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711B1 -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본체 수납형 컴퓨터 책상 - Google Patents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본체 수납형 컴퓨터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711B1
KR102085711B1 KR1020190107962A KR20190107962A KR102085711B1 KR 102085711 B1 KR102085711 B1 KR 102085711B1 KR 1020190107962 A KR1020190107962 A KR 1020190107962A KR 20190107962 A KR20190107962 A KR 20190107962A KR 102085711 B1 KR102085711 B1 KR 102085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plate
auxiliary
main body
computer des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민
유동현
Original Assignee
김승민
유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민, 유동현 filed Critical 김승민
Priority to KR1020190107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47B21/0314Platforms for supporting offic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47B21/0314Platforms for supporting office equipment
    • A47B2021/0321Keyboard supports
    • A47B2021/0335Keyboard supports mounted under the work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22Slid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 상판(2), 제1보조 상판(3), 제2보조 상판(4)을 구비하되, 제1보조 상판(3)과 제2보조 상판(4) 사이에 레일(31)과 슬라이딩바를 구비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필요에 따라 제2보조 상판(4)을 이동가능하도록 하여, 그릇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추가적인 면적을 제공하는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본체 수납형 컴퓨터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에 의해 지지되는 메인 상판(2);과 상기 메인 상판(2)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공간을 갖도록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면에 레일(31)이 구비되며, 메인 상판(2)을 향해 수직으로 구비되어 상기 이격 공간의 전방을 가리도록 가림판이 구비되고, 상기 가림판은 좌우 양측에 본체와 연결되는 주변기기의 연결선이 통과하기 위한 홀(33)이 형성된 제1보조 상판(3); 및 상기 제1보조 상판(3)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레일(31)과 대응되는 슬라이딩 바(41)를 구비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한 제2보조 상판(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프레임(1)은 메인 상판(2) 하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공간구획판(18)에 의해 외부와 구획되는 본체 수납공간(17);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 수납공간(17)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1보조 상판(3) 및 제2보조 상판(4)은 일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모니터 홀(32, 42)이 형성되고, 상기 제1보조 상판(3)에 형성된 모니터 홀(32)은 본체와 모니터의 연결 케이블이 통과되고, 상기 제2보조 상판(4)에 형성된 모니터 홀(42)은 제1, 2보조 상판(3, 4) 사이에 모니터 받침대가 위치하도록 모니터의 목이 통과되어 모니터의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본체 수납형 컴퓨터 책상{A space utilized computer table with storage for desktop}
본 발명은,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본체 수납형 컴퓨터 책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PC방, 가정, 사무실 등에서 주로 사용하는 컴퓨터 책상에 있어, 프레임에 본체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고, 상판의 상단에 레일과 추가적인 상판을 설치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가능하게 함으로써, PC사용중에도 식음료, 문구류, 서류, 책 등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본체 수납형 컴퓨터 책상에 관한 것이다.
PC는 현대사회에서 인간의 삶에 필수적인 요소가 된 도구로서, 주변 어느 곳을 둘러보더라도 어렵지 않게 PC를 찾아볼 수 있다. 예컨대, 직장, 학교, 공공기관, 도서관 심지어 식당이나 카페 등에도 PC가 설치되어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환경에 비추어볼 때, 현대인들의 PC사용시간과 빈도는 매우 높은 실정이고, 이에따라 PC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한 도구나 가구 등의 개발도 요구되고 있다. 실제로 펜, 메모지, 스마트폰, 책, 서류 등을 올려놓기 위한 선반 등이 별도로 필요한 경우도 있고, 복수의 모니터를 동시에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요구되는 경우도 있다.
특히, 게임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남녀노소 불문하고 많은 사람들은 PC 게임 시설에서 많은 시간을 할애하며 취미생활로서 게임을 즐기는 경우가 많은데, 게임의 특성상 게임을 시작하면 상당히 오랜 시간 동안 PC 게임 시설에서 머무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PC 게임 시설의 이용자들이 게임을 즐기면서 음식이나 음료를 같이 섭취하는 경우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데, 실제로 PC방 등 대다수의 PC 게임 이용 시설에서는 별도의 조리 시설을 갖추어 게임이용자들에게 주문을 받아, 라면, 볶음밥, 덮밥, 핫도그, 소시지 등의 음식을 제조하여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 이용되는 컴퓨터 책상에는 음식 등이 담긴 그릇이 놓일 만큼 여유로운 공간이 확보 되기 어렵고, 그릇 등이 여유롭게 놓일 정도로 넓은 면적을 갖는 컴퓨터 책상을 생산한다고 하더라도 공간 효율, 제조 비용 등의 측면에서 매우 불리하게 된다. 또한, 좁은 공간에 위치한 그릇, 컵 등이 엎질러지는 경우, 키보드나 마우스 등에 음식물 등이 침입하여 고장을 일으킬 우려가 있고, 특히 라면 등 뜨거운 음식이 엎질러져 사용자로 하여금 화상을 입게 할 우려도 있다.
따라서, 현재 이용되는 면적을 갖는 상판을 이용하여 공간활용성을 확보하되, 필요에 따라 음식을 담은 그릇, 컵 또는 문구류 등의 소지품을 올려놓을 공간이 마련되는 컴퓨터 책상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843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메인 상판(2) 위에 레일(31)이 구비된 제1보조 상판(3)을 위치시키고, 상기 레일(31)과 대응되는 슬라이딩바를 제2보조 상판(4)에 설치하여 제1보조 상판(3) 위에 위치시킴으로써, 필요에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제2보조 상판(4)을 이동시켜 추가 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본체 수납형 컴퓨터 책상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본체 수납형 컴퓨터 책상은,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에 의해 지지되는 메인 상판(2);과 상기 메인 상판(2)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공간을 갖도록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면에 레일(31)이 구비되며, 메인 상판(2)을 향해 수직으로 구비되어 상기 이격 공간의 전방을 가리도록 가림판이 구비되고, 상기 가림판은 좌우 양측에 본체와 연결되는 주변기기의 연결선이 통과하기 위한 홀(33)이 형성된 제1보조 상판(3); 및 상기 제1보조 상판(3)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레일(31)과 대응되는 슬라이딩 바(41)를 구비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한 제2보조 상판(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프레임(1)은 메인 상판(2) 하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공간구획판(18)에 의해 외부와 구획되는 본체 수납공간(17);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 수납공간(17)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1보조 상판(3) 및 제2보조 상판(4)은 일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모니터 홀(32, 42)이 형성되고, 상기 제1보조 상판(3)에 형성된 모니터 홀(32)은 본체와 모니터의 연결 케이블이 통과되고, 상기 제2보조 상판(4)에 형성된 모니터 홀(42)은 제1, 2보조 상판(3, 4) 사이에 모니터 받침대가 위치하도록 모니터의 목이 통과되어 모니터의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에 더하여, 상기 메인 상판(2)은 메인 상판(2)의 상부와 본체 수납공간(17)사이를 연통시키는 케이블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제2보조 상판(4)은 경첩(44)을 구비하여 접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제2보조 상판(4)은 상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손가락을 걸어 제2보조 상판(4)을 당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 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레일(31) 및 슬라이딩 바(41)는 제2보조 상판(4)의 이동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슬라이딩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제2보조 상판(4)은 슬라이딩 바(41)의 일측에 힌지 결합하여 상향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보조 상판(4)은 메인 상판(2)까지 연장되어 제2보조 상판(4)을 지지하는 보조 다리(4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2보조 상판(4)은 제1보조 상판(3)과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보조 상판(3) 및 제2보조 상판(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컵이 고정되어 거치되기 위한 컵홀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바(41)를 구비한 제2보조 상판(4) 및 상기 레일(31)은 제1보조 상판(3)과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본체 수납형 컴퓨터 책상은 메인 상판(2), 제1보조 상판(3), 제2보조 상판(4)을 구비하되, 제1보조 상판(3)과 제2보조 상판(4) 사이에 레일(31)과 슬라이딩바를 구비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필요에 따라 제2보조 상판(4)을 이동하여, 그릇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추가적인 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바(41)와 제2보조 상판(4)을 힌지 결합하여 상향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청소를 하거나, 물건이 사이로 들어갔을 때, 제2보조 상판(4)을 들어올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본체 수납형 컴퓨터 책상의 제2보조 상판(4)의 이동 전 모습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본체 수납형 컴퓨터 책상의 제2보조 상판(4)의 이동 후 모습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본체 수납형 컴퓨터 책상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본체 수납형 컴퓨터 책상의 레일(31) 및 슬라이딩 바(41)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본체 수납형 컴퓨터 책상의 제2보조 상판(4)의 이동 후 모습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본체 수납형 컴퓨터 책상의 본체 수납공간(17) 및 공간구획판(18)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본체 수납형 컴퓨터 책상의 제2보조 상판(4)이 힌지 결합 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본체 수납형 컴퓨터 책상의 제2보조 상판(4)에 구비된 보조 다리(43)가 구비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본체 수납형 컴퓨터 책상의 프레임(1)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본체 수납형 컴퓨터 책상의 제2보조 상판(4)에 경첩(44)이 부착된 형상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
발명자는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적절한 용어나 단어를 선택하거나 정의하여 설명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있어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에 한정하여 해석할 것이 아니라, 발명자의 의도를 참작하여 발명에서 구현된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도록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에 한정되는 것이라고 볼 수는 없다. 이하 상술되는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거나 한정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므로 통상의 기술자의 입장에서 용이하게 대체 가능한 요소 및 균등범위에 해당하는 예가 존재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본체 수납형 컴퓨터 책상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명세서 상에서, 컴퓨터 책상에 사용자가 앉아있는 방향은 앞, 그 반대 방향은 뒤, 지면 방향은 아래, 지면의 반대 방향은 윗 방향으로 정의한다.
도 1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본체 수납형 컴퓨터 책상은 프레임(1), 상기 프레임(1)에 의해 지지되는 메인 상판(2), 상기 메인 상판(2)으로부터 상측으로 거리를 갖도록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면에 레일(31)이 구비된 제1보조 상판(3) 및 상기 제1보조 상판(3)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레일(31)과 대응되는 슬라이딩 바(41)를 구비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한 제2보조 상판(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은 컴퓨터 책상의 전체 형상을 이루는 구성이다. 프레임(1)은 책상다리(11, 12)와 상판을 지지하기 위한 상판 지지부재(15, 1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책상다리(11, 12)는 컴퓨터 책상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이면 제한 없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컴퓨터 책상 앞에 앉아 PC를 이용하는 경우,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발 거치대(1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프레임(1)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프레임(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쪽에 위치하고 지면과 닿는 2개의 직선형 다리(11)와 각 직선형 다리(11)의 중간 지점으로부터 앞을 향해 곡선으로 연장되어 지면까지 연장되는 곡선형 다리(12)와 직선형 다리(11)와 곡선형 다리(12)를 각각 앞뒤로 연결하는 연결바(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2개의 직선형 다리(11)를 가로 방향으로 연결하여 발 거치대(13)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곡선형 다리(12)의 일 부분으로부터 위를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형성된 전방 상판 지지부재(16)와 직선형 다리(11)로부터 위를 향해 연장되어 형성된 후방 상판 지지부재(1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를 통해 각 상판 지지부재 상부에 상판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직선형 다리(11), 곡선형 다리(12), 이 둘을 연결하는 연결바(14)를 포함하는 경우, 상부로부터 전해지는 하중을 넓은 범위로 고루 분산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발 거치대(13)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방 상판 지지부재(16)가 곡선형 다리(12)로부터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상부로부터 받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하부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PC는 파워 서플라이,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스피커, 헤드셋, 등 다양한 보조 장치들이 연결되어 사용되므로, 필연적으로 많은 케이블과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와 연결된 케이블과 본체를 아무런 가림막 없이 컴퓨터 책상 외부에 노출시키는 경우 사람이 이동하면서 발에 걸려 코드가 뽑히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다. 또한, 본체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많아 차지하는 부피가 상당히 크게 되므로 공간활용성의 측면에서도 부적합하다. 따라서, 본체와 케이블을 효율적으로 적재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상판(2) 하측에 컴퓨터 본체가 수납되기 위한 본체 수납공간(17)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 수납공간(17)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1)에서 발 거치대(13)로부터 상측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레임(1)의 연결바(14) 위 방향에 별도의 본체 수납용 판(171)이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직선형 다리(11)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체는 상기 본체 수납용 판(171)의 위에 거치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본체 및 케이블이 모두 컴퓨터 책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지 않는 공간, 즉 사용자의 발이 위치하는 곳 위의 공간에 수납되어 공간활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가 상기 본체 수납공간(17)에 수납되는 경우, 사용자가 PC의 사용 도중 발로 본체나 케이블을 건드리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본체 수납공간(17)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상판(2) 하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공간구획판(18)에 의해 위부와 구획될 수 있다. 즉, 본체가 수납된 후, 공간구획판(18)으로 인해 외부와 차단함으로써 본체와 케이블이 안전하게 수납될 수 있다.
한편, 본체 수납공간(17)에 본체가 수납되는 경우, 본체와 연결된 케이블은 메인 상판(2) 위에 구비된 각 보조 장치까지 연장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각 케이블이 컴퓨터 책상의 바깥쪽을 통해 연장되는 것은 안정성, 공간활용성의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므로, 컴퓨터 책상 내부를 통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메인 상판(2)은 메인 상판(2)의 상부와 본체 수납공간(17)사이를 연통시키는 케이블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메인 상판(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와 하부가 연통되는 케이블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케이블은 이 케이블홀을 통과하여 본체로부터 메인 상판(2) 위에 위치한 보조 장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를 경우, 메인 상판(2)은 컴퓨터 책상의 가장 뒤쪽으로부터 일부 이격된 공간을 갖도록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컴퓨터 책상이 벽면에 설치되는 경우, 벽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메인 상판(2)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격된 공간을 통해 본체로부터 케이블이 연장되어 메인 상판(2) 위쪽까지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제1보조 상판(3)은 메인 상판(2) 상부에 위치하는 구성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보조 상판(3)은 메인 상판(2)으로부터 상측으로 거리를 갖도록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이격 공간에는 필요에 따라 전원 버튼과 연결 케이블이 구비될 수 있는데, 본체가 본체 수납공간(17)에 수납되는 경우, 본체의 전원버튼이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없는 곳에 위치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이격 공간에 위치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유와 마찬가지로 USB포트, 헤드셋 단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가로로 길게 형성되는 스피커를 상기 이격 공간에 삽입하여 공간활용성을 극대화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보조 상판(3)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조 상판(3)은 메인 상판(2)과 위아래로 공간을 가지나, 앞을 향해서는 막혀있는 가림판이 더 포함되어 즉,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상일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조 상판(3)의 앞부분(가림판)에는 스피커가 삽입될 수 있고, 전원버튼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양측면 또는 일측면에 마우스와 키보드 연결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홀(3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USB포트가 더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보조 상판(3)의 윗면에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보조 상판(4)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레일(31)이 형성될 수 있다. 레일(31)은 제1보조 상판(3) 윗면에 나사 등으로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제2보조 상판(4)은 제1보조 상판(3)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레일(31)과 대응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기 위한 슬라이딩 바(41)를 구비한 구성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처럼 제2보조 상판(4)이 슬라이딩되어 제1보조 상판(3)과 겹쳐지지 않도록 이동된 경우, 그릇, 음료 등을 놓을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보조 상판(4)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경첩(44)을 구비하여 접힘 가능할 수 있다. 즉, 공간 활용이 필요 없거나,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만이 필요한 때에는 제2보조 상판(4)을 접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넓은 상판의 공간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2보조 상판(4)을 펼침으로써 그 공간의 활용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경첩(44)만이 구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힌지 결합 등을 통하여 펼침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고,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기술 사항에 불과하므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딩 바(41)는 레일(31)에 삽입되어 레일(31)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제2보조 상판(4)의 이동을 돕게 되는데, 필요에 따라 상기 레일(31) 및 슬라이딩 바(41)는, 제2보조 상판(4)의 이동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슬라이딩 조절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제2보조 상판(4)의 이동 정도를 필요에 따라 2단, 3단 등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걸림턱 등을 구비하여, 일정 정도 이동되면 걸림턱과 돌기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조절부는, 필요에 따라 슬라이딩 한계점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단턱이나 걸림쇠를 구비하여 제2보조 상판(4)이 한계점까지 슬라이딩되어 나오는 경우 단턱이나 걸림쇠에 걸려 더 이상 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보조 상판(4)이 예기치 않게 완전히 제1보조 상판(3)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보조 상판(3) 및 제2보조 상판(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형성된 모니터 홀(32, 42)이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뒷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패인 모니터 홀(32, 42)을 구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니터는 컴퓨터 책상에 사용자가 앉은 경우, 그 반대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모니터의 목부분과 모니터와 본체를 연결하는 케이블, 모니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게 되므로, 이를 위해 모니터 홀(32, 42)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제1보조 상판(3)과 제2보조 상판(4)에 형성된 모니터 홀(32, 4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상판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나란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같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모니터의 받침대는 제1보조 상판(3)과 제2보조 상판(4)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 제1보조 상판(3)에 형성된 모니터 홀(32)은 본체와 모니터를 연결하는 케이블과 모니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통과하는 경로가 될 수 있고, 제2보조 상판(4)에 형성된 모니터 홀(42)은 모니터의 받침대로부터 모니터 본체까지 연결되는 목 부분이 통과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보조 상판(4)이 이동하더라도 모니터는 처음 위치에서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제2보조 상판(4)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손가락을 걸어 제2보조 상판(4)을 당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 홈의 형상 크기 위치는 한정되지 않으나,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보조 상판(4)과 제1보조 상판(3)은 겹쳐져 있는 경우가 많고, 제2보조 상판(4)은 완전히 분리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제1보조 상판(3) 중 제2보조 상판(4)과 항상 겹쳐져 있는 부분이 있을 수 있는데, 이런 부분은 먼지가 쌓이기 쉽고, 청소도 용이하지 않다. 또한, 제1보조 상판(3)과 제2보조 상판(4) 사이에 어떤 물체나 종이 등이 들어가게 되는 경우 손으로 빼내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본체 수납형 컴퓨터 책상의 제2보조 상판(4)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바(41)의 일측에 힌지 결합하여 상향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제2보조 상판(4)을 상향 회전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제1보조 상판(3)을 청소하거나, 사이에 끼인 물건을 빼낼 수 있다.
제2보조 상판(4)은 사용자 방향으로 반출되어 그릇 등이 올려지게 되는 경우, 아래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고, 이는 슬라이딩 바(41)와 레일(31)에 토크를 가하는 결과가 되어 결합 부위에 많은 부담을 주게 된다. 이는 슬라이딩 바(41)와 레일(31)의 내구성에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하중을 분산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2보조 상판(4)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상판(2)까지 연장되어 제2보조 상판(4)을 지지하기 위한 보조 다리(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보조 다리(43)는 제2보조 상판(4)의 위치에 따라 기립되는 정도가 다를 수 있는데, 예컨대, 제2보조 상판(4)이 제1보조 상판(3)과 완전히 겹쳐지는 경우, 보조 다리(43)는 완전히 접힌 상태로 제1보조 상판(3)과 제2보조 상판(4)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제2보조 상판(4)이 앞을 향해 반출되는 경우에는 메인 상판(2)을 향해 기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조 다리(43)에는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보조 상판(4)의 위치에 따라 접힘과 펼침이 조절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채용될 수 있다.
컴퓨터의 사용자마다 편하게 느껴지는 책상의 높이가 다를 수 있고, 특히 PC를 이용하는 도중에 목적에 따라 물건이나 그릇 등을 올려놓는 높이가 달라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2보조 상판(4)은 제1보조 상판(3)과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높이 조절부를 이용하여, 제2보조 상판(4)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레일(31) 및 슬라이딩 바(41)에 높이 조절을 위한 나사가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보조 상판(4)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라면 채용될 수 있다.
PC게임 이용 시설뿐 아니라, 사무실이나 가정에서도 PC를 이용하는 도중 음료나 물을 곁에 두고 마시는 경우가 많은데, 만약 이러한 음료 등을 담은 컵이 엎질러지는 경우,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전자제품에 손상을 일으키거나, 종이가 젖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1보조 상판(3) 및 제2보조 상판(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컵이 고정되어 거치되기 위한 컵홀더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컵홀더는 바람직하게는 제1보조 상판(3) 또는 제2보조 상판(4)의 한쪽에 치우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컵홀더는 플라스틱과 같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다양한 직경을 갖는 컵을 모두 거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본체 수납형 컴퓨터 책상은, 상기 레일(31) 및 슬라이딩 바(41)를 구비한 제2보조 상판(4)이 제1보조 상판(3)과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즉, 레일(31), 슬라이딩 바(41) 및 제2보조 상판(4)이 한 셋트로 이루어져, 기존의 PC방에서 이용되는 컴퓨터 책상 등에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에 사용하던 컴퓨터 책상을 그대로 이용하되, 본 발명에 따른 효과를 누릴 수 있으므로, 경제적, 공간적으로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도면과 실시예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 또는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고, 이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의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프레임 2: 메인 상판
11: 직선형 다리 3: 제1보조 상판
12: 곡선형 다리 31: 레일
13: 발 거치대 32: 제1보조 상판에 형성된 모니터 홀
14: 연결바 33: 마우스와 키보드 연결선이 통과하는 홀
15: 후방 상판 지지부재 4: 제2보조 상판
16: 전방 상판 지지부재 41: 슬라이딩 바
17: 본체 수납공간 42: 제2보조 상판에 형성된 모니터 홀
171: 본체 수납용 판 43: 보조 다리
18: 공간구획판 44: 경첩

Claims (13)

  1.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에 의해 지지되는 메인 상판(2);과 상기 메인 상판(2)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공간을 갖도록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면에 레일(31)이 구비되며, 메인 상판(2)을 향해 수직으로 구비되어 상기 이격 공간의 전방을 가리도록 가림판이 구비되고, 상기 가림판은 좌우 양측에 본체와 연결되는 주변기기의 연결선이 통과하기 위한 홀(33)이 형성된 제1보조 상판(3); 및 상기 제1보조 상판(3)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레일(31)과 대응되는 슬라이딩 바(41)를 구비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한 제2보조 상판(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프레임(1)은 메인 상판(2) 하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공간구획판(18)에 의해 외부와 구획되는 본체 수납공간(17);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 수납공간(17)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1보조 상판(3) 및 제2보조 상판(4)은 일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모니터 홀(32, 42)이 형성되고,
    상기 제1보조 상판(3)에 형성된 모니터 홀(32)은 본체와 모니터의 연결 케이블이 통과되고, 상기 제2보조 상판(4)에 형성된 모니터 홀(42)은 제1, 2보조 상판(3, 4) 사이에 모니터 받침대가 위치하도록 모니터의 목이 통과되어 모니터의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본체 수납형 컴퓨터 책상.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상판(2)은,
    메인 상판(2)의 상부와 본체 수납공간(17)사이를 연통시키는 케이블홀;
    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본체 수납형 컴퓨터 책상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조 상판(4)은,
    경첩(44)을 구비하여 접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본체 수납형 컴퓨터 책상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조 상판(4)은,
    상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손가락을 걸어 제2보조 상판(4)을 당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 홈;
    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본체 수납형 컴퓨터 책상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31) 및 슬라이딩 바(41)는,
    제2보조 상판(4)의 이동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슬라이딩 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본체 수납형 컴퓨터 책상
  9.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제2보조 상판(4)은,
    슬라이딩 바(41)의 일측에 힌지 결합하여 상향 회전 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본체 수납형 컴퓨터 책상
  10.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제2보조 상판(4)은,
    메인 상판(2)까지 연장되어 제2보조 상판(4)을 지지하는 보조 다리(4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본체 수납형 컴퓨터 책상
  11.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조 상판(4)은,
    제1보조 상판(3)과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본체 수납형 컴퓨터 책상
  12.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 상판(3) 및 제2보조 상판(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컵이 고정되어 거치되기 위한 컵홀더;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본체 수납형 컴퓨터 책상
  13.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바(41)를 구비한 제2보조 상판(4) 및 상기 레일(31)은,
    제1보조 상판(3)과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본체 수납형 컴퓨터 책상
KR1020190107962A 2019-09-02 2019-09-02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본체 수납형 컴퓨터 책상 KR102085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962A KR102085711B1 (ko) 2019-09-02 2019-09-02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본체 수납형 컴퓨터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962A KR102085711B1 (ko) 2019-09-02 2019-09-02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본체 수납형 컴퓨터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5711B1 true KR102085711B1 (ko) 2020-03-06

Family

ID=69802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962A KR102085711B1 (ko) 2019-09-02 2019-09-02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본체 수납형 컴퓨터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7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384Y1 (ko) * 2020-09-10 2021-03-19 주식회사 잉크와오피스 모니터 도난 방지 기능이 있는 검색용 책상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432Y1 (ko) 2001-08-03 2001-12-28 김여일 보조작업대용 서랍이 장착된 컴퓨터책상
JP2002360357A (ja) * 2001-06-07 2002-12-17 Okamura Corp テーブル併設用機器収容ボックス
KR200343457Y1 (ko) * 2003-11-27 2004-03-04 류승훈 모니터 인출이 가능한 컴퓨터 책상
KR20090004909U (ko) * 2007-11-19 2009-05-22 김승종 컴퓨터 책상용 키보드 거치대
KR101091790B1 (ko) * 2011-07-08 2011-12-13 김홍균 요통환자용 컴퓨터 키보드 책상
KR20160027657A (ko) * 2014-09-02 2016-03-10 백승진 모니터가 부착된 책상
KR101726499B1 (ko) * 2015-06-02 2017-04-12 권순용 슬라이딩 모니터거치대를 갖는 컴퓨터용 책상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0357A (ja) * 2001-06-07 2002-12-17 Okamura Corp テーブル併設用機器収容ボックス
KR200258432Y1 (ko) 2001-08-03 2001-12-28 김여일 보조작업대용 서랍이 장착된 컴퓨터책상
KR200343457Y1 (ko) * 2003-11-27 2004-03-04 류승훈 모니터 인출이 가능한 컴퓨터 책상
KR20090004909U (ko) * 2007-11-19 2009-05-22 김승종 컴퓨터 책상용 키보드 거치대
KR101091790B1 (ko) * 2011-07-08 2011-12-13 김홍균 요통환자용 컴퓨터 키보드 책상
KR20160027657A (ko) * 2014-09-02 2016-03-10 백승진 모니터가 부착된 책상
KR101726499B1 (ko) * 2015-06-02 2017-04-12 권순용 슬라이딩 모니터거치대를 갖는 컴퓨터용 책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384Y1 (ko) * 2020-09-10 2021-03-19 주식회사 잉크와오피스 모니터 도난 방지 기능이 있는 검색용 책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4758A (en) Configurable lap desk
US20170360188A1 (en) Multi-function dining table
US5577818A (en) Pull-up table
US20160345723A1 (en) Height-Adjustable Table and Method of Assembly
US6786161B2 (en) Table with multiple height adjustable stations
US20170202357A1 (en) Seating/reclining furniture arrangement
KR100924616B1 (ko) 다용도 책상
KR102093582B1 (ko)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선반 내장형 컴퓨터 책상
KR102085711B1 (ko)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본체 수납형 컴퓨터 책상
CN205093803U (zh) 一种折叠桌
KR20230007192A (ko) 컴퓨터 수납이 가능한 책상
US20230194153A1 (en) Refrigerator Standing Desk
CN206252086U (zh) 便携式多功能电脑桌
WO2018207161A1 (en) A multi-purpose desktop accessory for reading, writing and computer usage
KR200492410Y1 (ko) 컴퓨터 본체의 수납을 위한 책상용 하부선반
KR102609819B1 (ko) 세로형 서랍을 장착한 다용도 책상
CN206923923U (zh) 一种带有床的办公桌
US6986176B1 (en) Convertible headboard
US20230015770A1 (en) Portable floating table supported by counterweight
CN218127617U (zh) 一种组合式办公桌
CN217285121U (zh) 一种折叠式多功能茶几
CN214904558U (zh) 一种可折叠式多功能书桌
KR200201141Y1 (ko) 상판가변식탁자
CN209346326U (zh) 一种多功能学生用课桌
JP3217841U (ja) 簡便式折り畳みミーティングデ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