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2088B1 - 전기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2088B1
KR100822088B1 KR1020060138577A KR20060138577A KR100822088B1 KR 100822088 B1 KR100822088 B1 KR 100822088B1 KR 1020060138577 A KR1020060138577 A KR 1020060138577A KR 20060138577 A KR20060138577 A KR 20060138577A KR 100822088 B1 KR100822088 B1 KR 100822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opening
filter
dust collecting
electric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8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3084A (ko
Inventor
마사토시 다나카
리쓰오 다케모토
요시히로 쓰치야
히토시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3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3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0Means for cleaning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2Dry filters 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5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iltering elements moving during filtering operation
    • B01D46/00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iltering elements moving during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tion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1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4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 B01D46/7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involving vibrations

Abstract

청결감을 향상한 전기청소기를 제공한다.
회전체에 의해 플리츠 필터로부터 제거한 가는 먼지를 진애받이부에 의해 받은 상태로 전환수단(C)에 의해 풍로를 전환하여 부풍로(W2)를 전동송풍기(5)의 흡입 측에 연통시킨다. 외부공기 취입개구로부터 진애받이부 및 집진부 유닛의 미세먼지 필터를 경유하여 전동송풍기(5)로 공기를 빨아들이기 때문에, 진애받이부에 모인 가는 먼지를 미세먼지 필터에 포집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청결감을 향상 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청소기{VACUUM CLEAN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전기청소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전기청소기의 전환수단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전기청소기의 격벽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격벽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상기 격벽을 배면측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전기청소기의 집진부의 내부를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집진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집진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상기 집진부를 배면측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집진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전기청소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청소기 본체 5 : 전동송풍기
11 : 본체흡입구 22 : 집진부로서의 집진부 유닛
27 : 제진수단으로서의 회전체 115 : 진애받이부
117 : 외부공기 취입개구 139 : 필터로서의 플리츠 필터
271 : 구동수단으로서의 모터 C : 전환수단
W1 : 주풍로 W2 : 부풍로
본 발명은, 필터와 접촉하여 이 필터로 포집한 진애(塵埃)를 제거하는 제진수단을 구비한 전기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전기청소기는, 전동송풍기를 수용한 청소기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이 청소기 본체내에는, 전동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생기는 부압(負壓)의 작용으로 빨아들인 진애를 포집하는 집진부와, 이 집진부의 하류측에 위치하고, 이 집진부에서 포집하지 않았던 미세한 진애 즉 가는 먼지를 포집하는 원형 플리츠형상의 필터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플리츠형상의 필터는, 청소가 종료했을 때 등에 제진수단이 구동되어, 이 제진수단이 필터와 접촉하여 이 필터를 치는 것에 의해, 이 필터로 포집된 가는 먼지가 제거되어 진애받이부에 모인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4-358135호(제 5∼7페이지, 도 11∼13)
그러나, 상술의 전기청소기에서는, 플리츠 필터로부터 제거된 가는 먼지가, 플리츠 필터의 하방에 모여, 청결감이 부족하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청결감을 향상시킨 전기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동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빨려 들여간 진애를 포집하는 집진부와, 가는 먼지를 포집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이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고 있는 필터와 접촉하여, 이 필터로 포집한 진애를 제거하는 제진수단과, 이 제진수단에 의해 필터로부터 제거된 진애를 받는 진애받이부와, 이 진애받이부와 외부공기를 연통 가능한 외부공기 취입개구와, 본체흡입구와 전동송풍기의 흡입측을, 적어도 필터를 통과하여 연통시키는 주풍로(主風路)와, 외부공기 취입개구와 전동송풍기의 흡입측을, 진애받이부 및 집진부를 통과하고, 또한, 필터를 통과하지 않고 연통하는 부풍로(副風路)와,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어, 이 구동수단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주풍로와 부풍로를 선택적으로 전동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시키는 전환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전기청소기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있어서, 1은 청소기 본체이고, 이 청소기 본체(1)는 마루면을 주행 가능한, 소위 캐니스터형의 전기청소기이다. 이 청소기 본체(1)는, 위쪽이 후방에 서 전방으로 아래쪽으로 경사져서 개방된 하부 케이스(2)와, 이 하부케이스(2)의 상부를 덮는 덮개(3)를 갖는 본체 케이스(4)를 구비하고, 이 본체 케이스(4)내에는, 전동송풍기(5)를 내부에 수용하는 전동송풍기실(6)이 뒤쪽에, 덮개(3)에 의해 상부가 개폐되어 집진유닛(7)을 착탈 가능한 본체 집진실(8)이 앞쪽에, 각각 격벽 (9)에 의해 구획되고 있다.
그리고, 본체 케이스(4)의 전단부에는, 본체 집진실(8)을 통하여 전동송풍기 (5)의 흡입측에 연통 가능한 본체흡입구(11)가 개구 형성되고, 이 본체흡입구(11)에는, 호스체(12)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호스체(12)의 선단부에, 손잡이조작부(13)가 설치되고, 이 손잡이조작부(13)에는, 작업자가 파지하는 파지부(14)가 돌출설치되고, 이 파지부(14)에는, 작업자에 의해 전동송풍기(5) 등의 동작이 설정되는 설정버튼(15)이 복수 설치되고 있다. 그리고, 손잡이조작부(13)의 선단부에는, 연장관(16)과 흡입구체로서의 마루브러시(17)가 차례차례 연통 접속된다.
또한, 본체 케이스(4)내에는, 전동송풍기(5)에 급전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는 전원코드를 감아 돌린 코드 릴이 배치되고, 전원코드가 본체 케이스(4)에 대해서 출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동송풍기(5)는, 흡입측을 앞쪽으로 하고, 배기측을 뒤쪽으로 하여 전동송풍기실(6)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전동송풍기(5)는, 본체 케이스(4)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소정의 동작모드로 동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동작모드는, 설정버튼(15)의 조작에 의해 적절히 설정된다.
집진유닛(7)은, 진애분리 본체부로서의 진애분리 유닛(21)과 집진부로서의 집진부 유닛(22)을 구비하고 있다.
진애분리 유닛(21)은, 도 6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분리부로서의 진애분리부(24)와, 이 진애분리부(24)의 뒷부분에 일체로 설치된 필터부 (25)를 갖고, 이 필터부(25)에, 가는 먼지를 포집하는 플리츠형상의 플리츠 필터체 (26)와, 이 플리츠 필터체(26)와 동축상에 설치된 제거수단으로서의 회전체(27)가 동축상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있다.
진애분리부(24)는, 각통(角筒)형상의 안내풍로관(31)이, 좌우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배치되고, 이 안내풍로관(31)의 한 쪽인 도 7에 나타내는 좌측에 대략 원통형상의 분리실부(32)가 연통되고, 이 분리실부(32)내에 이 분리실부(32)와 동축형상으로 대략 재두 원추형상 즉 대략 원추대형상의 진애분리수단(33)이 설치되고, 또한, 안내풍로관(31)의 다른 쪽인 도 7에 나타내는 우측에 집진부 유닛(22)의 하류측에 연통하는 연통관부(34)가 설치되고, 또한, 안내풍로관(31)의 하방에, 분리실부(32)의 하류측과 필터부(25)의 상류측을 연통하는 연통풍로부(35)가 설치되고 있다.
안내풍로관(31)은, 진애분리 유닛(21)을 본체 케이스(4)의 본체 집진실(8)에 장착한 상태로 본체흡입구(11)의 하류측에 기밀하게 접속되고 진애를 공기와 함께 빨아들이는 흡입접속구(38)를 전단부에 구비하고, 또한, 분리실부(32)의 상류측에 연통하는 접속개구(39)를 후단부에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안내풍로관(31)의 상부에는, 진애분리 유닛(21)에 집진부 유닛(22)을 걸어멈춤하기 위한 걸어멈춤체(40)가 설치되어 있다.
흡입접속구(38)의 둘레가장자리부에는, 본체흡입구(11)와 기밀하게 접속하기 위한 앞부분 시일부재로서의 앞부분 패킹(42)이 부착되어 있다.
접속개구(39)는, 안내풍로관(31)내를 통과한 공기를, 분리실부(32)의 안둘레면과 진애분리수단(33)의 바깥둘레와의 사이에서, 둘레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이끄는 것이다.
걸어멈춤체(40)는, 전후방향에 직사각형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안내풍로관 (31)의 흡입접속구(38)의 상부에 설치된 삽통 걸어멈춤부(45)에 전단부가 끼워통해져서, 앞쪽 근방의 위치와 후단부 근방에 각각 미끄럼운동구멍(46,46)이 뚫려 형성되고, 이러한 미끄럼운동구멍(46,46)에, 안내풍로관(3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설치된 보스형상의 가이드 보스부(47,47)가 끼워통해지며, 이들 미끄럼운동구멍(46,46) 사이에, 집진부 유닛(22)측을 걸어멈춤하기 위한 걸어멈춤부(4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걸어멈춤체(40)는, 도시하지 않는 걸어멈춤체 가압수단에 의해, 앞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삽통 걸어멈춤부(45)는, 안내풍로관(31)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판형상의 돌출판부(51)에, 걸어멈춤체(40)의 전단측이 끼워통해지는 가로로 긴 삽통구멍(52)이 뚫려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삽통 걸어멈춤부(45)의 삽통구멍 (52)에 끼워통해진 걸어멈춤체(40)의 전단부에는, 이 걸어멈춤체(40)를 전후방향으로 미끄럼운동시킬 때의 피조작부가 되는 미끄럼운동용 돌기부(53)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각 미끄럼운동구멍(46)은, 전후방향으로 긴 구멍형상으로 형성되고, 각 가이 드 보스부(47)를 상대적으로 전후방향으로 가이드함과 동시에, 걸어멈춤체(40)의 좌우방향으로의 차이를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어멈춤부(48)는, 중앙부에 사각형형상의 걸어멈춤구멍(55)이 뚫려 형성된 부분이며, 집진부 유닛(22)에 하방을 향하여 돌출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걸어멈춤조가 걸어멈춤구멍(55)에 삽입되었을 때에, 걸어멈춤체 가압수단의 가압에 의해, 걸어멈춤조가 걸어멈춤구멍(55)의 뒷부분에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 집진부 유닛(22)을 진애분리 유닛(21)에 걸어멈춤하고, 미끄럼운동용 돌기부(53)가 눌려져 걸어멈춤체(40)가 걸어멈춤체 가압수단의 가압에 저항하여 후방으로 미끄럼운동했을 때에, 걸어멈춤구멍(55)에의 걸어멈춤조의 걸어맞춤이 어긋나는 것에 의해, 집진부 유닛(22)이 진애분리 유닛(21)에 대해서 떼어내기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분리실부(32)는, 전단측의 상부에 안내풍로관(31)에 연통하는 접속개구(39)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진애분리수단(33)이 부착되는 원형상으로 개구 (59)가 중앙부에 뚫려 형성되고, 또한, 이 개구(59)의 주위에, 부채꼴형상의 개구 (61)가 뚫려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분리실부(32)의 아래쪽의 둘레벽부에는, 필터부(25)측과 연통풍로(62)를 통하여 연통하는 연통 개구부로서의 도시하지 않는 진애복귀 개구가 뚫려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분리실부(32)는, 도시하지 않는 덮개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분리실부(32)의 위쪽의 둘레벽부에는, 분리실부(32)내를 집진부 유닛(22)의 상류측으로 연통시키는 도입개구(65)가 개구 형성되고 있다.
접속개구(39)와 흡입접속구(38)와의 사이에는, 안내풍로관(31)내에 위치하고 제 1 풍로 개폐부재로서의 상류측 개폐부재인 제 1 개폐밸브(66)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 개폐밸브(66)는, 접속개구(39)와 흡입접속구(38)를 연통/차단하는 것이고, 좌우방향으로 직사각형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의 일끝단부인 도 6에 나타내는 좌단부에, 안내풍로관(31)의 상하에 걸쳐서 축지지된 제 1 개폐밸브축지지부(6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 개폐밸브축지지부(68)는, 안내풍로관(31)의 상부에서 도입개구(65)의 측방에 뚫려 형성된 개폐밸브축지지구멍(69)에 상단부가 끼워통해져서, 이 상단부가, 접속기구(70)를 통하여 회전체(27)측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접속기구(70)는, 일끝단부가 제 1 개폐밸브축지지부(68)의 상단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접속된 접속체로서의 크랭크체(72)와, 이 크랭크체(72)와 회전체(27)를 접속하는 미끄럼운동 접속체로서의 접속판(73)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접속기구(70)는, 걸어멈춤체(40)와 함께, 필터부(25)의 앞부분으로부터 안내풍로관(31)의 상부에 걸쳐서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커버체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덮여 있다.
크랭크체(72)는, 선단측이 제 1 개폐밸브(66)와 평면에서 보아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접속판(73)은, 판형상의 접속판 본체(75)와, 이 접속판 본체(75)의 도 6에 나타내는 좌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대략 수평하게 연장하여 설치된 연장설치팔부(76) 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판 본체(75)는 가로로 길게 형성되고, 필터부(25)의 앞부분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는 기구수용부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이 접속판 본체(75)에는, 회전체(27)의 회전축(78)이 끼워통해지는 회전축구멍(79)이 좌우방향으로 긴 구멍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회전축구멍(79)의 상방에, 회전축(78)의 둘레가장자리부의 일부에 설치된 맞물림기어부(81)와 맞물림하는 기어형상의 랙기어부(82)가 좌우 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접속판 본체(75)는, 회전체(27)의 회전운동을 좌우방향에의 미끄럼운동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다.
연장설치팔부(76)의 선단부에는, 크랭크체(72)의 기단측이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크랭크체(72)는, 접속판 본체(75)의 좌우방향으로의 미끄럼운동을, 제 1 개폐밸브(66)의 제 1 개폐밸브축지지부(68)의 회전운동으로 변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59)는, 연통풍로부(35)를 통하여 필터부(25)와 연통하고 있다.
개구(61)에는, 도시하지 않는 리브가 격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이 리브에 걸쳐서 네트필터(86)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개구(61)는, 개구(59)와 마찬가지로 연통풍로부(35)를 통하여 필터부(25)의 상류측에 연통하고 있다.
연통풍로(62)는, 분리실부(32)의 뒷부분 아래쪽으로부터 필터부(25)의 하부에 걸쳐서 대략 수평형상으로 형성되고 있다.
또한, 진애분리수단(33)은, 선단부에 위치하는 원판(91)과, 개구(59)의 주위에 부착된 원고리형상의 링 프레임(92)을 구비하고, 이러한 원판(91)과 링 프레임 (92)이, 방사상으로 복수 설치된 리브형상의 연결프레임(93)에 의해 연결되어, 이러한 연결프레임(93) 사이에 형성되어 개구(59)에 연통하는 연통개구(94)에 네트필터(95)가 설치되어 있다.
연통관부(34)는, 진애분리부(24)의 도 7에 나타내는 우측부에 뚫려 형성된 측부 개구(97)와 진애분리부(24)의 좌우방향의 대략 중심영역의 하부에 돌출설치된 각통형상의 돌출관부(98)에 걸쳐서 연속하고, 또한, 필터부(25)의 앞부분에, 제 1 접속개구(99)를 통하여 연통하고 있는 풍로이다.
측부 개구(97)는, 도시하지 않는 시일부재가 둘레가장자리부에 설치되고, 집진부 유닛(22)의 하류측과 기밀하게 접속되는 것이다.
돌출관부(98)는, 진애분리부(24)의 뒤쪽 근방에 위치하고, 선단측인 하단부의 바깥둘레부에 접속 시일부재로서의 접속패킹(101)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돌출관부(98)의 기단부는, 연통관부(34)내에서, 플리츠형상의 미세먼지 포집 수단으로서의 미세먼지 필터(102) 에 의해 덮여 있다.
여기서, 이 미세먼지 필터(102)는, 전후방향을 따르는 플리츠가 좌우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통풍로부(35)는, 연통관부(34)와 평행하게 전후방향으로 형성되고, 후단부가, 제 1 접속개구(99)의 측부에 인접하여 뚫려 형성된 제 2 접속개구(104)를 통하여 필터부(25)의 앞부분에 연통하고 있는 풍로이다.
그리고, 필터부(25)는, 후단부가 개구된 대략 원통형상의 필터부 본체인 수납케이스(111)와, 이 수납케이스(111)내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필터로서의 플리 츠 필터체(26)와, 이 플리츠 필터체(26)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체(27)를 구비하고 있다.
수납케이스(111)는, 앞끝단을 형성하는 정면에서 보아 대략 원형상의 구획벽으로서의 전벽부(114)와, 이 전벽부의 바깥둘레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 진애받이부(115)를 가지고 있다.
전벽부(114)의 앞부분에는, 진애분리부(24)가 일체로 형성되고 있다. 또한, 이 전벽부(114)의 중앙부에는, 회전체(27)를 회전 자유롭게 축지지하는 도시하지 않는 축지지구멍이 뚫려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전벽부(114)의 좌우폭방향 대략 중앙부의 하부에는, 각 접속개구(99,104)가 뚫려 형성되어 있는 것과 동시에, 위쪽 근방의 위치에, 위쪽 개구부로서의 외부공기 취입개구(117)가 둘레방향에 따라서 부채꼴형상으로 뚫려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전벽부(114)에는, 회전체(27)의 가이드용의 가이드부(118)가 둘레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접속개구(99)는,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접속개구(104)는, 도 9에 나타내는 제 1 접속개구(99)의 우측에, 제 1 접속개구(99)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접속개구(99,104) 전체로서는, 전벽부(114)의 중심측보다 바깥둘레측이 좌우방향으로 확대되어 벌어진 대략 사다리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접속개구(99,104)의 둘레가장자리부에는, 필터 상류부 시일부재로서의 패킹(119)이 부착되어 있다.
외부공기 취입개구(117)는, 외부공기와 진애받이부(115)를 연통 가능한 것으 로, 가이드부(118)의 상방에, 이 가이드부(118)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외부공기 취입개구(117)에는, 이 외부공기 취입개구(117)를 개폐 가능한 개폐덮개(120)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개폐덮개(120)는, 전벽부(114)의 앞쪽에 위치하고, 하단부에 힌지부 (121,121)가 돌출설치되어, 이러한 힌지부(121,121)가, 가이드부(118)의 앞부분에 설치된 힌지받이부(122)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있는 것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는 개폐체 가압수단에 의해 후방 즉 전벽부(114)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그리고, 이 개폐덮개(120)는, 개폐체 가압수단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외부공기 취입개구(117)를 개폐 가능해지고 있다. 또한, 이 개폐덮개(120)의 뒷부분에는, 회전체(27)와 접촉 가능한 개폐체 돌출부(124)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 개폐체 돌출부(124)는, 도 9에 나타내는 좌단부로부터 우단부로, 돌출량이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외부공기 취입개구(117)로부터 수납케이스(111)내 즉 전벽부(114)의 후면보다 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가이드부(118)는, 전벽부(114)의 도면에 나타내는 왼쪽에서부터 위쪽에 걸쳐서 약 90°의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진애받이부(115)는, 전벽부(114)의 전체둘레에 걸쳐서 후방으로 돌출하고, 플리츠 필터체(26)로부터 회전체(27)에 의해 떨어진 가는 먼지를 받는 벽형상의 부분이며, 이 진애받이부(115)에는, 전벽부(114)의 중앙부보다 아래쪽, 또한, 이 전벽부(114)의 중앙부에 대해서 외부공기취입개구(117)와 대략 대칭인 위치에, 배출개구로서의 하부 분체(粉體)투입구인 하부 배출개구(131)가 개구형성되어 있 다.
이 하부 배출개구(131)는, 세로로 긴 사각형형상으로 형성되고, 연통풍로 (62)를 통하여 분리실부(32)로 연통하고 있다. 또한, 이 하부 배출개구(131)에는, 회전체(27)의 회전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부재(132)가 배치되어 있다. 이 개폐부재 (132)는, 회전체(27)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하부 배출개구(131)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플리츠 필터체(26)는, 중앙부에 위치하고 회전체(27)의 회전축(78)의 후단부가 삽입된 대략 원통형상의 축부(136)와, 이 축부(136)의 바깥둘레면으로부터 지름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돌출설치된 복수의 플리츠 뼈대(137)와, 이러한 플리츠뼈대(137)에 접착되어 방사 플리츠형상으로 형성된 필터로서의 플리츠 필터(139)를 가지고 있다. 한편, 도 6에 있어서, 플리츠 필터체(26)는 그 주요부만을 기재하고, 플리츠 필터(139)는, 플리츠뼈대(137)를 나타내기 위해서, 그 일부를 절결하여 기재하고 있다.
또한, 회전체(27)는, 플리츠 필터체(26)의 축부(136)에 삽입된 회전체축부로서의 축부(141)와, 이 축부(141)로부터 지름방향으로 돌출설치된 밸브부인 폐색밸브부(142)와, 이 폐색밸브부(142)와 반대방향으로 축부(141)로부터 돌출설치 된 제진팔부(143)를 가지고 있다.
축부(14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벽부(114)보다도 앞쪽으로 돌출한 전단부에 맞물림기어부(81)가 설치되어 있다.
폐색밸브부(142)는, 각 접속개구(99,104) 전체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접속개구(99,104)를 덮는 것이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폐색밸브부(142)는, 회전체(27)가 도 9의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에서, 각 접속개구(99,104) 전체를 개구함과 동시에, 도 9의 상상선(想像線;142a)으로 도시된 상태로, 접속개구(99,104) 전체를 폐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폐색밸브부(142)는, 전벽부(114)에 설치된 스토퍼부(144,145)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회전체(27)의 회전이 규제되고 있다. 또한, 이 폐색밸브부(142)는, 회전시에, 개폐부재(132)에 접촉하여, 이 개폐부재(132)를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진팔부(143)는, 축부(141)에 대해서, 외부공기 취입개구(117)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고, 회전시에, 개폐덮개(120)의 개폐체 돌출부(124)에 접촉하여, 이 개폐덮개(120)를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진팔부(143)에는, 뒤쪽 즉 플리츠 필터체(26)측으로 돌출한 제진부로서의 먼지떨어뜨리기 돌기부(14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먼지떨어뜨리기 돌기부(147)는, 플리츠 필터(139)에서 포집한 미세한 진애 즉 가는 먼지를, 이 플리츠 필터(139)에 진동을 주는 것에 의해 제거하는 부분이며, 플리츠 필터체(26)를 필터부(25)에 장착한 상태로, 플리츠 필터(139)의 골짜기부에 끼워맞춤 가능한 돌출량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먼지떨어뜨리기 돌기부(147)는, 도시하지 않는 가압수단에 의해 제진팔부(143)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후방으로 돌출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한편,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진부 유닛(22)은, 진애분리 유닛(21)에 집진부 유닛(22)을 장착한 상태로, 진애분리 유닛(21)의 분리실부(32)의 하류측 에 연통하는 연통로(151)와, 이 연통로(151)의 하류측에 연통하여 진애를 모으는 집진실(152)을 가지고 있다.
연통로(151)는, 좌우방향으로 긴 형상의 좌우풍로부(154)와 이 좌우풍로부(154)의 도 10에 도시된 우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측벽부(155)를 갖는 정면에서 보아 대략 L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우풍로부(154)는, 도입개구(65)와 연통하는 도시하지 않는 풍로부 개구가 도 10에 나타내는 좌단부의 아래쪽에 뚫려 형성되고, 분리실부(32)와 집진실(152)을 연통하는 풍로를 구획하고 있다. 또한, 이 좌우풍로부(154)의 상부에는, 집진부 유닛(22)을 들어올림 가능하게 하는 손잡이부(15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좌우풍로부(154)의 하부에는, 진애분리 유닛(21)측의 걸어멈춤체(40)의 걸어멈춤부(48)의 걸어멈춤구멍(55)과 걸어맞춤 가능한 도시하지 않는 조부(爪部)가 돌출설치 되고 있다.
측벽부(155)는, 집진실(152)의 한쪽을 구획하는 부분이며, 진애분리 유닛 (21)에 집진부 유닛(22)을 장착한 상태로 측부 개구(97)와 연통하는 도시하지 않는 측벽부 개구가 뚫려 형성되어 있다. 이 측벽부 개구에는, 도시하지 않는 필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측벽부(155)의 도 10에 나타내는 우측에는, 집진실(152)의 진애 폐기구가 되는 개구부(15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집진실(152)은, 예를 들면 솜쓰레기 등의 비교적 큰 진애가 수용되는 부분이며, 개구부(158)의 하단부에서 측벽부(155)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지지된 덮개(161)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덮개(161)의 상단부에는, 손 잡이부(156)내에 일부가 설치된 걸어멈춤기구(162)에 의해 걸어멈춤되는 피걸어멈춤부(163)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걸어멈춤기구(162)는, 손잡이부(156)의 도 10에 나타내는 좌단부에, 손잡이부(156)를 파지한 상태로 작업자가 조작하는 해제버튼(165)이 돌출설치되고,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우단부에, 해제버튼(165)의 조작에 의해 동작하는 훅부(166)가 돌출설치되고, 손잡이부(156)내에, 훅부(166)를 걸어멈춤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도시하지 않는 걸어멈춤 조부 가압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격벽(9)은,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끼워 부착된 격벽중앙부(171)와, 이 격벽중앙부(171)에 대해서 교차하도록 전후방향을 따라서 설치된 격벽풍로부(172)를 가지고 있다.
격벽중앙부(171)는, 좌우방향의 중앙부에, 정면에서 보아 대략 원형상의 원형부(175)가 설치되고, 이 원형부(175)의 하단부에, 이 원형부(175)에 연속하는 폐색면부(176)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원형부(175)는, 앞쪽으로부터 뒤쪽으로 오목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 대략 원기둥형상의 지지축(178)이 전방으로 돌출설치되고, 이 지지축(178)에, 원형 판형상의 원형회전부(179)가 회전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원형부(175)의 좌우방향의 대략 중앙부의 하부에는, 폐색면부(176)에 걸쳐서 하방으로 돌출한 돌출오목부(181)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형부(175)의 지지축(178)의 도 4에 나타내는 좌측 아래쪽에는, 전동송풍기(5)의 흡입측에 연통하는 원형상의 연통구멍(182)이 뚫려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형부(175)의 배면인 후면, 즉 전동송풍기실(6)측에는, 보강용의 보강리브(183)가 방사상 및 동심원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격벽풍로부(172)와 격벽중앙부(171)를 접속하기 위한 원기둥형상의 복수의 보스(184)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원형회전부(179)는, 지지축(178)이 끼워통해지는 대략 원통형상의 축지지부 (185)가 중앙부에서 후방으로 돌출설치되고, 이 축지지부(185)의 전단부의 주위에, 복수의 방사리브(186)가 방사상으로 설치되고, 이러한 방사리브(186) 사이를 연결하도록, 축지지부(185)와 동심형상으로, 복수의 동심리브(187)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사리브(186)와 동심리브(187)와의 사이가, 원형회전부(179)의 앞부분과 뒷부분을 연통하는 연통구멍부(188)가 되어 있다. 또한, 이 원형회전부 (179)의 바깥둘레부는, 회전프레임부(189)가 설치되고, 이 회전프레임부(189)의 뒷부분에는, 맞물림부로서의 바깥둘레 기어부(190)가 바깥둘레부 전체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방사리브(186)의 일부에는, 돌출리브(192)가 전방으로 돌출하고 이 방사리브(186)을 따라서 벽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돌출리브(192)는, 플리츠 필터체(26)의 골짜기부에 끼워맞춤하여 원형회전부(179)와 플리츠 필터체(26)를 일체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돌출오목부(181)는, 대략 중앙부에 구멍부(194)가 뚫려 형성되고, 이 구멍부 (194)에는, 원형회전부(179)를 회전시키는 회전기어(195)가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돌출오목부(181)의 둘레가장자리부에는, 원형부(175)의 둘레가장자리부에 걸쳐서 연속한 격벽 시일부재로서의 격벽패킹(196)이 부착되어 있다.
회전기어(195)는, 바깥둘레 전체에 걸쳐서 회전맞물림부로서의 기어부(201)가 설치되어, 이러한 기어부(201)가 원형회전부(179)의 바깥둘레 기어부(190)와 맞물림하는 것에 의해, 회전기어(195)의 회전에 수반하여 원형회전부(179)가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통구멍(182)의 둘레가장자리부에는, 시일부재로서의 패킹(20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연통구멍(182)의 근방에는, 이 연통구멍(182)을 개폐하는 개폐밸브(204)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개폐밸브(204)는, 연통구멍(182)보다 약간 큰 정면에서 보아 원형상의 밸브체(206)와, 이 밸브체(206)를 선단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지지하는 축지지팔부(207)을 구비하고 있다.
축지지팔부(207)의 선단부는, 밸브체(206)에 대해서, 도시하지 않는 가압수단에 의해 둘레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는 것과 동시에, 축지지팔부(207)의 기단부는, 원형부(175)에 뚫려 형성된 도시하지 않는 축지지구멍부분에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폐색면부(176)는, 도 4에 나타내는 좌측 하부에, 격벽풍로부(172)가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구멍부(211)가 뚫려 형성되어 있다.
한편, 격벽풍로부(172)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집진실(8)측으로 돌출하는 연통돌출부(213)와, 이 연통돌출부(213)의 좌측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속하여 끼워맞춤구멍부(211)에 끼워맞춰지는 각통형상의 끼워맞춤 풍로부(214)와, 이 끼워맞춤 풍로부(214)의 뒷부분으로부터 전동송풍기실(6)내에서 상 방으로 솟아오른 각통형상의 수직풍로부(215)와, 이 수직풍로부(215)의 상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여 전동송풍기(5)의 흡입측으로 연통 접속되는 원통형상의 연통통부(216)를 일체적으로 갖고 있다.
연통돌출부(213)는, 아래쪽이 개방되어, 본체 집진실(8)의 하면에 틈새없이 밀착함으로써 이 본체 집진실(8)의 하면과의 사이에 풍로를 구획하는 부분이며, 좌우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집진유닛(7)을 본체 집진실(8)에 장착한 상태로 집진유닛(7)의 뒷부분 아래쪽에 대향하는 대향면부(218)를 위쪽에 갖고, 이 대향면부(218)에, 끼워맞춤 풍로부(214)에 연통하는 사각형형상의 접속구멍(219)이 뚫려 형성되어 있다.
이 접속구멍(219)은, 집진유닛(7)을 본체 집진실(8)에 장착한 상태로, 돌출관부(98)에 연통 접속되는 부분이며, 이 접속구멍(219)의 위쪽의 바깥쪽 가장자리에는, 시일부재로서의 접속구멍 패킹(22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접속구멍 (219)의 하부에는 이 접속구멍(219)을 개폐하는 접속구멍 개폐밸브(222)가 부착되어 있다.
끼워맞춤 풍로부(214)는, 아래쪽이 개방되고, 본체 집진실(8)의 하면에 틈새 없이 밀착함으로써 이 본체 집진실(8)의 하면과의 사이에 연통돌출부(213)와 수직풍로부(215)를 연통하는 풍로를 형성하는 부분이며, 상면에, 수평형상의 수평면 (225)과 이 수평면(225)의 도 1에 나타내는 우측에 연속하여 아래쪽으로 볼록한 호 (弧)형상이 되는 원호면(226)이 형성되어 있다.
수직풍로부(215)는, 끼워맞춤 풍로부(214)의 상방에 연속하는 풍로구성부 (231)와, 이 풍로구성부(231)의 옆쪽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기구부(機構部;232)와 풍로 구성부 231의 측방으로, 또한 기구부(232)의 하부에 위치하는 부착부(233)를 가지고 있다.
풍로구성부(231)는, 상하방향을 따라서 축방향을 갖는 각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제 2 개폐부재로서의 하류측 개폐부재인 제 2 개폐밸브(235)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풍로구성부(231)의 앞부분에는, 격벽중앙부(171)와 격벽풍로부 (172)를 접속하기 위한 원기둥형상의 보스(236)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또한, 풍로구성부(231)의 상단부에는, 격벽중앙부(171)의 연통구멍(182)의 뒷부분에 연통 접속되는 대략 원통형의 접속통부(237)가 전후방향을 따라서 축방향을 갖는 수평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접속통부(237)는, 풍로구성부(231)에 하단부가 연통하는 것과 동시에, 연통통부(216)와 동축상에 설치되어, 이 연통통부(216)의 앞부분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이 연통통부(216)의 전단부에는, 연통구멍(182)의 안가장자리부에 삽입 끼워맞춤되도록 지름이 축소된 지름축소부(23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연통통부(216)의 상부에는, 격벽중앙부(171)의 보스(184)의 하나와 위치맞춤되어 도시하지 않는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브래킷부(239)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기구부(232)는, 풍로구성부(231)의 도 1에 나타내는 우측 옆쪽에 정면에서 보아 반원호형상으로 돌출설치된 외벽부(241)와, 이 외벽부(241)의 아래쪽 근방의 안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원호형상으로 설치된 가이드 리브부(242)와, 이 외벽부 (241)의 위쪽 근방의 안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원호형상으로 설치된 상부 리브부 (243)와, 외벽부(241)의 아래쪽 근방의 안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원호형상으로 설치된 하부 리브부(24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기구부(232)의 앞부분에는, 외벽부 (241)의 원호형상의 중앙부에, 풍로구성부(231)내에 연통하는 축구멍부(245)가 뚫려 형성되고, 이 축구멍부(245)에는, 구동축(246)이 회전운동 가능하게 끼워통해지고, 이 구동축(246)에는, 피구동전달수단으로서의 구동기어(247)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구부(232)에는, 외벽부(241)의 내부에, 풍로구성부(231)에 연통하는 측부 도입개구(248)가 개구형성되고, 이 측부 도입개구(248)에는, 이 측부 도입개구(248)를 개폐하는 개구 개폐밸브(249)가 설치되어 있다.
외벽부(241)의 외부에는, 격벽중앙부(171)의 보스(184)의 하나와 위치맞춤 되어 도시하지 않는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되는 브래킷부(251)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리브부(242)는, 구동기어(247)의 회전운동을 가이드하는 것이다.
상부 리브부(243)는, 가이드 리브부(242)보다 전방으로 돌출하고, 구동기어 (247)의 상방에서의 회전운동위치를 규제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하부 리브부(244)는, 가이드 리브부(242)보다 전방으로 돌출하고, 구동기어(247)의 하방에서의 회전운동위치를 규제하는 것이다.
구동축(246)은, 풍로구성부(231)내에서 제 2 개폐밸브(235)에 연결되고, 회전운동에 의해 이 제 2 개폐밸브(235)를 일체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이다. 또한, 이 구동축(246)의 전단부는, 상기 축지지구멍부분에 끼워통해져서 격벽중앙부(171)의 앞쪽에서 축지지팔부(207)의 기단부에 접속되고, 이 축지지팔부(207)와 일체로 회전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동축(246)의 제 2 개폐밸브(235)와의 연결부에는, 도시하지 않는 캠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캠부는, 구동축(246)의 회전운동에 의해, 개구 개폐밸브(249)를 개폐 동작시켜 측부 도입개구 (248)을 개폐하는 것이다.
여기서, 개구개폐밸브(249)는, 측부 도입개구(248)보다 큰 면적을 갖는 사각형판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이드 리브부(242)와의 사이에, 이 개구 개폐밸브(249)를 측부 도입개구(248)측으로 힘을 가하는 개폐밸브 가압수단으로서의 스프링(25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기어(247)는, 구동축(246)과 일체로 설치된 제 1 기어체로서의 규제판부(257)와, 이 규제판부(257)의 뒷부분에 설치된 제 2 기어체로서의 기어 본체부(258)와, 이 기어 본체부(258)와 일체로 설치된 가이드부(259)를 구비하고 있다.
규제판부(257)는, 중심각이 대략 90°의 부채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둘레방향을 따라서 긴 구멍형상의 규제구멍(261)이 복수 뚫려 형성되어 있다.
기어 본체부(258)는, 규제판부(257)보다 약간 작은 부채꼴형상으로 형성되고, 규제판부(257)와 동축상에 겹쳐 포개어져 설치되고, 규제구멍(261)의 각각에 삽입되는 삽입리브(263)가 앞면에 복수 돌출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기어 본체부(258)의 바깥둘레부에는, 규제판부(257)보다 지름방향으로 돌출한 맞물림부로서의 바깥둘레 기어부(26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바깥둘레 기어부(264)의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양 끝단부에는, 간섭방지용의 절결부(265,266)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부(259)는, 기어 본체부(258)의 바깥둘레부 근방의 뒤쪽면에 설치되어, 가이드 리브부(242) 및 상부 리브부(243)와 끼워맞춤하는 홈부(267)가 둘레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홈부(267)의 내부에는, 기어 가압수단으로서의 기어용 코일스프링(268)이 배치되어 있다. 이 기어용 코일스프링(268)은, 홈부(267)보다 폭치수가 크게 형성되어 홈부(267)내에 유지되어 있고, 구동기어 (247)가 상방, 혹은 하방으로 회전운동했을 때에, 홈부(267)에 끼워맞춤한 상부 리브부(243), 혹은 하부 리브부(244)와 접촉하여 수축함으로써, 기어 본체부(258)를 회전운동 아래쪽방향, 혹은 회전운동 위쪽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것이다.
그리고, 부착부(233)는, 구동수단으로서의 모터(271)를 부착하는 부분으로, 외벽부(241)의 바깥둘레부에 접하는 원형상으로 설치된 부착판부(272)와, 이 부착판부(272)의 바깥둘레부의 일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연장설치판부 (273)를 가지고 있다.
부착판부(272)에는, 풍로구성부(231)와 반대측의 측부의 하방으로부터 위쪽방향으로 경사형상으로 긴 구멍형상의 절결구멍부(275)가 절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부착판부(272)에는, 모터(271)를 고정하는 도시하지 않는 나사 등을 멈추는 복수의 나사 멈춤구멍(276)이 뚫려 형성되어 있다.
절결구멍부(275)에는, 모터(271)의 회전축으로서의 모터축(281)이 삽입되어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 모터축(281)은, 선단부가 구멍부(194)에 끼워통해져서, 격벽중앙부(171)의 앞쪽에서 회전기어(195)에 접속되고, 이 회전기어(195)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모터축(281)에는, 바깥둘레 기어부 (264)와 맞물림하는 바깥둘레 맞물림기어부(283)를 갖는 구동전달수단으로서의 회전운동기어(284)가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모터(271)는, 예를 들면 제어수단 등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양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연통통부(216)는, 후방으로 돌출하고, 기단부의 바깥둘레부에 시일부재로서의 송풍기 접속패킹(287)이 설치되어, 전동송풍기(5)의 흡입측에 기밀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 의해, 전기청소기내에는, 적어도 플리츠 필터(139)를 통과하는 주풍로(W1)와 플리츠 필터(139)를 통과하지 않는 부풍로(W2)가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주풍로(W1)는, 본체흡입구(11)와 전동송풍기(5)의 흡입측을, 진애분리 유닛(21){안내풍로관(31), 분리실부(32), 연통관부(34) 등}, 집진부 유닛 (22){좌우풍로부(154), 집진실(152)}, 각 접속개구(99,104), 플리츠 필터(139), 연통구멍부(188), 연통구멍(182), 접속통부(237) 및 연통통부(216)를 통과하여 연통하는 풍로이다.
또한, 부풍로(W2)는, 외부공기 취입개구(117)와 전동송풍기(5)의 흡입측을, 진애받이부(115), 하부 배출개구(131), 연통풍로(62), 분리실부(32), 집진부 유닛 (22){좌우풍로부(154), 집진실(152)}, 돌출관부(98), 격벽풍로부(172){접속구멍 (219), 연통돌출부(213), 끼워맞춤 풍로부(214), 수직풍로부(215) 등}, 접속통부 (237) 및 연통통부(216)를 통하여 연통하는 풍로이다.
그리고, 회전체(27), 제 1 개폐밸브(66), 접속기구(70), 접속구멍 개폐밸브 (222), 제 2 개폐밸브(235), 구동기어(247), 회전운동기어(284) 등에 의해, 모터 (271)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주풍로(W1)와 부풍로(W2)를 전환하는 전환수단(C)이 구성되어 있다. 즉, 회전체(27)는, 전환수단(C)의 일부도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일실시형태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본체흡입구(11)에 호스체(12), 연장관(16) 및 마루브러시(17)를 차례차례 연통 접속하는 것과 동시에, 본체 케이스(4)의 덮개(3)를 열어 본체 집진실 (8)에 집진유닛(7)을 장착한다.
이 때, 본체 집진실(8)에, 우선 진애분리 유닛(21)을 장착함으로써, 흡입접속구(38)가 앞부분 패킹(42)을 통하여 본체흡입구(11)의 하류측에 기밀하게 접속되는 것과 동시에, 필터부(25)의 플리츠 필터체(26)가, 격벽(9)의 원형회전부(179)에 대향하여 끼워맞춤된다.
또한, 이 진애분리 유닛(21)을 장착한 본체 집진실(8)에 집진부 유닛(22)을 장착함으로써, 조부가 진애분리 유닛(21)측의 걸어멈춤체(40)의 걸어멈춤부(48)의 걸어멈춤구멍(55)에 밀어넣어져, 이 걸어멈춤체(40)가 걸어멈춤체 가압수단의 가압에 저항하여 후방으로 미끄럼운동하고, 조부가 걸어멈춤구멍(55)에 끼워맞춤한 상태로, 걸어멈춤체 가압수단의 가압에 의해 걸어멈춤체(40)가 전방으로 미끄럼운동하여 원래의 위치에 복귀함으로써, 조부가 걸어멈춤구멍(55)에 걸어멈춤되어, 집진부 유닛(22)이 진애분리 유닛(21)에 걸어멈춤된다.
동시에, 집진부 유닛(22)의 풍로부 개구가 진애분리 유닛(21)의 상부의 도입 개구(65)와 기밀하게 접속됨과 동시에, 집진부 유닛(22)의 측벽부 개구가 진애분리 유닛(21)의 측부 개구(97)와 기밀하게 접속된다.
이 상태에서, 본체 케이스(4)로부터 전원코드를 인출하여 벽면 등의 콘센트에 접속하고, 작업자가 파지부(14)를 파지하여 소정의 설정버튼(15)을 조작하면, 제어수단이 전동송풍기(5)를 구동시키는 것과 동시에, 모터(271)를 도 1에 나타내는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결과, 모터(271)의 모터축(281)의 전단부에 접속된 회전기어(195)가 도 4에 나타내는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이 회전기어(195)의 기어부(201)와 바깥둘레 기어부(190)가 맞물림한 원형회전부(179)가 도 4에 나타내는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이 원형회전부(179)와 일체적으로 플리츠 필터체(26)가 회전한다.
이 때, 플리츠 필터체(26)의 플리츠 필터(139)의 골짜기부에 먼지떨어뜨리기 돌기부(147)가 걸어맞춤함으로써, 회전체(27)도 가이드부(118)에 가이드되면서 플리츠 필터체(26)와 같은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회전운동하고, 도 9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가 되어, 각 접속개구(99,104)가 열리는 것과 함께, 제진팔부(143)가 개폐덮개(120)로부터 벗어남으로써 개폐체 가압수단의 가압력에 의해 개폐덮개(120)가 복귀하여 외부공기 취입개구(117)가 폐색되고, 한편, 회전체(27)가 스토퍼부 (144)의 작용에 의해, 도 9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서 회전을 정지한다.
또한, 회전체(27)의 회전에 수반하여, 이 회전체(27)의 맞물림기어부(81)가 도 6에 나타내는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운동함으로써, 맞물림기어부(81)와 랙기어부(82)와의 맞물림에 의해 접속판(73)이 도 6에 나타내는 좌측방향으로 미끄럼운 동하고, 이 접속판(73)의 연장설치팔부(76)의 전단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지지된 크랭크체(72)의 기단측이 도 6에 나타내는 좌측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이 크랭크체(72)가 연결된 제 1 개폐밸브(66)의 선단측이 도 6에 나타내는 우측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도 8에 나타내는 흡입접속구(38)와 분리실부(32)의 접속개구(39)를 연통시킨다.
또한, 상기의 상태에서 플리츠 필터체(26)가 다시 회전운동하면, 먼지떨어뜨리기 돌기부(147)가 제진팔부(143)에 대해서, 플리츠 필터체(26)의 회전운동방향을 따르도록 도 9의 상상선(147a)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운동하고, 회전운동하고 있는 플리츠 필터(139)의 산부(山部)에 접촉하면서 이 산부를 타고 넘어, 그 타고 넘은 후, 먼지떨어뜨리기 돌기부(147)가 가압수단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복귀하여 다시 플리츠 필터(139)의 골짜기부에 끼워맞춤한다.
이 동작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플리츠 필터체(26)가 회전체(27)에 대해서 공회전하는 것과 동시에, 먼지떨어뜨리기 돌기부(147)가 플리츠 필터(139)의 산부를 순차적으로 타고 넘음으로써 플리츠 필터(139)에 진동이 부여되어, 이 플리츠 필터(139)에서 포집한 가는 먼지가 이 플리츠 필터(139)로부터 제거되어 진애받이부(115)로 낙하한다.
또한, 모터(271)의 모터축(281)과 일체인 회전운동기어(284)가 모터축(281)과 함께 도 1에 나타내는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있는 상태로, 기어용 코일스프링(268)에 의해 회전운동 위쪽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기어 본체부(258)가 상상선(258a)의 상태까지 위쪽으로 회전운동하고, 이 기어 본체부(258)와 함께 가 이드부(259)가 상상선(259a)의 상태까지 가이드 리브부(242)를 따라서 위쪽으로 회전운동하고, 각 삽입리브(263)가 규제구멍(261)내에서, 상상선(263a)의 상태까지 회전운동함으로써, 규제판부(257)가 기어 본체부(258)와 일체적으로 위쪽으로 회전운동을 개시하고, 바깥둘레 기어부(264)가 상상선(264a)의 상태까지 회전운동하고 회전운동 기어(284)의 바깥둘레 맞물림기어부(283)와 맞물림함으로써, 구동기어 (247)가 도 1에 나타내는 시계회전방향으로, 도 1에 나타내는 상상선(247a)의 상태까지 회전운동한다. 이때, 가이드부(259)의 홈부(267)에 상부 리브부(243)가 끼워맞춤하여 기어용 코일스프링(268)이 수축하고, 구동기어(247)가 회전운동 아래쪽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것과 동시에, 절결부(266)가 바깥둘레 맞물림기어부(283)의 위치로 대향하면, 회전운동 기어(284)와 구동기어(247)와의 맞물림이 차단되어, 회전운동 기어(284)가 구동기어(247)에 대해서 공회전한다.
이 때문에, 이 구동기어(247)와 일체로 설치된 구동축(246)의 후단측에 연결된 제 2 개폐밸브(235)의 선단측이 도 1에 나타내는 위쪽방향(실선의 상태)으로 회전운동하여 풍로구성부(231)내를 폐색하고, 구동축(246)과 일체로 설치된 캠부의 회전운동에 의해 개구 개폐밸브(249)의 상단부가 스프링(255)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도 1에 나타내는 우측방향(실선의 상태)으로 회전운동하여, 측부 도입개구(248)를 열고, 또한, 구동축(246)의 전단부에 연결된 축지지팔부(207)의 선단측이 도 3에 나타내는 우측방향(실선의 상태)으로 회전운동하고, 밸브(206)를 도 3에 나타내는 우측방향(실선의 상태)으로 회전운동시켜, 연통구멍(182)을 개구시킨다.
한편, 접속구멍 개폐밸브(222)는, 전동송풍기(5)의 부압에 의해 접속구멍 (219)측인 도 1에 나타내는 위쪽으로 회전운동하여, 이 접속구멍(219)을 폐색한다.
이 결과, 주풍로(W1)가 전동송풍기(5)의 흡입측에 연통 접속되고, 부풍로 (W2)가 전동송풍기(5)의 흡입측에 대해 차단된다.
또한, 열린 측부 도입개구(248)는, 제 2 개폐밸브(235)가 풍로구성부(231)를 닫을 때까지의 동안, 전동송풍기(5)의 부압에 의해 외부공기가 풍로구성부(231)내로 취입되어, 끼워맞춤 풍로부(214), 연통돌출부(213), 접속구멍(219) 및 돌출관부 (98)를 개재하여, 미세먼지 필터(102)에 하류측으로부터 공기를 내뿜어 이 미세먼지 필터(102)에서 포집한 가는 먼지를 띄워, 이 미세먼지 필터(102)로부터 제거하기 쉽게 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마루브러시(17)를 마루면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주행시켜, 전동송풍기(5)의 부압의 작용에 의해, 마루브러시(17)의 선단측으로부터 마루면상의 진애를 공기와 함께 빨아들인다.
이 빨려들여간 공기는 흡기풍이 되어, 마루브러시(17)로부터 연장관(16), 호스체(12) 및 본체흡입구(11)를 경유하고, 집진유닛(7)의 흡입접속구(38)로 빨려 들여간다.
이 후, 공기는, 진애와 함께 접속개구(39)로부터 분리실부(32)내로 빨려 들여가, 이 분리실부(32)내에서, 진애분리수단(33)의 바깥둘레면과의 사이를 선회함으로써, 비교적 큰 진애인 거친먼지가 원심분리되어 도입개구(65)로부터 풍로부 개구를 경유하여 집진부 유닛(22)내로 공기와 함께 빨려들여간다.
또한, 가는 먼지는, 네트필터(86,95)를 흡기풍이 통과할 때에 포집된다. 이 흡기풍은, 개구(61,59)로부터 연통풍로부(35)로 유입하고, 제 1 접속개구(99)를 통하여 플리츠 필터체(26)의 상류측으로 흡기풍과 함께 통과한다.
그리고, 상기 거친먼지는, 집진부 유닛(22)의 좌우풍로부(154)를 통과하여 집진실(152)에 수용되고, 이 집진실(152)에 있어서, 흡기풍이 측벽부 개구로부터 측부 개구(97)로 통과할 때에 압축된다. 이 통과한 흡기풍은, 제 2 접속개구(104)를 통하여 플리츠 필터체(26)의 상류측으로 통과한다.
이 후, 흡기풍은, 플리츠 필터체(26)의 플리츠 필터(139)를 통과하여, 이 플리츠 필터(139)에 의해, 포함되어 있는 가는 먼지가 포집된다.
흡기풍은, 격벽(9)의 연통구멍부(188) 및 연통구멍(182)을 통과하고, 접속통부(237) 및 연통통부(216)를 통과하여 전동송풍기(5)의 흡입측으로 빨려 들여간다.
그리고, 전동송풍기(5)에 빨려들여간 흡기풍은, 이 전동송풍기(5)를 통과하여 배기풍이 되어, 본체 케이스(4)의 도시하지 않는 배기구멍으로부터 외부공기로 배출된다.
청소가 종료하면, 작업자가 소정의 설정버튼(15)을 조작하여, 전동송풍기(5)의 정지신호를 제어수단에 출력한다.
이 때, 전동송풍기(5)의 정지신호를 수신한 제어수단은, 우선 모터(271)를 도 1에 나타내는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킴으로써, 회전기어(195)가 도 4에 나타내는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회전기어(195)의 기어부(201)와 바깥둘레 기어부(190)가 맞물림한 원형회전부(179)가 도 4에 나타내는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이 원형회전부(179)와 일체적으로 플리츠 필터체(26)가 회전한다.
이 때, 플리츠 필터체(26)의 플리츠 필터(139)의 골짜기부에 먼지떨어뜨리기 돌기부(147)가 걸어맞춤함으로써, 회전체(27)도 가이드부(118)에 가이드되면서 플리츠 필터체(26)와 같은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회전운동하고, 회전체(27)가 도 9의 상상선(27a)에 나타내는 위치가 되어 폐색밸브부(142)가 상상선(142a)의 상태가 되어 개폐부재(132)를 동작시켜 하부 배출개구(131)를 개구시키고, 이 폐색밸브부 (142)에 의해 각 접속개구(99,104)가 폐색되는 것과 동시에, 회전체(27)의 제진팔부(143)가 도 9의 상상선(143a)의 위치까지 이동하여 개폐덮개(120)의 개폐체 돌출부(124)에 접촉함으로써, 개폐덮개(120)가 도 9의 상상선(120a){도 6의 상상선 (120b)}의 위치까지 이동하여 외부공기 취입개구(117)가 열리고, 또한 회전체(27)가 스토퍼부(145)의 작용에 의해 회전을 정지한다.
또한, 회전체(27)의 회전에 수반하여, 이 회전체(27)의 맞물림기어부(81)가 도 6에 나타내는 시계회전방향으로 상상선(81a)의 상태까지 회전운동함으로써, 맞물림기어부(81)와 랙기어부(82)와의 맞물림에 의해 접속판(73)이 도 6에 나타내는 우측방향으로 상상선(73a)의 상태까지 미끄럼운동하고, 이 접속판(73)의 연장설치팔부(76)의 전단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지지된 크랭크체(72)의 기단측이 도 6에 나타내는 우측방향으로 상상선(72a)의 상태까지 회전운동하고, 이 크랭크체(72)의 연결된 제 1 개폐밸브(66)의 선단측이 도 6에 나타내는 좌측방향으로 상상선(66a)의 상태까지 회전운동하여, 도 8에 나타내는 흡입접속구(38)와 분리실부(32)의 접속개구(39)와의 연통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상태에서 플리츠 필터체(26)가 더 회전운동하면, 먼지떨어뜨리기 돌기부(147)가 제진팔부(143)에 대해서, 플리츠 필터체(26)의 회전운동방향을 따르도록 도 9의 상상선(14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운동하고, 회전운동하고 있는 플리츠 필터(139)의 산부에 접촉하면서 이 산부를 타고 넘어, 그 타고 넘은 후, 먼지떨어뜨리기 돌기부(147)가 가압수단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복귀하여 다시 플리츠 필터(139)의 골짜기부에 끼워맞춤한다.
이 동작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플리츠 필터체(26)가 회전체(27)에 대해서 공회전하는 것과 함께, 먼지떨어뜨리기 돌기부(147)가 플리츠 필터(139)의 산부를 순차적으로 타고 넘음으로써 플리츠 필터(139)에 진동이 부여되어, 이 플리츠 필터 (139)에서 포집한 가는 먼지가 이 플리츠 필터(139)로부터 제거되어 진애받이부 (115)로 낙하한다.
즉, 회전체(27)는, 360° 이내의 소정의 각도,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90°의 회전운동으로, 모터(271)의 구동력의 전달이 끊어진다.
따라서, 회전체(27)는, 도 9에 나타내는 실선의 상태와 상상선(27a)의 상태와의 사이에서, 시계회전방향, 혹은 반시계회전방향으로 90° 회전운동할 때에는 전환수단(C)의 일부로서 동작하고, 90° 회전운동한 후에는 회전운동을 정지하고 플리츠 필터(139)를 제진하는 제진수단으로서 동작한다.
또한, 모터(271)의 모터축(281)과 일체인 회전운동기어(284)가 모터축(281)과 함께 도 1에 나타내는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운동함으로써, 기어용 코일스프링 (268)에 의해 회전운동 아래쪽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구동기어(247)의 바깥둘레 기어부(264)가 회전운동기어(284)의 바깥둘레 맞물림기어부(283)와 맞물림 하고, 구 동기어(247)가 도 1에 나타내는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이 구동기어 (247)와 일체로 설치된 구동축(246)의 후단측에 연결된 제 2 개폐밸브(235)의 선단측이 도 1에 나타내는 아래쪽방향으로 상상선(235a)의 상태까지 회전운동하고 풍로구성부(231)내를 개구하여, 구동축(246)과 일체로 설치된 캠부의 회전운동에 의해 개구 개폐밸브(249)의 상단부가 스프링(255)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도 1에 나타내는 좌측방향으로 상상선(249a)의 상태까지 회전운동하여 측부 도입개구(248)를 폐색하고, 또한, 구동축(246)의 전단부에 연결된 축지지팔부(207)의 선단측이 도 3에 나타내는 좌측방향으로 상상선(207a)의 상태까지 회전운동하고, 밸브체(206)를 도 3에 나타내는 좌측방향으로 상상선(206a)에 나타내는 상태까지 회전운동시켜, 연통구멍(182)을 폐색시킨다.
이때, 구동기어(247)가 도 1에 나타내는 실선의 상태까지 하방으로 회전운동하고, 가이드부(259)의 홈부(267)에 하부 리브부(244)가 끼워맞춤하여 기어용 코일스프링(268)이 수축하고, 구동기어(247)가 회전운동 위쪽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것과 함께, 절결부(265)가 바깥둘레 맞물림기어부(283)의 위치로 대향하면, 회전운동 기어(284)와 구동기어(247)와의 맞물림이 차단되어, 회전운동 기어(284)가 구동기어(247)에 대해서 공회전한다.
또한, 접속구멍 개폐밸브(222)는, 자중에 의해 도 1에 나타내는 상상선 (222a)과 같이 아래쪽으로 회전운동하여, 접속구멍(219)을 개구한다.
이 결과, 부풍로(W2)가 전동송풍기(5)의 흡입측에 연통 접속되고, 주풍로 (W1)가 전동송풍기(5)의 흡입측에 대해 차단된다.
그리고, 전동송풍기(5)의 부압에 의해, 외부공기가 외부공기 취입개구(117)으로부터 부풍로(W2)내로 받아들여지면, 이 빨려들여간 공기는, 플리츠 필터(139)의 상류측으로부터 진애받이부(115), 하부 배출개구(131) 및 연통풍로(62)를 경유하여 분리실부(32)로 빨려들여감으로써, 플리츠 필터(139)로부터 제거되어 진애받이부(115)상에 모인 가는 먼지를 분리실부(32)로 운반한다.
이 후, 이 공기는, 분리실부(32)로부터 도입개구(65) 및 풍로부 개구를 거쳐 집진부 유닛(22)의 집진실(152)로 빨려들여가, 측벽부 개구 및 측부개구(97)를 통과하고, 미세먼지 필터(102)를 통과할 때에 미세먼지가 포집되고, 돌출관부(98)로부터 접속구멍(219)을 거쳐, 연통돌출부(213), 끼워맞춤 풍로부(214) 및 수직풍로부(215)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연통통부(216)로부터 전동송풍기(5)의 흡입측으로 빨려들여가, 전동송풍기(5)를 통과하여 배기풍이 되어 본체 케이스(4)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모터(271)의 동작개시부터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제어수단은, 모터 (271)와 함께 전동송풍기(5)를 정지시킨다.
집진부 유닛(22)에 소정량 이상의 진애가 모인 경우에는, 본체 케이스(4)의 덮개(3)를 열고, 본체집진실(8)로부터 집진부 유닛(22)을 떼어낸다. 이 때, 작업자가 걸어멈춤체(40)의 미끄럼운동용 돌기부(53)를 후방으로 밀어 조작함으로써, 걸어멈춤체(40)가 걸어멈춤체 가압수단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후방으로 도 7의 상상선(40a)에 나타내는 상태까지 미끄럼운동하고, 걸어멈춤구멍(55)과 조부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집진부 유닛(22)이 진애분리 유닛(21)에 대해서 상방으로 떼어내 기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작업자가, 쓰레기통 등의 상방에서 손잡이부(156)를 파지하여 해제버튼(165)을 조작함으로써, 덮개(161)의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전운동하여 집진실(152)이 열려, 내부에 수용된 진애를 개구부(158)로부터 폐기한다.
또한, 진애분리 유닛(21)의 각종 필터가 먼지로 꽉 찬 경우에는, 이 진애분리 유닛(21)도 본체 집진실(8)로부터 떼어내어 적당히 청소한다.
그리고, 떼어낼 때와 반대의 순서에 의해, 진애분리 유닛(21)과 집진부 유닛 (22)을 순차적으로 본체 집진실(8)에 다시 부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일실시형태에 의하면, 회전체(27)에 의해 플리츠 필터(139)로부터 제거한 가는 먼지를 진애받이부(115)에 의해 받은 상태로 전환수단 (C)에 의해 풍로를 전환하여 부풍로(W2)를 전동송풍기(5)의 흡입측에 연통시킴으로써, 공기가 외부공기 취입개구(117)로부터 진애받이부(115) 및 집진부 유닛(22)의 미세먼지 필터(102)를 경유하여 전동송풍기(5)에 빨려들여가므로, 진애받이부(115)에 모인 가는 먼지를 미세먼지 필터(102)에 포집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청결감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단독의 모터(271)의 회전운동에 의해, 플리츠 필터체(26), 제진수단인 회전체(27), 및, 전환수단(C) 전체 등을 연동시킴으로써, 복수의 모터를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부품의 공용화에 의해 제조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플리츠 필터체(26)와 회전체(27)가 일체적으로 90° 회전운동하면, 회 전체(27)가 스토퍼부(144,145)에 접촉하여 회전운동을 정지하고, 플리츠 필터(139)의 골짜기부에 골짜기부에 끼워맞춤하는 먼지떨어뜨리기 돌기부(147)가 플리츠 필터(139)의 산부와의 접촉으로 제진팔부(143)에 대해서 플리츠 필터체(26)의 회전운동 방향으로 달아나도록 회전운동함으로써, 회전체(27)가 모터(271)의 구동력으로부터 분리되므로, 회전체(27)의 회전각도를 고려하면서 모터의 회전운동각도를 제어하는 경우 등과 비교하여 제어가 용이하게 되는 것과 함께, 회전체(27) 등이 과잉인 회전운동에 의해 파손되는 일도 없다.
그리고, 회전체(27)는, 90° 이내의 회전운동시에는 폐색밸브부(142)가 각 접속개구(99,104)를 개폐함으로써 전환수단(C)의 일부로서 동작하고, 90° 회전운동한 후에 회전운동을 정지하고 플리츠 필터(139)를 제진하는 제진수단으로서 동작함으로써, 이것들을 별개로 구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구성을 보다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주풍로(W1)는, 본체흡입구(11)와 전동송풍기(5)의 흡입측을, 적어도 플리츠 필터(139)를 통과하여 연통하는 풍로라면,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부풍로(W2)는, 외부공기 취입개구(117)와 전동송풍기(5)의 흡입측을, 플리츠 필터(139)를 통과하는 일 없이 진애받이부(115) 및 집진부 유닛(22)을 경유해 연통하는 풍로라면,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외부공기 취입개구(117)는, 외부공기와 진애받이부(115)를 연통하는 것이라면, 그 설치하는 위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전환수단(C)은, 모터(271)의 회전방향의 전환에 대응하여 주풍로 (W1)와 부풍로(W2)를 전환하도록 상기 주풍로(W1) 및 부풍로(W2)의 구성에 대응하여 구성된다면,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회전체(27)의 회전운동을 정지시키는 각도는, 360° 이내의 임의의 각도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모터(271)를 구동시키는 타이밍은, 전동송풍기(5)의 온오프를 설정했을 때 이외에도, 예를 들면 모터(271)의 구동용의 버튼 등을 적당히 설치하여, 이 버튼을 조작했을 때로 하는 등, 임의의 조건에 대응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기청소기의 세부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거수단에 의해 필터로부터 제거된 가는 먼지를 진애받이부에 의해 받은 상태로 전환수단에 의해 부풍로를 전동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시키는 것에 의해, 공기가 외부공기 취입개구로부터 진애받이부 및 집진부를 경유하여 전동송풍기에 빨려 들여가므로, 진애받이부에 모인 가는 먼지를 집진부에 포집하는 것이 가능해져, 청결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전동송풍기를 수용하고, 또한, 이 전동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 가능한 본체 흡입구를 구비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전동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빨려 들여간 진애를 포집하는 집진부와,
    가는 먼지를 포집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이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고 있는 상기 필터와 접촉하여 이 필터로 포집한 진애를 제거하는 제진수단과.
    이 제진수단에 의해 상기 필터로부터 제거된 진애를 받는 진애받이부와,
    이 진애받이부와 외부공기를 연통 가능한 외부공기 취입개구와,
    상기 본체흡입구와 상기 전동송풍기의 흡입측을, 적어도 상기 필터를 통과하여 연통하는 주풍로(主風路)와,
    상기 외부공기 취입개구와 상기 전동송풍기의 흡입측을, 상기 진애받이부 및 상기 집진부를 통과하고, 또한, 상기 필터를 통과하지 않고 연통하는 부풍로(副風路)와,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어, 이 구동수단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주풍로와 상기 부풍로를 선택적으로 상기 전동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시키는 전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제진수단 및 전환수단은, 360° 이내의 소정각도의 회전운동에 의해 구동수단의 구동력의 전달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청소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진수단은, 360° 이내의 소정각도의 회전운동시에는 전환수단의 일부로서 동작하고, 상기 소정각도 회전운동한 후에 회전운동을 정지하여 필터를 제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청소기.
KR1020060138577A 2006-09-08 2006-12-29 전기청소기 KR1008220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44277A JP4157140B2 (ja) 2006-09-08 2006-09-08 電気掃除機
JPJP-P-2006-00244277 2006-09-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084A KR20080023084A (ko) 2008-03-12
KR100822088B1 true KR100822088B1 (ko) 2008-04-15

Family

ID=38657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8577A KR100822088B1 (ko) 2006-09-08 2006-12-29 전기청소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060163A1 (ko)
EP (1) EP1897478A3 (ko)
JP (1) JP4157140B2 (ko)
KR (1) KR100822088B1 (ko)
CN (1) CN101138476B (ko)
RU (1) RU2346641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89444A1 (en) * 2006-06-14 2007-12-20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Vacuum cleaner having a filter capable of collecting dust
KR101492631B1 (ko) 2008-08-08 2015-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KR101492633B1 (ko) 2008-08-08 2015-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KR101460371B1 (ko) 2008-08-08 2014-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JP2010125009A (ja) * 2008-11-26 2010-06-10 Toshiba Corp 電気掃除機
JP5432737B2 (ja) * 2010-01-18 2014-03-05 ツインバード工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6346871B2 (ja) * 2015-04-23 2018-06-20 仲山鉄工株式会社 舗装材切断装置における切断ダスト捕集装置 並びにその舗装材切断装置
WO2018026389A1 (en) * 2016-08-01 2018-02-08 Mallinckrodt Nuclear Medicine Llc Hepa filter airflow distribution systems
US11559761B2 (en) * 2017-12-14 2023-01-24 Koki Holdings Co., Ltd. Dust collector
KR20200073966A (ko) * 2018-12-14 202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7289A (ja) * 2003-12-22 2005-07-07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
JP2005296464A (ja) * 2004-04-14 2005-10-27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
JP2006247095A (ja) * 2005-03-10 2006-09-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KR200460772Y1 (ko) * 2009-11-05 2012-06-12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펌프용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9002668A (nl) * 1990-12-05 1992-07-01 Philips Nv Stofzuiger.
CN1241518C (zh) * 2002-05-31 2006-02-15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具备自动除尘装置的真空吸尘器
EP1554965B1 (en) * 2002-10-31 2011-08-31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Electric cleaner
DE10321919A1 (de) * 2003-05-15 2004-12-0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Staubsauger mit einer Steuerungseinrichtung für eine Reinigungsvorrichtung für Keramikfilter
JP3949615B2 (ja) * 2003-06-09 2007-07-2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7289A (ja) * 2003-12-22 2005-07-07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
JP2005296464A (ja) * 2004-04-14 2005-10-27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
JP2006247095A (ja) * 2005-03-10 2006-09-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KR200460772Y1 (ko) * 2009-11-05 2012-06-12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펌프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60163A1 (en) 2008-03-13
EP1897478A2 (en) 2008-03-12
RU2346641C2 (ru) 2009-02-20
EP1897478A3 (en) 2009-07-22
JP4157140B2 (ja) 2008-09-24
CN101138476A (zh) 2008-03-12
KR20080023084A (ko) 2008-03-12
RU2007110585A (ru) 2008-09-27
CN101138476B (zh) 2011-12-14
JP2008061886A (ja) 2008-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2088B1 (ko) 전기청소기
EP1974642B1 (en) Electric vacuum cleaner
US7517377B2 (en) Dust collecting unit for use in cleaner
KR100802377B1 (ko) 전기 청소기
JP4084323B2 (ja) 真空掃除機の集塵ユニット
US20080168616A1 (en) Electric vacuum cleaner
US20090133212A1 (en) Vacuum cleaner
KR100414808B1 (ko) 전기청소기
JP5086859B2 (ja) 電気掃除機
KR101282536B1 (ko) 집진 장치 및 전기 청소기
JP2009201568A (ja) 電気掃除機
JP5388717B2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3940052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電気掃除機を清掃する方法
JP4118289B2 (ja) 集塵容器及び電気掃除機
KR101300955B1 (ko) 집진 장치 및 전기 청소기
JP7085424B2 (ja) 電気掃除機
JP4118288B2 (ja) 電気掃除機
JP2010022575A (ja) 電気掃除機
JP2020146515A (ja) 塵埃分離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2010051405A (ja) 電気掃除機
JP2010022574A (ja) 電気掃除機
JP2008289598A (ja) 電気掃除機
JP2011004933A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2011229846A (ja) 電気掃除機及びその集塵方法
JP2007252641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