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394B1 - 콘크리트 슬라브용 신축줄눈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슬라브용 신축줄눈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394B1
KR101580394B1 KR1020140048849A KR20140048849A KR101580394B1 KR 101580394 B1 KR101580394 B1 KR 101580394B1 KR 1020140048849 A KR1020140048849 A KR 1020140048849A KR 20140048849 A KR20140048849 A KR 20140048849A KR 101580394 B1 KR101580394 B1 KR 101580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joint
main support
joint
groove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8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2500A (ko
Inventor
김정우
Original Assignee
김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우 filed Critical 김정우
Priority to KR1020140048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394B1/ko
Publication of KR20150122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콘크리트 슬라브용 신축줄눈 구조가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부에는 신축줄눈이 설치될 위치를 표시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그 하부방향으로 개방된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 신축줄눈대; 상기 돌출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슬라이딩편이 끼워져 그 끼워진 깊이가 조절되어 커터에 의한 커팅 깊이가 일정해지도록 삽입홈이 형성된 메인서포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슬라브용 신축줄눈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STRUCTURE OF EXPANSION JOINT FILLER FOR CONCRETE SLAB, AND METHOD FOR CARRYING OUT THEREOF}
본 발명은 콘크리트 슬라브용 신축줄눈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 건물의 옥상에 설치되는 보호용 마감재의 온도 차에 의한 균열 및 파손을 예방하기 위해 신축줄눈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게 되는데, 신축줄눈의 높이가 고르지 못하고, 수평방향으로 일직선이 형성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시, 보호용 마감재를 철거한 후 신축줄눈 및 보호용 마감재를 재설치하게 되는데 그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미연에 방지하고, 신축줄눈으로 구획된 보호용 마감재를 손쉽게 해체 및 조립이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신축줄눈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새로운 구조의 신축줄눈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 등 건축물의 옥상에 큰크리트 슬래브(Concrete Slab)를 시공할 경우에는 시멘트, 모래, 자갈,물이 혼합된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 내의 수분이 증발하면서 물이 차지하고 있던 미세한 공간에 틈새가 발생되며, 대기의 열에 의해 콘크리트가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면서 이러한 틈새로부터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균열을 통해 건축물 내부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완벽한 방수층의 시공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한편, 방수층 보호를 위한 보호용 마감재로서 누름 콘크리트를 방수층 위에 시공하여 방수층을 보호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는데, 누름 콘크리트를 시공시에는 콘크리트의 신축을 유도하여 구조적인 안정을 도모할 목적으로 콘크리트 타설시에일정한 간격마다 신축줄눈(Expansion Joint Filler)을 설치하고 있다.
즉, 건물의 옥상 바닥과 같이 슬래브 내부의 방수층 등을 보호하고 사람이 보행할 수 있도록 보호용 마감재를 시공할 경우 그 마감 면적이 넓어지게 되면 태양열 등에 의해 마감재의 재료가 수축/팽창이 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용 마감재의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신축줄눈이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신축줄눈은 외기의 온도변화에 따라 누름 콘크리트의 신축을 흡수하여 누름 콘크리트가 신축에 의해 들뜨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누름 콘크리트의 팽창에 의한 구조적 힘이 옥상의 난간벽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옥상 상부의 방수층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신축줄눈의 설치시 수평방향으로 일직선 또는 그 표면의 높이 차기 일정하게 형성되게 하는 것이 어려우며, 이러한 신축줄눈 자체의 높이 차와 시공 기술의 한계로 인해 그 표면이 미려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바, 이 신축줄눈을 재설치하기 위해서는 그 주변에 있는 보호용 마감재를 철거한 뒤 신축줄눈을 재설치해야 되는데, 현실적으로 이러한 철거 및 재설치는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신축줄눈의 외관이 미려해짐과 동시에, 보호용 마감재를 손쉽게 철거하고 재설치할 수 있는 신축줄눈의 구조와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신축줄눈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신축줄눈의 시공방법으로는 크게 매립 공법과 충진 공법이 있다.
매립 공법은, 방수층의 시공을 완료한 후에 신축줄눈을 격자형으로 조립하여 설치한 후 방수층의 상부에 와이어 메쉬를 설치하고 누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법이나, 이 매립 공법의 경우 누름 콘크리트의 타설 전에 신축줄눈을 격자형으로 설치하고 신축줄눈의 위치가 변동되지 않도록 세팅 몰탈(Setting Mortal) 등으로 고정하여야 하는바 작업이 번거롭고 많은 노동력과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매립 공법시 세팅 몰탈(Setting Mortal)이 필요 없도록 신축줄눈이 설치될 위치가 신축줄눈대로 고정되는바, 이로 인해 신축줄눈의 위치가 변동될 염려가 없어 많은 노동력과 작업 시간이 소모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충진 공법은, 매립 공법과 달리 방수층의 시공을 완료한 후에 와이어 메쉬를 설치하고 누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화시킨 후 소정의 위치마다 신축줄눈을 위한 홈을 파내고 이 홈에 코킹재(Calking Material)을 충진하는 공법이나, 이 충진 공법의 경우 신축줄눈을 설치하기 위하여 경화된 누름 콘크리트를 방수층의 상부까지 파내려 가야 하므로 방수층에 손상을 입힐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충진 공법시 방수층의 손상을 염려하여 누름 콘크리트의 하부까지 완벽하게 파내지 못하는 경우 신축줄눈이 누름 콘크리트의 신축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여 누름 콘크리트가 들뜨게 되어 방수층을 보호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충진 공법도 개선한 것으로, 그 개선된 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누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신축줄눈이 형성되기 위한 홈을 파내는 공정이 필요 없도록 미리 신축줄눈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신축줄눈대를 누름 콘크리트를 매립하기 전에 설치한다.
둘째, 누름 콘크리트를 타설한 뒤 종래에는 일정 간격으로 신축줄눈을 매립하기 위한 홈을 파내는데, 그 파내는 홈이 수평방향으로 일직선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 신축줄눈 역시 삐뚤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신축줄눈이 형성되는 위치가 정확하고도 일직선이 되도록 누름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전에 상방으로 소정 높이를 가지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작업자가 이 돌출부를 따라 그 내부 공간에 신축줄눈을 매립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한 신축줄눈대에 의하면 주변에 존재하는 재료와의 연결이 완전히 끊어지게 되어 신축줄눈으로 구획된 사각형의 보호용 마감재를 해체하여 신축줄눈을 다시 매설하거나, 보호용 마감재를 다른 건물에 사용할 수 있게끔 보호용 마감재의 재조립도 가능해진다.
한편, 이러한 신축줄눈의 구조 및 시공방법에 대해서는 여러 문헌에서 소개되고 있으며, 특히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0601호인 "줄눈재틀을 이용하여 줄눈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시공방법"의 경우, 본 발명과 유사한 신축줄눈대틀을 이용하고 있지만, 그 적용되는 분야가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도로의 아스팔트 포장도로일 뿐만 아니라, 신축줄눈이 형성될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작업자가 용이하게 그 신축줄눈이 형성될 위치를 알 수 없으며, 본 발명은 신축줄눈대에 형성된 슬라이딩편을 메인서포트에 마련된 삽입홈으로 끼는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추후 커팅기에 의한 커팅 깊이를 일정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본 발명이 제안하는 구조에 의한다면 보호용 마감재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어 재조립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0601호(2012.11.2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신축줄눈의 삐뚤어짐과 그 표면의 높이 차가 발생하는 등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보호용 마감재를 철거하고 재설치할 수 없는 종래 문제점 역시 해결할 수 있으며, 보호용 마감재를 용이하게 철거 및 재설치할 수 있는 신축줄눈의 구조와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새로운 구조의 콘크리트 슬라브용 신축줄눈이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부에는 신축줄눈이 설치될 위치를 표시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그 하부방향으로 개방된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 신축줄눈대; 상기 돌출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슬라이딩편이 끼워져 그 끼워진 깊이가 조절되어 커터에 의한 커팅 깊이가 일정해지도록 삽입홈이 형성된 메인서포트;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메인서포트의 상면 일지점에는 소정 깊이의 홈이 형성되고, 이 홈의 형상과 대응되는 연결홈이 상기 신축줄눈대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서포트 주변에 타설되는 보호용 마감재를 들어올릴 수 있는 걸림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홈 양단에 거치되되, 하방향으로 경사진 상면이 형성된 걸림형성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서포트는, 그 상면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소정 깊이의 상기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하향 테이퍼지게 연장 형성되면서 그 폭이 감소하는 지지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편은, 소정의 경사각으로 하향 테이퍼지게 형성된 제1사이드와, 상기 제1사이드의 경사진 각도보다 작게 상기 제1사이드에 연장 형성된 제2사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축줄눈대 하부에 형성된 공간의 양측으로 삽입되어 그 삽입된 깊이에 따라 상기 신축줄눈대의 양단 하부와 접하면서 상기 신축줄눈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끼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끼움부재는, 상기 신축줄눈대 하부에 형성된 공간의 양측에서 삽입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슬라이딩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서포트의 측면 방향으로 연결 결합 되도록 상기 메인서포트의 측면과 대응되는 측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삽입홈과 연장될 수 있는 교차부삽입홈이 그 상면에 형성된 서브서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브서포트는, 상기 메인서포트에 형성된 지지편의 측면과 대응되도록 상기 교차부삽입홈을 중심으로 하향 테이퍼지게 연장 형성되면서 그 폭이 증가하는 서브지지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슬라브용 신축줄눈 시공 방법이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방수층 상부에 삽입홈이 형성된 메인서포트를 배치하는 단계; 그 내부에 일정한 공간과 상부에 돌출부가 형성된 신축줄눈대를 슬라이딩편을 매개로 상기 삽입홈에 끼우는 단계; 상기 메인서포트의 측면과 상기 방수층 상면을 따라 누름 콘크리트와의 분리가 용이해지도록 격리재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메인서포트의 주변에 와이어 메쉬를 포설하는 단계; 상기 메인서포트 주변에 상기 돌출부의 높이에 맞도록 누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신축줄눈대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를 커팅하여 그 하부에 위치한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일정한 공간에 봉형의 충진재를 설치하고, 그 상부에 실링재를 삽입하여 마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신축줄눈대를 슬라이딩편을 매개로 상기 삽입홈에 끼우는 단계 이후 상기 메인서포트와 상기 신축줄눈대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양측에서 삽입되는 끼움부재의 삽입 깊이에 따라 상기 신축줄눈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서포트는 그 상면 일지점에 소정깊이의 홈과 이 홈의 양단에 거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신축줄눈대는 이 홈의 형상과 대응되는 연결홈이 형성되되, 상기 신축줄눈대를 슬라이딩편을 매개로 상기 삽입홈에 끼우는 단계 이후 상기 홈과 연결홈으로 형성된 공간에 하방향으로 경사진 상면이 형성된 걸림형성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인 콘크리트 슬라브용 신축줄눈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에 의한다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첫째, 신축줄눈의 삐뚤어짐과 그 표면의 높이 차가 미연에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둘째, 신축줄눈의 외관이 미려해지는 이점이 있다.
셋째, 신축줄눈대의 길이 방향의 돌출부 높이에 맞추어 보호용 마감재를미려하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축줄눈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커터기로 커팅시 그 커팅 깊이가 일정해지는 이점이 있다.
넷째, 신축줄눈으로 구획된 사각형의 보호용 마감재를 들어 해체하거나 재조립시 그 용이성이 제공되는 등 다양한 이점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콘크리트 슬라브용 신축줄눈 구조의 전체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콘크리트 슬라브용 신축줄눈 구조의 전체 구성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3은 보호용 마감재의 해체용 신축줄눈 구조의 해체도 및 체결도.
도 4는 본 발명인 신축줄눈대가 조립되는 상태도.
도 5는 보호용 마감재 표면에 신축줄눈대의 돌출부가 표시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인 콘크리트 슬라브용 신축줄눈의 시공 방법을 순서대로 나열한 도면.
도 7은 보호용 마감재가 리프트에 의해 해체되는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인 콘크리트 슬라브용 신축줄눈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인 콘크리트 슬라브용 신축줄눈 구조의 전체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신축줄눈대(100)와 메인서포트(200)를 포함한다.
신축줄눈대(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 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소정 길이로 연장된 덮개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상부에는 상방으로 소정 높이 연장된 돌출부(110)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하 구체적으로 후술하겠지만, 신축줄눈대(100) 주변에 보호용 마감재(20)가 시공되면, 마감재 표면으로 돌출부(110)가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가 신축줄눈을 설치할 위치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미 설명하였지만, 종래 신축줄눈의 시공 방법 중 충진 공법의 경우, 신축줄눈을 설치하기 위하여 경화된 보호용 마감재인 누름 큰크리트를 방수층의 상부까지 파내려 가야하므로, 방수층에 손상을 입힐 수 있음은 물론, 일직선을 이루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신축줄눈을 설치하기 위한 홈을 파내려 가야 하는바, 그 정확성이 담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이 본 발명에 의한다면, 신축줄눈이 설치되는 위치를 작업자가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신축줄눈대(100) 상부에 상기와 같은 돌출부(110)가 마련되었고, 신축줄눈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홈을 파지 않더라도 커팅기로 돌출부를 커팅하면 그 하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방수층에 손상을 입힐 염려도 없게 된다.
이 신축줄눈대(100)는 그 하부방향으로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데, 신축줄눈대(100)가 설치되고, 신축줄눈대(100) 주변에 보호용 마감재(20)가 시공된 뒤, 돌출부가 '디스크형 커터'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절취된 다음, 그 내부 공간으로 '봉형 충진재'와 '실링재(코킹재)'를 채워 신축줄눈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돌출부(110)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수직 연장된 소정 길이의 슬라이딩편(120)이 마련되는데, 이 슬라이딩편(120)은 이하 후술할 메인서포트(200)의 상면에 위치한 삽입홈(210)에 끼워지게 된다.
메인서포트(200)의 상면에는 신축줄눈대(10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한 쌍의 삽입홈(2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삽입홈(210)에 슬라이딩편(120)이 끼워지고, 그 끼워진 깊이를 조절하여 커터에 의한 커팅 깊이를 일정하게 한다.
즉, 메인서포트(200)가 설치되는 바닥면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아 요철이 있는 경우, 추후 커터를 이용 돌출부를 커팅하는 경우 그 커팅되는 두께가 일정하지 않는 문제가 생길 수 있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신축줄눈대(100)의 하부에 설치된 슬라이딩편(120)이 삽입홈(210)에 끼워지는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보호용 마감재(20)와 신축줄눈대의 돌출부(110)의 높이를 일정하게 함으로써 그 바닥면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아 요철이 있더라도 커터에 의한 커팅 깊이가 일정해져 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되는 것이다.
한편, 메인서포트(200)를 다시 도 1(a)을 참조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인서포트(200)는, 그 상면 중심부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 깊이의 삽입홈(210)이 형성되어 있다.
즉, 메인서포트(200)는 전체적으로 그 단면이 삼각형이고, 소정 길이의 삼각 기둥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상면에는 한 쌍의 삽입홈(210)이 메인서포트(2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삽입홈(210)은 메인서포트(200)의 내부로 소정 깊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삽입홈(210)으로 신축줄눈대(100)의 돌출부(110)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슬라이딩편(120)이 끼워지게 된다.
한편, 이 삽입홈(21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하향 테이퍼지게 연장 형성되면서 그 폭이 감소하는 지지편(230)이 형성되어 있는데, 도 1(a)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에 타설되는 보호용 마감재(20) 내부에 형성되는바, 그 지지력이 보강되도록 삽입홈(210)을 중심으로 양측 방향으로 소정 각도 하향 경사지면서 그 폭이 점점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편(2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경사각으로 하향 테이퍼지게 형성된 제1사이드(231) 및 이 제1사이드(231)의 경사진 각도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1사이드(231)에 연장 형성된 제2사이드(232)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2사이드(231,232)로 구성된 지지편(230)은 물론, 이 지지편(230)에 형성된 삽입홈(210)으로 끼워진 신축줄눈대(100) 역시 그 주변에 보호용마감재(20)가 타설되는 경우 그 지지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구현된다.
한편, 다시 도 1(a)를 참조하면, 제1사이드(231)와 신축줄눈대(1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양측으로 삽입되어 신축줄눈대(100)의 양단 하부와 접하면서 신축줄눈대(1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끼움부재(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메인서포트(200)와 신축줄눈대(100)가 설치된 다음에는, 메인서포트(200) 주변으로 보호용 마감재(20)를 타설하게 되는데, 이 보호용 마감재(20)와 신축줄눈대(100)의 높이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 신축줄눈대(100)에 형성된 돌출부(110)를 커터를 이용하여 커팅시 그 커팅되는 깊이가 일정해지지 않을뿐더러, 돌출부(110)를 커팅한 후 그 하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충진재와 실링재를 삽입하게 되는데, 보호용 마감재와의 높이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관에 좋지 않은 영향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끼움부재(400)를 통해 보호용 마감재(20)의 높이에 맞추어 신축줄눈대(100)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구현되는 것이다.
이러한 효과가 구현되도록 직각삼각기둥 형상의 끼움부재(400)가 제1사이드(231)와 신축줄눈대(1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양측으로 삽입된다.
신축줄눈대(100) 하부에 형성된 공간의 양측으로 이 직각삼각기둥 모양의 끼움부재(400)가 삽입되면, 이 끼움부재(400)의 하면은 메인서포트(200) 상면에 위치하게 되고, 이 끼움부재의(400) 상면 정확하게는 슬라이딩면은 신축줄눈대(100)의 양단 하부 일지점과 접하게 된다.
이 끼움부재(400)가 신축줄눈대 하부에 형성된 공간의 양측으로 삽입되면 삽입될수록 신축줄눈대(100)의 양단 하부가 들어 올려지게 되는바, 그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메인서포트(200) 주변에 타설되는 보호용 마감재(20)와의 높이와 맞추도록 신축줄눈대(100)를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발휘되도록 끼움부재(400)는 신축줄눈대(100) 하부에 형성된 공간의 양측에서 삽입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슬라이딩면이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데, 이 경사진 슬라이딩면에서 신축줄눈대(100) 양단 하부와 접하면서 신축줄눈대(10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메인서포트(200)의 측면에서 연결 결합되는 서브서포트(500)가 마련된다.
이 서브서포트(5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서포트(200)의 측면과 대응되는 측면을 가지고 있으며, 메인서포트(200)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홈(210)과도 연장될 수 있도록 소정 길이의 교차부삽입홈(510)이 그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대응되는 측면과 교차부삽입홈(510)이 형성됨으로써 메인서포트(200)의 측면에서 연결 결합될 수 있고, 메인서포트(200)에 형성된 지지편(230)의 측면과도 대응되도록 이 교차부삽입홈(510)을 중심으로 하향 테이퍼지게 연장 형성되면서 그 폭이 증가하는 서브지지편(520)이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즉, 신축줄눈대(100) 하부에 위치하는 메인서포트(200)에 형성되되 그 하향 테이퍼지게 연장 형성되면서 그 폭이 감소하는 지지편(230)과, 이 지지편(230)에 대응되어 연결 결합 되도록 하향 테이퍼지게 연장 형성되면서 그 폭이 증가하는 서브지지편(520)의 결합으로 신축줄눈대(100)가 4개의 교차부에서 그 연결결합이 좋게 되고, 메인서포트(200)와 서브서포트(500)의 각각의 측면에서의 빈틈이 없게 됨은 물론이고, 이하 구체적으로 후술하겠지만, 보호용 마감재(20) 시공 이후에는 신축줄눈으로 구획된 사각형의 보호용 마감재(20)를 해체하거나 재조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는 이러한 메인서포트(200)와 서브서포트(500)가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메인서포트(200)와 서브서포트(500)가 결합된 뒤 보호용마감재(20)까지 시공된 후 일정한 간격으로 신축줄눈대(100)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110)가 표시된 상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용 마감재(20) 표면에 신축줄눈대의 돌출부(110)가 표시되어 있어 작업자가 쉽게 그 위치를 알 수 있으며, 커터를 이용 이 돌출부(110)를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깊이로 컷팅한 후 돌출부(110) 하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봉형의 충진재와 실링재를 삽입하여 그 시공이 완성되는 것이다.
한편, 도 3은 보호용 마감재를 손쉽게 철거 및 재설치 할 수 있는 신축줄눈대 구조의 해체도 및 체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서포트(200)의 상면 일지점에는 소정 깊이의 홈(220)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220)의 형상과 대응되는 연결홈(130)이 신축줄눈대(100) 하단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 홈(220)과 연결홈(130)으로 구성된 공간으로 삽입되는 걸림형성부재(300)가 마련되는데, 이 걸림형성부재(300)는 메인서포트(200) 주변에 타설되는 보호용 마감재(20)를 리프트를 이용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방향으로 경사진 상면이 형성된 채, 홈 양단(220)에 거치 된다.
즉, 보호용 마감재(20)를 들어올릴 때 편리하도록 보호용 마감재(20) 양단에 일종의 손잡이부를 형성시키는 것인데, 이 손잡이부가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보호용 마감재를 들어올리는 리프트가 용이하게 보호용 마감재를 잡을 수 있도록 이 걸림형성부재(300)는 하방향으로 경사진 상면이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슬라브용 신축줄눈 시공 방법이 소개된다.
그 시공 방법을 도 6을 참조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층(40) 상부에 삽입홈(210)이 형성된 메인서포트(200)를 배치하는 단계가 이루어진 뒤, 도 6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일정한 공간과 상부에 돌출부(110)가 형성된 신축줄눈대(100)를 슬라이딩편(120)을 매개로 삽입홈(210)에 끼우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이 신축줄눈대(100)를 메인서포트(200)에 끼울 때 그 끼우는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보호용 마감재(20)와 신축줄눈대(100)의 높이를 일정하게 함으로써 커팅기에 의한 커팅시 그 커팅 깊이를 길이방향으로 일정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메인서포트(200)의 측면과 방수층(40) 상면을 따라 누름 콘크리트(50)와의 분리가 용이 해지도록 격리재(60)를 도포하는 단계가 이루어지는데, 이 격리재(60)로는 바닥을 통해 올라오는 습기도 차단할 수 있고, 메인서포트(200)도 보호할 수 있는 PE(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서포트(200) 주변에 와이어 메쉬(70)를 포설하는 단계가 이루어지는데, 이후 타설될 보호용 마감재인 누름 콘크리트(5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함이다.
이 와이어 메쉬(70)를 포설한 뒤에, 메인서포트(200) 주변에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0)의 높이에 맞도록 누름 콘크리트(50)를 타설하여 경화시키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돌출부(110)가 누름 콘크리트 표면으로 돌출되어 종래에 비해 누름 콘크리트(50)를 타설할 때도 이 돌출부(110) 높이에 맞추어 타설되어 그 미관이 향상되는 이점도 구현된다.
한편,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줄눈대(100)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110)를 커팅하여 그 하부에 위치한 일정한 공간을 형성시키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때, 이미 삽입홈(210)에 끼우는 슬라이딩편(120)의 깊이가 이미 조정된바, 커터(10)에 의한 커팅 깊이가 그 길이방향으로 일정하게 형성됨은 물론이고, 이 단계로 통해 종래 충진 공법의 경우 신축줄눈을 설치하기 위해 누름 콘크리트를 방수층의 상부까지 파내려 가야 하므로 방수층에 손상을 입힐 수 있는 가능성이 사라지게 되는 효과도 구현된다.
상기와 같이 일정한 공간이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면, 봉형의 충진재(80)를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충진한 뒤,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에 실링재(코킹재)(90)를 삽입하여 마감하게 됨으로써 신축줄눈 시공이 완성된다.
코킹재는 통상적으로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한 누름 콘크리트가 양생 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화열과 주변 온도 변화 등에 의해서 수축 또는 팽창하면서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신축줄눈대(100)를 슬라이딩편(120)을 매개로 삽입홈(210)에 끼우는 단계 이후에 메인서포트(200)와 신축줄눈대(1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양측에서 삽입되는 끼움부재(400)의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상기 신축줄눈대(1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 단계를 통해 신축줄눈대(100)의 양단부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메인서포트(200)가 설치된 바닥이 굴곡진 경우에도 보호용 마감재(20)와 신축줄눈대(100)의 높이를 서로 맞출 수 있는 효과가 구현된다.
또한, 메인서포트(200)는 그 상면 일지점에 소정깊이의 홈(220)과 이 홈의 양단에 거치부가 형성되며, 신축줄눈대(100)는 이 홈(220)의 형상과 대응되는 연결홈(130)이 형성되되, 이 신축줄눈대(100)를 슬라이딩편(120)을 매개로 삽입홈(210)에 끼우는 단계 이후에, 상기 홈(220)과 연결홈(130)으로 형성된 공간에 하방향으로 경사진 상면이 형성된 걸림형성부재(300)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용 마감재(20)의 양단 하부에 상방향으로 경사진 걸림부(30)가 형성되어 이 걸림부(30)를 통해 리프트가 손쉽게 그 해당 부분만을 들어올려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는 효과가 구현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커터 20 : 보호용 마감재
30 : 걸림부 40 : 방수층
50 : 누름 콘크리트 60 : 격리재
70 : 와이어 메쉬 80 : 봉형 충진재
90 : 실링재 100 : 신축줄눈대
110 : 돌출부 120 : 슬라이딩편
130 : 연결홈 200 : 메인서포트
210 : 삽입홈 220 : 홈
230 : 지지편 231 : 제1사이드
232 : 제2사이드 300 : 걸림형성부재
400 : 끼움부재 500 : 서브서포트
510 : 교차부삽입홈 520 : 서브지지편

Claims (11)

  1. 상부에는 신축줄눈이 설치될 위치를 표시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그 하부방향으로 개방된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 신축줄눈대;
    상기 돌출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슬라이딩편이 끼워져 그 끼워진 깊이가 조절되어 커터에 의한 커팅 깊이가 일정해지도록 삽입홈이 형성된 메인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서포트의 상면 일지점에는 소정 깊이의 홈이 형성되고, 이 홈의 형상과 대응되는 연결홈이 상기 신축줄눈대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서포트 주변에 타설되는 보호용 마감재를 들어올릴 수 있는 걸림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홈 양단에 거치되되, 하방향으로 경사진 상면이 형성된 걸림형성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라브용 신축줄눈 구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포트는,
    그 상면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소정 깊이의 상기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하향 테이퍼지게 연장 형성되면서 그 폭이 감소하는 지지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라브용 신축줄눈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은,
    소정의 경사각으로 하향 테이퍼지게 형성된 제1사이드와,
    상기 제1사이드의 경사진 각도보다 작게 상기 제1사이드에 연장 형성된 제2사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라브용 신축줄눈 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신축줄눈대 하부에 형성된 공간의 양측으로 삽입되어 그 삽입된 깊이에 따라 상기 신축줄눈대의 양단 하부와 접하면서 상기 신축줄눈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끼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라브용 신축줄눈 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재는,
    상기 신축줄눈대 하부에 형성된 공간의 양측에서 삽입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슬라이딩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라브용 신축줄눈 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포트의 측면 방향으로 연결 결합 되도록 상기 메인서포트의 측면과 대응되는 측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삽입홈과 연장될 수 있는 교차부삽입홈이 그 상면에 형성된 서브서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라브용 신축줄눈 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서브서포트는,
    상기 메인서포트에 형성된 지지편의 측면과 대응되도록 상기 교차부삽입홈을 중심으로 하향 테이퍼지게 연장 형성되면서 그 폭이 증가하는 서브지지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라브용 신축줄눈 구조.
  9. 방수층 상부에 삽입홈이 형성된 메인서포트를 배치하는 단계;
    그 내부에 일정한 공간과 상부에 돌출부가 형성된 신축줄눈대를 슬라이딩편을 매개로 상기 삽입홈에 끼우는 단계;
    상기 메인서포트의 측면과 상기 방수층 상면을 따라 누름 콘크리트와의 분리가 용이해지도록 격리재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메인서포트의 주변에 와이어 메쉬를 포설하는 단계;
    상기 메인서포트 주변에 상기 돌출부의 높이에 맞도록 누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신축줄눈대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를 커팅하여 그 하부에 위치한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일정한 공간에 봉형의 충진재를 설치하고, 그 상부에 실링재를 삽입하여 마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슬라브용 신축줄눈 시공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신축줄눈대를 슬라이딩편을 매개로 상기 삽입홈에 끼우는 단계 이후
    상기 메인서포트와 상기 신축줄눈대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양측에서 삽입되는 끼움부재의 삽입 깊이에 따라 상기 신축줄눈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라브용 신축줄눈 시공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포트는 그 상면 일지점에 소정깊이의 홈과 이 홈의 양단에 거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신축줄눈대는 이 홈의 형상과 대응되는 연결홈이 형성되되,
    상기 신축줄눈대를 슬라이딩편을 매개로 상기 삽입홈에 끼우는 단계 이후
    상기 홈과 연결홈으로 형성된 공간에 하방향으로 경사진 상면이 형성된 걸림형성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라브용 신축줄눈 시공 방법.


KR1020140048849A 2014-04-23 2014-04-23 콘크리트 슬라브용 신축줄눈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580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849A KR101580394B1 (ko) 2014-04-23 2014-04-23 콘크리트 슬라브용 신축줄눈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849A KR101580394B1 (ko) 2014-04-23 2014-04-23 콘크리트 슬라브용 신축줄눈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500A KR20150122500A (ko) 2015-11-02
KR101580394B1 true KR101580394B1 (ko) 2015-12-24

Family

ID=54599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8849A KR101580394B1 (ko) 2014-04-23 2014-04-23 콘크리트 슬라브용 신축줄눈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3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4311A (ko) 2020-06-16 2020-07-10 김상환 물류창고용 신축 줄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32761B (zh) * 2021-11-29 2023-12-22 朱权 桥梁伸缩缝填充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5776B2 (ja) * 1994-03-18 2004-02-09 アーキヤマデ株式会社 目地材の施工構造
KR0120601B1 (ko) 1994-11-02 1997-10-30 양승택 디지탈 음성 신호 정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4311A (ko) 2020-06-16 2020-07-10 김상환 물류창고용 신축 줄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500A (ko) 201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7954B2 (ja) コンクリートクラック誘導用伸縮目地設置方法及びその装置
JP5576207B2 (ja) 据付け基礎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54498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포장공법
KR101650365B1 (ko) 콘크리트 크랙 유도용 이중 신축줄눈 장치
KR101580394B1 (ko) 콘크리트 슬라브용 신축줄눈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363394B1 (ko) 프리캐스트 블록을 이용한 도로포장의 보수공법
CN110004974B (zh) 一种预制防水挡土墙板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905728B1 (ko) 맨홀 보수기구와 이를 이용한 맨홀 보수방법
KR102049813B1 (ko) 도로 확포장 방법
EP3394346B1 (en) Adapter
KR200461355Y1 (ko) 경계석 받침대
US20080145144A1 (en) Precast Curb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thereof
KR100542380B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200437489Y1 (ko) 보차도 경계블록용 설치구
JP6553855B2 (ja) 建物の基礎構造、および、建物の基礎の施工方法
KR101595896B1 (ko) 프리캐스트 아스콘블록, 그 제작 및 시공방법
CN112195975A (zh) 一种新型检查井加固方法
KR102655797B1 (ko) 건축물 기초 동결방지 시공방법
WO2017056602A1 (ja) コンクリート基礎天端の施工方法および天端型枠
US20160326703A1 (en) Adjustable telescopic formwork for paving with linear or axial and radial geometric alignment
KR102370053B1 (ko) 접속부 시공용 가설자재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방법
JP7162988B2 (ja) ひび割れ制御方法
KR101010702B1 (ko) 구조물과 포장접속부의 균열 및 단차방지 및 잡초생장 억제구조물 및 방법
KR101264870B1 (ko) 경계석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KR20180003150U (ko) 태양광 발전 장치 설치용 기초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