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738B1 - 포장용박스 - Google Patents

포장용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738B1
KR101574738B1 KR1020140063297A KR20140063297A KR101574738B1 KR 101574738 B1 KR101574738 B1 KR 101574738B1 KR 1020140063297 A KR1020140063297 A KR 1020140063297A KR 20140063297 A KR20140063297 A KR 20140063297A KR 101574738 B1 KR101574738 B1 KR 101574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orming
folded
present
upper side
defor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3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혁
권기훈
Original Assignee
고문당인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문당인쇄(주) filed Critical 고문당인쇄(주)
Priority to KR1020140063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7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박스는 제 1, 2 변형부(52)(54)가 서로 수납되었을 때, 상측이 수평하게 형성되고, 사용자가 손잡이(20)를 잡아당길 때 제 1, 2 변형부(52)(54)에 하중이 가해지면서 자동으로 돌출되어 사다리꼴, 삼각형, 또는 곡선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상측으로 돌출 시 제 1, 2 걸림부(55)(56)가 상호 걸림을 형성하여 상기 제 1, 2 변형부(52)(54)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포장용박스{Pakage box}
본 발명은 포장용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재 시에는 상측면이 수평하게 형성되고, 사용자가 손잡이를 통해 들어올릴 때에 변형되어 전개되는 포장용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갖는 제품은 종이 재질의 포장용 상자에 담겨 적재, 배송 된 후, 소비자에게 판매되고, 포장용상자의 내부에는 판매 물품 및 사용 설명서 등이 수납된다.
여기서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된 포장용박스는 별도의 쇼핑백 등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한 이점이 있지만, 포장용박스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된 포장용박스는 손잡이로부터 하중을 전달받는 구조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측으로 돌출되어야만 하고, 이로 인해 상측으로 적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1998-025038
본 발명은 적재 시에는 상측면이 수평하게 형성되고, 사용자가 손잡이를 통해 들어올릴 때에 변형되어 전개되는 포장용박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1개의 전개도 상태에서 절곡되어 조립되는 포장용박스에 있어서, 절곡 후 조립되어 내부공간(1)을 형성시키는 바디(10); 상기 바디(10)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손잡이(20)가 배치되며, 수평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20)를 통해 조작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측으로 돌출되어 변형되는 변형부(50);를 포함하는 포장용박스를 제공한다.
상기 바디(10)는 제품 또는 내용물이 저장되도록 상측면이 개구된 상기 내부공간(1)을 형성시키는 것으로서, 정면(11); 상기 정면(11)의 좌측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좌측면(12); 상기 정면(11)의 우측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우측면(13); 상기 우측면(13)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좌측면(12)에 접착고정되는 배면(14); 상기 정면(11), 좌측면(12), 우측면(13), 배면(14)에 각각 형성되고, 서로 결합되어 저면을 형성하는 저면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형부(50)는 상기 정면(11)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접힘부(51); 상기 좌측면(12)의 상측으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접힘부(51)와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제 1 변형부(52); 상기 우측면(13)의 상측으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접힘부(51)와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제 2 변형부(54); 및 상기 배면(14)의 상측으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2 변형부(54)와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제 2 접힘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박스는 제 1, 2 변형부(52)(54)가 서로 수납되었을 때, 상측이 수평하게 형성되고, 사용자가 손잡이(20)를 잡아당길 때 제 1, 2 변형부(52)(54)에 하중이 가해지면서 자동으로 돌출되어 사다리꼴, 삼각형, 또는 곡선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박스는 상측으로 돌출 시 제 1, 2 걸림부(55)(56)가 상호 걸림을 형성하여 상기 제 1, 2 변형부(52)(54)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좌측면도
도 4는 도 1의 평면도
도 5는 도 1의 접힌 상태가 도시된 작동 예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가"부분의 단면도
도 7은 도 1의 전개도
도 8은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박스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전개도
도 10은 본 발명의 3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박스의 전개도
도 11은 본 발명의 4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박스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작동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좌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접힌 상태가 도시된 작동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가"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전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박스는 1개의 전개도 상태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절곡 후 조립되어 내부공간(1)을 형성시키는 바디(10)와, 상기 바디(10)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손잡이(20)가 배치되며, 수평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20)를 통해 조작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측으로 돌출되어 변형되는 변형부(5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10)는 제품 또는 내용물이 저장되도록 상측면이 개구된 내부공간(1)을 형성시키는 것으로서, 정면(11)과, 상기 정면(11)의 좌측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좌측면(12)과, 상기 정면(11)의 우측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우측면(13)과, 상기 우측면(13)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좌측면(12)에 접착고정되는 배면(14)과, 상기 정면(11), 좌측면(12), 우측면(13), 배면(14)에 각각 형성되고, 서로 결합되어 저면을 형성하는 저면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정면(11), 좌측면(12), 우측면(13), 배면(14)의 배열은 본 실시예에 한정된 것이고, 당업자에 기술수준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저면부(30)는 정면(11), 좌측면(12), 우측면(13), 배면(14)에 각각 연결되어 형성된 제 1, 2, 3, 4 저면(31)(32)(33)(3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면(12)의 측부에는 상기 배면(14)과 접착고정되는 좌측접착부(15)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2, 3, 4 저면(31)(32)(33)(34)을 서로 교차시켜 조립되는 형태로 형성되었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밑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바, 당업자의 설계변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부(50)는 조작력에 따라 수평하게 변형되어 서로 수납되거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정면(11)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접힘부(51)와, 상기 좌측면(12)의 상측으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접힘부(51)와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제 1 변형부(52)와, 상기 우측면(13)의 상측으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접힘부(51)와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제 2 변형부(54)와, 상기 배면(14)의 상측으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2 변형부(54)와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제 2 접힘부(5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변형부(52)의 좌측에는 상기 좌측접착부(15)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변형부(52), 제 1 접힘부(51), 제 2 변형부(54) 및 제 2 접힘부(53)는 일렬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2 변형부(52)(54)에는 상기 손잡이(20)가 결합되는 손잡이홀(21)(22)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변형부(52)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변형부(54)의 삽입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제 1 걸림부(55)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걸림부(55)는 상기 제 2 변형부(54)에서 분리될 때, 상기 제 2 변형부(54) 측과 상호 걸림을 형성시킨다.
상기 제 1 걸림부(55)는 상기 제 1 변형부(52)의 내측면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 2 변형부(54)에는 상기 제 1 걸림부(55)와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는 제 2 걸림부(56)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걸림부(56)는 상기 제 2 변형부(54)의 외측면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2 변형부(52)(54)는 상측으로 전개되었을 때 전개된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을 형성시키고, 상기 제 1 변형부(52)는 상기 사다리꼴의 좌측경사면을 형성시키며, 상기 제 2 변형부(54)는 상기 사다리꼴의 우측경사면 및 상측면을 형성시킨다.
이를 위해상기 제 2 변형부(54)는 상기 우측면(13)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사다리꼴의 우측경사면을 형성시키는 우측경사부(57) 와, 상기 우측경사부(57)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사다리꼴의 상측면을 형성시키는 상측부(58)와, 상기 상측부(58)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변형부(52)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 1 걸림부(56)가 형성되는 삽입부(59)를 포함한다.
그래서 상기 우측경사부(57), 상측부(58) 및 삽입부(59)는 각각 소정각도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변형부(52) 측으로 삽입되면 평면으로 펼쳐진다.
한편, 상기 제 1, 2 접힘부(51)(53)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접힘부(51)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 1 접힘부(51)는 상기 정면(11)과 연결되어 형성되고 내부공간(1) 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메인접힘부(61)와, 제 1 변형부(52) 및 상기 메인접힘부(61)를 연결하는 제 1 변형접힘부(62)와, 상기 제 2 변형부(54) 및 상기 메인접힘부(61)를 연결하는 제 2 변형접힘부(6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접힘부(61)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2 변형접힘부(62)(64)에는 중간에 각각 절곡선(63)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선(63)을 통해 상기 제 1, 2 변형접힘부(62)(64)가 소정각도 접혀진다.
그리고 상기 제 2 접힘부(53)는 상기 제 1 접힘부(51)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되, 제 1 변형접힘부(62)가 제 1 변형부(52) 및 메인접힘부(61)를 연결시키고, 제 2 변형접힘부(64)가 제 2 변형부(54) 및 메인접힘부(61)를 연결시킨다.
여기서 도 1과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변형부(54)의 일측은 상기 제 1 변형접힘부(62) 및 제 1 변형부(52) 사이에 위치되고, 이를 통해 상기 제 2 변형부(54)의 이동을 안내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박스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잡아 당기면, 상기 손잡이(20)에 하중이 가해지고, 상기 손잡이(20)가 연결된 제 1 변형부(52) 및 제 2 변형부(54)의 우측경사부(57)에 하중이 전달된다.
그래서 상기 전달된 하중에 의해 상기 제 1 변형부(52) 및 제 2 변형부(54)가 이격되면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측부(58)가 노출된다.
이때, 상기 제 1, 2 변형부(52)(54)는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2 걸림부(56)(57)가 상호 걸림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제 1, 2 변형부(52)(54)의 분리가 방지되고,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상측부(58)를 누르면 상기 제 2 변형부(54)가 상기 제 1 변형부(52) 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삽입부(59)가 내부로 삽입되어 상측이 수평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전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박스는 상기 1 실시예와 유사하게 구성되되, 상측부(158)가 곡선으로 형성되도록 다수개의 접힘선(15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상측부(158)에 다수개의 접힘선을 형성하는 경우, 상측으로 돌출되었을 때, 상측부(158)가 완만한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측부(158)가 수납될 때, 보다 부드럽게 수납 및 인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3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박스의 전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박스는 변형부(50)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달리 상측으로 돌출되었을 때, 삼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변형부(254)는 상측부 없이 우측경사부(57) 및 삽입부(59)로 구성된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4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박스는 변형부(50)를 접착고정하는 접착부재(40)가 더 배치되고, 상기 접착부재(40)는 제 1 변형부(52)에 고정되는 제 1 접착부(42)와, 상기 제 2 변형부(54)에 고정되는 제 2 접착부(44)와, 상기 제 1, 2 접착부(42)(44)를 연결시키는 접착연결부(46)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접착부(42)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측경사부(57)에 접착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접착연결부(46)는 상기 제 1, 2 접착부(42)(44)를 연결시키고,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측으로 수납되는 경우, 상기 상측부(58)와 함께 내부로 수납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착연결부(46) 중 우측경사부(57) 측만 접착 고정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박스는 상기 접착부재(40)에 의해 상기 제 1, 2 변형부(52)(54)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바, 상측으로 전개 시 상기 접착부재(40)에 의해 상기 제 1, 2 변형부(52)(54)가 지지되고, 상기 포장용박스의 하중이 과도하더라도 상기 접착부재(40)에 의해 상기 변형부(50)의 형태가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바디 20 : 손잡이
30 : 저면부 50 : 변형부

Claims (3)

1개의 전개도 상태에서 절곡되어 조립되는 포장용박스에 있어서,
절곡 후 조립되어 내부공간(1)을 형성시키는 바디(10); 및
상기 바디(10)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손잡이(20)가 배치된 변형부(50)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부(50)는 상기 바디(10)에 수평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20)를 통해 조작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측으로 돌출되는 포장용박스.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10)는 제품 또는 내용물이 저장되도록 상측면이 개구된 상기 내부공간(1)을 형성시키는 것으로서, 정면(11); 상기 정면(11)의 좌측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좌측면(12); 상기 정면(11)의 우측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우측면(13); 상기 우측면(13)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좌측면(12)에 접착고정되는 배면(14); 상기 정면(11), 좌측면(12), 우측면(13), 배면(14)에 각각 형성되고, 서로 결합되어 저면을 형성하는 저면부(30);를 포함하는 포장용박스.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50)는
상기 정면(11)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접힘부(51);
상기 좌측면(12)의 상측으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접힘부(51)와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제 1 변형부(52);
상기 우측면(13)의 상측으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접힘부(51)와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제 2 변형부(54); 및
상기 배면(14)의 상측으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2 변형부(54)와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제 2 접힘부(53);를 포함하는 포장용박스.
KR1020140063297A 2014-05-26 2014-05-26 포장용박스 KR101574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297A KR101574738B1 (ko) 2014-05-26 2014-05-26 포장용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297A KR101574738B1 (ko) 2014-05-26 2014-05-26 포장용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4738B1 true KR101574738B1 (ko) 2015-12-04

Family

ID=54867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297A KR101574738B1 (ko) 2014-05-26 2014-05-26 포장용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73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3273A (en) 1992-07-28 1995-05-09 M-Pak Limited Merchandise contain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3273A (en) 1992-07-28 1995-05-09 M-Pak Limited Merchandise contain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3485B2 (en) Self-expanding, load-bearing mechanism for display units
US7413080B2 (en) Right angle blister plus header card package
US8522970B2 (en) Packaging/displaying device made from foldable blanks
KR20200000188U (ko) 포장상자와 물품 디스펜서
USD929859S1 (en) Commodity packaging
KR101574738B1 (ko) 포장용박스
KR200323165Y1 (ko) 절첩식 박스
KR101521454B1 (ko) 적층 및 진열이 용이한 포장박스
KR101602452B1 (ko) 인조속눈썹 케이스
KR200457488Y1 (ko) 음식물 포장박스
JP2012166798A (ja) 包装展示兼用箱
KR20150068204A (ko) 포장박스
EP3541247B1 (en) Product display
JP3180499U (ja) 陳列兼用包装箱
KR200476097Y1 (ko) 간지를 포함하는 접이식 포장상자
JP3210577U (ja) 展開可能な箱体容器
JP6424017B2 (ja) 連結箱、及びこれを備える包装用容器
KR20110121268A (ko) 덮개판이 원터치로 동시에 접혀지는 포장용 박스
JP3189192U (ja) 包装展示兼用箱
JP4685284B2 (ja) 表示板付き箱体容器
JP3213444U (ja) 筐体
JP3210123U (ja) 緩衝仕切り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包装箱
KR200447529Y1 (ko) 레져용 포장박스
JP3138559U (ja) 商品陳列包装箱
JP3110916U (ja) 自立型包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