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0164A - 사용자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기능을 갖는홈네트워크 시스템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기능을 갖는홈네트워크 시스템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0164A
KR20090020164A KR1020070084666A KR20070084666A KR20090020164A KR 20090020164 A KR20090020164 A KR 20090020164A KR 1020070084666 A KR1020070084666 A KR 1020070084666A KR 20070084666 A KR20070084666 A KR 20070084666A KR 20090020164 A KR20090020164 A KR 20090020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terface
graphical user
information
electronic devices
hom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4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충호
서시오
김세진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84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0164A/ko
Publication of KR20090020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01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기능을 갖는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된 사용자의 연령, 접근권한과 같은 사용자의 특성에 맞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기능을 갖는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홈네트워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Description

사용자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기능을 갖는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Home Network System With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According To User And Method Of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In Home Network System}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특성에 맞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기능을 갖는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홈네트워크란, 가정내 정보 가전 제품과 같은 전자 기기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기술을 말한다. 홈네트워크는 댁내의 정보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관리, 통합 및 연동을 바탕으로 인터넷과 결합하여 생활의 편리함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술의 집합체이다. 이와 같은 홈네트워크는 그 기술적인 계층에 따라 물리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하부 네트워크 기술과 상위 응용과의 연동을 위한 미들웨어 기술과 각각의 가전기기에 적용되는 정보가전 기술로 나누어진다.
따라서 홈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홈네트워크 기술, 액세스망 기술, 콘텐츠 및 솔루션 기술이 필요하다. 홈네트워크 기술에는 전력선 통신, 전화선 통신, LAN, IEEE1394, 무선랜 등의 유무선 네트워크 기술,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을 지원하는 HAVi, JiNi, UPnP 등의 미들웨어 기술이 있다. 또한 외부 액세스망에 대해 망 종결과 모뎀 기능을 제공하고, 홈네트워크를 연결하여 망간 연동 기능을 제공하는 가정용 게이트웨이인 홈게이트웨이 기술과, 원격에서 다중의 서비스들을 액세스망을 거쳐 홈네트워크에 접속된 정보가전기기에 전달하고 관리하는 서비스 플랫폼 기술이 포함된다.
홈네트워크 구축 대상은 아날로그 형이 아닌 디지털 기기로서, 인터넷에 연결되어 작동 가능한 냉장고, 세탁기, 디지털TV, 디지털 캠코더, 카메라, 컴퓨터, 에어콘 등이 모두 가능하다.
홈네트워크에 적용되는 통신 방식으로는, 유선 통신 및 무선 통신 모두 활용될 수 있다. 최근 집중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무선 통신 기술로는, RF(Radio Frequency)를 이용하는 홈(Home) RF,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LAN, 적외선을 이용하는 IrDA 등이 있다.
홈네트워크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기반이 사설망(Private Network)으로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가정 내에서 사용되는 모든 형태의 가전기기들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통제한다.
홈네트워크에서 홈게이트웨이(또는 홈서버)와 다양한 전자 기기들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미들웨어로, 전술한 바와 같이, HAVI(Home AV Interoperability), UPnP(Universal Plug and Play), JINI, HWW(Home Wide Web) 등이 있다. 홈네트워크용 미들웨어는, 홈게이트웨이에 탑재되어 유무선 홈네트워킹 환경에서 다양한 기기를 제어하고 상호 정보교환을 보장하는 일종의 소프트웨어로서, 사용자가 H/W 및 O/S에 무관하게 일관성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도록 API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댁내의 전자기기 제어와 같은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가 제공된다. 종래의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제공되는 GUI는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를 고려하지 않은 단일 GUI이다. 홈 내에는 다양한 계층의 사용자들이 존재할 수 있는데, 단일 GUI만을 제공한다면 다양한 계층의 사용자들로서는 홈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에 많은 불편을 느끼거나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홈네트워크 서비스는 한번 구축하며 오랜 기간 사용하게 되는 서비스인데, 종래와 같이 단일 GUI만이 제공된다면 사용자는 GUI에 대해 쉽게 지루함을 느끼게 되고, 많은 노력과 비용이 투입되어 구축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이용률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최근의 추세와 요청에 따라 제안된 것으로서,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다양한 사용자에게 맞춤형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기능을 갖는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단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벗어나 사용자 맞춤형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이용하게 하는, 사용자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기능을 갖는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 맞춤형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홈네트워크 서비스 이용률을 높일 수 있는 사용자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기능을 갖는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다수의 전자 기기들과, 상기 전자 기기들의 동작 및 상기 전자 기기들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제어하 고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의 생성에 관한 정책 정보를 저장하는 홈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생성에 관한 정책 정보에 따라, 상기 접속된 사용자에 대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된 사용자에 관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접속된 사용자에 관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접속된 사용자에 관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접속된 사용자에 관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들의 상태를 나타내는 기기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기기 상태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접속된 사용자로부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받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 정보는,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색상(color),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공되는 폰트의 종류, 상기 폰트의 크기, 메뉴가 표시되는 위치,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의 화면 배치 및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각종 정보의 표시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생성에 관한 정책 정보는, 사용자의 연령에 기초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도록 하는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된 사용자의 연령에 따라,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공되는 폰트의 크기와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의 화면 배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생성에 관한 정책 정보는,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들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권한에 기초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도록 하는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들 중 상기 접속된 사용자의 접근이 허용되는 전자 기기들에 관한 정보만을 제공하도록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 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들 중 상기 접속된 사용자의 접근이 허용되는 전자 기기들에 관한 정보와 상기 접속된 사용자의 접근이 허용되지 않는 전자 기기들에 관한 정보를 구분하여 제공하도록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기능을 갖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사용자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기능을 갖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전자 기기들; 및 상기 전자 기기들의 동작 및 상기 전자 기기들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제어하고 사용자에게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는 홈게이트웨이를 포함하고, 상기 홈게이트웨이는,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생성에 관한 정책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특정 사용자가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한 경우,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생성에 관한 정책 정보에 따라 상기 접속된 특정 사용자에 대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GUI 생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GUI 생성부는,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들의 상태를 반영하여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생성에 관한 정책 정보는, 사용자의 연령에 기초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도록 하는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GUI 생성부는, 상기 접속된 사용자의 연령에 따라, 상기 그래픽 사용 자 인터페이스에 제공되는 폰트의 크기와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의 화면 배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생성에 관한 정책 정보는,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들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권한에 기초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도록 하는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GUI 생성부는,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들 중 상기 접속된 사용자의 접근이 허용되는 전자 기기들에 관한 정보만을 제공하도록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GUI 생성부는,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들 중 상기 접속된 사용자의 접근이 허용되는 전자 기기들에 관한 정보와 상기 접속된 사용자의 접근이 허용되지 않는 전자 기기들에 관한 정보를 구분하여 제공하도록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기능을 갖는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다양한 사용자에게 맞춤형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단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벗어나 사용자 맞춤형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이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이용하게 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맞춤형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홈네트워크 서비스 이용률과 사용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외부 제어 기기(110), 내부 제어 기기(140), 다수의 전자 기기들(170), 보안정책 관리자 단말기(200) 및 홈게이트웨이(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제어 기기(110)는, 가정의 외부에서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들(170)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들이다. 상기 외부 제어 기기(110)의 예를 들면, 휴대폰(111) 또는 PC(Personal Computer, 112)가 있다. 상기 외부 제어 기기(110)는, 전화망(120)이나 인터넷(130)을 통해 상기 홈게이트웨이(300)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제어 기기(110)는,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들(17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홈게이트웨이(300)로 전송한다.
상기 내부 제어 기기(140)는, 가정의 내부에서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들(170)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들이다. 상기 내부 제어 기기(140)의 예를 들면, 리모콘(141) 또는 월패드(Wall Pad, 142) 또는 PC(143)가 있다. 상기 내부 제어 기기(140)는,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들(17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홈게이트웨이(300)로 전송한다.
상기 보안정책 관리자 단말기(200)는, 보안정책 관리자가 로그인하여 상기 홈네트워크의 보안정책을 생성, 수정, 삭제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홈게이트웨이(300)는, 가정 내의 전자 기기들 및 통신 장치들 사이에 정보를 공유 및 제어하고, 외부망과 내부망을 분리하며, 내부와 외부망 사이의 서비스를 가능케 하는 네트워크 및 서비스 제공 장치이다. 즉 상기 홈게이트웨이(300)는, 내·외부망 인터페이스, 네트워킹 기능, 보안 기능, 댁내장치들 간의 연동 및 서비스 제공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홈게이트웨이(300)는, 제한된 공개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구비하여 사설 IP 주소를 갖는 홈네트워크에 포함된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들(170)이 외부에서 입력되는 제어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입력되는 제어명령 신호를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들(170)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휴대폰(111) 또는 PC(112)를 통해 제어명령 신호를 수신한 홈게이트웨이(300)는, 상기 수신된 제어명령 신호로부터 상기 제어명령을 전송한 사용 자 및 상기 제어명령의 종류를 검출하여, 보안정책 관리자에 의해 기 설정된 보안정책과 비교한다. 상기 홈게이트웨이(300)는, 상기 설정된 보안정책과 매칭되는 사용자 및 제어명령에 대해서는, 해당 전자 기기로의 접근을 수락하며, 해당 전자 기기로의 접근이 제한된 사용자 또는 명령에 대해서는 접근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홈게이트웨이(300)는,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들(170)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들(170)은, 일반 가정에서 구비하고 있는 보일러(171), 거실등(172), 도어락(173), 가스밸브(174) 및 방범장치(17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들(170)은,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세탁기, 전기오븐, 기타 일반 가정에 구비될 수 있는 모든 전자 기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게이트웨이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게이트웨이(300)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홈게이트웨이(300)는, 보안정책 및 인증 에이전트(305), 전자기기 제어 에이전트(310), 전자기기 상태 데이터베이스(315),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20), 접근제어 정책 데이터베이스(325), GUI(Graphic User Interface;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책 데이터베이스(330) 및 GUI 생성 모듈(3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안정책 및 인증 에이전트(305)는, 보안정책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보안정책을 생성, 수정, 삭제 및 관리하기 위해 상기 보안정책 관리자 단말기(200)로 부터 전송되는 보안정책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접근제어 정책 데이터베이스(325)에 저장된 보안정책을 상기 보안정책 관리자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안정책 및 인증 에이전트(305)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이하 "GUI"라고 함)를 통해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들(170)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를 인증한다.
또한 상기 보안정책 및 인증 에이전트(305)는, 상기 GUI를 통해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들(170)을 제어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상기 접근제어 정책 데이터베이스(325)에 저장된 보안정책을 참고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상기 전자 기기(170)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며, 상기 전자 기기(17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 신호를 상기 전자기기 제어 에이전트(320)로 전송한다.
상기 전자기기 제어 에이전트(310)는, 상기 보안정책 및 인증 에이전트(305)로부터 수신한 전자기기 제어명령을 상기 홈게이트웨이(300)와 분리된 전자기기 제어 인터페이스 및 디스플레이어(400)로 전송하고, 대응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전자기기 상태 데이터베이스(315)는,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들(17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한다. 상기 상태 정보의 예를 들면, 특정 전자 기기의 온/오프(ON/OFF) 유무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기기 상태 데이터베이스(315)는, 상기 방범장치(175)가 현재 켜져 있는지 꺼져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 상태 데이터베이스(315)는,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들(170)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상기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20)는,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하는 각 사용자에 관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사용자 정보의 예를 들면, 아이디(ID), 비밀번호(Password), 이름, 생일, 성별, 이메일(E-Mail) 주소, 전화번호 및 나이가 있다.
상기 접근제어 정책 데이터베이스(325)는, 상기 홈게이트웨이(300) 내부에 파일로 존재하는 보안정책으로서 사용자들의 상기 다수의 전자기기들(170)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기 위한 정책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GUI 정책 데이터베이스(3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UI의 생성에 관한 정책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GUI의 생성에 관한 정책 정보는,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마다 서로 다른 GUI를 생성하여 제공하기 위한 정책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GUI의 생성에 관한 정책 정보는, 사용자의 연령에 기초하여 GUI를 구성하도록 하는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하는 사용자는, 모든 연령층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연령에 따라, 컴퓨터의 활용 능력, GUI에 대한 인지 능력 그리고 시력 등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의 최소 연령을 8세로 할 때, 8세부터 29세까지를 제1 그룹, 30세부터 50세까지를 제2 그룹, 50세 이상을 제3 그룹으로 분류하여, 상기 각 그룹마 다 GUI에 제공되는 문자 폰트의 크기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그룹에 대해서는 12포인트, 상기 제2 그룹에 대해서는 16포인트, 상기 제3 그룹에 대해서는 20포인트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자 폰트의 크기 뿐만 아니라, GUI에 제공되는 아이콘의 크기 또는 상기 GUI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의 화면 배치 또한 사용자의 연령에 따라 다르게 제공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GUI의 생성에 관한 정책 정보는,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들(17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권한에 기초하여 GUI를 구성하도록 하는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접근 제어 및 보안 요소가 적용된 홈네트워크 서비스에서는,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들(170) 및 다양한 서비스들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권한이 설정되어 있다. 상기 접근 권한이 적용되는 것은 내부적인 모듈의 동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상기 접근 권한의 표현은 GUI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서비스에 대한 접근 권한에 따른 홈네트워크 GUI의 생성 방식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첫째, 상기 다수의 전자기기들(170) 중 접속된 사용자의 접근이 허용되는 전자 기기들에 관한 정보만을 제공하도록 상기 GUI를 구성하는 방식이다. 즉 특정 사용자에 대해 접근 권한이 없는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아이콘이나 텍스트에 대해 해당 객체를 표현하지 않는 방식이다. 이때 접근이 불허되는 전자 기기는 GUI를 통해 표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접근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둘째, 상기 다수의 전자기기들(170) 중 접속된 사용자의 접근이 허용되는 전자 기기들에 관한 정보와 상기 접속된 사용자의 접근이 허용되지 않는 전자 기기들 에 관한 정보를 구분하여 제공하도록 상기 GUI를 구성하는 방식이다. 즉 특정 사용자에 대해 접근 권한이 없는 전자 기기와 접근 권한이 있는 전자 기기를 구분하여 표현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접근 권한이 없는 전자 기기에 대해서는 접근 불가를 나타내는 표지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에게 접근이 허용된 전자 기기와 접근이 허용되지 않는 전자 기기를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상기 GUI 생성 모듈(335)은,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한 특정 사용자에 대한 GUI를 구성한다. 상기 GUI 생성 모듈(335)은, 상기 GUI 정책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상기 GUI의 생성에 관한 정책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GUI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GUI 생성 모듈(335)은, 상기 전자기기 상태 데이터베이스(315)로부터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들(17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GUI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GUI 생성 모듈(335)은, 접속된 사용자로부터 GUI의 구성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구성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GUI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GUI의 구성 정보는, 상기 GUI의 색상(color), 상기 GUI에 제공되는 폰트의 종류, 상기 폰트의 크기, 메뉴가 표시되는 위치, 상기 GUI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의 화면 배치 및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각종 정보의 표시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전자기기 제어 인터페이스 및 디스플레이어(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 제어 인터페이스 및 디스플레이어(400)는, 전자기기 제어 에이전트(405), 미들웨어(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 제어 에이전트(405)는, 상기 홈게이트웨이(300)로부터 전송된 전자기기 제어명령을 받아서 상기 미들웨어(410)로 전송한다.
상기 미들웨어(410)는, 상기 전자기기 제어 에이전트(405)로부터 전송된 상기 전자기기 제어명령을 해당 전자 기기에 알맞은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GUI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S340 단계의 세부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현되는 GUI 화면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GUI 제공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메트워크 시스템에서 GUI 제공 방법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한다[S300].
상기 GUI 생성 모듈(335)은, 상기 접속된 사용자에 관한 사용자 정보가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320)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S310], 상기 S31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접속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접속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호출한다[S320].
그리고 상기 S31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접속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가 존 재하지 않으면, 상기 접속된 사용자에 관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접속된 사용자를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등록한다[S330]. 도 5는 사용자의 등록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등록된 사용자가 로그인한 경우 제공되는 GUI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UI는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들(170)의 상태 정보(5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UI는, 접속된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전자 기기를 선택할 수 있는 기기 선택 영역(60)을 제공하고, 각종 메뉴들(70)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GUI 생성 모듈(335)은, 상기 S310 내지 S320 단계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GUI 정책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상기 GUI 생성에 관한 정책 정보에 따라 상기 접속된 사용자에 대한 GUI를 구성하고[S340], 상기 구성된 GUI를 상기 접속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35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S340 단계에서, 상기 GUI 생성 모듈(335)은, 상기 접속된 사용자의 연령, 접근 권한 및 상기 접속된 사용자가 설정한 상기 GUI에 관한 구성 정보를 획득하고[S400],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되는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들(17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S410], 상기 S400 단계 및 S410 단계에서 획득된 상기 정보들을 반영하여 상기 GUI를 구성한다[S420].
도 7은 전자 기기들의 상세한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서 "상태 정보" 메뉴(75)가 선택되면 도 7의 화면으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 S340 단계 및 상기 S420 단계는, 상기 접속된 사용자의 연령에 따라, 상기 GUI에 제공되는 폰트의 크기와 상기 GUI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의 화면 배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사용자의 연령에 따른 GUI 화면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8의 화면은 8세부터 29세까지에 해당하는 사용자를 위한 GUI 화면이다. 또한 예를 들어, 도 9a 및 도 9b는 30세부터 50세까지에 해당하는 사용자를 위한 GUI 화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GUI의 구성 요소들의 화면 배치가 서로 다르다. 도 9a 및 도 9b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0은 50세 이상에 해당하는 사용자를 위한 GUI 화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령이 높은 사용자에 대해서는 폰트의 크기와 아이콘의 크기를 크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340 단계 및 상기 S420 단계는,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들(170) 중 상기 접속된 사용자의 접근이 허용되는 전자 기기들에 관한 정보만을 제공하도록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접근권한 설정 화면이다. 즉 도 11과 같은 화면을 통해 보안정책 관리자는, 특정 사용자에 대해 상기 특정 사용자의 상기 다수의 전자기기들(170)에 대한 접근 허용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접근이 허용되는 전자 기기들에 관한 정보만을 제공하는 GUI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서 접속된 사용자와 도 13에서 접속된 사용자에게 접근 허용된 전자 기기들이 서로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S340 단계 및 상기 S420 단계는,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들(170) 중 상기 접속된 사용자의 접근이 허용되는 전자 기기들에 관한 정보와 상기 접속된 사용자의 접근이 허용되지 않는 전자 기기들에 관한 정보를 구분하여 제공하도록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4는, 접근이 허용되는 전자 기기들과 접근이 불허되는 전자기기들을 서로 구분되게 표시한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4의 접속된 사용자에게 접근이 허용되는 전자 기기들은, "세탁기", "제1 전등", "보일러", "전자렌지", "가스오븐"이고, 접근이 불허되는 전자 기기들은, "가스밸브", "제2 전등", "출입문"이다.
도 15는, 사용자가 GUI의 구성을 설정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UI에서 제공되는 글씨 크기, 메뉴 위치, 프레임 색상 등을 자신의 기호에 맞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 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게이트웨이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GUI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S340 단계의 세부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현되는 GUI 화면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외부 제어 기기 120: 전화망
130: 인터넷 140: 내부 제어 기기
170: 다수의 전자 기기들 200: 보안정책 관리자 단말기
300: 홈게이트웨이 305: 보안정책 및 인증 에이전트
310: 전자기기 제어 에이전트 315: 전자기기 상태 DB
320: 사용자 DB 325: 접근제어 정책 DB
330: GUI 정책 DB 335: GUI 생성 모듈
400: 전자기기제어 인터페이스 및 디스플레이어

Claims (18)

  1. 다수의 전자 기기들과, 상기 전자 기기들의 동작 및 상기 전자 기기들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제어하고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의 생성에 관한 정책 정보를 저장하는 홈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생성에 관한 정책 정보에 따라, 상기 접속된 사용자에 대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된 사용자에 관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접속된 사용자에 관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접속된 사용자에 관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접속된 사용자에 관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사용 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들의 상태를 나타내는 기기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기기 상태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된 사용자로부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받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 정보는,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색상(color),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공되는 폰트의 종류, 상기 폰트의 크기, 메뉴가 표시되는 위치,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의 화면 배치 및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각종 정보의 표시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생성에 관한 정책 정보는,
    사용자의 연령에 기초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도록 하는 정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된 사용자의 연령에 따라,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공되는 폰트의 크기와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의 화면 배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생성에 관한 정책 정보는,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들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권한에 기초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도록 하는 정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들 중 상기 접속된 사용자의 접근이 허용되는 전자 기기들에 관한 정보만을 제공하도록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들 중 상기 접속된 사용자의 접근이 허용되는 전자 기기들에 관한 정보와 상기 접속된 사용자의 접근이 허용되지 않는 전자 기기들에 관한 정보를 구분하여 제공하도록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의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2. 사용자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기능을 갖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전자 기기들; 및
    상기 전자 기기들의 동작 및 상기 전자 기기들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제어하고 사용자에게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는 홈게이트웨이를 포함하고,
    상기 홈게이트웨이는,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생성에 관한 정책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특정 사용자가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한 경우,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생성에 관한 정책 정보에 따라 상기 접속된 특정 사용자에 대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GUI 생성부를
    포함하는 사용자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기능을 갖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GUI 생성부는,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들의 상태를 반영하여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기능을 갖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생성에 관한 정책 정 보는,
    사용자의 연령에 기초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도록 하는 정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기능을 갖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GUI 생성부는,
    상기 접속된 사용자의 연령에 따라,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공되는 폰트의 크기와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의 화면 배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기능을 갖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생성에 관한 정책 정보는,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들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권한에 기초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도록 하는 정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기능을 갖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GUI 생성부는,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들 중 상기 접속된 사용자의 접근이 허용되는 전자 기기들에 관한 정보만을 제공하도록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기능을 갖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GUI 생성부는,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들 중 상기 접속된 사용자의 접근이 허용되는 전자 기기들에 관한 정보와 상기 접속된 사용자의 접근이 허용되지 않는 전자 기기들에 관한 정보를 구분하여 제공하도록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기능을 갖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KR1020070084666A 2007-08-22 2007-08-22 사용자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기능을 갖는홈네트워크 시스템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0900201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666A KR20090020164A (ko) 2007-08-22 2007-08-22 사용자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기능을 갖는홈네트워크 시스템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666A KR20090020164A (ko) 2007-08-22 2007-08-22 사용자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기능을 갖는홈네트워크 시스템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164A true KR20090020164A (ko) 2009-02-26

Family

ID=40687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666A KR20090020164A (ko) 2007-08-22 2007-08-22 사용자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기능을 갖는홈네트워크 시스템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016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8239B2 (en) 2011-09-30 2016-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profile-based device access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CN116630107A (zh) * 2023-07-21 2023-08-22 广东南方电信规划咨询设计院有限公司 为用户提供所需访问信息的方法及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8239B2 (en) 2011-09-30 2016-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profile-based device access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CN116630107A (zh) * 2023-07-21 2023-08-22 广东南方电信规划咨询设计院有限公司 为用户提供所需访问信息的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7872B2 (en) Remote control of electronic devices via mobile device
CN102833224B (zh) 信息处理设备、服务器设备、信息处理方法和程序
JP5557798B2 (ja) マルチデバイスコントロール用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US9060197B2 (en) Hospitality media system operated by mobile device
CN1842782B (zh) 网络资源信息路由的服务器结构
US9282453B2 (en) User terminal, operator server, remote support method and user terminal program
US7797417B2 (e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in IP-based network system
EP2725744B1 (en) Hierarchical Service Management
JP5148095B2 (ja) 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コンテンツ提供サーバ、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方法、コンテンツ提供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20090063181A1 (en)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facility management system
US20070110039A1 (en) Port forwarding configuration system and method for wire and wireless networks
JP6318698B2 (ja) セキュリティ管理システム、セキュリティ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253725B1 (ko)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JP2007215194A (ja) 無線装置を用いて無線ネットワーク装置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媒体及び無線制御装置
JP2007257233A (ja) 設備機器の操作端末
KR20110074066A (ko)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과 그 시스템
WO2005060611A2 (en) Exchange of centralized control data
CN110677330A (zh) 用于促进计算设备和非计算设备的基于代理用户界面的远程管理和控制的机制
JP2001251312A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接続機器のアクセス管理装置
US20010029532A1 (en) Gateway apparatus
KR100432044B1 (ko) 홈 네트워크 관리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KR20040019888A (ko)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7250701B2 (ja) 表示制御方法、情報処理サーバ及び表示端末
KR20090020164A (ko) 사용자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기능을 갖는홈네트워크 시스템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0882901B1 (ko)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보안정책 설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330

Effective date: 2010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