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5142B1 - 이중화 장치 - Google Patents

이중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5142B1
KR101575142B1 KR1020140107030A KR20140107030A KR101575142B1 KR 101575142 B1 KR101575142 B1 KR 101575142B1 KR 1020140107030 A KR1020140107030 A KR 1020140107030A KR 20140107030 A KR20140107030 A KR 20140107030A KR 101575142 B1 KR101575142 B1 KR 101575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merical control
module
machine tool
power
speci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주연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07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5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5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5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이중화 장치는 하나의 공작 기계에 직접 연결되거나 간접 연결되는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유니트에는 상기 공작 기계를 구동시키는 동일한 기능의 모듈이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유니트에서 상기 공작 기계를 구동시키는 특정 모듈에 이상이 발생하면, 다른 모듈이 상기 특정 모듈을 대체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화 장치{DUPLICATED DEVICE}
본 발명은 공작 기계를 신뢰성 있게 구동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작 기계는 대상물을 절삭하는 것으로 초기 설계된 완성물을 생성할 수 있다.
공작 기계를 구동하는 부재에 문제가 발생하면, 공작 기계는 동작할 수 없다. 근래 공장 자동화에 따르면 일부 공정 단계에서 이상이 발생하면 전체 공정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공작 기계는 구동 부재가 고장나더라도 정상적으로 동작할 필요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0575433호에는 윤활제를 분출하는 공작 기계가 개시되고 있으나, 구동 부재의 이상시 공작 기계의 정상 동작 방안에 대해서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0575433호
본 발명은 특정 구동 부재의 고장에도 불구하고 공작 기계가 정상 동작하도록 하는 이중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중화 장치는 하나의 공작 기계에 직접 연결되거나 간접 연결되는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유니트에는 상기 공작 기계를 구동시키는 동일한 기능의 모듈이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유니트에서 상기 공작 기계를 구동시키는 특정 모듈에 이상이 발생하면, 다른 모듈이 상기 특정 모듈을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중화 장치는 공작 기계에 연결된 수치 제어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수치 제어 유니트에는 단독으로 상기 공작 기계를 제어할 수 있는 수치 제어 모듈이 복수로 마련되며, 특정 수치 제어 모듈이 상기 공작 기계를 제어하면, 나머지 수치 제어 모듈은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특정 수치 제어 모듈의 제어 정보는 상기 나머지 수치 제어 모듈에 공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중화 장치는 공작 기계에 연결된 전원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유니트에는 단독으로 상기 공작 기계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 모듈이 복수로 마련되며, 특정 전원 모듈이 상기 공작 기계에 전력을 공급하면, 나머지 전원 모듈은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특정 전원 모듈에 이상이 발생하면, 다른 전원 모듈이 상기 특정 전원 모듈을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중화 장치는 공작 기계에 연결된 유니트에 공작 기계를 구동시키는 동일한 기능의 모듈이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공작 유니트를 구동시키는 특정 모듈에 이상이 발생하면 다른 모듈로 특정 모듈을 대체할 수 있다.
그 결과, 특정 모듈의 고장에도 불구하고 공작 기계는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중화 장치에서 수치 제어 유니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구치 제어 모듈은 동일한 정보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상이 발생한 특정 수치 제어 모듈이 다른 것으로 대체되어도, 진행되던 작업을 그대로 이어받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중화 장치에 따르면 공작 기계에 전력을 공급하는 모듈 또한 이중화될 수 있다. 그 결과, 특정 전원 모듈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공작 기계에 대한 전력 공급 또는 전력 차단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중화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중화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중화 장치의 다른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중화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이중화 장치에는 하나의 공작 기계(10)에 연결되는 유니트가 마련될 수 있다.
유니트는 공작 기계(10)에 직접 연결되거나, 다른 요소를 거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의 연결은 전기적 연결 또는 통신적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공작 기계(10)에는 복수의 유니트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각 유니트에는 공작 기계(10)를 구동시키는 동일한 기능의 모듈이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의 각 모듈은 서로 다른 공작 기계(10)를 위한 것이 아니라, 하나의 동일한 공작 기계(10)를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각 모듈은 단독으로 공작 기계(10)를 구동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유니트에서 공작 기계(10)를 구동시키는 특정 모듈에 이상이 발생하면, 다른 모듈이 특정 모듈을 대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일 기능을 구현하는 모듈을 복수로 마련하고, 특정 모듈에 이상 발생시 여분의 다른 모듈로 대체하는 것을 '이중화'라 칭하기로 한다.
이중화에 따르면 현재 공작 기계(10)를 구동시키는 특정 모듈이 고장나더라도, 여분의 다른 모듈이 특정 모듈을 대체함으로써, 해당 공작 기계(10)는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공작 기계(10)를 정상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유니트가 공작 기계(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니트에는 공작 기계(10)를 구동시키기 위해 전원 유니트(110), 수치 제어 유니트(130), 연결 유니트(151, 152, 153), 전력 공급 유니트(170), 모니터링 유니트(190) 중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전원 유니트(110)에는 공작 기계(1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111)이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일예로, 전원 유니트(110)에 전원 모듈 a, b가 마련되고, a가 공작 기계(10)에 전력을 공급하는 상태일 수 있다. 이때, b는 공작 기계(10)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만약, 특정 시점에서 a가 고장나면, b가 a를 대신하여 공작 기계(1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공작 기계(10)에 연결된 특정 전원 모듈(111)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해당 공작 기계(10)는 정상적으로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수치 제어 유니트(130)에는 공작 기계(10)를 제어하는 수치 제어 모듈(131)이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일예로, 수치 제어 유니트(130)에 수치 제어 모듈 1, 2가 마련되고, 1이 공작 기계(10)를 제어하는 상태일 수 있다. 이때, 2는 공작 기계(10)를 제어하지 않는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2는 1이 고장나면 1을 대신하여 공작 기계(10)를 제어할 수 있다.
연결 유니트(151, 152, 153)에는 서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수치 제어 유니트(130)와 공작 기계(10)를 연결하거나, 전원 유니트(110)와 수치 제어 유니트(130)를 연결하는 통신 채널 모듈이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통신 채널 모듈은 구체적으로 통신망을 형성하는 통신 라인, 무선 통신 채널, 유선 통신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채널 모듈에는 수치 제어 유니트(130)와 공작 기계(10)를 연결하는 제1 통신 채널 모듈(151)과 전원 유니트(110)와 수치 제어 유니트(130)를 연결하는 제2 통신 채널 모듈(152)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채널 모듈에는 모니터링 유니트(190)와 다른 유니트를 연결하는 제3 통신 채널 모듈(153)이 마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치 제어 유니트(130)와 공작 기계(10)의 사이에는 1개의 제1 통신 채널 모듈(151), 일예로 유선 통신 라인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유선 통신 라인이 오동작하는 경우 수치 제어 유니트(130)와 공작 기계(10)는 서로 통신할 수 없다. 따라서, 수치 제어 유니트(130)의 제어를 받는 공작 기계(10)는 정지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통신 채널 모듈(151)이 복수로 마련되므로, 특정 모듈에서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모듈을 통해 수치 제어 유니트(130)와 공작 기계(10)는 정상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이는, 전원 유니트(110)와 수치 제어 유니트(13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전력 공급 유니트(170)에는 전원 유니트(110)의 전원을 공작 기계(10)로 전달하는 전력 라인 모듈이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의 전력 라인 모듈은 전력이 흐르는 전력선 등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원 유니트(110)와 공작 기계(10)의 사이에는 1개의 전력선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전력선이 오동작하는 경우, 예를 들어 단선된 경우 공작 기계(10)는 전력을 제공받을 수 없고, 이에 따라 구동이 정지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 라인 모듈이 복수로 마련되므로, 특정 모듈이 고장나더라도, 공작 기계(10)는 다른 전력 라인 모듈을 이용해 구동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모니터링 유니트(190)에는 공작 기계(10), 전원 유니트(110), 수치 제어 유니트(130), 연결 유니트 및 전력 공급 유니트(170)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감시하는 모니터링 모듈(191)이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모니터링 모듈(191)에는 각 유니트의 상태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부(미도시), 분석부에서 분석된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마련될 수 있다. 그런데, 하나의 분석부 및 하나의 디스플레이가 마련된다면, 분석부 또는 디스플레이의 고장시 각 유니트의 감시가 불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모니터링 모듈(191)이 마련되므로, 특정 모니터링 모듈(191)이 고장나더라도, 다른 모니터링 모듈(191)을 이용해 각 유니트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한편, 유니트에 복수의 모듈이 마련된 경우, 특정 모듈의 고장시 어느 모듈이 특정 모듈을 대체할지 결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 유니트에 마련된 각 모듈에는 우선 순위가 부여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모듈을 대체하는 모듈은 우선 순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예로, 도 1에서 전원 유니트(110)에는 전원 모듈 a, b,..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전원 모듈 a에 1순위를 부여하고, b에 2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공작 기계(10)에 어떤 전원 모듈(111)도 연결되지 않은 상태라면, 1순위가 부여된 전원 모듈 a가 공작 기계(10)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모듈 a에 이상이 발생하면, 그 다음으로 가장 높은 2순위가 부여된 전원 모듈 b가 a를 대신하여 공작 기계(10)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중화 장치에는 하나의 공작 기계(10)를 구동시키는 특정 모듈 및 여분의 모듈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모듈에 이상이 발생하면 여분의 모듈이 특정 모듈을 대체하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이중화 장치가 적용된 공작 기계(10)는 특정 모듈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수치 제어 유니트(130), 전원 유니트(110)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수치 제어 유니트(130)에는 단독으로 공작 기계(10)를 제어할 수 있는 수치 제어 모듈(131)이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특정 수치 제어 모듈(131)이 공작 기계(10)를 제어하면, 나머지 수치 제어 모듈(131)은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중화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수치 제어 유니트(130)에 수치 제어 모듈 1과 수치 제어 모듈 2가 마련될 때, 기본적으로 수치 제어 모듈 1이 공작 기계(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수치 제어 모듈 2는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시점 t1까지 공작 기계(10)의 공정이 진행된 상태에서 수치 제어 모듈 1에 이상이 발생하면, 수치 제어 모듈 2가 수치 제어 모듈 1을 대체할 수 있다.
전원 모듈(111)도 이와 유사하게 동작할 수 있는데, 전원 모듈(111)의 경우에는 서로 동일한 정보를 공유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왜냐하면, 특정 전원 모듈에서 100의 전력을 제공하는 중 고장나면, 다른 전원 모듈에서 100의 전력을 제공하면 충분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t1 시점에 수치 제어 모듈 1을 대신하여 수치 제어 모듈 2가 공작 기계(10)를 제어하는 경우는 이와 다르다. t1 시점에 투입된 수치 제어 모듈(131) 2는 t1 시점까지 이루어진 공정의 다음 공정을 진행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만약, 수치 제어 모듈 1의 제어 정보를 공유하지 않은 상태라면, 수치 제어 모듈 2는 어느 공정부터 진행해야하는지 알 수 없다. 따라서, 수치 제어 모듈 2는 최초 공정부터 다시 공작 기계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치 제어 모듈 1에 의해 t0~t1까지 제1 공정이 진행된 상태라 하더라도, 수치 제어 모듈 2에 의해 제1 공정부터 다시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특정 수치 제어 모듈(131), 위 예에서는 수치 제어 모듈 1의 제어 정보는 나머지 수치 제어 모듈에 공유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수치 제어 모듈 1을 대체한 수치 제어 모듈 2는 t1 시점까지 제1 공정이 진행된 상태임을 알 수 있고, 따라서, 제1 공정 다음의 제2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정리하면, 특정 수치 제어 모듈을 대체한 수치 제어 모듈은 기공유된 특정 수치 제어 모듈의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시점 다음의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공작 기계(10)에 대한 제어기가 다른 수치 제어 모듈(131)로 대체된 후 특정 수치 제어 모듈은 이상 상태를 회복하기 위해 리부팅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수치 제어 모듈은 리부팅 후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상태 체크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태 체크 모드의 구동 결과 리부팅에 의해 이상이 해소된 상태이면, 특정 수치 제어 모듈은 복구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복구 모드는 특정 수치 제어 모듈(131)을 대체한 다른 모듈로부터 현재의 제어 정보를 입수하고, 다시 공작 기계(10)에 대한 제어권을 회수하는 모드일 수 있다. 복구 모드에 따르면 공작 기계(10)는 다시 특정 수치 제어 모듈(131)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2에서 특정 수치 제어 모듈 1은 t1에서 이상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공작 기계(10)에 대한 제어권은 수치 제어 모듈 2로 넘어갈 수 있다. 수치 제어 모듈 2가 공작 기계(10)를 제어하는 상태에서 수치 제어 모듈 1은 리부팅되고 상태 체크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태 체크 모드에서 이상이 해소된 상태로 판단되면, 수치 제어 모듈 1은 복구 모드로 동작하고, 복구 모드가 완료된 t2 시점에서 수치 제어 모듈 2로부터 제어권을 다시 되찾을 수 있다.
만약, 상태 체크 모드의 구동 결과 이상이 유지된 상태이면, 수치 제어 모듈 1은 이상이 발생된 부위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작 기계(10)에 연결된 전원 유니트(110)에도 이중화가 적용될 수 있다. 즉, 전원 유니트(110)에는 단독으로 공작 기계(1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 모듈(111)이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전원 모듈(111)이 공작 기계(10)에 전력을 공급하면, 나머지 전원 모듈(111)은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만약, 특정 전원 모듈(111)에 이상이 발생하면, 전원 유니트(110)에 마련된 다른 전원 모듈(111)이 특정 전원 모듈(111)을 대체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공작 기계(10)로는 항상 정상적인 전력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비상 상황 발생기 공작 기계(10)로 제공되는 전력은 반드시 차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이중화 장치에는 스위치부(113)가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중화 장치의 다른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중화 장치에는 공작 기계(10)와 특정 전원 모듈(111)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스위치부(113)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전원 모듈(111)의 전력은 스위치부(113)가 모두 온(on)된 상태, 다시 말해 모두 연결된 상태에서만 공작 기계(10)로 전달될 수 있다.
일예로, 전원 모듈(111)과 공작 기계(10)를 연결하는 전력 공급 유니트(170), 일예로 전력선에 복수의 스위치부(113)를 직렬로 연결하면, 모든 스위치부(113)가 모두 온(on) 되어야만 공작 기계(10)로 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반대로, 복수의 스위치부(113) 중 어느 하나만 끊어져도 전력 공급은 중단될 수 있다.
비상 상황 발생시 복수의 스위치부(113)에 오프(off)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스위치부(113)가 정상적으로 오프되지 않고 온 상태를 유지하더라도, 정상적인 다른 스위치부(113)가 오프되면, 전력 공급은 차단될 수 있다.
스위치부(113)를 이용해 전력을 차단하는 방법 외에 전원 모듈(111) 자체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복수의 스위치부(113)와 전원 모듈(111)에 전력을 차단할 것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가 전달될 필요가 있다.
이때의 제어 신호는 수치 제어 유니트(130)에서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제어 신호는 수치 제어 유니트(130)와 스위치부(113)를 연결하는 제2 통신 채널 모듈(152)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제2 통신 채널 모듈(152)이 1개라면, 이상 발생시 제어 신호는 정상적으로 스위치부(113) 또는 전원 모듈(111)로 전달되기 어렵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2 통신 채널 모듈(152)은 적어도 스위치부(113)의 개수만큼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전원 모듈(111)을 위해 더 추가될 수도 있다.
여기서, 수치 제어 유니트(130)는 각 제2 통신 채널 모듈(152)을 통해 동일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수치 제어 유니트(130)에도 이중화가 적용된 상태라면, 특정 수치 제어 모듈(131), 특정 통신 채널 모듈, 특정 스위치부(113), 특정 전원 모듈(111)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공작 기계(10)에 대한 전력 차단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공작 기계 110...전원 유니트
111...전원 모듈 113...스위치부
130...수치 제어 유니트
131...수치 제어 모듈 151...제1 통신 채널 모듈
152...제2 통신 채널 모듈 153...제3 통신 채널 모듈
170...전력 공급 유니트 190...모니터링 유니트
191...모니터링 모듈

Claims (10)

  1. 공작 기계에 연결된 전원 유니트; 및
    상기 공작 기계와 상기 전원 유니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유니트에는 단독으로 상기 공작 기계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 모듈이 복수로 마련되며,
    특정 전원 모듈이 상기 공작 기계에 전력을 공급하면, 나머지 전원 모듈은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특정 전원 모듈에 이상이 발생하면, 다른 전원 모듈이 상기 특정 전원 모듈을 대체하며,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공작 기계와 하나의 상기 특정 전원 모듈의 사이에 복수개가 직렬로 배치되고,
    상기 특정 전원 모듈의 전력은 상기 스위치부가 모두 온(on)된 상태에서만 상기 공작 기계로 전달되는 이중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수치 제어 유니트; 및
    상기 수치 제어 유니트와 상기 스위치부를 연결하는 통신 채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채널 모듈은 적어도 상기 스위치부의 개수만큼 마련되며,
    상기 수치 제어 유니트는 상기 각 통신 채널 모듈로 동일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이중화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작 기계에 연결된 수치 제어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수치 제어 유니트에는 단독으로 상기 공작 기계를 제어할 수 있는 수치 제어 모듈이 복수로 마련되며,
    특정 수치 제어 모듈이 상기 공작 기계를 제어하면, 나머지 수치 제어 모듈은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특정 수치 제어 모듈의 제어 정보는 상기 나머지 수치 제어 모듈에 공유되는 이중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제1 시점까지 상기 공작 기계의 공정이 진행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수치 제어 모듈에 이상이 발생하면, 다른 수치 제어 모듈이 상기 특정 수치 제어 모듈을 대체하고,
    상기 특정 수치 제어 모듈을 대체한 수치 제어 모듈은 기공유된 상기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시점 다음의 공정을 진행하는 이중화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수치 제어 모듈에 이상이 발생하면, 다른 수치 제어 모듈이 상기 특정 수치 제어 모듈을 대체하고,
    상기 특정 수치 제어 모듈은 리부팅 후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상태 체크 모드로 동작하는 이중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체크 모드의 구동 결과 이상이 해소된 상태이면, 상기 특정 수치 제어 모듈은 복구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상태 체크 모드의 구동 결과 이상이 유지된 상태이면, 상기 특정 수치 제어 모듈은 이상이 발생된 부위를 표시하는 이중화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40107030A 2014-08-18 2014-08-18 이중화 장치 KR101575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030A KR101575142B1 (ko) 2014-08-18 2014-08-18 이중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030A KR101575142B1 (ko) 2014-08-18 2014-08-18 이중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5142B1 true KR101575142B1 (ko) 2015-12-08

Family

ID=54872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030A KR101575142B1 (ko) 2014-08-18 2014-08-18 이중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514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6133A (ja) 2002-04-05 2003-10-17 Fuji Electric Co Ltd コントロー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6133A (ja) 2002-04-05 2003-10-17 Fuji Electric Co Ltd コントロー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5842B2 (ja) ビルディングブロック型のセーフティ・コントローラにおけるioユニット
EP1705539B1 (en) Emergency-stop device
JP2007021685A (ja) ロボットシステム及びロボット制御装置
EP1710642B1 (en) Distributed control apparatus
KR101431301B1 (ko) 안전 증설 베이스 및 그의 제어방법
CN105229884B (zh) 电动机控制装置以及电动机控制系统
CN112647992B (zh) 一种基于EtherCAT总线的液压支架电液控制方法
CN104571041A (zh) 基于1:1控制器冗余的数据同步方法
CN108153263A (zh) 一种dcs控制器冗余方法及装置
CN105373071A (zh) 电源管理装置以及具备该电源管理装置的机床
KR20140141938A (ko) Plc 시스템에서 통신모듈의 이중화 방법
KR101575142B1 (ko) 이중화 장치
CN104597827A (zh) 支持环路冗余控制的智能电动控制执行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201294B1 (ko) 엘이디 패널을 구비한 정보 표시 시스템
CN107819617B (zh) 一种通信设备的监控方法和通信设备
US20110202146A1 (en) Method for triggering actions of a machine using secure input elements
US20150149821A1 (en) Electrical installation having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JP2010097471A (ja) プロセス制御システム
KR20150099153A (ko) 철도차량 도어 제어시스템
JPH11161326A (ja) 数値制御装置
JP2004206212A (ja) 運用監視システム
JP2009262884A (ja) 冗長系を有した設備運用システムおよび設備運用方法
JPH103312A (ja) 数値制御装置の管理方法
JP5924616B2 (ja) 冗長化無線制御システム
KR101858303B1 (ko) 동기화 기능을 구비한 hmi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