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6684B1 - 홈 네트워크 기반의 다중 입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 기반의 다중 입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6684B1
KR101576684B1 KR1020100001932A KR20100001932A KR101576684B1 KR 101576684 B1 KR101576684 B1 KR 101576684B1 KR 1020100001932 A KR1020100001932 A KR 1020100001932A KR 20100001932 A KR20100001932 A KR 20100001932A KR 101576684 B1 KR101576684 B1 KR 101576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receiving
input signal
transmitting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1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0618A (ko
Inventor
맹제영
이주열
한세희
정동신
패이패이 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080045943.6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577298B/zh
Priority to EP10823593.8A priority patent/EP2489166B1/en
Priority to JP2012533095A priority patent/JP5697269B2/ja
Priority to US12/902,881 priority patent/US9344293B2/en
Priority to PCT/KR2010/006986 priority patent/WO2011046354A2/en
Publication of KR20110040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a format for calling an appliance service function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에서 복수의 사용자의 다중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어 포인트(Control Point)가 상기 홈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전자 장치에게 입력 능력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능력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적어도 둘 이상의 전자 장치의 입력 능력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장치와 입력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장치를 결정하여 세션 설정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전달된 입력 데이터를 상기 수신 장치로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홈 네트워크 기반의 다중 입력 장치 및 방법{THE APPARATUS AND METHOD OF MULTIPLE INPUT DEVICE BASED HOME NETWORK}
본 발명은 UPnP(Universal Plug and Play)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UPnP 서비스를 내장한 복수의 입력 장치가 존재할 때 각 입력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복수의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는 가정용 PC(Personal Computer), 랩탑(Laptop)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컴퓨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다양한 HID(Human Interface Device)를 사용하여 왔다. 키보드, 마우스와 같이 전형적인 입력 장치를 비롯하여 조이스틱(Joystick), 게임패드(Gamepad)와 같이 게임을 즐기기 위한 입력 장치는 물론, 스타일러스(Stylus)와 같은 전문적인 디자이너를 이한 입력 장치에 이르기까지 입력 장치의 목적과 수는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다양하다.
이와 같이 다양한 입력 장치에서 전달되는 입력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 호스트 디바이스는 각 입력 장치의 입력을 수신하고 해석할 수 있는 다양한 드라이버를 구비하여야 하며, 입력 장치가 연결되었을 경우 위와 같은 드라이버를 통해 입력 데이터를 해석 및 사용하게 된다. 이 때 호스트 디아비는 어떠한 입력 장치가 연결되게 될 것인지 알 수 없으므로, 시장에 출시된 모든 종류의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구비하거나, 입력 장치에 적합한 드라이버를 사용자가 설치해야만 하는 불편함을 가진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USB(Universal Serial Bus)는 시장에 사용되고 있는 모든 장치를 타입별로 구분하여 클래스(class)로 나누어 각 클래스 디바이스는 특정 클래스 장치를 관리하며, 특히 HID와 같은 클래스의 경우는 입력 장치에서 전송하게 될 데이터의 형식을 정의한 리포트 디스크립터(Report descriptor)를 전달함으로써, 새로운 형태의 입력 장치가 등장하게 되어도 적용하는 데 문제가 없도록 설계되었다.
USB 입력 장치는 다양한 입력 장치를 하나의 단일한 포트(port)와 클래스 드라이버(class driver)를 사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유선 연결에 국한되어 있는 단점이 존재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블루투스(Blutooth) SIG(Special Interest Group), USB 표준 단체에서는 블루투스 HID 프로파일(profile), 무선(Wireless) USB와 같은 표준기술을 개발하여, 무선으로 HID를 호스트 디바이스에 연결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은 단일한 기능을 제공하는 기존의 HID를 연결하기 위한 표준이며, 블루투스 HID 프로파일, 무선 USB와 같은 기술 역시 기존에 유선으로 제공되는 기능을 단순히 무선 환경으로 확장한 것에 불과하며, 무선 환경 또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고려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능 또는 새로운 기능들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
최근 들어 휴대폰, PDA와 같은 모바일 장비는 기존에 비하여 강력한 컴퓨팅 파워와 보유하게 되었으며, 네트워크에 쉽게 접속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UPnP 텔레포니(Telephony) WC(Working Committee)에서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한 장비를 타 장비의 입력 장치로 사용하고자 하는 서비스가 정의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까지는 블루투스 HID 프로파일과 유사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 그치고 있으며 모바일 장치의 특성 및 사용 예를 고려한 기능들은 현재 지원되지 않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UPnP 입력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UPnP 입력 시스템은 두 개의 입력 장치(Input Device, 120, 130)와 입력 설정 컨트롤포인트(InputConfig CP, 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 입력 장치(120, 130)는 운영 체제의 입력 기능(121, 131)을 가지며, 입력 설정 서비스(InputConfig Service, 122, 132)와, 서버 혹은 클라이언트로 동작하며 상대방 측으로 입력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수단(Transfer Server/Client, 123, 133)을 포함한다. InputConfig CP(110)는 네트워크 상에서 InputConfig Service(122, 132)를 발견하고, 각 입력 장치 및 수신 장치가 처리할 수 있는 입력의 종류 및 필요한 정보들을 설정할 수 있다. 보통 두 개의 서비스의 한쪽은 입력 데이터를 전달하고, 다른 한쪽은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며, InputConfig CP(110)는 발신측에서 보내게될 데이터와 수신측에서 받을 수 있는 데이터 간의 상호 운용성 확보를 위하여 사용할 입력 데이터의 포맷 및 전송 방법을 각 서비스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는 일반적인 UPnP 입력 장치의 입력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210단계에서 InputConfig CP(110)가 InputConfig Service(122, 132)를 통하여 입력 장치(120, 130)들의 입력 능력(Capability)을 수신하고, 220단계에서 수신된 입력 능력을 바탕으로 수신측과 발신측을 결정하고 전송프로토콜을 결정한다. 이후에 230 및 240단계에서 각 장치의 세션을 생성하고, 250 및 260단계에서 두 장치의 세션을 시작하여 두 장치 간의 입력데이터 전송을 시작한다.
USB HID는 다양한 입력 장치 연결을 위한 표준으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USB장치를 호스트 디바이스에 삽입하면, 호스트 디바이스는 Enumeration 프로세스(process)를 통하여 각 HID장치를 인식하고, 입력데이터의 포맷인 리포트 디스크립터(report descriptor)를 수신하고, 상기 형식의 입력데이터를 USB 파이프(pipe)를 통하여 수신하게 된다.
블루투스 HID 프로파일은 블루투스 SIG에서 기존의 USB HID를 무선으로 확장하기 위하여 제정한 표준으로 블루투스가 자체적으로 정의한 SDP(Service discovery protocol)를 통하여 서비스를 발견하며, 블루투스 데이터 전송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달한다. 데이터 전달을 위한 프로토콜은 USB의 요청(request)를 참고하여 블루투스 HID에서 자체적으로 정의하였으며, 이렇게 전달된 데이터는 기존 USB 클래스 드라이버로 전달된다.
상기의 설명과 같이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첫째, 단일한 입력 장치만을 고려하고 있어 복수의 입력 장치가 연결될 때, 동시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준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입력간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둘째, 기존 입력 장치들은 하나의 입력 장치가 정해진 타입(type)의 입력 만을 주었으나, UPnP 입력 장치(Input device)의 경우 하나의 입력 장치가 여러 타입의 입력을 보낼 수 있으며, 심지어는 입력을 받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입력 장치가 여러 개 존재할 경우, 입력 장치의 타입에 따라서 동시에 전달되는 입력을 처리하는 기준이 다를 수 있으므로 변경되는 입력 타입에 따라서 서로 다른 기준을 설정하는 방법이 제공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UPnP 입력 설정 서비스(InputConfig Service)를 내장한 복수의 입력 장치가 존재할 때 각 입력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복수의 입력의 처리방식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설정 및 변경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방식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에서 복수의 사용자의 다중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어 포인트(Control Point)가 상기 홈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전자 장치에게 입력 능력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능력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적어도 둘 이상의 전자 장치의 입력 능력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장치와 입력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장치를 결정하여 세션 설정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전달된 입력 데이터를 상기 수신 장치로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의 다중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둘 이상의 송신 장치가 송신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들을 미리 설정된 입력 모드에 따라 분류하거나 차단하는 수신 입력 처리부와, 상기 입력 신호들을 가공 및 처리하여 수신장치 자체 입력으로 변경하여 수신장치로 전달하는 수신 입력 전달부와, 상기 수신부와 수신 입력 처리부 및 수신 입력 전달부를 제어하는 입력 설정 서비스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동일한 장소에서 여러 명의 사용자가 입력 신호 송신 장치(Sender)가 되는 경우, 복수의 송신 장치의 입력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업에서 사회자는 특정한 참가자에게 입력 장치에 독점권을 부여하거나 빼앗을 수 있으며, 참가자는 독점권을 부여받고 입력 신호 수신 장치(Receiver)을 제어함으로서 편리하게 질의 응답을 수행할 수 있다.
모드를 변경함으로서 동일한 장치를 사용하여, 공공(Public)의 장치를 개인 소유 장치와 같이 사용하거나, 공공의 장치에 함께 접속하여 입력 장치를 번갈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수의 사용자가 게임을 하게 될 경우 각각의 모바일 장치에서 전달된 입력을 구분하여, 조이스틱 대신에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단일 입력을 위한 UPnP 입력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단일 입력을 위한 UPnP 입력 장치의 동작 흐름도
도 3은 종래 UPnP 입력 장치를 통해 복수의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 수신상황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입력을 위한 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복수의 입력 장치가 입력을 수행할 시 입력 상황에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본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독점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8은 상기 도 4의 다중 입력 수신장치의 상태 변화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장치 및 동작 방법을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일반적인 UPnP 입력 장치를 통해 복수의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 수신 상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PnP 입력 설정 서비스(InputConfig Service)를 내장한 복수의 입력 장치가 존재할 때 각 입력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복수의 입력의 처리 방식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설정 및 변경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입력을 위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장치(Receiver, 400)는 InputConfig Service부(401), 수신입력 전달부(402), 수신입력 처리부(403)와 수신부(404)로 구성된다. 입력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장치(Sender, 420,430)는 각각 InputConfig Service(421,432)와 송신부(422,4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nputConfig CP(410)은 Sender(420, 430)의 InputConfig Service부(421,432)와 Receiver(400)의 InputConfig Service부(402)를 연결하며 Sender(420, 430)와 Receiver(400)간의 입력 장치를 탐색, 연결 등의 제어를 담당한다. Sender(420, 430)와 Receiver(430)의 InputConfig Service부(401,421,432)는 InputConfig CP(402)의 설정에 따라 각 디바이스의 입력 장치를 설정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 및 수신되는 데이터를 제어한다.
수신입력 전달부(402)는 수신부(404)를 통하여 송신 장치(420, 430)로부터 전달된 입력을 가공 및 처리하여 수신 장치(400) 자체의 입력으로 변경하여 디바이스의 OS(Operating System)로 전달하며 수신입력 처리부(403)는 수신부(404)를 통하여 전달받은 입력을 사용자 의사 또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기본적으로 InputConfig Service(401)는 현재 다중입력 모드의 상태를 나타내는 MulipleInputStatus와 같은 상태변수를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는 ChangeMultipleInputMode()와 같은 UPnP 액션(Action)을 통하여 수신 장치(400)의 입력 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모드(Mode) 설정이 없을 경우, 수신 장치(400)는 기본적으로 Mode2의 설정을 가지게 되며, 동일 타입의 입력의 경우,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입력으로 인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수신 장치(400)에 마우스(Mouse) 역할을 하는 복수의 입력 장치가 연결될 경우에, 수신 장치(400)의 마우스 포인터(Mouse Pointer)는 각각의 입력 장치에 모두 반응하게 된다.
도 5는 복수의 입력 장치가 입력을 수행할 시 입력 상황에 나타낸 예시도이다.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을 도 5와 같이 총 3개의 모드로 나누고 있으며 각 모드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Mode 1]
Mode1은 한 입력 장치(430)의 사용자가 독점적으로 수신 장치(400)에 입력을 전달할 수 있는 모드이다. USB 마우스 또는 블루투스 키보드(Blutooth Keyboard)의 경우는 PC에 종속되어 있는 장치이다. 그러나 InputConfig Service의 목표 장치(Target device)인 모바일 기기는 수신 장치(400)에 종속되어 있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연결하거나 연결을 끊을 수 있다. 따라서 언제든지 누구나 수신 장치(400)를 마음대로 조작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현재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송신 장치(430)가 수신 장치(400)의 입력을 담당하고 있는 배타적인 장치라는 것을 CP를 사용하여 수신 장치(400)에 설정할 수 있다.
[Mode 2]
Mode2의 상태에서 수신 장치(400)는 모든 송신 장치(420, 430)의 입력을 독립적으로 처리한다. 즉 두 개의 마우스 입력이 도착할 경우, 두 입력을 모두 처리한다. 유사한 예로 PC에 두 개 이상의 마우스를 PC에 연결할 경우 PC는 각각의 마우스 입력에 대하여 각기 반응하게 된다. Mode2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HID 장치들과 동일한 UX(User experience)를 제공하며, 따라서 CP에 의한 모드변경이 없는 한 수신 장치(400)는 Mode2를 기본 모드(default Mode)로 설정한다.
[Mode 3]
Mode3 상태에서 수신 장치(400)는 모든 송신 장치(420, 430)의 입력을 구별하여 처리한다. 즉, 두 개의 조이스틱 입력이 도착할 경우 각각의 입력을 구별하여 전달한다. 두 명의 사용자가 각자의 조이스틱을 사용하여 게임을 수행할 경우 각각의 입력은 서로 구분되어야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본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610, 620단계에서 사용자는 CP(410)를 사용하여 복수의 장치에 InputSession을 설정하고 각각의 세션에 ID를 부여할 수 있다. 630단계에서 최초에 복수의 세션을 설정할 경우에는, 모드는 기본 모드인 2번 모드로 설정된다.
다음 640단계에서 이후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서 모드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CP(410)는 GetInputConnectionList() 를 사용하여, 현재 수신 장치(401)의 InputConnectionList 를 받아올 수 있다. InputConnectionList 는 현재의 모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CP(410)는 이를 확인한 후 SetMultiInputMode() 를 사용하여 신규 모드를 설정한다.
하기 표 1에 개시된 XML은 현재 수신 장치(401)가 자신과 연결된 송신 장치(421)의 정보 및 세션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상태변수 InputConnectionList  에 대한 일 실시예이다. 하기 정보를 사용하여, 제어포인트(410)는 현재의 세션정보를 확인하고 세션을 종료하거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기 세션 정보에 InputConnectionList @ multiInputMode  와 같이 현재 복수의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을 받게 될 경우 각각의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즉 모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정보에 따라서 수신 장치는 복수 입력을 처리하게 된다.
현재의 모드가 독점(Monopolized) 모드인 경우 InputConnectionList @ multiInputMode  는 1 의 값을 갖게 되고, InputConnectionList @ monopolizedDevice 는 독점권을 획득한 수신 장치의 uuid를 값으로 갖게 되고, InputConnectionList @ monopolizedSession  는 독점권을 획득한 세션의 ID를 값으로 갖게 된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InputConnectionList
   xmlns="urn:schemas-upnp-org:telephony:ics:icl"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schemaLocation="urn:schemas-upnp-org:telephony:ics:icl
   http://www.upnp.org/schemas/telephony/ics-v1-icl.xsd">
   <multiInputMode>1</multiInputMode>
   <monopolizedDevice>6E09886B-DC6E-439F-82D1-7CCAC7F4E3B4</monopolizedSession>
   <monopolizedSession>1</monopolizedSession>
   <peerDeviceList>
      <peerDevice uuid="E09886B-DC6E-439F-82D1-7CCAC7F4E3B4">
         <role>Sender</role>
         <sessionList>
            <session sessionID="1">  
               <inputType>TEXT</inputType>
               <sessionStatus>Active</sessionStatus>
               <peerSessionID>7</peerSessionID>
            </session>
         <sessionList>
      </peerDevice>
      <peerDevice uuid="E09886B-DC6E-439F-82D1-7CCAC7F4E3B5">
         <role>Receiver</role>
         <sessionList>
            <session sessionID="2">
               <inputType>coodinate</inputType>
               <sessionStatus>Idle</sessionStatus>
               <peerSessionID> </peerSessionID>
            </session>
         <sessionList>
      </peerDevice>
   </deviceList>
</InputConnectionList>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독점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모드를 설정하기까지의 동작은 상기 도 6에에서 설명한 모드 설정을 위한 동작과 유사하기 때문에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모드가 1로 설정된다 하더라도, 어떠한 장치가 독점권을 획득하고 있는지 설정해 주어야 한다. 이와 같은 일을 담당하는 것이 SetMonopolizedSender() 이다. 도 7의 770단계에서 제어포인트(410)는 SetMonopolizedSender() 를 통하여 독점권을 보유하게 될 장치의 uuid와 독점권을 보유하게 된 장치 내에서 또다시 독점권을 보유할 세션의 id를 수신 장치(401)로 전달하게 된다.
이후로는 독점적 지위를 가진 송신 장치를 제외한 입력은 수신 입력처리부(403)에서 차단하게 된다. 독점적인 지위는 해당 송신 장치가 비점유 상태가 되기 전에 타 송신 장치가 획득할 수 없으며 독점권의 해제는 송신 장치가 일정시간 동안 입력을 전달하지 않을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8은 상기 도 4의 다중 입력 수신 장치의 상태 변화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수신 장치의 기본 상태는 비점유(Release, 801)상태이며, 독점권을 소유한 송신 장치가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어 포인트가 SetMonopolizedSender() 와 같은 액션을 통하여 특정 송신 장치의 정보를 수신 장치에게 전달하여,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에게 독점권을 부여할 수 있다. 특정 송신 장치가 독점권을 소유하게 되면 수신 장치는 점유(hold, 802)상태가 되고, 타 송신 장치는 수신 장치에 접근할 수 없게 된다. 점유(802)상태에서 짧은 시간(예를 들면 15초)이 지나면 대기(Wait, 803)상태가 되며, 대기 상태에서는 타 송신 장치에게 독점권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대기 상태에서 새로운 송신 장치가 독점권을 갖거나 기존에 독점권을 가지고 있던 장치가 움직이게 되면 다시 점유(802)상태가 된다.
Mode 2의 동작은 InputConfig CP가 InputConfig Service를 가지고 있는 장치의 검색을 통하여 시작되며, 장치들은 입력 능령 매칭(Capability Matching)과정을 통하여 가능한 조합의 결과를 사용자에게 보여 준다. 사용자는 상기 결과를 참조하여 제1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를 결정한다.
Mode 3에서는 Mode 2와 마찬가지로 InputConfig CP는 InputConfig Service를 가지고 주변의 장치를 검색하며 검색된 장치들의 입력 능력 매칭(Capability Matching)과정을 통하여 가능한 조합의 결과를 사용자에게 보여 준다. 사용자는 상기 결과를 사용하여 제1 송신 장치과 수신 장치를 결정한다. 이후 입력 설정 제어 포인트(InputConfig CP)를 사용하여 제2 송신 장치를 추가하며, 수신 입력처리부에서는 제1 송신 장치와 제2 송신 장치에서 전달된 입력을 OS가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하여 수신 입력 전달부로 전달한다.

Claims (16)

  1. 복수의 사용자의 다중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어 포인트(Control Point)가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전자 장치들에게 입력 능력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전자 장치들로부터 입력 능력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전자 장치들의 입력 능력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 수신 장치와 입력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 송신 장치를 설정하여 세션 설정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각 입력 신호들을 분류 또는 차단하기 위한 다수의 처리 방식을 나타내는 입력 신호 처리 방식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 송신 장치로부터 전달된 입력 신호를 상기 입력수신 장치로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설정을 수행 시, 각 세션에 인식자(ID)를 부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 처리 방식을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입력 수신 장치가 둘 이상의 입력 송신 장치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 시, 선택된 입력 송신 장치 외의 다른 입력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는 차단하도록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 처리 방식을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입력 수신 장치가 둘 이상의 입력 송신 장치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 시, 상기 둘 이상의 입력 송신 장치가 송신한 입력 신호를 순차적으로 처리하도록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 처리 방식을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입력 수신 장치가 둘 이상의 입력 송신 장치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 시, 상기 둘 이상의 입력 송신 장치가 송신한 입력 신호를 독립적으로 처리하도록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신 장치는 상기 입력 송신 장치로부터 세션 연결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비점유(Release) 상태가 되며, 상기 입력 송신 장치로부터 세션 연결 요청에 의하여 세션 연결이 설정되는 경우 점유(Hold) 상태가 되며, 소정 시간동안 상기 세션 연결이 설정된 입력 송신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대기(Wait) 상태로 변경되며,
    상기 대기 상태에서 소정 시간동안 상기 세션 연결이 설정된 입력 송신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비점유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신 장치가 점유 상태인 경우, 상기 입력 수신 장치는 상기 세션 연결이 설정된 입력 송신 장치 외에 세션 연결이 설정된 다른 입력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입력 신호는 처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신 장치가 대기 상태인 경우, 상기 세션 연결이 설정된 입력 송신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 시, 다시 점유 상태로 변경되며, 상기 세션 연결이 설정된 입력 송신 장치 외에 세션 연결이 설정된 다른 입력 송신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를 받으면 상기 다른 입력 송신 장치에게 입력을 위한 독점권을 주며 상기 다른 입력 송신 장치에 의한 점유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9. 복수의 사용자의 다중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에 연결된 전자 장치가 제어 포인트(Control Point)로부터 입력 능력에 대한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입력 능력 정보를 상기 제어 포인트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전자 장치가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 송신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 수신 장치로 설정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각 입력 신호들을 분류 또는 차단하기 위한 다수의 처리 방식을 나타내는 입력 신호 처리 방식을 적용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 송신 장치로부터 전달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 송신 장치로부터 전달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설정된 입력 신호 처리 방식에 따라, 상기 입력 수신 장치가 둘 이상의 입력 송신 장치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 시, 선택된 입력 송신 장치 외의 다른 입력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는 차단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 송신 장치로부터 전달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설정된 입력 신호 처리 방식에 따라, 상기 입력 수신 장치가 둘 이상의 입력 송신 장치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 시, 상기 둘 이상의 입력 송신 장치가 송신한 입력 신호를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 송신 장치로부터 전달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설정된 입력 신호 처리 방식에 따라, 상기 입력 수신 장치가 둘 이상의 입력 송신 장치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 시, 상기 둘 이상의 입력 송신 장치가 송신한 입력 신호를 독립적으로 처리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13. 복수의 사용자의 다중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 송신 장치가 송신한 입력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와,
    각 입력 신호들을 분류 또는 차단하기 위한 다수의 처리 방식을 나타내는 입력 신호 처리 방식에 따라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들을 처리하는 수신 입력 처리부와,
    상기 입력 신호들을 처리하여 상기 처리된 입력 신호들을 상기 장치의 입력 신호들로 변경하는 수신 입력 전달부와,
    상기 수신부, 수신 입력 처리부 및 수신 입력 전달부를 제어하는 입력 설정 서비스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설정 서비스부는,
    상기 입력 신호 처리 방식에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 송신 장치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 시, 선택된 입력 송신 장치 외의 다른 입력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는 차단하도록 상기 수신 입력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설정 서비스부는,
    상기 입력 신호 처리 방식에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 송신 장치로부터의 입력 신호 수신 시, 수신된 입력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처리하도록 상기 수신 입력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설정 서비스부는,
    상기 입력 신호 처리 방식에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 송신 장치로부터의 입력 신호 수신 시, 각각의 수신된 입력 신호를 독립적으로 처리하도록 상기 수신 입력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KR1020100001932A 2009-10-12 2010-01-08 홈 네트워크 기반의 다중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576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80045943.6A CN102577298B (zh) 2009-10-12 2010-10-12 处理家庭网络的用户的多输入的装置和方法
EP10823593.8A EP2489166B1 (en) 2009-10-12 2010-10-12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multiple inputs of users of a home network
JP2012533095A JP5697269B2 (ja) 2009-10-12 2010-10-12 ホームネットワークベースの多重入力装置及び方法
US12/902,881 US9344293B2 (en) 2009-10-12 2010-10-12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multiple inputs of users of a home network
PCT/KR2010/006986 WO2011046354A2 (en) 2009-10-12 2010-10-12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multiple inputs of users of a home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96911 2009-10-12
KR1020090096911 2009-10-1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1931A Division KR101564517B1 (ko) 2009-10-12 2014-11-19 홈 네트워크 기반의 다중 입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618A KR20110040618A (ko) 2011-04-20
KR101576684B1 true KR101576684B1 (ko) 2015-12-11

Family

ID=4404695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1932A KR101576684B1 (ko) 2009-10-12 2010-01-08 홈 네트워크 기반의 다중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20140161931A KR101564517B1 (ko) 2009-10-12 2014-11-19 홈 네트워크 기반의 다중 입력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1931A KR101564517B1 (ko) 2009-10-12 2014-11-19 홈 네트워크 기반의 다중 입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44293B2 (ko)
EP (1) EP2489166B1 (ko)
JP (1) JP5697269B2 (ko)
KR (2) KR101576684B1 (ko)
CN (1) CN102577298B (ko)
WO (1) WO201104635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9620A1 (en) * 2010-12-14 2012-06-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client and a method in a client in a communication network for providing a ser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28048A1 (en) 2003-03-14 2005-06-16 Openpeak Inc.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etup of multi-device control
US20070143489A1 (en) 2005-12-20 2007-06-21 Pantalone Brett A Communication network device for universal plug and play and Internet multimedia subsystems networks
US20070203979A1 (en) 2006-02-14 2007-08-30 Walker Mark R Home communications serv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7131B1 (ko) * 1998-12-03 2001-01-15 윤종용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호장애시호자동재접속방법
JP3757669B2 (ja) 1999-03-19 2006-03-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分散システムの設定方法
AU2001261374A1 (en) * 2000-05-09 2001-11-20 Sun Microsystems, Inc. Message authentication using message gates in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JP4618882B2 (ja) * 2000-08-23 2011-01-26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
GB0223576D0 (en) * 2002-10-11 2002-11-20 Telsis Holdings Ltd Telecommunications services apparatus
SE526049C2 (sv) * 2003-01-17 2005-06-21 Arash Rouhi Digitala nätverk för användning i ett hushåll eller kontor, som tillhandahåller sammankoppling mellan utrustningar i hemmet eller kontoret
KR20050033985A (ko) 2003-10-07 2005-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KR100651729B1 (ko) * 2003-11-14 2006-12-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멀티-모달 상황 인식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060112139A (ko) 2005-04-26 2006-10-31 주식회사 팬택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JP5504547B2 (ja) * 2005-10-31 2014-05-2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出力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273693B1 (ko) 2006-09-04 2013-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디바이스 제어방법 및 장치
WO2008041605A1 (fr) * 2006-09-29 2008-04-1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Appareil de projection, support d'enregistrement comportant un programme enregistré en lui, procédé de projection et système de projection
JP2008090563A (ja) * 2006-09-29 2008-04-17 Brother Ind Ltd 投影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28048A1 (en) 2003-03-14 2005-06-16 Openpeak Inc.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etup of multi-device control
US20070143489A1 (en) 2005-12-20 2007-06-21 Pantalone Brett A Communication network device for universal plug and play and Internet multimedia subsystems networks
US20070203979A1 (en) 2006-02-14 2007-08-30 Walker Mark R Home communications ser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89166A2 (en) 2012-08-22
CN102577298A (zh) 2012-07-11
US9344293B2 (en) 2016-05-17
EP2489166A4 (en) 2015-11-11
WO2011046354A3 (en) 2011-09-09
WO2011046354A2 (en) 2011-04-21
CN102577298B (zh) 2015-11-25
JP2013506930A (ja) 2013-02-28
KR20140144324A (ko) 2014-12-18
US20110087788A1 (en) 2011-04-14
KR101564517B1 (ko) 2015-10-29
EP2489166B1 (en) 2019-03-13
KR20110040618A (ko) 2011-04-20
JP5697269B2 (ja) 201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71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ser input from a sink device to a source device in a Wi-Fi direct communication system
EP2547044B1 (en)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prioritizing a discovered device list
KR101003295B1 (ko) 범용직렬버스 연결
CN101771707B (zh) 实现终端间资源共享的方法、资源处理系统及终端
CN110012328B (zh) 一种与智能电视交互的方法及装置
EP2707804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data of peripheral device in portable terminal
WO2011037400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able remote user interface page
WO201105603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input type in input system using universal plug and play
US201001461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remote apparatus
US89285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device based on intuitive selection
JPWO2008126323A1 (ja) 遠隔制御システム及び遠隔制御システムの制御方法
CN113590567A (zh) 会议资料分享方法与会议资料分享系统
KR20070016622A (ko) 무선usb 장치간의 접속시스템 및 방법
CN115209962A (zh) 在设备之间转移用于游戏会话的控制元素
WO2015133818A1 (ko) 통신 시스템에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4320741A (ja) 個別に独立して存在するネットワークを接続する装置及び方法
KR101564517B1 (ko) 홈 네트워크 기반의 다중 입력 장치 및 방법
WO2008065740A1 (fr) Système d&#39;interface de dispositifs de communication
EP266613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vertisement service
WO2020105895A1 (ko) 무선 인터컴 시스템 및 무선 인터컴 시스템의 그룹 페어링 방법
KR102026709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기
CN111800890A (zh) 一种处理方法及输入设备
US20050278450A1 (en) Wireless proximity area network connectivity platform
CN117460097A (zh) 电子装置、通信控制方法及通信控制系统
WO2014133228A1 (ko)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119

Effective date: 2015092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