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634B1 -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시조립체 안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시조립체 안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634B1
KR101574634B1 KR1020090061972A KR20090061972A KR101574634B1 KR 101574634 B1 KR101574634 B1 KR 101574634B1 KR 1020090061972 A KR1020090061972 A KR 1020090061972A KR 20090061972 A KR20090061972 A KR 20090061972A KR 101574634 B1 KR101574634 B1 KR 101574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assembly
inflow
vacuum cleaner
auxiliary brush
extens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1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4518A (ko
Inventor
이병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1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634B1/ko
Priority to US12/813,756 priority patent/US8424151B2/en
Priority to GB1011180.5A priority patent/GB2471757B/en
Publication of KR20110004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시조립체 안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를 개시한다. 개시된 보조브러시조립체 안전장치는, 진공청소기 본체; 브러시와 상기 브러시를 회전시키는 터빈팬유닛을 구비한 보조브러시조립체;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와 상기 보조브러시조립체를 연결하는 연장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연장관이 장착 및 분리되는 연장관 고정부; 및 상기 유입공과 상기 브러시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공을 개폐하는 유입공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브러시조립체가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에 장착될 시 상기 브러시의 회전이 자동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보조브러시조립체를 상기 본체에 고정하는 경우 유입공개폐부재가 유입공을 개방하여 브러시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브러시의 원하지 않는 회전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파손, 사용자의 부상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진공청소기, 보조브러시조립체, 유입공, 유입공개폐부재, 브러시, 자동정지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시조립체 안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SAFATY APPARATUS OF AUXILIARY BRUSH ASSEMBLY FOR VACUUM CLEANER AND THE VACUUM CLEANEAR}
본 발명은 가정용, 산업용, 업소용 진공청소기에 구비되는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시조립체 안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직립형(upright type) 진공청소기는 바닥 청소를 위한 주 브러시조립체와 좁은 바닥, 계단, 벽면 등의 청소를 위한 보조브러시조립체를 구비한다.
상기 주 브러시조립체와 보조브러시조립체는 각각의 내부에 청소면의 이물질을 강제로 흡입시킬 수 있도록 청소면을 쓸어 주는 브러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렇게 구비된 브러시는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되는 터보팬유닛 또는 별도의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회전된다.
상기 브러시는 청소가 종료된 경우 회전이 종료되지 않으면 회전되는 브러시에 의해 진공청소기가 파손되거나 사용자가 상해를 입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어 청소 종료 후 브러시의 회전이 정지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터보팬유닛을 이용하여 브러시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진공청소기에서 주브러시조립체에 내장된 브러시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하는 다양한 종래기술들이 개시되었다.
상기 종래기술들의 예로 등록특허 제730232호는 흡입연장관에 연결되는 커넥터에 마련된 오물 흡입구를 이용하여 공기의 흡입량을 조절함으로써 브러시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개시한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5-289483호에는 풍량조절구멍 및 이의 개폐자재를 이용하여 브러시의 회전을 조절하는 것을 개시한다.
또한, 등록특허 제528015호에는 유입공기조절 노브를 이용하여 브러시의 회전을 조절하는 것을 개시한다.
상기 종래기술들은 흡입력에 의해 유입된 공기에 의해 회전되는 터빈팬을 이용하여 브러시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진공청소기에서 브러시의 회전을 유입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조절하는 것에 의해, 브러시에 의해 진공청소기의 파손,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의 진공청소기들은 보조브러시조립체를 연장관과 함께 본체에 장착하여 보관하고, 청소 시 탈착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된 진공청소기의 경우 보조브러시조립체를 이용한 청소가 종료된 후 보조브러시조립체 내부에서 회전되는 브러시의 회전을 정지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보조브러시조립체를 본체에 장착하면, 진공청소기의 표면이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불의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도 가진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조브러시조립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에서 보조브러시조립체를 사용한 청소를 용이하게 하는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시조립체 안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장관과 보조브러시조립체가 장착 및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 진공청소기에서, 안전성이 향상된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시조립체 안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에 보조브러시조립체와 연장관을 용이하게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브러시조립체 안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장관과 보조브러시조립체가 진공청소기의 본체에 장착되는 경우 본체의 흔들림에도 연장관과 보조브러시조립체가 본체에 견고히 지지되도록 하는 보조브러시조립체 안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시조립체 안전장치는, 진공청소기 본체; 브러시와 상기 브러시를 회전시키는 터빈팬유닛을 구비한 보조브러시조립체;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와 상기 보조브러시조립체를 연결하는 연장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연장관이 장착 및 분리되는 연장관 고정부; 및 상기 유 입공과 상기 브러시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공을 개폐하는 유입공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브러시조립체가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에 장착될 시 상기 브러시의 회전이 자동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조브러시조립체 안전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는, 진공청소기 본체; 브러시와 상기 브러시를 회전시키는 터빈팬유닛을 구비한 보조브러시조립체;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와 상기 보조브러시조립체를 연결하는 연장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연장관이 장착 및 분리되는 연장관 고정부; 및 상기 유입공과 상기 브러시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공을 개폐하는 유입공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브러시조립체가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에 장착될 시 상기 브러시의 회전이 자동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관 고정부에는 상기 유입공개폐부재를 상기 유입공을 개방하도록 이동시키며 상기 유입공개폐부재가 수용 고정되는 유입공개폐부재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공은 상기 터빈팬유닛의 회전 속도 및 상기 보조브러시조립체의 흡입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공개폐부재는 상기 연장관이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연장관의 상부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연장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연장관 중 청소기 손잡이부에 인접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입공개폐부재는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유입공개폐부재에 서로 대칭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본체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장착되는 고정돌기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공개폐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유입공을 차폐하는 방향으로 상기 유입공개폐부재를 이동시키는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조브러시조립체와 상기 연장관이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유입공개폐부재가 자동으로 상기 유입공을 차폐하여 진공청소기 내부의 흡입력이 모두 보조브러시조립체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연장관이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에 장착될 시,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돌기 수용부에 안착되어 지지되면서 상기 유입공개폐부재를 상기 유입공을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유입공을 개방시킨다.
또한, 상기 브러시고정돌기가 흡입구로 삽입되어 브러시를 고정한다.
이에 따라 보조브러시조립체와 연장관이 본체에 장착되는 경우 보조브러시조립체 내부의 브러시의 회전이 정지된다.
상기 연장관은 상기 청소기 본체의 전후방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연장관 고정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장관 고정부는 상기 연장관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연장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보조브러시조립체에 인접된 위치에 설치되어 연장관의 하부를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보조브러시조립체가 삽입 안착되는 보조브러시조립체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보조브러시조립체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보조브러시조립체에 형성된 흡입구로 삽입되어 상기 브러시를 고정시키는 브러시고정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조브러시조립체를 사용한 청소 시 보조브러시조립체에 인가되는 흡입력 및 브러시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보조브러시조립체의 사용이 종료된 후 보조브러시조립체를 본체에 고정하면 자동으로 보조브러시조립체에 설치된 브러시의 회전이 정지되어 브러시의 원하지 않는 회전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파손, 사용자의 부상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브러시조립체를 본체에 용이하게 장착하고,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하여 진공청소기의 사용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브러시조립체를 본체에 장착하고 주브러시조립체를 이용한 청소시 보조브러시조립체를 견고히 지지하여 청소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제 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보조브러시조립체(300)가 분리된 상태의 진공청소기(1)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보조브러시조립체(300)의 저면도, 도 3은 유입공(324)의 개방된 상태의 연장관(320)의 부분 사시도, 도 4는 유입공(324)이 차폐된 상태의 연장관(320)의 부분 사시도, 도 5는 본체(100)의 전면에 형성되는 보조브러시조립체고정부(102)와 연장관고정부(110)를 나타내기 위한 전면커버(101)의 일부 사시도, 도 6은 보조브러시조립체(300)가 장착된 진공청소기(1)의 사시도이다.
도 1과 같이 상기 진공청소기(1)는 본체(100), 주브러시조립체(200),호스(310)에 의해 연결되는 연장관(320) 및 보조브러시조립체(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주브러시조립체(200)는 회전되는 브러시(미 도시)를 내장하여 바닥면에 대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조브러시조립체(300)는 내부에 터빈팬유닛(309)과 브러시(301)를 구비한다. 상기 보조브러시조립체(300)는 또한 도 2와 같이 상기 브러시(301)가 장착된 위치에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302)와 터빈팬유닛(309)의 회전력을 브러시(301)로 전달하기 위해 브러시(301)와 축결합된 스프라킷이 내장되는 스프라킷함(303)이 구비된다. 상기 구성의 터빈팬유닛(309)은 흡입구(30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되어 브러시(301)를 회전시킨다.
상술한 구조의 보조브러시조립체(300)는 연장관(320) 및 호스(310)와 함께 본체(100)에 장착 및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브러시조립체(300)는 청소 시에는 도 1과 같이 연장관(320)과 함께 본체(100)로부터 분리되고,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 6과 보조브러시조립체고정부(102)에 삽입되어 본체(100)에 고정된다.
상기 연장관(320)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손잡이부(321)와 유입공개폐부재(322)와 유입공(3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321)는 보조브러시조립체(300)를 이용한 청소 시 팬모터유닛(미 도시)의 구동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스위치(미 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연장관(320)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스위치(미 도시)는 손잡이부(321) 또는 본체(100)에만 구성되거나, 손잡이부(321)와 본체(100) 모두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유입공개폐부재(322)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양측에서 대칭을 이루며 돌출되는 고정돌기(323)가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321)의 하단부 중 유입공(324)이 형성된 위치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상기 연장관(320)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공(324)을 개방하거나 차폐한다. 상기 유입공개폐부재(322)는 외부의 지지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유입공(324)을 차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305)를 내부에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공(324)은 외부공기를 연장관(320) 내부로 유입시켜 본체(100)의 내부에서 발생한 흡입력이 보조브러시조립체(30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브러시(301)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유입공개폐부재(322)가 결합되는 연장관(320)의 면에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입공(324)은 보조브러시조립체(300) 내부의 흡입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연장관(320)의 상하 길이 방향으로 따라 다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장관(320) 및 호스(310)의 내부에는 손잡이부(321)에 구비된 스위치(미 도시)와 진공청소기(1) 내부의 팬모터유닛(미 도시)을 연결하는 전원선(미 도시)이 배선된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연장관(320)은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유입공개폐부재(322)와 유입공(324)이 형성된 연장 관(320)에서 보조브러시조립체(300) 내부의 흡입력의 조절(흡입력을 낮추는 것)이 필요한 경우, 또는 브러시(301)의 회전을 정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유입공개폐부재(322)는 도 3과 같이 유입공(324)을 개방하도록 위치된다. 이에 따라 유입공(324)을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보조브러시조립체(300)의 흡입력이 약해지거나 전달되지 않는 것에 의해 브러시(301)의 회전이 감소하거나 정지된다.
이와 달리 보조브러시조립체(300) 내부의 흡입력의 조절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또는 브러시(301)의 회전을 정지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 상기 유입공개폐부재(322)는 도 4와 같이 유입공(324)을 차폐하도록 위치된다.
상기 본체(100)는 집진장치(미 도시), 팬모터 유닛(미 도시), 필터유닛(미 도시)을 내장하고 도 1과 같이 보조브러시조립체(300)와 유로전환장치(500)를 구비하여, 상기 주브러시조립체(200)의 상부에 기울어짐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유로전환장치(500)는 본체(100)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을 주브러시조립체(200) 또는 보조브러시조립체(300)로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유로를 전환시킨다.
이러한 결합에 의해 상기 본체(100)는 주브러시조립체(200)를 이용한 바닥면의 청소 시에는 기울어진 상태로 되고, 보조브러시조립체(300)를 이용한 청소 시에는 직립상태로 된다.
상기 본체(100)에는 도 1과 같이 본체(100)의 전면커버(101)에 보조브러시조립체(300)를 본체(100)에 삽입하여 장착하거나 탈착 가능하게 하는 보조브러시조립 체고정부(102)와 연장관(320)이 수용되는 연장관고정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보조브러시조립체고정부(102)에는 보조브러시조립체(300)가 안착되는 경우 흡입구(302)로 삽입되어 브러시(301)에 걸리어 브러시(301)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브러시고정돌기(102a)가 흡입구(301)에 대응하는 위치마다 형성된다.
상기 연장관고정부(110)(도 5 참조)는 연장관(320)의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유입공개폐부재(322)가 수용되는 유입공개폐부재수용부(104)와 연장관(320)이 삽입 안착되는 연장관수용부(103)를 구비한다. 상기 유입공개폐부재수용부(104)에는 양측으로 대칭을 이루며 고정돌기수용부(105)가 형성된다.
도 5에는 상기 유입공개폐부재수용부(104)가 유입공개폐부재(322)가 삽입되는 요입부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유입공개폐부재수용부(140)는 상기 유입공개폐부재(322)가 걸리어 고정되는 걸림구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관수용부(103)에는 연장관(32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경우 본체(100)의 전후 흔들림에 의해 연장관(320)이 본체(100)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브러시조립체고정부(102)의 인접 위치에 연장관(320)을 감싸며 고정하는 지지부재(110a, 도 1 및 도 6 참조)가 형성된다. 도 1 및 도 6에서 상기 지지부재(110a)를 연장관(320)이 억지 끼움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지지부재(110a) 또한 버클에 의해 연장관(320)을 감싸며 고정하는 구성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진공청소기(1)에서 사용자가 보조브러시조립체(300)를 이용하여 청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과 같이 연장관(320)과 보조브러시조립체(300)를 본체(100)의 연장관수용부(103)와 보조브러시조립체고정부(102)로부터 함께 분리한다.
이때, 유입공개폐부재(322)가 유입공개폐부재수용부(104)와 분리되면서 고정돌기(323)가 고정돌기수용부(105)(도 3 참조)로부터 이탈된다. 이 후 사용자가 유입공개폐부재(322)를 유입공(324)을 차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유입공개폐부재(322)의 내부에 탄성부재(305)가 구비된 경우에는 유입공개폐부재(322)는 자동으로 유입공(324)을 차폐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유입공(324)을 차폐한다. 이에 따라 팬모터유닛(미 도시)이 구동하는 경우 발생하는 흡입력이 손실 없이 보조브러시조립체(300)로 전달되어 보조브러시조립체(300)를 이용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보조브러시조립체(300)를 이용한 청소 중 청소면과 보조브러시조립체(300)의 밀착력이 커져 보조브러시조립체(300)의 이동이 용이하지 않게 되면, 사용자는 유입공개폐부재(322)를 유입공(324)을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유입공(324)을 통해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흡입력이 보조브러시조립체(300)로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보조브러시조립체(300)의 흡입력이 약해져 보조브러시조립체(300)와 청소면 사이의 밀착력이 감소하여 보조브러시조립체(3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거나, 브러시(301)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상기 유입공(324)의 개방에 의해 보조브러시조립체(300)와 청소면 사이의 밀착력(보조브러시조립체(300)의 흡입력)을 감소시키도록 하거나, 보조브러시조립체(300) 내부의 브러시(301)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하는 것은 연장관(320)에 형성되는 유입공(324)의 크기와 수의 조절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보조브러시조립체(300)를 이용한 청소가 종료되면 사용자는 보조브러시조립체(300)를 연장관(320)과 함께 도 6과 같이 본체(100)에 장착하여 보관한다. 이때 상기 보조브러시조립체(300)의 저면이 상기 보조브러시조립체고정부(102)에 삽입 결합되며, 상기 연장관(320)은 연장관고정부(110)에 삽입 결합된다.
상기 연장관(320)이 연장관고정부(11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유입공개폐부재(322)는 유입공개폐부재수용부(104)에 삽입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유입공개폐부재(322)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323)가 고정돌기수용부(105)에 삽입되어 지지되면서 유입공개폐부재(322)를 유입공(324)을 개방하는 방향(도 6의 경우 상 방향)으로 이동시켜 유입공(324)을 개방한다.
이에 따라, 보조브러시조립체(300)와 연장관(320)을 본체(100)에 결합 고정시키는 경우, 유입공(324)이 개방되어 흡입력을 보조브러시조립체(300)로 전달하지 않음으로써 브러시(301)의 회전이 자동으로 정지된다.
또한, 상기 보조브러시조립체(300)가 보조브러시조립체고정부(102)에 안착되는 경우 브러시고정돌기(102a)(도 1 참조)가 흡입구(302)(도 2 참조)에 삽입되면서 브러시(301)를 고정하여 보조브러시조립체(300)가 본체(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브 러시(301)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고정돌기(323)는 또한 고정돌기수용부(105)에 삽입 결합되는 것에 의해, 본체(100)가 흔들리는 경우에도 연장관(320)이 연장관수용부(103)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연장관(320)의 보조브러시조립체고정부(102)에 인접되는 하부에서 연장관(32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10a)가 연장관고정부(103)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연장관(320)의 하부를 고정한다. 이에 따라 본체(100)가 요동하는 경우에도 보조브러시조립체(300) 및 연장관(320)이 보조브러시조립체고정부(102) 및 연장관수용부(13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산업용, 가정용, 업소용 청소기 등의 청소용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보조브러시조립체(300)가 분리된 상태의 진공청소기(1)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보조브러시조립체(300)의 저면도,
도 3은 유입공(324)의 개방된 상태의 연장관(320)의 부분 사시도,
도 4는 유입공(324)이 차폐된 상태의 연장관(320)의 부분 사시도,
도 5는 본체(100)의 전면에 형성되는 보조브러시조립체고정부(102)와 연장관고정부(110)를 나타내기 위한 전면커버(101)의 일부 사시도,
도 6은 보조브러시조립체(300)가 장착된 진공청소기(1)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 진공청소기 100: 본체
101: 전면커버 102: 보조브러시조립체 고정부
110: 연장관고정부 110a: 지지부재
103: 연장관수용부 104: 유입공개폐부재수용부
105: 고정돌기수용부 106: 스위치
200: 주브러시조립체 300: 보조브러시조립체
301: 브러시 302: 흡입구
303: 스프라킷함 310: 호스
310: 연장관 321: 손잡이부
322: 유입공개폐부재 323: 고정돌기

Claims (16)

  1. 진공청소기 본체;
    브러시와 상기 브러시를 회전시키는 터빈팬유닛을 구비한 보조브러시조립체;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와 상기 보조브러시조립체를 연결하는 연장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연장관이 장착 및 분리되는 연장관 고정부; 및,
    상기 유입공과 상기 브러시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공을 개폐하는 유입공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공개폐부재는 상기 보조브러시조립체 및 상기 연장관이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에 장착되는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유입공을 개방하는 위치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브러시의 회전을 자동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시조립체 안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 고정부에는,
    상기 유입공을 개방하도록 상기 유입공개폐부재를 이동시키며 고정하는 유입공개폐부재수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시조립체 안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공은 상기 연장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시조립체 안전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공개폐부재는,
    상기 연장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연장관 중 청소기 손잡이부에 인접된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시조립체 안전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공개폐부재는 상기 유입공개폐부재를 이동시키는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시조립체 안전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공개폐부재는 상기 유입공을 차폐하는 위치로 상기 유입공개폐부재를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시조립체 안전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유입공개폐부재에 서로 대칭되도록 돌출 설치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장착되는 고정돌기 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장관이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에 장착될 시,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돌기 수용부에 안착되어 지지되면서 상기 유입공개폐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유입공을 개방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브러시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시조립체 안전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은,
    상기 청소기 본체의 전후방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시조립체 안전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 고정부는,
    상기 연장관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시조립체 안전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연장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보조브러시조립체에 인접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시조립체 안전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보조브러시조립체가 삽입 안착되는 보조브러시조립체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시조립체 안전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보조브러시조립체에 형성된 흡입구로 삽입되어 상기 브러시를 고정시키는 브러시고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시조립체 안전장치.
  13. 진공청소기 본체;
    브러시와 상기 브러시를 회전시키는 터빈팬유닛을 구비한 보조브러시조립체;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와 상기 보조브러시조립체를 연결하는 연장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연장관이 장착 및 분리되는 연장관 고정부; 및,
    상기 유입공과 상기 브러시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공을 개폐하는 유입공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공개폐부재는 상기 보조브러시조립체 및 상기 연장관이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에 장착되는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유입공을 개방하는 위치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브러시의 회전을 자동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 고정부에는,
    상기 유입공을 개방하도록 상기 유입공개폐부재를 이동시키며 고정하는 유입공개폐부재수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보조브러시조립체가 삽입 안착되는 보조브러시조립체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보조브러시조립체에 형성된 흡입구로 삽입되어 상기 브러시를 고정시키는 브러시고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KR1020090061972A 2009-07-08 2009-07-08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시조립체 안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101574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972A KR101574634B1 (ko) 2009-07-08 2009-07-08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시조립체 안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US12/813,756 US8424151B2 (en) 2009-07-08 2010-06-11 Vacuum cleaner having safety apparatus of auxiliary brush assembly
GB1011180.5A GB2471757B (en) 2009-07-08 2010-07-02 Vacuum cleaner having safety apparatus of auxillary brush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972A KR101574634B1 (ko) 2009-07-08 2009-07-08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시조립체 안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518A KR20110004518A (ko) 2011-01-14
KR101574634B1 true KR101574634B1 (ko) 2015-12-04

Family

ID=43611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1972A KR101574634B1 (ko) 2009-07-08 2009-07-08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시조립체 안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63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232B1 (ko) 2006-03-06 2007-06-19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232B1 (ko) 2006-03-06 2007-06-19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518A (ko) 201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6080B1 (ko) 청소기 및 그 사용방법
KR100583680B1 (ko) 전기청소기
KR100564450B1 (ko) 진공 청소기 집진 유니트의 장착 구조
KR20210003543A (ko)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KR100712282B1 (ko) 업라이트형 청소기의 흡입호스 설치구조
KR100822088B1 (ko) 전기청소기
US4685171A (en) Guide for a driven endless belt
US8424151B2 (en) Vacuum cleaner having safety apparatus of auxiliary brush assembly
KR20040087186A (ko) 백레스 진공청소기
US7462210B2 (en) Dust collecting unit for vacuum cleaner
KR100361941B1 (ko) 전기 청소기
KR20090063334A (ko) 로봇청소기의 브러쉬 흡입장치
JP4488975B2 (ja) 電気掃除機
KR101574634B1 (ko)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시조립체 안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20070021471A (ko) 진공 청소기의 필터 장착구조
KR101282536B1 (ko) 집진 장치 및 전기 청소기
KR20210055573A (ko) 청소기 헤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JP3844111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KR200336746Y1 (ko) 로봇진공청소기
KR200159657Y1 (ko) 업라이트청소기의 더스트커버설치구조
KR20110004517A (ko)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시조립체 안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JP2012135511A (ja) 電気掃除機
KR100287587B1 (ko) 전기청소기
KR101068374B1 (ko)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세제탱크
KR950001563Y1 (ko) 진공청소기의 송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