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042B1 - 볏짚을 이용한 식생매트와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볏짚을 이용한 식생매트와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042B1
KR101577042B1 KR1020150151353A KR20150151353A KR101577042B1 KR 101577042 B1 KR101577042 B1 KR 101577042B1 KR 1020150151353 A KR1020150151353 A KR 1020150151353A KR 20150151353 A KR20150151353 A KR 20150151353A KR 101577042 B1 KR101577042 B1 KR 101577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rice
straw
rope
slur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1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현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즈이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즈이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즈이앤지
Priority to KR1020150151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0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01G1/00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01G9/1086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볏짚을 이용한 식생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친환경적인 재료를 사용하며, 토양과의 부착성이 보다 우수하며, 보다 종자의 생육이 잘 이루어질 수 있어, 강우시의 세굴방지, 경사면의 보호가 보다 충실히 실현되는 식생매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볏짚을 이용한 식생매트에 있어서, 볏짚에 황토슬러리를 함침시킨 황토볏짚을 합착하여 로프를 얻고 이를 이용하여 제직하여 만든 하부 매트; 왕겨와 황토를 혼합한 왕겨황토슬러리를 상기 하부 매트 위로 도포한 왕겨황토슬러리 포설층; 상기 왕겨황토슬러리 포설층위로 적층되는 종자시트; 볏짚에 황토슬러리를 함침시킨 황토볏짚을 합착하여 로프를 얻고 이를 이용하여 제직하여 만든 매트를 상기 종자시트 위로 적층한 상부 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이다.

Description

볏짚을 이용한 식생매트와 이의 제조방법{Vegetation mat using rice straw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볏짚을 이용한 식생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친환경적인 재료를 사용하며, 토양과의 부착성이 보다 우수하며, 보다 종자의 생육이 잘 이루어질 수 있어, 강우시의 세굴방지, 경사면의 보호가 보다 충실히 실현되는 식생매트에 관한 것이다.
도로의 절개지, 하천변의 절토 또는 성토된 사면 등에는 유수나 빗물 등에 의해 토사의 유실 및 침식이 발생하며, 좀 더 심화하면 붕괴하기도 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경사면 등에는 식물의 종자를 살포하는 시드 스프레이공법, 뗏장 심기, 사석 쌓기, 콘크리트 라이닝, 돌망태 공법 등을 통해 토사의 유실 및 침식을 방지하고 있는데 경관의 개선을 고려하여 녹화공사가 선호되고 있다.
녹화시공의 방법으로, 종래에는 사면을 고른 후 사면에 종자를 직접 파종하거나, 혹은 식재를 이식하는 방법이 사용되었으나, 정작 씨앗의 발아율과 식재의 생존율이 매우 낮아 제대로 된 녹화시공이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처럼 녹화시공된 식재들은 상당 시일이 경과하기 전까지는 식재의 뿌리가 제대로 활착하지 못하고 있는데, 경사면을 보호해 주는 아무런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일시에 많은 비가 내릴 경우 토사의 유실 및 침식이 발생하여 이들이 충분히 뿌리를 내릴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폭염 등에도 말라죽거나 고사하는 경우가 많다.
씨앗 등이 발아하여 정착할 수 있도록 보호수단으로서의 식생매트 등이 사용되어 상기한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고 있다. 식생매트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7022호의 '하천 법면의 녹지조성용 식생매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61036호의 '호안 및 법면보호 녹화용 코코넛 식생매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11-0084475호의 '식생매트'에서는 종자(종자)이 식생지와 면사지내에 위치하거나, 한지, 펄프, 부직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두장의 수용성 시트 사이에 식물종자가 균일하게 도포된 종자매트를 포함하는 식생매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자를 감싸고 있는 식생지 또는 종자매트는 수용성 시트의 수분 흡수 후 너무 빠른 증발로 인한 수축(텐트현상)이 발생하여 식생매트 전체가 지면에서 들뜨는 문제점이 있으며, 두겹의 식생지 또는 종자매트의 녹는 시간이 오래 걸려 종자가 토양에 떨어지는 시간이 늦어짐으로 발아가 늦어진다(발아지연현상)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지망이 너무 빽빽하게 직조됨으로써 부드럽지 못할 뿐만 아니라 매우 촘촘함에 따라 식물의 뿌리가 이를 지나 활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다.
가장 선호되고 있는 형태의 식생매트로, 야자열매껍질에서 채취한 코이어 단섬유를 이용하여 로프를 형성하고 형성된 로프를 제직하여 망체로 만든 형태의 식생매트가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0984266호 '뿌리엉금 코이어매트 및 이를 이용한 법면 녹화공법'에서는 엉김 고리를 성기게 형성하고 엉김 고리 사이사이에는 식물의 뿌리가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는 활착 갭을 조성하여 뿌리 엉김 및 활착을 동시에 촉진하는 형태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코이어 섬유는 표면의 왁스층 때문에 건조 후 수분의 재흡수가 어려워 식생재로 사용될 경우에 기후조건에 따라 토양의 표면에서 건조피해를 일으켜 수분이 부족하여 식물을 잘 자라게 하지 못할 수 있으며 항균성이 오히려 너무 강해 토양 미생물이 번식하지 못하게 하여 식물 식생기능에서 오히려 비효율적인 부분이 있다. 또한, 코이어 섬유는 가닥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이로 만든 로프는 가닥과 가닥의 꼬임 및 결속 정도가 강하지 못하여 매트에서 인장력이 약한 단점이 있고, 이는 보강 기능의 단점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내구성과 인장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별도의 상이한 소재를 작업을 병행하여 이루어지므로 작업이 오히려 복잡해질 수 있다. 그리고, 코이어 섬유는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고, 외래 식물로 인한 국내 토양환경의 변화를 초래할 수도 있다고 본다.
합성수지의 기본 베이스 매트를 기초로 하는 식생매트는 친환경적이지 못하거나 뿌리의 활착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식생매트들은 비교적 원지반과의 고정구조가 견고하지 못하여 쉽게 이탈되거나, 이 역시 시공 후 발아율과 생존율이 매우 낮고, 풍우, 동결, 적설, 융설 등에 의한 고사율이 높은 문제점이 여전히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보다 친환경적이면서도 시공 후 발아율과 생존율이 좀 더 높은 식생매트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0984266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6103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에서 산출되는 잉여 천연재료인 볏짚을 이용하되, 충분한 인장력을 가지도록 황토 등을 사용함으로써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코이어 매트의 단점을 보완하여 이를 대체하고자 하며, 식생이 좀 더 잘 이루어지도록 안정적 정착과 보습, 영양공급 등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볏짚을 이용한 식생매트에 있어서, 볏짚에 황토슬러리를 함침시킨 황토볏짚을 합착하여 로프를 얻고 이를 이용하여 제직하여 만든 하부 매트; 왕겨와 황토를 혼합한 왕겨황토슬러리를 상기 하부 매트 위로 도포한 왕겨황토슬러리 포설층; 상기 왕겨황토슬러리 포설층 위로 적층되는 종자시트; 볏짚에 황토슬러리를 함침시킨 황토볏짚을 합착하여 로프를 얻고 이를 이용하여 제직하여 만든 매트를 상기 종자시트 위로 적층한 상부 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 매트를 구성하는 로프는 견운모를 포함한 호제로 처리하여 호제 처리된 로프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하부 매트는 셀룰로오스 가교제를 포함한 가교처리 수용액에 침지, 건조하고 열가압하여 이루어진 매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종자시트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젤라틴 10 내지 20 중량부, 효소처리스테비아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된 도포액이 도포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볏짚을 압착하고 이에 황토슬러리를 함침시켜 황토볏짚을 얻는 단계; 상기 황토볏짚을 사용하여 로프를 얻고 이를 이용하여 하부매트와 상부매트를 제직하는 단계; 하부 매트 위로 왕겨와 황토를 혼합한 왕겨황토슬러리를 포설하는 단계; 종자시트를 왕겨황토슬러리 포설층위로 적층하는 단계; 상기 종자시트 위로, 상기 상부매트를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을 이용한 식생매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생매트는 황토와 볏짚의 사용으로 토양과의 상용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토양과 접한 부분의 천연재료인 볏짚의 부패가 일정시간 동안 지연되어 경사지의 토사유출 등의 변형을 방지하고, 또한, 볏짚의 셀룰로오스가 가교화되어 우수의 접촉 등과 같은 자연환경에서 변형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형태안정성이 향상되므로 부착된 토양에서 뒤틀리거나 들고 일어나는 현상이 억제되어 씨앗 등의 정착성이 보다 보완되며, 상단면의 왕겨 등은 뛰어난 보습 효과로 자연상태에서 건조피해를 예방할 뿐만 아니라 영양 공급원이 될 수 있으며, 염기성 성분을 지니는 견운모 등은 토양 중의 산성물질과 접촉하여 중화되어 토양의 산성화도 방지하는 매우 친환경적인 결과를 보여준다.
또한, 국내 볏짚을 사용하므로, 코이어 식생매트의 경우에서처럼 외래식물의 무분별한 가공제품의 수입으로 인해 국내 토양환경의 변화와 오염을 예방할 수 있고, 국내 농촌 경제의 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볏짚을 이용한 식생매트의 구조를 나타낸 그림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코이어 섬유를 주로 이용하던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취득이 용이하고 친환경적인 볏짚을 사용하여 식생매트를 제조하고자 한다.
볏짚은 성숙한 벼에서 곡식알을 제거하고 남은 줄기와 잎을 말하며, 줄기와 잎이 차지하는 비율이 각각 약 40%, 60%이고 마디는 10~20개 정도로 이루어져 있다. 볏짚의 화학적 성분은 일반적으로 섬유소인 셀룰로오스가 약 36%, 목질화 성분인 리그닌이 약 20%, 다당류 펜토산 약 22%, 조단백질 약 6%, 회분 약 13% 정도이다.
볏짚은 식생용 매트로 사용될 때 토양과 접하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부패하여 씨앗의 발아와 생장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한편, 식생용 매트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형태안정성이 있어 경사면 등의 보호의 역할과 식재가 정착할 수 있는 기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으며, 식재가 보다 잘 자랄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볏짚은 수분에 노출되거나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각종 곰팡이에 의해 변질과 부패가 매우 용이하게 발생하고, 발효에 관여하는 미생물인 고초균과 프로테아제가 볏짚에 다량으로 존재하여 부식과 자연 분해속도가 빨라져 형태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식생매트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썩는 속도를 어느 정도 늦출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볏짚에 황토를 함침시킴으로써 자연적인 볏짚의 항균처리가 이루어져 볏짚의 자연분해 속도를 늦추었다. 또한, 볏짚에 황토가 포함됨으로써 매트가 설치되는 기존 토양과의 상용성이 증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도 있다. 볏짚을 압착하고 난 후 황토슬러리를 섞어 주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압착된 볏짚은 공극이 감소하지만 황토슬러리를 섞어주면, 압착된 볏짚의 조직 속으로 황토가 좀 더 용이하게 침투하여 볏짚내의 황토 함유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압착시 접착성이 있는 리그닌이 볏짚의 표면으로 침출되어 로프 형태로 만들 때 좀 더 우수한 성능을 발휘한다.
본 발명에서는 형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볏짚을 이용하여 매트 형태로 제직을 한다. 황토가 함침된 황토볏짚을 합착하여 로프를 얻을 수 있고, 이러한 로프를 제직하여 매트 형태로 만들 수 있다. 한편, 볏짚은 셀룰로오스를 다량 포함하고 있으므로, 흡습성과 촉감 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질 수 있지만, 다량의 우수에 노출되면 이 셀룰로오스의 흡습, 팽창 및 수축 등으로 인해 볏짚을 이용한 매트가 변형되고 뒤틀릴 수가 있다. 황토슬러리를 볏짚에 함침하여 매트를 제직하는 경우 이러한 변형을 다소 줄일 수 있다.
로프를 만들어 매트 형태로 제직함에 있어서, 상기 로프는 호제(호화) 처리를 하는 것이 매트 제직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통상 호화 처리시 가교전분, 초산비닐 수지 등을 사용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견운모를 포함시킴으로써 통기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토양의 개질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견운모는 일반적으로 이산화규소와 산화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하면서 산화칼륨,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등을 포함하고 있어 다양한 미네랄 성분을 가지는 천연 무기재료 광물로서, 음이온 방사가 많고 다공질 구조를 가져 흡착에 좋은 재료이다. 견운모는 일반적으로 질이 치밀하거나 미세한 비늘 모양의 백운모를 총칭하는 것으로, 비단같이 곱고 구름같이 부드러운 운모족 광물의 하나로서, 비늘 모양의 판상이 투명하고 광택이 좋은 형상이므로, 견운모를 분말로 만들었을 때는 그 감촉이 마치 비단과 같은 부드러움을 나타내어, 본 발명에서는 견운모가 습도에 따라 흡습과 방습 작용을 하여 통기성을 부여하면서도 볏짚의 표면에서 거친 표면을 형성하지 않아 본 발명의 호제에 기능성 첨가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견운모는 상기와 같이 염기성 성분을 지닌 광물로서 토양 중의 산성물질과 접촉하여 중화를 시켜 토양의 산성화를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가교전분은 열처리 초기 단계에서는 특히 낮은 점성을 나타내어 혼합을 용이하게 하다가 그 후 온도가 높아지면 점도가 높아져 견운모와의 혼합이 잘 이루어지고 나중에는 혼합된 견운모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호제의 첨가물로서, 견운모의 사용이 어렵지 않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호제는 고형분으로서 가교전분 100 중량부에 대해 견운모 50~100 중량부 및 초산비닐수지 0.5~1 중량부를 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통기성과 호제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어 바람직하다.
호제 처리된 로프를 이용하여 매트를 제직하는데 매트의 형태 안정성이나 변형방지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매트를 추가적인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트를 셀룰로오스 가교처리 수용액에 침지, 건조하고 열가압하여 셀룰로오스 가교화를 시켜 정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처리 수용액은 말레산, 차아인산나트륨, 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말레산은 볏짚의 구성성분인 셀룰로오스의 수산기와 반응하여 가교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차아인산나트륨은 인산염이 에스테르화 반응에서 양성자 주게로 작용하므로 반응을 촉진할 수 있어 촉매역할을 한다. 2개의 수산기를 가지는 에틸렌글리콜은 직물의 형태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킨다. 가교처리 수용액은 말레산 10 내지 20 중량%, 차아인산나트륨 3 내지 7 중량%, 에틸렌글리콜 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한 수용액인 것이 반응속도와 생산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통상적인 침지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20 내지 35℃의 온도에서 5 내지 10분 정도 침지시키면 된다. 에스테르 가교를 완결시키기 위해 캘린더 가공기에서 100 내지 200 ℃의 온도와 5 내지 10 Kg/㎠의 압력조건에서 5 내지 10 초간 가압가열하면 된다.
본 발명에서는 식생용 매트로서, 식재가 보다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왕겨황토슬러리 포설층을 포함한다.
상기 앞서 설명한 매트를 하부 매트로 하여 토양과 직접 접촉하게 하고, 그 위로, 왕겨와 황토가 혼합된 것을 상기 하부 매트 위로 도포한다. 왕겨는 단백질 13.2%, 당질 38.3%, 지방 18.3%, 회분 8.9%로서 영양공급원으로 손색없을 뿐만 아니라 보습 효과가 뛰어나, 건조피해를 예방하여 식생을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매트와의 부착력을 위해 황토슬러리와 혼합하여 하부 매트 위로 도포한다. 물의 저장능력이 탁월한 왕겨를 사용함으로써 하부의 제직된 매트로 빗물이 직접 침출되지 못하게 함으로써 하단 매트면의 내구성을 증가시킴은 물론 가뭄 등 건조한 외부환경이 식생에 불리할 경우 식생에 필요한 물을 자연 공급해 줌으로써 식생을 보다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보강하였다.
상기 하부 매트 위로 왕겨황토슬러리가 포설되고 나면, 그 위로 종자시트를 적층한다. 그리고 종자시트를 보호하기 위해 그 위로 다시 한번 볏짚으로 제직된 상부매트를 적층하여 식생매트를 만든다. 상기 상부 매트는 표층부로서 하부매트층에 비하여 좀 더 빠르게 부패하여 종자의 식생을 촉진하여야 하므로, 앞서 언급한 호제처리나, 가교처리를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만 볏짚에 황토슬러리를 함침한 황토볏짚을 사용하여 로프를 만들고 이를 제직하여 매트형태로 만드는 것은 종자를 기본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필요하다.
종자시트는 종자의 발아와 양육을 보다 보강하기 위해 영양소를 함유한 도포액을 도포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포액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젤라틴 10 내지 20 중량부, 효소처리스테비아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초기 식생의 성장을 위한 영양공급을 위한 범위이다. 식물체 내의 단백질 합성의 활성화를 위한 단백질 공급원으로 젤라틴이 가수분해 처리하여 아미노산 및 펩타이드 형태로 공급된다.젤라틴은 기본적으로 선상 펩타이드 결합을 이루는 단백질의 일종으로 섬유소 단백질인 콜라겐 성분을 화학적 열처리를 통하여 일부 가수분해시켜 만든 성분이다. 젤라틴의 제조는 육가공 산업의 부산물로 발생되는 뼈나 가죽으로부터 콜라겐을 분리하여 제조된다. 이렇게 얻어진 콜라겐은 불용성이므로 산 처리(type A - acid processed)나 알칼리 처리(type B - basic processed)를 통하여 수용성 성분으로 전환시킨다. 젤라틴의 약 1/3이 글리신(Glycine)으로, 약 22%의 프롤린(Proline)과 하이드록시프롤린, 나머지 45%는 17종의 아미노산들로 구성되어 있다. 산성 아미노산류(lutamic acid와 asparatic acid)의 약 1/3은 아미노형태로서 글루타민과 아스파라긴으로 존재하며 다만 트립토판은 존재하지 않지만 단백질을 공급원으로서 많은 작용을 할 수 있다. 젤라틴은 찬물에는 팽창만 하나 온수에는 녹아 졸이 되고 나아가 겔이 되며 물을 더 가하여 수용액 상태로 만든다. 일반적으로 젤라틴은 수분함량이 9 내지 13% 정도의 것이나 충분한 유동성을 가질 수 있을 정도로 약 40 내지 60% 정도의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효소처리스테비아를 사용하여 식물체 내의 당유인을 유도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스테비아 잎에는 감미 물질인 스테비오사이드, 레바우디오사이등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 성분은 설탕의 200 내지 300 배로 감미도가 높으며, 칼로리는 그에 비해 설탕의 90분의 1로 낮으며, 강력한 항산화작용으로 악성 활성산소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스테비아는 농약이나 다이옥신을 제대로 분해하여 원래의 자연적인 논과 밭으로 돌릴 수 있으며, 농축액과 분말 모두가 이용되어 각종 야채 등의 당도를 증가시키고 수확량을 증가시키며 보존기간 향상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스테비아 잎과 줄기를 천연 그대로 분쇄, 추출, 발효, 숙성하여 발효스테비아를 만들어 농축액을 사용한다. 농약이나 다이옥신을 제대로 분해하여 토양질 향상에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식생매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볏짚을 압착하고 이에 황토슬러리를 함침시켜 황토볏짚을 얻는 단계; 상기 황토볏짚을 사용하여 로프를 얻고 이를 이용하여 하부매트와 상부매트를 제직하는 단계; 하부 매트 위로 왕겨와 황토를 혼합한 왕겨황토슬러리를 포설하는 단계; 종자시트를 왕겨황토슬러리 포설층 위로 적층하는 단계; 상기 종자시트 위로, 상기 상부매트를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을 이용한 식생매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줄기와 잎이 붙어있는 볏짚을 상단부의 잎 부분을 절단하고, 일정 크기로 절단하고, 수분함량을 10~15중량%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순간 압력이 600~800kg/㎠인 가압 회전 롤러에 통과시켜 압착하여 압착된 볏짚을 얻을 수 있다. 압착된 볏짚은 공극이 감소하지만 황토슬러리를 섞어주면, 압착된 볏짚의 조직 속으로 황토가 좀 더 용이하게 침투하여 볏짚 내의 황토 함유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압착시 접착성이 있는 리그닌이 볏짚의 표면으로 침출되어 로프 형태로 만들 때 보다 우수한 성능을 발휘한다.
이러한 황토볏짚을 이용하여 로프를 만들고, 로프를 제직하여 하부매트와 상부매트를 만든다. 하부매트는 보다 형태안정성이 중시되기 때문에 위에서 언급한 호제처리나 가교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종자의 식생이 보다 잘 이루어지기 위한 영양 보충 환경과 습도 유지를 위한 추가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형태는 이하에 첨부한 청구범위 내에서 수행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5)

  1. 볏짚을 이용한 식생매트에 있어서,
    볏짚에 황토슬러리를 함침시킨 황토볏짚을 합착하여 로프를 얻고 이를 이용하여 제직하여 만든 하부 매트;
    왕겨와 황토를 혼합한 왕겨황토슬러리를 상기 하부 매트 위로 도포한 왕겨황토슬러리 포설층;
    상기 왕겨황토슬러리 포설층 위로 적층되는 종자시트; 및
    볏짚에 황토슬러리를 함침시킨 황토볏짚을 합착하여 로프를 얻고 이를 이용하여 제직하여 만든 매트를 상기 종자시트 위로 적층한 상부 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매트를 구성하는 로프는 견운모를 포함한 호제로 처리하여 호제 처리된 로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매트는 셀룰로오스 가교제를 포함한 가교처리 수용액에 침지, 건조하고 열가압하여 이루어진 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시트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젤라틴 10 내지 20 중량부, 효소처리스테비아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된 도포액이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
  5. 볏짚을 압착하고, 이에 황토슬러리를 함침시켜 황토볏짚을 얻는 단계;
    상기 황토볏짚을 사용하여 로프를 얻고 이를 이용하여 하부매트와 상부매트를 제직하는 단계;
    상기 하부 매트 위로 왕겨와 황토를 혼합한 왕겨황토슬러리를 포설하는 단계;
    종자시트를 상기 왕겨황토슬러리 포설층 위로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종자시트 위로, 상기 상부매트를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을 이용한 식생매트의 제조방법.
KR1020150151353A 2015-10-29 2015-10-29 볏짚을 이용한 식생매트와 이의 제조방법 KR101577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353A KR101577042B1 (ko) 2015-10-29 2015-10-29 볏짚을 이용한 식생매트와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353A KR101577042B1 (ko) 2015-10-29 2015-10-29 볏짚을 이용한 식생매트와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7042B1 true KR101577042B1 (ko) 2015-12-11

Family

ID=55020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353A KR101577042B1 (ko) 2015-10-29 2015-10-29 볏짚을 이용한 식생매트와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70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876B1 (ko) * 2016-03-22 2016-11-21 주식회사 와이즈이앤지 식생 활착용 포대 조립체 및 상기 식생 활착용 포대 조립체를 이용한 시공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060Y1 (ko) 2005-09-13 2005-12-16 주식회사 디오예은 짚코 원단 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060Y1 (ko) 2005-09-13 2005-12-16 주식회사 디오예은 짚코 원단 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876B1 (ko) * 2016-03-22 2016-11-21 주식회사 와이즈이앤지 식생 활착용 포대 조립체 및 상기 식생 활착용 포대 조립체를 이용한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56551C2 (ru) Конструкции субстратов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на основе мха sphagnum и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EP2139307B8 (en) An irrigation device
JPH0799985B2 (ja) 養液栽培用基材
KR100714674B1 (ko) 식물종자를 포함하는 식생줄, 식생로프 및 식생자재
KR101779259B1 (ko) 볏짚을 이용한 산길용 매트와 이의 제조방법
JP2003503076A (ja) 植物生育用基材および植物生育用ブロックの製造方法
CN102283057B (zh) 一种稠浆法多功能有机环保薄片地膜的制作方法
KR101577042B1 (ko) 볏짚을 이용한 식생매트와 이의 제조방법
GB2245555A (en) Horticultural material
US6158168A (en) Vegetation element for greening artificial level expanses
CN107475897A (zh) 加强型机插育秧膜的制备方法
KR101186035B1 (ko)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태복원공법
CN106518243B (zh) 一种贴树栽种铁皮石斛的有机肥及其制备和使用方法
KR101460083B1 (ko) 친환경 건축 보온·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JP2003092925A (ja) 植物生育基盤材及びそれを使用する吹付け緑化工法
CN104963331A (zh) 旧衣料、废塑袋合成固风沙
KR101415965B1 (ko) 친환경 법면 녹화용 유기 혼합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법면녹화방법
NL2030120B1 (en) Vegetable material as insulation, filling or packaging
CN109005733A (zh) 一种油茶芽砧的培育方法
CN106966823A (zh) 一种用于荒漠盐碱地的树根保护桶及其制备方法
Annamalai et al. By-product Utilization of Coconut, Arecanut and Cocoa Processing
CN1485186A (zh) 毛豆壳制板
Sasaki et al. The application, in the packaging industry, of bean‐curd refuse from soybean processed food
CN106520135A (zh) 一种水土保持使用的环保生物材料及其制备方法
JP2001086880A (ja) マルチング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