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1787B1 - 향상된 인출기능을 갖는 승하강케이스 및 승하강케이스를 이용한 인출방법 - Google Patents

향상된 인출기능을 갖는 승하강케이스 및 승하강케이스를 이용한 인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1787B1
KR101581787B1 KR1020140066765A KR20140066765A KR101581787B1 KR 101581787 B1 KR101581787 B1 KR 101581787B1 KR 1020140066765 A KR1020140066765 A KR 1020140066765A KR 20140066765 A KR20140066765 A KR 20140066765A KR 101581787 B1 KR101581787 B1 KR 101581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portion
line
draw
cas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6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8630A (ko
Inventor
전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린?
Priority to KR1020140066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787B1/ko
Publication of KR20150138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8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1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 A47K10/42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with means for urging the whole stack upwards towards the dispensing opening, e.g. a spring, a counter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1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the articles being automatically urged towards the dispensing aperture, e.g. spring-loa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 낱장이 적층되어 담겨진 승하강케이스에 담겨진 물건을 어느 정도 사용한 후에도 케이스본체 일부를 하강시키거나 또는 상승시킴으로써, 인출되는 부분과 물건이 근접되게 하여 쉽게 물건을 꺼내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는 향상된 인출기능을 갖는 승하강케이스 및 승하강케이스를 이용한 인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케이스본체 내부의 물건을 인출부에 의해 형성된 인출공을 통해 인출하기 위한 케이스에 있어서, 내부의 물건을 인출하는 인출부의 높이가 하강하는 하강기능; 및 내부의 물건을 아래에서 지지하는 기저면이 상승하는 승강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향상된 인출기능을 갖는 승하강케이스 및 승하강케이스를 이용한 인출방법{LIFT GOODS CASE AND PULL OUT METHOD USING LIFT GOODS CASE}
본 발명은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 낱장이 적층되어 담겨진 승하강케이스에 담겨진 물건을 어느 정도 사용한 후에도 케이스본체 일부를 하강시키거나 또는 상승시킴으로써, 인출되는 부분과 물건이 근접되게 하여 쉽게 물건을 꺼내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는 향상된 인출기능을 갖는 승하강케이스 및 승하강케이스를 이용한 인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지, 티슈, 비닐백(크린백), 비닐봉지 등은 두께가 얇아 케이스 내부에 다수 층을 형성하여 포장하게 된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상측 인출구멍을 개방하고 인출구멍을 통해 하나씩 낱장으로 꺼내어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상품케이스에 대해 작은 양을 담아 포장할 수도 있으나, 보다 많은 양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대용량으로 포장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대용량으로 물건을 담아 포장하게 되면, 하나씩 낱장으로 꺼내어 사용하는 중에, 어느 정도 꺼낸 이후에는 꺼내는 구멍으로부터 너무 아래에 낱장들이 있기 때문에 꺼내기가 쉽지 않게 된다.
이를 만회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될 수 있으면 담는 양을 한정하여 포장하기도 하지만, 좀더 많은 양을 포장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는 적절하지 못한 방법인 것이다. 따라서 대용량으로 적층되어 포장된 물건을 손쉽게 꺼내는 방법 및 구성의 제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특허출원 제10-2012-0094043호 실용신안출원 제20-1996-027979호 실용신안출원 제20-1998-0022881호 특허출원 제10-2006-0050283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 낱장이 적층되어 담겨진 승하강케이스에 담겨진 물건을 어느 정도 사용한 후에도 케이스본체 일부를 하강시키거나 또는 상승시킴으로써, 인출되는 부분과 물건이 근접되게 하여 쉽게 물건을 꺼내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로 인출구가 상부에 위치되므로 상부 케이스가 하강하도록 실시될 수도 있고, 반면 저부 기저면부가 상승하도록 실시될 수도 있는 등, 실시되는 양태에 따라 알맞게 물건을 상승시키거나 케이스를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한 실시양태를 갖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건을 상승시키는 경우에도 물건을 제외한 케이스본체만으로 물건을 상승시키는 것이므로, 별도의 부재구성이 없이 작동시킴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방법도 편리하여 사용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에 적층된 물건을 꺼내는 라운드인출공을 개방하기 위해, 처음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개봉시키게 되는 유도삽입부가 외향으로 또는 내향으로 선택적으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실시되는 케이스에 따라 다양한 실시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스 상부의 하강, 케이스 기저면부 및 물건의 상승을 위한 구성을 단지 케이스본체의 전개지 형성시에 함께 전개지에 구성함으로써 제조가 간단하고 전개지에 형성된 구성들이기 때문에 조립과정도 손쉽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스본체 내부의 물건을 인출부에 의해 형성된 인출공을 통해 인출하기 위한 케이스에 있어서, 내부의 물건을 인출하는 인출부의 높이가 하강하는 하강기능; 및 내부의 물건을 아래에서 지지하는 기저면이 상승하는 승강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인출기능을 갖는 승하강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본체 내부의 물건을 인출부에 의해 형성된 인출공을 통해 인출하기 위한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는: 인출부가 있는 인출면부; 기저를 이루는 기저면부; 인출면부와 기저면부 사이의 단축일면부와 단축타면부; 및 단축일면부 및 단축타면부를 비롯한 소정의 측면들을 포함하며, 상기 인출면부가 하강하는 기능 및 기저면부가 상승하는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인출기능을 갖는 승하강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에는 인출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인 라운드인출공으로 물건을 인출하며, 상기 라운드인출공의 가장자리는 곡선형태, 직선형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인출기능을 갖는 승하강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출면부는: 물건을 인출하게 될 라운드인출공의 영역에 위치된 인출부; 인출부와 인출면부 사이에서 접히는 부분이며 인출부와 인출면부를 연결시키는 접힘부; 인출부와 인출면부 사이의 다른 일측에서 점선 형태 및 선 형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뚫거나 가압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개봉라인들로 이루어지는 개봉라인부; 및 상기 개봉라인부를 절개하기 전에 인출부의 소정 부분을 절개하기 위한 유도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인출기능을 갖는 승하강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봉라인부는: 점선 형태 및 선 형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뚫거나 가압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개봉부분들이 원호로 배열되는 라운드개봉라인부; 및 점선 형태 및 선 형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뚫거나 가압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개봉부분들이 직선으로 배열되는 내향개봉라인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개봉라인부를 포함하며, 상기 라운드개봉라인부 또는 내향개봉라인부에 형성된 개봉부분들에 의해 형성된 원호 또는 직선의 배열은 하나 또는 다수의 배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인출기능을 갖는 승하강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물건을 인출하는 인출부가 위치된 인출면부 또는 물건의 저부의 기저면부에 대해, 인출면부와 기저면부를 연결하는 측방향의 단축일면부와 단축타면부가 구비되고, 상기 단축일면부 및 단축타면부에는, 인출부가 위치된 인출면부가 하강함에 따라 굽혀지는 하강모서리라인을 포함하며, 인출면부의 하강으로 인해 상기 단축일면부 및 단축타면부에 형성된 굽혀진 부분인 측면굽힘곡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강모서리라인은: 인출면부가 하강함에 따라 굽혀지면서 인출면부와 동일 또는 소정 기울기로 근접된 높이를 형성하는 하강모서리중앙라인; 및 인출면부가 하강함에 따라 굽혀지면서, 일측 끝단은 하강모서리중앙라인과 접하고, 타측은 케이스본체의 소정의 꼭짓점과 이어지는 하강모서리경사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인출기능을 갖는 승하강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출면부의 하강으로 인해 가운데의 평면과 가장자리 경사면이 소정 각도를 이루어 형성된 경계라인의 하강굽힘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하강굽힘라인은: 인출면부에 형성된 경계라인인 하강굽힘인출면라인; 및 인출면부의 하강으로 인해 인출면부와 연속 평면 또는 완경사를 이루게 된 소상일면부 또는 소상타면부에 형성된 경계라인인 하강굽힘측면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인출기능을 갖는 승하강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물건을 인출하는 인출부가 위치된 인출면부 또는 물건의 저부의 기저면부에 대해, 인출면부와 기저면부를 연결하는 측방향인 단축일면부 및 단축타면부가 구비되고, 상기 단축일면부 및 단축타면부에는, 기저면부가 상승함에 따라 굽혀지는 승강모서리라인을 포함하며, 기저면부의 상승으로 인해 상기 단축일면부 및 단축타면부에 형성된 굽혀진 부분인 측면굽힘곡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모서리라인은: 기저면부가 상승함에 따라 굽혀지면서 기저면부에 동일 또는 소정 기울기로 근접된 높이를 형성하는 승강모서리중앙라인; 및 기저면부가 상승함에 따라 굽혀지면서, 일측 끝단은 승강모서리중앙라인과 접하고, 타측은 케이스본체의 소정의 꼭짓점과 이어지는 승강모서리경사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인출기능을 갖는 승하강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저면부의 상승으로 인해 가운데의 평면과 가장자리 경사면이 소정 각도를 이루어 형성된 경계라인의 승강굽힘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굽힘라인은: 기저면부에 형성된 경계라인인 승강굽힘기저면라인; 및 기저면부의 상승으로 인해 기저면부와 연속 평면 또는 완경사를 이루게 된 소하일면부 또는 소하타면부에 형성된 경계라인인 승강굽힘측면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인출기능을 갖는 승하강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승하강케이스의 전개지에 케이스본체 형태로 절단하고 절첩부분을 가압하고 천공부분을 천공시켜 케이스본체의 전개지를 형성하는 전개지형성단계; 케이스본체 전개지의 절첩부분을 따라 절첩하여 입체 케이스 형태의 케이스본체를 형성하는 케이스접합단계; 케이스본체 내에 물건을 담고 접합부분을 접합하는 내부탑재단계; 케이스본체 내의 물건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공인 라운드인출공을 형성하는 인출공개방단계; 및 라운드인출공을 통해 케이스본체 내의 물건을 인출하는 인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인출기능을 갖는 승하강케이스를 이용한 인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출공개방단계는: 케이스본체 내의 물건을 인출하기 위한 공간인 라운드인출공 일측에 마련된 유도삽입부를 가압으로 뚫어 개방시키는 유도삽입부개방단계; 유도삽입부를 뚫어 형성된 공간으로 손가락이나 도구를 넣고, 라운드인출공에 해당하는 영역을 막고 있던 인출부 일측을 들어올려, 접힘부를 제외한 인출부 가장자리를 인출면부로부터 분리시키는 라운드절개단계; 및 인출부를 접힘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켜 젖힘으로써 인출부 영역의 라운드인출공을 개방시키는 인출부접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인출기능을 갖는 승하강케이스를 이용한 인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출단계는: 케이스본체의 상부인 인출면부와 하부인 기저면부 사이에 상하로 소정 거리로 근접되게 물건이 채워진 상태에서 인출면부의 라운드인출공을 통해 물건을 인출하는 완전체인출단계; 케이스본체 내에서 물건을 인출하는 중에 기저면부에 놓인 물건의 상부가 인출면부와 이격된 상태에서, 인출면부와 기저면부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하는 케이스승하강단계; 및 케이스승하강단계로 인출면부와 소정 거리로 가까워진 물건을 인출하는 승하강인출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승하강단계는: 인출면부를 하강시키는 인출면하강단계; 및 기저면부를 상승시키는 기저면승강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인출기능을 갖는 승하강케이스를 이용한 인출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수 낱장이 적층되어 담겨진 승하강케이스에 담겨진 물건을 어느 정도 사용한 후에도 케이스본체 일부를 하강시키거나 또는 상승시킴으로써, 인출되는 부분과 물건이 근접되게 하여 쉽게 물건을 꺼내 사용이 편리한 탁월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주로 인출구가 상부에 위치되므로 상부 케이스가 하강하도록 실시될 수도 있고, 반면 저부 기저면부가 상승하도록 실시될 수도 있는 등, 실시되는 양태에 따라 알맞게 물건을 상승시키거나 케이스를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한 실시양태를 갖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물건을 상승시키는 경우에도 물건을 제외한 케이스본체만으로 물건을 상승시키는 것이므로, 별도의 부재구성이 없이 작동시킴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방법도 편리하여 사용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내부에 적층된 물건을 꺼내는 라운드인출공을 개방하기 위해, 처음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개봉시키게 되는 유도삽입부가 외향으로 또는 내향으로 선택적으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실시되는 케이스에 따라 다양한 실시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케이스 상부의 하강, 케이스 기저면부 및 물건의 상승을 위한 구성을 단지 케이스본체의 전개지 형성시에 함께 전개지에 구성함으로써 제조가 간단하고 전기재에 형성된 구성들이기 때문에 조립과정도 손쉽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케이스의 인출면부가 하강되고 기저면부가 승강된 상태의 일면의 사시도로, 유도삽입부가 내측삽입형으로 실시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케이스의 인출면부가 하강되고 기저면부가 승강된 상태의 일면의 사시도로, 유도삽입부가 외측삽입형으로 실시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케이스의 인출면부가 하강되고 기저면부가 승강된 상태의 타면의 사시도로, 유도삽입부가 외측삽입형으로 실시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케이스의 인출면부가 하강되고 기저면부가 승강된 상태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케이스의 인출면부 및 기저면부가 승하강되기 이전 상태의 일면에 대한 사시도로, 유도삽입부가 내측삽입형으로 실시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케이스의 인출면부 및 기저면부가 승하강되기 이전인 초기 상태에서 내부의 물건을 인출하는 과정에 대한 사시도이며, 내부에 물건이 담겨진 상태를 예시로 보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케이스에서 내부 물건이 인출되는 중에 인출면부가 하강되고 기저면부가 승강되는 상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케이스에서 내부 물건이 인출되는 중에 인출면부가 하강되고 기저면부가 승강된 후 내부 물건이 다시 인출되는 상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케이스의 인출면부가 하강되거나 기저면부가 승강되어 단축일면부와 단축타면부가 외향으로 돌출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케이스의 인출면부가 하강되거나 기저면부가 승강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케이스의 인출면부 및 기저면부가 승하강되기 이전인 초기 상태에서 내부의 물건을 인출하는 과정에 대한 사시도이며, 유도삽입부가 내측삽입형으로 이루어진 실시예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케이스의 인출면부 및 기저면부가 승하강되기 이전인 초기 상태에서 내부의 물건을 인출하는 과정에 대한 사시도이며, 유도삽입부가 외측삽입형으로 이루어진 실시예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케이스의 전개지가 펼쳐진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케이스의 전개지가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케이스의 전개지 상태에서, 기저면부 및 단축일면부가 인출면부에 대해 90도로 접히는 과정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케이스의 전개지 상태에서, 단축타면부가 인출면부에 대해 90도로 접히는 과정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케이스의 전개지 상태에서, 기저면부가 단축일면부에 대해 90도로 접히는 과정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케이스의 전개지 상태에서, 주위의 다른 측면들이 접히는 과정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케이스를 이용한 인출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향상된 인출기능을 갖는 승하강케이스(10), 이러한 승하강케이스(10)를 이용한 인출방법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20 등에서와 같이, 내부에 담겨지는 물건(2)을 꺼내어 인출할 수 있는 외부케이스로써 케이스본체(20)를 이루는 것이다. 이에 승하강케이스(10)의 케이스본체(20)에 담겨지는 물건(2)의 예를 보면, 휴지, 종이, 비닐봉지, 비닐랩, 얇은 두께의 비닐장갑, 타올, 크린백, 지퍼백, 행주, 물티슈, 티슈 등 다양한 물건이 담겨질 수 있다. 대체로 하나씩 낱장으로 꺼내면서 연속해서 꺼낼 수 있는 물건(2)을 담아 꺼내게 된다.
이러한 승하강케이스(10) 중에서 바람직한 예로 비닐백인 크린백을 예로 하여 살펴보면, 대략 50매, 100매 정도가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대용량의 300매, 500매짜리도 사용되는 것이다. 50매, 100매짜리의 경우 내부의 크린백을 거의 다 사용한 상태라 하여도 상부의 인출구로부터 크린백 등의 상층과의 거리가 얼마 떨어지지 않았으므로, 쉽게 꺼낼 수 있다. 하지만 300매나 500매 등 대용량의 케이스일 경우에는 어느 정도 내부 물건인 크린백을 꺼내 쓰고 나면, 남아있는 크린백은 상측 인출구로부터 아래로 떨어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연속인출되는 크린백의 인출이 잘 되지 않는다. 또한 안에 있는 크린백 상측의 것을 잡으려 해도 손가락이 쉽게 인출구로 넣기 어려워서 어느 정도 사용한 대용량의 케이스 내의 크린백 물건을 꺼내 사용하기가 어려운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케이스(10)에서는 내부에 물건(2)을 담은 케이스본체(20) 일측이 변형되게 함으로써 어느 정도 내부 물건(2)을 사용한 경우에 인출부(41)와 물건(2) 상면이 가까워지도록 구비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케이스(10)에 대해 살펴보면, 케이스본체 내부의 물건을 인출부에 해당하는 인출공을 통해 인출하기 위한 케이스에 대한 것이다.
즉 내부의 물건을 인출하는 인출부(41)의 높이가 하강하는 하강기능; 및 내부의 물건을 아래에서 지지하는 기저면이 상승하는 승강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인출기능을 갖는 승하강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어느 정도 내부의 물건(2)을 사용한 후, 인출부(41)의 높이를 하강시키던가, 또는 물건(2)의 높이를 높이는 것으로, 결국 인출부(41)에 의해 형성된 라운드인출공(50)과 물건(2)의 상측 부분과의 이격된 거리가 좁아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써 인출부(41)에 의해 형성된 라운드인출공(50)을 통한 물건(2)의 인출이 항상 용이하도록 마련된 것이다.
특히 물건(2)은 비닐백인 크린백, 장갑, 지퍼백, 티슈 등과 같이 낱장이 층층으로 쌓여 이루어진 적층된 물건에 적용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적층되지 않더라도 많은 수로 담겨진 물건의 경우 어느 정도 사용 후에는 담겨진 물건이 상측 인출부로부터 이격된 경우에 상부 인출부를 내리거나 또는 아래의 기저부를 올려 상승되게 함으로써 인출부와 물건이 가까워져 인출하기가 용이하도록 실시될 수 있다.
이처럼 케이스본체(20)의 인출부 또는 기저부분을 내리거나 올리기 위한 실 구성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실시될 수 있다. 즉 케이스본체(20)의 측면 중 소정 부분을 접거나 굽혀지게 함으로써 상부면인 인출면부(22)가 아래로 내려가도록 하거나 또는 기저의 기저면부(24)가 올라가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특히 케이스본체(20) 소정 측면을 소정 길이만큼 접거나 굽어지게 함으로서 승하강 기능을 갖게 하는 것이다.
보다 바람직한 경우의 예를 보면 다음과 같다.
즉 케이스본체 내부의 물건을 인출부에 의해 형성된 라운드인출공(50)을 통해 인출하기 위한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20)는, 인출부(41)가 있는 인출면부(22), 및 기저를 이루는 기저면부(24) 등이 물건의 상하로 위치된다.
그리고 케이스본체(20)는, 인출면부(22)와 기저면부(24) 사이의 단축일면부(26)와 단축타면부(28) 및 단축일면부(26) 및 단축타면부(28)를 비롯한 소정의 측면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케이스본체(20)는 바람직하게는 직육면체로써 측면이 4개의 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바람직한 예로 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측면이 삼면을 이루어 수평단면이 삼각형을 이루는 입체, 수평단면이 원형이나 타원형을 이루는 원기둥, 타원기둥의 입체, 그외에도 다양한 다면체나 다수 면들을 전체적으로 포함한 입체 등으로 된 케이스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입체의 케이스 중에서 대향되거나 대응되는 두 개 이상의 면들에 접히는 부분을 형성하고, 이러한 접히는 부분을 접는 경우 물건과 인출부분과 좀더 가까워지도록 실시될 수 있다.
이에 보다 바람직한 예를 보인 첨부된 도면의 예에서처럼, 직육면체로 되는 것이며, 이러한 직육면체의 경우, 마주하는 두 개의 측면인 단축일면부(26) 및 단축타면부(28) 등에 접히는 하강모서리라인(31)과 승강모서리라인(33) 등을 형성하여, 이러한 하강모서리라인(31)과 승강모서리라인(33)이 접히는 경우에 인출부(41)와 물건(2) 상면이 좀더 가까워지도록 실시되는 것이다.
즉 상기 인출면부(22)가 하강하는 기능 및 기저면부(24)가 상승하는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개별 구성들의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이에 상기 케이스본체(20)에는 인출부(41)에 의해 형성된 공간인 라운드인출공(50)으로 물건을 인출하며, 상기 라운드인출공(50)의 가장자리는 곡선형태, 직선형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인출면부(22)는, 인출부(41), 접힘부(42), 개봉라인부, 유도삽입부(45) 등을 포함한 것이다. 이에 인출부(41)는 물건을 인출하게 될 라운드인출공(50)의 영역에 위치된 것으로, 인출부(41)가 제거된 라운드인출공(50)을 통하여 내부의 물건을 인출하게 되며, 라운드인출공(50)의 대부분의 영역이 해당된다.
또한 접힘부(42)는 인출부(41)와 인출면부(22) 사이에서 접히는 부분이며 인출부(41)와 인출면부(22)를 연결시키는 것이다. 물론 접힘부를 형성하지 않고 완전히 인출부(41)가 인출면부(22)로부터 분리되도록 실시될 수도 있으나, 내부에 담겨진 물건을 꺼내다가 남아있는 상태에서도, 인출부(41)를 다시 닫아 이물질 투입을 방지하는 등, 물건을 보호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출부(41) 일측이 접힘부(42)에 의해 인출면부(22)에 연결된 상태로 라운드인출공(50)을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갖도록 함이 좋을 것이다.
아울러 다수 개봉라인부는 인출부(41)와 인출면부(22) 사이의 다른 일측에서 점선 형태 및 선 형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뚫거나 가압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개봉라인들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개봉라인부는 원, 직선 등 다양한 형태를 갖고, 완전히 뚫려 관통되는 부분도 있으며 반면 가압에 의해 다른 부분보다 얇으면서 약해지도록 가압된 라인의 형태를 이룰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힘에 의해 개봉라인부가 다른 곳보다 약하기 때문에 개봉라인부를 따라 절개되어 개봉라인부가 위치된 인출부(41)는 인출면부(22)와 분리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개봉라인부에 대해 좀더 상세히 구분해서 살펴보면, 첨부된 도면의 예에서는 접힘부(42)에 회동하는 인출부(41)에 대해 중간 부분이 구분되어 인출부(41)의 중간에서 접힘부(42)와의 사이부분과, 접힘부(42)의 반대측 부분으로 하여 개봉라인부를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간부분의 폭이 가장 넓게 형성한 것으로, 이로 인해 형성된 라운드인출공(50)도 중간 부분의 너비가 가장 넓게 형성되며, 라운드인출공(50)의 형태는 원형, 사각, 등의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또한 제작 환경에 알맞게 다양한 불규칙 형태를 이룰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첨부된 도면의 예에서 살펴보면, 접힘부(42)의 반대측 부분에 해당되는 것으로, 점선 형태 및 선 형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뚫거나 가압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개봉부분들이 원호로 배열되는 라운드개봉라인부(43)가 마련된다. 이러한 라운드개봉라인부(43)는 사용자가 인출부(41)를 뜯을 때 접힘부(42)에 가까운 부분보다 먼저 절개되는 것으로, 절개 과정의 도입에 해당될 것이다. 따라서 직선의 형태보다는 곡선의 형태로 부드럽게 절개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접힘부(42)에 가까운 부분에 해당되는 것으로, 점선 형태 및 선 형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뚫거나 가압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개봉부분들이 직선으로 배열되는 내향개봉라인부(44)가 마련된다. 즉 라운드개봉라인부(43)에 의해 인출부(41)가 인출면부(22)로부터 어느 정도 분리된 상태이므로, 나머지 부분은 비교적 쉽게 절개되는 것이며, 이에 내향개봉라인부(44)는 빠르게 절개되도록 직선 형태를 갖는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실시되는 상황에 따라 라운드개봉라인부(43)와 내향개봉라인부(44)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개봉라인부를 포함하도록 하여, 다양한 기능을 갖도록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운드개봉라인부(43) 또는 내향개봉라인부(44)에 형성된 개봉부분들에 의해 형성된 원호 또는 직선의 배열은 하나 또는 다수의 배열을 이루는 것이다. 즉 하나의 배열로만 형성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보다 큰 크기의 케이스일 경우에는 다수의 배열로 여러 라인들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보다 쉽게 절개될 수 있도록 실시될 것이다.
또한 유도삽입부(45)는, 상기 개봉라인부를 절개하기 전에 인출부(41)의 소정 부분을 절개하기 위한 것이다. 즉 사용자가 도구나 주로 손가락을 이용하여 인출부(41)를 개봉시키나 이에 앞서 인출부(41) 일측에 소형으로 절개가 가능한 부분인 유도삽입부(45)를 통해 먼저 개봉한 이후, 인출부(41)를 개봉하도록 마련한 것이다. 이는 인출부(41)는 유도삽입부(45)에 비해 대면적으로 이루어져 한번에 개봉하기가 어려운 반면, 유도삽입부(45)는 비교적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고, 유도삽입부(45) 주위를 둘러 개봉이 가능한 라인이 형성된 것이므로, 쉽게 절개 및 개봉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쉽게 개봉이 가능한 유도삽입부(45)를 먼저 개봉한 이후, 나머지 인출부(41)를 잡아 개봉시킴으로써 라운드인출공(50)이 열려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유도삽입부(45)는 형성된 방향이 인출부(41) 측으로 형성된 내측삽입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또한 인출부(41)의 반대방향인 인출면부(22) 측으로 형성된 외측삽입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내측삽입형의 유도삽입부(45)의 경우 전체적인 케이스가 작게 실시될 경우에 차지하는 면적을 적게 함으로써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외측삽입형의 유도삽입부(45)의 경우 대면적의 인출면부(22)에 적합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내부에 물건을 상측 인출면부(22)에 형성된 인출부(41)를 개봉한 라운드인출공(50)을 통하여 꺼내도록 마련된 승하강케이스(10)에서의 인출을 위한 부재들을 살펴본 것이며, 이와 같은 승하강케이스(10)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으로 물건을 꺼내기 위한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대체로 승하강케이스(10) 내부에는 물건이 채워진 상태로 처음에 사용된다. 바람직한 예로써 비닐백(크린백), 티슈 등 두께가 얇은 낱장이 다수로 적층되어 담겨진 물건을 예로 들면, 각 낱장의 맨 위로부터 차츰 라운드인출공을 통해 꺼내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사용하는 중에 점차로 각 낱장의 높이는 점차로 낮아지게 되고, 결국 어느 한계에서는 사용자 손이 닿지 않을 정도로 낮게 되면 꺼내어 사용하기가 쉽지 않게 된다. 이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케이스(10)에서는, 상측의 인출면부(22)를 아래로 내려가게 하거나 또는 물건을 위로 올리도록 실시되는 것이다. 이 중에서 인출면부(22)를 아래로 내려 물건과 라운드인출공이 가깝게 되도록 실시되는 예를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써, 물건을 인출하는 인출부(41)가 위치된 인출면부(22) 또는 물건의 저부의 기저면부(24)에 대해, 인출면부(22)와 기저면부(24)를 연결하는 측방향의 단축일면부(26)와 단축타면부(28)가 구비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상기 단축일면부(26) 및 단축타면부(28)에는, 인출부(41)가 위치된 인출면부(22)가 하강함에 따라 굽혀지는 하강모서리라인(31)을 포함하는 것이다.
즉 첨부된 도면의 예에서 보면, 하강모서리라인(31)은 인출면부(22)가 아래로 하강하지 않고 직육면체 형태로 있을 경우에는, 단축일면부(26) 및 단축타면부(28)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눌려진 자국만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하강모서리라인(31)은 단축일면부(26) 및 단축타면부(28)의 다른 면에 비해 눌려져 약해진 선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인출면부(22)가 아래로 하강하면, 단축일면부(26) 및 단축타면부(28)의 다른 부분보다 비교적 약하게 되면서 선을 형성한 하강모서리라인(31)이 굽혀지면서, 인출면부(22)와 단축일면부(26) 및 단축타면부(28) 등의 상부측들은 다른 측면의 넓은 부분들과는 서로 다른 각도를 형성하면서 하강모서리라인(31)인 경계부분이 굽혀진 상태를 갖게 된다. 아울러 인출면부(22)는 높이가 낮아진 상태로 되어, 인출면부(22)의 라운드인출공(50)은 물건의 상면에 근접한 상태를 이루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하강모서리라인(31)을 좀더 세분화해서 살펴보면, 인출면부(22)가 하강함에 따라 굽혀지면서 인출면부(22)와 동일 또는 근접된 높이를 형성하는 하강모서리중앙라인(311); 및 인출면부(22)가 하강함에 따라 굽혀지면서, 일측 끝단은 하강모서리중앙라인(311)과 접하고, 타측은 케이스본체(20)의 소정의 꼭짓점과 이어지는 하강모서리경사라인(312) 등을 포함한 것이다.
중앙에서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하강모서리중앙라인(311)에 대해, 양측의 끝에는 각각 하강모서리경사라인(312) 등이 굽혀진 상태를 갖는다. 아울러 하강모서리중앙라인(311)의 높이는 인출면부(22)의 대부분 및 라운드인출공(50) 등의 높이가 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인출면부(22)의 하강으로 인해 상기 단축일면부(26) 및 단축타면부(28)에 형성된 굽혀진 부분인 측면굽힘곡선부(35)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승하강케이스(10)의 인출면부(22)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양측 측방향인 단축일면부(26)와 단축타면부(28)는 각각 옆방향으로 퍼지는 형상을 갖게 되는 반면, 다른 측면과 이어진 모서리부분의 폭은 그대로 유지되므로, 폭이 넓어지는 중앙 부분의 양측 끝은 점차로 폭이 원래의 폭으로 좁아지는 경사부분이 형성된다. 이러한 중앙의 넓은 폭과 경사로 좁아지는 부분의 경계인 수직방향으로 측면굽힘곡선부(35)가 상하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인출면부(22)는 아래로 하강하고, 대향되는 단축일면부(26) 및 단축타면부(28) 등의 중앙 부분은 외향으로 넓어지는 폭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인출면부(22)가 하강하고, 양측 단축일면부(26) 및 단축타면부(28)의 상측에 형성된 하강모서리라인(31)이 굽혀짐으로 인해, 하강모서리라인(31)의 상부인 단축일면부(26)였던 부분에는 좁은 면적을 갖는 소상일면부(36)가 형성되고, 단축타면부(28)였던 부분에는 좁은 면적을 갖는 소상타면부(37)가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인출면부(22)와 함께 소상일면부(36) 및 소상타면부(37) 등이 상부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인출면부(22)의 하강으로 인해 가운데의 평면과 가장자리 경사면이 소정 각도를 이루어 형성된 경계라인의 하강굽힘라인(32)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하강굽힘라인(32)은, 인출면부(22)의 중앙부분과 가장자리 부분의 경계 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 인출면부(22)에 형성된 경계라인인 하강굽힘인출면라인(321); 및 인출면부(22)의 하강으로 인해 인출면부(22)와 연속 평면 또는 완경사를 이루게 된 소상일면부(36) 또는 소상타면부(37)에 형성된 경계라인인 하강굽힘측면라인(322) 등을 포함한 것이다.
즉 이러한 하강굽힘인출면라인(321) 및 하강굽힘측면라인(322) 등을 포함한 하강굽힘라인(32)을 중심으로 하여 볼 때, 평면을 이루는 인출면부(22), 소상일면부(36) 및 소상타면부(37) 등은 하강하여 물건의 상면과 근접한 상태를 갖는 기능성을 구비하는 반면, 하강굽힘라인(32) 반대측의 경사면은 끝단이 원래 직육면체인 승하강케이스(10)의 다른 측면과 연결되는 것이므로, 승하강케이스(10) 자체를 훼손하지도 않아 내부 물건을 변형시키지 않으면서도 좀더 편리하게 내부 물건을 꺼낼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케이스(10)에 의한 기능 중에 물건을 상향으로 승강시키는 구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즉 물건을 인출하는 인출부(41)가 위치된 인출면부(22) 또는 물건의 저부의 기저면부(24)에 대해, 인출면부(22)와 기저면부(24)를 연결하는 측방향인 단축일면부(26) 및 단축타면부(28)가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단축일면부(26) 및 단축타면부(28)에는, 기저면부(24)가 상승함에 따라 굽혀지는 승강모서리라인(33)을 포함하는 것이다.
즉 첨부된 도면의 예에서 보면, 승강모서리라인(33)은 기저면부(24)가 상향으로 승강하지 않고 직육면체 형태로 있을 경우에는, 단축일면부(26) 및 단축타면부(28)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눌려진 자국만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승강모서리라인(33)은 단축일면부(26) 및 단축타면부(28)의 다른 면에 비해 눌려져 약해진 선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기저면부(24)가 상향으로 승강하면, 단축일면부(26) 및 단축타면부(28)의 다른 부분보다 비교적 약하게 되면서 선을 형성한 승강모서리라인(33)이 굽혀지면서, 기저면부(24)와 단축일면부(26) 및 단축타면부(28) 등의 하부측들은 다른 측면들의 넓은 부분들과는 서로 다른 각도를 형성하면서 승강모서리라인(33)인 경계부분이 굽혀진 상태를 갖게 된다. 아울러 기저면부(24)는 높이가 올라간 상태로 되면서 기저면부(24)는 내부의 물건도 함께 올리게 됨으로 인해서, 물건의 상부와 인출면부(22)의 라운드인출공(50)이 서로 근접된 상태를 갖게 된다.
이러한 상기 승강모서리라인(33)을 좀더 세분화해서 살펴보면, 상기 승강모서리라인(33)은, 기저면부(24)가 상승함에 따라 굽혀지면서 기저면부(24)에 동일 또는 근접된 높이를 형성하는 승강모서리중앙라인(331); 및 기저면부(24)가 상승함에 따라 굽혀지면서, 일측 끝단은 승강모서리중앙라인(331)과 접하고, 타측은 케이스본체(20)의 소정의 꼭짓점과 이어지는 승강모서리경사라인(332)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중앙에서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승강모서리중앙라인(331)에 대해, 양측의 끝에는 각각 승강모서리경사라인(332) 등이 굽혀진 상태를 갖는다. 아울러 승강모서리중앙라인(331)의 높이는 기저면부(24)의 대부분의 높이가 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기저면부(24)의 상승으로 인해서도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단축일면부(26) 및 단축타면부(28)에 형성된 굽혀진 부분인 측면굽힘곡선부(35)를 형성하게 된다. 즉 기저면부(24)의 상승으로 인해 양측 단축일면부(26) 및 단축타면부(28) 등이 굽혀지면서 옆으로 확장된 평면 부분과 경사부분의 경계에 측면굽힘곡선부(35)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기저면부(24)가 상승하고, 양측 단축일면부(26) 및 단축타면부(28)의 하측에 형성된 승강모서리라인(33)이 굽혀짐으로 인해, 승강모서리라인(33) 아래의 단축일면부(26)였던 부분에는 좁은 면적을 갖는 소하일면부(38)가 형성되고, 단축타면부(28)였던 부분에는 좁은 면적을 갖는 소하타면부(39)가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기저면부(24)와 함께 소하일면부(38) 및 소하타면부(39) 등이 하부저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기저면부(24)의 상승으로 인해 가운데의 평면과 가장자리 경사면이 소정 각도를 이루어 형성된 경계라인의 승강굽힘라인(34)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승강굽힘라인(34)은, 기저면부(24)에 형성된 경계라인인 승강굽힘기저면라인(341); 및 기저면부(24)의 상승으로 인해 기저면부(22)와 연속 평면 또는 완경사를 이루게 된 소하일면부(38) 또는 소하타면부(39)에 형성된 경계라인인 승강굽힘측면라인(342)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즉 이러한 승강굽힘인출면라인(341) 및 승강굽힘측면라인(342) 등을 포함한 승강굽힘라인(34)을 중심으로 하여 볼 때, 평면을 이루는 기저면부(24), 소하일면부(38) 및 소하타면부(39) 등은 상승하여 물건도 함께 상승시켜 케이스본체(20)의 인출면부(22)와 근접한 상태를 갖는 기능성을 구비하는 반면, 승강굽힘라인(34) 반대측의 경사면은 끝단이 원래 직육면체인 승하강케이스(10)의 다른 측면과 연결되는 것이므로, 승하강케이스(10) 자체를 훼손하지도 않아 내부 물건을 변형시키지 않으면서도 좀더 편리하게 내부 물건을 꺼낼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마련된 본 발명에 따른 향상된 인출기능을 갖는 승하강케이스(10)를 통하여 내부 물건을 인출하는 인출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첨부의 도면들에서처럼, 승하강케이스(10)의 전개지에 케이스본체(20) 형태로 절단하고 절첩부분을 가압하고 천공부분을 천공시켜 케이스본체(20)의 전개지를 형성하는 전개지형성단계(S10)를 수행한다.
그리고 전개형태의 케이스본체(20) 전개지의 절첩부분을 따라 절첩하여 입체 케이스 형태의 케이스본체(20)를 형성하는 케이스접합단계(S20)를 수행한다. 이로써 승하강케이스(10)의 대략적인 외형의 형태를 갖추는 것이다.
이후 케이스본체(20) 내에 물건을 담고 접합부분을 접합하는 내부탑재단계(S30)를 수행한다. 그리하여 케이스본체(20) 내부에 물건이 담겨지는 것으로, 이상의 과정은 작업자의 손으로 일일이 작업할 수도 있으나, 자동화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더욱 편리하게 작업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더하여 케이스본체(20) 내의 물건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공인 라운드인출공(50)을 형성하는 인출공개방단계(S40)를 수행하는 것으로, 물건을 내부에서 꺼내기 위한 준비과정인 것이다.
이러한 상기 인출공개방단계(S40)에 대해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우선 케이스본체(20) 내의 물건을 인출하기 위한 공간인 라운드인출공(50) 일측에 마련된 유도삽입부(45)를 가압으로 뚫어 개방시키는 유도삽입부개방단계(S41)를 수행한다. 그리하여 인출부(41)를 개방시키기 위한 선행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유도삽입부(45)를 뚫어 형성된 공간으로 손가락이나 도구를 넣고, 라운드인출공(50)에 해당하는 영역을 막고 있던 인출부(41) 일측을 들어올려, 접힘부(42)를 제외한 인출부(41) 가장자리를 인출면부(22)로부터 분리시키는 라운드절개단계(S42)를 수행한다. 즉 인출부(41)와 인출면부(22) 사이가 간간히 연결되어 있던 상태에서, 각 개봉라인부가 절개되도록 함으로써 접힘부(42)를 제외한 인출부(41)가 인출면부(22)와 분리되게 하는 것이다.
나아가 인출부(41)를 접힘부(42)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켜 젖힘으로써 인출부(41) 영역의 라운드인출공(50)을 개방시키는 인출부접힘단계(S43)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로써 라운드인출공(50)은 완전히 개방되는 것이다.
그리고 라운드인출공(50)을 통해 케이스본체(20) 내의 물건을 인출하는 인출단계(S50)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로써 인출된 물건으로써 티슈나 크린백(비닐백) 등을 사용하게 된다. 이처럼 사용하는 물건을 꺼내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기 인출단계(S50)는 내부 물건을 꺼내는 상태에 따라 단계별로 아래와 같이 인출단계를 세분화하여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처음 인출단계로써, 케이스본체(20)의 상부인 인출면부(22)와 하부인 기저면부(24) 사이에 상하로 근접되게 물건이 채워진 상태에서 인출면부(22)의 라운드인출공(50)을 통해 물건을 인출하는 완전체인출단계(S51)를 수행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케이스본체(20) 내에서 물건을 인출하는 중에 기저면부(24)에 놓인 물건의 상부가 인출면부(22)와 이격된 상태에서, 인출면부(22)와 기저면부(24)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하는 케이스승하강단계를 수행한다.
또한 케이스승하강단계로 인출면부(22)와 가까워진 물건을 인출하는 승하강인출단계를 수행한다. 즉 케이스승하강단계에 의해 물건을 꺼내기 쉬운 상황에서 물건을 손쉽게 꺼내게 된다.
이에 이러한 상기 케이스승하강단계는 아래와 같이 단일 과정 또는 복합구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인출면부(22)를 하강시키는 인출면하강단계(S52); 및 기저면부(24)를 상승시키는 기저면승강단계(S53)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하여 실시될 수 있다.
케이스본체(20) 상부면인 인출면부(22)를 아래로 하강시키던가, 또는 물건의 아래에 있는 기저면부(24) 및 물건을 상승시키는 과정을 수행하여, 물건이 라운드인출공(50)에 근접하게 실시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향상된 인출기능을 갖는 승하강케이스(10) 및 이를 이용한 인출방법에 의하면, 특히 대용량으로 내부에 물건이 담겨진 상태에서, 내부 물건을 꺼내는 중에 점차로 인출공으로부터 물건이 멀어질 경우, 좀더 손쉽게 물건을 꺼내기 위해 인출공을 하강시키던가 물건을 올리는 것이며, 특히 물건, 케이스본체(20) 이외에 다른 구성없이 케이스본체의 기능만으로도 손쉽게 상황별로 물건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0 : 승하강케이스 2 : 물건
20 : 케이스본체 22 : 인출면부
24 : 기저면부 26 : 단축일면부
28 : 단축타면부 31 : 하강모서리라인
32 : 하강굽힘라인 33 : 승강모서리라인
34 : 승강굽힘라인 35 : 측면굽힘곡선부
41 : 인출부 42 : 접힘부
43 : 라운드개봉라인부 44 : 내향개봉라인부
45 : 유도삽입부 50 : 라운드인출공

Claims (12)

  1. 케이스본체(20) 내부의 물건을 인출부(41)에 의해 형성된 인출공을 통해 인출하기 위한 케이스에 있어서,
    내부의 물건을 인출하는 인출부(41)의 높이가 하강하는 하강기능; 및
    내부의 물건을 아래에서 지지하는 기저면이 상승하는 승강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하강기능으로 인출부(41)와 함께 인출면부(22)의 하강으로 인해 가운데의 평면과 가장자리 경사면이 소정 각도를 이루어 형성된 경계라인의 하강굽힘라인(32)을 포함하고,
    상기 하강굽힘라인(32)은:
    인출면부(22)에 형성된 경계라인인 하강굽힘인출면라인(321); 및
    인출면부(22)의 하강으로 인해 인출면부(22)와 연속 평면 또는 완경사를 이루게 된 소상일면부(36) 또는 소상타면부(37)에 형성된 경계라인인 하강굽힘측면라인(322)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기능으로 기저면인 기저면부(24)의 상승으로 인해 가운데의 평면과 가장자리 경사면이 소정 각도를 이루어 형성된 경계라인의 승강굽힘라인(34)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굽힘라인(34)은:
    기저면부(24)에 형성된 경계라인인 승강굽힘기저면라인(341); 및
    기저면부(24)의 상승으로 인해 기저면부(24)와 연속 평면 또는 완경사를 이루게 된 소하일면부(38) 또는 소하타면부(39)에 형성된 경계라인인 승강굽힘측면라인(3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인출기능을 갖는 승하강케이스.
  2. 케이스본체(20) 내부의 물건을 인출부(41)에 의해 형성된 인출공을 통해 인출하기 위한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20)는:
    인출부(41)가 있는 인출면부(22);
    기저를 이루는 기저면부(24);
    인출면부(22)와 기저면부(24) 사이의 단축일면부(26)와 단축타면부(28); 및
    단축일면부(26) 및 단축타면부(28)를 비롯한 소정의 측면들을 포함하며,
    상기 인출면부(22)가 하강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인출면부(22)가 하강하는 기능으로 인출부(41)와 함께 인출면부(22)의 하강으로 인해 가운데의 평면과 가장자리 경사면이 소정 각도를 이루어 형성된 경계라인의 하강굽힘라인(32)을 포함하고,
    상기 하강굽힘라인(32)은:
    인출면부(22)에 형성된 경계라인인 하강굽힘인출면라인(321); 및
    인출면부(22)의 하강으로 인해 인출면부(22)와 연속 평면 또는 완경사를 이루게 된 소상일면부(36) 또는 소상타면부(37)에 형성된 경계라인인 하강굽힘측면라인(3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인출기능을 갖는 승하강케이스.
  3. 케이스본체(20) 내부의 물건을 인출부(41)에 의해 형성된 인출공을 통해 인출하기 위한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20)는:
    인출부(41)가 있는 인출면부(22);
    기저를 이루는 기저면부(24);
    인출면부(22)와 기저면부(24) 사이의 단축일면부(26)와 단축타면부(28); 및
    단축일면부(26) 및 단축타면부(28)를 비롯한 소정의 측면들을 포함하며,
    상기 기저면부(24)가 상승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기저면부(24)가 상승하는 기능으로 기저면인 기저면부(24)의 상승으로 인해 가운데의 평면과 가장자리 경사면이 소정 각도를 이루어 형성된 경계라인의 승강굽힘라인(34)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굽힘라인(34)은:
    기저면부(24)에 형성된 경계라인인 승강굽힘기저면라인(341); 및
    기저면부(24)의 상승으로 인해 기저면부(24)와 연속 평면 또는 완경사를 이루게 된 소하일면부(38) 또는 소하타면부(39)에 형성된 경계라인인 승강굽힘측면라인(3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인출기능을 갖는 승하강케이스.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20)에는 인출부(41)에 의해 형성된 공간인 라운드인출공(50)으로 물건을 인출하며,
    상기 라운드인출공(50)의 가장자리는 곡선형태, 직선형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인출기능을 갖는 승하강케이스.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면부(22)는:
    물건을 인출하게 될 라운드인출공(50)의 영역에 위치된 인출부(41);
    인출부(41)와 인출면부(22) 사이에서 접히는 부분이며 인출부(41)와 인출면부(22)를 연결시키는 접힘부(42);
    인출부(41)와 인출면부(22) 사이의 다른 일측에서 점선 형태 및 선 형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뚫거나 가압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개봉라인들로 이루어지는 개봉라인부; 및
    상기 개봉라인부를 절개하기 전에 인출부(41)의 소정 부분을 절개하기 위한 유도삽입부(45)를 포함하고,
    상기 개봉라인부는:
    점선 형태 및 선 형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뚫거나 가압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개봉부분들이 원호로 배열되는 라운드개봉라인부(43); 및
    점선 형태 및 선 형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뚫거나 가압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개봉부분들이 직선으로 배열되는 내향개봉라인부(44);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개봉라인부를 포함하며,
    상기 라운드개봉라인부(43) 또는 내향개봉라인부(44)에 형성된 개봉부분들에 의해 형성된 원호 또는 직선의 배열은 하나 또는 다수의 배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인출기능을 갖는 승하강케이스.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건을 인출하는 인출부(41)가 위치된 인출면부(22) 또는 물건의 저부의 기저면부(24)에 대해, 인출면부(22)와 기저면부(24)를 연결하는 측방향의 단축일면부(26)와 단축타면부(28)가 구비되고,
    상기 단축일면부(26) 및 단축타면부(28)에는,
    인출부(41)가 위치된 인출면부(22)가 하강함에 따라 굽혀지는 하강모서리라인(31)을 포함하며,
    인출면부(22)의 하강으로 인해 상기 단축일면부(26) 및 단축타면부(28)에 형성된 굽혀진 부분인 측면굽힘곡선부(35)를 포함하고,
    상기 하강모서리라인(31)은:
    인출면부(22)가 하강함에 따라 굽혀지면서 인출면부(22)와 동일 또는 소정 기울기로 근접된 높이를 형성하는 하강모서리중앙라인(311); 및
    인출면부(22)가 하강함에 따라 굽혀지면서, 일측 끝단은 하강모서리중앙라인(311)과 접하고, 타측은 케이스본체(20)의 소정의 꼭짓점과 이어지는 하강모서리경사라인(3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인출기능을 갖는 승하강케이스.
  7. 삭제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건을 인출하는 인출부(41)가 위치된 인출면부(22) 또는 물건의 저부의 기저면부(24)에 대해, 인출면부(22)와 기저면부(24)를 연결하는 측방향인 단축일면부(26) 및 단축타면부(28)가 구비되고,
    상기 단축일면부(26) 및 단축타면부(28)에는,
    기저면부(24)가 상승함에 따라 굽혀지는 승강모서리라인(33)을 포함하며,
    기저면부(24)의 상승으로 인해 상기 단축일면부(26) 및 단축타면부(28)에 형성된 굽혀진 부분인 측면굽힘곡선부(35)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모서리라인(33)은:
    기저면부(24)가 상승함에 따라 굽혀지면서 기저면부(24)에 동일 또는 소정 기울기로 근접된 높이를 형성하는 승강모서리중앙라인(331); 및
    기저면부(24)가 상승함에 따라 굽혀지면서, 일측 끝단은 승강모서리중앙라인(331)과 접하고, 타측은 케이스본체(20)의 소정의 꼭짓점과 이어지는 승강모서리경사라인(3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인출기능을 갖는 승하강케이스.
  9. 삭제
  10. 승하강케이스(10)의 전개지에 케이스본체(20) 형태로 절단하고 절첩부분을 가압하고 천공부분을 천공시켜 케이스본체(20)의 전개지를 형성하는 전개지형성단계;
    케이스본체(20) 전개지의 절첩부분을 따라 절첩하여 입체 케이스 형태의 케이스본체(20)를 형성하는 케이스접합단계;
    케이스본체(20) 내에 물건을 담고 접합부분을 접합하는 내부탑재단계;
    케이스본체(20) 내의 물건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공인 라운드인출공(50)을 형성하는 인출공개방단계; 및
    라운드인출공(50)을 통해 케이스본체(20) 내의 물건을 인출하는 인출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단계는:
    케이스본체(20)의 상부인 인출면부(22)와 하부인 기저면부(24) 사이에 상하로 소정 거리로 근접되게 물건이 채워진 상태에서 인출면부(22)의 라운드인출공(50)을 통해 물건을 인출하는 완전체인출단계;
    케이스본체(20) 내에서 물건을 인출하는 중에 기저면부(24)에 놓인 물건의 상부가 인출면부(22)와 이격된 상태에서, 인출면부(22)와 기저면부(24)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하는 케이스승하강단계; 및
    케이스승하강단계로 인출면부(22)와 소정 거리로 가까워진 물건을 인출하는 승하강인출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승하강단계는:
    인출면부(22)를 하강시키는 인출면하강단계; 및
    기저면부(24)를 상승시키는 기저면승강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인출기능을 갖는 승하강케이스를 이용한 인출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공개방단계는:
    케이스본체(20) 내의 물건을 인출하기 위한 공간인 라운드인출공(50) 일측에 마련된 유도삽입부(45)를 가압으로 뚫어 개방시키는 유도삽입부개방단계;
    유도삽입부(45)를 뚫어 형성된 공간으로 손가락이나 도구를 넣고, 라운드인출공(50)에 해당하는 영역을 막고 있던 인출부(41) 일측을 들어올려, 접힘부(42)를 제외한 인출부(41) 가장자리를 인출면부(22)로부터 분리시키는 라운드절개단계; 및
    인출부(41)를 접힘부(42)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켜 젖힘으로써 인출부(41) 영역의 라운드인출공(50)을 개방시키는 인출부접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인출기능을 갖는 승하강케이스를 이용한 인출방법.
  12. 삭제
KR1020140066765A 2014-06-02 2014-06-02 향상된 인출기능을 갖는 승하강케이스 및 승하강케이스를 이용한 인출방법 KR101581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765A KR101581787B1 (ko) 2014-06-02 2014-06-02 향상된 인출기능을 갖는 승하강케이스 및 승하강케이스를 이용한 인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765A KR101581787B1 (ko) 2014-06-02 2014-06-02 향상된 인출기능을 갖는 승하강케이스 및 승하강케이스를 이용한 인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630A KR20150138630A (ko) 2015-12-10
KR101581787B1 true KR101581787B1 (ko) 2015-12-31

Family

ID=54979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6765A KR101581787B1 (ko) 2014-06-02 2014-06-02 향상된 인출기능을 갖는 승하강케이스 및 승하강케이스를 이용한 인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17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4504A (ko) 2018-04-26 2019-11-05 주식회사 거산 뽑아 쓰는 일회용 비닐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1014A (ja) * 2007-10-09 2009-04-30 Daiki:Kk 底上げ可能なシート用収納箱とその底上げ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6481A (ja) * 1992-11-18 1994-06-03 Satoyuki Kondo おりたたみティッシュ箱
KR960027979A (ko) 1994-12-29 1996-07-22 김준성 음성메시지 전송장치 및 그 전송 방법
JPH0928613A (ja) * 1995-07-20 1997-02-04 Kyodo Printing Co Ltd ティッシュペーパー用紙箱
KR100231182B1 (ko) 1996-09-24 1999-11-15 김영남 Fed장치용 이중 애노우드 전극
JP2006061954A (ja) 2004-08-27 2006-03-09 Sony Corp 基板加工装置および基板加工方法
KR101099335B1 (ko) * 2009-06-30 2011-12-26 미래생활 주식회사 다단 상승구조를 갖는 화장지 박스
DE102009054830A1 (de) 2009-12-17 2011-06-22 Robert Bosch GmbH, 70469 Scheibenwischvorrichtu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1014A (ja) * 2007-10-09 2009-04-30 Daiki:Kk 底上げ可能なシート用収納箱とその底上げ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4504A (ko) 2018-04-26 2019-11-05 주식회사 거산 뽑아 쓰는 일회용 비닐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630A (ko) 2015-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407360B2 (en) Dispenser for interfolded napkins
US11161646B1 (en) Box with interior lift mechanism
JP6196245B2 (ja) タバコ製品用パケット
KR101581787B1 (ko) 향상된 인출기능을 갖는 승하강케이스 및 승하강케이스를 이용한 인출방법
US9451851B1 (en) Tissue dispenser with tissue supply advancing feature
KR101091072B1 (ko) 2단 빨대
JP5038635B2 (ja) 縦置き開封ケース
JP6282024B2 (ja) 手袋包装体
KR200459567Y1 (ko) 탄성지지부를 내장한 화장지 케이스
JP5149642B2 (ja) 書類収納箱
JP3217095U (ja) ポリエチレン袋の包装袋
CN209905291U (zh) 一种抽屉式弹出纸盒
JP3202591U (ja) 手袋包装体
JP3217096U (ja) ポリエチレン袋の包装袋
KR101182547B1 (ko) 2단 인출구가 형성된 비닐백 케이스
CN105966699B (zh) 二极管编带装包工装及其方法
CN213769358U (zh) 一种可叠放的置物筐
KR20230068921A (ko) 포장상자
JP6302656B2 (ja) 収容箱入りシート状物
JP3206075U (ja) ポケットティッシュ収納容器
JP2019099225A (ja) 収納箱
US20190009945A1 (en) Receiving container
WO2017034918A1 (en) Golf ball case
JP5516327B2 (ja) 鉛蓄電池用外装箱
KR20230068919A (ko) 포장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