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563Y1 - 진공청소기의 송풍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송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563Y1
KR950001563Y1 KR92026051U KR920026051U KR950001563Y1 KR 950001563 Y1 KR950001563 Y1 KR 950001563Y1 KR 92026051 U KR92026051 U KR 92026051U KR 920026051 U KR920026051 U KR 920026051U KR 950001563 Y1 KR950001563 Y1 KR 9500015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p
main body
exhaust
vacuum cleaner
exhaus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60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4549U (ko
Inventor
안윤영
Original Assignee
이헌조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조, 주식회사 금성사 filed Critical 이헌조
Priority to KR920260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1563Y1/ko
Publication of KR9400145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45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5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5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8Nozzles with means adapted for blow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4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for using the exhaust air for other purposes, e.g. for distribution of chemicals in a room, for sterilisation of the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송풍장치
제1도는 종래 진공청소기의 종단면도.
제2도는 종래 진공청소기의 흡입부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진공청소기의 종단면도.
제4도는 (a)(b)는 본 고안에 의한 진공청소기 흡입부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틈새청소용 분출구 조립체가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배기덮개 구성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배기공기 차단판 설치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5 : 배기구
5' : 1차 배기구 5" : 2차 배기구
14 : 틈새청소용 분출구 조립체 15 : 호스
16 : 틈새청소용 분출구 17 : 틈새청소용 분출구 덮개
18 : 걸림부 19 : 스프링
22 : 틈새청소용 분출관 24 : 안내홈
27 : 차단판 29 : 탈거방지편
32 : 스프링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의 송풍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청소장소의 모서리부 또는 틈새의 오물을 불어내어 청소할 수 있도록 한 진공청소기의 송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의 전방부에 호스(2)가 연결되고, 본체(1)의 내측 후방부에 모터(3)가 결합되어 있으며, 모터(3)의 앞부분에는 모터(3)를 지지해주는 모터 지지패킹(7)이 모터형태로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모터(3)의 일측부에는 전선감지장치(4)가 결합되고, 본체(1)의 후방부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5)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1)의 내측 전방부에 형성된 진공실(8)에는 필터(9)가 삽입되고, 본체(1)의 후방부 하측에는 2개의 뒷바퀴(6a)가 결합되며, 본체(1)의 전방부 하측에는 1개의 앞바퀴(6b)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호스(2)의 끝단부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10)가 있으며, 손잡이(10) 앞에 2개의 연결관(11)이 서로 결합되고, 연결관(11)의 선단에는 상용 흡입구(12)가 결합되어 있다.
사용자가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청소를 하는 경우에는 본체(1)에 구비된 온, 오프 스위치를 동작시키면 모터(3)의 내부에 있는 임펠러가 구동되어 진공실(8)의 공기를 흡입해 외부와의 기압차를 일으켜 흡입력을 발생하고, 흡입된 공기는 본체(1)의 뒷 부분에 구성되어 있는 배기구(5)측으로 유출시킨다. 즉, 바닥에 있는 먼지나 오물을 상용 흡입구(12) 중앙 내부로 흡입시켜 2개의 연결관(11) 내부로 들어가 호스(2)로 유입되고, 이때 먼지나 오물은 필터(9)에서 걸러지고 공기는 모터(3) 내부로 거쳐 배기구(5)측으로 유출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진공청소기의 상용 흡입구(12)로는 홈이 깊게 들어간 내부 오물을 흡입시킬 수 없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고, 장롱의 윗부분이나, 선반 모서리부, 창틀 내부에 있는 먼지는 청소기의 흡입력이 강하더라도 흡입이 곤란하며, 종래 진공청소기는 불어내주는 장치가 없고, 항상 흡입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먼지나 오물을 밖으로 유출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계측기 내부에 끼어 있는 미세한 먼지나, 액체물질을 흡입시킬 수 없으며, 액체물질을 흡입하면 모터(3) 내부로 들어가 단락될 우려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진공청소기의 종단면도이고, 제4도(a)(b)는 본 고안에 의한 진공청소기 흡입부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틈새청소용 분출구 조립체가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각각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의 내측 후방부 하측에 1차 배기구(5')가 형성되고, 본체(1)의 전방부 하측에 2차 배기구(5")가 형성되어 있으며, 2차 배기구(5")의 측방으로 배기구(5)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8은 진공실이다.
또, 2차 배기구(5")에 끼울 수 있도록 틈새청소용 분출구 조립체(14)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틈새청소용 분출구 조립체(14)의 전방부에는 주름관인 호스(15)가 연결되 호스(15)이 단부에 틈새청소용 분출구(16)가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틈새청소용 분출구 조립체(14)는 원형 틈새청소용 분출관(22)의 전방부에 호스(15)가 접착체로 부착되고, 틈새청소용 분출관(22)의 앞부분에 호스(15)를 감싸는 틈새청소용 분출구 덮개(17)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틈새청소용 분출구 덮개(17)의 내측에는 선단부가 갈고리 모양으로 된 걸림부(18)가 회전축(20)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걸림부(18)에는 걸림돌기(18a)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에 형성된 돌기에 의해 걸림부(18)를 외측으로 탄지하는 스프링(19)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본체(1)의 내부에는 배기통로를 개폐하는 배기공기 차단판(27)이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덮개(21)에 형성된 회전홈(28)에 회전돌기(31)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돌기(31)에는 배기공기 차단판(27)을 닫히는 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32)이 결합되어 있으며, 본체(1)의 배기통로 상측부에는 상기 배기공기 차단판(27)의 회전을 규제하기 위한 탈거방지편(2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틈새청소용 분출관(22)의 단부에는 상기 배기공기 차단판(27)을 열기 위한 개폐편(30)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의 측방에는 배기구(5)를 개폐하는 배기덮개(25)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배기덮개(25)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의 측벽에 형성된 안내홈(24)에 끼워져 미닫이식으로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흡입 연결관(11)의 손잡이(10)에는 걸이(13)가 형성되어 상기 틈새청소용 분출구(16)를 상기 걸이(13)에 삽입, 결합하여 보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본체(1) 내부에 있는 모터(3)가 구동되어 공기를 흡입하게 되며, 배기공기는 1차 배기구(5') 및 2차 배기구(5")를 통하여 배기구(5)로 배출된다.
사용자가 청소장소의 모서리부 또는 틈새를 청소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틈새청소용 분출구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평상 청소시에는 열어 두었던 배기덮개(25)를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닫아준후 틈새청소용 분출구 조립체(14)의 틈새청소용 분출관(22)을 2차 배기구(5')에 삽입하면 걸림부(18)가 하부 덮개(21)의 앞부분에 형성된 결합돌기(23)와 체결되며, 이와 같이 하면 배기공기는 배기구(5)를 통하지 않고 2차 배기구(5")를 통해 틈새청소용 분출구(16) 밖으로 유출된다.
이후 틈새청소용 분출구 조립체(14)의 걸림돌기(18a)를 눌러주면서 틈새청소용 분출구 조립체(14)를 앞으로 당기면 걸림부(18)가 하부 덮개(21)의 앞부분에 형성된 결합돌기(23)에서 이탈되면서 틈새청소용 분출구 조립체(14)가 본체(1)로부터 분리되고, 이순간 배기공기 차단판(27)은 개폐편(30)과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스프링(32)의 힘에 의해 탈거방지편(29)까지 회전되어 통로를 폐쇄하게 되며, 이때 배기덮개(25)를 열고 평상의 청소를 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배기공기가 1차 배기구, 2차 배기구 및 배기구로 유출되기 때문에 유로가 길게 되어 소음이 감소되며, 배기공기 유로가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소음을 느낄 수 있는 감도가 완화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을 이용하면 틈새, 모서리, 홈 부위에 빨아들일 수 없는 오물이나 미세한 먼지 덩어리를 불어 내어 다시 상용 흡입구를 흡입하여 청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물, 액체 등이 홈에 고여 있을 때 기존 청소기는 흡입 밖에 할 수 없기 때문에 청소가 곤란하지만 본 고안의 틈새청소 기능을 이용한다면 액체를 불어내어 마른 걸레로 깨끗하게 닦을 수 있으므로 청소가 쉽게 되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필터 내부에 있는 진드기를 없애고자 하는 겨우, 틈새 틈새청소용 분출구를 연결관에 결합시키면 벌레 퇴치 기능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본체(1)의 내측 후방부 하측에 1차 배기구(5')를 형성하고, 본체(1)의 전방부 하측에 2차 배기구(5")를 형성하며, 2차 배기구(5")의 측방으로 차단판(27)에 의해 개폐되는 배기구(5)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2차 배기구(5")에 결합하기 위한 틈새청소용 분출구 조립체(14)에는 공기를 뿜어내어 틈새의 오물을 불어내기 위한 틈새청소용 분출구(16)를 호스(15)로 연결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송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청소용 분출구 조립체(14)는 원형 틈새청소용 분출관(22)의 전방부에 호스(15)가 접착제로 부착되고, 틈새청소용 분출관(22)의 앞부분에 호스(15)를 감싸는 틈새청소용 분출구 덮개(17)가 형성되며, 틈새청소용 분출구 덮개(17)의 내측에는 선단부가 갈고리 모양으로 된 걸림부(18)가 회전축(20)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에 걸림부(18)를 외측으로 탄지하는 스프링(19)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송풍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내부에는 배기통로를 개폐하는 배기공기 차단판(27)이 하부 덮개(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돌기(31)에는 배기공기 차단판(27)을 닫히는 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32)이 결합되며, 본체(1)의 배기통로를 상측부에는 상기 배기공기 차단판(27)의 회전을 규제하기 위한 탈거방지편(29)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송풍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덮개(25)는 본체(1)의 측벽에 형성된 안내홈(24)에 끼워져 미닫이식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송풍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연결관(11)의 손잡이(10)에는 걸이(13)가 형성되어 상기 틈새 틈새청소용 분출구(16)를 상기 걸이(13)에 삽입, 결합하여 보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송풍장치.
KR92026051U 1992-12-22 1992-12-22 진공청소기의 송풍장치 KR9500015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6051U KR950001563Y1 (ko) 1992-12-22 1992-12-22 진공청소기의 송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6051U KR950001563Y1 (ko) 1992-12-22 1992-12-22 진공청소기의 송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4549U KR940014549U (ko) 1994-07-16
KR950001563Y1 true KR950001563Y1 (ko) 1995-03-09

Family

ID=19347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6051U KR950001563Y1 (ko) 1992-12-22 1992-12-22 진공청소기의 송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156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4549U (ko) 199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20187A (en) Filter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US4960446A (en) Vacuum cleaner dirt receptacle
US6807708B2 (en) Upright vacuum cleaner with dual hoses and hose ports
US4262384A (en) Vacuum cleaner bag assembly
US5802666A (en) Power brush for a vacuum cleaner
GB2385514A (en) Cyclonic vacuum cleaner with filter and filter sweeper
US4685171A (en) Guide for a driven endless belt
US5099545A (en) Vacuum cleaner including a squeegee
US7462210B2 (en) Dust collecting unit for vacuum cleaner
US5970575A (en) Dust-collecting unit for a combination-type vacuum cleaner
EP0136895A2 (en) Self-cleaning joint
KR950001563Y1 (ko) 진공청소기의 송풍장치
US7370389B2 (en) Water filter vacuum cleaner
US4700428A (en) Hose assembly for fluid flow apparatus
KR20000036313A (ko) 분사호스가 장착된 진공청소기
KR20190064917A (ko)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 청소기
TWI825605B (zh) 清掃機
KR100778708B1 (ko) 진공청소기용 모터보호장치
US11213179B2 (en) Bleed valve such as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920004786Y1 (ko)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교환장치
KR100229083B1 (ko) 진공청소기용 부속품 보관장치
KR960004679Y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역류 방지장치
KR930007017Y1 (ko) 진공청소기 상용흡입구
KR100692552B1 (ko) 진공 청소기의 먼지통
KR0158386B1 (ko) 흡입구가 2개인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