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9844B1 -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 제조방법 및 아스팔트 포장 층간 부착력 증대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 제조방법 및 아스팔트 포장 층간 부착력 증대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9844B1
KR101579844B1 KR1020150148946A KR20150148946A KR101579844B1 KR 101579844 B1 KR101579844 B1 KR 101579844B1 KR 1020150148946 A KR1020150148946 A KR 1020150148946A KR 20150148946 A KR20150148946 A KR 20150148946A KR 101579844 B1 KR101579844 B1 KR 101579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phalt
grid
coating
impregnated
fi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기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로드텍
(주)에스엔건설
김원기
김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로드텍, (주)에스엔건설, 김원기, 김정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로드텍
Priority to KR1020150148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8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84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16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16Reinforcements
    • E01C11/165Reinforcements particularly for bituminous or rubber- or plastic-bound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스팔트 포장 층간의 전단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 제조방법 및 아스팔트 포장 층간 부착력 증대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층과 표층 사이에 형성되어 균열 및 반사균열을 예방하고 아스팔트 포장표면의 하중부담능력을 증가시킴으로 포장체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며, 피로 및 열에 의한 균열과 더불어 소성변형을 방지하면서 기층과 표층을 일체화시켜 전단부착력을 높임으로써 층간 분리현상을 방지하면서 섬유그리드에 함침된 아스팔트는 시공시 포장층 혼합물(AP)의 포설온도 (150℃이상)에 의해 함침된 아스팔트가 녹아 층간에 펼쳐져 부착력이 증대되며, 계절별 침입도를 조정하여 온도변화에 따른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의 파손(들뜸, 꺾임, 부러짐)을 방지하고, 품질성능 향상에 따른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 제조방법 및 아스팔트 포장 층간 부착력 증대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 제조방법 및 아스팔트 포장 층간 부착력 증대 시공방법{Production method of Pre-bituminised asphalt reinforcement fiber grid and construction method for improving shear bonding strength in Asphalt Pavement}
본 발명은 아스팔트포장 도로에 있어서, 표층 아래에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를 설치하여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피로 및 반사균열을 방지하고, 소성변형을 방지하면서 기층과 표층을 일체화시켜 각 층간의 전단부착력을 높임으로써 층간 분리현상을 방지하고, 포장체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며, 계절별 침입도를 조정하여 시공시 대기 온도변화에 따른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의 파손(들뜸, 꺽임, 부러짐)을 방지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 제조방법 및 아스팔트 포장 층간 부착력 증대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스팔트는 교통하중, 지반 거동뿐만 아니라, 결빙, 해빙 및 결빙을 제거하기 위한 염화물의 침입이 포장면에 수직 또는 수평변형을 일으켜 아스팔트의 균열 및 파손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격자형 섬유그리드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의 보강을 실시하였으나 기존의 섬유그리드는 물성치가 고기능 재료이지만 섬유그리드의 층간부착 불량으로 인하여 내구성을 오히려 저해시키는 요인이 있어, 근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2163호와 같이 아스팔트 보수시 기존 아스팔트를 제거한 후 기층에 택코팅 도포 및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이 함침된 격자형 섬유그리드 및 아스팔트 표층을 순차적으로 포설하여 아스팔트 포장을 실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 KR10-1482163 B1 카보팔트 섬유보강재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 소성변형 방지 공법
한편, 상술한 등록특허에서의 격자형 섬유그리드는 기층과 표층 사이에 형성되어 표층의 균열 및 소성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기층 표면에 도포하는 택코팅과 표층과의 동일한 재질인 아스팔트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을 함침방식으로 코팅시켜 사용하였다.
즉, 상기 격자형 섬유그리드에 코팅되는 코팅제를 아스팔트를 함침시키는 이유는 기층 표면에 도포되는 택코팅 및 표층과 동일한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기층과 표층을 일체화시켜 전단부착력을 높이기 위해 아스팔트 조성물이 포함된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을 사용한 것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아스팔트 함침을 하지 않는 섬유그리드의 부착강도는 평균 0.15MPa정도이고, 일반적인 아스팔트로 함침된 섬유그리드의 경우의 부착강도는 0.30MPa (2배 이상)이상이 나오기 때문이다.
여기서, 일반적인 섬유그리드에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을 코팅하는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섬유그리드를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이 액상화되어 있는 함침조를 통과시키는 방법을 통해 섬유그리드 표면에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을 코팅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일반적인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은 아스팔트 단독으로 사용하게 되면 기능성이 낮아지게 되어 품질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아스팔트에 수지계열의 바인더를 사용하는데, 특히, 상술한 등록특허를 포함하여 대부분의 도로 포장 시공시 아스팔트를 함침시켜 사용하는 격자형 섬유그리드는 경제성을 고려하여 폴리우레탄이나 에폭시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 바인더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열경화성수지는 열을 가해 성형이 되어 굳어버리면 다시 열을 가해도 연화되지 않는 재질이기 때문에 섬유그리드 표면에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을 코팅하기 위해 액상화된 상태로 함침조에 담겨져 있는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은 격자형 섬유그리드의 제조 이후에는 어떠한 열을 가하더라도 연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작된 격자형 섬유그리드를 이용해 도로 포장작업을 하게 될 경우 격자형 섬유그리드가 기층과 표층 사이에서 일체화되지 못하기 때문에 전단부착력이 낮아지게 되어 차량하중 발생시 격자형 섬유그리드가 형성된 위치를 기점으로 표층간에서 층간 분리가 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상술한 등록특허의 격자형 섬유그리드에 함침된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은 통상의 아스팔트로서 사계절이 뚜렸한 한국에서는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즉, 하절기에는 격자형 섬유그리드에 코팅된 아스팔트가 뜨거운 대기 온도에 의해 너무 끈적거려지고 이로인해 격자형 섬유그리드 시공시 격자형 섬유그리드가 차량 바퀴에 달라붙어 다시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동절기에는 차가운 대기온도에 의해 코팅된 격자형 섬유그리드가 딱딱해지고 취성을 나타내어 절삭된 기층 표면에 시공시 격자형 섬유그리드가 꺽어지거나 절단되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바인더를 포함한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을 섬유그리드에 코팅하여 제조한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를 통해 기층과 표층 사이에 형성되는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가 기층과 표층을 일체화시켜 전단부착력 향상에 따른 층간 분리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 제조방법 및 아스팔트 포장 층간 부착력 증대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을 구성하는 아스팔트 함량, 아스팔트의 종류, 바인더의 함량을 조절하여 시공환경의 온도에 따른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의 파손(들뜸, 꺽임, 부러짐)을 방지하여 품질성능 향상에 따른 시공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를 구성하는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에 포함된 바인더를 열가소성 수지계열로 사용하여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가 기층 및 표층을 일체화시키기 때문에 전단부착력을 향상시켜 층간 분리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공되는 계절에 따라 침입도를 조정하여 계절별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의 제조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제조시간 단축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에서 섬유그리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를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를 이용하여 도로를 포장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를 이용한 도로 포장시공공법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의 열을 가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의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에 150℃로 열을 가한 후 압착시공 하였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서의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의 섬유그리드(11)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바잘트 섬유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섬유 격자의 간격은 종방향 15mm ∼ 25mm, 횡방향 15mm ∼ 25mm, 섬유의 굵기는 교통량에 따라 횡방향, 종방향 1,200 ∼ 2,400Tex로 하며, 도 1에서와 같이 종방향 섬유(11b)와 횡방향 섬유(11a)가 직조되어 격자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종방향 섬유(11b)가 연장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2가닥으로 분할하여 형성된 섬유그리드(11)를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12)이 채워져 있는 함침조(1)에 함침시킨다.
여기서, 상기 섬유그리드(11)는 다수의 롤러(R)에 의해 함침조(1) 내에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12)이 고르게 코팅될 수 있도록 함침조(1) 내에서 연속하여 1회 이상에 걸쳐 코팅작업을 실시하여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10)를 제작할 수 있게 되며, 이때에, 함침조(1) 내부는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12)의 용융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200 ∼ 240℃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10)의 표면에는 규사(13)를 더 살포할 수 있으며, 이때에 작업의 연속성을 위해 함침조(1)를 통한 코팅층 작업 이후에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10) 표면에 규사 살포기(2)를 이용하여 규사를 살포해 규사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10)의 이면에는 이형재 또는 부직포(14)를 추가로 부착할 수 있다.
이러한, 이형재 또는 부직포(14)의 결합은 규사층을 형성한 이후에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10)의 이면에 이형재 또는 부직포(14)를 배치한 후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10) 및 이형재 또는 부직포(14)를 롤러(R)로 압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12)은 아스팔트 60 ∼ 80중량%, 열가소성 수지 바인더 5 ∼ 15중량%, 탄산칼슘 5 ∼ 15중량% 및 첨가제 1 ∼ 10중량%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아스팔트는 흑색 또는 흑갈색을 띄며, 주로 수소 및 탄소로 구성되어 있고, 소량의 질소, 황, 산소가 결합된 화합물의 조합으로서, 방수성과 더불어 부착성, 경화성, 점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아스팔트의 함량이 임계치 미만일 경우 흐름성 저하에 따른 작업성이 나빠지게 되고, 방수성 및 침입도가 낮아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흐름성이 높아지게 되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한편, 부착성, 경화성 및 바인더의 사용량이 줄어들게 되어 기능성이 저하되는 문제됨은 물론, 침입도가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다음으로, 열가소성 수지 바인더는 상술한 아스팔트와 혼합하여 아스팔트를 경화시키면서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혼합된다.
본 발명에서의 열가소성 수지 바인더는 가열하면 연화되어 유동성을 가지고 냉각하면 굳어지게 되며, 특히, 재가열을 해도 화학적 반응없이 다시 연화되기 때문에 반복적인 가열과 냉각이 이루어지더라도 물성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섬유그리드(11) 표면에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12)을 코팅하기 위해 가열한 후 냉각시킨 상태에서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10)를 시공하기 위해 재가열을 하더라도 물성의 변화없이 연화되어 유동성을 가지게 됨으로써 도로 포장시 아스팔트를 주재료로 이루어진 표층(AP)과 기층(C) 및 기층(C) 표면에 도포되는 택코팅(B)과 일체화되어 기층(C)과 표층(AP)을 일체화시키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 바인더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포화에스테르계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는 사용되는 산에 따라서 포화 폴리에스테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로 분류되는데, 포화산을 사용하는 경우를 포화 폴리에스테르라 하고, 불포화 산을 사용하는 경우를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라 한다. 특히, 이염기산의 지방족, 방향족 여부 또는 반응온도 및 축합 반응에 참여하는 알코올의 종류에 따라서 생성물이 달라지며, 이러한 생성물의 분자량 분포 및 종류에 따라 적용분야도 다양하다. 예를 들어, 불포화 이염기산을 사용하여 제조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는 스티렌 모노머와 같은 중합성 단량체에 용해하여 액상수지로 만들고 수지의 불포화 이중결합이 비닐 모노머 등과 반응을 하여 도막이 형성되는데, 이것은 주로 주형용, FRP용 등으로 사용된다. 반면, 포화 폴리에스테르는 용제 타입 또는 무용제 타입으로 합성이 되고, 포화 폴리에스테르의 관능기 즉 수산기가 이소시아네이트기와의 우레탄 결합 반응을 통해 도막이 형성되어 섬유그리드(11) 표면에 매우 잘 코팅되며 특히, 접착성이 뛰어난 장점도 있다.
상기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 바인더는 임계치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 접착성 및 아스팔트 경화성이 저하되어 작업 효율성이 떨어지게 되고, 반대로,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경화성능은 상승하게 되지만 상대적으로 아스팔트의 혼합량이 적어지게 되어 방수성이 저하되고, 특히, 열가소성 수지의 특성상 기계적 강도가 저하됨은 물론 내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상술한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12)은 시공하는 계절에 따라 대기 온도에 의해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12)의 단단함의 척도인 침입도를 달리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하절기에는 뜨거운 대기 온도에 의해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12)이 연화되어 끈적임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12)이 코팅된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10)를 시공한 후 표층(AP)을 시공하기 이전에 조기 개통하였을 경우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12)의 끈적임에 의해 통행하는 차량 바퀴가 달라붙은 후 다시 떨어지게 되면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10)의 격자간격 및 위치가 가변되어 설계에 의해 요구하는 기계적강도에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대기 온도가 차가운 동절기의 경우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12)이 함침되어 코팅된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10)가 딱딱해지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절삭된 기층(C) 표면에 시공이 이루어지게 되면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10)가 취성에 의해 꺽이거나 절단되어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10)를 사용하여 보강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평상시에는 하절기와 마찬가지로 침입도가 10 ∼ 20이고,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12) 전체 중량 대비 10 ∼ 20중량%의 블로운 아스팔트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동절기에는 침입도 30 ∼ 40인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12)을 사용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다음으로, 탄산칼슘은 점도 조정과 더불어 충진제로서 이용된다.
다음으로, 첨가제는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12)에 다양한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해 포함된다.
예컨대, 분산성을 높이기 위한 분산제나 화학적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한 안정제, 레벨링제 등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성분을 추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를 이용하여 도로포장을 하는 시공공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보수보강을 실시하고자 하는 기층(C)의 포장 표층을 절삭하여 제거한 후 고압수 또는 에어건을 이용해 기층(C) 표면의 이물질, 페인트 및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건전한 상태로 만든다.(기층면 정리단계)
이때에, 기층(C)에 균열이 있을 경우에는 균열보수작업을 더 실시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상기 기층(C)의 표면에 택코팅을 도포한다.(택코팅 도포단계)
상기 택코팅(B)의 도포량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1㎡당 200 ∼ 400g을 도포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기층(C)에 택코팅(B)의 도포가 완료되면 상술한 방법으로 제작된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10)를 택코팅(B)의 상측에 깔아놓도록 한다.(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 부착단계)
만약,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10)에 필름 형태로 이루어진 이형재(14)가 배면에 형성되었을 경우에는 이를 연소시키기 위한 작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런 후,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10)의 상측으로 아스팔트로 이루어진 표층(AP)을 포설 및 다짐작업을 하여 시공을 완료한다.(포장 아스팔트 시공단계)
여기서, 상기 표층(AP)은 가열 아스팔트를 사용하게 되며, 이때에, 가열 아스팔트는 대략 150℃ 전, 후의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작된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10)는 표층(AP)과 기층(C)에 도포된 택코팅(B)에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10)에 코팅된 코팅층의 부착력이 뛰어나 표층(AP)과 기층(C)을 일체화시킴으로써 전단부착력을 높여 층간 분리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피로균열 및 반사균열을 예방하고 아스팔트 포장표면의 하중부담능력을 증가시킴으로 포장체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며, 온도에 의한 균열을 줄여주며, 소성변형을 저감시켜준다.
즉, 본 발명에서의 기층(C)은 아스팔트가 포함된 층이고, 이 기층(C)에 도포되는 택코팅(B)도 석탄과 석유의 중간 제품으로 자연적 또는 인위적으로 건조시킨 석유 생성물 중의 하나로 아스팔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10) 상측에 포장되는 표층(AP)도 아스팔트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10)에 코팅되는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12)도 아스팔트를 포함하고 있어 상술한 기층(C), 택코팅(B) 및 표층(AP)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기층(C)에 택코팅(B)을 도포한 후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10)를 깔아 놓은 상태에서 표층(AP)을 포설 및 다짐작업하게 되면 섬유그리드(11)에 함침된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12)은 시공시 표층(AP)의 포설온도(150℃ 이상)에 의해 녹아 각 층에 녹아들게 되어 부착력이 증대되기 때문에 기층(C)과 표층(AP)의 전단부착력 향상 및 그로 인한 층간분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의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10)에 코팅되어 있는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12)에는 아스팔트를 경화시키기 위해 열가소성 수지 바인더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열에 의해 연화되고 냉각되면 굳어지며, 재가열시에도 다시 연화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이때에, 재가열이 이루어지더라도 물성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열가소성 수지 바인더로서의 기능인 부착력을 위한 바인더 역할 및 아스팔트를 경화시키기 위한 경화제의 역할은 변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도로의 포장 시공전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10)를 제작하기 위해 열을 가하여 섬유그리드(11)에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12)을 코팅한 상태에서 보관을 위해 냉각시킨 후 이를 도로 포장을 위해 사용하였을 때에, 가열 아스팔트인 표층(AP)에서 발생하는 열 및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10)의 배면에 형성한 이형재(14)를 연소시키기 위해 가하는 열에 의해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12)의 연화되면서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12)에 의해 경화되었던 아스팔트가 다시 연화되어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12)이 녹아(도 5 내지 도 6 참조.) 기층(C), 택코팅(B) 및 표층(AP)에 펼쳐져 혼합되어 각각의 층이 구분되지 않고 일체화되도록 작용하게 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전단부착력 향상에 따른 층간분리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진 바인더를 적용한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12)을 이용해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10)를 제작하여 도로 포장에 이용함으로써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10)의 고유 효과인 균열 및 반사균열을 예방하고 아스팔트 포장표면의 하중부담능력을 증가시킴으로 포장체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며, 피로 및 열에 의한 균열을 줄여주며, 소성변형 방지 기능 및 기층(C)과 표층(AP)을 일체화시켜주어 전단부착력을 향상시키고, 전단부착력 향상에 의해 기층(C)과 표층(AP) 간의 층간 분리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AP : 표층 C : 기층 B : 택코팅
1 : 함침조 2 : 규사 살포기
10 :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
11 : 섬유그리드 11a : 횡방향 섬유 11b : 종방향 섬유
12 :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
13 : 규사
14 : 이형재 또는 부직포

Claims (10)

  1. 종방향 섬유와 횡방향 섬유가 서로 교차하여 격자형태로 형성되는 섬유그리드를 아스팔트 60 ∼ 80중량%, 열가소성 수지 바인더 5 ∼ 15중량%, 탄산칼슘 5 ∼ 15중량% 및 첨가제 1 ∼ 10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이 채워진 함침조에 함침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의 열가소성 수지 바인더는 포화폴리에스테르계인 것에 특징이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그리드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바잘트 섬유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섬유의 격자 간격은 종방향 15mm ∼ 25mm, 횡방향 15mm ∼ 25mm 섬유의 굵기는 교통량에 따라 횡방향 및 종방향섬유는 1,200 ∼ 2,400Tex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 제조방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에 코팅된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은,
    하절기에는 침입도가 10 ∼ 20이고,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0 ∼ 20중량%의 블로운 아스팔트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동절기에는 침입도 30 ∼ 40인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그리드에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을 함침하는 과정은 연속적으로 1회 이상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는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 제조방법.
  6. 시공을 실시하고자 하는 바탕면을 고압세척이나 고압 에어건으로 이물질, 페인트 및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기층면 정리단계:
    상기 바탕면이 정리된 기층면의 표면에 택코팅을 도포하는 택코팅 도포단계:
    상기 택코팅이 도포된 기층면 표면에 종방향 섬유와 횡방향 섬유가 서로 교차하여 격자형태로 형성되는 섬유그리드층을 아스팔트 60 ∼ 80중량%, 열가소성 수지 바인더 5 ∼ 15중량%, 탄산칼슘 5 ∼ 15중량% 및 첨가제 1 ∼ 10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이 채워진 함침조에 함침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제조된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를 부착하는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 부착단계;
    상기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 부착단계에서의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 상측으로 아스팔트 포장을 시공하는 포장 아스팔트 시공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 부착단계에서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의 열가소성 수지 바인더는 포화폴리에스테르계인 것에 특징이 있는 아스팔트 포장 층간 부착력 증대 시공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바잘트 섬유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섬유의 격자 간격은 종방향 15mm ∼ 25mm, 횡방향 15mm ∼ 25mm 섬유의 굵기는 교통량에 따라 횡방향 및 종방향섬유는 1,200 ∼ 2,400Tex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아스팔트 포장 층간 부착력 증대 시공방법.
  8. 삭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에 코팅된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은,
    하절기에는 침입도가 10 ∼ 20이고,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0 ∼ 20중량%의 블로운 아스팔트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동절기에는 침입도 30 ∼ 40인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아스팔트 포장 층간 부착력 증대 시공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에 코팅용 아스팔트 조성물을 함침하는 과정은 연속적으로 1회 이상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는 아스팔트 포장 층간 부착력 증대 시공방법.
KR1020150148946A 2015-10-26 2015-10-26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 제조방법 및 아스팔트 포장 층간 부착력 증대 시공방법 Active KR101579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946A KR101579844B1 (ko) 2015-10-26 2015-10-26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 제조방법 및 아스팔트 포장 층간 부착력 증대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946A KR101579844B1 (ko) 2015-10-26 2015-10-26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 제조방법 및 아스팔트 포장 층간 부착력 증대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9844B1 true KR101579844B1 (ko) 2015-12-23

Family

ID=55082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946A Active KR101579844B1 (ko) 2015-10-26 2015-10-26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 제조방법 및 아스팔트 포장 층간 부착력 증대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9844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506B1 (ko) * 2016-09-09 2017-04-03 (주)에프투비 아스팔트 보강재, 이것의 제조방법 및 아스팔트 보강재를 이용한 아스팔트 보강 시공방법
KR101822875B1 (ko) * 2016-03-29 2018-01-29 신은섭 저융점섬유로 이루어진 아스팔트보강재
KR101822872B1 (ko) * 2016-03-29 2018-01-29 신은섭 저융점섬유가 합사된 격자형 아스팔트보강재
KR102245846B1 (ko) 2020-08-28 2021-04-28 우백건설 주식회사 도막 방수제 조성물을 이용한 구조물 방수 시공방법
KR102246077B1 (ko) 2020-08-28 2021-04-29 한우코리아 주식회사 도막 방수제 조성물을 이용한 구조물 방수 시공방법
KR102250831B1 (ko) 2020-08-28 2021-05-11 (주)대아하이텍 도막 방수제 조성물을 이용한 차열성 구조물 방수 시공방법
KR20210085632A (ko) 2019-12-31 2021-07-08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 도로포장용 아스팔트 그리드 보강재
KR102363072B1 (ko) 2020-09-01 2022-02-15 주식회사 알. 브이 도막 방수제 조성물을 이용한 차열성 구조물 방수 시공방법
CN114717901A (zh) * 2022-02-23 2022-07-08 河北工业大学 以钢丝网增强沥青混凝土为基层的全厚式沥青路面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908Y1 (ko) * 2000-07-06 2001-02-01 주식회사대흥산업 복합 시트 방수재
KR101077472B1 (ko) * 2011-09-27 2011-10-27 (주)에스엔건설 글래스팔트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보강공법
KR101347567B1 (ko) * 2007-08-07 2014-01-10 생-고뱅 애드포스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아스팔트 포장용 보강재, 포장방법 및 아스팔트 포장용 코팅재로 그리드를 제조하는 방법
KR101482747B1 (ko) * 2013-11-20 2015-01-16 성문산업 주식회사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루핑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908Y1 (ko) * 2000-07-06 2001-02-01 주식회사대흥산업 복합 시트 방수재
KR101347567B1 (ko) * 2007-08-07 2014-01-10 생-고뱅 애드포스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아스팔트 포장용 보강재, 포장방법 및 아스팔트 포장용 코팅재로 그리드를 제조하는 방법
KR101077472B1 (ko) * 2011-09-27 2011-10-27 (주)에스엔건설 글래스팔트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보강공법
KR101482747B1 (ko) * 2013-11-20 2015-01-16 성문산업 주식회사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루핑시트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875B1 (ko) * 2016-03-29 2018-01-29 신은섭 저융점섬유로 이루어진 아스팔트보강재
KR101822872B1 (ko) * 2016-03-29 2018-01-29 신은섭 저융점섬유가 합사된 격자형 아스팔트보강재
KR101722506B1 (ko) * 2016-09-09 2017-04-03 (주)에프투비 아스팔트 보강재, 이것의 제조방법 및 아스팔트 보강재를 이용한 아스팔트 보강 시공방법
KR20210085632A (ko) 2019-12-31 2021-07-08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 도로포장용 아스팔트 그리드 보강재
KR102245846B1 (ko) 2020-08-28 2021-04-28 우백건설 주식회사 도막 방수제 조성물을 이용한 구조물 방수 시공방법
KR102246077B1 (ko) 2020-08-28 2021-04-29 한우코리아 주식회사 도막 방수제 조성물을 이용한 구조물 방수 시공방법
KR102250831B1 (ko) 2020-08-28 2021-05-11 (주)대아하이텍 도막 방수제 조성물을 이용한 차열성 구조물 방수 시공방법
KR102363072B1 (ko) 2020-09-01 2022-02-15 주식회사 알. 브이 도막 방수제 조성물을 이용한 차열성 구조물 방수 시공방법
CN114717901A (zh) * 2022-02-23 2022-07-08 河北工业大学 以钢丝网增强沥青混凝土为基层的全厚式沥青路面结构
CN114717901B (zh) * 2022-02-23 2023-08-18 河北工业大学 以钢丝网增强沥青混凝土为基层的全厚式沥青路面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9844B1 (ko)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 제조방법 및 아스팔트 포장 층간 부착력 증대 시공방법
CN107033611B (zh) 具有防水功能的高等级沥青组合物及利用其的施工方法
KR101256108B1 (ko) 교면방수공법
KR101482163B1 (ko) 카보팔트 섬유보강재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 소성변형 방지 공법
KR101784950B1 (ko) 구스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방법
KR102411277B1 (ko) 자가수선형 고무아스팔트 조성물을 이용한 포장공법
KR101612491B1 (ko) 바잘트 섬유 그리드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 내구성 증대공법
KR101189549B1 (ko) 아스팔트 포장 균열 방지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 및 교량 방수 포장 방법
KR102478619B1 (ko) 고등급 아스팔트 바인더를 포함하는 박층 포장용 샌드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박층 불투수 복합포장의 시공방법
KR101323022B1 (ko) 콘크리트 도로용 신축줄눈 파손부의 보수방법
KR101925469B1 (ko) 반사균열 제어 및 응력완화를 위한 고탄성 아스팔트 바인더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JP2016141813A (ja) 不透水性排水中間層形成用の非固化ゴムアスファルト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て不透水性排水中間層を一回の舗装により形成する方法
HK1223991A1 (zh) 瀝青路面坑槽修補貼和用於修補瀝青路面的方法
KR102188825B1 (ko)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 si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는 교면포장용 방수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CN104072023A (zh) 一种沥青混合料路面
KR101859999B1 (ko) 박막 방수층이 포함된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JP2015013907A (ja) ポリマー結合アスファルト組成物、舗装用混合物、および舗装体
CN113668314B (zh) 中粒式排水抗裂柔性基层沥青路面结构及铺装方法
KR102083824B1 (ko) 탄성조인트를 이용한 교량 신축이음장치 후타부와 아스콘 포장부의 단차보수 시공방법
KR102002499B1 (ko) 교면 방수용 하이브리드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과 시공장치를 이용한 교면 방수공법
KR101955570B1 (ko) 아스팔트섬유보강재가 일체 형성된 택코팅용 섬유융착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방법
KR101272099B1 (ko) 폐백토를 함유하는 중온 아스팔트콘크리트 및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체
JP2006037702A (ja) 舗装道路
KR102119756B1 (ko) Sis, seb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도막 방수제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86116B1 (ko) 고부착 및 내후성 가열식 아스팔트계 실란트를 이용한 교량지하차도부 신축이음재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1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