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3985A - 홈 네트워크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3985A
KR20050033985A KR1020030069726A KR20030069726A KR20050033985A KR 20050033985 A KR20050033985 A KR 20050033985A KR 1020030069726 A KR1020030069726 A KR 1020030069726A KR 20030069726 A KR20030069726 A KR 20030069726A KR 20050033985 A KR20050033985 A KR 20050033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arget device
communication medium
home network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9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창기
김형찬
안세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9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3985A/ko
Publication of KR20050033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398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랜 카드를 채용한 리모콘과 같은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기(가전기기)들에 대한 모드 단위 제어 및 개별 단위 제어를 가능하게 하고, 모드 단위 제어 환경을 서버의 화면(사용자 인터페이스)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편집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서버 및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서버는,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모드 단위로 적어도 하나의 대상 기기 정보 및 상기 대상 기기 별 동작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제 1 통신 매체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선택된 모드에 대응되는 대상 기기 정보 및 상기 대상 기기별 동작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대상 기기 정보 및 동작 정보를 토대로 제 2 통신 매체를 통해 해당되는 대상 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홈 네트워크 제어를 단축된 제어 과정으로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홈 네트워크 서버 및 그 제어 방법{Home network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드 단위 또는 기기 단위로 제어가 가능한 홈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서버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이 발전하면서 가정에 있는 가전기기간에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통합 관리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련된 기술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홈 네트워크는 전화선, 전력선, 케이블 등의 유선 통신 매체와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랜(LAN) 등의 무선 통신 매체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통합 관리는 기기 단위로 수행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모드 단위로 홈 네트워크 환경을 제어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서버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무선 랜 카드를 채용한 리모콘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를 모드 단위 또는 기기 단위로 제어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서버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제어 환경에서 모드 단위와 기기 단위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서버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모드 단위로 적어도 하나의 대상 기기 정보 및 상기 대상 기기 별 동작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제 1 통신 매체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선택된 모드에 대응되는 대상 기기 정보 및 상기 대상 기기별 동작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대상 기기 정보 및 동작 정보를 토대로 제 2 통신 매체를 통해 해당되는 대상 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서버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모드 단위로 적어도 하나의 대상 기기 정보 및 상기 대상 기기별 동작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제 1 통신 매체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 정보가 수신되면,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선택된 모드에 대응되는 대상 기기 정보 및 대상 기기별 동작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대상 기기 정보와 대상 기기별 동작 정보를 토대로 제 2 통신 매체를 통해 해당되는 대상 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서버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서버에 의해 운영되는 홈 네트워크의 일 실시 예이다. 도 1에 도시된 홈 네트워크는 제어 장치(100), AP(Access Point, 이하 AP라고 약함)(110), 이더넷(Ethernet)(120), 홈 네트워크 서버(130), 제 1 내지 제 n 기기(140_1∼140_n)로 구성된다.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가 원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명령을 입력한다. 제어 장치(100)는 모드 단위 또는 기기 단위로 홈 네트워크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가 제어한 대상 기기의 동작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 장치(100)는 전화기, 키보드, 또는 기존의 홈 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홈패드(Homepad) 또는 월패드(Wallpad) 또는 무선 랜 리모콘(LAN REMOCON)을 사용할 수 있다.
무선 랜 리모콘은 기존의 가전 제품 제어용 리모콘에 무선 랜과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된 것이다. 따라서 무선 랜 리모콘은 IEEE 802.11b 또는 IEEE802.11a 또는 IEEE802.11g 카드를 장착하여 이더넷(IEEE 802.3)에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장치(100)가 무선 랜 리모콘인 경우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랜 리모콘(200)은 표시부(210), 모드 제어 키 군(220), 개별 기기 제어키 군(230) 및 기능 제어 키 군(240)으로 구성된다.
표시부(210)는 모드 단위 또는 기기 단위 제어 결과를 표시한다. 표시부(210)는 램프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210)의 동작은 무선 랜 리모콘(200)내의 제어기(미 도시됨)에 의해 제어된다. 즉, 사용자에 의해 모드 단위 또는 기기 단위 제어 후, AP(11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토대로 무선 랜 리모콘(200)내의 상기 제어기(미 도시됨)는 모드 단위 또는 기기 단위 제어 결과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부(210)를 제어한다.
또한, 표시부(210)는 제어 장치(100)와 AP(110)간의 접속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접속상태에 대한 표시 동작 역시 상기 무선 랜 리모콘(200)내의 제어기(미 도시됨)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제어기(미 도시됨)는 무선 랜 리모콘(200)과 AP(110)간에 정해진 통신 규약에 따른 커넥션(connection) 동작 수행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접속상태 표시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 장치(100)와 AP(110)간의 통신 매체는 무선 이더넷일 수 있다.
만약 제어장치(100)와 AP(110)간의 통신 매체가 이더넷(120)과 동일한 통신 매체이면, 제어장치(100)는 이더넷(120)에 직접 접속되어 이더넷(120)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모든 장치들(예를 들어 홈 네트워크 서버, 게이트웨이)에 대한 접속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모드 제어키 군(220)은 각 키당 설정된 모드로 홈 네트워크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번 키는 귀가 모드로, "2"번 키는 AV(Audio Video)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 모드, "3"번 키는 극장 모드, "4"번 키는 취침 모드, "5"번 키는 외출 모드 등으로 설정되었을 때, 사용자는 모드 제어키 군(220)에 포함되어 있는 1번 키를 제어하여 홈 네트워크를 귀가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모드 제어키 군(220)에 포함되어 있는 4번 키를 제어하면, 홈 네트워크는 취침 모드로 제어된다.
개별 기기 제어키 군(230)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대상 기기(또는 가전 기기 또는 제품)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원할 경우에, 제어되는 키들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TV, DVD, 에어컨, 커피 메이커, 전등, 컴퓨터, 세탁기, 내장고, 가스 밸브, 가습기 등의 가전 기기에 대해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원할 경우에 사용되는 키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개별 기기 제어키 군(230)에서 "TV"로 표시된 키를 제어하면,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TV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개별 기기 제어키 군(230)을 모드 제어키 군(220)과 차별화하기 위하여 각 버튼에 제어를 원하는 대상 기기명이 기재되어 있으나 모드 제어키 군(220)에서와 같이 개별 기기 제어키 군(230)내의 각 키에 번호가 기재되고, 각 번호별로 대응되는 기기를 홈 네트워크 서버(130)에서 관리하는 구조로 운영될 수 있다.
기능 키 제어군(240)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기기중 현재 제어 대상으로 설정된 기기의 기능을 세부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키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기능 키 제어군(240)은 온/오프/Play/VOL/CH/Lock 등의 기능 키를 포함한다.
AP(110)는 가정내에 설치된 AP로서, 가정내의 이더넷(102)을 통해 제어 장치(100)와 홈 네트워크 서버(130)간을 연결시켜 주는 장치이다.
이더넷(120)은 AP(110)와 홈 네트워크 서버(130)간을 연결시키는 네트워크이다. 그러나 제어 장치(100)와 AP(110)간의 통신 매체 또는 홈 네트워크 서버(130)와 제 1 기기 내지 제 n 기기(140_1∼140_n)간의 통신 매체가 이더넷(120)과 동일한 매체인 경우에 이더넷(120)은 제어 장치(100)와 AP(110)간 또는 홈 네트워크 서버(130)와 제 1 기기 내지 제 n 기기(140_1∼140_n)간을 연결시키는 네트워크이 될 수 있다.
홈 네트워크 서버(130)는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모드 단위 또는 기기 단위의 대상 기기 정보 및 대상 기기별 동작 정보를 토대로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홈 네트워크 서버(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 제어부(320), 메모리(330), 이더넷 인터페이스부(340), 게이트웨이(350)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는 상기 메모리(330)에 모드 단위 또는 개별 기기 단위로 저장되는 대상 기기 정보 및 대상 기기의 동작 정보를 편집할 수 있도록 사용자와 제어부(320)간을 인터페이스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메모리(330)에 모드 단위 또는 개별 기기 단위로 저장되어 있는 대상 기기 정보 및 대상 기기의 동작 정보를 수정하거나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는 제어 장치(100)에서 이용할 키를 어드레스로 하여 메모리(330)에 저장된 모드 단위 또는 개별 기기단위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포맷을 갖는다. 예를 들어, 무선 랜 리모콘(200)의 모드 제어키 군(220)의 1번 키가 제어되면, 메모리(330)에 저장된 모드 단위 정보중에서 "귀가 모드"에 대응되는 대상 기기 및 대상 기기별 동작 정보가 검색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의 포맷은 설정된다.
제어부(3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모드 단위 또는 개별 기기단위의 대상 기기 정보 및 대상 기기의 동작정보가 입력되면, 메모리(330)에 저장한다.
메모리(330)는 모드 단위 또는 기기 단위로 대상 기기 정보 및 대상 기기의 동작 정보를 저장한다.
모드 단위로 저장되는 대상 기기 정보는 복수개의 대상 기기를 지정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귀가 모드인 경우에 TV, 세탁기, 가습기 및 커피 메이커가 대상 기기로 지정될 수 있도록 대상 기기 정보가 저장되고, 각 대상 기기의 전원을 온시킬 수 있는 정보가 각 대상 기기별 동작 정보로 저장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극장모드인 경우에 TV, DVD, 전등, 및 커튼이 대상 기기로 지정될 수 있도록 대상 기기 정보가 저장되고, TV와 DVD는 전원을 온시키고 전등은 전원을 오프시키고 커튼은 닫힘(close)이 각 대상 기기별 동작 정보로 저장될 수 있다.
또, 기기 단위로 저장되는 정보는 개별 기기 제어키 군(230)의 1번 키에 대응되는 대상 기기를 TV로 저장하고 동작 정보는 전원 온으로 저장할 수 있고, 개별 기기 제어키 군(230)의 2번 키에 대응되는 대상 기기는 거실 전등으로 저장하고, 동작 정보는 전원 오프로 저장할 수 있다. 또, 개별 기기 제어키 군(230)의 3번 키에 대응되는 대상 기기를 컴퓨터로 저장하고, 동작 정보는 볼륨 업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모드 단위 또는 기기 단위의 대상 기기 정보 및 대상 기기의 동작 정보가 메모리(330)에 저장된 후, 이더넷 인터페이스부(34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320)는 수신된 모드 정보를 이용하여 메모리(33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참조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어 장치(100)를 통해 선택한 모드에 대응되는 대상 기기 정보 및 대상 기기별 동작 정보가 검출된다. 제어부(320)는 검출된 대상 기기 정보 및 동작 정보를 토대로 해당되는 대상 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게이트웨이(350)로 출력한다.
또한, 이더넷 인터페이스부(340)로부터 임의의 기기에 대한 제어 요구가 수신되면, 제어부(320)는 메모리(33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임의의 기기에 대응되는 대상 기기 정보와 동작 정보를 검출한다. 그리고 제어부(320)는 검출된 대상 기기 정보와 동작 정보를 토대로 대상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게이트웨이(350)로 출력한다.
게이트웨이(350)로부터 해당되는 대상 기기의 동작 제어 결과가 수신되면, 제어부(320)는 이더넷 인터페이스부(340)로 대상 기기의 동작 제어 결과를 송출한다.
이더넷 인터페이스부(340)는 이더넷(12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이더넷(120)과 제어부(320)간을 인터페이스 한다.
게이트웨이(350)는 제어부(320)로부터 대상 기기의 동작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제 1 기기 내지 제 n 기기(140_1∼140_n)중에서 해당되는 기기로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대상 기기가 복수개인 경우에 게이트웨이(350)는 순차적으로 해당되는 기기로 제어신호를 제공한다. 게이트웨이(305)와 제 1 기기 내지 제 n 기기(140_1∼140_n)는 전력선 통신(PLC) 또는 이더넷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서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홈 네트워크 제어 환경 정의 과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제 400 단계에서 메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메뉴는 홈 네트워크 제어 환경을 정의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즉, 사용자가 도 3의 메모리(330)에 원하는 모드 단위 또는 원하는 기기 단위로 원하는 대상 기기 정보 및 원하는 동작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모드 단위 또는 기기 단위에 대한 정보를 제어 장치(100)에 구비되어 있는 원하는 기능 키들과 연결시켜 홈 네트워크 제어 환경을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정의할 수 있는 메뉴가 제공된다.
제 401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모드단위 지정이 요구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 402 단계에서 대상 모드를 제어 장치(100)에서 사용될 키와 연결시켜 지정하고, 제 403 단계에서 지정된 모드에 대응되는 기기 및 동작을 지정하고, 제 404 단계에서 지정된 기기 및 동작 정보를 메모리(330)에 저장한다.
제 411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개별 기기의 지정이 요구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 412 단계에서 제어 장치(100)에서 사용될 키와 연결시켜 대상 기기와 동작을 지정하고, 제 413 단계에서 지정된 대상 기기와 동작 정보를 메모리(330)에 저장한다.
제 421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모드 단위의 대상기기 추가 또는 삭제 또는 수정이 요구되면, 제 422 단계에서 해당 모드와 추가 또는 삭제 또는 수정을 원하는 대상 기기를 지정하고, 제 423 단계에서 지정된 모드의 지정된 대상 기기를 홈 네트워크 제어 환경에서 추가 또는 삭제 또는 수정한다. 이 때, 대상 기기의 동작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제 431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개별 기기 추가 또는 삭제 또는 수정이 요구되면, 제 432 단계에서 추가 또는 삭제 또는 수정을 원하는 대상기기를 지정하고, 제 433 단계에서 지정된 대상 기기를 홈 네트워크 제어 환경에서 추가 또는 삭제 또는 수정한다. 이 때, 대상 기기의 동작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서버의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 도이다.
제 501 단계에서 이더넷(120)과 같은 통신 매체를 통해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 502 단계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제 503 단계에서 수신된 데이터가 임의의 모드 단위 제어로 판단되면, 제 504 단계에서 사전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임의의 모드 단위 제어에 포함되는 대상 기기 및 동작 정보를 검출한다.
제 505 단계에서 검출된 대상 기기 및 동작 정보를 토대로 게이트웨이를 통해 해당되는 대상 기기들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제어한다. 이 때, 게이트웨이와 대상 기기간의 통신매체는 이더넷(120)이거나 전력선 통신 매체일 수 있다. 제 506 단계에서 게이트웨이를 통해 각 대상기기들로부터 동작 결과를 수신하고, 제 507 단계에서 수신된 각 대상 기기들의 동작 결과를 제어장치(100)로 송출하여 사용자에게 대상 기기의 동작 결과를 통보한다.
제 503 단계에서 수신된 데이터가 임의의 모드 단위 제어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제 508 단계에서 사전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제어가 요구된 개별 기기 및 동작 정보를 검출하고, 제 509 단계에서 게이트웨이를 통해 해당되는 대상기기의 동작을 제어한 뒤, 제 506 단계로 진행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서버에 의해 운영되는 홈 네트워크의 다른 실시 예이다. 도 6은 도 1과 거의 동일하고, 게이트웨이의 위치가 상이하다. 즉, 도 1의 경우에는 게이트웨이가 홈 네트워크 서버(130)에 포함된 홈 네트워크 예이나 도 6은 게이트웨이(640)가 홈 네트워크 서버(630)의 외부에 구비되고, 이더넷(620)을 통해 홈 네트워크 서버(630)와 연결된 경우이다.
이에 따라 도 1의 홈 네트워크 서버(130)는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신호와 제어 결과를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게이트웨이(350)를 통해 전송하나, 도 6의 홈 네트워크 서버(630)는 이더넷(620)을 통해 게이트웨이(640)와 통신하여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신호와 제어결과를 송수신한다. 따라서, 도 6의 홈 네트워크 서버(630)는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신호와 제어 결과를 홈 네트워크 서버(630)내에 구비되어 있는 이더넷 인터페이스부(미 도시됨)를 통해 송출하고, 수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제어 환경에서 홈 네트워크를 모드 단위 또는 기기 단위로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홈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드 단위로 홈 네트워크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는 여러 차례 제어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단축된 제어과정으로 복수의 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무선 랜(LAN) 리모콘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어 기존의 홈패드(Homepad) 또는 월패드(Wallpad) 보다 간편한 제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청구범위로 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서버에 의해 운영되는 홈 네트워크의 일 실시 예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장치의 일 예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서버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서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홈 네트워크 제어 환경 정의 과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서버의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서버에 의해 운영되는 홈 네트워크의 다른 실시 예이다.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통신 매체로 구성된 홈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모드 단위로 적어도 하나의 대상 기기 정보 및 상기 대상 기기 별 동작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제 1 통신 매체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선택된 모드에 대응되는 대상 기기 정보 및 상기 대상 기기별 동작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대상 기기 정보 및 동작 정보를 토대로 제 2 통신 매체를 통해 해당되는 대상 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기기 단위의 동작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통신 매체를 통해 임의의 기기에 대한 제어 요구가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임의의 기기에 대응되는 대상 기기 정보와 동작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대상 기기 정보와 동작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 2 통신 매체를 통해 해당되는 대상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서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통신 매체를 통해 상기 대상 기기의 동작 제어결과가 수신되면, 상기 제 1 통신 매체를 통해 사용자에게 동작 제어 결과를 통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서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대상 기기의 동작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 2 통신 매체를 통해 상기 해당되는 대상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 2 통신 매체를 통해 상기 해당되는 대상 기기의 동작 제어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게이트웨이를 더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서버.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모드 단위 또는 기기 단위의 대상 기기 정보 및 대상 기기별 동작 정보를 편집하기 위하여 사용자와 상기 제어부간을 인터페이스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서버.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매체와 상기 제 2 통신 매체는 동일한 통신 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서버.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매체와 상기 제 2 통신 매체는 서로 상이한 통신 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서버.
  8. 적어도 하나의 통신 매체로 구성된 홈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모드 단위로 적어도 하나의 대상 기기 정보 및 상기 대상 기기별 동작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제 1 통신 매체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 정보가 수신되면,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선택된 모드에 대응되는 대상 기기 정보 및 대상 기기별 동작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대상 기기 정보와 대상 기기별 동작 정보를 토대로 제 2 통신 매체를 통해 해당되는 대상 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서버의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기기 단위의 동작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통신 매체를 통해 임의의 기기에 대한 제어 요구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된 기기 단위의 동작 정보를 참조하여 대상 기기 정보와 동작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대상 기기 정보와 동작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 2 통신 매체를 통해 해당되는 대상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서버의 제어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의 제어 방법은,
    상기 대상 기기의 동작 제어 결과를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서버의 제어 방법.
KR1020030069726A 2003-10-07 2003-10-07 홈 네트워크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KR200500339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726A KR20050033985A (ko) 2003-10-07 2003-10-07 홈 네트워크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726A KR20050033985A (ko) 2003-10-07 2003-10-07 홈 네트워크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3985A true KR20050033985A (ko) 2005-04-14

Family

ID=37237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9726A KR20050033985A (ko) 2003-10-07 2003-10-07 홈 네트워크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398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609B1 (ko) * 2005-12-01 2007-03-22 대림산업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을 내장한 월패드
WO2011046354A3 (en) * 2009-10-12 2011-09-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multiple inputs of users of a home network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609B1 (ko) * 2005-12-01 2007-03-22 대림산업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을 내장한 월패드
WO2011046354A3 (en) * 2009-10-12 2011-09-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multiple inputs of users of a home network
US9344293B2 (en) 2009-10-12 2016-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multiple inputs of users of a home networ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0335B2 (en) Network-based access and control of home automation systems
JP5557798B2 (ja) マルチデバイスコントロール用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EP2151723B1 (en)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s in a networked environment
US9105180B2 (en) Touch-sensitive wireless device and on screen display for remotely controlling a system
EP1851596B1 (en) Home appliance identification and control in a networked environment
EP2188796B1 (en) Web browser based remote control for programmable multimedia controller
US20090161579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network capable input devices
US6998955B2 (en) Virtual electronic remote control device
JP2002171205A (ja) 電力線搬送用端末のシステム設定方法及び電力線搬送用端末設定装置
US20190004677A1 (en) Small screen virtual room-based user interface
US20010029532A1 (en) Gateway apparatus
US20040181292A1 (en) Multipurpose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2290606A (ja)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における接続機器の選択方法
CN100480962C (zh) 用于多设备控制的用户界面
EP3679464B1 (en) Small screen virtual room-based user interface
JP2002291039A (ja)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における接続機器の選択方法
US20060004939A1 (en) Mechanism to control infrared devices via a universal plug and play device network
KR20050033985A (ko) 홈 네트워크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JP2006295390A (ja) 制御機器および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714794B1 (ko) Dlna를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단말을 이용한 홈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84631A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090020164A (ko) 사용자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기능을 갖는홈네트워크 시스템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JP2005026879A (ja) 通信装置、および電気器具
EP2198566B1 (en) Expandable multimedia control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