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5149B1 - 진동 억제 장치 - Google Patents

진동 억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5149B1
KR101575149B1 KR1020140093118A KR20140093118A KR101575149B1 KR 101575149 B1 KR101575149 B1 KR 101575149B1 KR 1020140093118 A KR1020140093118 A KR 1020140093118A KR 20140093118 A KR20140093118 A KR 20140093118A KR 101575149 B1 KR101575149 B1 KR 101575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speed
vibration
unit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3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욱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93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51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5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5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5/0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 B23Q15/007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while the tool acts upon the workpiece
    • B23Q15/12Adaptive control, i.e. adjusting itself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a preassigned criter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ontrol Of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진동 억제 장치는 공구 또는 상기 공구에 의해 가공되는 대상물을 회전시키는 회전부, 상기 공구와 상기 대상물을 상대 이동시키는 이송부 및 상기 회전부 및 상기 이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물에서 상기 공구에 의해 가공되는 부위에 따라 공구 속도를 변화시키며, 상기 공구 속도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 속도 또는 상기 이송부의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동 억제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THE VIBRATION}
본 발명은 공작 기계에 의해 대상물을 가공할 때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작 기계는 대상물을 절삭하는 것으로 초기 설계된 완성물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런데, 절삭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초기 설계치와 다르게 대상물이 절삭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0575433호에는 윤활제를 분출하는 공작 기계가 개시되고 있으나, 진동에 따라 대상물의 가공 상태가 흐트러지는 문제에 대해서는 언급되지 않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0575433호
본 발명은 대상물의 가공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억제하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진동 억제 장치는 공구 또는 상기 공구에 의해 가공되는 대상물을 회전시키는 회전부, 상기 공구와 상기 대상물을 상대 이동시키는 이송부 및 상기 회전부 및 상기 이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물에서 상기 공구에 의해 가공되는 부위에 따라 공구 속도를 변화시키며, 상기 공구 속도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 속도 또는 상기 이송부의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진동 억제 장치는 대상물에서 공구에 의해 가공되는 부위에 따라 공구 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상물의 가공시 발생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정밀한 가공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진동 억제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진동 억제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다른 형태의 대상물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대상물의 위치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의 크기 o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대상물의 일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공구 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진동 억제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진동 억제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진동 억제 장치는 회전부(110), 이송부(13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대상물(10)을 절삭하기 위해 절삭용 공구(30)가 마련될 수 있다.
절삭용 공구(30)를 대상물(1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대상물(10) 또는 공구(30)를 회전시키면 대상물(10)은 절삭된다. 이와 같이 회전부(110)는 공구(30) 또는 공구(30)에 의해 가공되는 대상물(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대상물(10)에서 서로 다른 위치를 가공하기 위해 공구(30) 또는 대상물(10)은 움직일 수 있다. 이송부(130)는 공구(30)와 대상물(10)을 상대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50)는 회전부(110) 및 이송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대상물(10)에서 공구(30)에 의해 가공되는 부위에 따라 공구 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공구 속도'는 회전부(110)의 회전 속도 또는 이송부(130)의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공구(30)가 회전하거나 이동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물론, 이와 반대로 공구(30)가 고정되고, 대상물(10)이 회전하거나 이동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진동 억제 장치에 따르면 공구(30)의 공구 속도, 구체적으로 회전부(110)의 회전 속도 a 또는 이송부(130)의 이동 속도 B는 대상물(10)의 부위마다 달라질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해 대상물(10)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때, 진동을 억제하기 위한 제어부(150)의 제어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진동 억제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공구(30)는 대상물(10)의 제1 위치 x1과 제2 위치 x2를 가공할 수 있다. 이때, 제2 위치 x2는 제1 위치 x1보다 큰 진동이 발생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공구(30)가 제2 위치 x2를 가공할 때의 제2 공구 속도는 공구(30)는 제1 위치 x1을 가공할 때의 제1 공구 속도보다 느릴 수 있다.
제2 위치 x2가 제1 위치 x1보다 큰 진동이 발생되는 구조는 예를 들어 제2 위치 x2의 두께가 제1 위치 x1보다 작은 경우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CAD 등의 공작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상물의 상태를 분석하고, 대상물의 각 두께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두께의 차이를 이용하여 진동에 취약한 부위를 파악할 수 있다.
도 2를 살펴보면, 가운데에 기둥(11)이 접합된 원판(13), 소위 탁자형의 대상물(10)이 개시되고 있다.
이때, 대상물(10)에서 기둥(11)이 배치된 제1 위치 x1의 두께 w1은 외곽의 제2 위치 x2의 두께 w2보다 크다. 이때, 공구(30)가 대상물(10)의 두께 방향(도 2에서 z축 방향)을 따라 대상물(10)을 가압할 때, 공구(30)에 의해 대상물(10)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제1 위치 x1보다 제2 위치 x2에서 크게 발생할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제1 위치 x1의 회전 속도 또는 이동 속도로 공구(30)가 제2 위치 x2에서 움직인다면 제2 위치 x2에서는 구조적 문제로 인하여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을 억제하기 위해 공구 속도는 제1 위치 x1으로부터 제2 위치 x2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느려질 수 있다.
만약, 제어부(150)가 공구 속도를 점진적으로 변화시키기 어려운 경우 제어부(150)는 제1 위치 x1으로부터 제2 위치 x2까지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각 구간마다 서로 다른 공구 속도를 대표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공구(30)가 대상물(10)에서 원판(13)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제2 위치 x2를 가공하더라도, 제어부(150)에 의해 느려진 공구 속도에 의해 진동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한편, 제2 위치 x2의 두께 w2가 제1 위치 x1의 두께 w1보다 작다고 무조건 공구 속도를 변화시키는 것은 불합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x1과 x2 간의 거리, 대상물(10)의 재질에 따라 x1의 공구 속도로 x2에서 공구(30)가 움직여도 별다른 진동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제2 위치의 제2 두께 w2가 제1 위치의 제1 두께 w1과 비교하여 설정값보다 작으면, 제2 위치의 공구 속도를 제1 위치의 공구 속도보다 느리게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설정값은 대상물(10)의 재질,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간의 거리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이때의 설정값은 제1 위치의 두께와 제2 위치의 두께 간의 비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w2가 w1의 두께보다 30% 작으면, 제어부(150)는 공구 속도를 느리게 할 수 있다. 즉, w2가 10cm인 경우 w1이 7cm이하면 제어부(150)는 공구 속도를 느리게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대상물(10)이 탁자형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가공 부위에 따라 두께가 다른 다양한 대상물(10)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는 w의 높이를 갖는 사다리꼴의 대상물(10)이 개시되는데, 이때에도 x2의 공구 속도를 x1의 공구 속도보다 느리게 제어할 수 있다. 사다리꼴의 경우 높이 w가 두께가 되는데, 이때의 두께는 대상물(10)의 가장 자리를 향해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사다리꼴의 대상물(10)에서도 두께의 변화로 인해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제2 위치에서 진동이 생성되지 않도록 하는 공구 속도는 대상물(10)의 재질, 형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공구 속도의 변화량을 결정하기 위해 제어부(150)에는 대상물(10)의 재질, 근처 지지점(도 2의 기둥(11) 등)으로부터의 이격된 거리, 형상 등의 대상물(10)의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대상물(10)의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대상물(10)에 진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공구 속도를 변환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대상물(10)의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물(10)에서 진동에 취약한 부분을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50)에는 실험에 의해 획득된 데이터를 토대로 작성된 룩업 테이블이 마련될 수 있다.
해당 룩업 테이블에는 대상물(10)의 위치별로 대상물(10)의 진동이 감소되는 기준 속도가 기록될 수 있다. 이때의 기준 속도는 사전 실험을 통해 획득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기준 속도에 맞춰 공구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다른 예로, 제어부(150)는 피드백 제어를 통해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전동 억제 장치에는 대상물(10)의 진동을 감지하는 감지부(170)가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감지부(170)에서 진동이 감지되면, 해당 진동이 감소되도록 공구 속도를 느리게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감지부(170)는 대상물(10)에 직접 접촉되는 것이 좋다. 그러나, 대상물(10)이 회전하거나 공구(30)가 대상물(10)의 외면 전체를 가공하는 경우 감지부(170)는 대상물(10)에 설치될 수 없다.
진동 억제 장치에는 공구(30)에 대해 대상물(1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19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감지부(170)는 대상물(10) 대신 고정부(190)에 설치되고, 고정부(190)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즉, 감지부(170)는 대상물(10)을 잡고 있는 고정부(190)의 진동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대상물(10)의 진동을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4는 대상물(10)의 위치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의 크기 o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제1 위치 x1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진동은 비약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도 5는 대상물(10)의 일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에는 탁자형의 대상물(10)이 개시되고 있는데, 기둥(11)이 존재하는 위치 x1으로부터 x2로 갈수록 도 4와 같은 그래프를 추종하는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x1으로부터 x2까지의 70% 지점 x3까지는 진동의 발생이 별로 크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x3를 넘어서면 진동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대상물(10)의 특성을 고려하여 제어부(150)는 도 6과 같이 공구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되는 공구 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살펴보면, x1으로부터 x3까지는 적은 진동이 발생하므로, 공구 속도의 변화량도 작다. 그러나, x3를 넘어서면 급격하게 커지는 진동을 억제하기 위해 공구 속도 역시 급격하게 느려질 수 있다.
공구 속도에서 회전부(110)의 회전 속도 a와 이송부(130)의 이동 속도 b는 동일한 비율로 줄어들수도 있으나, 다르게 변화될 수도 있다.
일예로, 공구(30)는 대상물(10)의 제1 위치 x1과 제2 위치 x2를 가공할 수 있다.
이때, 제2 위치의 두께 w2는 제1 위치의 두께 w1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위치에서 회전부(110)의 회전 속도가 a1이며, 제2 위치에서 회전부(110)의 회전 속도가 a2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위치에서 이송부(130)의 이동 속도가 b1이고, 제2 위치에서 이송부(130)의 이동 속도가 b2일 수 있다. a2 또는 b2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거리가 커질수록 작아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a2 및 b2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갈수록 작아지며, a2/a1은 b2/b1과 다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x1~x3까지의 구간에서 회전 속도 a2는 a1의 70~80% 정도로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x3~x2까지의 구간에서 회전 속도 a2는 a1의 20~30% 정도로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1이 1000rpm인 경우 x1~x3 구간에서 a2는 700~800rpm일 수 있다. 그리고, x3~x2 구간에서 a2는 200~300rpm일 수 있다.
x1~x3까지의 구간에서 이동 속도 b2는 b1의 60~70% 정도로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x3~x2까지의 구간에서 이동 속도 b2는 a1의 10~20% 정도로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1이 10cm/s인 경우 x1~x3 구간에서 b2는 6~7cm/s일 수 있다. 그리고, x3~x2 구간에서 b2는 1~2cm/s일 수 있다.
정리하면, 대상물(10)의 위치에 따른 공구(30)의 이동 속도의 감소율은 회전 속도의 감소율보다 클 수 있다.
공구(30)가 이송부(130)에 의해 이송된다는 것은 대상물(10)에서 아직 가공되지 않은 새로운 부분과 접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회전 속도가 감소되면 절삭 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의미하는데, 절삭 능력이 감소된 상태에서 공구(30)의 이동 속도가 빠르면 공구(30)가 훼손되거나 대상물(10)의 절삭면이 고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공구(30)의 회전 속도가 제1 비율로 감소되고, 공구(30)의 이동 속도가 제2 비율로 감소될 때, 제2 비율은 제1 비율보다 클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진동 억제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진동 억제 장치를 구성하는 제어부(150)는 회전부(110)의 회전 속도 및 이송부(130)의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공작 기계 장치에서 이러한 기능을 담당하는 요소로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에 근거하여 진동 억제 장치를 구성하는 제어부(150)는 CNC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에는 수치 제어 프로그램을 해석 및 처리하고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처리기(151), 회전부(110)를 제어하는 회전 제어기(153), 이송부(130)를 제어하는 이송 제어기(155)가 마련될 수 있다. 이들 처리기(151), 회전 제어기(153) 및 이송 제어기(155)는 일반적인 CNC를 구성하는 요소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여기에 더하여 처리기(151)와 회전 제어기(153)/이송 제어기(155)의 사이에 보조 제어기(157)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제어기(157)에는 감지부(170) 또는 검출기(159)가 연결될 수 있다.
처리부는 NC 프로그램을 해석 처리하고, 해석된 궤적 데이터에 맞춰 공구(30)의 위치 지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동 속도 b나 가속도 정보 등을 블럭 단위(코드 단위)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NC 프로그램에 있어서 지정된 회전부(110)의 회전 속도 a나 가속도 정보 등을 블럭 단위로 출력할 수 있다.
NC 프로그램은 CAD 시스템이나 자동 프로그래밍 시스템에서 작성되고, 기억 매체 또는 통신망을 통해 처리기(151)로 입력될 수 있다.
보조 제어기(157)는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블럭 단위의 제어 정보를 소정 형태로 변경하거나, 해당 제어 정보에 새로운 제어 정보를 부가할 수 있다.
처리기(151)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에는 진동을 고려하지 않은 회전부(110)의 회전 속도와 이송부(130)의 이동 속도가 포함될 수 있다.
보조 제어기(157)는 CAD 데이터 등의 대상물(10) 정보를 분석하여 구조적으로 진동에 취약한 부분을 파악하고, 진동에 취약한 부분에 대해서는 처리기(151)에서 생성된 공구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공구(30)가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보조 제어기(157)는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공구 속도를 조절하거나, 감지부(170)의 감지 결과에 따라 공구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회전 제어기(153)는 처리기(151)로부터 획득한 회전부(110)의 회전 속도 지령과 회전부(110)에 장착된 검출기(159)로부터 획득된 회전 속도의 편차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그 편차를 이용해 회전부(11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송 제어기(155)는 처리기(151)로부터 획득한 이송부(130)의 이동 속도 지령과 이송부(130)에 장착된 검출기(159)로부터 획득된 이동 속도의 편차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그 편차를 이용해 이송부(130)의 이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의 구성을 살펴보면, 기존의 CNC에 보조 제어기(157)를 부가하는 것에 진동 억제 장치가 구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의 보조 제어기(157)는 프로그램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므로, 기존에 사용되는 CNC에도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대상물 11...기둥
13...원판 110...회전부
130...이송부 150...제어부
151...처리기 153...회전 제어기
155...이송 제어기 157...보조 제어기
159...검출기 170...감지부
190...고정부

Claims (10)

  1. 공구 또는 상기 공구에 의해 가공되는 대상물을 회전시키는 회전부;
    상기 공구와 상기 대상물을 상대 이동시키는 이송부; 및
    상기 회전부 및 상기 이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물에서 상기 공구에 의해 가공되는 부위에 따라 공구 속도를 변화시키며,
    상기 공구는 상기 대상물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를 가공하고,
    상기 제1 위치의 두께와 상기 제2 위치의 두께가 다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위치의 제2 두께가 상기 제1 위치의 제1 두께와 비교하여 설정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2 위치의 공구 속도를 상기 제1 위치의 공구 속도보다 느리게 제어하는 진동 억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속도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느려지는 진동 억제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대상물의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물의 정보를 분석하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물에 진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공구 속도를 변화시키는 진동 억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룩업 테이블이 마련되고,
    상기 룩업 테이블에는 상기 대상물의 위치별로 상기 대상물의 진동이 감소되는 기준 속도가 기록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속도에 맞춰 상기 공구 속도를 조절하는 진동 억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의 진동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에서 진동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이 감소되도록 상기 공구 속도를 느리게 제어하는 진동 억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에 대해 상기 대상물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고정부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억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는 상기 대상물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를 가공하고,
    상기 제2 위치의 두께는 상기 제1 위치보다 작으며,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회전부의 회전 속도가 a1이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회전부의 회전 속도가 a2이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이송부의 이동 속도가 b1이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이송부의 이동 속도가 b2이며,
    상기 a2 또는 상기 b2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거리가 커질수록 작아지는 진동 억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는 상기 대상물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를 가공하고,
    상기 제2 위치의 두께는 상기 제1 위치보다 작으며,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회전부의 회전 속도가 a1이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회전부의 회전 속도가 a2이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이송부의 이동 속도가 b1이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이송부의 이동 속도가 b2이며,
    상기 a2 및 상기 b2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갈수록 작아지며,
    a2/a1는 b2/b1과 다른 진동 억제 장치.
KR1020140093118A 2014-07-23 2014-07-23 진동 억제 장치 KR101575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118A KR101575149B1 (ko) 2014-07-23 2014-07-23 진동 억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118A KR101575149B1 (ko) 2014-07-23 2014-07-23 진동 억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5149B1 true KR101575149B1 (ko) 2015-12-08

Family

ID=54872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118A KR101575149B1 (ko) 2014-07-23 2014-07-23 진동 억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51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5985A1 (ko) * 2018-11-19 2020-05-2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지그 배치를 고려한 가공 경로와 가공 순서를 이용한 cfrp 가공 방법 및 유연지그변형 방지구조가 적용된 가공장비
KR20200059359A (ko) * 2018-11-20 2020-05-2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지그 배치를 고려한 가공 경로와 가공 순서를 이용한 cfrp 가공 방법 및 장치
WO2024029842A1 (ko) * 2022-08-02 2024-02-08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터닝 가공 시 미세 진동 상쇄 시스템 및 이의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4852A (ja) 2005-08-12 2007-02-22 Univ Nagoya 機械加工装置、機械加工装置の回転数演算装置、機械加工装置のびびり振動評価装置および機械加工装置のびびり振動評価方法
KR200436117Y1 (ko) 2007-02-15 2007-05-31 경성산업(주) 로터리 테이블이 안치된 머시닝 센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4852A (ja) 2005-08-12 2007-02-22 Univ Nagoya 機械加工装置、機械加工装置の回転数演算装置、機械加工装置のびびり振動評価装置および機械加工装置のびびり振動評価方法
KR200436117Y1 (ko) 2007-02-15 2007-05-31 경성산업(주) 로터리 테이블이 안치된 머시닝 센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5985A1 (ko) * 2018-11-19 2020-05-2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지그 배치를 고려한 가공 경로와 가공 순서를 이용한 cfrp 가공 방법 및 유연지그변형 방지구조가 적용된 가공장비
KR20200059359A (ko) * 2018-11-20 2020-05-2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지그 배치를 고려한 가공 경로와 가공 순서를 이용한 cfrp 가공 방법 및 장치
KR102144909B1 (ko) 2018-11-20 2020-08-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지그 배치를 고려한 가공 경로와 가공 순서를 이용한 cfrp 가공 방법 및 장치
WO2024029842A1 (ko) * 2022-08-02 2024-02-08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터닝 가공 시 미세 진동 상쇄 시스템 및 이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9123B2 (en) Machine tool with function to automatically modify cutting conditions
Kim et al. Fuzzy-logic control of cutting forces in CNC milling processes using motor currents as indirect force sensors
Ismail et al. Chatter suppression in five-axis machining of flexible parts
JP6140130B2 (ja) 工具及び被加工物を保護する数値制御装置
US10137555B2 (en) Workpiece machining method
KR101575149B1 (ko) 진동 억제 장치
JPWO2012057219A1 (ja) 工作機械の数値制御方法及び数値制御装置
JP6865058B2 (ja) 工作システム、切削加工品の製造方法、加工プログラム修正装置、修正加工プログラムの作成方法、及び工作機械制御装置
JP5204934B1 (ja) 切削抵抗解析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切削加工装置、切削抵抗解析プログラム
WO2015141545A1 (ja) 工作機械切削条件最適化装置及び方法
JP6865059B2 (ja) 工作システム、切削加工品の製造方法、加工プログラム修正装置、修正加工プログラムの作成方法、及び工作機械制御装置
EP36779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chining parts with variable stiffness
JP6444923B2 (ja) 数値制御装置
JP5886717B2 (ja) 繰返し学習位置制御装置
JP7036786B2 (ja) 数値制御装置、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US11340587B2 (en) Numerical controller
JP6865057B2 (ja) 工作機械制御装置、工作機械制御方法及び工作機械制御システム
JP7007531B1 (ja) 情報処理装置、工作機械の制御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20003958A (ja) 数値制御装置
JP5494378B2 (ja) ねじ切り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JP6457588B2 (ja) 数値制御装置
JP2020194511A (ja) 数値制御装置及び工作機械
JP2020086642A (ja) 数値制御装置
JP6923736B2 (ja) 数値制御装置
JP2021058992A (ja) 数値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