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3394B1 - 프리캐스트 블록을 이용한 도로포장의 보수공법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블록을 이용한 도로포장의 보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3394B1
KR101363394B1 KR1020110081844A KR20110081844A KR101363394B1 KR 101363394 B1 KR101363394 B1 KR 101363394B1 KR 1020110081844 A KR1020110081844 A KR 1020110081844A KR 20110081844 A KR20110081844 A KR 20110081844A KR 101363394 B1 KR101363394 B1 KR 101363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cast block
block
precast
installation groove
insta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1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9719A (ko
Inventor
김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탈페이브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탈페이브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탈페이브시스템
Priority to KR1020110081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3394B1/ko
Publication of KR20130019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9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10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aising or levelling sunken paving; for filling voids under paving; for introducing material into sub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cement or like binders
    • E01C7/14Concrete paving
    • E01C7/147Repairing concrete pavings, e.g. joining cracked road sections by dowels, applying a new concrete cov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 E01C7/187Repairing bituminous covers, e.g. regeneration of the covering material in situ, application of a new bituminous to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Road Repair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제조하는 프리캐스트 블록 제조단계; 도로포장(10)의 손상부위(21) 및 주위를 절삭하여 설치홈(20)을 형성하는 설치홈 형성단계; 설치홈(20)에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설치하고 고정하는 프리캐스트 블록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블록을 이용한 도로포장의 보수공법을 제시함으로써, 우천시 보수작업을 수행하면서도, 단시간 내에 교통개방이 가능하고, 보수 후 충분한 강도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블록을 이용한 도로포장의 보수공법{REPAIR METHOD FOR PAVEMENT USING PRECAST BLOCK}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도로포장의 보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도로포장에는 과적차량의 하중, 우천시 배수불량 등으로 인하여 국부적 손상이 발생한다.
특히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의 경우, 우천시 포트 홀, 러팅 등의 손상이 자주 발생하는데, 이는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요인이 되므로, 신속한 보수작업이 요구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도로포장의 손상부위에 단지 충전재를 포설하고 다짐하는 보수공법을 적용하여 왔는데, 이는 충전재의 포설 및 양생을 위하여 장시간이 소요된다는 점, 우천시에 보수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빗물로 인하여 충전재의 양생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보수된 부위가 금방 다시 파손되므로, 보수 후 짧은 기간 내에 해당 구간의 도로를 재포장해야 한다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우천시 보수작업을 수행하면서도, 단시간 내에 교통개방이 가능하고, 보수 후 충분한 강도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포장의 보수공법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제조하는 프리캐스트 블록 제조단계; 도로포장(10)의 손상부위(21) 및 주위를 절삭하여 설치홈(20)을 형성하는 설치홈 형성단계; 상기 설치홈(20)에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설치하고 고정하는 프리캐스트 블록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블록을 이용한 도로포장의 보수공법을 제시한다.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 제조단계는 다양한 규격의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100)의 횡단면은 원형 또는 방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 설치단계는 하나의 설치홈(20)에 복수의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 설치단계는 하나의 설치홈(20)에 복수의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상하방향으로 적층하여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 제조단계는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복수의 조각으로 분할한 조각 블록(110,120)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 설치단계는 하나의 설치홈(20)에 복수의 상기 조각 블록(110,120)을 동일평면상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설치홈(20)에 설치된 복수의 상기 조각 블록(110,120)은 조합에 의해 원형 또는 방형의 횡단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100)의 심부에는 인양 또는 앵커(30)의 설치를 위한 관통공(101)이 형성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100)은 상기 관통공(101)에 설치된 앵커(30)에 의해 상기 설치홈(20)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각 블록(110,120)의 심부에는 인양 또는 앵커(30)의 설치를 위한 관통공(111,121)이 형성되고, 상기 조각 블록(110,120)은 상기 관통공(111,121)에 설치된 앵커(30)에 의해 상기 설치홈(20)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100)은 시멘트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재질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100)은 토목섬유의 혼입에 의해 보강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100)의 저면 가장자리에는 모따기 면(102)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 설치단계는 도로포장(10)의 중앙부에 파손이 발생한 경우, 상기 원형의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설치하고, 도로포장(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파손이 발생한 경우, 상기 방형의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 설치단계는 상기 설치홈(20)에 접착재를 도포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100)과 상기 설치홈(20) 사이를 충전함으로써,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재는 수경성 바인더, 시멘트 계열 그라우트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우천시 보수작업을 수행하면서도, 단시간 내에 교통개방이 가능하고, 보수 후 충분한 강도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3은 보수공법의 제1 실시예의 공정도.
도 4는 보수공법의 제2 실시예의 공정도.
도 5는 프리캐스트 블록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프리캐스트 블록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프리캐스트 블록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프리캐스트 블록의 제4 실시예의 평면도.
도 9는 보수공법의 제3 실시예의 공정도.
도 10은 프리캐스트 블록의 제5 실시예의 측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로포장의 보수공법의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공정에 의해 구성된다.
미리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제조한다(도 5 내지 7).
도로포장(10)의 손상부위(21) 및 주위를 절삭하여 설치홈(20)을 형성한다(도 1,2).
설치홈(20)에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설치하고 고정한다(도 3,4).
즉, 종래와 같이 도로포장의 손상부위에 충전재를 포설하고 양생하는 것이 아니라, 손상부위를 절삭하여 설치홈(20)을 형성하고, 이 설치홈(20)에 미리 제작한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설치하는 보수방식을 취한 것이다.
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미리 제작한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설치하므로, 종래와 같은 충전재의 양생기간이 필요없어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둘째, 우천시와 같은 열악한 환경이라 할지라도, 이미 강도를 충분히 확보한 상태의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설치하므로, 보수부위의 충분한 강도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프리캐스트 블록(100)은 다양한 재질에 의해 형성할 수 있는데, 본 도로포장과 동일한 재질(시멘트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재질)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로포장의 기존부위와 보수부위가 동일한 강도, 내구성을 갖는 재질에 의해 형성되어야, 차량의 운행에 의한 마모 등의 손상도 동일하게 발생함에 따라 동일한 수명을 갖게 되는 효율적인 구조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도로포장(10)의 손상부위(21) 및 주위를 절삭하여 설치홈(20)을 형성하는 공정은 원형 단면의 커터, 그라인더 등의 장비에 의해 수행함으로써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다만, 도로포장(10)의 손상부위(21)는 그 크기가 일정하게 발생하는 것이 아니므로, 최소한의 절삭작업에 의해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미리 다양한 규격(크기)의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제조하여 작업차량에 적재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로포장(10)의 손상은 표층에서 발생하는 것이 대부분이고, 그 표층의 두께는 일정하므로, 프리캐스트 블록(100)의 두께는 1종류 또는 2종류 정도로 하고, 그 폭(직경)은 3~4 종류 정도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
프리캐스트 블록(100)의 횡단면은 원형 또는 방형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 내지 7).
포트 홀과 같이 도로포장(10)의 중앙부에 파손이 발생한 경우에는, 원형의 설치홈(20)을 형성한 후 이에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도로포장(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파손이 발생한 경우에는, 장방향의 설치홈(20)을 형성한 후 이에 방형의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하나 또는 복수를 열지어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하나의 설치홈(20)에는 하나의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설치할 수도 있고, 복수의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설치할 수도 있다.
도로포장(10)의 표층(11)에만 손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하나의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설치하는 것으로 충분할 수 있지만(도 3), 기층(또는 보조기층)(12)까지 손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하나의 설치홈(20)에 복수의 프리캐스트 블록(100a,100b)을 상하방향으로 적층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즉, 두께가 다양한 다수의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운반하여 설치하는 것보다는, 두께가 동일한 다수의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운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적층구조로 설치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이다.
손상부위(21)의 폭이 큰 경우에는 폭(직경)이 큰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운반하여 설치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두께에 비해 폭이 큰 구조가 되어 운반 도중 파손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프리캐스트 블록(100)의 제조과정에서 토목섬유를 혼입함으로써 보강된 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복수의 조각으로 분할한 조각 블록(110,120)으로 제조하는 경우, 그 운반 도중 파손의 우려가 줄고, 하나의 설치홈(20)에 복수의 조각 블록(110,120)을 동일평면상에 설치하는 방식으로 보수작업을 수행하면 되므로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설치홈(20)에 설치되는 복수의 조각 블록(110,120)은 조합에 의해 원형 또는 방형의 횡단면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8,9).
도 8은 2개의 조각 블록(110,120)에 의해 하나의 원형 단면의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형성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손상부위의 폭이 더욱 큰 경우에는 3개 이상의 조각 블록으로 분할할 수도 있다.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설치홈(20)에 고정하는 방식은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나, 프리캐스트 블록(100)의 심부에 앵커(30)의 설치를 위한 관통공(101)을 형성하고, 이 관통공(101)을 통해 앵커(30)를 설치하여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고정하는 방식을 취하는 경우, 우천시와 같이 열악한 환경에서도 단시간 내에 우수한 강도의 보수구조를 얻도록 하므로 빠른 교통개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앵커(30)의 두부의 상면이 노면과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시공되는 경우, 시간의 경과에 의해 노면이 마모되어 상대적으로 앵커(30)의 두부가 상측으로 노출됨에 따라 교통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앵커(30)의 두부는 그 상면이 어느 정도 노면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와 같이, 하나의 설치홈(20)에 복수의 프리캐스트 블록(100a,100b)을 상하방향으로 적층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관통공들(101a,101b)에 대하여 공통으로 하나의 앵커(30)를 설치하여 고정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상술한 프리캐스트 블록(100)의 관통공(101)은 장비에 의한 프리캐스트 블록(100)의 인양 시 인양홈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추가된다.
조각 블록(110,120)의 경우에는, 그 각각의 심부에 관통공(111,121)을 형성하고, 앵커(30)에 의해 설치홈(20)에 고정하면 된다(도 8,9).
장기적으로 프리캐스트 블록(100)과 본 도로포장이 안정적인 일체 구조를 이루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앵커 고정방식과 함께 또는 별도로 접착재에 의한 고정방식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설치홈(20)에 접착재를 도포하여 프리캐스트 블록(100)과 설치홈(20) 사이를 충전함으로써,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고정하는 방식이 그것이다.
접착재는 도로포장 및 프리캐스트 블록(100)의 재질에 맞추어 적절한 재료(시멘트 계열 또는 아스팔트 계열)을 적용하면 되는데, 우천시에도 충분한 접착강도를 발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수경성 바인더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초속경 시멘트 계열의 그라우트재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설치홈(20)의 절삭작업 후, 이 설치홈(20)에 대한 프리캐스트 블록(100)의 안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프리캐스트 블록(100)의 저면 가장자리에 모따기 면(10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0).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도로포장 20 : 설치홈
30 : 앵커 100 : 프리캐스트 블록
101 : 관통공 102 : 모따기 면
110,120 : 조각 블록 111,121 : 관통공

Claims (15)

  1.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제조하는 프리캐스트 블록 제조단계;
    도로포장(10)의 손상부위(21) 및 주위를 절삭하여 설치홈(20)을 형성하는 설치홈 형성단계;
    상기 설치홈(20)에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설치하고 고정하는 프리캐스트 블록 설치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100)의 심부에는 인양 또는 앵커(30)의 설치를 위한 관통공(101)이 형성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100)은 상기 관통공(101)에 설치된 상기 앵커(30)에 의해 상기 설치홈(20)에 고정되며,
    상기 관통공(101) 상부에는 상기 앵커(30)의 머리부가 상기 관통공(101)의 하부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앵커(30)의 머리부가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100)의 상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단차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100)의 저면 가장자리에는 모따기 면(10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블록을 이용한 도로포장의 보수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 제조단계는
    다양한 규격의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블록을 이용한 도로포장의 보수공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100)의 횡단면은 원형 또는 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블록을 이용한 도로포장의 보수공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 설치단계는
    하나의 설치홈(20)에 복수의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블록을 이용한 도로포장의 보수공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 설치단계는
    하나의 설치홈(20)에 복수의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상하방향으로 적층하여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블록을 이용한 도로포장의 보수공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 제조단계는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복수의 조각으로 분할한 조각 블록(110,120)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 설치단계는
    하나의 설치홈(20)에 복수의 상기 조각 블록(110,120)을 동일평면상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블록을 이용한 도로포장의 보수공법.
  7. 제6항에 있어서,
    하나의 설치홈(20)에 설치된 복수의 상기 조각 블록(110,120)은 조합에 의해 원형 또는 방형의 횡단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블록을 이용한 도로포장의 보수공법.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100)은 시멘트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재질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블록을 이용한 도로포장의 보수공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100)은 토목섬유의 혼입에 의해 보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블록을 이용한 도로포장의 보수공법.
  12. 삭제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 설치단계는
    도로포장(10)의 중앙부에 파손이 발생한 경우, 상기 원형의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설치하고,
    도로포장(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파손이 발생한 경우, 상기 방형의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블록을 이용한 도로포장의 보수공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 설치단계는
    상기 설치홈(20)에 접착재를 도포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100)과 상기 설치홈(20) 사이를 충전함으로써,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블록을 이용한 도로포장의 보수공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재는 수경성 바인더, 시멘트 계열 그라우트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블록을 이용한 도로포장의 보수공법.
KR1020110081844A 2011-08-17 2011-08-17 프리캐스트 블록을 이용한 도로포장의 보수공법 KR101363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844A KR101363394B1 (ko) 2011-08-17 2011-08-17 프리캐스트 블록을 이용한 도로포장의 보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844A KR101363394B1 (ko) 2011-08-17 2011-08-17 프리캐스트 블록을 이용한 도로포장의 보수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719A KR20130019719A (ko) 2013-02-27
KR101363394B1 true KR101363394B1 (ko) 2014-02-14

Family

ID=47897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1844A KR101363394B1 (ko) 2011-08-17 2011-08-17 프리캐스트 블록을 이용한 도로포장의 보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33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571B1 (ko) 2018-01-31 2018-06-04 박금선 프리캐스트 블록을 이용한 도로포장 보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442B1 (ko) * 2013-11-04 2015-01-26 동일건설(주) 열선수용부가 형성된 항공용 도로 보수용 프리캐스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항공용 도로 보수방법
KR101674726B1 (ko) * 2014-09-26 2016-11-1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머 콘크리트 유닛 및 폴리머 콘크리트 유닛의 분할 형성 구조체
CN105133474A (zh) * 2015-09-12 2015-12-09 张若玮 机动车道紧急修补机
CN108677780A (zh) * 2018-07-09 2018-10-19 吉林省交通规划设计院 一种道路标线以及制作方法
CN109403175A (zh) * 2018-12-07 2019-03-01 湖南鑫长胜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沥青路面坑槽修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921Y1 (ko) * 2002-03-16 2002-07-02 (자)한진개발공사 포장도로용 블록의 설치구조
KR20060082832A (ko) * 2006-06-15 2006-07-19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높이조절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이를 이용한도로보수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921Y1 (ko) * 2002-03-16 2002-07-02 (자)한진개발공사 포장도로용 블록의 설치구조
KR20060082832A (ko) * 2006-06-15 2006-07-19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높이조절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이를 이용한도로보수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571B1 (ko) 2018-01-31 2018-06-04 박금선 프리캐스트 블록을 이용한 도로포장 보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719A (ko) 201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3394B1 (ko) 프리캐스트 블록을 이용한 도로포장의 보수공법
US9546454B2 (en) Pre-cast concrete road repair panel
KR10154498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포장공법
US11149384B2 (en) Precast concrete panel patch system for repair of 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
US10563359B2 (en) Concrete based reinforced road structure covered by asphalt
KR101036277B1 (ko) 도로와 교량을 포함하는 구조물의 신축이음 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부 시공 공법
KR20060071384A (ko) 높이조절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이를 이용한조립식 포장공법
KR101146729B1 (ko) 아스팔트 포장 보수 공법
CN104863035A (zh) 一种简易装配式临时施工钢板路面体系及其施工方法
KR20060082832A (ko) 높이조절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이를 이용한도로보수공법
KR101160581B1 (ko) 원통형 프리캐스트 블록을 이용한 시멘트 콘크리트 도로포장의 보수공법
KR101244796B1 (ko) 도로포장의 보수장비
KR101469627B1 (ko) 프리캐스트 블록을 이용한 도로포장의 보수공법
KR20200129749A (ko) 박층 프리캐스트 포장 구조, 박층 프리캐스트 포장의 시공방법, 및 박층 프리캐스트 포장의 제작방법
KR101327873B1 (ko) 콘크리트 포장용 프리캐스트 패널 보수를 위한 평탄성 확보 유닛 및 그 보수 방법
CN213951931U (zh) 一种伸缩缝装置
KR101705310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과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합성한 도로포장공법
JP2007146647A (ja) 縁石を含む道路の補修方法とその補修方法で形成された縁石を含む道路構造
RU2454502C1 (ru) Способ ремонта дорожного полотна
CN112252176A (zh) 一种伸缩缝装置及其施工方法
KR101075180B1 (ko) 맨홀보수방법
KR200268920Y1 (ko) 도로 콘크리트 포장의 절성경계부 보강 구조
KR100998238B1 (ko) 경계석 및 그의 시공방법
CN113174797B (zh) 一种修复和提高路面承载力的装置及方法
KR100881438B1 (ko) 맨홀보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