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5518B1 -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 및 시험 방법 - Google Patents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 및 시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5518B1
KR101575518B1 KR1020140108098A KR20140108098A KR101575518B1 KR 101575518 B1 KR101575518 B1 KR 101575518B1 KR 1020140108098 A KR1020140108098 A KR 1020140108098A KR 20140108098 A KR20140108098 A KR 20140108098A KR 101575518 B1 KR101575518 B1 KR 101575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mpressor
main air
starter
signal
sig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학
이동욱
조창우
Original Assignee
부산교통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교통공사 filed Critical 부산교통공사
Priority to KR1020140108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55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5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5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1/00Testing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8Railway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 및 시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는 주공기 압축기 및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에 시험을 위한 주전원 및 각종 제어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 입출력부,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와 통신 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가 검지하고 출력하는 각종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링부, 그리고,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의 시험 시간 동안 상기 모니터링부에 표시되는 각종 동작 정보를 포함하는 시험 내용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 및 시험 방법{TEST DEVICE AND TEST METHOD FOR SUBWAY TRAIN COMPRESSOR MOTOR STARTING BOX}
본 발명은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 및 시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출입문 개폐 등 전동차에서 사용하는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주공기 압축기용 전동기(CM, Comperssor Motor)를 기동하기 위한 기동 장치의 정상 작동 유무 및 고장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에 사용되는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 및 시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등의 전동차의 운행시 필요한 고압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전동차 차량에는 궤도 위 전선인 가선으로부터 1500V 전압을 공급받아 한 쌍의 주공기 압축기 및 기동 장치에 압축기 모터 구동 및 기동 장치의 구동 및 제어에 필요한 교류전압 380V 및 직류전압 100V 등을 공급하는 한 쌍의 보조 전원 장치(SIV)가 구비되어 있다. 즉 하나의 보조 전원 장치가 하나의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를 통해 하나의 주공기 압축기의 구동 및 제어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고 있다.
한편,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는 전동차의 주공기 압축기를 기동시킬 시 무접점 방식인 인버터 제어 기동 모드와 접점 방식인 직기동(BY-PASS) 모드를 내장하고 있다.
인버터 제어 기동 모드란 전동차에 교류전압 380V로 주공기 압축기를 기동하게 되면 급격한 부하가 발생하여 전동차 부하가 급격히 증가할 수 있어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내에 구비된 인버터를 이용하여 초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시 모터 속도를 천천히 올려 과부하를 방지하는 목적으로 정상 운전시 사용되는 기동 방식이다.
한편, 직기동 모드는 인버터 고장시 전동차 운행을 위해 인버터를 이용하지 않고 교류전압 380V를 주공기 압축기에 직접 입력하여 운전하는 기동 방식으로서 전동차의 지속 운전을 고려하여 인버터가 고장나면 인버터 운전 모드를 직기동 운전 모드로 전환이 되도록 운전 모드가 설정이 되어 있다.
한편, 한 쌍의 보조 전원 장치 중 한대가 고장이 나는 경우에는 정상 작동 중인 보조 전원 장치가 전동차 전차량에 전원을 혼자 공급하게 되고 이때 동시에 기동을 하게 되면 부하전류가 급격히 증가하여 전동차에 구비된 전기부품에 문제를 발생시켜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고장이 발생한 보조 전원 장치에 원래 연결되어 있는 주공기 압축기 및 기동 장치에 정상 작동 중인 보조 전원 장치가 연장급전을 하는 경우 정상 작동 중인 보조 전원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주공기 압축기 및 기동 장치의 기동 시간에 대해 소정의 시간 지연을 두고 기동을 위한 구동 전압 및 제어 전압을 공급하도록 설정이 되어 있다.
그런데, 많은 승객이 이용하는 전동차는 자칫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의 고장 발생시 막대한 운행의 불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 전동차의 안전 운행을 보장하지 못해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심각한 인명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는 정상 작동 유무, 인버터 고장시 직기동 모드로 자동 전환 여부, 보조 전원 장치 연장 급전시 시간 지연 기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 여부에 대해 다른 전동차 부품과 마찬가지로 세심한 점검과 유지 보수가 필요한 실정이다. 그런데 현재의 열차 운행 중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계열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 판단되면 종래의 경우 차량 정비소로 전동차를 이동하여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및 주공기 압축기를 전동차로부터 분리 한 후 각각의 구성부품에 대해 일일이 수작업으로 점검을 하고 점검 및 수리가 완료 되면 다시 전동차에 부착한 후 기동장치의 정상 작동 유무를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점검 및 수리 방법은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의 고장 부분이 어디인지 손쉽게 확인하기 어려워 고장 부분을 찾는데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설사 고장 부분을 찾아 수리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전동차에 부착한 후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였으나 정상 작동이 되지 않는 경우 다시 분리하여 점검 및 수리를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416965 B1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의 이상 유무를 손쉽고 간편하게 시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동차에 장착하지 않고 수선 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장에서 수선이 완료된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의 정상 작동 여부 및 성능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험할 수 있게 하여 시험 및 수선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감축시켜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의 시험 및 수선 작업의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높여 있어 전동차의 운행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는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 및 시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는 주공기 압축기 및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에 시험을 위한 주전원 및 각종 제어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 입출력부,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와 통신 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가 검지하고 출력하는 각종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링부, 그리고,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의 시험 시간 동안 상기 모니터링부에 표시되는 각종 동작 정보를 포함하는 시험 내용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 입출력부는 기동 신호 입력부, 기동 정지 신호 입력부, 보조 전원 장치 정상 신호 입력부, 보조 전원 장치 정지 신호 입력부, 전원공급차단 출력 신호 표시 램프, 냉방장치 출력 신호 표시 램프, 전압계, 전류계, 주전원 스위치, 제어전원 스위치 및 전원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동 신호 입력부, 상기 기동 정지 신호 입력부, 상기 보조 전원 장치 정상 신호 입력부 및 상기 보조 전원 장치 정지 신호 입력부는, 시험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해당 신호 입력이 가능하도록 버튼으로 구성되어있거나 알고리즘이 구비된 제어부의 추가에 의해 자동으로 해당 신호 입력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부에 표시되는 각종 동작 정보는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의 각종 고장 정보, 각종 램프를 점등하기 위한 접촉기의 동작 상태 정보,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의 인버터 입출력 전압 및 전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의 각종 고장 정보는 주공기 압축기 모터 출력 과부하 고장, 모터 출력 과전류 고장, 기동 지연 고장, 통신 고장, 전원 저전압 고장, 고전압 검지, 오버타임(Overtime) 고장 및 주공기 압축기 고장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접촉기 동작 상태 정보는 직기동 공기압축기 접촉기, 직기동 공기압축기 보조 접촉기, 시간 지연 접촉기, 인버터 고장 계전기, 인버터 기동 계전기, 시동 계전기, 모터 접촉기, 연장 급전 시한 계전기, 바이패스 기동, 인버터 기동 및 보조 전원 장치 동작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방법은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전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와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의 신호 입출력부와 모니터링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연결 상태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하는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준비 단계,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를 이용하여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의 기동 조건 입력시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가 정상적으로 상기 주공기 압축기를 동작시키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정상 기동 및 정지 시험 단계, 상기 주공기 압축기의 정상 기동 상태에서 1대의 보조 전원 장치에 고장 신호를 입력하여 해당 주공기 압축기를 정지시키고 연장 급전을 통해 소정 지연 시간 경과 후 해당 주공기 압축기가 재기동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보조 전원 장치 연장급전시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단계,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내 인버터 기능 고장 발생시 인버터 제어 기동에서 직기동으로 정상적으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직기동 시험 단계, 그리고,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의 고장으로 전원공급용 차단기 고장 발생시 정상적으로 고장 정보를 상기 신호 입출력부에 정상적으로 전송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에 공급되는 전원 차단 시험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준비 단계는,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와 상기 신호 입출력부간 주전원을 연결하고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와 신호 입출력부간 제어전원을 연결하고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와 상기 모니터링부간 통신 수단을 연결하고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에 주전원과 제어전원을 인가하여 각종 램프와 전압계 및 전류계 등의 정상 동작 상태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정상 기동 및 정지 시험 단계는, 상기 신호 입출력부를 통해 주공기 압축기 기동용 신호를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용 신호 입력에 의해 상기 주공기 압축기의 기동시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내의 인버터가 정상 기동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내의 인버터가 정상 기동되는 경우 상기 주공기 압축기 인버터 기동계전기, 시동계전기 및 모터 접촉기의 정상 동작 상태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인버터 기동계전기, 상기 시동계전기 및 상기 모터 접촉기가 정상 동작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기동 정지 신호 입력부를 통해 주공기 압축기 기동 정지용 신호를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 정지용 신호 입력에 의해 상기 주공기 압축기의 기동이 정상적으로 정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주공기 압축기의 기동이 정상적으로 정지시 상기 인버터 기동계전기, 싱기 시동계전기 및 상기 모터 접촉기의 정상 동작 상태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전원 장치 연장급전시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단계는, 상기 신호 입출력부를 통해 주공기 압축기 기동용 신호를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용 신호 입력에 의해 상기 주공기 압축기의 기동시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내의 인버터가 정상 기동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내의 인버터가 정상 기동되는 경우 상기 신호 입출력부를 통해 보조 전원 장치 중 1대를 정지시키기 위한 보조 전원 장치 정지용 신호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보조 전원 장치 정지용 신호를 입력에 따른 해당 주공기 압축기의 기동 정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해당 주공기 압축기의 정상적인 기동 정지가 완료된 후 소정 지연 시간을 가지고 연장급전에 의해 상기 해당 주공기 압축기가 재기동을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소정 지연 시간을 가지고 상기 해당 주공기 압축기가 재기동 되는 것이 확인이 되면 상기 신호 입출력부를 통해 주공기 압축기 기동 정지용 신호를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기동 시험 단계는, 상기 신호 입출력부를 통해 주공기 압축기 기동용 신호를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용 신호 입력에 의해 상기 주공기 압축기의 기동시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내의 인버터가 정상 기동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내의 인버터가 정상 기동되는 경우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로부터 출력된 직기동 신호를 상기 신호 입출력부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신호 입출력부에 직기동 신호가 정상적으로 입력되는지 여부 및 상기 직기동 신호의 입력에 따른 상기 주공기 압축기의 기동 정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주공기 압축기의 정상적인 기동 정지가 완료된 후 소정 지연 시간을 가지고 상기 주공기 압축기가 직기동을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소정 지연 시간을 가지고 상기 해당 주공기 압축기가 직기동 되는 것이 확인이 되는 경우 상기 신호 입출력부를 통해 주공기 압축기 기동 정지용 신호를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에 공급되는 전원 차단 시험 단계는, 상기 신호 입출력부를 통해 주공기 압축기 기동용 신호를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용 신호 입력에 의해 상기 주공기 압축기의 기동시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내의 인버터가 정상 기동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내의 인버터가 정상 기동되는 경우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로부터 출력된 주공기 압축기 전원 차단 신호를 상기 신호 입출력부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주공기 압축기 전원 차단 신호의 입력에 따른 상기 주공기 압축기의 동작 정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여부 및 상기 주공기 압축기 전원 차단 신호가 상기 신호 입출력부에 정상적으로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주공기 압축기의 동작 정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공기 압축기 전원 차단 신호가 정상적으로 입력되는 것이 확인이 되는 경우 상기 신호 입출력부를 통해 주공기 압축기 기동 정지용 신호를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 및 시험 방법에 의하면,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의 이상 유무를 손쉽고 간편하게 시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동차에 장착하지 않고 수선 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장에서 수선이 완료된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의 정상 작동 여부 및 성능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험할 수 있어 시험 및 수선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감축시켜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의 시험 및 수선 작업의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높여 있어 전동차의 운행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의 일 구성요소인 신호 입출력부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의 다른 일 구성요소인 모니터링부의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방법 중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준비 단계에 관한 플로우 챠트,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방법 중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정상 기동 및 정지 시험 단계에 관한 플로우 챠트,
도 6은 도 5의 시험 단계에서 현시되는 모니터링부의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방법 중 보조 전원 장치 연장 급전시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단계에 관한 플로우 챠트,
도 8은 도 7의 시험 단계에서 현시되는 모니터링부의 상태도,
도 9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방법 중 직기동 시험 단계에 관한 플로우 챠트,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방법 중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에 공급되는 전원 차단 시험 단계에 관한 플로우 챠트이다.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간격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구성 블록도 및 개략도, 플로우 챠트 및 상태도를 참고하여 설명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 및 시험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의 일 구성요소인 신호 입출력부의 개략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의 다른 일 구성요소인 모니터링부의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100)는 신호 입출력부(120), 모니터링부(140) 및 메모리부(160)를 포함한다.
신호 입출력부(120)는 주공기 압축기(10) 및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에 주전원 및 각종 제어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각종 회로 및 전기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의 동작 조건과 고장 조건이 전동차와 동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신호 입출력부(120)는 시험을 위해 인버터 운전 모드 및 직기동 운전 모드 동작시 주공기 압축기(10) 모터를 기동시키기 위한 주전원인 교류 전압 380V를 시험장 배전반으로부터 입력 받아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로 공급하며, 전동차에서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로 입출력되는 신호와 동일한 각종 구동을 위한 제어 전원인 직류 전압 100V를 시험장 배전반으로부터 입력 받아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로 공급하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로부터 출력되는 각종 신호를 입력받는다.
이를 위해 신호 입출력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동 신호 입력부(121), 기동 정지 신호 입력부(122), 보조 전원 장치 정상 신호 입력부(123), 보조 전원 장치 정지 신호 입력부(124), 전원공급차단 출력 신호 표시 램프(125), 냉방장치 출력 신호 표시 램프(126), 전압계(127), 전류계(128), 주전원 스위치(129), 제어전원 스위치(130) 및 전원 램프(131)를 포함한다.
기동 신호 입력부(121)는 주공기 압축기 기동 신호인 직류 전압 100V를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로 출력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한다.
기동 정지 신호 입력부(122)는 주공기 압축기 기동 신호인 기동신호를 차단하여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기동 정지 신호를 입력한다.
보조 전원 장치 정상 신호 입력부(123)는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 내에 마련된 보조 전원 장치(SIV)의 정상(ON) 신호인 직류전압 100V를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로 출력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한다.
보조 전원 장치 정지 신호 입력부(124)는 보조 전원 장치 정상 신호를 차단하여 연장급전되는 주공기 압축기(10)의 기동을 소정 시간(본 실시예에서는 2초간으로 설정하였다) 지연 후 동작하게 하기 위한 정지 신호를 입력한다. 전동차는 기본적으로 전동차에 필요한 전원을 생산하는 장치인 보조 전원 장치를 2대를 탑재 하여 2대의 주공기 압축기(10)를 포함하는 각종 전기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고 있으며, 1대의 보조 전원 장치의 고장 발생시 다른 1대의 보조 전원 장치로 고장이 발생한 보조 전원 장치가 전원을 공급하던 주공기 압축기(10)에도 전원을 공급하는데 이를 연장급전이라고 한다. 이때 연장급전되는 주공기 압축기(10)의 기동을 소정 시간 지연 후 동작하도록 하는 이유는 보조 전원 장치 1대가 고장으로 전원공급이 정상적이지 못할 때 2대의 주공기 압축기(10)의 동시 기동을 방지하여 급부하로 인한 오작동 및 고장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전원공급차단 출력 신호 표시 램프(125)는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의 과부하로 의해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 내에 마련된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치인 회로차단기가 차단(TRIP)될 때, 차단 신호가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에서 정상적으로 출력되는지 여부를 시험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램프이다.
냉방장치 출력 신호 표시 램프(126, TO AIRCON LAMP)는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의 인버터 고장 발생으로 직기동 운전 모드로 전환시 직기동 신호가 공기압축기 기동장치(20)에서 정상 출력되는지 여부를 시험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램프이다.
한편,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에 출력되는 전압과 전류는 전압계(127) 및 전류계(128)를 통해 시험자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다.
주전원 스위치(129)는 주공기 압축기(10) 모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주전원인 교류전압 380V를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로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제어전원 스위치(130)는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를 각 시험 조건에 맞게 구동시키기 위한 각종 입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제어전원인 직류전압 100V를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로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즉 제어전원 스위치(130)는 상기 각종 입력부(121 내지 124)의 조작 전원과 각종 램프(125, 126, 131)를 점등하기 위한 전원으로 사용되기 위한 제어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다.
즉 제어전원 스위치(130)의 조작에 의해 제어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주공기 압축기 기동 신호(START), 주공기 압축기 기동 정지 신호(STOP), 보조 전원 장치 정상 신호(SIV ON) 및 보조 전원 장치 정지 신호(SIV OFF)를 각종 입력부(121 내지 124)를 통해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에 공급하고,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에서 신호 입출력부(120)로 고장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전원공급차단 출력 신호 표시 램프(125) 및 냉방장치 출력신호 표시 램프(126)를 점등이 가능하게 된다.
전원 램프(131)는 주전원 및 제어전원이 이상이 없이 인가되고 있는지 여부를 시험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램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종 입력부(121 내지 124)는 시험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해당 신호 입력이 가능하도록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와 달리 알고리즘이 구비된 제어부(135)에 의해 자동으로 해당 신호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모니터링부(140)는 노트북 또는 개인용 데스크탑 PC나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등으로 마련되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와 RS-485 인버터(범용)를 통한 통신케이블로 연결되며, RS-485 통신을 수행하면서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가 검지하고 출력하는 각종 동작정보(고장 정보, 각종 램프를 점등하기 위한 접촉기의 동작 상태 정보,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의 인버터 입출력 전압 및 전류 등)를 현시함으로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의 기동과 정지 정보 및 각종 고장 정보를 시험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한다.
여기서 각종 고장 정보란 주공기 압축기 모터 출력 과부하 고장, 모터 출력 과전류고장, 기동 지연 고장, 통신 고장, 전원 저전압 고장, 고전압 검지, 오버타임(Overtime) 고장(주공기 압축기는 공기 압력이 8 ㎏/㎠ 에서 기동하고 공기압력이 9 ㎏/㎠가 되면 정지하게 되어 있으며 1회 동작 시간이 12분을 초과하여 지속적으로 기동하게 되면 주공기 압축기 장시간 가동 고장으로 판단) 및 주공기 압축기 고장 등에 관한 정보를 말한다.
접촉기 동작 상태 정보란 직기동(바이패스) 공기압축기 접촉기, 직기동 공기압축기 보조 접촉기, 시간 지연 접촉기, 인버터 고장 계전기, 인버터 기동 계전기, 시동 계전기, 모터 접촉기, 연장 급전 시한 계전기, 바이패스 기동, 인버터 기동 및 보조 전원 장치 동작 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말한다.
각종 전압 및 전류 상태 정보는 입출력 전압 및 인버터 출력 전류를 그래프 및 수치로 표시된다.
주공기 압축기(10)의 동작 상태 정보는 주공기압축기(10)의 초기 기동전 동작 상태, 정지 상태, 정상 기동 상태 및 직기동 상태에 관한 정보 등 총 4가지이다.
메모리부(160)는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의 시험 시간 동안 모니터링부(140)에 표시되는 각종 시험 내용을 저장하고 필요시 자료를 호출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노트북 또는 개인용 데스크탑 PC나 스마트 기기의 저장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부(160)에는 또한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의 각종 시험 과정에서 모니터링부(140)의 모니터링 실행을 위한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100)는 시험 및 결과 확인의편의를 위해 신호 입출력부(120)가 모니터링부(140)와 메모리부(160)와 별도로 분리되어 마련되어 있으나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방법에 관하여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방법 중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전 준비 단계에 관한 플로우 챠트,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방법 중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정상 기동 및 정지 시험 단계에 관한 플로우 챠트, 도 6은 도 5의 시험 단계에서 현시되는 모니터링부의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방법 중 보조 전원 장치 연장 급전시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단계에 관한 플로우 챠트, 도 8은 도 7의 시험 단계에서 현시되는 모니터링부의 상태도, 도 9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방법 중 직기동 시험 단계에 관한 플로우 챠트,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방법 중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에 공급되는 전원 차단 시험 단계에 관한 플로우 챠트이다.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의 시험방법은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준비 단계(S100),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정상 기동 및 정지 시험 단계(S200), 보조 전원 장치 연장급전시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단계(S300), 직기동 시험 단계(S400) 및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에 공급되는 전원 차단 시험 단계(S500)를 포함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의 시험방법 중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준비 단계(S100)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준비 단계(S100)는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전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와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100)의 신호 입출력부(120)와 모니터링부(1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연결 상태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하는 단계이다.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준비 단계(S100)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와 신호 입출력부(120) 간 교류전압 380V용 주전원 케이블(주전원선)을 커넥터를 이용하여 연결한다(S105).
그런 다음, 주전원 케이블을 통해 주전원인 교류전압 380V를 시험장의 배전반으로부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100)의 신호 입출력부(120)를 거쳐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로 인가하여 주전원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확인한다(S110).
확인 결과, 연결이 확인되지 않으면 주전원선 및 커넥터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며(S112), 연결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와 신호 입출력부(120) 간 직류전압 100V용 제어전원 케이블(제어전원선)을 커넥터를 이용하여 연결한다(S120).
그런 다음, 제어전원 케이블을 통해 제어전원인 직류전압 100V를 시험장의 배전반으로부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100)의 신호 입출력부(120)를 거쳐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로 인가하여 제어전원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확인한다(S130).
확인 결과, 연결이 확인되지 않으면 제어전원선 및 커넥터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며(S132), 연결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와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100)의 모니터링부(140) 간 RS-485 통신선(통신라인)을 연결한다(S140).
그런 다음, 모니터링부(140)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와 모니터링부(140)가 통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 통신 연결 상태를 확인한다(S150).
확인 결과, 통신 연결이 확인되지 않으면 통신선 및 통신 설정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며(S152), 정상적인 통신 연결이 확인되면,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에 주전원인 교류전압 380V 및 제어전원인 직류전압 100V를 투입(인가)하여(S160), 전원 램프(131)와 전압계(127) 및 전류계(128) 등의 정상 동작 상태 여부를 확인한다(S170).
즉 신호 입출력부(120)의 주전원 스위치(129) 및 제어전원 스위치(130)를 조작하여 주공기 압축기(10) 및 기동장치(20)에 교류전압 380V 및 제어전원인 직류전압 100V를 투입하여 주공기 압축기(10)의 모터 및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고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 내 디지털 조작 패널에 전원이 입력되는지 여부와 더불어 신호 입출력부(120)의 전압계(127), 전류계(128) 및 전원램프(131)가 정상 작동하는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정상 작동이 안되는 경우 전압계(127), 전류계(128) 및 전원램프(131)의 이상유무를 점검 확인하며(S172), 정상 작동이 되는 경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준비 단계(S100)는 완료되게 된다.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준비 단계(S100) 종료 후에는 도 5에 도시된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정상 기동 및 정지 시험 단계(S200)를 수행한다.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정상 기동 및 정지 시험 단계(S200)는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100)를 이용하여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의 기동 조건 입력시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가 정상적으로 주공기 압축기(10)를 동작시키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시험 단계이다.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정상 기동 및 정지 시험 단계(S200)를 좀 더 상세히살펴보면, 먼저, 신호 입출력부(120)의 기동 신호 입력부(121)를 통해 주공기 압축기 기동용 신호를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에 입력한다(S205). 이 때 물론 주공기 압축기 기동용 신호의 입력 전에 보조 전원 장치 정상 신호 입력부(123)를 통해 보조 전원 장치 정상 신호가 입력되어 주공기압축기 기동장치(10)가 정상상태로 되어 기동 준비가 완료된 상태인 것을 전제로 한다.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에 기동 신호가 입력되면 주공기 압축기(10)의 기동이 시작되게 된다.
그런 다음, 주공기 압축기(10)의 기동시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 내의 인버터가 정상 기동이 이루어지는지 모니터링부(140)를 통해 인버터 기동과 관련된 입력 전압 등에 따른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210)을 거친다. 즉 모니터링부(140) 확인을 통해 주전원 입력전압과 공기압축기 기동장치(20)의 인버터제어에 따라 발생하는 전압과 전류 값의 이상유무를 판단하며, 이상유무 판단은 그래프의 상승 또는 하강 곡선의 상태와 출력전압과 출력 전류값을 확인하여 판단하고 특히 그래프의 변형, 노이즈 등 이 없는지 확인한다.
도 6은 입력 전압 등에 따른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210)에서 현시되는 모니터링부(140)의 상태도로써, 도 6에 도시된 모니터링부(140)의 가로 방향 수치는 통신 횟수이며, 세로 방향 수치는 전압 및 전류의 세기를 나타낸다.
모니터링부(140)에 표시되는 결과 데이터는 메모리부(160)에 실시간으로 저장되며,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가 비정상적인 경우에는 주공기 압축기 기동용 신호 입력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단계를 거친다(S212).
한편,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가 정상인 경우에는 주공기 압축기 인버터 기동계전기, 시동계전기 및 모터 접촉기의 정상 동작 상태 여부를 모니터링부(140)를 통해 확인하는 단계를 거친다(S220).
즉 주공기 압축기(10)의 정상 기동이 확인되면,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내의 인버터 기동계전기, 시동계전기 및 모터 접촉기가 정상적으로 작동 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부(100)를 통해 확인한다.
인버터 기동계전기는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가 정상적인 인버터 제어시 그 동작 상태를 현시하며, 시동계전기는 주공기 압축기 기동용 신호 입력시 인버터가 정상인지 여부를 현시하며, 모터 접촉기는 인버터 출력 전원을 주공기 압축기(10)로 공급하는 접촉기로 정상 여부가 현시된다. 모니터링부(140)에 표시되는 결과 데이터는 메모리부(160)에 실시간으로 저장되며, 확인 결과 인버터 기동계전기, 시동계전기 또는 모터 접촉기가 비정상적인 경우에는 고장 유무 점검 및 수선 단계를 거치게 된다(S260). 주공기압축기 기동장치(20) 내 인버터 기동계전기, 시동계전기 및 모터접촉기가 동작하게 되면 모니터링부(140)로 전송 되어 현시되고, 주공기 압축기(10) 기동 때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기동하게 되어 있으며 순서와 다른 동작 또는 이상 동작시 비정상으로 판단한다.
한편, 기동계전기, 시동계전기 및 모터 접촉기가 정상 동작 상태인 경우에는 기동 정지 신호 입력부(122)를 통해 주공기 압축기 기동 정지용 신호를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에 입력한다(S230).
그런 다음, 모니터링부(140)를 통해 주공기 압축기(10)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의 하강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40).
즉 기동 정지용 신호 입력에 따른 주공기 압축기(10)의 정지시 모니터링부(140)를 통해 인버터 및 모터 접촉기 동작 정지 여부와 더불어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의 정상적인 하강 상태를 확인한다. 이 때 모니터링부(140)에 표시되는 결과 데이터는 메모리부(160)에 실시간으로 저장되며, 확인 결과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의 비상적인 하강 상태가 확인 되면 고장 유무 점검 및 수선 단계를 거치게 된다(S260).
확인 결과,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의 정상적인 하강 상태가 확인된 경우에는 주공기 압축기(10)의 정지시 인버터 기동계전기, 시동계전기 및 모터 접촉기의 정상 동작 상태 여부를 모니터링부(140)를 통해 확인하는 단계를 거친다(S250).
확인 결과 인버터 기동계전기, 시동계전기 또는 모터 접촉기가 비정상적인 경우에는 고장 유무 점검 및 수선 단계를 거치게 된다(S260).
한편, 기동계전기, 시동계전기 및 모터 접촉기가 정상 동작 상태인 경우에는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정상 기동 및 정지 시험 단계(S200)를 종료한다.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정상 기동 및 정지 시험 단계(S200) 종료 후에는 도 7에 도시된 보조 전원 장치 연장급전시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단계(S300)를 수행한다.
보조 전원 장치 연장급전시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단계(S300)는 보조 전원 장치 1대가 고장이 발생한 경우 다른 1대의 보조 전원 장치로 고장이 발생한 보조 전원 장치가 원래 전원을 공급하던 주공기 압축기(10)까지 연장하여 전원을 공급할 때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가 정상적으로 2대의 주공기 압축기(10)를 순차적으로 기동시키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시험이다. 다시 말해 주공기 압축기(10)의 정상 기동 상태에서 1대의 보조 전원 장치에 고장 신호를 입력하면 그 신호에 의해 해당 주공기 압축기(10)를 정지시키고 일정시간(본 실시예에서는 2초로 세팅하였음) 경과 후 해당 주공기 압축기(10)가 재기동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시험으로 이는 보조 전원 장치 1대가 고장으로 전원공급이 정상적이지 못할 때 2대의 주공기 압축기(10)가 동시에 기동하지 않고 순차적으로 기동하도록 하여 급부하의 방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이다.
보조 전원 장치 연장급전시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단계(S300)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기동 신호 입력부(121)를 통해 주공기 압축기 기동용 신호를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에 입력한다(S305). 이 때 물론 주공기 압축기 기동용 신호의 입력 전에 보조 전원 장치 정상 신호 입력부(123)를 통해 보조 전원 장치 정상 신호가 입력되어 주공기압축기 기동장치(10)가 정상상태로 되어 기동 준비가 완료된 상태인 것을 전제로 한다.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에 기동 신호가 입력되면 주공기 압축기(10)의 기동이 시작되게 된다.
그런 다음 주공기 압축기(10)의 기동시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 내의 인버터가 정상 기동이 이루어지는지 모니터링부(140)를 통해 인버터 기동과 관련된 입력 전압 등에 따른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의 정상 상태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310)을 거친다. 즉 모니터링부(140) 확인을 통해 주전원 입력전압과 공기압축기 기동장치(20)의 인버터제어에 따라 발생하는 전압과 전류 값의 이상유무를 판단하며, 이상유무 판단은 그래프의 상승 또는 하강 곡선의 상태와 출력전압과 출력 전류값을 확인하여 판단하고 특히 그래프의 변형, 노이즈 등 이 없는지 확인한다.
모니터링부(140)에 표시되는 결과 데이터는 메모리부(160)에 실시간으로 저장되며,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가 비정상적인 경우에는 주공기 압축기 기동용 신호 입력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단계를 거친다(S312).
한편,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가 정상인 경우에는 보조 전원 장치 정지 신호 입력부(124)를 통해 보조 전원 장치 중 1대를 정지시키기 위한 보조 전원 장치 정지용 신호를 입력하는 단계를 거친다(S330). 해당 보조 전원 장치에 정지 신호가 정상적으로 입력되면 해당 보조 전원 장치로부터 원래 전원을 공급받는 해당 주공기 압축기(10)도 정상적으로 동작을 정지하여야 한다.
그런 다음 모니터링부(140)를 통해 보조 전원 장치 정지용 신호의 정상 입력에 따른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의 하강 상태가 정상 기동(해당 주공기 압축기(10)의 동작 정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여부를 말한다)을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340), 이어 해당 주공기 압축기(10)의 기동 정지가 완료된 후 소정 지연 시간(2초)을 가지고 연장급전에 의해 재기동을 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50).
이 때 모니터링부(140)에 표시되는 결과 데이터는 메모리부(160)에 실시간으로 저장되며, 확인 결과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의 비상적인 하강 상태나 소정 지연 시간을 가지고 재기동이 안되는 것이 확인 되면, 해당 고장 유무 점검 및 수선 단계를 거치게 된다(S360).
한편, 확인 결과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의 하강 상태가 정상이고 소정 지연시간을 가지고 재기동 되는 것이 확인이 되면 한편, 기동 정지 신호 입력부(122)를 통해 주공기 압축기 기동 정지용 신호를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에 입력하여(S370), 주공기 압축기(10)의 기동을 정지시키면 보조 전원 장치 연장급전시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단계(S300)는 종료되게 된다.
보조 전원 장치 연장급전시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단계(S300)를 종료한 후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기동 시험 단계(S400)를 거친다.
직기동(바이패스) 시험이란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 내 인버터 기능 고장 발생시 인버터 제어 기동에서 직기동(바이패스)으로 정상적으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시험을 말한다.
직기동 시험 단계(S400)는 먼저, 기동 신호 입력부(121)를 통해 주공기 압축기 기동용 신호를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에 입력한다(S405). 이 때 물론 주공기 압축기 기동용 신호의 입력 전에 보조 전원 장치 정상 신호 입력부(123)를 통해 보조 전원 장치 정상 신호가 입력되어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10)가 정상상태로 되어 기동 준비가 완료된 상태인 것을 전제로 한다.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에 기동 신호가 입력되면 주공기 압축기(10)의 기동이 시작되게 된다.
그런 다음 주공기 압축기(10)의 기동시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 내의 인버터가 정상 기동이 이루어지는지 모니터링부(140)를 통해 인버터 기동과 관련된 입력 전압 등에 따른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의 상태 즉 정상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410)을 거친다. 즉 모니터링부(140) 확인을 통해 주전원 입력전압과 공기압축기 기동장치(20)의 인버터제어에 따라 발생하는 전압과 전류 값의 이상유무를 판단하며, 이상유무 판단은 그래프의 상승 또는 하강 곡선의 상태와 출력전압과 출력 전류값을 확인하여 판단하고 특히 그래프의 변형, 노이즈 등 이 없는지 확인한다.
모니터링부(140)에 표시되는 결과 데이터는 메모리부(160)에 실시간으로 저장되며,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가 비정상적인 경우에는 주공기 압축기 기동용 신호 입력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단계를 거친다(S412).
한편,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가 정상인 경우에는 시험자가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 내 디지털 조작 판넬 설정을 통해 직기동(바이패스) 운전기능 동작신호를 자체적으로 출력하여 이를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100)에 입력하여 냉방장치 출력 신호 표시 램프(126, 직기동 출력 신호 표시 램프와 동일함)가 작동하도록 하는 직기동 신호 입력 단계를 거친다(S430). 냉방장치 출력 신호 표시 램프(126)가 점등되면 시험자는 신호 입출력부(120)를 통해 직기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는 시험자에 의해 직기동(바이패스) 운전기능 동작신호가 출력되면 자체 내에서 인버터 고장을 검지하여 직기동으로 전환되게 되며 이때 주공기 압축기(10)는 정지되고 인버터 제어도 정지되게 된다.
그런 다음 모니터링부(140)를 통해 직기동 신호의 입력에 따른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의 하강 상태가 정상 기동(주공기 압축기(10)의 동작 정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여부를 말한다)을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440), 이어 해당 주공기 압축기(10)의 기동 정지가 완료된 후 소정 지연 시간(3초)을 가지고 직기동을 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450).
주공기 압축기(10)가 직기동으로 전환되면 부하 반감을 위해 냉방장치로 직기동(바이패스) 신호를 출력하고 이로 인해 냉방장치도 부하를 반감시기게 된다. 이 때 모니터링부(140)에 표시되는 결과 데이터는 메모리부(160)에 실시간으로 저장되며, 확인 결과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의 비상적인 하강 상태나 냉방장치 출력 신호 표시 램프(126)가 점등되지 않아 소정 지연 시간(3초)을 가지고 직기동이 안되는 것이 확인 되면 해당 고장 유무 점검 및 수선 단계를 거치게 된다(S460).
한편, 확인 결과,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의 정상적인 하강 상태 및 소정 시간(3초) 지연 후 직기동이 확인이 되면, 기동 정지 신호 입력부(122)를 통해 주공기 압축기 기동 정지용 신호를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에 입력하여(S470), 주공기 압축기(10)의 기동을 정지시키면 직기동 시험 단계(S400)는 종료하게 된다.
직기동 시험 단계(S400)가 종료된 이후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에 공급되는 전원 차단 시험 단계(S500)를 거친다.
전원 차단 시험 단계(S500)는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의 고장으로 전원공급용 차단기 고장(트립) 발생시 정상적으로 고장 정보를 신호 입출력부(120)에 전송하는지 확인하는 시험이다.
전원 차단 시험 단계(S500)는 먼저, 기동 신호 입력부(121)를 통해 주공기 압축기 기동용 신호를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에 입력한다(S505). 이 때 물론 주공기 압축기 기동용 신호의 입력 전에 보조 전원 장치 정상 신호 입력부(123)를 통해 보조 전원 장치 정상 신호가 입력되어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10)가 정상상태로 되어 기동 준비가 완료된 상태인 것을 전제로 한다.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에 기동 신호가 입력되면 주공기 압축기(10)의 기동이 시작되게 된다.
그런 다음 주공기 압축기(10)의 기동시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 내의 인버터가 정상 기동이 이루어지는지 모니터링부(140)를 통해 인버터 기동과 관련된 입력 전압에 따른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의 상태 즉 정상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510)을 거친다. 즉 모니터링부(140) 확인을 통해 주전원 입력전압과 공기압축기 기동장치(20)의 인버터제어에 따라 발생하는 전압과 전류 값의 이상유무를 판단하며, 이상유무 판단은 그래프의 상승 또는 하강 곡선의 상태와 출력전압과 출력 전류값을 확인하여 판단하고 특히 그래프의 변형, 노이즈 등 이 없는지 확인한다.
모니터링부(140)에 표시되는 결과 데이터는 메모리부(160)에 실시간으로 저장되며,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가 비정상적인 경우에는 주공기 압축기 기동용 신호 입력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단계를 거친다(S512).
한편,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가 정상인 경우에는 시험자가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 내 디지털 조작 판넬 설정 조작을 통해 주공기 압축기 전원 차단 신호를 자체적으로 출력하고 이를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100)에 입력하도록 하는 주공기 압축기 전원 차단 신호 입력 단계를 거친다(S530).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는 시험자에 조작에 의해 주공기 압축기 전원 차단 신호가 출력되면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전원공급용 차단기를 OFF 시켜 주공기압축기(1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그런 다음 모니터링부(140)를 통해 주공기 압축기 전원 차단 신호의 입력에 따른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의 하강 상태가 정상 기동(주공기 압축기(10)의 동작 정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여부를 말한다)을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540), 아울러 전원공급차단 출력 신호 표시 램프(125)가 정상 점등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550).
이 때 모니터링부(140)에 표시되는 결과 데이터는 메모리부(160)에 실시간으로 저장되며, 한편, 모니터링부(140)를 확인하여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의 하강 상태가 비정상적이거나 전원공급차단 출력 신호 표시 램프(125)가 점등되지 않아 주공기압축기(10)로 공급되는 전원의 차단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고장 유무 점검 및 수선 단계를 거치게 된다(S560).
한편, 확인 결과,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의 정상적인 하강 상태 및 전원공급차단 출력 신호 표시 램프(125)의 정상 점등이 확인이 되면, 기동 정지 신호 입력부(122)를 통해 주공기 압축기 기동 정지용 신호를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20)에 입력하여(S570), 주공기 압축기(10)의 기동을 정지시키면. 주공기압축기 차단 신호 입력 단계(S500)가 종료되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의 시험방법은 완료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의 시험 방법 중 보조 전원 장치 연장급전시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단계(S300), 직기동 시험 단계(S400) 및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에 공급되는 전원 차단 시험 단계(S500)는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들간에 반드시 선후 관계가 필요한 것은 아니며 편의에 따라 순서를 바꾸어 진행을 하여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의 공정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주공기 압축기 20 :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100 :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
120 : 신호 입출력부 121 : 기동 신호 입력부
122 ; 기동 정지 신호 입력부
123 : 보조 전원 장치 정상 신호 입력부
124 : 보조 전원 장치 정지 신호 입력부
125 : 전원공급차단 출력 신호 표시 램프
126 : 냉방장치 출력 신호 표시 램프
127 : 전압계 128 : 전류계
129 : 주전원 스위치 130 : 제어전원 스위치
131 : 전원 램프 135 : 제어부
140 : 모니터링부 160 : 메모리부

Claims (12)

  1. 열차의 운행 중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계열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 정비소로 이동된 전동차로부터 주공기 압축기 및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를 분리한 후 상기 주공기 압축기 및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의 각 구성 부품에 대해 점검 및 수리를 하기 위한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로써,
    상기 주공기 압축기 및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의 시험을 위해 인버터 운전 모드 및 직기동 운전 모드 동작시 주공기 압축기 모터를 가동시키기 위한 주전원 및 전동차에서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로 입력되는 신호와 동일한 구동을 위한 각종 제어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의 동작 조건과 고장 조건이 전동차와 동일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 입출력부,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와 통신 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가 검지하고 출력하는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링부, 그리고,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의 시험 시간 동안 상기 모니터링부에 표시되는 동작 정보를 포함하는 시험 내용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입출력부는
    주공기 압축기 기동 신호를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기동 신호 입력부,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 신호를 차단하여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기동 정지 신호를 입력하는 기동 정지 신호 입력부,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내에 마련된 보조 전원 장치의 정상 신호를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보조 전원 장치 정상 신호 입력부,
    상기 보조 전원 장치 정상 신호를 차단하여 연장급전되는 상기 주공기 압축기의 기동을 소정 시간 지연 후 동작하게 하기 위한 정지 신호를 입력하는 보조 전원 장치 정지 신호 입력부,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의 과부하로 인해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내에 마련된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치인 회로차단기가 차단될 때, 차단 신호가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에서 정상적으로 출력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전원공급차단 출력 신호 표시 램프,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의 인버터 고장 발생으로 직기동 운전 모드로 전환시 직기동 신호가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에서 정상 출력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냉방장치 출력 신호 표시 램프,
    전압계, 전류계, 주전원 스위치, 제어 전원 스위치 및 전원 램프
    를 포함하며,
    전동차에서 분리된 상기 주공기 압축기 및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를 다시 전동차에 부착하여 점검 및 수리 후 고장 상태 지속 및 수리 완료 여부를 확인할 필요 없이 상기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를 통해 바로 확인이 가능한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기동 신호 입력부, 상기 기동 정지 신호 입력부, 상기 보조 전원 장치 정상 신호 입력부 및 상기 보조 전원 장치 정지 신호 입력부는,
    시험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해당 신호 입력이 가능하도록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거나 알고리즘이 구비된 제어부의 추가에 의해 자동으로 해당 신호 입력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
  4. 제1항에서,
    상기 모니터링부에 표시되는 동작 정보는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의 고장 정보, 램프를 점등하기 위한 접촉기 동작 상태 정보,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의 인버터 입출력 전압 및 전류
    를 포함하는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
  5. 제4항에서,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의 고장 정보는
    주공기 압축기 모터 출력 과부하 고장, 모터 출력 과전류 고장, 기동 지연 고장, 통신 고장, 전원 저전압 고장, 고전압 검지, 오버타임(Overtime) 고장 및 주공기 압축기 고장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
  6. 제4항에서,
    상기 접촉기 동작 상태 정보는
    직기동 공기압축기 접촉기, 직기동 공기압축기 보조 접촉기, 시간 지연 접촉기, 인버터 고장 계전기, 인버터 기동 계전기, 시동 계전기, 모터 접촉기, 연장 급전 시한 계전기, 바이패스 기동, 인버터 기동 및 보조 전원 장치 동작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
  7. 열차의 운행 중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계열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 정비소로 이동된 전동차로부터 주공기 압축기 및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를 분리한 후 상기 주공기 압축기 및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의 각 구성 부품에 대해 점검 및 수리를 하기 위한 상기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를 이용한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방법으로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전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와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의 신호 입출력부와 모니터링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연결 상태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하는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준비 단계,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를 이용하여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의 기동 조건 입력시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가 정상적으로 상기 주공기 압축기를 동작시키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정상 기동 및 정지 시험 단계,
    상기 주공기 압축기의 정상 기동 상태에서 1대의 보조 전원 장치에 고장 신호를 입력하여 해당 주공기 압축기를 정지시키고 연장 급전을 통해 소정 지연 시간 경과 후 해당 주공기 압축기가 재기동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보조 전원 장치 연장급전시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단계,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내 인버터 기능 고장 발생시 인버터 제어 기동에서 직기동으로 정상적으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직기동 시험 단계, 그리고,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의 고장으로 전원공급용 차단기 고장 발생시 정상적으로 고장 정보를 상기 신호 입출력부에 정상적으로 전송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에 공급되는 전원 차단 시험 단계
    를 포함하며,
    전동차에서 분리된 상기 주공기 압축기 및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를 점검 및 수리 후 다시 전동차에 부착하여 고장 상태 지속 및 수리 완료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거칠 필요 없이 상기 시험 단계들의 수행을 통해 바로 확인이 가능한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방법.
  8. 제7항에서,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준비 단계는,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와 상기 신호 입출력부간 주전원을 연결하고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와 신호 입출력부간 제어전원을 연결하고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와 상기 모니터링부간 통신 수단을 연결하고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에 주전원과 제어전원을 인가하여 램프와 전압계 및 전류계의 정상 동작 상태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방법.
  9. 제7항에서,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정상 기동 및 정지 시험 단계는,
    상기 신호 입출력부를 통해 주공기 압축기 기동용 신호를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용 신호 입력에 의해 상기 주공기 압축기의 기동시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내의 인버터가 정상 기동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내의 인버터가 정상 기동되는 경우 상기 주공기 압축기 인버터 기동계전기, 시동계전기 및 모터 접촉기의 정상 동작 상태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인버터 기동계전기, 상기 시동계전기 및 상기 모터 접촉기가 정상 동작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기동 정지 신호 입력부를 통해 주공기 압축기 기동 정지용 신호를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 정지용 신호 입력에 의해 상기 주공기 압축기의 기동이 정상적으로 정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주공기 압축기의 기동이 정상적으로 정지시 상기 인버터 기동계전기, 싱기 시동계전기 및 상기 모터 접촉기의 정상 동작 상태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방법.
  10. 제 7항에서,
    상기 보조 전원 장치 연장급전시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단계는,
    상기 신호 입출력부를 통해 주공기 압축기 기동용 신호를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용 신호 입력에 의해 상기 주공기 압축기의 기동시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내의 인버터가 정상 기동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내의 인버터가 정상 기동되는 경우 상기 신호 입출력부를 통해 보조 전원 장치 중 1대를 정지시키기 위한 보조 전원 장치 정지용 신호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보조 전원 장치 정지용 신호의 입력에 따른 해당 주공기 압축기의 기동 정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해당 주공기 압축기의 정상적인 기동 정지가 완료된 후 소정 지연 시간을 가지고 연장급전에 의해 상기 해당 주공기 압축기가 재기동을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소정 지연 시간을 가지고 상기 해당 주공기 압축기가 재기동 되는 것이 확인이 되면 상기 신호 입출력부를 통해 주공기 압축기 기동 정지용 신호를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에 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방법.
  11. 제7항에서,
    상기 직기동 시험 단계는,
    상기 신호 입출력부를 통해 주공기 압축기 기동용 신호를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용 신호 입력에 의해 상기 주공기 압축기의 기동시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내의 인버터가 정상 기동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내의 인버터가 정상 기동되는 경우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로부터 출력된 직기동 신호를 상기 신호 입출력부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신호 입출력부에 직기동 신호가 정상적으로 입력되는지 여부 및 상기 직기동 신호의 입력에 따른 상기 주공기 압축기의 기동 정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주공기 압축기의 정상적인 기동 정지가 완료된 후 소정 지연 시간을 가지고 상기 주공기 압축기가 직기동을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소정 지연 시간을 가지고 상기 해당 주공기 압축기가 직기동 되는 것이 확인이 되는 경우 상기 신호 입출력부를 통해 주공기 압축기 기동 정지용 신호를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에 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방법.
  12. 제7항에서,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에 공급되는 전원 차단 시험 단계는,
    상기 신호 입출력부를 통해 주공기 압축기 기동용 신호를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용 신호 입력에 의해 상기 주공기 압축기의 기동시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내의 인버터가 정상 기동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내의 인버터가 정상 기동되는 경우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로부터 출력된 주공기 압축기 전원 차단 신호를 상기 신호 입출력부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주공기 압축기 전원 차단 신호의 입력에 따른 상기 주공기 압축기의 동작 정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여부 및 상기 주공기 압축기 전원 차단 신호가 상기 신호 입출력부에 정상적으로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주공기 압축기의 동작 정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공기 압축기 전원 차단 신호가 정상적으로 입력되는 것이 확인이 되는 경우 상기 신호 입출력부를 통해 주공기 압축기 기동 정지용 신호를 상기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에 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 방법.

KR1020140108098A 2014-08-20 2014-08-20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 및 시험 방법 KR101575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098A KR101575518B1 (ko) 2014-08-20 2014-08-20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 및 시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098A KR101575518B1 (ko) 2014-08-20 2014-08-20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 및 시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5518B1 true KR101575518B1 (ko) 2015-12-08

Family

ID=54873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098A KR101575518B1 (ko) 2014-08-20 2014-08-20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 및 시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55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6309A (zh) * 2018-12-27 2019-04-30 江铃控股有限公司 汽车发动机自动启停耐久试验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6309A (zh) * 2018-12-27 2019-04-30 江铃控股有限公司 汽车发动机自动启停耐久试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8317B2 (en) Method for diagnosing the operation of a device for cutting off and connecting a battery from/to the onboard power network of a motor vehicle
RU2570567C1 (ru) Система детектирования неисправности аккумулятора и способ детектирования неисправности аккумулятора для аккумуляторного блока
KR20160046420A (ko) 차량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릴레이 재접속 방법
KR20140017783A (ko)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누전진단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9057750B2 (en) Test of a testing device for determining a voltage state of a high-voltage vehicle electrical system
JP3769843B2 (ja) 電気自動車の強電リレー診断装置
KR20120032925A (ko) 전기기기, 전기기기 시스템 및 그 아크 결함 검출 방법
WO2020113991A1 (zh) 继电器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KR20190086294A (ko) 고전압 전원 분배장치 및 고전압 전원 분배장치의 운영방법
CN108292574A (zh) 用于控制开关装置的开关装置和方法
KR101630140B1 (ko) 전력 공급 제어장치, 및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CN109143063B (zh) 一种空调高低压开关的检测装置和方法
KR101575518B1 (ko)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 및 시험 방법
US20200195016A1 (en) Precharge controller
JP2010273455A (ja) 電気車制御装置
CN108089132B (zh) 一种电机快放电故障确定方法及装置
JP2007244035A (ja) 電気車制御装置
JP2011016391A (ja) 回路遮断器
KR20200069134A (ko) 절연가스 회수오류 자동차단 장치 및 방법
JP5472933B2 (ja) 車両用電源装置及び車両用電源装置の故障部位推定方法
KR20190000383U (ko) 차단기 모의실험장치
CN220064286U (zh) 一种隔离刀闸离合器监视电路
JP7351699B2 (ja) 絶縁検査方法
JP4363258B2 (ja) 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JP2017173245A (ja) 電動車両におけるサービスプラグの断接判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