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998B1 - 오존발생량이 적은 유전집진필터 - Google Patents

오존발생량이 적은 유전집진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998B1
KR101574998B1 KR1020150010208A KR20150010208A KR101574998B1 KR 101574998 B1 KR101574998 B1 KR 101574998B1 KR 1020150010208 A KR1020150010208 A KR 1020150010208A KR 20150010208 A KR20150010208 A KR 20150010208A KR 101574998 B1 KR101574998 B1 KR 101574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electrode
dielectric
positive electrode
electrode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0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광
이상복
김정재
정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에스티
Priority to KR1020150010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9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팅층이 형성된 유전체를 더 포함함으로써 잔여 오존을 분해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적은 전압을 인가할 수 있게 되어 오존발생량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유전집진필터를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유전집진필터는, 전압이 인가되는 양전극, 양전극의 후단에 위치하는 제1 음전극, 제1 음전극의 후단에 접지되는 제1 유전체, 제1 유전체 후단에 위치하는 제2 음전극, 제2 음전극의 후단에 접지되는 제2 유전체를 포함하고, 제2 유전체는 표면에 형성되는 촉매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존발생량이 적은 유전집진필터{ELECTRIC DUST COLLECTING FILTER REDUCING QUANTITY OF OZONE}
본 발명은 유전집진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코팅층이 형성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잔여 오존을 분해하고, 나아가 적은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오존발생량이 현저하게 감소하게 되는 유전집진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전집진필터는 전기적인 방법으로 가스 또는 액체 속에 부유하는 고체 또는 액체의 입자를 제거하거나 채집하는 장치이다. 유전집진필터는 양극 사이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생긴 전하가 입자에 부착, 대전입자가 되어 정전기력에 의해 반대극성의 전극에 끌려 이동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유전집진필터는 방전부(이온화부)와 집진부를 포함한다. 방전부는 고전압이 인가되는 방전극을 포함하여, 방전극에 고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발생하는 코로나 방전을 통해 생성된 e+ 또는 e- 가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하전시킨다. 집진부는 + 및 - 극성으로 대전된 다수의 집진판을 포함하고, 집진판을 통해 이온화부에서 하전된 미세분진들을 포집하여 집진하게 된다.
유전집진필터는 공기 유동방향으로 방전부가 포집부 이전에 설치되고, 공기 중의 미세입자가 방전부를 통과하면서 이온화된 후 포집부를 통과하면서 포집부에 포집된다.
그러나 이러한 유전집진필터는 방전부에서 플라즈마가 발생하게 되는데, 플라즈마 발생시 필수적으로 오존 생성을 수반하게된다. 정화과정 중 생성된 오존은 그대로 다시 공기중으로 배출되고, 또다른 유해물질로서 2차 환경오염을 야기함이 문제 되고 있다.
01.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90516호 (2013.08.14) 02.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464516호 (2014.11.18)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코팅층이 형성된 유전체를 더 포함함으로써 잔여 오존을 분해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적은 전압을 인가할 수 있게 되어 오존발생량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유전집진필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유전집진필터는 전압이 인가되는 양전극, 상기 양전극의 후단에 위치하는 제1 음전극, 상기 제1 음전극의 후단에 접지되는 제1 유전체, 상기 제1 유전체 후단에 위치하는 제2 음전극, 상기 제2 음전극의 후단에 접지되는 제2 유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유전체는 표면에 형성되는 촉매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촉매층은 제2 유전체의 표면에 불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촉매층은 활성탄, 니켈(Ni), 구리(Cu), 백금(Pt), 철(Fe), 코발트(Co)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은 +3kV 내지 +7kV 이고, 상기 제1 음전극 및 제2 음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은 -7kV 내지 -3kV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양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은 +4kV이고, 상기 제1 음전극 및 제2 음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은 -6kV일 수 있다.
또한, 본발명의 양전극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극와이어를 포함하고, 양극와이어는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양극와이어의 배열 간격은 20 mm 내지 30mm 일 수 있다. 더불어 양전극은 양극와이어가 상호 직교함으로써 메쉬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음전극은 제1 음전극홀을 포함하는 타공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음전극은 제2 음전극홀을 포함하는 타공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1 음전극홀 및 제2 음전극홀은, 타공직경이 4 mm 내지 7 mm 이고, 개방비가 35 % 내지 50 %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의 제1 음전극홀 및 제2 음전극홀은 엇갈린 상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음전극 및 제2 음전극은 하나 이상의 음극와이어가 상호 직교함으로써 메쉬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유전체 및 제2 유전체는 우레탄폼, 폴리프로필렌폼, 폴리에틸렌폼, 폴리스티렌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양전극과 제1 음전극, 제1 음전극과 제1 유전체, 제1 유전체와 제2 음전극, 및 제 2 음전극과 제2 유전체를 상호 조립할 수 있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은 양전극의 전단에 프리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코팅층이 형성된 유전체를 포함함으로써, 방전으로부터 발생되는 오존을 분해하여 오존의 배출을 억제하고, 2차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은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오존발생량이 감소하여, 2차 환경오염을 야기하지 않는 유전집진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를 분리하여 세척이 용이하므로 청결 및 수명 연장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집진필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집진필터가 도시된 단면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집진필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집진필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전집진필터는 양전극(10), 제1 음전극(20), 제1 유전체(30), 제2 음전극(40), 제2 유전체(50)를 포함한다. 양전극(10), 제1 음전극(20) 및 제1 유전체(30), 제2 음전극(40) 및 제2 유전체(50)는 공기유입구로부터 평면(병렬)적으로 결합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양전극(10)은 유입된 공기에 방전을 일으키는 전극으로서, 전원인가장치(미도시)와 연결된 복수의 양극와이어(14)가 양극프레임(12)의 양 측에 적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양극와이어(14)는 일정간격으로 나란히 배열되는데, 이러한 양극와이어(14)는 20 mm 내지 30 mm, 바람직하게는 25 mm 의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각각의 양극와이어(14)는 일정한 장력으로 설치되며, 이는 방전이 특정 부분에 집중되면 해당 양극와이어(14)가 쉽게 끊어질 수 있고, 사용수명 단축에 따른 유지보수의 불편함과 비용의 증가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양극와이어(14)는 고열에 의한 열변형 및 단락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탄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양전극(10)의 양극와이어(14)가 양극프레임(12)의 양 측에 나란히 배열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양극와이어(14)가 양극프레임(12)에 사선으로 배열되거나, 격자형태로 적치되어 메쉬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양전극(10)에는 양극코로나가 전 표면에 걸쳐 균일하게 발생하여 주변의 공기를 흡입한다. 이때, 양극코로나는 양극와이어(14)의 전표면에 걸쳐 균일한 형태로 코로나가 발생하기 때문에 음극코로나보다 유리하다. 이후, 코로나 방전으로 공기의 흐름이 양극와이어(14) 주변으로 발생하고, 양극와이어(14) 주변의 공기절연상태가 고압에 의해 파괴되어 공기중의 미세입자(미세먼지)들이 양전하로 대전된다. 양전하로 대전된 대전입자가 포함된 공기는, 이후 제1 음전극(20)으로 유입된다.
제1 음전극(20)은 양전극(10)의 후단에 마련된다. 이러한 제1 음전극(20)은 양전하로 대전된 대전입자(미세먼지)들을 집진하기 위한 전극으로서 평평한 타공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음전극(20)의 판상에는 복수개의 제1 음전극홀(24)이 구비되며, 이때 제1 음전극홀(24)은 타공직경이 4 mm 내지 7 mm, 개방비(Open Ratio)가 35 % 내지 50 %, 바람직하게는 45 % 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제1 음전극(20)은 공기의 집진면적을 넓히기 위해서 등간격으로 돌출된 요철이 전체면에 걸쳐 나란히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음전극(20)의 외곽에는 제1 음극프레임(22)이 마련되며, 이러한 제1 음극프레임(22)은 양극프레임(12) 및 후술하는 제1 유전체프레임(32)과의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제1 음전극(20)은 본 실시예와 같이 타공판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음전극(20)에 음극와이어(미도시)가 음극프레임(12)의 양 측에 나란히 또는 사선으로 배열되거나 격자형태로 적치되어 메쉬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음전극(20)은 후술하는 제1 유전체(30)와 함께, 양전하로 대전된 대전입자들을 포집한다. 이때, 제1 음전극(20)은 100㎛이하의 대전입자에 대한 포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제1 음전극(20)은 후술하는 제1 유전체(30)를 접지되도록 하여 집진 효과를 극대화 시킨다.
제1 유전체(30)는 제1 음전극(20)의 후단에 접지되어 마련된다. 이러한 제1 유전체(30)는 제1 음전극(20)에 접지되어 대전입자들을 집진하기 위한 것으로, 유입된 공기가 유동하는 방향(앞/뒤)으로 개방이 되고 측면이 폐쇄되어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테두리에는 제1 유전체프레임(32)이 형성된다. 이때 제1 유전체프레임(32)은 제1 음극프레임(22) 및 제2 음극프레임(42)과 조립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유전체(30)는 얇은 판을 적층하여 그 사이에 다수의 관통홀(34)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 관통홀은 공기 유입량 및 공기 유속에 영향을 주게되므로 그 크기 및 개수를 최적화하여야 하는데, 이때 관통홀(34)들은 양극와이어(14) 및 음극와이어(24)와 일대일로 대향하여 설치함으로써 집진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 유전체(30)는 우레탄폼, 폴리프로필렌폼, 폴리에틸렌폼, 폴리스티렌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분극효과를 나타내는 재질이면 충분하다.
제1 유전체(30)는 제1 음전극(20)에 인가된 전기를 분극시킴에 따라 전기장이 발생되고, 발생된 전기장에 의해 관통홀(34)을 통과하는 공기중의 대전입자가 포집된다. 즉, 1㎛이하의 대전입자들이 제1 유전체(30)의 관통홀(34)에 형성된 전기장에 의해 집진되어, 공기 정화를 도모하게 된다.
그러나 양전극(10)과 제1 음전극(20) 및 제1 유전체(30)를 통과함으로써 1차 정화된 공기는 방전으로 인한 오존발생으로 인하여 상당량의 오존을 함유하고 있게 된다. 이러한 오존이 그대로 공기중에 방출된다면 2차 환경오염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1차 정화된 공기를 후술하는 제2 음전극(40) 및 제2 유전체(50)로 유입시켜 잔여 오존을 분해함과 동시에 미처리된 대전입자 또한 제거함으로써 한층 높은 정화효율을 도모한다.
제2 음전극은 상술한 제1 유전체 후단 마련된다. 이러한 제2 음전극(40)은 양전하로 대전된 대전입자들을 집진하기 위한 전극으로서, 평평한 타공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음전극(40)의 판상에는 복수개의 제2 음전극홀(44)이 구비되며, 이때 제2 음전극홀(44)은 상술한 제1 음전극홀(24)과 마찬가지로, 타공직경이 4 mm 내지 7 mm, 개방비(Open Ratio)가 35 % 내지 50 %, 바람직하게는 45 % 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2 음전극홀(44)은 제1 음전극홀(24)과 엇갈린 상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1 음전극과 제2 음전극 사이를 유동하는 공기가 와류를 형성하게 되어 집진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제2 음전극(40)은 공기의 집진면적을 넓히기 위해서 등간격으로 돌출된 요철이 전체면에 걸쳐 나란히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음전극(40)의 외곽에는 제2 음극프레임(42)이 마련되며, 이러한 제2 음극프레임(42)은 제1 유전체프레임(32) 및 후술하는 제2 유전체프레임(52)과의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제2 음전극(40)은 본 실시예와 같이 타공판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음전극(40)에 음극와이어(미도시)가 음극프레임(42)의 양 측에 나란히 또는 사선으로 배열되거나 격자형태로 적치되어 메쉬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음전극(40)은 후술하는 제2 유전체(50)와 함께, 양전하로 대전된 대전입자들을 포집한다. 이때, 제2 음전극(40)은 100㎛이하의 입자에 대한 포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제2 음전극(40)은 후술하는 제2 유전체(50)를 접지되도록 하여 집진 효과를 극대화 시킨다.
제2 유전체(50)는 제2 음전극(40)에 접지되어 대전입자들을 집진하는 동시에 오존을 분해하기 위한 것으로, 표면에 형성되는 촉매층을 포함한다. 제2 유전체(50)는 유입된 공기가 유동하는 방향(앞/뒤)으로 개방이 되고 측면이 폐쇄되어 내부공간을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테두리에는 제2 유전체프레임(52)이 형성된다. 이때 제2 유전체프레임(52)은 제2 음극프레임(42)와 조립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2 유전체(50)는 얇은 판을 적층하여 그 사이에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 관통홀은 공기 유입량 및 공기 유속에 영향을 주게되므로 그 크기 및 개수를 최적화하여야 하는데, 이때 관통홀들은 양극와이어(14) 및 음극와이어(44)와 일대일로 대향하여 설치함으로써 집진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 유전체(50)는 우레탄폼, 폴리프로필렌폼, 폴리에틸렌폼, 폴리스티렌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분극효과를 나타내는 재질이면 충분하다.
제2 유전체(50)의 촉매층은 제2 유전체(50)의 표면에 분산되어 형성된다. 다만 이때 촉매층이 제2 유전체(50)의 표면 전체를 완전히 밀봉하도록 형성되는 것은 아니고, 코팅이 되지 않은 무코팅면이 존재하도록 불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는 촉매층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제2 유전체(50)의 표면을 완전하게 밀봉하여 감싸게 되면 유전체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제2 유전체(50)는 제2 음전극(40)에 인가된 전기를 분극시킴에 따라 전기장이 발생되고, 발생된 전기장에 의해 관통홀을 통과하는 공기중의 대전입자가 포집된다. 즉, 1㎛이하의 대전입자들이 제2 유전체(50)의 관통홀에 형성된 전기장에 의해 집진되어 2차 처리를 수행하고, 보다 높은 공기 정화를 도모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2 유전체(50) 표면의 촉매층을 통해 방전으로부터 발생된 오존을 분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2 유전체(50)의 장착으로 인하여, 상술한 양전극(10)과 제1 음전극(20) 및 제2 음전극(40)에는 상대적으로 저전압을 인가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로써 오존발생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양전극(10)의 전단에는 직경 100㎛이상의 먼지입자를 제거하는 프리필터(6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리필터(60)는 먼지입자를 집진함과 동시에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다공의 메쉬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양전극(10), 제1 음전극(20) 및 제1 유전체(30), 제1 음전극(20) 및 제2 유전체(50)는 각각의 프레임을 상호 대응하게 형성하여 조립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각 부품의 분리 및 세척이 용이하고, 일부 부품에 문제가 생긴 경우 해당 부품만의 교체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전집진필터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전원인가장치(미도시)로부터 양전극(10), 제1 음전극(20) 및 제2 음전극(40)에 전압을 인가한다. 바람직하게는 양전극(10)에 3kV 내지 7kV의 전압, 제1 음전극(20) 및 제2 음전극(40)에 -7kV 내지 -3kV의 전압을 인가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양전극(10)에 4kV의 전압, 제1 음전극(20) 및 제2 음전극(40)에 -6kV의 전압을 인가한다. 보다 높은 전극을 인가할 경우 <표 1>에서와 같이, 오존농도가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양전극(kV) 음전극(kV) 오존농도(ppb) 선속도(m/sec)
예시 1 +5 -5 8~9 1
예시 2 +5 -10 30~40 1
예시 3 +10 -10 50~60 1
전압을 인가하면 양전극(10)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공기 내에 포함되어 있는 대전입자가 양전하로 대전된다. 양전극(10)을 통과한 제1 음전극(20) 및 제1 유전체(30)로 유입되고, 양전하로 대전된 대전입자는 제1 음전극(20) 및 제1 유전체(30)에 집진되어 공기의 1차 정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1차 정화된 공기는 오존을 다소 함유하게 되는데, 이를 제2 음전극(40) 및 제2 유전체(50)를 통과시키는 2차 정화를 통해 기존 발생된 오존의 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집진효율의 향상을 도모한다. 이로써 효율적인 집진이 가능함과 동시에 오존의 발생량도 억제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양전극 12: 양극프레임
14: 양극와이어 20: 제1 음전극
22: 제1 음극프레임 24: 제1 음전극홀
30: 제1 유전체 32: 제1 유전체프레임
34, 54: 관통홀 40: 제2 음전극
42: 제2 음극프레임 44: 제2 음전극홀
50: 제2 유전체 52: 제2 유전체프레임
60: 프리필터

Claims (15)

  1. 전압이 인가되면 미세입자를 대전시키는 양전극;
    상기 양전극의 후단에 위치하여 상기 양전극에 의해 대전된 대전입자를 포집하는 제1 음전극;
    상기 제1 음전극의 후단에 접지되어 상기 제1 음전극을 통과한 대전입자를 포집하는 제1 유전체;
    상기 제1 유전체 후단에 위치하여 제1 음전극 및 제1 유전체에서 처리되지 못한 잔여 대전입자를 포집하는 제2 음전극;
    상기 제2 음전극의 후단에 접지되어, 상기 제2 음전극을 통과한 대전입자를 포집하는 제2 유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유전체는 표면에 형성되어, 오존을 분해하는 촉매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발생량이 적은 유전집진필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촉매층은 제2 유전체의 표면에 불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발생량이 적은 유전집진필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촉매층은 활성탄, 니켈(Ni), 구리(Cu), 백금(Pt), 철(Fe), 코발트(Co)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발생량이 적은 유전집진필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양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은 +3kV 내지 +7kV 이고,
    상기 제1 음전극 및 제2 음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은 -7kV 내지 -3kV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발생량이 적은 유전집진필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양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은 +4kV이고,
    상기 제1 음전극 및 제2 음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은 -6k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발생량이 적은 유전집진필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양전극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극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양극와이어는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발생량이 적은 유전집진필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양극와이어의 배열 간격은 20 mm 내지 30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발생량이 적은 유전집진필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양전극은 상기 양극와이어가 상호 직교함으로써 메쉬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발생량이 적은 유전집진필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전극은 제1 음전극홀을 포함하는 타공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음전극은 제2 음전극홀을 포함하는 타공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발생량이 적은 유전집진필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전극홀 및 제2 음전극홀은,
    타공직경이 4 mm 내지 7 mm 이고, 개방비가 35 % 내지 5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발생량이 적은 유전집진필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전극홀 및 제2 음전극홀은 엇갈린 상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발생량이 적은 유전집진필터.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전극 및 제2 음전극은 하나 이상의 음극와이어가 상호 직교함으로써 메쉬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발생량이 적은 유전집진필터.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전체 및 제2 유전체는 우레탄폼, 폴리프로필렌폼, 폴리에틸렌폼, 폴리스티렌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발생량이 적은 유전집진필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양전극과 제1 음전극, 제1 음전극과 제1 유전체, 제1 유전체와 제2 음전극, 및 제 2 음전극과 제2 유전체를 상호 조립할 수 있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발생량이 적은 유전집진필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양전극의 전단에 프리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발생량이 적은 유전집진필터.
KR1020150010208A 2015-01-21 2015-01-21 오존발생량이 적은 유전집진필터 KR101574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208A KR101574998B1 (ko) 2015-01-21 2015-01-21 오존발생량이 적은 유전집진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208A KR101574998B1 (ko) 2015-01-21 2015-01-21 오존발생량이 적은 유전집진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4998B1 true KR101574998B1 (ko) 2015-12-22

Family

ID=55081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208A KR101574998B1 (ko) 2015-01-21 2015-01-21 오존발생량이 적은 유전집진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9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4615A (ko) * 2017-01-16 2018-07-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나노 물질을 사용한 에어 필터
KR20190026162A (ko) * 2017-09-04 2019-03-1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전 탄소필터, 정전 탄소필터를 이용한 먼지 집진 장치 및 먼지 집진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4318A (ja) * 1991-12-10 1993-06-22 Toshiba Corp 空気清浄器用集塵フィルタ
JP2004113704A (ja) * 2002-09-30 2004-04-15 Mitsubishi Electric Corp 脱臭エレメント
JP2005111400A (ja) * 2003-10-09 2005-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集塵装置および空調装置
KR20130090516A (ko) 2012-02-06 2013-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집진기
KR101464516B1 (ko) 2012-12-06 2014-11-24 한국기계연구원 두 개 이상의 엣지를 갖는 방전부가 형성된 전기집진기용 방전극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4318A (ja) * 1991-12-10 1993-06-22 Toshiba Corp 空気清浄器用集塵フィルタ
JP2004113704A (ja) * 2002-09-30 2004-04-15 Mitsubishi Electric Corp 脱臭エレメント
JP2005111400A (ja) * 2003-10-09 2005-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集塵装置および空調装置
KR20130090516A (ko) 2012-02-06 2013-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집진기
KR101464516B1 (ko) 2012-12-06 2014-11-24 한국기계연구원 두 개 이상의 엣지를 갖는 방전부가 형성된 전기집진기용 방전극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4615A (ko) * 2017-01-16 2018-07-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나노 물질을 사용한 에어 필터
KR102069052B1 (ko) * 2017-01-16 2020-01-2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나노 물질을 사용한 에어 필터
KR20190026162A (ko) * 2017-09-04 2019-03-1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전 탄소필터, 정전 탄소필터를 이용한 먼지 집진 장치 및 먼지 집진 방법
KR102027975B1 (ko) 2017-09-04 2019-10-0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전 탄소필터, 정전 탄소필터를 이용한 먼지 집진 장치 및 먼지 집진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52429B2 (ja) 空気清浄機
US921623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e and inactivation of microbes and viruses
KR101199554B1 (ko)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를 이용한 유도전압 전기집진장치
US2013007129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e and inactivation of microbes and viruses
JP4687595B2 (ja) 電気集塵装置
WO2001064349A9 (fr) Appareil depoussiereur et appareil de climatisation
CN101357351A (zh) 一种无臭氧可清洗静电集尘器
WO2005021160A1 (ja) ガス処理装置
CN107694755B (zh) 静电除尘模块及空气调节装置
KR100937944B1 (ko) 탄소섬유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CN114345554A (zh) 用于极化空气净化器的波纹状过滤介质
CN106051918B (zh) 等离子空气净化装置
US20170014757A1 (en) Plasma filtration device
KR101032614B1 (ko) 탄소섬유를 이용한 2단 전기집진기
KR101064488B1 (ko)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
KR101574998B1 (ko) 오존발생량이 적은 유전집진필터
KR101064486B1 (ko)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1064487B1 (ko)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
KR101180035B1 (ko)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를 이용한 유도전압 전기집진장치
JP7295945B2 (ja) 新しいプラズマ空気浄化装置
JP2011224470A (ja) 清浄空気製造装置および換気機能付清浄空気製造装置
JP2010240578A (ja) 集塵セル及びこれを用いたエアクリーナ
JP7541364B2 (ja) 電気集塵機
CN113751198A (zh) 从气流中分离物质的空气净化装置、设备和方法
JP3709449B1 (ja) ガス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