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845B1 - Lift one improves the working efficiency - Google Patents

Lift one improves the working efficienc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845B1
KR101580845B1 KR1020150098548A KR20150098548A KR101580845B1 KR 101580845 B1 KR101580845 B1 KR 101580845B1 KR 1020150098548 A KR1020150098548 A KR 1020150098548A KR 20150098548 A KR20150098548 A KR 20150098548A KR 101580845 B1 KR101580845 B1 KR 101580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body
work table
moving
mov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5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인오
Original Assignee
비에이치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에이치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에이치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8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84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8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ft which improves work efficiency, comprising: a body (110), a moving body (120) which is formed to be able to move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body (110), a first driving unit (120) to move the moving body (120) in upper and lower directions by being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dy (110), a plurality of working tables (140) formed to reach a working position by being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ving body (120) and being moved in front and back directions, and a second driving unit (150) to move the working tables (140) forward and backward by being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oving body (120).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capable of improving working efficiency by moving the moving body in every direction according to the working position. Moreover,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preventing a falling accident by minimizing the space between the working position and the working tabl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improving durability and service life by preventing damage to the working table caused by collisions with the working position.

Description

작업효율을 향상한 리프트{Lift one improves the working efficiency}Lift one improves the working efficiency.

본 발명은 작업효율을 향상한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위치에 따라서 전후 및 상하방향으로 작업대를 이동시켜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효율을 향상한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 that improves work efficiency,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ft that improves work efficiency by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by moving the workbench in the forward, backward, .

일반적으로 리프트는 작업위치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로 안전하게 수리 및 교환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In general, the lift can move safely in a state where the operator is on board while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work position.

그러나 종래의 리프트는 상하방향으로 높이를 조절하기에는 용이하나, 이와 달리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작업위치에 근접하도록 위치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작업효율을 저하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lift is easy to adjust th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other hand, since the position can not be adjusted so as to approach the working position while the operator is aboard, the work efficiency is lowered.

특히 곡면형태를 갖는 작업위치와 작업대의 사이로 작업자가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In particular,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a safety accident in which a worker falls between a working position having a curved surface shape and a work table occurs.

일본등록특허 제08100517호(1996.04.16)Japanese Patent Registration No. 08100517 (Apr. 16, 1996)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51746호(2001.11.16)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51746 (November 16, 2001) 한국등록특허 제10-0465529호(2005.01.13)Korean Patent No. 10-0465529 (January 13, 2005) 한국등록특허 제10-0596154호(2006.07.06)Korean Patent No. 10-0596154 (2006.07.06)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102922호(2008.11.26)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8-0102922 (2008.11.26) 한국등록특허 제10-1168089호(2012.07.24)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68089 (July 24, 2012)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01963호(2012.09.17)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2-0101963 (September 17, 201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본 발명은 작업위치에 따라서 상하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작업자가 원활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작업효율을 향상한 리프트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ft which can be moved up and down and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a work position,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in which an operator can smoothly work.

또한, 본 발명은 작업위치와 작업대의 사이에 공간을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작업효율을 향상한 리프트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ft that improves work efficiency, which minimizes a space between a work position and a workbench to prevent an accidental fall of an operator.

특히 본 발명은 작업위치와 충돌시 발생하는 작업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작업효율을 향상한 리프트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ft that improves work efficiency, which can prevent breakage of a work table caused by a collision with a work posi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작업효율을 향상한 리프트(100)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lift (100)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를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몸체(120)와;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설치하여 상기 이동몸체(1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구동부(130)와; 상기 이동몸체(120)의 상부에 안착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작업위치로 접근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의 작업대(140)와; 상기 이동몸체(120)의 일측에 설치하여 상기 작업대(14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구동부(1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ody 110; A moving body (120) configured to move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body (110); A first driving part 13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dy 110 to move the moving body 120 in a vertical direction; A plurality of workbenches (140)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body (120) to mov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so as to approach the working position; And a second driving unit 15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oving body 120 to move the work table 14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여기서 상기 몸체(110)의 상부 양측에 상기 이동몸체(120)의 상부와 맞닿아 정지시키기 위한 스톱퍼(11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stopper 111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10 to abut against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body 120 to stop the stopper 111.

또한, 상기 이동몸체(120)의 상부에 상기 작업대(140)의 양측과 맞닿아 회전할 수 있도록 다수의 가이드롤러(121)를 형성하고, 하부에 지면에 맞닿아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완충부(1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lurality of guide rollers 121 ar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body 12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work table 140 and a lower portion of a buffer portion 122).

특히 상기 제1구동부(130)는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설치하는 모터(131)와; 상기 모터(13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다수의 회전체(132)와; 상기 회전체(132)와 이동몸체(120)를 연결하는 연결체(13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first driving unit 130 includes a motor 131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ody 110; A plurality of rotating bodies 132 that are rotated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131; And a connecting body 133 connecting the rotating body 132 and the moving body 120.

그리고 상기 제2구동부(150)는 상기 이동몸체(120)의 일측에 설치하는 모터(151)와; 상기 모터(151)의 회전축에 설치하는 구동기어(152)와; 상기 이동몸체(1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하여 상기 구동기어(152)와 맞물리도록 마련하는 이동기어(15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driving unit 150 includes a motor 151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oving body 120; A driving gear 152 installed on a rotating shaft of the motor 151; And a moving gear (153)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body (120) and adapted to engage with the driving gear (152).

아울러 상기 이동몸체(120)의 일측에 연결하여 상기 몸체(110)의 일측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중량부(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weight unit 16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oving body 120 and moving up and down along one side of the body 110.

이때 상기 중량부(160)의 상부에 상기 제1구동부(130)의 회전체(132)와 연결하는 연결체(161)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한 쌍의 레일(162)을 형성하며, 상기 중량부(160)의 양측에 상기 레일(162)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롤러(16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nnecting member 161 is formed on the weight portion 160 and connected to the rotating body 132 of the first driving unit 130. A pair of rails And a roller 163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weight 160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rail 162.

또한, 상기 작업대(140)의 전방에 작업위치에 부딪힐 경우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부재(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ushioning member 170 for alleviating an impact when the worktable 140 hits a work position in front of the worktable 140. [

여기서 상기 완충부재(170)는 상기 작업대(140)의 전방에 위치한 충돌부(171)와; 상기 작업대(140)와 충돌부(171)의 사이에 형성하는 스프링(172)과; 상기 충돌부(171)의 하부에 형성하는 제1링크(173)와; 상기 작업대(140)의 전방 하부에 형성하는 제2링크(174)와; 상기 제1링크(173)와 제2링크(174)의 하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통공(175a)을 형성하는 지지링크(17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buffer member 170 includes a collision portion 171 located in front of the work table 140; A spring 172 formed between the work table 140 and the impact portion 171; A first link 173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mpact portion 171; A second link 174 formed at a front lower portion of the work table 140; And a support link 175 for forming a through hole 175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link 173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link 174 can be moved.

본 발명은 작업위치에 따라서 상하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working efficiency by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back and forth direction depending on the working position.

또한, 본 발명은 작업위치와 작업대의 사이에 공간을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space between the working position and the work table, thereby preventing the operator from falling down.

특히 본 발명은 작업위치와 충돌시 발생하는 작업대의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 및 사용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breakage of the workbench caused by collision with the working position,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and service life.

도 1은 본 발명 작업효율을 향상한 리프트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작업효율을 향상한 리프트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작업효율을 향상한 리프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ront view for showing a structure of a lift in which the working efficienc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roved.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lift in which the working efficienc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roved.
3 is a reference view for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lift in which the working efficienc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roved.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 작업효율을 향상한 리프트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작업효율을 향상한 리프트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작업효율을 향상한 리프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1 is a front view for showing a structure of a lift in which the working efficienc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roved, FIG. 2 is a side view for showing a structure of a lift for improving working efficienc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nd shows a reference diagram for indic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lift.

본 발명은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를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몸체(120)와;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설치하여 상기 이동몸체(1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구동부(130)와; 상기 이동몸체(120)의 상부에 안착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작업위치로 접근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의 작업대(140)와; 상기 이동몸체(120)의 일측에 설치하여 상기 작업대(14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구동부(150)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10; A moving body (120) configured to move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body (110); A first driving part 13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dy 110 to move the moving body 120 in a vertical direction; A plurality of workbenches (140)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body (120) to mov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so as to approach the working position; And a second driving unit 15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oving body 120 to move the work table 14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는 앵커 볼트를 구비하여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한다.An anchor bolt is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to be firmly fixed to the ground.

특히 상기 본체(110)는 상기 이동몸체(120)가 작업위치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작업위치에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하였다.Particularly, the main body 11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working position so that the moving body 120 can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working position.

이때 상기 몸체(110)의 상부 양측에 상기 이동몸체(120)의 상부와 맞닿아 더 이상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정지시키기 위한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스톱퍼(111)를 형성하였다.At this time, a stopper 111 made of rubber or synthetic resin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10 to stop the upper body of the body 110 from moving upward.

한편, 상기 이동몸체(120)는 작업위치에 따라서 상기 작업대(140)를 이동시킴은 물론 작업자가 탑승하고 장비와 물품을 작업대(140)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력을 확보한다.Meanwhile, the moving body 120 moves the work table 140 according to the work position, and secures the supporting force so that the worker can be stably moved while the worker is on board and the equipment and the article are placed on the work table 140.

특히 상기 이동몸체(120)의 상부에 상기 작업대(140)의 양측과 맞닿아 회전할 수 있도록 다수의 가이드롤러(121)를 형성하여 작업대(14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흔들리지 않고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In particular,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121 ar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body 12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work table 140 so that the work table 140 can mov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이동몸체(120)의 하부에 지면에 맞닿아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완충부(122)를 구비하여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지면과 충돌하거나 유지보수를 위해서 지면에 안착할 경우 완충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order to minimize impact by abutting against the ground at the lower part of the moving body 120, a buffer part 122 made of rubber or synthetic resin is provided. When the moving part 120 moves downward and collides with the ground, A buffer function can be performed.

또한, 상기 제1구동부(130)는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설치하는 모터(131)와; 상기 모터(13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다수의 회전체(132)와; 상기 회전체(132)와 이동몸체(120)를 연결하는 연결체(133)로 이루어진다.The first driving unit 130 includes a motor 131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ody 110; A plurality of rotating bodies 132 that are rotated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131; And a connecting body 133 connecting the rotating body 132 and the moving body 120.

이때 상기 회전체(132)는 스프로킷 또는 풀리를 이용하고, 상기 연결체(133)는 체인 또는 벨트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otating body 132 may be a sprocket or a pulley, and the connecting body 133 may transmit rotational force using a chain or a belt.

여기서 상기 회전체(132)는 다양한 형태와 규격을 갖으며 상기 연결체(133)는 원활한 이동을 위해서 상기 몸체(110)의 상부 또는 하부 일측에 다수를 형성할 수 있다.Here, the rotating body 132 may have various shapes and sizes, and the connecting body 133 may form a large number on the upper or lower side of the body 110 for smooth movement.

그리고 상기 작업대(140)는 상부에 작업자가 탑승하여 이동하거나 장비 또는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으며, 작업위치에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ork table 140 can be moved up or down by an operator, or can be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a work position.

특히 상기 작업대(140)는 다수를 형성하여 곡면형태를 갖는 작업위치의 경우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작업대(14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위치를 각각 조절하여 작업위치와 작업대(140)의 사이에 공간을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Particularly, the work table 140 has a plurality of positions, and when the work table 140 has a curved shape, the table 140 adjusts the positions of the work table 14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So that the operator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down.

한편, 상기 제2구동부(150)는 상기 이동몸체(120)의 일측에 설치하는 모터(151)와; 상기 모터(151)의 회전축에 설치하는 구동기어(152)와; 상기 이동몸체(1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하여 상기 구동기어(152)와 맞물리도록 마련하는 이동기어(153)로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second driving unit 150 includes a motor 151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oving body 120; A driving gear 152 installed on a rotating shaft of the motor 151; And a moving gear 153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body 120 and adapted to engage with the driving gear 152.

이때 상기 구동기어(152)와 이동기어(153)는 다양한 형태와 규격을 갖는 기어종류를 사용할 수 있으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작업대(14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래크와 피니언 기어를 이용하였다.In this case, the driving gear 152 and the moving gear 153 may be of various types and sizes. Alternatively, the driving gear 152 and the moving gear 153 may be of a gear type having various shapes and sizes, Gear.

아울러 상기 이동몸체(120)의 일측에 연결하여 상기 몸체(110)의 일측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중량부(160)를 포함하여 상기 이동몸체(120) 및 작업대(14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중량부(160)가 하중 때문에 하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구동부(130)의 부하를 최소화하면서 쉽게 상승할 수 있다.And a weight portion 16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oving body 120 and moving up and down along one side of the body 110 so that the moving body 120 and the work table 140 are moved upward The weight portion 160 moves downward due to the load and can be easily lifted while minimizing the load of the first driving portion 130.

여기서 상기 중량부(160)의 상부에 상기 제1구동부(130)의 회전체(132)와 연결하는 연결체(161)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한 쌍의 레일(162)을 형성하며, 상기 중량부(160)의 양측에 상기 레일(162)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롤러(163)를 구비한다.A connecting body 161 is formed on the weight portion 160 and connected to the rotating body 132 of the first driving unit 130. A pair of rails And a roller 163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weight portion 160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rail 162.

따라서 상기 제1구동부(130)의 작동으로 상기 중량부(160)가 레일(162)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일정높이에 대기 또는 정지한 상태의 상기 이동몸체(120) 및 작업대(140)가 상기 제1구동부(130)의 연결체(133)가 끊어질 경우 상기 중량부(160)가 하중에 의해서 하부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이동몸체(120) 및 작업대(140)를 강제적으로 상부방향으로 이동시켜 지면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The weight portion 160 can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rail 162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portion 130 and the moving body 120 and the work table 140 When the connecting body 133 of the first driving part 130 is cut off, the weight part 160 is moved downward by the load and the moving body 120 and the work table 140 are forcibly moved to the upper part Thereby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of an operator working on the ground.

이때 상기 중량부(160)는 일정크기와 중량을 갖도록 형성함은 당연하다.At this time, it is natural that the weight portion 160 is formed to have a certain size and weight.

또한, 상기 작업대(140)의 전방에 작업위치에 부딪힐 경우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부재(170)를 포함하여 한다.In addition, a buffer member 170 is provided for alleviating the impact when the work table 140 hits the work position in front of the work table 140.

여기서 상기 완충부재(170)는 상기 작업대(140)의 전방에 위치한 충돌부(171)와; 상기 작업대(140)와 충돌부(171)의 사이에 형성하는 스프링(172)과; 상기 충돌부(171)의 하부에 형성하는 제1링크(173)와; 상기 작업대(140)의 전방 하부에 형성하는 제2링크(174)와; 상기 제1링크(173)와 제2링크(174)의 하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통공(175a)을 형성하는 지지링크(175)로 이루어진다.Here, the buffer member 170 includes a collision portion 171 located in front of the work table 140; A spring 172 formed between the work table 140 and the impact portion 171; A first link 173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mpact portion 171; A second link 174 formed at a front lower portion of the work table 140; And a support link 175 that forms a through hole 175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lower portions of the first link 173 and the second link 174 can move.

특히 상기 충돌부(171)는 작업위치와 직접 충돌하므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금속은 물론 합성수지 및 고무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Particularly, since the impact portion 171 directly collides with the working position, the impact portion 171 can be made of synthetic resin and rubber as well as metal to ensure durability.

아울러 상기 스프링(172)은 상기 충돌부(171)가 충돌할 경우 완충기능을 수행하며 평소에 상기 충돌부(171)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ring 172 performs a shock absorbing function when the impact portion 171 is collided, and can secure an elastic force so as to normally move the impact portion 171 forward.

그리고 상기 제1링크(173)와 제2링크(174)는 상기 충돌부(171)가 작업위치와 충돌할 경우 서로 접혀지면서 충돌부(171)가 원활하게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The first link 173 and the second link 174 are folded to each other when the impact portion 171 collides with the working position, thereby guiding the impact portion 171 to smoothly move back and forth.

이때 상기 지지링크(175)는 상기 제1링크(173)와 제2링크(174)의 하부는 상기 통공(175a)의 내부에서 삽입한 상태로 이탈하지 않고 원활하게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link 173 and the second link 174 can be smoothly folded or unfolded without being detached in the inserted state in the through hole 175a.

여기서 상기 통공(175a)의 일측에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충돌부(171)가 후방으로 이동할 경우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2구동부(150)를 정지시켜 동시에 상기 작업대(140)가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정지시킬 수 있다.When the impact portion 171 moves backward by including a sensor on one side of the through hole 175a, the second driving portion 150 is stopped and the work table 140 is moved forward .

따라서 본 발명은 작업위치에 따라서 상기 이동몸체(120) 및 작업대(14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다시 상기 작업대(14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작업자가 작업대(140)의 상부에 탑승한 상태로 유지보수 및 기타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moving the movable body 120 and the workbench 140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work position and moving the workbench 140 back and forth so that the worker can ride on the workbench 140 Maintenance and other operations can be performed stably.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Of course.

100: 본 발명 작업효율을 향상한 리프트
110: 몸체 111: 스톱퍼
120: 이동몸체 121: 가이드롤러
122: 완충부
130: 제1구동부 131: 모터
132: 회전체 133: 연결체
140: 작업대
150: 제2구동부 151: 모터
152: 구동기어 153: 이동기어
160: 중량부 161: 연결체
162: 레일 163: 롤러
170: 완충부재 171: 충돌부
172: 스프링 173: 제1링크
174: 제2링크 175: 지지링크
175a: 통공
100: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d working efficiency
110: body 111: stopper
120: moving body 121: guide roller
122: buffer
130: first driving part 131: motor
132: rotating body 133: connecting body
140: Workbench
150: second driving part 151: motor
152: driving gear 153: moving gear
160: weight part 161:
162: rail 163: roller
170: buffer member 171:
172: spring 173: first link
174: Second link 175: Support link
175a: Through hole

Claims (9)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를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몸체(120)와;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설치하여 상기 이동몸체(1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구동부(130)와; 상기 이동몸체(120)의 상부에 안착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작업위치로 접근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의 작업대(140)와; 상기 이동몸체(120)의 일측에 설치하여 상기 작업대(14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구동부(150)로 이루어지되, 상기 작업대(140)의 전방에 작업위치에 부딪힐 경우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부재(170)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재(170)는 상기 작업대(140)의 전방에 위치한 충돌부(171)와; 상기 작업대(140)와 충돌부(171)의 사이에 형성하는 스프링(172)과; 상기 충돌부(171)의 하부에 형성하는 제1링크(173)와; 상기 작업대(140)의 전방 하부에 형성하는 제2링크(174)와; 상기 제1링크(173)와 제2링크(174)의 하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통공(175a)을 형성하는 지지링크(17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효율을 향상한 리프트.A body 110; A moving body (120) configured to move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body (110); A first driving part 13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dy 110 to move the moving body 120 in a vertical direction; A plurality of workbenches (140)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body (120) to mov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so as to approach the working position; And a second driving unit 15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oving body 120 to move the work table 14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hen the work table 140 hits the working position in front of the work table 140, The buffer member 170 includes a collision portion 171 located in front of the work table 140; A spring 172 formed between the work table 140 and the impact portion 171; A first link 173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mpact portion 171; A second link 174 formed at a front lower portion of the work table 140; And a support link (175) for forming a through hole (175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link (173) and the second link (174) can mov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상부 양측에 상기 이동몸체(120)의 상부와 맞닿아 정지시키기 위한 스톱퍼(11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효율을 향상한 리프트.The lift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a stopper (111)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10) to abut against and stop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body (1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몸체(120)의 상부에 상기 작업대(140)의 양측과 맞닿아 회전할 수 있도록 다수의 가이드롤러(121)를 형성하고, 하부에 지면에 맞닿아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완충부(1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효율을 향상한 리프트.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121) ar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body (12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work table (140) And a cushioning portion (122) provided on the cushioning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130)는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설치하는 모터(131)와; 상기 모터(13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다수의 회전체(132)와; 상기 회전체(132)와 이동몸체(120)를 연결하는 연결체(13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효율을 향상한 리프트.[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driving unit comprises: a moto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ody; A plurality of rotating bodies 132 that are rotated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131; And a connecting body (133) connecting the rotating body (132) to the moving body (1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150)는 상기 이동몸체(120)의 일측에 설치하는 모터(151)와; 상기 모터(151)의 회전축에 설치하는 구동기어(152)와; 상기 이동몸체(1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하여 상기 구동기어(152)와 맞물리도록 마련하는 이동기어(15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효율을 향상한 리프트.[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driving unit (150) comprises: a motor (151)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moving body (120); A driving gear 152 installed on a rotating shaft of the motor 151; And a moving gear (153)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body (120) and adapted to engage with the driving gear (15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몸체(120)의 일측에 연결하여 상기 몸체(110)의 일측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중량부(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효율을 향상한 리프트.The lift as claimed in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eight (16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oving body (120) and moving up and down along one side of the body (1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160)의 상부에 상기 제1구동부(130)의 회전체(132)와 연결하는 연결체(161)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한 쌍의 레일(162)을 형성하며, 상기 중량부(160)의 양측에 상기 레일(162)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롤러(16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효율을 향상한 리프트.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connection body (161) is formed on the weight part (160) and connected to the rotation body (132) of the first driving part (130) And a roller (163)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weight (160) so as to move along the rail (162).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098548A 2015-07-10 2015-07-10 Lift one improves the working efficiency KR1015808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548A KR101580845B1 (en) 2015-07-10 2015-07-10 Lift one improves the working efficienc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548A KR101580845B1 (en) 2015-07-10 2015-07-10 Lift one improves the working efficienc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0845B1 true KR101580845B1 (en) 2015-12-29

Family

ID=55085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548A KR101580845B1 (en) 2015-07-10 2015-07-10 Lift one improves the working efficienc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84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751A (en) * 2019-06-28 2021-01-06 (주)서연오토비전 Mold Transfer Apparatus
KR20210054853A (en) * 2019-11-06 2021-05-14 양영두 Lifting apparatus for parking a vehicle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0289A (en) * 1989-11-30 1991-07-23 Nec Corp Target grip
JPH08100517A (en) 1994-08-03 1996-04-16 Japan Steels Internatl Kk Vertically movable scaffold
JP2001130713A (en) * 1999-11-01 2001-05-1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Sliding-out fork
KR200251746Y1 (en) 2001-06-30 2001-11-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Working Stand with the Lift Function
KR20040037392A (en) * 2002-10-28 2004-05-07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Free loading stacker crane
KR100465529B1 (en) 2004-07-26 2005-01-13 이텍산업 주식회사 Multipurpose mortor car
KR100596154B1 (en) 2004-06-21 2006-07-06 최재관 Worktable means of railway line working vehicle
KR20080102922A (en) 2007-05-21 2008-11-26 김철회 Liftable working tower for high place
KR101168089B1 (en) 2010-03-25 2012-07-24 권혁숭 Vertically movable worktable
KR20120101963A (en) 2011-03-07 2012-09-17 박종서 Lift device that constitutes a safety platform
KR200469892Y1 (en) * 2013-03-08 2013-11-14 박종규 Work bench with lifting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0289A (en) * 1989-11-30 1991-07-23 Nec Corp Target grip
JPH08100517A (en) 1994-08-03 1996-04-16 Japan Steels Internatl Kk Vertically movable scaffold
JP2001130713A (en) * 1999-11-01 2001-05-1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Sliding-out fork
KR200251746Y1 (en) 2001-06-30 2001-11-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Working Stand with the Lift Function
KR20040037392A (en) * 2002-10-28 2004-05-07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Free loading stacker crane
KR100596154B1 (en) 2004-06-21 2006-07-06 최재관 Worktable means of railway line working vehicle
KR100465529B1 (en) 2004-07-26 2005-01-13 이텍산업 주식회사 Multipurpose mortor car
KR20080102922A (en) 2007-05-21 2008-11-26 김철회 Liftable working tower for high place
KR101168089B1 (en) 2010-03-25 2012-07-24 권혁숭 Vertically movable worktable
KR20120101963A (en) 2011-03-07 2012-09-17 박종서 Lift device that constitutes a safety platform
KR200469892Y1 (en) * 2013-03-08 2013-11-14 박종규 Work bench with lifting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751A (en) * 2019-06-28 2021-01-06 (주)서연오토비전 Mold Transfer Apparatus
KR102253145B1 (en) * 2019-06-28 2021-05-18 (주)서연오토비전 Mold Transfer Apparatus
KR20210054853A (en) * 2019-11-06 2021-05-14 양영두 Lifting apparatus for parking a vehicle
KR102378998B1 (en) 2019-11-06 2022-03-25 양영두 Lifting apparatus for parking a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57923B (en) Quadrilateral circular conveying system
CN204052670U (en) 360 degree of turning devices
KR101580845B1 (en) Lift one improves the working efficiency
CN113879791B (en) Multi-layer conveying system
CN105312912A (en) Lifting exchanging workbench
CN205166406U (en) Lift change table
KR100888879B1 (en) Turn over device for roll chock
KR20130084435A (en) Marking apparatus
CN113894755B (en) Workstation and router laser marking machine of processing angularly adjustable
CN204528997U (en) A kind of high-speed elevator compensation rope tension device
CN203875172U (en) Moderate-thickness plate workpiece turnover mechanism
CN103787047B (en) There is the belt break protection device of deceleration
CN203728117U (en) Belt breakage protection device with deceleration function
CN212639614U (en) Can protect orbital safety tongs of elevator
CN209275453U (en) A kind of belt conveyor of safe start and stop
CN203391542U (en) Three-dimensional engraving machine
CN208132336U (en) A kind of automotive door hinge piece uploading device for multi-vehicle-type switching
CN208680892U (en) A kind of lifting means for screw production line for automatically assembling
KR100850806B1 (en) A keel block device for rail transporter
CN220055253U (en) Rolling machine for conveying articles
CN215709551U (en) Lifting conveying device
CN217051489U (en) Mechanical lifting type engineering machinery transfer device
CN209906268U (en) RGV based on single liter platform
CN109911300B (en) Frame-shaped part boxing method and auxiliary boxing device
CN204211141U (en) A kind of fender guard of glass loa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