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662B1 - 자기부상철도용모터카 - Google Patents

자기부상철도용모터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662B1
KR101574662B1 KR1020150094597A KR20150094597A KR101574662B1 KR 101574662 B1 KR101574662 B1 KR 101574662B1 KR 1020150094597 A KR1020150094597 A KR 1020150094597A KR 20150094597 A KR20150094597 A KR 20150094597A KR 101574662 B1 KR101574662 B1 KR 101574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oller
rail
magnetic levitation
bracket
levitation rail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5501A (ko
Inventor
곽수태
Original Assignee
금천씨스템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천씨스템 (주) filed Critical 금천씨스템 (주)
Priority to KR1020150094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662B1/ko
Publication of KR20150085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5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3/00Electric propulsion for monorail vehicles, suspension vehicles or rack railways;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 B60L13/04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8Sliding or levitation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부상열차 노선에서 시설보수, 점검 및 인원수송을 목적으로 운행하는 모터카에 관한 것으로서, 좁은 강철궤도 레일 상을 고무바퀴로 굴러서 주행하는 두개의 대차를 두고, 각 대차마다 2축 이상의 다축을 사용하여 레일의 불연속 이음부의 큰 간극을 큰 충격없이 통과할 수 있게 하였으며, 궤도의 측면과 하면에 접촉하여 구름접촉하게 각각 수평가이드롤러 및 수직가이더롤러를 설치하여 탈선과 전복을 방지하는 구조로 설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철도용모터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기부상철도용모터카{Motor Car for Maglev Rail}
본 발명은 자기부상열차가 주행하는 레일 상을 주행하며, 인원수송, 각종 설비의 점검 및 정비를 위해 사용하는 특수용도의 작업차(통상 모터카라 칭함)에 대한 것으로서, 고공의 구조물 위에 설치되어 하부의 지지 간극이 크고 허용 축중이 작으며 인접한 레일간의 간극이 큰 자기부상레일의 특수성에 맞추어, 모터카의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하고 이음부 틈이 큰 레일 위를 안전하고 원활하게 주행하는 모터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도의 모터카는 두 가닥의 철제 레일 위에서 프랜지를 구비한 철제 차륜이 구르며 레일을 따라 안전하게 주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자기부상철도는 궤도상의 레일(0)의 구조가 기존의 레일과는 형상이 다르다. 자기부상열차는 보통 교각을 세우고 그 위에 콘크리트나 철제 구조물로 된 궤도를 건설하고, 그 위에 부상력과 추진력을 얻기 위해 특수한 단면을 가진 특수 철제 레일 두 가닥이 평행하게 일정간격의 침목 위에 놓이는데, 이 철제 레일의 외측 상면은 특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알미늄 재질로 덮는 경우가 있으며, 레일 내측 부분은 이 레일을 침목에 고정시키기 위한 좁은 폭(약 120mm)의 수평플랜지가 있는데 이 수평플랜지에는 볼트 구멍이 일정간격으로 나 있다. 승객운송을 위한 자기부상열차의 경우 자기부상용 대차가 전후로 평편한 직선형을 취하고 있어 레일에 미치는 하중이 집중하중이 아닌 분산하중형태로 작용하기 때문에 레일을 건설할 시에 그 하부를 지지하는 침목의 간격이 넓으며 철제 레일의 강성이 클 필요가 없이 건설되고 있으며, 또한 자기부상열차는 레일 위를 바퀴가 구르면서 주행하는 것이 아니고 비접촉으로 부상하여 주행하므로 레일이 연속될 필요가 없어 수십mm(통상 10 -50mm)의 대단히 큰 간극의 이음부를 가지는 형태로 건설되고 있다.
자기부상철도에도 보수나 점검 등을 위하여 인원을 수송하거나 작업하기 위한 특수목적의 작업차(통상 모터카라 칭함)가 필요한데, 본 발명은 이 모터카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 설명한 고공의 레일 위를 주행하는 자기부상철도용 모터카는 주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야간에 사용되므로 승객을 운반하는 객차와는 달리 자기부상형으로 만들 수 없으므로 바퀴를 이용하여 주행할 수 밖에 없는데, 통상 생각할 수 있는 모터카는 일반 고무바퀴 차량과 같은 형태로 고무바퀴를 이용하여 레일의 외측 넓은 상면을 주행하는 형식을 생각할 수 있으며, 일부 일본제품의 경우 4륜의 자동차를 개조하여 고무바퀴로 레일의 외측 상면을 달리게 만든 예를 볼 수 있다.
그런데 최근에 국내에 건설되는 자기부상철도에 있어서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레일의 외측 상면이 알미늄 재질로 덮여 있어 그 위를 고무바퀴로 주행할 경우 알미늄 표면의 손상을 우려하여 레일 외측상면의 주행이 금지되어, 부득이 레일의 내측의 좁은 플랜지 부분의 상면을 주행해야는 상황이 되었으며, 더욱이 인접 레일간의 이음부 간격이 대단히 크기 때문에 원하는 큰 속도로 주행할 경우 큰 충격이 차량과 레일에 발생할 수 밖에 없어 특별한 주행대차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강성이 크지 않은 레일 위를 바퀴를 이용하여 구름 주행하는 모터카의 경우 주행륜 하부에 집중하중이 걸리므로 차체를 가능한 한 경량으로 만들어야 하지만 중량감소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축중을 줄이는 방법을 강구할 필요도 있다.
또한 고공에서 주행하는 모터카이므로 주행 중의 원심력이나 태풍 등의 외력에도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는 가이드장치가 필요하다.
상기와 같이 레일의 허용 축중이 작고 주행가능한 레일상면의 폭이 적으며 인접 레일 간의 이음부 틈이 큰 자기부상철도의 특수한 궤도조건에 맞추어, 모터카의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하고 레일간 이음부 통과 시 충격으로 인해 레일에 손상을 주지 않으며, 고공의 레일 위를 전복 및 탈선이 되지 않도록 안전하고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는 모터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터카의 차체의 언더프레임(10) 하부에 전후 두개의 대차(100)를 구비하되, 언더프레임(10) 하부에 센터피봇핀(56)을 설치하고 각 대차의 상부 중심에 센터피봇부시(57)을 설치하여(물론 두 개를 반대로 바꾸어 설치할 수도 있음), 차체의 언더프레임 하부에서 대차가 회전가능하게 하여 곡선주행이 원할하게 하고, 각 대차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축을 구비하고 각 축의 좌우 양단에는 고무바퀴인 주행륜(140)을 장착하므로써 축중을 분산하는 효과와 함께 레일의 간격이 큰 이음부를 큰 충격없이 통과할 수 있게 하였으며, 또한 각 대차의 좌우에는 전후 2쌍의 가이드롤러조립체(200)를 설치하되 각 가이드롤러조립체에는 수평가이드롤러(250)와 수직가이드롤러(260)를 설치하여 레일을 감싸는 형태를 취함으로써 전복과 탈선이 방지되게 설계하였다. 이를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철도용 모터카가 본 발명의 핵심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모터카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부상철도 궤도에서 레일에 부담되는 모터카의 하중을 대차에 다수의 차축 및 다수의 차륜을 적용하여 분산시킴으로써 궤도 하중조건을 만족하고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다.
둘째, 자기부상철도 궤도에서 레일의 연결부의 틈(10-50mm)을 대차에 다수의 차축 및 다수의 차륜을 적용하므로써 틈이 큰 연결부를 주행할 때 한 개의 차륜이 틈에 위치하더라도 다른 다수의 차륜이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차량의 무게중심의 상하운동이 제한되어 큰 충격 없이 부드럽고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다.
셋째, 자기부상철도 궤도에서 좁은 폭의 레일 위를 달리도록 대차에 다수의 차륜을 적용하여 윤중을 줄임으로써 차륜의 폭을 최소화하여, 아무런 간섭 없이 하중조건을 만족하고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으며, 고무차륜을 적용하여 궤도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하였다.
넷째, 자기부상철도 궤도에서 수평가이드롤러(250)와 센터피봇(250)에 의해 대차(100)가 수직축에 대한 회전운동이 원활하므로 좁은 레일 위를 주행륜(140)이 곡선의 레일을 따라 원활하게 주행하고, 수직가이드롤러(260)에 의해 전복이나 탈선이 없이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카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카를 나타낸 전.후방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카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카의 대차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카의 대차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카 대차의 가이드롤러 조립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카 대차와 언더프레임이 센터피봇에 의해 상호회전가능하도록 조립되어 레일 위에 얹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대차/언더프레임 조립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카의 수평가이드롤러와 수직가이드롤러를 분리 하여 설치한 대차의 측면도 및 두 가이드롤러의 일실시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언더프레임(10) 상면의 중앙부에 밀폐된 형태로 운전실(20)이 마련되고, 언더프레임(10)의 상부 전.후방에는 전부적재대(30) 및 후부적재대(40)가 각각 설치되며, 전부에는 소형 크레인(70), 후부에는 공기압축기유니트(80), 에어콘실외기(90)가 설치된다.
상기 엔더프레임(10) 하부 전후부에는 모터카의 하중을 지지하며 센터피봇(55)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조향할 수 있도록 하는 대차(100)가 설치된다. 동 대차프레임(110) 하부에 다수개의 차축(120)과 이를 지지하는 축상(130)과 차축(120)의 양단에 다수개의 고무로 된 주행륜(140)이 있고, 동력장치인 전기모터(150)와 감속기(160)가 설치된다.
좁고 평면인 레일 위를 따라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가이드롤러(250) 및 수직가이드롤러(260)를 구비한 가이드롤러조립체(200)가 대차의 전후좌우에 설치된다.
언더프레임(10) 하부 중앙부 좌우에는 동력원인 배터리(6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대차는 동력원인 상기 배터리(60)에 의해서 구동되는 전기모터(150); 상기 전기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160); 상기 감속기의 회전동력을 차축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165)(체인, 기어, 밸트 등이 채택될 수 있음), 모터카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다수의 차축(120); 상기 차축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레일과 접하면서 추진력을 얻는 고무로 된 주행륜(140); 상기 센터피봇(55)을 통하여 차체를 지지하는 대차프레임(110); 상기 차축에 베어링(미 도시)으로 조립되며 상기 대차프레임(110)을 통하여 모터카의 하중을 지지하는 축상(130); 제동을 체결하기 위하여 차축에 설치한 브레이크캘리퍼(170)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동력전달수단(165)으로 체인을 사용할 경우 감속기의 축과 차축에는 각각 스프라켓(18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대차(100)는 센터피봇(55)을 기준으로 차체의 언더프레임(10)에 대하여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롤러조립체(200)에 의해 궤도의 레일의 측면과 하면에 구름접촉하며 주행하도록 하여, 전복이나 탈선 없이 안전하게 주행하도록 고안되었다.
또한, 상기 가이드롤러조립체(200)는 대차프레임(110) 하면에 조립되는 상부브라켓(210); 레일과 접촉하면서 모터카가 궤도를 따라 주행하게 하는 수평가이드롤러(250) 및 수직가이드롤러(260); 수평가이드롤러(250) 및 수직가이드롤러(260)를 지지하는 하부브라켓(220); 레일과 롤러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정볼트(230)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카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카를 나타낸 전.후방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모터카는 언더프레임(10), 운전실(20), 전부적재대(30), 후부적재대(40), 커플러(50), 배터리(60), 전후부 두개의 대차(100) 그리고 가이드롤러조립체(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모터카에 구비된 상기 운전실(20)은 운전에 필요한 조작반(23)이 설치되어 있으며 가감속, 제동 및 제반 조작을 할 수 있고, 각종 계기가 설치된다. 운전자가 운전석(22)에서 전원스위치 켜고 가감속 레버의 조작으로 배터리(60) 전원이 모터드라이브(24)에 투입하면, 전기가 제어되어 상기 전기모터(150)에 투입되어 회전력이 발생되고, 그 회전력은 감속기(160)을 거치고 동력전달수단(165)을 통하여 차축(120)에 전달되고, 차축의 양단에 조립된 주행륜(140)까지 전달되어 모터카가 가속 및 감속이 되도록 되어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모터카의 전체적인 구성품이 안전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언더프레임(10)이 길이 방향으로 버티고 있으며, 그 양단 중앙부에는 견인 시 필요한 연결봉을 거치하는 커플러(50)가 설치되며, 하부 전후에는 대차(100)가 이를 통하여 언더프레임(10)을 지지하고 조향 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센터피봇(55)이 조립된다.
모터카의 언더프레임(10)의 상부 중앙에는 운전실(20)이 설치되는데, 전후면 측부에 운전자 및 작업원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문(21)이 있고, 중앙에 운전자가 모터카의 기능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반(23), 그 앞에 운전석(22), 운전석 좌우에는 전기모터를 제어하는 모터드라이브(24), 상기 배터리의 충전 시 사용하는 충전기(25), 각종 전기장치 동작용 릴레이판넬(26)이 있으며, 배터리(60)의 전원으로 구동되며 운전실(20) 후측 상부에 설치되어 운전실 내부의 냉난방을 담당하는 에어콘실내기(27)가 있으며, 각종 등구류 조명 및 기기 제어 전원인 제어용배터리(28)가 설치되고, 상기 전기모터의 유지보수를 위해 상기 운전실 바닥에 점검구(29)가 설치되어 있는데, 경우에 따라서 상기 기기는 위치가 바뀔 수도 있다.
상기 전부적재대(30)의 운전실(20) 벽쪽 중앙부에 작업물을 인양할 수 있는 크레인(70)이 설치되고, 우측부에 상기 배터리 전원으로 모터를 작동하고 그에 직결된 유압모터를 구동하여 유압유탱크(76)의 작동유에 압력을 발생시켜 크레인(70)을 조작하는 유압유니트(75)가 있고, 작업원 안전을 도모하고 작업물의 낙하를 방지하는 적재함이 마련되고, 작업원이 궤도로 오르내릴 수 있는 안전한 계단(113)이 측부에 설치된다.
상기 후부적재대(40)의 상기 운전실(20) 벽쪽 중앙부에 운행 중 배터리 방전으로 모터카 운전이 불가한 상황에서 비상 운전이 가능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비상발전기(91)가 설치되며, 우측부에는 상기 배터리 전원으로 모터를 작동하고 이에 브이밸트로 열결된 공기압축기를 구동하여 압축공기를 발생시켜 공기탱크(미 도시))에 저장하였다가 제동 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압축기유니트(80)가 있고, 그 위에 상기 배터리의 전원으로 구동되어 운전실(20) 내부의 냉난방을 담당하는 에어콘실외기(85)가 있고, 작업원 안전을 도모하고 작업물의 낙하를 방지하는 난간이 마련되고, 작업원이 궤도로 오르내릴 수 있는 안전한 계단(113)이 측부에 설치된다.
상기 언더프레임(10) 하부 중앙부에는 모터카의 주행 및 주요장치의 동력원인 배터리(60)가 양측에 공급되고, 상기 모터카의 하중을 지지하며 다축, 다륜으로 레일에 하중을 분산시키며 전기모터(150)의 구동력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하며 가이드롤러(250, 260)에 의해 조향 시 센터피봇(55)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대차(100)가 조립된다. 또한 좁고 평면인 레일 위를 주행륜(140)이 안전하게 주행하도록 궤도의 측부면 및 하부면을 따라 움직이는 가이드롤러(250, 260)를 포함하는 가이드롤러조립체(200)가 대차 전후좌우에 설치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카의 대차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카의 대차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카 대차의 가이드롤러조립체의 조립도이다.
(도 4),(도 5)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대차(100)는 센터피봇(55), 대차프레임(110), 차축(120), 축상(130), 주행륜(140), 전기모터(150), 감속기(160), 브레이크캘리퍼(170), 스프라켓(180), 에어스프링(190), 가이드롤러조립체(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대차프레임(110)은 상기 센터피봇(55)을 통하여 상기 언더프레임 상부의 하중을 견고히 지지하고, 그 하중을 상기 축상(130)을 통하여 차축(120)으로 전달하며, 상기 센터피봇(55)이 얹히는 상부수평프레임(111) 및 상기 축상(130)이 조립되는 하부수직프레임(1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차축(120)은 상기 감속기(160)의 회전출력을 체인, 기어, 밸트 등 동력전달수단(165)을 통하여 전달 받고, 양단에 조립된 상기 주행륜(140)으로 동력을 전달하며, 모터카 하중을 상기 축상(130)을 거쳐 이어받아 지지한다.
상기 축상(130)은 상기 차축(120)에 차축베어링(미 도시)으로 조립되며 상기 대차프레임(110) 통하여 모터카의 하중을 지지하며, 상기 축상(130) 내에서 상기 차축(120)이 원활히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주행륜(140)은 다수개로 하여 모터카의 하중이 레일에 전달하는 부담을 분산시켜 집중하중을 피하고, 레일 이음부의 틈을 충격 없이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하고, 평평하고 좁은 레일 위를 무리 없이 주행하고 레일에 손상을 없도록 하기 위하여 폭이 좁은 고무차륜으로 구성하였다. 상기 차축(120)의 단부에 아답터(미 도시)를 조립하고 그 위에 상기 주행륜(140)이 조립된다.
상기 전기모터(150)는 동력원인 상기 배터리(60)의 전원으로 모터드라이브(24)에서 제어된 전기에 의해서 구동되며, 상기 감속기(160)에 직결되어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감속기(160)는 전기모터(150)의 동력을 받아 적용된 감속비의 비율만큼 전달 토오크를 배가시켜 체인, 기어, 밸트 등 동력전달수단(165)을 거쳐 각 차축(120)에 전달한다.
상기 브레이크캘리퍼(170)는 상기 공기압축기유니트(80)에 의해서 형성된 공압에 의해 주행 중 제동의 필요에 의해 운전자의 조작으로 작동되며, 브레이크 패드(미 도시)가 브레이크 디스크(171)를 공압으로 밀착시켜 상기 모터카가 감속되거나 정지하도록 한다. 제동시스템은 이와 같은 공기제동 이외에 유압제동시스템으로도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스프라켓(180)은 상기 감속기(160)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165)이 체인인 경우에 필요하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차축(120)을 회전시키는데 사용된다.
상기 에어스프링(190)은 공기압축기유니트(80)에 의해서 형성된 공압으로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며 모터카의 하부 충격을 완화시켜 주행의 안정화를 도모하며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차륜이 타이어이기 때문에 하부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이 있으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에어스프링을 삭제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롤러 조립체(200)는 상부브라켓(210), 하부브라켓(220), 조정볼트(230), 힌지핀(240), 수평가이드롤러(250), 수직가이드롤러(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롤러조립체(200)는 상기 대차프레임(110)의 하부에 견고히 조립되며, 힌지핀(240)을 기준으로 상부브라켓(210)과 하부브라켓(220)이 굴절이 가능하며, 레일과 가이드롤러(250)의 간격을 조정볼트(230)를 통하여 어느 정도 조정이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롤러조립체(200)에 의해 평면인 레일 위를 전복이나 탈선 없이 안전하게 주행하도록 안내자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브라켓(210)은 상기 대차프레임(110)하부에 직접 조립되며, 하부브라켓(220)과 핀(240)으로 조립되어 굴절이 가능하며, 어떠한 운행조건에서도 강성을 유지한다.
상기 하부브라켓(220)은 수평가이드롤러(250) 및 수직가이드롤러(260)를 견고히 지지하며, 상기 조정볼트(230)로 각도가 조정된다.
상기 조정볼트(230)은 상부브라켓(210)과 하부브라켓(220)의 사이에 결합되어 레일과 수평가이드롤러(250) 간의 간격을 조정하며, 충분한 강성을 갖는다. 조정볼트(230)의 헤드부는 핀(231) 결합에 의해 상부브라켓(2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조정볼트(230)의 나사부는 상부너트(232)와 하부너트(233)를 통해 하부브라켓(220)에 체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부너트(232) 및 하부너트(232) 중 어느 하나를 조이고 다른 하나를 풀어 하부 브라켓(220)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레일과 가이드롤러(25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수평가이드롤러(250)는 레일 측면과 접촉하여 횡력을 받으면서 모터카가 안전하게 궤도를 따라 조향되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레일과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직 가이드롤러(260)는 레일 하면과 접촉하면서 모터카가 전복 및 탈선되지 않고 궤도를 따라 주행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며, 레일과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카 대차와 언더프레임이 센터피봇에 의해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조립되어 레일 위에 얹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대차/언더프레임 조립도이다. 두개의 가이드롤러조립체(200)에 의해 대차는 레일에서 수평적으로 벗어나지 못하게 규제되고 수직적으로 전복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6), (도 7)에서 보듯이 한개의 대차에 수평가이드롤러(250)가 한측에 두개씩 좌우에 4개 있어 레일에 밀착되므로, 대차(100)의 주행륜(140)이 곡선의 레일(0) 상을 주행할 시 센터피봇(55)을 중심으로 대차(100)가 언더프레임(10)하부에서 회전하므로 원활한 곡선주행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모터카의 수평가이드롤러(250)와 수직가이드롤러(260)를 분리하여 설치한 대차의 측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즉, 수평가이드롤러(250)를 대차의 양측의 전.후부에 설치하여 곡선 주행시의 대차의 자동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수직가이드롤러(260)는 이와 분리하여 대차의 좌우측에 한개씩만을 설치하여 레일의 하부를 밀착하여 구름접촉하므로써 대차의 전복을 방지하게 한 경우로서, 동일한 기능을 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언더프레임 20 : 운전실
21 : 출입문 22 : 운전석
23 : 조작반 24 : 모터드라이브
25 : 충전기 26 : 릴레이판넬
27 : 에어콘실내기 28 : 제어용배터리
29 : 점검구 30 : 전부적재대
40 : 후부적재대 50 : 커플러
51 : 계단 55 : 센터피봇
56 : 센터피봇핀 57 : 센터피봇부시
60 : 배터리 70 : 크레인
75 : 유압유니트 76 : 유압유탱크
80 : 공기압축기유니트 85 : 에어콘실외기
90 : 에어콘실외기 91 : 비상발전기
100 : 대차 110 : 대차프레임
111 : 상부수평프레임 112 : 하부수직프레임
113 : 계단 120 : 차축
130 : 축상 140 : 주행륜
150 : 전기모터 160 : 감속기
165 : 동력전달수단 170 : 브레이크캘리퍼
180 : 스프라켓 190 : 에어스프링
200 : 가이드롤러조립체 210 : 상부브라켓
220 : 하부브라켓 230 : 조정볼트
240 : 힌지핀 250 : 수평가이드롤러
260 : 수직가이드롤러

Claims (2)

  1. 차체의 언드프레임(10)의 전.후방 하부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된 센터피봇(55)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두 개의 대차(100);
    상기 각 대차(100)의 하부에 장착되며, 자기부상철도용 궤도(0)의 내부장착플랜지 상면을 구름 운동하는 고무바퀴로 된 주행륜(140)을 장착한 3개 이상의 차축(120);
    배터리(60)에 의한 전기를 모터드라이버(24)에서 전달받아 구동되며, 감속기(160) 및 동력전달수단(165)을 통해 상기 차축(120) 중 2개 이상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전기모터(150); 및
    상기 대차의 하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조립체(200)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롤러조립체(200)는,
    상기 대차(100)의 하부에 조립되는 상부브라켓(210);
    힌지핀(240)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브라켓(210)에 굴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브라켓(220);
    상기 하부브라켓(22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자기부상철도용 궤도(0)의 외측면에 접촉하여 구름 운동하는 수평가이드롤러(250);
    상기 하부브라켓(22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자기부상철도용 궤도(0)의 하부 일면을 접촉하여 구름 운동하는 수직가이드롤러(260); 및
    상기 상부브라켓(210)과 하부브라켓(220)의 사이에 결합되는 조정볼트(230)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볼트(230)의 조정에 의해 상기 자기부상철도용 궤도(0)와 수평가이드롤러(250) 사이의 간극 조정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철도용모터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볼트(230)의 헤드부는 핀(231) 결합에 의해 상기 상부브라켓(2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조정볼트(230)의 나사부는 상부너트(232)와 하부너트(233)를 통해 상기 하부브라켓(220)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철도용모터카.
KR1020150094597A 2015-07-02 2015-07-02 자기부상철도용모터카 KR101574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597A KR101574662B1 (ko) 2015-07-02 2015-07-02 자기부상철도용모터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597A KR101574662B1 (ko) 2015-07-02 2015-07-02 자기부상철도용모터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0163A Division KR20140106094A (ko) 2013-02-25 2013-02-25 자기부상철도용모터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501A KR20150085501A (ko) 2015-07-23
KR101574662B1 true KR101574662B1 (ko) 2015-12-04

Family

ID=53875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597A KR101574662B1 (ko) 2015-07-02 2015-07-02 자기부상철도용모터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6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824B1 (ko) 2016-12-14 2018-05-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대륙철도차량용 센터피봇의 설치 구조
KR101913756B1 (ko) 2017-03-03 2018-10-31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일에의 탈부착이 용이한 레일 주행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16734A (zh) * 2019-05-07 2019-08-13 中国铁建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磁浮轨道作业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359B1 (ko) 2006-04-05 2007-10-10 송억영 산악용 모노레일시스템
KR101098522B1 (ko) 2011-04-18 2011-12-26 (주)한국에이앤지 스카이 바이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359B1 (ko) 2006-04-05 2007-10-10 송억영 산악용 모노레일시스템
KR101098522B1 (ko) 2011-04-18 2011-12-26 (주)한국에이앤지 스카이 바이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824B1 (ko) 2016-12-14 2018-05-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대륙철도차량용 센터피봇의 설치 구조
KR101913756B1 (ko) 2017-03-03 2018-10-31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일에의 탈부착이 용이한 레일 주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501A (ko) 2015-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956499U (zh) 一种橡胶轮胎低地板转向架
CN102501858B (zh) 一种窄轨电动机车
CN105197047A (zh) 一种橡胶轮胎低地板转向架
JP6955550B2 (ja) 鉄道輸送システム、鉄道輸送シャトル、および荷下ろし設備
KR101561836B1 (ko) 퍼스널 모노레일의 구동롤러장치
KR101574662B1 (ko) 자기부상철도용모터카
KR20180005089A (ko) 차량 주행 상태에서의 터널 방음벽 설치 및 보수 작업이 가능한 작업대차
KR20140106094A (ko) 자기부상철도용모터카
RU2454340C2 (ru) Высокоскоростной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пассажирский состав
KR20180025371A (ko) 화물 철도차량용 3축 대차장치
JP2015067110A (ja) 車両および走行システム
JP2007331713A (ja) 低床式鉄道車両用台車
WO2016107338A1 (zh) 城市轨道交通车辆
RU2494897C2 (ru) Высокоскоростная транспортная система, полая ходовая балка (варианты), ходовая тележка (варианты), подвижной состав (варианты)
JP2007331461A (ja) 低床鉄道車両用誘導輪付き1軸ボギー台車
CN207241693U (zh) 车辆转向架和空中轨道列车
WO2014203971A1 (ja) 鉄道車両用台車
KR100660151B1 (ko) 차량수송장치
CN113291348A (zh) 一种电动牵车机
KR101383222B1 (ko) 급구배 및 급곡선에서의 주행성능을 향상시킨 차량시스템
KR101329001B1 (ko) 고속 저상 독립차륜형 조향장치
CN109986918A (zh) 一种三驱动模式的公铁两用车
CN204978656U (zh) 矿用机车走行部
CN114537461B (zh) 一种大吨位隧道牵引车用转向架及大吨位隧道牵引车
JP6281839B2 (ja) 鉄道用車両走行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