일측이 상기 제1 스위치의 일측단과 연결되고 타측이 접지측과 연결되고, 제2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낙뢰감지부를 통해 검출된 낙뢰의 발생위치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 상기 제1 스위치를 오프시키고 상기 제2 스위치를 온 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낙뢰감지부는 지주부와, 상기 지주부에 마련되고 낙뢰발생시의 전계를 검출하는 전계검출부와, 상기 지주부에 마련되고 낙뢰발생시의 자계를 검출하는 자계검출부와, 상기 지주부에 의해 받쳐지며, 내부에 상기 전계 검출부 및 자계 검출부를 수용하는 돔형 커버부와, 상기 돔형 커버부를 상기 지주부에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돔형 커버부에 낙뢰가 유입될 경우 전기가 상기 지지부를 거쳐 상기 지주부로 흐를 수 있도록 상기 돔형 커버부의 외표면에 길이방향으로 방사형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도전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낙뢰의 발생위치를 파악하여 일정거리 이내에서 낙뢰발생시 낙뢰로부터 산불 감시 카메라의 제어장치는 물론 낙뢰감지장치까지도 안전하게 보호함으로써 장비운용자 또는 전기사용자가 없는 상황에서도 산불 감시 카메라를 낙뢰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장비유지관리에 드는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계, 자계, 천동소리 등 낙뢰발생시 발생하는 각종 파마리터를 종합하여 낙뢰의 발생위치를 추정함으로써 낙뢰의 발생위치를 정확하고 신뢰성 있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불 감시 카메라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불 감시 카메라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불 감시 카메라의 스위칭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불 감시 카메라의 낙뢰감시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돔형상의 커버에 마련된 도전 스트립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불 감시 카메라의 낙뢰감지부 및 제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불 감시 카메라에서 낙뢰 발생위치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날 경우 스위칭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불 감시 카메라에서 낙뢰 발생위치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일 경우 스위칭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산불 감시 카메라의 스위칭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불 감시 카메라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불 감시 카메라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산불 감시 카메라는 카메라 본체(10)와 카메라 지지대(2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본체(11)는 후술하는 카메라부와 제어부를 둘러싸 보호하는 케이스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전면부 측을 촬영하여 영상을 얻도록 내측으로 카메라모듈이 설치되고 관리서버에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제어부를 내장한다.
카메라부는 발화 가능성이 높은 현장에 설치되어 촬영하는 장치로서, 산 정상부에 설치되어 근거리를 물론 상대적으로 원거리까지도 촬영할 수 있는 장치이다. 카메라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방 영상을 촬영한다.
제어부는 카메라부를 구동시켜 카메라부가 전방 영상을 촬영하도록 하고,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해 원격지의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카메라 본체(11)에는 카메라 지지대(20)가 연결되어 카메라 지지대(20)를 통해 산림에 설치된 벽체나 기둥과 같은 구조물에 카메라 본체(1)를 고정한다.
카메라 지지대(20)는 카메라 본체(11)의 하부에 위치하여 이를 지지하는 구조물로서, 용이하게 이동 설치할 수 있고 일단 설치되면 카메라 본체의 회전이나 외부의 영향을 충분히 견뎌낼 수 있을 만큼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산불 감시 카메라는 시간의 제한 없이 원격감시를 한다. 산불 감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는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관제서버로 전송된다. 관제서버는 산불 감시 카메라로부터 제공된 영상자료 및 데이터를 상시 모니터링하여 산림 재해를 관측하고 대처에 필요한 전략 마련에 중요한 역할을 제공한다.
산불 감시 카메라, 무선 통신 장치 및 관제서버로 이루어지는 산불 감시 시스템은 산불 조기 발견을 목적으로 산의 정상부에 산불 감시 카메라를 설치해 무선을 통해 실시간으로 상황실에서 산악지역의 영상을 24시간 모니터링을 통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기 때문에 광범위한 면적을 최소한의 인원으로 실내에서 감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산불 발생시 정확한 위치 판독을 통해 초동 진화에 신속한 대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경제적이고 신뢰적인 시스템입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불 감시 카메라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산불 감시 카메라는 전원입력부(11), 전원변환부(12), 스위칭부(13), 카메라부(14), 낙뢰감지부(15), 비상전원부(16) 및 제어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입력부(11)는 콘센트 등과 연결된 상용전원라인에 연결되어 상용전원을 입력받는다.
전원변환부(12)는 전원입력부(11)로부터 입력된 상용전원을 산불 감시 카메라의 동작전원으로 변환시킨다.
스위칭부(13)는 전원입력부(11)를 전원변환부(12) 또는 접지측으로 선택적으로 연결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불 감시 카메라의 스위칭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위칭부(13)는 전원입력부(11)와 전원변환부(12) 사이의 전기라인상에 마련되어 전원입력부(11)를 통해 전원변환부(12)로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시킨다. 여기서 전원 차단은 전기라인의 물리적 또는 전기적 분리에 의해 이루어진다.
스위칭부(13)는 한 쌍의 제1 스위치(13a)와, 이 한 쌍의 제1 스위치(13a)의 개별 소자와 각각 연결된 한 쌍의 제2 스위치(13b)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1 스위치(13a)는 온 또는 오프되는 것에 의해 전원입력부(11)와 전원변환부(12)간의 전기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거나 전기적인 연결을 해제시킨다. 예를 들면, 한 쌍의 제1 스위치(13a)가 온 되면 전원입력부(11)와 전원변환부(12)간의 전기라인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산불 감시 카메라에 전원이 공급된다. 한 쌍의 제1 스위치(13b)가 오프되면 전원입력부(11)와 전원변환부(12)간의 전기라인이 전기적으로 연결 해제되어 산불 감시 카메라에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한 쌍의 제2 스위치(13b)는 일측이 한 쌍의 제1 스위치(13a)의 일측단과 연결되고 타측이 접지측과 연결된다. 한 쌍의 제2 스위치(13b)는 한 쌍의 제1 스위치(13b)가 오프될 때 전원입력부(11)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접지측으로 흐르게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부(14)는 영상을 촬영한다. 카메라부(14)는 망원렌즈를 장착하므로 산불 감시 카메라로부터 예를 들면 반경 5 내지 10 이내의 산림을 실시간으로 촬영한다.
카메라부(14)는 산림의 형태 및 변화를 격리된 장소에서 관찰, 통제할 수 있도록 영상신호를 빛의 강약에 따라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주는 고해상도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4)는 주야간에 관계없이 선명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산림으로부터 복사되어지는 적외선 파장을 감지하여 영상으로 표시하는 적외선 열영상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4)는 CCD 카메라와 적외선 열영상 카메라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낙뢰감지부(15)는 낙뢰의 발생위치를 감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불 감시 카메라의 낙뢰감시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돔형상의 커버에 마련된 도전 스트립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불 감시 카메라의 낙뢰감지부 및 제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낙뢰감지부(15)는 전계 검출부(151), 자계 검출부(152), 음향 검출부(153) 및 광 검출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전계 검출부(151)는 낙뢰 발생시의 전기장 변화를 검출한다. 전계 검출부(151)는 원판형 검출전극과 접지전극이 이격되어 있고, 이 전극간에는 정전용량이 형성되어 있다. 전계 검출부(151)는 낙뢰 발생시 발생된 전계 변화로 인한 전계 파형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전계 검출부(151)에는 예를 들면, 최대 40km 거리의 낙뢰를 감지할 수 있는 프랭클린 낙뢰센서(Franklin Lightning Sensor)가 사용될 수 있다. 프랭클린 낙뢰센서는 구름에서 지면으로 내리치는 낙뢰 뿐만 아니라 폭풍 접근 가능성을 판단할 때 쓰이는 구름 속 활동도 감지한다. 프랭클린 낙뢰센서는 최대 40km 밖에서 접근하는 낙뢰 활동을 감지한다. 프랭클린 낙뢰센서는 측정된 신호를 사용하여 낙뢰가 발생하는 구름의 선단과의 거리 혹은 낙뢰 발생거리를 통계적으로 계산한다. 낙뢰센서는 낙뢰가 발생하는 구름의 선단과의 거리정보 혹은 낙뢰의 발생거리정보를 검출하여 제어부(17)로 전달한다.
자계 검출부(152)는 낙뢰 발생시의 자기장 변화를 검출한다. 자계 검출부(152)는 직교 배치된 두 개의 루프센서를 포함한다. 낙뢰에 의해 발생된 낙뢰전류에 의해 자기장의 발생하는 데, 자계 검출부(152)는 이때의 자기장 변화를 두 개의 루프센서를 통해 검출하고, 검출된 자계 변화로 인한 자계 파형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음향 검출부(153)는 낙뢰 발생 후 뒤따르는 천둥 소리를 검출한다. 음향 검출부(153)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음향 검출부(153)는 음압에 따라 진동변위하는 가동전극과 대단히 좁은 간격으로 대항하는 고정전극으로 평행판 콘덴서를 구성될 수 있다. 음향 검출부(153)는 음압에 따른 가동전극의 변위로 인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그에 대응하는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한다.
광 검출부(154)는 낙뢰 발생시에 발생하는 번개를 검출한다. 광 검출부(154)는 낙뢰 발생시에 발생하는 번개를 검출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광 검출부(154)는 8개의 서로 다른 방향에 설치되어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낙뢰에 의한 빛을 검출한다. 제어부(17)는 각 광 검출부(154)에 의해 제공된 신호를 근거로 하여 낙뢰의 방위정보를 인식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을 갖는 낙뢰감지부(15)는 지주부(155)와, 이 지주부(155)에 의해 받쳐지는 돔형 커버부(156)를 포함한다.
지주부(155)는 일측은 접지되어 있고, 타측은 2개로 분기된 구조를 갖는다. 제1 분기측에는 전계 검출부(151)가 설치되고 제2 분기측에는 자계 검출부(152)가 설치된다.
돔형 커버부(156)는 지지부(157)에 의해 지주부(155)와 연결된다. 지지부(157)는 지주부(155)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중간부분과 돔형 커버부(156)의 원주형 단부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돔형 커버부(156)를 지주부(155)에 지지시킨다. 예를 들면, 지지부(157)는 부채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157)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157)는 전계 검출부(151) 측에 대응하는 부분에만 전계 검출에 필요한 충분한 크기의 구멍이 뚫려 있다면 소정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돔형 커버부(156)는 전계 검출부(151)와 자계 검출부(152)를 낙뢰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전계 검출부(151)과 자계 검출부(152)를 덮을 수 있는 정도의 내경을 가진다.
돔형 커버부(156)는 내부의 전계 검출부(151)와 자계 검출부(152)가 낙뢰발생시 발생하는 전계 변화를 자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비금속 물질로 이루어진다. 돔형 커버부(156)는 비전도성의 강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돔형 커버부(156)의 외표면에는 도전 스트립(158)이 마련되어 있다. 도전 스트립(158)은 돔형 커버부(156)의 외표면 상에 방사형으로 마련된다. 도전 스트립(158)은 돔형 커버부(156)가 낙뢰를 맞을 경우 전기가 지지부(157)을 거쳐 지주부(155)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낙뢰발생시 전계 검출부(151)과 자계 검출부(152)를 낙뢰로부터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대부분의 낙뢰전류를 도전 스트립을 통해 지주부(155)로 신속히 전달시킬 수 있어 돔형 커버부(156)의 손상까지도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 스트립(158)은 절연물질로 이루어지고 베이스를 형성하는 기저판(substrate)(158a)과, 이 기저판의 상부에 균일하게 마련된 열 경화성 수지(158b)와, 이 열경화성 수지(158b)에 의해 기저판(158a)에 부착되는 도전성 금속물질(158c)를 포함한다. 도전성 금속물질(158c)는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도전성 금속물질(158c)는 기저판(158a)는 분말 형태로 흩뿌려진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도전 스트립(158)은 돔형 커버부(156)의 스트리머(Streamer)의 발생원을 지주부(155)로 옮기게 되므로 돔형 커버부(156)에 정전기 쉴드를 만드는 효과가 있다.
돔형 커버부(156)는 내부에 보호되는 전계 검출부(151)와 자계 검출부(152)에 형성되는 전자기파와 돔형 커버부(156)의 외부공기의 마찰로 인해 이온화된 스트리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스트리머는 낙뢰 타격의 통로를 제공하게 되므로 도전 스트립(158)이 설치되지 않은 돔형 커버부(156)는 낙뢰가 관통하여 전계 검출부(151)와 자계 검출부(152) 등의 검출소자들을 손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도전 스트립(158)이 설치된 경우 정전기로 인하여 발생되는 전하를 신속하게 분산시킬 수 있어 낙뢰로부터 각종 검출소자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전 스트립(158)은 돔형 커버부(156)의 원주 단부까지 연장되어 설치되고 있다. 또한, 도전 스트립(158)은 지지부(157) 또는 지주부(155)까지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지주부(155)의 중도에는 음향 검출부(153)과 광 검출부(154)를 지지하는 설치대(159)가 마련될 수 있다. 이 설치대(159)에는 낙뢰발생시 낙뢰방위를 파악할 수 있도록 광 검출부(154)가 서로 다른 8가지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설치대(159)의 일측에는 음향 검출부(153)가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비상전원부(16)는 제어부(17)에 전원 공급이 차단될 경우, 비상전원을 제어부(17)에 공급한다. 비상전원부(16)는 비상배터리를 포함하고, 평상시에는 비상배터리에 전력을 충전하고, 비상시 제어부(17) 등에 비상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비상전원부(16)는 제어부(17)로의 전원 공급과 전원 차단을 위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스위치는 제어부(17)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는 카메라부(14)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는 동안 낙뢰가 발생하면 낙뢰감지부(15)를 통해 검출된 정보를 근거로 하여 낙뢰발생위치를 추정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는 제1 낙뢰거리추정부(170), 제2 낙뢰거리추정부(171), 제3 낙뢰거리추정부(172), 최종낙뢰거리추정부(173), 낙뢰발생위치추정부(174)를 포함한다.
제1 낙뢰거리추정부(170)는 전계 검출부(151)를 통해 검출된 전계의 변화를 이용하여 제1 낙뢰거리를 추정한다.
제2 낙뢰거리추정부(171)는 자계 검출부(151)를 통해 검출된 자계의 변화를 이용하여 제2 낙뢰거리를 추정한다.
낙뢰에 의해 발생하는 전계 파형과 자계의 파형은 각각 낙뢰거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예를 들면, 낙뢰거리에 따라 전계 파형과 자계 파형의 파미특성이 변화한다. 원거리 낙뢰에 의해서는 주로 방사성분만이 검출되므로 전계와 자계 파형은 거의 같은 모양으로 나타난다.
낙뢰에 의해서 방사되는 전계와 자계 파형의 파두 부분의 특징은 초기에 서서히 상승하는 부분과 그 후의 급상승하는 부분으로 분류할 수 있다. 서서히 상승하는 부분은 부착과정 동안에 발생한 완만한 기울기를 가지는 파두부분이다. 급상승하는 부분은 대지로부터 귀환뇌격전류에 의한 것으로 급격한 기울기를 가진 피크가 발생하며 상승시간은 예를 들면 수백 [ns]정도이다. 이와 같이 낙뢰에 의해서 방사되는 전계와 자계의 파형에서 급상승하는 것은 뇌격전류의 변화에 대응한다. 낙뢰에 의해 발생된 전계 파형과 자계 파형의 변동은 이의 방사원인 뇌격전류와 직접적인 관련성을 갖는다. 낙뢰에 의한 전계 파형과 자계 파형의 특성은 상승시간, 영점교차시간, 반전 딥 깊이(파미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파형의 제1 피크값에 대한 반대극성의 피크값의 비율) 등의 여러 가지 파라미터에 의해 분석되며, 이들 파라미터는 낙뢰지점위치로부터 검출용 센서까지의 거리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전계 파형과 자계 파형은 분석하는 것에 의해 각각의 낙뢰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제3 낙뢰거리추정부(172)는 음향 검출부(153)를 검출된 음향 신호와 광 검출부(154)를 통해 검출된 광 신호를 수신하고, 번개 발생으로부터 천둥소리가 검출될 때까지의 시간을 근거로 낙뢰거리를 산출한다. 번개가 생기고 나서 소정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천둥소리 특유의 주파수를 가진 음향을 검출할 수 있는데, 광 검출부(154)를 통해 번개가 검출된 후 음향검출부(153)를 통해 천둥소리가 검출될 때까지의 시간과 음속에 따라 낙뢰거리를 추정한다.
최종낙뢰거리추정부(173)는 제1 낙뢰거리추정부(170)를 통해 추정된 제1 낙뢰거리와, 제2 낙뢰거리추정부(171)를 통해 추정된 제2 낙뢰거리와, 제3 낙뢰거리추정부(172)를 통해 추정된 제3 낙뢰거리를 종합하여 최종낙뢰거리를 추정한다. 최종낙뢰거리추정부(173)는 3개의 낙뢰거리값의 평균값을 최종낙뢰거리값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때, 또한, 최종낙뢰거리추정부(173)는 3개의 낙뢰거리값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낙뢰거리, 제2 낙뢰거리, 제3 낙뢰거리 순으로 가중치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낙뢰발생위치추정부(174)는 최종낙뢰거리추정부(173)를 통해 추정된 최종낙뢰거리와 광 검출부(154)를 통해 검출된 낙뢰 방위를 근거로 낙뢰발생위치를 추정한다. 광 검출부(154)는 설치대(159)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8개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각 광 검출부(154)를 통해 검출된 광 신호와 각 광 검출부(154)가 설치된 방향을 고려하면 낙뢰의 방향을 알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는 낙뢰발생위치를 추정한 후 추정된 낙뢰발생위치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7)는 낙뢰감지부(15)를 통해 검출된 낙뢰의 발생위치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스위칭부(13)을 제어하여 전원입력부(11)와 전원변환부(12)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계속해서 유지시켜 산불 감시 카메라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유지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불 감시 카메라에서 낙뢰 발생위치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날 경우 스위칭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7)는 카메라부(14)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는 동안 낙뢰감지부(15)를 통해 검출된 낙뢰의 발생위치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위치이면, 낙뢰가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서 발생한 것이므로 낙뢰로 인한 산불 감시 카메라의 손상 위험이 낮은 상태로 판단한다. 따라서, 제어부(17)는 스위칭부(13)의 한 쌍의 제1 스위치(13a)를 계속해서 온 시킨다. 이때, 한 쌍의 제2 스위치(13b)는 오프된 상태이다. 이에 따라, 전원입력부(11)와 전원변환부(12)간의 전기라인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여 산불 감시 카메라에 전원 공급을 유지시킨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7)는 카메라부(14)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는 동안 낙뢰감지부(15)를 통해 검출된 낙뢰의 발생위치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인 위치인 경우, 스위칭부(13)을 제어하여 전원입력부(11)와 전원변환부(12)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분리시켜 발생된 낙뢰로 인한 낙뢰전류가 전원입력부(11)를 통해 산불 감시 카메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함께 제어부(17)는 스위칭부(13)을 제어하여 전원입력부(11)를 접지측과 연결시켜 전원입력부(11)에 유입되는 낙뢰전류를 접지측으로 바이패스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불 감시 카메라에서 낙뢰 발생위치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일 경우 스위칭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7)는 카메라부(14)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는 동안 낙뢰감지부(15)를 통해 검출된 낙뢰의 발생위치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 낙뢰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서 발생한 것이므로 낙뢰로 인한 산불 감시 카메라의 손상 위험이 큰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제어부(17)는 스위칭부(13)의 한 쌍의 제1 스위치(13a)를 오프시킨다. 한 쌍의 제1 스위치(13b)가 오프됨에 따라 전원입력부(11)와 전원변환부(12)간의 전기라인이 전기적으로 연결 해제되어 전원입력부(11)로 낙뢰전류가 유입되더라도 산불 감시 카메라를 보호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어부(17)은 한 쌍의 제2 스위치(13b)를 온 시킨다. 이때, 한 쌍의 제2 스위치(13b)는 한 쌍의 제1 스위치(13a)를 오프시킨 후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10초) 후에 한 쌍의 제2 스위치(13b)를 온 시킬 수 있다. 한 쌍의 제2 스위치(13b)가 온 됨에 따라 전원입력부(11)를 통해 낙뢰전류가 유입되더라도 접지측으로 흐르게 할 수 있어 산불 감시 카메라는 물론, 산불 감시 카메라가 설치된 건물외벽이나 시설물을 낙뢰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는 한 쌍의 제1 스위치(13a)를 오프시킴과 함께 한 쌍의 제2 스위치(13b)를 온 시킨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산불 감시 카메라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 쌍의 제1 스위치(13a)를 다시 온 시킴과 함께 한 쌍의 제2 스위치(13b)를 오프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는 산불 감시 카메라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비상전원부(16)에 의해 비상전원을 제공받는 상태이므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스위칭부(13)을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위칭부가 전원입력부(11)와 전원변환부(12) 사이에 마련된 것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위칭부는 산불 감시 카메라와 연결되는 전원입력부에 대응하는 콘센트와 낙뢰보호장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콘센트는 산불 감시 카메라를 전원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 낙뢰보호장치는 상용전원과 연결되고 전원라인 상에 서지보호기, 차단기, 노이즈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낙뢰발생시 발생된 낙뢰전류에 의해 전원라인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낙뢰보호장치는 피뢰기 등과 연결되어 낙뢰전류로부터 장비를 보호하는 기기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산불 감시 카메라의 스위칭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스위칭부(13)는 낙뢰보호부(30)와 콘센트(40) 사이에 연결된다.
낙뢰보호부(30)는 상용전원과 연결되어 상용전원과 연결된 전기라인을 통해 유입되는 낙뢰전류에 의해 작동하여 전기라인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낙뢰보호부(30)는 서지보호기(31), 서지차단기(32) 및 절연 트랜스(33)을 포함할 수 있다.
서지보호기(31)는 낙뢰 전류가 들어올 때, 그 전류가 부하를 통해 흐르지 않고 서지보호기 자신을 통해 흐르도록 하여 부하에서 발생하는 전압강하가 과다하게 상승하는 것을 막아서 부하를 보호한다. 예를 들면, 서지보호기(31)는 보호하고자는 전원회로로 병렬로 연결되고 낙뢰전류가 흐르면 낮은 저항 회로를 형성하여 낙뢰전류가 낮은 저항 통로를 통해 흐르게 한다.
서지차단기(32)는 낙뢰전류가 유입될 경우 그 낙뢰전류에 의해 스위칭되는 스위치를 이용하여 전원라인을 차단한다.
절연 트랜스(33)는 공급 전원을 일반 전원으로부터 분리하여 낙뢰전류로 인한 영향을 막는다. 절연 트랜스(33)는 1차 코일과 2차 코일이 따로따로 감겨 절연이 되어 있어 1차 코일에 낙뢰전류에 의한 영향이 2차 코일에 전달되지 않게 한다.
콘센트(40)는 산불 감시 카메라에 전원이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산불 감시 카메라의 전원 케이블이 연결된다.
스위칭부(13)는 제어부(17)에 의해 작동된다.
제어부(17)는 카메라부(14)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는 동안 낙뢰감지부(15)를 통해 검출된 낙뢰의 발생위치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스위칭부(13)의 한 쌍의 제1 스위치(13a)를 계속해서 온 시키고, 한 쌍의 제2 스위치(13b)는 오프시킴으로써 콘센트(40)를 통해 산불 감시 카메라에 전원 공급을 유지시킨다.
한편, 제어부(17)는 카메라부(14)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는 동안 낙뢰감지부(15)를 통해 검출된 낙뢰의 발생위치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 한 쌍의 제1 스위치(13a)를 오프시키고, 한 쌍의 제2 스위치(13b)는 온 시킴으로써 산불 감시 카메라의 전원 공급은 차단시키고, 낙뢰발생시 낙뢰보호부(30)을 통과한 낙뢰전류가 있더라도 접지측으로 바이패스시켜 산불 감시 카메라를 보호한다.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불 감시 카메라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도 10a 및 10b를 참조하면, 산불 감시 카메라의 제어방법은 전계를 검출하는 과정(200), 검출된 전계 변화를 이용하여 제1 낙뢰거리를 추정하는 과정(202), 자계를 검출하는 과정(204), 검출된 자계 변화를 이용하여 제2 낙뢰거리를 추정하는 과정(206), 광 및 음향을 검출하는 과정(208), 검출된 광 및 음향을 이용하여 제3 낙뢰거리를 추정하는 과정(210), 작동모드 202, 206, 210에서 각각 추정된 제1 낙뢰거리 내지 제3 낙뢰거리를 근거로 최종 낙뢰거리를 추정하는 과정(212), 번개의 방향을 이용하여 낙뢰 방향을 추정하는 과정(214), 최종 낙뢰거리와 낙뢰 방향을 근거로 하여 낙뢰 발생위치를 추정하는 과정(216)을 포함한다.
한편, 낙뢰 발생위치를 추정한 후 제어부(17)는 추정된 낙뢰 발생위치가 산불 감시 카메라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한다(218).
만약, 작동모드 218의 판단결과 낙뢰 발생위치가 산불 감시 카메라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산불 감시 카메라에 전원 공급을 유지시킨다(220).
한편, 작동모드 218의 판단결과 낙뢰 발생위치가 산불 감시 카메라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 산불 감시 카메라에 전원 공급을 차단시킨다(222). 이때, 제어부(17)를 스위칭부(13)을 제어하여 산불 감시 카메라의 전원라인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킨다. 이와 함께 제어부(107)는 산불 감시 카메라의 전원라인을 접지 연결시킨다(224). 이에 따라, 낙뢰가 발생하여 산불 감시 카메라로 낙뢰로 인한 낙뢰전류가 유입되더라도 이를 차단시키고 접지측으로 바이패스시킬 수 있어 산불 감시 카메라를 낙뢰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10 : 카메라 본체 11 : 전원입력부
12 : 전원변환부 13 : 스위칭부
14 : 카메라부 15 : 낙뢰감지부
16 : 비상전원부 17 : 제어부
20 : 카메라 지지대

Claims (8)

  1. 영상을 촬영하여 산불을 감시하는 산불 감시 카메라에 있어서,
    상용전원라인에 연결되어 상용전원을 입력받는 전원입력부;
    상기 전원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상용전원을 상기 산불 감시 카메라의 동작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변환부;
    상기 전원입력부를 상기 전원변환부 또는 접지측으로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스위칭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낙뢰의 발생위치를 감지하는 낙뢰감지부; 및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는 동안 상기 낙뢰감지부를 통해 검출된 낙뢰의 발생위치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전원변환부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분리시켜 상기 발생된 낙뢰로 인한 낙뢰전류가 전원변환부를 통해 상기 산불 감시 카메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상기 전원입력부를 상기 접지측과 연결시켜 상기 전원입력부에 유입되는 낙뢰전류를 상기 접지측으로 바이패스시키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낙뢰감지부는 낙뢰발생시의 전계 변화를 검출하는 전계 검출부, 루프센서에 의해 낙뢰발생시의 자계 변화를 검출하는 자계 검출부, 낙뢰발생시의 천둥소리를 검출하는 음향 검출부 및 낙뢰발생시의 번개를 검출하여 전기신호를 변환하여 출력하는 광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계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전계의 변화를 이용하여 제1 낙뢰거리를 추정하는 제1 낙뢰거리추정부와, 상기 자계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자계의 변화를 이용하여 제2 낙뢰거리를 추정하는 제2 낙뢰거리추정부와, 상기 광 검출부를 통해 번개를 검출한 후 상기 음향 검출부를 통해 천둥소리가 검출될 때까지의 시간과 음속에 따라 제3 낙뢰거리를 추정하는 제3 낙뢰거리추정부와, 상기 추정된 제1 낙뢰거리 내지 제3 낙뢰거리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한 후 종합하여 최종 낙뢰거리를 추정하는 최종낙뢰거리추정부와, 상기 최종낙뢰거리추정부를 통해 추정된 최종낙뢰거리와 상기 광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낙뢰 방위를 근거로 낙뢰발생위치를 추정하는 낙뢰발생위치추정부를 포함하는 산불 감시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일측이 전원입력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전원변환부와 연결되는 제1 스위치와, 일측이 상기 제1 스위치의 일측단과 연결되고 타측이 접지측과 연결되고, 제2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낙뢰감지부를 통해 검출된 낙뢰의 발생위치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 상기 제1 스위치를 오프시키고 상기 제2 스위치를 온 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산불 감시 카메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낙뢰감지부는 지주부와, 상기 지주부에 마련되고 낙뢰발생시의 전계를 검출하는 전계검출부와, 상기 지주부에 마련되고 낙뢰발생시의 자계를 검출하는 자계검출부와, 상기 지주부에 의해 받쳐지며, 내부에 상기 전계 검출부 및 자계 검출부를 수용하는 돔형 커버부와, 상기 돔형 커버부를 상기 지주부에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돔형 커버부에 낙뢰가 유입될 경우 전기가 상기 지지부를 거쳐 상기 지주부로 흐를 수 있도록 상기 돔형 커버부의 외표면에 길이방향으로 방사형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도전 스트립을 포함하는 산불 감시 카메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돔형 커버부는 비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전스트립은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기저판과, 상기 기저판의 상부에 균일하게 마련된 열 경화성 수지와, 상기 열경화성 수지에 의해 상기 기저판에 부착되는 도전성 금속물질을 포함하는 산불 감시 카메라.
  6. 영상을 촬영하여 산불을 감시하는 산불 감시 카메라에 있어서,
    상용전원라인에 연결되어 낙뢰전류에 의해 상기 상용전원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낙뢰보호부;
    상기 낙뢰보호부를 통과한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입력부;
    상기 전원입력부를 상기 낙뢰보호부 또는 접지측으로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스위칭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낙뢰의 발생위치를 감지하는 낙뢰감지부; 및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는 동안 상기 낙뢰감지부를 통해 검출된 낙뢰의 발생위치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낙뢰보호부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분리시켜 상기 발생된 낙뢰로 인한 낙뢰전류가 전원입력부를 통해 상기 산불 감시 카메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상기 전원입력부를 상기 접지측과 연결시켜 상기 낙뢰보호부에 유입되는 낙뢰전류를 상기 접지측으로 바이패스시키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낙뢰보호부는 서지보호기, 서지차단기 및 절연 트랜스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부는 일측이 낙뢰보호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전원입력부와 연결되는 제1 스위치와,
    일측이 상기 제1 스위치의 일측단과 연결되고 타측이 접지측과 연결되고, 제2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낙뢰감지부를 통해 검출된 낙뢰의 발생위치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 상기 제1 스위치를 오프시키고 상기 제2 스위치를 온 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산불 감시 카메라.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낙뢰감지부는 지주부와, 상기 지주부에 마련되고 낙뢰발생시의 전계를 검출하는 전계검출부와, 상기 지주부에 마련되고 낙뢰발생시의 자계를 검출하는 자계검출부와, 상기 지주부에 의해 받쳐지며, 내부에 상기 전계 검출부 및 자계 검출부를 수용하는 돔형 커버부와, 상기 돔형 커버부를 상기 지주부에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돔형 커버부에 낙뢰가 유입될 경우 전기가 상기 지지부를 거쳐 상기 지주부로 흐를 수 있도록 상기 돔형 커버부의 외표면에 길이방향으로 방사형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도전 스트립을 포함하는 산불 감시 카메라.
KR1020140111471A 2014-08-26 2014-08-26 산불 감시 카메라 KR101581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471A KR101581856B1 (ko) 2014-08-26 2014-08-26 산불 감시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471A KR101581856B1 (ko) 2014-08-26 2014-08-26 산불 감시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1856B1 true KR101581856B1 (ko) 2016-01-11

Family

ID=55169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1471A KR101581856B1 (ko) 2014-08-26 2014-08-26 산불 감시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18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9353A (zh) * 2019-08-21 2019-10-29 深圳云感物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森林火灾火点精准定位方法及系统
CN112907871A (zh) * 2021-04-07 2021-06-04 湖南航天智远科技有限公司 基于卫星遥感的雷火预警识别方法
KR102341081B1 (ko) * 2021-01-19 2021-12-20 유승우 송전탑 낙뢰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4396A (ko) * 2005-07-28 2007-02-01 주식회사 지오 송전철탑을 이용한 전력설비 및 재난감시 장치
KR20090033753A (ko) * 2007-10-01 2009-04-06 김상현 웹서버를 이용한 원격 수문 제어시스템
KR20130101873A (ko) 2012-03-06 2013-09-16 (주)유디피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산불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4396A (ko) * 2005-07-28 2007-02-01 주식회사 지오 송전철탑을 이용한 전력설비 및 재난감시 장치
KR20090033753A (ko) * 2007-10-01 2009-04-06 김상현 웹서버를 이용한 원격 수문 제어시스템
KR20130101873A (ko) 2012-03-06 2013-09-16 (주)유디피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산불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9353A (zh) * 2019-08-21 2019-10-29 深圳云感物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森林火灾火点精准定位方法及系统
KR102341081B1 (ko) * 2021-01-19 2021-12-20 유승우 송전탑 낙뢰 모니터링 시스템
CN112907871A (zh) * 2021-04-07 2021-06-04 湖南航天智远科技有限公司 基于卫星遥感的雷火预警识别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0975B2 (en) System for the standoff detection of power line hazards
CN206516033U (zh) 一种多功能输电线路报警监测装置
US20180238955A1 (en) System For The Standoff Detection Of Power Line Hazards And Means For Standoff Data Collection, Storage, And Dissemination
KR101581856B1 (ko) 산불 감시 카메라
KR101756603B1 (ko) 드론을 이용한 무인 경비 시스템
CN105676070A (zh) 一种输电线路故障监测系统
KR100931704B1 (ko) 낙뢰경보 시스템
CN106023491A (zh) 一种智能变压器防盗装置
KR101739543B1 (ko) 건축물 다목적 소방용 화재경보기
WO2012126272A1 (zh) 全视野闪电事件观测系统及方法
KR101766633B1 (ko) 가공 송배전선로의 누설전류 검출시스템
CN107565453A (zh) 一种有安全装置的远距离激光清障系统及使用方法
CN205050281U (zh) 一种智能移动安防器
KR101063922B1 (ko) 목표물 위치 획득 및 감시시스템
KR20180079725A (ko) 자율비행장치 충전 시스템
CN102129005A (zh) 变电站/发电厂二次回路直流接地指示器及其应用
KR20170123295A (ko) 산불 감시 시스템
KR101615099B1 (ko) 산불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낙뢰 관측 시스템
KR101429259B1 (ko) 지진관측소의 원격 관리 시스템
KR101443676B1 (ko) 차폐성능 자동 감시기능을 가진 지능형 emp 방호용 차폐시스템
KR101596270B1 (ko) 충전전로용 안전시스템 및 운영방법
US7049972B2 (en) Lightning strike hazard detector
KR101717434B1 (ko) 방송장치 스마트 감시제어기 및 제어시스템
CN110392238A (zh) 一种可拍照矿用传感器监测方法、装置及系统
CN102570439A (zh) 一种浪涌保护器的内置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