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6938B1 - 회전식 난간 - Google Patents

회전식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6938B1
KR101576938B1 KR1020140081952A KR20140081952A KR101576938B1 KR 101576938 B1 KR101576938 B1 KR 101576938B1 KR 1020140081952 A KR1020140081952 A KR 1020140081952A KR 20140081952 A KR20140081952 A KR 20140081952A KR 101576938 B1 KR101576938 B1 KR 101576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rotary
films
stopper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1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상우
Original Assignee
권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상우 filed Critical 권상우
Priority to KR1020140081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69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6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 E04H17/165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using panels with rigid filling an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51Filling panels, e.g. concrete, sheet metal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식 난간에 관한 것이다. 그 구체적인 구성은 입설지주(70)가 양측에 세워지고, 입설지주(7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가로방향으로 상부프레임(20)과 하부프레임(21)이 각각 설치되며, 상하부프레임(20, 21)에는 다수개의 회전막(10)을 끼우기 위한 끼움공(22)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회전막(10)의 상부와 하부에는 마감캡(11)이 장착되되, 상기 마감캡(11)의 중앙에는 끼움돌기(12)가 형성되고, 끼움돌기(12)의 측방에는 회동돌기(13)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막(10)의 상부 마감캡(11) 또는 하부 마감캡(11)의 회동돌기(13)에는 다수개의 회전막(10)을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한 회동견인구(30)에서 일측방으로 연결되어 회전막(10)의 갯수와 동일하게 형성된 가지연결구(31)의 선단에 형성된 회동공(32)이 끼워짐으로써, 상기 회동견인구(30)를 수평방향으로 밀고 당기는 과정에서 다수개의 회전막(10)이 동시에 개폐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회전식 난간{The pivotable balustrade}
본 발명은 난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가옥의 정원 울타리, 유치원 및 어린이집 담장이나, 풋살 경기장의 펜스 또는 테라스를 갖춘 카페에서 테라스에 둘러 설치된 담장에 사용되는 회전식 난간에 있어서, 난간을 구성하고 있는 패널을 동시 회동이 가능한 다수개의 회전막으로 구성함으로써, 계절 및 기상 상황 등에 따라 난간이 개폐되도록 하여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뿐 아니라, 사생활 보호 또는 난간에 광고 효과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한 회전식 난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난간은 가옥에서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거나, 까페에서 테라스의 테두리를 둘러싸고 설치되며, 유치원, 어린이집의 담장 또는 풋살 경기장과 같은 특수목적물의 장소를 구분 짓기 위하여 설치된다. 종래 난간은 도 10의 (a)에서와 같이 수직으로 입설된 철재 또는 목재로 만든 구획봉(90)이 일정간격으로 늘어서 배치되어, 구획봉(90)과 구획봉(90)의 사이에 통공부(E)가 형성됨으로써, 바람이 유입되는 개방형 난간이거나, 사생활 보호 목적이 우선시 되는 일정 높이를 갖는 폐쇄형 난간 등이 있다.
예를 들어, 커피나 음료 및 주류를 판매하는 카페의 입구부에는 외부로 공개된 테라스가 설치되기도 한다. 까페의 테라스는 흡연공간으로 사용되거나, 실내가 답답한 사람들이 음료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이어서, 개방형 난간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이 테라스는 사계절에 걸쳐 오픈된 상태로 있는 것임을 고려할 때, 바람이 시원한 계절에는 자연바람이 테라스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바람이 매섭게 부는 겨울철에는 자연바람이 테라스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함에도 불구하고, 변형이 불가능한 도 10의 (a)와 같은 종래의 난간의 경우 바람을 막기 위해 외부에 비닐을 추가적으로 설치하거나, 통공부(E)를 널빤지로 막는 등의 조잡하고 번거로운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을 포함한 가옥, 카페, 펜션, 풋살 경기장, 대형 주차장의 창호 등에 설치되는 난간에 있어서, 난간을 구성하고 있는 다수개의 회전막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동시에 회전되면서 개폐되도록 한 회전식 난간을 제공하고자 한다.
즉, 바람을 유도하여 환기를 시키고자 할때는 난간을 개방하고, 빗물의 유입을 막거나, 바람을 차단하기 위해, 또는 사생활 보호 측면에서 난간을 폐쇄하고자 할때에는 회전막을 동시에 회전시켜 난간을 마치 벽처럼 폐쇄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난간의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 지도록 한 회전식 난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난간의 구체적인 과제 해결 수단으로는, 입설지주(70)가 양측에 세워지고, 입설지주(7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가로방향으로 상부프레임(20)과 하부프레임(21)이 각각 설치되며, 상하부프레임(20, 21)에는 다수개의 회전막(10)을 끼우기 위한 끼움공(22)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회전막(10)의 상부와 하부에는 마감캡(11)이 장착되되, 상기 마감캡(11)의 중앙에는 끼움돌기(12)가 형성되고, 끼움돌기(12)의 측방에는 회동돌기(13)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막(10)의 상부 마감캡(11) 또는 하부 마감캡(11)의 회동돌기(13)에는 다수개의 회전막(10)을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한 회동견인구(30)에서 일측방으로 연결되어 회전막(10)의 갯수와 동일하게 형성된 가지연결구(31)의 선단에 형성된 회동공(32)이 끼워짐으로써, 상기 회동견인구(30)를 수평방향으로 밀고 당기는 과정에서 다수개의 회전막(10)이 동시에 개폐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난간을 사용하게 되면, 회동견인구(30)와 수직작동봉(40), 수평작동봉(44) 등과 같은 구성을 통해 다수개의 회전막(10)을 동시에 개폐할 수 있음에 따라, 본 발명이 설치되는 공간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분명히 존재하는 난간을 마치 없는 것처럼 일순간에 전환할 수 있으므로, 계절과 기상 및 현실 상황에 따라, 시의적절하게 난간을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난간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난간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중 회동견인구의 작동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중 회동견인구의 또 다른 작동 사시도
도 5, 6은 본 발명중 수직작동봉 및 개폐유지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 8은 본 발명중 수평작동봉 및 회동뭉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중 회전식 회전막의 수직 증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0, 11은 본 발명중 회전식 회전막의 사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구성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난간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난간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입설지주(70)가 양측에 세워지고, 입설지주(70)의 상부에는 가로방향으로 상부프레임(20)이 설치되고, 상부프레임(20)에는 덮개(23)가 조립된다. 또한, 입설지주(70)의 하부에도 가로방향으로 하부프레임(21)이 설치되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프레임(20)과 하부프레임(21)의 사이에는 다수개의 회전막(10)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되, 회전막(10)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하부프레임(20, 21)에는 다수개의 끼움공(22)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2의 원내확대도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막(10)의 상부와 하부에는 마감캡(11)이 장착되되, 상기 마감캡(11)의 중앙에는 상기 끼움공(22)으로 끼워지는 끼움돌기(12)가 형성되고, 끼움돌기(12)의 측방에는 회동돌기(13)가 형성된다. 상기 회동돌기(13)는 다수개의 회전막(10)을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한 회동견인구(30)의 회동공(32)이 끼워지는 구성으로서, 도 2의 원내확대도에서 보듯이 회동견인구(30)에서 일측방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가지연결구(31)의 선단에 형성된 회동공(32)이 상기 회동돌기(13)에 끼워진 다음 볼트(1)와 와셔(2)를 통해 회동견인구(30)가 계지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중 회동견인구(30)가 회전막(10)의 상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작동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도 3의 (a)에서 보듯이 회동견인구(30)에서 일측방으로 연결되어 성형된 가지연결구(31)는 설치되는 회전막(10)의 갯수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회동견인구(30)를 손에 쥐고 도 3의 (a)에 점선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회동견인구(30)를 잡아 당기면, 회동견인구(30)에서 근원된 회전력이 가지연결구(31)를 통해 회전막(10)의 회동돌기(13)에 전달되면서, 다수개의 회전막(10)은 각각 자신의 끼움돌기(12)를 회전축으로 하여 동시에 회전됨으로써,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난간이 개방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중 회동견인구(30)의 또 다른 작동 사시도로서, 앞서 도 3을 통해 설명한 회전식 난간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다만, 상기 회동견인구(30)의 설치 위치가 도 3은 회전막(10)의 상부이며, 도 4는 회전막(10)의 하부에 설치된 것이 다를 뿐이다. 따라서, 도 4의 (a)에서 보듯이 회전막(10)의 하부에 설치된 회동견인구(30)를 사용자가 손에 쥐고 도 4의 (a)에 점선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회동견인구(30)를 잡아 당기면, 회동견인구(30)에서 근원된 회전력이 가지연결구(31)를 통해 회전막(10)의 회동돌기(13)에 전달되면서, 다수개의 회전막(10)은 각각 자신의 끼움돌기(12)를 회전축으로 하여 동시에 회전됨으로써,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난간이 개방되는 것이다.
도 5, 6은 본 발명중 수직작동봉(40) 및 개폐유지판(50)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 6의 구성은 앞서 도 3을 통해 설명한 회전식 난간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다만, 회전막(10)의 높이가 높은 대형 회전막(10)에 적용하기 위하여, 회동견인구(30)를 회전막(10)의 상부와 하부에 동시에 설치하고, 상기 회전막(10)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된 회동견인구(3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수직작동봉(40)이 추가적으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도 5에서 보듯이 회전막(10)의 상부에 설치된 회동견인구(30)와 하부에 설치된 회동견인구(30)를 수직하게 연결하는 수직작동봉(40)을 사용자가 손에 잡고, 도 5에 점선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수직작동봉(40)을 잡아 당기면, 수직작동봉(40)에서 근원된 회전력이 회동견인구(30)의 가지연결구(31)를 통해 회전막(10)의 회동돌기(13)에 전달되면서, 다수개의 회전막(10)은 각각 자신의 끼움돌기(12)를 회전축으로 하여 동시에 회전됨으로써,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난간이 개방되는 것이다.
한편, 도 5의 원내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21)의 측방에는 개폐유지판(50)이 장착된다. 상기 개폐유지판(50)은 반원판 형상이며 원주를 따라 다수개의 멈춤공(51)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수직작동봉(40)에 내삽된 멈춤구(43)의 선단이 상기 멈춤공(51)에 끼워짐으로써, 회전막(10)의 개방 각도와 폐쇄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즉, 도 5, 6의 원내확대도에서 보듯이, 수직작동봉(4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홈(4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41)으로 멈춤구(43)가 내삽된다. 삽입홈(41)으로 내삽된 멈춤구(43)는 미사용시 수직작동봉(40)의 하부에 걸려 보관되는바, 상기 멈춤구(43)의 보관을 위해 수직작동봉(40)의 하부에는 삽입홈(41)과 수직하게 걸림홈(42)이 형성되어, 도 5의 원내확대도에서와 같이 멈춤구(43)가 수직작동봉(40)에 내삽된 상태로 보관된다.
이후, 회전막(10)의 폐쇄 상태 또는 개방 상태의 각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멈춤구(43)를 수직작동봉(40)에서 인출하여야 하는바, 도 6의 원내확대도에서와 같이, 걸림홈(42)에 걸려 있던 멈춤구(43)를 손으로 위치조정 하면, 멈춤구(43)는 삽입홈(41)을 따라 자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내려지고, 내려진 멈춤구(43)의 선단을 개폐유지판(50)의 멈춤공(51)에 끼워주면 간단한 방식으로 회전막(10)의 폐쇄 상태 또는 개방 상태의 각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이다.
도 7, 8은 본 발명중 수평작동봉(44) 및 회동뭉치(6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앞서 도 3, 4를 통해 설명한 회전식 난간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다만, 도 3, 4에서 회전막(10)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된 회동견인구(30) 대신 수평작동봉(44)을 회전막(10)의 중간에 설치하여 다수개의 회전막(10)을 동시에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수평작동봉(44)은 다수개의 회전막(10)을 가로지르면서 각각의 회전막(10)에 계지된다. 수평작동봉(44)이 회전막(10)에 계지되는 수단은, 도 7의 원내확대도 (a), (b)에서와 같이, 회전막(10)의 일측면에 장착홈(14)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홈(14)으로 회동뭉치(60)를 위치시켜 볼트(1)로 조여주며, 상기 회동뭉치(60)에는 수평작동봉(44)과 연결된 회동연결대(45)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평작동봉(44)을 손에 잡고, 수평 방향으로 잡아 당기거나 밀면, 수평작동봉(44)에서 근원된 회전력이 회동연결대(45)를 통해 회동뭉치(60)에 전달되면서, 다수개의 회전막(10)은 각각 자신의 끼움돌기(12)를 회전축으로 하여 동시에 회전됨으로써, 난간이 개폐되는 것이다.
한편, 도 8을 통해 수평작동봉(44)이 적용된 회전식 난간에서 회전막(10)의 폐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수단을 설명하고자 한다. 즉, 도 8의 원내확대도에서 보듯이, 수평작동봉(44)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홈(4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41)으로 멈춤구(43)가 내삽된다. 삽입홈(41)으로 내삽된 멈춤구(43)는 미사용시 수평작동봉(44)의 일측에 걸려 보관되는바, 상기 멈춤구(43)의 보관을 위해 수평작동봉(44)의 일측에는 삽입홈(41)과 수직하게 걸림홈(42)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멈춤구(43)는 도 7의 원내확대도 (a)와 같이 수평작동봉(44)에 내삽된 상태로 보관되는 것이다.
이후, 도 8에서와 같이 회전막(10)의 폐쇄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멈춤구(43)를 수평작동봉(44)에서 인출하여야 하는바, 도 8의 원내확대도에서와 같이, 걸림홈(42)에 걸려 있던 멈춤구(43)를 손으로 위치조정 하여, 삽입홈(41)을 따라 수평하게 이동시켜 입설지주(70)에 장착된 멈춤하우징(71)의 내부로 멈춤구(43)의 선단을 끼움으로써, 회전막(10)의 폐쇄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중 회전식 회전막(10)의 수직 증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이 설치된 후, 난간의 높이를 더 높이기 위한 수단을 설명하고자 한다. 즉, 도 9에서와 같이 기존에 설치된 난간의 상부로 다수개의 회전식 난간을 조립식으로 끼워 수직 증축하는 것인바,
도 9의 원내확대도에서와 같이, 기존에 설치된 회전막(10)의 상부에 끼워진 마감캡(11)에서 끼움돌기(12)의 직상방으로 연장돌기(12a)를 형성하고, 수직 증축되는 회전막(10)의 하부에 끼워진 마감캡(11)에서 끼움돌기(12)의 직하방으로 연장돌기(12a)를 형성한 다음, 상기 연장돌기(12a)들을 연결시켜 주는 연장구(80)를 매개체로 장착함으로써, 결국 기존에 설치된 회전막(10)의 회전이 새롭게 증축된 회전막(10)에도 그대로 전달되도록 한 것이다.
도 10, 11은 본 발명중 회전식 회전막(10)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0의 (a)는 수직으로 입설된 철재 또는 목재로 만든 구획봉(90)이 일정간격으로 늘어서 배치된 종래의 난간이다. 종래의 난간은 구획봉(90)과 구획봉(90)의 사이에 통공부(E)가 형성되는바, 이러한 종래의 난간을 그대로 둔 상태에서, 도 10의 (b)와 같이 통공부(E)에 회전막(10)을 설치하여, 종래의 난간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난간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1의 (a)는 도 10의 (a)에 표시한 view "A"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종래의 난간이 설치된 상태에서 이를 해체하지 않고, 종래 난간의 외측방으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난간을 설치하되, 도 11의 (b)에서와 같이 종래의 난간과 회전식 난간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브래킷(81)과 같은 수단을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난간을 유지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난간을 시공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난간을 사용하게 되면, 회동견인구(30)와 수직작동봉(40), 수평작동봉(44) 등과 같은 구성을 통해 다수개의 회전막(10)을 동시에 개폐할 수 있음에 따라, 본 발명이 설치되는 공간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분명히 존재하는 난간을 마치 없는 것처럼 일순간에 전환할 수 있게 되어 난간을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난간을 유치원 또는 어린이집을 포함한 가옥의 울타리로 사용하게 되면, 거주민의 사생활을 보호함과 동시에 바람을 가옥으로 유도할 수 있어서,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치원 또는 어린이집의 정원 울타리로 사용할 때에는 각양 각색으로 회전막을 꾸밀 수 있어 미려한 담장이 용이하게 만들어 지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난간을 풋살 경기장의 담장으로 사용하게 되면, 축구공이 밖으로 나가는 것을 막아주는 담장 기능을 할 뿐 아니라, 여름철에는 시원한 바람이 유도되고, 겨울철에는 찬바람을 막아주며, 강한 바람이 불때에는 풋살 경기가 방해되지 않도록 강한 바람을 차단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대형 옥외 주차장의 경우, 현재는 주차장 외벽에 커다란 구멍만 형성한 다음, 창호를 설치하지 않고 주차장을 운용하고 있다. 이는 창호설치로 인해 폐쇄된 공간이 형성되면 차량의 소음이 더욱 증폭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창호 미설치로 인해 겨울철에는 찬바람이 들어오고, 장마철에는 빗물이 유입되는 문제점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난간을 대형 옥외 주차장의 창호부분에 설치할 경우, 쉽고 간편하게 회전막을 회전시킬 수 있음에 따라, 계절이나 기상 상황에 맞추어 시의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원활한 주차장의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카페의 테라스에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난간을 설치하게 되면, 회전막에 카페와 관련된 홍보글을 게시할 수 있으므로 회전막을 이용한 부수적인 광고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 : 볼트
2 : 와셔
10 : 회전막
11 : 마감캡
12 : 끼움돌기
12a : 연장돌기
13 : 회동돌기
14 : 장착홈
20 : 상부프레임
21 : 하부프레임
22 : 끼움공
23 : 덮개
30 : 회동견인구
31 : 가지연결구
32 : 회동공
40 : 수직작동봉
41 : 삽입홈
42 : 걸림홈
43 : 멈춤구
44 : 수평작동봉
45 : 회동연결대
50 : 개폐유지판
51 : 멈춤공
60 : 회동뭉치
70 : 입설지주
71 : 멈춤하우징
80 : 연장구
81 : 연결브래킷
90 : 구획봉
E : 통공부

Claims (8)

  1. 입설지주(70)가 양측에 세워지고, 입설지주(7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가로방향으로 상부프레임(20)과 하부프레임(21)이 각각 설치되며, 상하부프레임(20, 21)에는 다수개의 회전막(10)을 끼우기 위한 끼움공(22)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회전막(10)의 상부와 하부에는 중앙에 끼움돌기(12)가 형성되며, 끼움돌기(12)의 측방에는 회동돌기(13)가 형성된 마감캡(11)이 각각 장착되고, 상기 회전막(10)의 상부 마감캡(11) 및 하부 마감캡(11)의 회동돌기(13)에는 회동견인구(30)가 각각 장착되되, 상기 회동견인구(30)에서 일측방으로 연결되어, 회전막(10)의 갯수와 동일하게 형성된 가지연결구(31)의 선단에 형성된 회동공(32)이 상기 상하부 마감캡(11)의 회동돌기(13)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회전막(10)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된 회동견인구(30)에는 회동견인구(30)를 수직하게 서로 연결하기 위한 수직작동봉(40)이 설치되어, 상기 수직작동봉(40)을 수평방향으로 밀고 당기는 과정에서 다수개의 회전막(10)이 동시에 개폐되며, 상기 하부프레임(21)의 측방에는 반원판 형상이며 원주를 따라 멈춤공(51)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개폐유지판(50)이 설치되고, 상기 수직작동봉(4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홈(41)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41)에는 멈춤구(43)가 내삽되되, 상기 수직작동봉(40)의 하부에는 상기 멈춤구(43)가 걸리도록 삽입홈(41)과 수직하게 걸림홈(42)이 형성되어, 걸림해제된 멈춤구(43)가 상기 개폐유지판(50)의 멈춤구(43)에 끼워지면서, 회전막(10)의 개폐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난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40081952A 2014-07-01 2014-07-01 회전식 난간 KR101576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952A KR101576938B1 (ko) 2014-07-01 2014-07-01 회전식 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952A KR101576938B1 (ko) 2014-07-01 2014-07-01 회전식 난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6938B1 true KR101576938B1 (ko) 2015-12-15

Family

ID=55021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1952A KR101576938B1 (ko) 2014-07-01 2014-07-01 회전식 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69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8494B1 (ko) * 2016-05-26 2018-01-15 권상우 회전식 난간
KR20210080917A (ko) * 2019-12-23 2021-07-01 이윤호 채광 조절이 가능한 비상 대피 난간
KR102418693B1 (ko) * 2022-02-08 2022-07-08 주식회사 웰콘 방파제용 난간
CN114753713A (zh) * 2022-05-31 2022-07-15 重庆第二师范学院 一种房建施工防护栏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892Y1 (ko) * 2002-05-07 2002-07-27 김상욱 환기창
KR100927156B1 (ko) * 2009-05-22 2009-11-24 주식회사 건보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기능성 발코니 난간
JP2011080248A (ja) * 2009-10-07 2011-04-21 Nakamura:Kk 可動ルーバー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892Y1 (ko) * 2002-05-07 2002-07-27 김상욱 환기창
KR100927156B1 (ko) * 2009-05-22 2009-11-24 주식회사 건보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기능성 발코니 난간
JP2011080248A (ja) * 2009-10-07 2011-04-21 Nakamura:Kk 可動ルーバー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8494B1 (ko) * 2016-05-26 2018-01-15 권상우 회전식 난간
KR20210080917A (ko) * 2019-12-23 2021-07-01 이윤호 채광 조절이 가능한 비상 대피 난간
KR102350018B1 (ko) * 2019-12-23 2022-01-11 이윤호 채광 조절이 가능한 비상 대피 난간
KR102418693B1 (ko) * 2022-02-08 2022-07-08 주식회사 웰콘 방파제용 난간
CN114753713A (zh) * 2022-05-31 2022-07-15 重庆第二师范学院 一种房建施工防护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6938B1 (ko) 회전식 난간
KR101219091B1 (ko) 친환경 기능성 창호
US20100139872A1 (en) Patio cover and storm protection device
CN204941178U (zh) 一种防盗防蚊平开窗
CN204388284U (zh) 风幕装置
KR101170280B1 (ko) 차양 및 빗물 유입방지 기타 사생활보호 및 방범을 위한 차단부재가 구비된 방충망
KR20140122640A (ko) 차양형 접이식 루버창
KR101185694B1 (ko) 빗물 유입 방지 장치
CN103291183B (zh) 节能环保型多功能窗户
KR200319639Y1 (ko) 창문용 블라인드
KR101818494B1 (ko) 회전식 난간
KR100973847B1 (ko) 블라인드 장치
KR102241727B1 (ko) 공동주택 복도의 회전형 자동 개폐 창문
KR200446420Y1 (ko) 베니션블라인드의 고정장치
KR20040092401A (ko) 창문용 블라인드
KR20090047414A (ko) 창문 차광겸용 바람 인입장치가 구비된 창호 시설물
KR101408386B1 (ko) 비닐하우스 개폐기
JP4104301B2 (ja) 戸構造に使用するロック構造
KR100648098B1 (ko) 건축구조물 창문틀 구조
KR200417841Y1 (ko) 창문용 빗물 차단장치
CN205036228U (zh) 一种新型窗户结构
KR101248413B1 (ko) 차양 및 빗물 유입방지 기타 사생활보호 및 방범을 위한 차단부재가 구비된 방충망
ES2935957T3 (es) Sistema de seguridad infantil para ventanas
KR200470411Y1 (ko) 방충창용 가림막설치프레임
KR101324728B1 (ko) 캐노피 기능을 갖는 천막형 체육시설용 출입구 개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