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912B1 - 큐브형 다기능 가구 - Google Patents
큐브형 다기능 가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77912B1 KR101577912B1 KR1020140165388A KR20140165388A KR101577912B1 KR 101577912 B1 KR101577912 B1 KR 101577912B1 KR 1020140165388 A KR1020140165388 A KR 1020140165388A KR 20140165388 A KR20140165388 A KR 20140165388A KR 101577912 B1 KR101577912 B1 KR 1015779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orage space
- sink
- enclosure
- space
- cook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이 다른 각각의 가구를 하나의 조립구성으로 조합하여 필요한 가구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다기능 가구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일정 높이에 형성하는 평탄한 상면과, 상기 상면에 설치하여 물을 담는 개수대와, 상기 상면에 설치되어 개수대를 은폐 또는 개방하는 상판과, 분할된 측면이 수직 및 수평 이동하여 조리기기가 노출되게 하는 이동대가 구비된 싱크기능함체, 상기 싱크기능함체의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되며, 평탄한 상면에 저장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저장공간을 은폐하는 거치대와, 상기 저장공간에서 출몰하는 지지대와, 상기 저장공간의 양측에서 지점회전하는 보조대를 갖추어선 된 워드기능함체, 상기 싱크기능함체와, 워드기능함체를 밀착되게 설치하여 하나의 구성체로 형성하는 입방체, 상기 싱크기능함체에서 상판과 이동대의 위치 변환으로 입방체에 설겆이 구성이 형성되는 제1변형체, 상기 워드기능함체에서 거치대와 지지대 및 보조대의 위치 변환으로 입방체에 정보조사 및 입력구성이 형성되는 제2변형체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본 발명은 좁은 실내의 공간 또는 주거공간에 면적을 작게 차지하면서, 컴퓨터 작업을 할 수 있는 기능과, 조리와 설겆이 작업을 할 수 있는 싱크대 기능을 하나의 가구로 제공함이 가능한다.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일정 높이에 형성하는 평탄한 상면과, 상기 상면에 설치하여 물을 담는 개수대와, 상기 상면에 설치되어 개수대를 은폐 또는 개방하는 상판과, 분할된 측면이 수직 및 수평 이동하여 조리기기가 노출되게 하는 이동대가 구비된 싱크기능함체, 상기 싱크기능함체의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되며, 평탄한 상면에 저장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저장공간을 은폐하는 거치대와, 상기 저장공간에서 출몰하는 지지대와, 상기 저장공간의 양측에서 지점회전하는 보조대를 갖추어선 된 워드기능함체, 상기 싱크기능함체와, 워드기능함체를 밀착되게 설치하여 하나의 구성체로 형성하는 입방체, 상기 싱크기능함체에서 상판과 이동대의 위치 변환으로 입방체에 설겆이 구성이 형성되는 제1변형체, 상기 워드기능함체에서 거치대와 지지대 및 보조대의 위치 변환으로 입방체에 정보조사 및 입력구성이 형성되는 제2변형체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본 발명은 좁은 실내의 공간 또는 주거공간에 면적을 작게 차지하면서, 컴퓨터 작업을 할 수 있는 기능과, 조리와 설겆이 작업을 할 수 있는 싱크대 기능을 하나의 가구로 제공함이 가능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능이 다른 각각의 가구를 하나의 조립구성으로 조합하여 필요한 가구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다기능 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컴퓨작업에 필요한 책상과 키보드받침과 의자등의 구성과, 취사작업에 필요한 조리대와 싱크대 및 개수대등의 구성을 정방형 구성체에 구비하여, 조리 또는 컴퓨터 작업시 필요한 가구를 선택 노출시켜 사용하게 하는 큐브형 다기능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는 사용목적에 부합되는 구조와 기능을 구비하도록 제작되며, 제작후 해당 사용목적에 맞는 공긴 위치에 배체하여 목적을 달성함에 적당한 할용성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사용목적을 강조하기 위하여 사용목적에만 활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어 단일 제품으로 제작하였다.
따라서 생활공간에는 각각의 사용목적에 맞는 가구가 배치되므로서 가구들이 차지하는 면적으로 인해 생활공간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핵가족화가 점차적으로 확신되고 있는 현실에서 거주의 공간도 핵가족화에 맞추어 줄어들고 있어서, 생활목적에 필요한 가구의 면적은 작은 거주공간의 면적을 협소하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핵가족화의 대상은 부모로부터 독립하는 젊은 계층이며, 젊은 계층의 생활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물품은 컴퓨터이고, 실제 컴퓨터에 집중하는 시간도 다른 활동에 비히여 비중이 높은 편이서 독립적인 생활공간에서 필요한 가구는 컴퓨터책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핵가족화 된 생활자들이 컴푸터 다음으로 사용하는 물품은 취사를 위한 물품으로는, 식사를 하기 위한 조리장비, 식사후 설겆이 하기 위한 개수대 및 생활용수공급장비등이 갖추어진 싱크대 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컴퓨터 책상과 싱크대가 제공하는 기능이 상이하므로 협소한 생활공간에 각각 배치하여 생활공간이 감소되는 것은 감안하면서도 사용하여 왔던 것이다.
본 발명은 실내의 공간이 협소한 거주 공간에서 활용도가 높고, 하나의 가구에서 한 가지 이상의 기능을 이루게 함을 목적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구의 사용목적에 따라 그 기능을 충분하게 제공되는 구조에서, 사용후 보관되는 상태에서는 각 기능의 구조가 은폐되어 노출되지 않으므로 차지하는 면적이 협소하여 실내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허여 안출한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일정 높이에 형성하는 평탄한 상면과, 상기 상면에 설치하여 물을 담는 개수대와, 상기 상면에 설치되어 개수대를 은폐 또는 개방하는 상판과, 분할된 측면이 수직 및 수평 이동하여 조리기기가 노출되게 하는 이동대가 구비된 싱크기능함체, 상기 싱크기능함체의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되며, 평탄한 상면에 저장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저장공간을 은폐하는 거치대와, 상기 저장공간에서 출몰하는 지지대와, 상기 저장공간의 양측에서 지점회전하는 보조대를 갖추어선 된 워드기능함체, 상기 싱크기능함체와, 워드기능함체를 밀착되게 설치하여 하나의 구성체로 형성하는 입방체, 상기 싱크기능함체에서 상판과 이동대의 위치 변환으로 입방체에 설겆이 구성이 형성되는 제1변형체, 상기 워드기능함체에서 거치대와 지지대 및 보조대의 위치 변환으로 입방체에 정보조사 및 입력구성이 형성되는 제2변형체로 이루어진 구성을 제공함에 의하여 충분히 달성될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충분한 구성에서, 상기 제1변형체는, 상기 싱크기능함체의 상면에 구비하는 개수대와, 상기 개수대의 상부에서 좌우로 슬라이딩되어 상면의 면적을 확장하는 상판, 상기 싱크기능함체와 동일한 폭으로 되어 복수개로 분할된 측면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대에는 조리기기를 구비한 채 수직이동후 수평상태로 젖혀지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의 이동 후 노출되는 조리공간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충분한 구성에서 제2변형체는, 상기 제1변형체와 동일한 크기와 높이로 되는 조립대와, 상기 조립대의 내부에 키보드 보관하기 위해 형성한 저장공간과, 상기 저장공간 상부를 은폐하며 개방시 경사지게 정지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거치대와, 상기 저장공간의 개방시 인출되는 입력기기용 지지대와, 상기 조립대의 내부에 형성한 시트부재가 출입되게 수납공간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충분한 구성에서 상기 개수대는, 상기 싱크기능함체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개수대에 물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는 수도전은 상판의 슬라이딩시 상판에 걸리지 않도록 개수대내측으로 회전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충분한 구성에서 상기 상판은, 상기 싱크기능함체의 상면과 동일한 크기로되어 상면과 개수대를 은폐하고, 상기 상판의 중간위치를 분할하여 개수대의 양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개수대를 개방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충분한 구성에서 상기 이동대는, 상기 싱크기능함체의 측면대를 복수개로 분할하여 형성하고, 분할된 이동대의 내면에 조리기기를 설치하여 측면대를 따라 수직이동하고 측면대 상면에서 수평하게 뉘어지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충분한 구성에서 상기 보조대는, 상기 워드기능함체의 저장공간 양측에 위치하는 각각의 상면크기로 형성하고, 상기 각 상면의 외면에 고정되는 경첩으로 연결되어 지점회전시 상면의 표면적이 확장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충분한 구성에서 상기 시트부재는, 상기 워드기능함체의 조립대 내부에 형성하는 수납공간과, 상기 수납공간 크기로 형성하는 의자와, 상기 의자의 하단에 형성하는 공간과, 상기 공간으로 결합분리시키는 보조의자로 이루어지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좁은 실내의 공간 또는 주거공간에 면적을 작게 차지하면서, 컴퓨터 작업을 할 수 있는 기능과, 조리와 설겆이 작업을 할 수 있는 싱크대 기능을 하나의 가구로 제공함이 가능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목적과, 편의에 따라 컴퓨터 작업기능 또는 조리 및 설겆이 기능을 면적을 작게 차지하는 입방체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컴퓨터 작업과 설겆이 및 조리작업을 하나의 입방체 가구에서 할 수 있어서 벽에 고정되지 않으므로 실내 공간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적용한 다기능 가구에 대한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제1변형체의 변환 중 정면상태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제1변형체의 변환 완료 평면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중 도 4의 A-A'선 단면구성도.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적용한 제2변형체의 변형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제2변형체의 변형 상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제2변형체의 변형상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적용한 제2 변형체의 시트부재의 분리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제1변형체의 변환 중 정면상태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제1변형체의 변환 완료 평면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중 도 4의 A-A'선 단면구성도.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적용한 제2변형체의 변형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제2변형체의 변형 상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제2변형체의 변형상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적용한 제2 변형체의 시트부재의 분리사시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적용한 다기능 가구에 대한 사시도로서, 내부에 공간을 갖는 상태에서 소정의 높이로 되고, 상면(115)을 평탄하게 형성하는 싱크기능함체(100)와, 상기 싱크기능함체와 동일한 형상으로 된 워드기능함체(200)로 입방체(300)가 구성된다.
상기 싱크기능함체(100)와 워드기능함체(200)는 상부의 구성이 수평이동 또는 회전되어 형상이 변형되고, 측면대(153)의 구성이 수직 또는 전후로 이동되어 형상이 변형될 때, 조리와 설겆이 작업이 가능한 구성을 제공하는 제1변형체(100A)와, 정보조사와 입력작업이 가능한 구성을 제공하는 제2변형체(200A)를 구비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제1변형체의 변환 중인 정면상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제1변형체의 변환 완료 평면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중 도 4의 A-A'선 단면구성도이다.
상기 싱크기능함체(100A)는 도 3과 같이 설겆이 작업이 가능한 싱크부재(110)와 조리작업이 가능한 조리부재(150)의 조립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싱크부재(110)와 조리부재(150)를 밀착되게 조립하면 싱크기능이 제공되는 제1변형체(100A)가 형성된다.
상기 싱크부재(110)와 조리부재(150)를 밀착되게 조립된 상태를 도 4의 단면구성으로 살피면 사용목적에 부합되는 싱크대 구성과 조리대 구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싱크부재(110)는 물이 공급되는 수도전(125)과, 물을 담아 설겆이 하는 개수대(120)를 상면(115)에 형성하고, 상기 상면(115)의 상부에는 개수대(120)를 포함한 상면(115)을 은폐시키기에 충분한 크기로 상판(140)을 설치한다.
상기 상판(140)은 도 3과 같이 개수대(120)의 중간위치에서 분리되게 형성하고, 개수대(120)의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상판(140)으로 상면(115)과 개수대(120)를 은폐 또는 노출되게 한다. 이때, 상기 상판(140)의 슬라이딩범위는 상면(115)을 벗어나지 않는 위치에서 제한되게 한다.
상기 상면(115)에 형성하는 개수대(120)에는 수도전(125)을 설치함에 있어, 수도전(125)의 토출구가 회전되게 구성하여 상판(140)이 개수대(120) 중앙으로 모아질 때 수도전(125)의 토출구가 회전하여 상판(140)에 걸리지 않게 한다.
상기 조리부재(150)는 도2의 구성과 같이, 상기 조리부재(150)의 측면대(153)를 수직하게 분할구성하여 이동대(160)를 형성하고, 이동대(160)의 측면으로 조리기기(170)를 구비한다.
상기 분할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이동대(160)는 측면대(153)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구성이므로 조리기기(170)를 구비한채 수직이동후 측면대(153)의 상면에 수평상태로 젖혀지는 구성으로 설치한다.
상기 이동대(160)가 측면대(153)에서 수평상태로 젖혀질 때 조리기기(170)가 노출됨과 동시에 이동대(160)에 의해 가려져 있던 조리공간(180)도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적용한 제2변형체의 변형 예시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제2변형체의 변형 상태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제2변형체의 변형상태 평면도로서, 상기 워드기능함체(200)는 정보조사와 입력작업등의 워드기능이 가능한 구성을 제공하는 제2변형체(200A)를 구비한다.
상기 워드기능함체(200)는 상부에 정보화 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입력기기의 보관을 위한 저장공간(220)을 형성하고, 조립대(210)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의자용 수납공간(260)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워드기능함체(200)의 상면(215) 중앙으로 디스플레이 패널과 입력기기가 수용되기에 충분 크기로 저장공간(220)을 형성하고, 저장공간(220) 내에는 지지대(240)를 설치하여 입력기기가 저장공간내에서 외부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설치한다.
또한, 상기 저장공간(220)에는 저장공간의 개구를 은폐하기에 적당한 크기로 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거치대(230)와 작업용 보조대(250)를 설치하여 거치대(230)는 저장공간(220)의 내부장변에서 지점회전되게 설치하고, 작업용 보조대(250)는 상면(215)의 좌우측에서 지점회전되게 설치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적용한 제2 변형체의 시트부재의 분리사시도로서, 상기 시트부재(270)는 워드기능함체(200)의 수납공간(260)을 은폐하기에 충분한 크기로 된 의자(271)와, 상기 의자의 하단에 보조공간(273)으로 수납함이 가능한 보조의자(271)로 구성되어 의지와 함께 수납공간(260)으로 보관 및 인출되게 구성하여 작업자의 피로도를 낮추게 할 수 있다.
상기의 시트부재(270)는 워드기능함체(200)의 조립대(210)에 형성하는 수납공간(260)에 보관되는 것으로, 상기 의자(271)는 그 등판을 상기 수납공간(260)의 크기로 형성하고, 의자(271)의 하단에 보조공간(273)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의자(271)의 하단에 형성하는 보조공간(273)에는, 보조공간(273)의 형상에 맞는 보조의자(280)를 형성하여 의자(271)와 함께 취급하게 한다 .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대한 변환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싱크기능함체(100)에 대한 변환상태는, 싱크대기능을 사용하고자 할 때 선택하는 것으로, 싱크대기능함체(100)에서 측면대(153)을 분할하여서 된 조리부재(150)의 이동대(160)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측면대(153)의 상단위치에 도달하면 도 2처럼 이동대(160)는 측면대(153)의 상면에서 좌,우방향으로 수평하게 눕게된다.
상기 이동대(160)가 양방향으로 수평하게 뉘어지면 이동대(160)의 내측면에 구비한 조리기기(170)가 노출되는 상태가 되고, 동시에 이동대(160)가 자리했던 조리공간(180)도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리공간(180)으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리부재(150의 변형후, 싱크부재(110)의 상판(140)을 도 3과 같이 싱크부재(110)의 양쪽 바깥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싱크부재(110)의 개수대(120)가 노출되는 상태가 되고, 동시에 상면(115)도 개방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 개수대(120)가 노출되면 상판(140)의 닫힘으로 접혀져 있던 수도전(125)이 도 4와 같이 세워져 개수대(12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싱크부재(110)와 조리부재(150)에 구비된 각 구성들의 이동과 회전으로 싱크기능함체(100)는 제1변형체(100A)로 변환되고, 변환된 구조에서 노출된 개수대(120)와 조리기기(170)를 이용하여 조리기능과 싱크대기능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1변형체(100A)에 의해 펼쳐진 싱크부재((100)와 조리부재(150)에서 제공되는 싱크대 기능과 조리기능을 모두 사용한 뒤에는 변환된 각 구성물을 변환의 역순으로 접거나, 제자리로 복귀시키면 각각의 싱크부재(110) 및 조리부재(150)는 싱크기능함체(100)로 복귀된다.
상기와 같이 제1변형체(100A)의 싱크대 기능을 사용한 후에는 정보조사 및 입력작업을 하기 위해서 워드기능함체(200)를 선택한다.
상기 워드기능함체(200)에 대한 변환상태는 도 5와 같이 조립대(210)의 수납공간(260)에 결합되어 있는 시트부재(270)을 꺼내고, 상면(215)의 저장공간(220)을 은폐하고 있는 거치대(230)를 열어 지점회동시키면, 저장공간(220)이 개방되면서 거치대(230)는 시청하기에 적당한 경사각을 유지하게 되고, 저장공간(220) 내의 입력기기는 지지대(240)에 의해 저장공간 외부로 인출되는 상태가 된다.(도 6)
또한, 상기 저장공간(220)의 양측에 위치한 보조대(250)를 도 7과 같이 상기 저장공간(220)의 양측바깥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면(215)의 넓이가 보조대(250)에 의해 확장되어 작업공간이 확장된다.
이러한 거치대(230)와 지지대(240) 및 보조대(250)의 회전 및 슬라이딩으로 워드기능함체(200)는 제2변형체(200A)로 변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트부재(270)의 의자(271)에 앉으면 수납공간(260)으로 다리를 넣어 안정된 자세를 취히고, 지지대(240)의 입력기기를 통해 거치대(230)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패널로 정보조사 및 입력작업을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변형체(200A)에서 제공되는 거치대(230)와 지지대(240) 및 보조대(250)에 의해 정보조사 및 입력작업을 모두 완료한 뒤에는 변환시킨 역순으로 각 구성물을 접거나 회전시키거나, 슬라이딩 시키면 보조대(250)는 상면(215)의 양측면에 덮어지고, 입력기기와 함께 노출된 지지대(240)은 저장공간(220) 내로 삽입되며, 거치대(230)는 저장공간(220)을 은폐시키며, 상기 의자(271)의 하단에 마련된 보조공간(273)으로 보조의자(280)를 재결합 시키는 시트부재(270)를 수납공간(260)으로 결합되는 상태가 되어 워드기능함체(200)로 복귀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싱크기능함체 100A : 제1변형체 110 : 싱크부재
112 : 조립대 115 : 상면 120 : 개수대
125 : 수도전 140 : 상판 150 : 조리부재
153 : 측면대 160 : 이동대 170 : 조리기기
180 : 조리공간 200 : 워드기능함체 210 : 조립대
215 : 상면 220 : 저장공간 230 : 거치대
240 : 지지대 250 : 보조대 251 : 경첩
260 : 수납공간 270 : 시트부재 271 : 의자
273 : 보조공간 280 : 보조의자 300 : 입방체
112 : 조립대 115 : 상면 120 : 개수대
125 : 수도전 140 : 상판 150 : 조리부재
153 : 측면대 160 : 이동대 170 : 조리기기
180 : 조리공간 200 : 워드기능함체 210 : 조립대
215 : 상면 220 : 저장공간 230 : 거치대
240 : 지지대 250 : 보조대 251 : 경첩
260 : 수납공간 270 : 시트부재 271 : 의자
273 : 보조공간 280 : 보조의자 300 : 입방체
Claims (8)
-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수용공간 외부에 형성되는 평탄한 상면(115)과, 상기 상면(115)에 설치되어 물을 담는 개수대(120)와, 상기 상면(115)에 설치되어 개수대(120)를 은폐 또는 노출시키는 상판140)과, 분할된 측면이 수직 및 수평 이동하여 조리기기(170)가 노출되게 하는 이동대(160)가 구비된 싱크기능함체 (100):
상기 싱크기능함체(100)의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되며, 평탄한 상면(215)에 저장공간(220)이 구비되고, 상기 저장공간(220)을 은폐 및 개방시키는 거치대(230)와, 상기 저장공간(220)에서 출몰되는 지지대(240)와, 상기 저장공간(220)의 양측에서 지점회전되는 보조대(250)를 갖추어 된 워드기능함체(200):
상기 싱크기능함체(100)와, 워드기능함체(200)가 마주보게 밀착되어 하나의 육면 구성체를 이루는 입방체(300);
상기 싱크기능함체(100)에서 상판(140)과 이동대(160)의 위치 변환으로 입방체(300)에 설겆이 구성이 형성되는 제1변형체(100A);
상기 워드기능함체(200)에서 거치대(230)와 지지대(240) 및 보조대(250)의 위치 변환으로 입방체(300)에 정보조사 및 입력구성이 형성되는 제2변형체(100B): 로 이루어진 다기능 가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변형체(100A)는,
상기 싱크기능함체(100)의 상면(115)에 구비되는 개수대(120);
상기 개수대(120)의 상부에서 좌우로 슬라이딩되어 상면(115)의 면적을 확장시키는 상판(140);
상기 싱크기능함체(100)와 동일한 폭으로되어 복수개로 분할된 측면대(153);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대(153)에는 조리기기(170)를 구비한 채 수직이동후 수평상태로 젖혀지는 이동대(160)와, 상기 이동대(160)의 이동 후 노출되는 조리공간(18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가구.
- 제1항에 있어서, 제2변형체(100B)는,
상기 제1변형체(100A)와 동일한 크기와 높이로 되는 조립대(210)와, 상기 조립대(210)의 내부에 키보드 보관하기 위해 형성되는 저장공간(220)과, 상기 저장공간(220)상부를 은폐하며 개방시 경사지게 정지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거치대(230)와, 상기 저장공간(230)의 개방시 인출되는 입력기기용 지지대(240)와, 상기 조립대(210)의 내부에 형성한 시트부재(270)가 출입되게 수납공간(26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기능 가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수대(120)는,
상기 싱크기능함체(100)의 상면(115)에 설치되며, 상기 개수대(120)에 물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는 수도전(125)은 상판(140)의 슬라이딩시 상판(140)에 걸리지 않도록 개수대(120)내측으로 회전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가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40)은,
상기 싱크기능함체(100)의 상면(115)과 동일한 크기로 되어 상면(115)과 개수대(120)를 은폐되고, 상기 상판(140)의 중간위치가 분할되어 개수대(120)의 양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개수대(120)가 개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다기능 가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160)는,
상기 싱크기능함체(100)의 측면대(153)를 복수개로 분할시켜, 측면대(153) 사이로 이동대(160)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대(160)의 수직한 내면으로 조리기기(170)가 설치되게 구성하여 수직이동되는 이동대(160)가 측면대(153)의 상면에서 수평하게 뉘어지고, 조리기기(170)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가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대(250)는,
상기 워드기능함체(200)의 저장공간(220) 양측에 구비된 각각의 상면(215)크기로 형성되어 각각의 상면(215)에 겹쳐지고, 상기 상면(215)의 외면에 고정되는 경첩(251)으로 상면(215)과 연결되게 구성하여 지점회전시 상면(215)의 표면적이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다기능 가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270)는,
상기 워드기능함체(200)에 형성하는 수납공간(260)크기로 되어 상기 수납공간(260)에서 출몰되는 의자(271)와, 상기 의자(271)의 하단에 형성하는 보조공간(273)과, 상기 보조공간(273)으로 결합분리시키는 보조의자(28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기능 가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5388A KR101577912B1 (ko) | 2014-11-25 | 2014-11-25 | 큐브형 다기능 가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5388A KR101577912B1 (ko) | 2014-11-25 | 2014-11-25 | 큐브형 다기능 가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77912B1 true KR101577912B1 (ko) | 2015-12-16 |
Family
ID=55080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65388A KR101577912B1 (ko) | 2014-11-25 | 2014-11-25 | 큐브형 다기능 가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77912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27362A (ja) * | 1996-10-31 | 1998-05-19 | Ayano Seisakusho:Kk | パソコンデスク |
KR20060028558A (ko) * | 2004-09-25 | 2006-03-30 | 황세희 | 테이블용 싱크대 |
KR20100095675A (ko) * | 2009-02-23 | 2010-09-01 | 박석곤 | 다용도 화장대 |
KR101199700B1 (ko) * | 2010-09-01 | 2012-11-08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키친 유니트 |
-
2014
- 2014-11-25 KR KR1020140165388A patent/KR10157791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27362A (ja) * | 1996-10-31 | 1998-05-19 | Ayano Seisakusho:Kk | パソコンデスク |
KR20060028558A (ko) * | 2004-09-25 | 2006-03-30 | 황세희 | 테이블용 싱크대 |
KR20100095675A (ko) * | 2009-02-23 | 2010-09-01 | 박석곤 | 다용도 화장대 |
KR101199700B1 (ko) * | 2010-09-01 | 2012-11-08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키친 유니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77078B2 (en) | Mobile desk with an integrated and adjustable privacy enclosure | |
US20110036276A1 (en) | Wire Management Vanity Panel for Folding Table | |
JP7413441B2 (ja) | パネル付き椅子ユニット | |
EP3397115A1 (en) | Convertible furniture item | |
KR101577912B1 (ko) | 큐브형 다기능 가구 | |
KR101199700B1 (ko) | 키친 유니트 | |
US20200196752A1 (en) | Convertible Article Of Furniture | |
WO2018060762A1 (en) | Desk and accessories can change to sofa and bed | |
JP6081054B2 (ja) | 配線カバー装置及びテーブルシステム | |
US3010774A (en) | Workroom furniture | |
JP6548371B2 (ja) | デスクシステム | |
JP6456626B2 (ja) | デスクシステム | |
KR102085711B1 (ko) |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본체 수납형 컴퓨터 책상 | |
CN108354333B (zh) | 多功能课桌椅 | |
JP2004261471A (ja) | 作業環境構成什器 | |
JP2017131572A (ja) | 複合家具及びその組み合わせ | |
KR20180063792A (ko) | 책상과 의자를 주용도로 하는 복합가구 | |
US20240000225A1 (en) | Combination, Free-Standing, Multi-Deck Personal Effects Entry Organizer Station with Power, Charging, and TV/Lighting | |
WO2019077608A1 (en) | FURNITURE | |
RU2733968C2 (ru) | Вентилятор | |
JP7187940B2 (ja) | テーブル | |
KR20170140970A (ko) | 책상몸체 프레임 | |
KR200331278Y1 (ko) | 다용도 주방용 수납장 | |
KR200233992Y1 (ko) | 좌식생활자용 수납장 | |
JP2001321229A (ja) | コンピュータ用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