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1273B1 - 모듈화충전재를 포함하는 철재 직교류형냉각탑 - Google Patents

모듈화충전재를 포함하는 철재 직교류형냉각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1273B1
KR101581273B1 KR1020150059950A KR20150059950A KR101581273B1 KR 101581273 B1 KR101581273 B1 KR 101581273B1 KR 1020150059950 A KR1020150059950 A KR 1020150059950A KR 20150059950 A KR20150059950 A KR 20150059950A KR 101581273 B1 KR101581273 B1 KR 101581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opening
modular
casing
cooling t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9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형
Original Assignee
(주)와이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엠테크 filed Critical (주)와이엠테크
Priority to KR1020150059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2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04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with cross-current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식판넬과 레일을 통해 충전재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충전재가 냉각탑의 상용 냉각용량에 대응하며 모듈화되어, 냉각용량이 상이한 냉각탑의 종류별로 충전재를 조합하여 교체 및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철재 직교류형냉각탑에 관한 것으로,
충전재 교환을 위한 개구부가 측면에 구비된 아연도금 강판재질의 케이싱;과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되는 아연도금 강판재질의 개폐식판넬;과 상용 냉각용량에 대응하여 모듈화된 모듈화충전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듈화충전재를 포함하는 철재 직교류형냉각탑{STEEL COOLING TOWER WITH FILLER MODULE}
본 발명은 산업용 및 공조용으로 쓰이는 냉각탑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냉각탑 내부에 포함되는 충전재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상기 충전재가 상용 냉각용량에 대응하며 모듈화된 철재 직교류형냉각탑에 관한 것이다.
냉각탑은 냉동기의 응축기에 사용하는 냉각용수를 재차 사용하기 위하여 실외공기에 직접 노출시켜 냉각용수를 냉각시키는 일종의 열교환장치로, 산업용 및 공조용으로 흔히 이용되고 있다.
냉각용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실외공기에 노출시키기 위해 외부공기를 유입하는 송풍기가 사용되는 냉각탑은 열교환방식에 의해 크게 대향류형과 직교류형으로 나뉜다. 대향류형은 냉각탑의 하부로 낙하하는 냉각용수에 수직방향으로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방식이고, 직교류형은 하부로 낙하하는 냉각용수에 수평방향으로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방식이다. 냉각탑의 열교환을 통해 냉각용수의 일부가 증발하는데, 이때 증발에 필요한 기화열로 인해 냉각용수의 수온이 내려가게 된다.
또한, 냉각용수를 보다 넓은 면적으로 실외 공기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교환재의 일종인 충전재를 통하여 냉각용수를 흘려보낸다. 이때 충전재로는 성형된 PVC등이 사용되는데, PVC는 햇빛에 의해 경화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3~4년에 한 번씩 교체를 해주어야 한다.
또한, 냉각탑은 냉각용량별로 구분이 되는데, 냉각용량은 냉각톤이라고 하는 RT(Refrigeration Ton)로 표시된다. 1RT는 0℃물 1Ton(1,000kg)을 24시간 동안에 0℃의 얼음으로 만들 때 냉각해야할 열량을 의미하는데, 이를 kcal로 환산하면 3,320kcal/hr가 된다. 상용되는 냉각탑의 냉각용량은 100RT, 150RT, 200RT, 250RT, 300RT, 350RT, 400RT, 500RT 등이 있다. 종래의 냉각탑은 각각의 냉각용량별로 사용되는 충전재가 일체화되어 있어서, 냉각탑의 설치시나 냉각탑의 충전재 교체시 일체화된 충전재를 인입하여 설치하거나 인출해내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충전재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냉각탑의 외벽케이싱을 해체해야 하기 때문에, 전문화된 기술과 인력이 필요해 많은 비용을 지출하게 된다. 또한, 작업 시간도 과다하게 소요되게 되어, 충전재 교체 작업 기간 중에는 대체냉방을 실시해야하는 등 사용자의 불편도 심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충전재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철재 직교류형냉각탑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전재가 냉각탑의 상용 냉각용량에 대응하며 모듈화되어, 냉각용량이 상이한 냉각탑의 종류별로 충전재를 조합하여 교체 및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철재 직교류형냉각탑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재 직교류형냉각탑은, 충전재 교환을 위한 개구부가 측면에 구비된 아연도금 강판재질의 케이싱;과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되는 아연도금 강판재질의 개폐식판넬;과 상용 냉각용량에 대응하여 모듈화된 모듈화충전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케이싱과 개폐식판넬에는 재활용가능소재인 아연도금 강판(Z27)을 적용하여 재활용성을 높인 친환경적 설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모듈화충전재는, 상용 냉각용량에 대응하여 모듈화된 충전재본체;와 상기 충전재본체를 안치시키는 아연도금 강판재질의 충전재프레임;과 충전재프레임을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인입 및 인출이 되는 인입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충전재프레임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롤러;를 포함한다.
따라서, 모듈화충전재는 충전재프레임과 하부롤러를 통해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모듈화충전재는, 적어도 두 종류 이상의 모듈화충전재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화충전재를 적어도 두 개 이상 조합하여 충전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충전재의 종류는 크게 3가지 분류로 구분될 수 되는데, 길이가 105cm인 제1그룹;과 길이가 120cm인 제2그룹;과 길이가 144cm인 제3그룹;이 그 일례이다. 이는 상용 냉각용량별로 냉각탑의 제원이 상이한데 기인하게 된다. 흔히 쓰이는 냉각탑의 냉각용량은 100RT, 150RT, 200RT, 250RT, 300RT, 350RT, 400RT, 500RT 등이 있는데, 이중 100RT, 150RT, 200RT, 250RT에는 길이가 105cm인 충전재가 적합하고, 300RT, 350RT에는 길이가 120cm인 충전재가 적합하고, 400RT, 500RT에는 길이가 144cm인 충전재가 적합하다.
각 그룹 내의 상용 냉각탑의 용량에 적합하게 개별 용량의 모듈화충전재가 제작될 수 있게 되어, 100RT, 150RT, 200RT, 250RT에는 제1그룹의 모듈화충전재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고, 300RT, 350RT에는 제2그룹의 모듈화충전재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고, 400RT, 500RT에는 제3그룹의 모듈화충전재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냉각용량별로 일체화되어 설치 및 유지 보수가 불편한 충전재를 대체하여, 상기 모듈화충전재를 조합하여 상용 냉각용량에 부합하는 충전재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은 측면에 개구부가 구비되는 동시에, 모듈화충전재를 케이싱 내에 안치시키는 동시에, 충전재 교체 작업시 모듈화충전재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케이스 하부에 인입방향으로 설치되는 케이싱레일;을 포함하게 된다. 케이싱레일은 모듈화충전재의 하부레일에 대응되게 설치되는데, 이는 모듈화충전재를 케이싱에 인입하거나 케이싱에서 인출할 시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종래의 냉각탑은 일체형의 충전재가 케이싱 내부에 별도의 이동로가 구비되지 않은 채 고정되어 있는데, 인출시에는 충전재를 분쇄해 인출해야하고 인입시에는 일일이 충전재를 수작업으로 운반해 케이싱 내부에서 적층하거나 조립해야 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모듈화충전재의 하부레일과 케이싱의 케이싱레일은 이러한 불편을 해소할 수 있게 해주며, 충전재 설치작업 간에 충전재의 형상을 보존시켜주는데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개폐식판넬은, 개폐식판넬의 하부에 설치되어 개폐식판넬을 개폐시키는 힌지;와 개폐식판넬의 상부에 설치되어 개폐식판넬을 고정시키는 고정장치;와 충전재 교체 작업시 모듈화충전재를 케이스 내부와 외부 바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개폐식판넬 내측면에 인입방향으로 설치되는 판넬레일;을 포함하게 된다.
평소 냉각탑 운전시 개폐식판넬은 상부에 설치된 고정장치를 통해 케이싱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충전재 교체 작업시 개폐식판넬은 개폐식판넬의 하부에 설치된 힌지를 통해 외부 바닥 방향으로 열리게 되고, 개폐식판넬은 케이싱 내부 바닥면과 외부 바닥면을 연결시키는 경사면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개폐식판넬 내측면에 수직방향으로 모듈화충전재의 하부롤러에 대응하는 판넬레일을 설치함으로써, 모듈화충전재의 인입 및 인출뿐만 아니라 케이싱 내부 바닥면과 외부 바닥으로의 이동도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재 직교류형냉각탑은, 개폐식판넬과 레일을 통해 충전재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고, 충전재가 냉각탑의 상용 냉각용량에 대응하며 모듈화되어, 냉각용량이 상이한 냉각탑의 종류별로 충전재를 조합하여 교체 및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재 직교류형냉각탑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판넬이 개방된 철재 직교류형냉각탑의 사시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충전재가 인출된 철재 직교류형냉각탑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재 직교류형냉각탑에 모듈화충전재가 안치되는 부분의 내부 평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재본체와 충전재프레임과 하부롤러의 결합을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충전재의 하부롤러와 케이스의 케이스레일의 결합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판넬의 하부에 설치되는 힌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판넬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재 직교류형냉각탑의 사시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재 직교류형냉각탑(1)은, 냉각탑의 외형을 형성하는 아연도금 강판재질의 케이싱(10);과 케이싱(10)의 측면에 설치되는 아연도금 강판재질의 개폐식판넬(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케이싱(10)과 개폐식판넬(20)에는 재활용가능소재인 아연도금 강판(Z27)이 적용하여 재활용성을 높인 친환경적 설비로 사용될 수 있다.
개폐식판넬(20)의 하부에는 힌지(21)가 설치되고, 개폐식판넬(20)의 상부에는 고정장치(23)가 설치되어, 철재 직교류형냉각탑(1)을 운전시키는 동안에 개폐식판넬(20)은 케이싱(10)의 측면에 고정되어 케이싱(10)의 측면부의 일부를 구성하게 된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판넬이 개방된 철재 직교류형냉각탑의 사시도이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재 직교류형냉각탑(1)은, 모듈화충전재(30);를 포함하고, 케이싱(10)의 측면에는 모듈화충전재(30)를 인입 및 인출할 수 있게 하는 인입방향으로 개구부가 구비되고, 개폐식판넬(20)의 하부에는 힌지(21)가 설치되어 개폐식판넬(20)이 외부 바닥면을 향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충전재 교체 작업시 개폐식판넬(20)은 개폐식판넬(20)의 하부에 설치된 힌지(21)를 통해 외부 바닥 방향으로 열리게 되고, 개폐식판넬(20)은 케이싱(10) 내부 바닥면과 외부 바닥면을 연결시키는 경사면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개폐식판넬(20) 내측면에 인입방향으로 모듈화충전재(30)의 하부롤러(33)에 대응하는 판넬레일(22)을 설치함으로써, 모듈화충전재(30)의 인입 및 인출뿐만 아니라 케이싱(10) 내부 바닥면과 외부 바닥으로의 이동도 용이하게 된다.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충전재가 인출된 철재 직교류형냉각탑의 사시도이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재 직교류형냉각탑(1)은, 개폐식판넬(20)의 판넬레일(22)을 통해 모듈화충전재(30b)의 인입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케이싱(10) 내부 바닥면에는 개폐식판넬(20)의 판넬레일(22)과 연결되게 케이싱레일(11)을 설치하여 연속적으로 모듈화충전재(30a)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케이싱레일(11)은 모듈화충전재(30)의 이동을 안내하는 기능뿐 아니라, 케이싱(10) 내부에 모듈화충전재(30)를 안정적으로 안치시키는 기능도 겸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재 직교류형냉각탑에 모듈화충전재가 안치되는 부분의 내부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재 직교류형냉각탑(1)은, 케이싱(10) 내부 바닥면의 케이싱레일(11)과 개폐식판넬(20)의 판넬레일(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듈화충전재(30)는 상기 케이싱레일(11)과 판넬레일(22)의 안내를 따라 인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재본체와 충전재프레임과 하부롤러의 결합을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충전재(30)은, 냉각용량에 대응하여 모듈화된 충전재본체(31);와 상부에 충전재본체(31)를 안치시키는 아연도금 강판재질의 충전재프레임(32);과 충전재프레임(32)을 인입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충전재프레임(32)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롤러(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충전재본체(31)는, 냉각용수가 흐르게 되는 열교환재의 일종으로, 성형된 PVC등이 사용된다. 충전재프레임(32)과 하부롤러(33)는 충전재본체(31)를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 동시에, 케이싱(10) 내부와 외부에서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케이싱(10) 내부의 케이싱레일(11) 위에 모듈화충전재(30)가 안정적으로 안치되게 하는 기능도 가지게 된다.
또한, 모듈화충전재(30)는, 적어도 두 종류 이상의 모듈화충전재(30)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화충전재(30)를 적어도 두 개 이상 조합하여 충전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표 1에 표시된 바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충전재(30)는 크게 3가지의 분류에 5가지의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모듈화충전재(30)는 크게 길이가 105cm인 제1그룹;과 길이가 120cm인 제2그룹;과 길이가 144cm인 제3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는 상용 냉각용량별로 냉각탑의 제원이 상이한데 기인하게 된다. 흔히 쓰이는 냉각탑의 냉각용량은 100RT, 150RT, 200RT, 250RT, 300RT, 350RT, 400RT, 500RT 등이 있는데, 이중 100RT, 150RT, 200RT, 250RT에는 길이가 105cm인 충전재가 적합하고, 300RT, 350RT에는 길이가 120cm인 충전재가 적합하고, 400RT, 500RT에는 길이가 144cm인 충전재가 적합하다. 그리고 모듈화충전재(30)는 분류 내에서 냉각용량별로 나뉘어질 수 있다.
모듈화충전재의 종류
분류 명칭 길이(cm) 냉각용량(RT)
제1그룹 제1모듈화충전재 105 50
제2그룹 제2모듈화충전재 120 150
제3모듈화충전재 120 200
제3그룹
제4모듈화충전재 144 100
제5모듈화충전재 144 200
표 1에 표시된 바과 같은 모듈화충전재(30)는, 길이 105cm 냉각용량 50RT의 제1모듈화충전재와, 길이 120cm 냉각용량 150RT의 제2모듈화충전재와, 길이 120cm 냉각용량 200RT의 제3모듈화충전재와, 길이 144cm 냉각용량 100RT의 제4모듈화충전재와, 길이 144cm 냉각용량 200RT의 제5모듈화충전재를 포함하게 된다. 이 경우 제1모듈화충전재는 제1그룹에, 제2모듈화충전재와 제3모듈화충전재는 제2그룹에, 제4모듈화충전재와 제5모듈화충전재는 제3그룹에 속하게 된다.
또한, 표 2에 표시된 바과 같이, 100RT, 150RT, 200RT, 250RT에는 제1그룹의 제1모듈화충전재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게 되고, 300RT, 350RT에는 제2그룹의 제2모듈화충전재와 제3모듈화충전재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게 되고, 400RT, 500RT에는 제3그룹의 제4모듈화충전재와 제5모듈화충전재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모듈화충전재의 조합
상용 냉각용량 분류 조합 길이(cm)
100RT 제1그룹 제1모듈화충전재(50RT)X2 105
150RT 제1모듈화충전재(50RT)X3 105
200RT 제1모듈화충전재(50RT)X4 105
250RT 제1모듈화충전재(50RT)X5 105
300RT 제2그룹 제2모듈화충전재(150RT)X2 120
350RT 제2모듈화충전재(150RT)+제3모듈화충전재(200RT) 120
400RT 제3그룹 제5모듈화충전재(200RT)X2 144
500RT 제4모듈화충전재(100RT)+제5모듈화충전재(200RT)X2 144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이므로, 이와 상이한 방식의 모듈화와 조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충전재(30)는 종래의 일체화된 충전재를 대체할 수 있게 되고, 냉각탑의 설치시나 냉각탑의 충전재 교체시 인입하여 설치하거나 인출해내는데 어려움이 있었던 종래의 일체화된 충전재가 지니고 있는 단점을 해소할 수 있게 해준다.
종래의 일체화된 충전재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외벽케이싱을 해체한 후, 충전재를 수작업으로 분쇄하여 인출해야 하고, 일일이 충전재를 운반해 케이싱 내부에서 수작업으로 적층하거나 조립해서 인입시켜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충전재(30)는, 개폐식판넬(20)을 개방함으로써 외벽케이싱 해체작업을 대체할 수 있게 되고, 냉각탑의 냉각용량에 맞추어 모듈화충전재(30)를 조합하면 손쉽게 충전재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충전재의 단위질량 및 단위체적이 종래에 비해 현격히 줄어들어 충전재의 운반 및 설치 작업이 더욱 용이해지는 것 또한 물론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충전재의 하부롤러와 케이스의 케이스레일의 결합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로써, 도 1c의 A부분의 부분 상세도이기도 하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재 직교류형냉각탑(1)은, 모듈화충전재(30)의 하부롤러(33)와 케이싱(10)의 케이싱레일(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듈화충전재(30)의 하부롤러(33)는 케이싱(10)의 케이싱레일(11)과 개폐식판넬(20)의 판넬레일(22)을 따라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모듈화충전재(30)의 인입 및 인출은 더욱 용이해 지게 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판넬의 하부에 설치되는 힌지의 부분 사시도로써, 도 1b의 B부분의 부분 상세도이기도 하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판넬(20)은, 개폐식판넬(20) 하부에 개폐식판넬(20)을 외부 바닥면 방향으로 개폐시키는 힌지(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충전재 교체 작업시 개폐식판넬(20)은 개폐식판넬(20)의 하부에 설치된 힌지(21)를 통해 외부 바닥 방향으로 열리게 되고, 개폐식판넬(20)은 케이싱(10) 내부 바닥면과 외부 바닥면을 연결시키는 경사면을 형성하게 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판넬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판넬(20)은, 개폐식판넬(20) 상부에 개폐식판넬(20)을 케이싱(10)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폐식판넬(20)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장치(23)는, 철재 직교류형냉각탑(1)을 운전시키는 동안에 개폐식판넬(20)을 케이싱(10)의 측면에 고정시켜서, 개폐식판넬(20)이 케이싱(10)의 측면의 일부를 구성하게 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4b에서 상기 고정장치(23)는 볼트고정방식으로 도시가 되었지만, 잠금쇠방식, 걸쇠방식, 클램프방식 등 다양한 고정방식의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재 직교류형냉각탑(1)은, 개폐식판넬과 레일을 통해 충전재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고, 충전재가 냉각탑의 상용 냉각용량에 대응하며 모듈화되어, 냉각용량이 상이한 냉각탑의 종류별로 충전재를 조합하여 교체 및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철재 직교류형냉각탑
10...케이싱 11...케이싱레일
20...개폐식판넬 21...힌지
22...판넬레일 23...고정장치
30...모듈화충전재 31...충전재본체
32...충전재프레임 33..하부롤러

Claims (6)

  1. 충전재 교환을 위한 개구부가 측면에 구비된 아연도금 강판재질의 케이싱;과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되는 아연도금 강판재질의 개폐식판넬;과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인입 및 인출이 되는 인입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며, 상용 냉각용량에 대응하여 모듈화된 모듈화충전재;를
    포함하되,
    상기 모듈화충전재는,
    상용 냉각용량에 대응하여 모듈화된 충전재본체;와,
    상부에 상기 충전재본체를 안치시키는 아연도금 강판재질의 충전재프레임;과,
    상기 충전재프레임을 인입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충전재프레임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직교류형냉각탑.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화충전재는,
    크기 및 냉각용량에 있어, 적어도 두 종류 이상의 모듈화충전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직교류형냉각탑.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화충전재는,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조합되어 충전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직교류형냉각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모듈화충전재를 상기 케이싱 내에 안치시키는 동시에, 충전재 교체 작업시 상기 모듈화충전재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케이싱 내측 하부에 인입방향으로 설치되는 케이싱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직교류형냉각탑.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식판넬은,
    상기 개폐식판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식판넬을 개폐시키는 힌지;와,
    상기 개폐식판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식판넬을 고정시키는 고정장치;와,
    충전재 교체 작업시, 상기 모듈화충전재를 상기 케이싱 내부와 외부 바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개폐식판넬 내측면에 인입방향으로 설치되는 판넬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직교류형냉각탑.
KR1020150059950A 2015-04-28 2015-04-28 모듈화충전재를 포함하는 철재 직교류형냉각탑 KR101581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950A KR101581273B1 (ko) 2015-04-28 2015-04-28 모듈화충전재를 포함하는 철재 직교류형냉각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950A KR101581273B1 (ko) 2015-04-28 2015-04-28 모듈화충전재를 포함하는 철재 직교류형냉각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1273B1 true KR101581273B1 (ko) 2016-01-11

Family

ID=55169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9950A KR101581273B1 (ko) 2015-04-28 2015-04-28 모듈화충전재를 포함하는 철재 직교류형냉각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12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0085A (ko) * 1999-08-05 2001-03-15 서종대 대향류형과 직교류형의 조합유동형 냉각탑
KR200337084Y1 (ko) * 2003-09-25 2003-12-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필터를 쉽게 교체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
KR20130060693A (ko) * 2011-11-30 2013-06-10 안상준 냉각탑
JP2015040672A (ja) * 2013-08-23 2015-03-0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冷却塔、冷却塔の気液接触部の設置方法、冷却塔のメンテナンス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0085A (ko) * 1999-08-05 2001-03-15 서종대 대향류형과 직교류형의 조합유동형 냉각탑
KR200337084Y1 (ko) * 2003-09-25 2003-12-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필터를 쉽게 교체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
KR20130060693A (ko) * 2011-11-30 2013-06-10 안상준 냉각탑
JP2015040672A (ja) * 2013-08-23 2015-03-0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冷却塔、冷却塔の気液接触部の設置方法、冷却塔のメンテナンス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3292B2 (en) Universal air handler unit
CN103946640B (zh) 嵌入式空调机
US7854141B1 (en) Energy conservation in a self-contained air-conditioning unit
US20130040547A1 (en) Data center cooling
JP2011158137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CN107785794A (zh) 地埋式箱式变电站
CN107003016A (zh) 室外机
CN102821562A (zh) 一种柜外顶置通讯电源机柜
KR101581273B1 (ko) 모듈화충전재를 포함하는 철재 직교류형냉각탑
US9739491B2 (en) Easy maintenance access system for insulated cooler unit
CN202788073U (zh) 机房系统
CN203984871U (zh) 一种集装箱数据中心
CN112350187A (zh) 箱式变电站冷却系统
CN109274026A (zh) 组合式光伏变电站
CN202927983U (zh) 空调装置的室外机
CN104930781A (zh) 多功能冷却箱
CN203859428U (zh) 一种内嵌空调的箱式变电站
EP3418647A1 (de) System zur energiebereitstellung und/oder ventilation eines gebäudes sowie ein gehäuse
CN106937515A (zh) 一种散热装置及集装箱式数据中心
WO2015179850A1 (en) Universal air handler unit
CN112334713B (zh) 室外空调装置
CN213877735U (zh) 一种箱变变压器
CN206302081U (zh) 一种箱式变电站
CN209609017U (zh) 一种风道结构、电控设备以及集装箱
CN206820474U (zh) 低压无功功率补偿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