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1554B1 - 강판의 판폭 측정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강판의 판폭 측정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1554B1
KR101581554B1 KR1020140064368A KR20140064368A KR101581554B1 KR 101581554 B1 KR101581554 B1 KR 101581554B1 KR 1020140064368 A KR1020140064368 A KR 1020140064368A KR 20140064368 A KR20140064368 A KR 20140064368A KR 101581554 B1 KR101581554 B1 KR 101581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information
steel plate
line
width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4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7184A (ko
Inventor
김동일
강기수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4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554B1/ko
Publication of KR20150137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 G01B11/04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for measuring wid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ns of tv-camera scann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판의 판폭 측정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강판의 판폭 측정장치는, 설정거리 간격으로 복수의 라인을 강판에 조사하기 위한 라인레이저 발생기; 강판에 조사된 복수의 라인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 강판의 이동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엔코더; 복수의 라인정보를 라인별로 각각 분리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라인레이저 발생기를 작동시킨 후, 엔코더로부터 입력된 강판의 이동거리가 설정거리 만큼 이동될 때 마다 카메라부를 작동시켜 촬영된 촬영영상으로부터 복수의 라인에 대한 복수의 라인정보를 각각 추출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고,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라인정보를 기반으로 형상보상과 진동보상을 실시하여 판폭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판의 판폭 측정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MEASURING WIDTH OF PLATE AND MEHTOD THEREOF}
본 발명은 강판의 판폭 측정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워프(warp)나 웨이브(wave)가 발생된 강판에 라인레이저를 조사하여 반사되는 형상을 측정함으로써 형상에 대한 오차를 보상할 뿐만 아니라, 중복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동에 의한 진동오차를 보상함으로써 정확한 판폭을 측정하는 강판의 판폭 측정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강제조는 용선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공정, 액체상태의 철을 고체로 변형시키는 연주공정,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연주공정은 액체 상태인 용강을 주형(Mold)에 주입한 후 연속 주조기를 통과시키면서 냉각, 응고시켜 연속적으로 슬래브(Slab)나 블룸(Bloom) 등의 중간 소재로 만들어내는 공정이다.
이 과정에서 블룸은 다시 강편 압연기를 거쳐 빌릿(Billet)으로 변하며 선재 압연기를 통해 선재로 가공된다.
또한, 슬래브는 후판 압연기를 거쳐 후판으로 생산되거나 열간 압연장치를 통과하면서 열연코일이나 열연강판 등으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열연코일이나 열연강판은 수요자가 요구하는 판폭을 폭표로 폭제어 압연을 실시하고, 만들어진 강판은 수요자가 요구하는 판폭을 확인하여 공급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63535호(2001. 07. 09. 공개, 발명의 명칭 : 냉연강판용 폭측정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워프(warp)나 웨이브(wave)가 발생된 강판에 라인레이저를 조사하여 반사되는 형상을 측정함으로써 형상에 대한 오차를 보상할 뿐만 아니라, 중복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동에 의한 진동오차를 보상함으로써 정확한 판폭을 측정하는 강판의 판폭 측정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강판의 판폭 측정장치는, 설정거리 간격으로 복수의 라인을 강판에 조사하기 위한 라인레이저 발생기; 강판에 조사된 복수의 라인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 강판의 이동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엔코더; 복수의 라인정보를 라인별로 각각 분리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라인레이저 발생기를 작동시킨 후, 엔코더로부터 입력된 강판의 이동거리가 설정거리 만큼 이동될 때 마다 카메라부를 작동시켜 촬영된 촬영영상으로부터 복수의 라인에 대한 복수의 라인정보를 각각 추출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고,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라인정보를 기반으로 형상보상과 진동보상을 실시하여 판폭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제어부는 라인정보를 적분하여 판폭을 산출하고,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라인정보 중 동일지점에 대해 현재 촬영된 라인정보와 이전 촬영된 라인정보를 기반으로 진동오차를 산출하여 현재 촬영된 라인정보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복수의 라인은 강판의 폭방향으로 강판 상부에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어부에서 산출된 판폭을 상위제어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강판의 판폭 측정방법은, 제어부가 라인레이저 발생기를 작동시켜 강판에 설정거리 간격으로 복수의 라인을 조사하는 단계; 제어부가 엔코더로부터 강판의 이동거리를 입력받아 강판이 설정거리 만큼 이동될 때마다 카메라부를 작동시켜 촬영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제어부가 촬영영상으로부터 복수의 라인에 대한 복수의 라인정보를 추출하여 각각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제어부가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라인정보 중 동일지점에 대한 라인정보를 기반으로 진동오차를 산출하여 라인정보를 보정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보정된 라인정보를 기반으로 판폭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복수의 라인을 조사하는 단계는, 복수의 라인을 강판의 폭방향으로 강판 상부에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어부가 판폭을 산출한 후 산출된 판폭을 상위제어장치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라인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는, 제어부가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라인정보 중 동일지점에 대해 현재 촬영된 라인정보와 이전 촬영된 라인정보를 기반으로 진동오차를 산출하여 현재 촬영된 라인정보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의 판폭 측정장치 및 그 방법은 워프(warp)나 웨이브(wave)가 발생된 강판에 라인레이저를 조사하여 반사되는 형상을 측정함으로써 형상에 대한 오차를 보상할 뿐만 아니라, 중복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동에 의한 진동오차를 보상함으로써 정확한 판폭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확한 판폭을 측정함으로써 정확한 판폭으로부터 정확한 센터를 알 수 있어 텔레스코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판 센터링 장치에서 강판의 센터링 제어와 강판의 에지 컨트롤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판폭 측정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판폭 측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판폭 측정장치에서 촬영된 촬영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판폭 측정장치에서 형상보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판폭 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판폭 측정장치 및 그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판폭 측정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판폭 측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판폭 측정장치에서 촬영된 촬영영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판폭 측정장치에서 형상보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판폭 측정장치는, 라인레이저 발생기(10), 카메라부(20), 엔코더(30), 저장부(50) 및 제어부(40)를 비롯하여 출력부(60)를 포함한다.
라인레이저 발생기(10)는 강판(80) 상부에서 강판(80)의 폭방향으로 제 1내지 제 2라인을 설정거리 간격으로 강판(80)에 조사한다.
즉, 강판(80)에 제 1내지 제 2라인을 조사하게 되면 강판(80)에 발생된 워프(warp)나 웨이브(wave)에 따라 제 1내지 제 2라인의 라인형상이 변형되어 조사된다.
카메라부(20)는 강판(80)에 조사된 제 1내지 제 2라인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제어부(40)에 제공한다.
엔코더(30)는 강판(80)의 이동거리를 감지하여 제어부(40)에 제공한다.
저장부(50)는 제 1내지 제 2라인에 대한 제 1내지 제 2라인정보를 각각 제 1영역과 제 2영역에 분리하여 저장한다. 즉, 제 1라인정보는 제 1영역에 저장하고, 제 2라인정보는 제 2영역에 저장한다.
제어부(40)는 라인레이저 발생기(10)를 작동시킨 후 엔코더(30)로부터 입력된 강판(80)의 이동거리가 설정거리(L) 이동될 때 마다 카메라부(20)를 작동시킨다.
즉, 강판(80)의 이동거리를 입력받아 강판(80)에 조사되는 제 1내지 제 2라인의 간격인 설정거리(L)와 동기되도록, 이동거리가 설정거리(L) 만큼 이동될 때마다 카메라부(20)를 작동시켜, 이전 촬영에서의 제 2라인이 조사된 위치에 현재 촬영에서의 제 1라인이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동일지점에 대해 반복적으로 라인정보를 추출하여 진동에 의한 진동오차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40)는 카메라부(20)로부터 입력된 촬영영상에 대해 아핀(affine) 변환하여 사각화 처리한 후 촬영영상에서 제 1라인과 제 2라인에 대한 제 1라인정보와 제 2라인정보를 추출하고, 제 1라인정보와 제 2라인정보를 저장부(50)의 제 1영역과 제 2영역에 각각 저장한다. 이때 제 1내지 제 2라인정보는 촬영영상의 해상도에 따른 좌표값으로써 이를 기반으로 거리를 산출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저장부(50)에 저장된 제 1내지 제 2라인정보를 현재 촬영영상에서 추출한 제 1내지 제 2라인정보와 비교하여 형상보상과 진동보상을 실시함으로써 판폭을 산출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이전 촬영영상(1st shot)과 현재 촬영영상(2nd shot)에서의 제 1라인(1-1,2-1)과 제 2라인(2-1,2-2)을 비교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이 설정거리 만큼 이동했을 때 카메라부(20)가 작동되기 때문에 이전 촬영영상의 제 2라인(1-2)과 현재 촬영영상의 제 1라인(2-1)은 동일지점에 조사된 라인이 된다.
따라서, 동일지점에서의 라인정보를 기반으로 진동오차를 보상함으로써 진동 등 외부적인 요인을 제거하여 정확한 판폭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현재 촬영영상의 제 1라인정보에서 이전 촬영영상의 제 2라인정보를 통해 진동오차를 산출하고, 산출된 진동오차를 현재 촬영영상의 제 2라인정보에 반영하여 제 2라인정보를 보정함으로써 진동보상을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진동에 의한 오차를 제거한 정확한 라인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진동오차를 보정한 라인정보를 기반으로 판폭을 산출한다. 이때 제어부(40)는 도 4와 같이 워프나 웨이브가 발생한 강판(80)에 대해 적분을 통해 형상을 보상하여 판폭(W)을 산출함으로써 정확한 판폭(W)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60)는 제어부(40)에서 산출된 판폭을 상위제어장치(70)로 출력함으로써 정확한 판폭으로부터 정확한 센터를 파악하여 강판(80)을 권취할 때 텔레스코프 제어를 정확하게 할 수 있으며, 판 센터링 장치에서는 강판(80)의 센터링 제어와 강판(80)의 에지 컨트롤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판의 판폭 측정장치에 따르면, 워프(warp)나 웨이브(wave)가 발생된 강판에 라인레이저를 조사하여 반사되는 형상을 측정함으로써 형상에 대한 오차를 보상할 뿐만 아니라 중복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동에 의한 진동오차를 보상함으로써 정확한 판폭을 측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판폭 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판폭 측정방법에서는, 먼저 제어부(40)가 라인레이저 발생기(10)를 작동시켜 강판(80)에 설정거리 간격으로 제 1라인과 제 2라인을 강판(80)의 폭방향으로 강판(80) 상부에 조사한다(S10).
이후 제어부(40)는 엔코더(30)로부터 강판(80)의 이동거리를 입력받는다(S12). 이렇게 입력된 이동거리와 설정거리(L)를 비교하여 동일하게 되는 시점인가 판단하고(S14), 동일한 시점이면 카메라부(20)를 작동시켜 촬영영상을 입력받는다(S16). S14 단계에서 이동거리가 설정거리(L)에 미치지 못하여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동거리를 입력받는 단계(S12)로 회귀하여 이동거리와 설정거리(L)를 동기화시켜 카메라부(20)를 작동시킨다.
즉, 강판(80)의 이동거리를 입력받아 강판(80)에 조사되는 제 1내지 제 2라인의 간격인 설정거리(L)와 동기되도록, 이동거리가 설정거리(L) 만큼 이동될 때마다 카메라부(20)를 작동시켜 이전 촬영에서의 제 2라인이 조사된 위치에 현재 촬영에서의 제 1라인이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동일지점에 대해 반복적으로 라인정보를 추출하여 진동에 의한 진동오차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한다.
촬영영상을 입력받은 제어부(40)는 촬영영상으로부터 제 1라인과 제 2라인에 대해 제 1라인정보와 제 2라인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제 1라인정보와 제 2라인정보를 저장부(50)의 제 1영역과 제 2영역에 각각 저장한다(S18).
이때 제어부(40)는 카메라부(20)로부터 입력된 촬영영상에 대해 아핀(affine) 변환하여 사각화 처리한 후 촬영영상에서 제 1라인과 제 2라인에 대한 제 1라인정보와 제 2라인정보를 추출한다. 이때 제 1내지 제 2라인정보는 촬영영상의 해상도에 따른 좌표값으로써 이를 기반으로 거리를 산출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후 제어부(40)는 현재 촬영영상에서 추출한 제 1내지 제 2라인정보와 저장부(50)에 저장된 이전 촬영영상에서 추출한 제 1내지 제 2라인정보를 비교하여 진동오차를 산출한다(S20).
제어부(40)는 진동오차를 산출한 후 진동오차를 현재 촬영영상의 라인정보에 반영하여 라인정보를 보정한다(S22).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이전 촬영영상(1st shot)과 현재 촬영영상(2nd shot)에서의 제 1라인(1-1,2-1)과 제 2라인(1-2,2-2)을 비교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80)이 설정거리 이동했을 때 카메라부(20)가 작동되기 때문에 이전 촬영영상의 제 2라인(1-2)과 현재 촬영영상의 제 1라인(2-1)은 동일지점에 조사된 라인이 된다.
따라서, 동일지점에서의 라인정보를 기반으로 진동오차를 보상함으로써 진동 등 외부적인 요인을 제거하여 정확한 판폭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현재 촬영영상의 제 1라인정보에서 이전 촬영영상의 제 2라인정보를 통해 진동오차를 산출하고, 산출된 진동오차를 현재 촬영영상의 제 2라인정보에 반영하여 제 2라인정보를 보정함으로써 진동보상을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진동에 의한 진동오차를 제거한 정확한 라인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어부(40)는 진동보상을 실시한 라인정보을 기반으로 판폭을 산출한다(S24). 이때 제어부(40)는 도 4와 같이 워프나 웨이브가 발생한 강판(80)에 대해 적분을 통해 형상을 보상하여 판폭(W)을 산출함으로써 정확한 판폭(W)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이렇게 진동보상 및 형상보상을 수행하여 정확하게 측정된 판폭을 출력부(60)를 통해 상위제어장치(70)로 출력한다(S26).
따라서, 상위제어장치(70)에서는 정확한 판폭으로부터 정확한 센터를 파악하여 강판(80)을 권취할 때 텔레스코프 제어를 정확하게 할 수 있으며, 판 센터링 장치에서는 강판(80)의 센터링 제어와 강판(80)의 에지 컨트롤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판의 판폭 측정방법에 따르면, 워프(warp)나 웨이브(wave)가 발생된 강판에 라인레이저를 조사하여 반사되는 형상을 측정함으로써 형상에 대한 오차를 보상할 뿐만 아니라, 중복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동에 의한 진동오차를 보상함으로써 정확한 판폭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라인레이저 발생기 20 : 카메라부
30 : 엔코더 40 : 제어부
50 : 저장부 60 : 출력부
70 : 상위제어장치 80 : 강판

Claims (8)

  1. 설정거리 간격으로 복수의 라인을 강판에 조사하기 위한 라인레이저 발생기;
    상기 강판에 조사된 상기 복수의 라인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
    상기 강판의 이동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엔코더;
    복수의 라인정보를 라인별로 각각 분리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라인레이저 발생기를 작동시킨 후 상기 엔코더로부터 입력된 상기 강판의 상기 이동거리가 상기 설정거리 만큼 이동될 때 마다 상기 카메라부를 작동시켜 촬영된 촬영영상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라인에 대한 상기 복수의 라인정보를 각각 추출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라인정보를 기반으로 형상보상과 진동보상을 실시하여 판폭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라인정보를 적분하여 상기 판폭을 산출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라인정보 중 동일지점에 대해 현재 촬영된 라인정보와 이전 촬영된 라인정보를 기반으로 진동오차를 산출하여 상기 현재 촬영된 라인정보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판폭 측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라인은 상기 강판의 폭방향으로 상기 강판 상부에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판폭 측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된 상기 판폭을 상위제어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판폭 측정장치.
  4. 삭제
  5. 제어부가 라인레이저 발생기를 작동시켜 강판에 설정거리 간격으로 복수의 라인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엔코더로부터 상기 강판의 이동거리를 입력받아 상기 강판이 상기 설정거리 만큼 이동될 때마다 카메라부를 작동시켜 촬영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촬영영상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라인에 대한 복수의 라인정보를 추출하여 각각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라인정보 중 동일지점에 대한 라인정보를 기반으로 진동오차를 산출하여 라인정보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보정된 라인정보를 기반으로 판폭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판폭 측정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라인을 조사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라인을 상기 강판의 폭방향으로 상기 강판 상부에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판폭 측정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판폭을 산출한 후 산출된 상기 판폭을 상위제어장치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판폭 측정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라인정보 중 동일지점에 대해 현재 촬영된 라인정보와 이전 촬영된 라인정보를 기반으로 진동오차를 산출하여 상기 현재 촬영된 라인정보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판폭 측정방법.
KR1020140064368A 2014-05-28 2014-05-28 강판의 판폭 측정장치 및 그 방법 KR101581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368A KR101581554B1 (ko) 2014-05-28 2014-05-28 강판의 판폭 측정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368A KR101581554B1 (ko) 2014-05-28 2014-05-28 강판의 판폭 측정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184A KR20150137184A (ko) 2015-12-09
KR101581554B1 true KR101581554B1 (ko) 2015-12-31

Family

ID=54873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4368A KR101581554B1 (ko) 2014-05-28 2014-05-28 강판의 판폭 측정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15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45856A4 (en) * 2018-08-29 2021-10-06 Posco DEVICE FOR MEASURING THE TELESCOPY OF A COI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3863B2 (ja) 1996-10-31 2001-12-0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センターライン検査装置
JP2013151119A (ja) 2012-01-25 2013-08-08 Bridgestone Corp トレッド長さ測定方法及びトレッド長さ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3863B2 (ja) 1996-10-31 2001-12-0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センターライン検査装置
JP2013151119A (ja) 2012-01-25 2013-08-08 Bridgestone Corp トレッド長さ測定方法及びトレッド長さ測定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45856A4 (en) * 2018-08-29 2021-10-06 Posco DEVICE FOR MEASURING THE TELESCOPY OF A CO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184A (ko) 201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1361B2 (ja) 金属ストリップの矯正方法
US975954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projector and projector system including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JP5089827B1 (ja) レーザ加工方法およびレーザ加工装置
US9854119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image read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CN113188484B (zh) 一种热轧卷头部轮廓面积检测方法
EP3845856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telescoping of coil
JP2010156622A (ja) 鋼板の形状計測方法及び形状計測装置
KR101581554B1 (ko) 강판의 판폭 측정장치 및 그 방법
KR101379438B1 (ko) 벤딩 설비의 실시간 곡률 보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18049A (ko) 압연기의 캠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18140403A (ja) 鋼板形状矯正装置
KR100240985B1 (ko) 강판 코일의 텔레스코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JP2010085563A5 (ko)
JP2013135445A5 (ko)
KR101290424B1 (ko) 열화상을 이용한 압연소재의 변형량측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7122328A (ja) 歪曲収差補正装置及び歪曲収差補正方法
KR101406648B1 (ko) 판쏠림 측정 시스템 및 방법
Yoo et al. Camber detection algorithm using the image stitching technique in hot-rolling process
JP6580723B2 (ja) 鋼板の形状矯正装置及び形状矯正方法
KR101443097B1 (ko) 열연강판의 스케일 흠 검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8096876A (ja) 形状評価方法、鋼板形状矯正方法、及び鋼板製造方法
KR101259818B1 (ko) 갠트리 크레인의 백래시 보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46551A (ko) 정정라인에서의 코일 하부 검사장치 및 그 방법
JP2007257027A (ja) 移動体監視装置
JP6172124B2 (ja) 鋼板形状検出装置及びその方法、鋼板圧延方法、鋼板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