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330B1 -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330B1
KR101574330B1 KR1020150019284A KR20150019284A KR101574330B1 KR 101574330 B1 KR101574330 B1 KR 101574330B1 KR 1020150019284 A KR1020150019284 A KR 1020150019284A KR 20150019284 A KR20150019284 A KR 20150019284A KR 101574330 B1 KR101574330 B1 KR 101574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data
terminal
emergency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9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가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가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가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019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3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31Biological data, e.g. fingerprint, voice or retin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463/00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 H04L2463/082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applying multi-factor 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인증 객체 및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에 대한 정상인증 암호 데이터 및 긴급인증 암호 데이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암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에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암호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로부터 긴급인증 암호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의 인증을 허가하는 단계, 인증이 허가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의 카메라 및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이 위치한 장소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CCTV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영상 데이터, 사용자 단말의 GPS 데이터,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의 위치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구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ORVIDING URGENT IDENTIFICATION SECURITY SERVICE}
본 발명은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기 침체가 지속되면서 전화를 이용한 사기나 현금을 갈취하는 범죄가 성행하고 있으며, 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각계각층의 노력과 연구가 끊임없이 지속되고 있지만, 언제 어디서 발생할지 모르는 범죄를 모두 예방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협박으로 인한 현금 인출을 방지하는 방법은, 복수개의 비밀번호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1-0012415호(2011.02.09 공개)에는, 특정 비밀번호에는 특수 정보 범죄의 비상사태가 발생하는 경우 은행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은행에서는 비상사태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사용자가 특정 위치에 위치하지 않은 상태인 경우, 비상사태가 발생한 지점을 전혀 알 수 없으며, 계좌이체 또는 은행에서 현금인출을 하지 않는 상황인 경우에는 적용할 수가 없다. 또한, 경찰에 구조요청을 한다고 할지라도 이미 사용자는 협박범에게 현금을 건내주고 있는 경우, 현금을 추적하거나 피해자를 구조할 수 있는 방법이 전혀 없다. 그리고, 복수개의 비밀번호를 이용할 경우, 사용자가 혼동하기 쉬워 협박을 당하는 상황에서 비상사태용 비밀번호가 무엇인지를 직관적으로 떠올리기가 쉽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증 객체와 인증 객체에 저장된 정상인증 암호 데이터 및 긴급인증 암호 데이터를 모두 저장하고, 긴급인증 암호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증을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을 제어하고 인증 객체에 포함된 촬영 장치 및 녹음 장치를 제어하여 범죄 현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현금 인출이나 인증이 완료된 이후일지라도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신변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인증 객체 및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에 대한 정상인증 암호 데이터 및 긴급인증 암호 데이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암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암호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로부터 긴급인증 암호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의 인증을 허가하는 단계; 상기 인증이 허가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의 카메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이 위치한 장소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CCTV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GPS 데이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의 위치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구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GPS 데이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의 위치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구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 GPS, 카메라 및 음성 녹음 동작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GPS 데이터, 촬영 데이터 및 음성 녹음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긴급인증 암호 데이터가 입력되어 인증되는 모든 인증 단말에서 인증을 정상적으로 해제하되, 긴급 상황임을 알리는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구조 단말로 CCTV 및 사용자 단말의 영상과 GPS 데이터를 전송하여 현금만 탈취당하는 상황이 아닌 가해의 위협까지도 발생할 경우를 고려하여 단순 강도 사건이 살해 사건으로 변질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가 구현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200),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400), 적어도 하나의 구조 단말(500) 및 적어도 하나의 CCTV(6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3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200)은,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200), 적어도 하나의 구조 단말(500) 및 적어도 하나의 CCTV(6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구조 단말(500)은,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400)를 경유하고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30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300)의 일 예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VoLTE, Wi-Fi, Bluetooth, NFC, RFID, 홈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200),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400), 적어도 하나의 구조 단말(500) 및 적어도 하나의 CCTV(600)는, 도 1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인증 객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200)에 대한 정상인증 암호 데이터 및 긴급인증 암호 데이터를,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정상인증 암호 데이터는, 위험한 상황이 아닌 정상적인 출금이나 이체의 경우에 사용되는 암호 데이터이고, 긴급인증 암호 데이터는 도둑에게 위협을 당하고 있는 상황과 같은 위험한 상황에서 출금 또는 이체를 할 경우에 사용되는 암호 데이터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200)은, 정상인증 암호 데이터 또는 긴급인증 암호 데이터가 전송되는 두 경우 모두에 정상적인 출금 또는 이체를 하는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200)은, ATM, 은행 금고, 도어락, 계좌 이체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200)은, ATM과 같이 네트워크(300)와 바로 연결된 경우에는 정상인증 암호 데이터 또는 긴급인증 암호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모두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전송하여 인증 여부를 허가받게 되지만, 도어락과 같이 홈 네트워크와 연결된 경우에는 인증 여부는 도어락 내에서 판단하고, 판단 결과 긴급인증 암호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그 결과만 반환할 수 있다.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정상인증 암호 데이터와 긴급인증 암호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200)로부터 긴급인증 암호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구조 단말(500)로 구조 요청을 전송하고, 실시간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추적하여 추적된 위치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CCTV(600)의 영상을 적어도 하나의 구조 단말(5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구조 단말(500)은,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구조 요청을 수신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200)의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CCTV(600)의 영상을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구조 단말(500)은 사용자 단말(100)을 원격으로 제어하여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촬영 또는 녹음의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고,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400)를 경유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100)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구조 단말(500)은,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구조 단말(500)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구조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CCTV(600)는, CCTV 관제 센터(미도시)와 연결되어 특정 영역을 촬영하는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특정 영역에 대한 데이터 요청이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CCTV는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가 구현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제 1 수신부(410), 제 2 수신부(420), 저장부(430), 허가부(440), 제 3 수신부(450), 전송부(460), 실시간 추적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400) 또는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400)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구조 단말(500)로 전송하면,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구조 단말(500)은 해당 서비스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프로그램이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구조 단말(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이때, 네트워크(300) 연결은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200),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400), 적어도 하나의 구조 단말(500) 및 적어도 하나의 CCTV(600)가 네트워크(300)로 연결되어 있는 단말과 통신을 위해 통신 접점에 통신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통신 객체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제 1 수신부(4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인증 객체 및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200)에 대한 정상인증 암호 데이터 및 긴급인증 암호 데이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암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200)은, 비밀번호, 지문 인식, 음성 인식 및 홍채 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인증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비밀번호의 경우에는 다른 텍스트나 숫자를 이용하여 정상인증 암호 데이터와 긴급인증 암호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상인증 암호 데이터는 123456으로, 긴급인증 암호 데이터는 654321로 설정될 수 있다. 하지만, 홍채나 지문은 하나의 안구나 손가락으로 두 개의 암호 데이터를 설정할 수 없으므로, 홍채의 경우 왼쪽 안구의 홍채는 정상인증 암호 데이터로, 오른쪽 안구의 홍채는 긴급인증 암호 데이터로 설정할 수 있다. 그 이유는, 홍채 인식이나 지문 인식의 경우 대부분 정상적인 경우 오른쪽을 많이 이용하기 때문에 도둑이나 강도의 의심을 사지 않기 위하여 정상인증 암호 데이터를 왼쪽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수신부(410)는, 정상인증 암호 데이터와, 긴급인증 암호 데이터를 설정한 객체인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200)과 매핑하여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정상인증 암호 데이터와 긴급인증 암호 데이터는 동일하지 않은 데이터일 수 있다.
제 2 수신부(42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100)의 번호일 수도 있고, 주민번호, 아이핀 번호 등일 수 있다.
저장부(430)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에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200) 및 적어도 하나의 암호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허가부(440)는,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200)로부터 긴급인증 암호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의 인증을 허가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200)에서 긴급인증 암호 데이터를 정상인증 암호 데이터와 구분하고, 긴급인증 암호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 긴급 상황임을 알리는 이벤트만 허가부(44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 3 수신부(450)는, 인증이 허가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200)의 카메라 및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200)이 위치한 장소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CCTV(6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전송부(460)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 사용자 단말(100)의 GPS 데이터,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200)의 위치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구조 단말(50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간 추적부(470)는, 사용자 단말(100)로 GPS, 카메라 및 음성 녹음 동작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간 추적부(47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GPS 데이터, 촬영 데이터 및 음성 녹음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적어도 하나의 구조 단말(5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추적부(47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기 설정된 단어, 음절, 음소, 어미 및 어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음성이 인식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기 설정된 반경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미도시)로 알람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신호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은, 기 설정된 데시벨 이상의 소리가 출력되도록 알람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을 설치한 단말이라면, 경찰차가 도착하기 전, 경찰차가 도착한 것과 같은 알람을 울리면서 가해자에게 경각심을 일깨우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구조 단말(500)은, 적어도 하나의 경찰 단말 또는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일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200)은, 정상인증 암호 데이터 및 긴급인증 암호 데이터를 사용자의 식별 데이터와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200)은, 정상인증 암호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200)의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긴급인증 암호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200)의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적어도 하나의 구조 단말(500)로 긴급 구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물론, 긴급 구조 요청은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전송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서 실행되는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의 일 실시예를 이하의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a) ATM에서 사용자가 출금 카드를 이용하여 출금을 하려고 할 때, (b) 강도가 위협하면서 사용자에게 출금을 강요하는 경우, (c) 사용자는 긴급인증 암호 데이터를 이용하여 출금을 실시할 수 있고, (d) 긴급인증 암호 데이터가 입력된 순간 바로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긴급 상황에 대한 정보가 전송되므로,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ATM으로 촬영을 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을 제어하여 GPS, 녹음, 촬영 등이 구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구조 단말(500)로 구조 요청을 전송하여 출동하게 할 수 있다. (e)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구조 단말(500)을 보유한 구조자가 ATM이 위치한 지점 또는 사용자 단말(100)의 지점을 파악하여 범인을 검거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ATM, POS, 도어락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200)에 긴급인증 암호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CCTV, 경찰 및 지인에게 모두 연락이 전송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200)은, ATM, 은행 금고, 현관 도어, POS, 출입 통제 장치, 인터넷 뱅킹 장치 및 폰뱅킹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암호 데이터와 식별 데이터를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전송하고(S5100, S5200),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식별 데이터에 암호 데이터 및 인증 단말을 매핑하여 저장한다(S5300).
그리고 나서,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200)에서 긴급 인증 암호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S5400),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전송하고(S5500), 인증 허가가 수신되는 경우(S5510),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200)은 인증을 허가하고(S5600), 현금을 인출하거나 계좌 이체를 실시하거나 결제가 가능하도록 한다(S5610).
또한,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200) 및 적어도 하나의 CCTV(600)로 카메라 구동 신호를 전송하고(S5700),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200) 및 적어도 하나의 CCTV(600)로부터 응답이 수신된 경우(S5710), 적어도 하나의 구조 단말(500)로 데이터를 전송한다(S5730).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구조 단말(500)은 수신된 데이터에 대하여 GPS 및 실시간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S5750) 현장을 출동하게 된다(S5770).
적어도 하나의 구조 단말(500)이 출동하고 난 이후일지라도,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적어도 하나의 CCTV(600)로 카메라 구동 신호를 전송하고(S5810), 사용자 단말(100)로부터도 촬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한다(S5830). 그리고 나서,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적어도 하나의 CCTV(600)로부터 응답이 온 경우(S5850), 적어도 하나의 구조 단말(500)에서 구조 완료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5900).
상술한 단계들(S5100~S59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9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인증 객체 및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에 대한 정상인증 암호 데이터 및 긴급인증 암호 데이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암호 데이터를 수신한다(S6100).
그리고 나서,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를 수신한다(S6200).
또한,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에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암호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한다(S6300).
여기서,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로부터 긴급인증 암호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의 인증을 허가한다(S6400).
그리고,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는, 인증이 허가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의 카메라 및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이 위치한 장소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CCTV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S6500).
또한,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 사용자 단말의 GPS 데이터,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의 위치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구조 단말로 전송한다(S6600).
이와 같은 도 6의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을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인증 객체 및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에 대한 정상인증 암호 데이터 및 긴급인증 암호 데이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암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암호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로부터 긴급인증 암호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의 인증을 허가하는 단계;
    상기 인증이 허가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의 카메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이 위치한 장소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CCTV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GPS 데이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의 위치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구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GPS 데이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의 위치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구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 GPS, 카메라 및 음성 녹음 동작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GPS 데이터, 촬영 데이터 및 음성 녹음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은, 비밀번호, 지문 인식, 음성 인식 및 홍채 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인증하는 단말인 것인,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인증 암호 데이터와 긴급인증 암호 데이터는 동일하지 않은 데이터인 것인,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GPS 데이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의 위치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구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기 설정된 단어, 음절, 음소, 어미 및 어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음성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기 설정된 반경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로 알람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은, 기 설정된 데시벨 이상의 소리가 출력되도록 상기 알람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인,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은, 상기 정상인증 암호 데이터 및 긴급인증 암호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식별 데이터와 매핑하여 저장하되,
    네트워크와 연결된 경우에는 정상인증 암호 데이터 또는 긴급인증 암호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모두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인증 여부를 허가받고, 홈 네트워크와 연결된 경우에는 인증 여부를 홈 네트워크 내에서 판단하며, 판단 결과 긴급인증 암호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에는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로 결과를 반환하고,
    상기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정상인증 암호 데이터와 긴급인증 암호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로부터 긴급인증 암호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구조 단말로 구조 요청을 전송하고 실시간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여 추적된 위치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CCTV의 영상을 적어도 하나의 구조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조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경찰 단말 또는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인 것인,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 단말은, ATM, 은행 금고, 현관 도어, POS, 출입 통제 장치, 인터넷 뱅킹 장치 및 폰뱅킹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인,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9. 삭제
  10. 제1항, 제2항, 제3항, 제5항, 제6항, 제7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시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50019284A 2015-02-09 2015-02-09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74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284A KR101574330B1 (ko) 2015-02-09 2015-02-09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284A KR101574330B1 (ko) 2015-02-09 2015-02-09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4330B1 true KR101574330B1 (ko) 2015-12-03

Family

ID=54872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9284A KR101574330B1 (ko) 2015-02-09 2015-02-09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3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190B1 (ko) * 2017-07-17 2018-11-30 주식회사 온카드시스템 음성인식을 이용한 본인인증 보안 시스템
KR102152286B1 (ko) * 2020-05-22 2020-09-04 주식회사 대저건설 더블 비밀번호를 이용한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 및 방법
WO2021235673A1 (ko) * 2020-05-22 2021-11-25 주식회사 대저건설 해외 금융거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292B1 (ko) * 2000-10-12 2003-05-23 이근만 금융거래 보안시스템 및 보안방법
KR200446385Y1 (ko) * 2009-04-16 2009-10-27 배여옥 긴급도움요청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292B1 (ko) * 2000-10-12 2003-05-23 이근만 금융거래 보안시스템 및 보안방법
KR200446385Y1 (ko) * 2009-04-16 2009-10-27 배여옥 긴급도움요청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190B1 (ko) * 2017-07-17 2018-11-30 주식회사 온카드시스템 음성인식을 이용한 본인인증 보안 시스템
KR102152286B1 (ko) * 2020-05-22 2020-09-04 주식회사 대저건설 더블 비밀번호를 이용한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 및 방법
WO2021235672A1 (ko) * 2020-05-22 2021-11-25 주식회사 대저건설 더블 비밀번호를 이용한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 및 방법
WO2021235673A1 (ko) * 2020-05-22 2021-11-25 주식회사 대저건설 해외 금융거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872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online monitoring of released criminals by law enforcement
US10397785B2 (en) Handheld video visitation
US20160378961A1 (en) Security system, apparatus and method using additional code
US20170180361A1 (en) Mobile device-based authentication with enhanced security measures providing feedback on a real time basis
US20150113616A1 (en) Mobile device-based authentication with enhanced security measures
KR101165422B1 (ko) 감시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식 불가라고 판정된 피사체를 추적 감시하는 보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US11367323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pair and unpair processing using a dynamic level of assurance (LOA) score
KR101574330B1 (ko)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48729B1 (ko)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AU2021282382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Reporting, Securing and Controlling Mobile Phones Which are Lost (Misplaced\Stolen)
KR101404272B1 (ko) Cctv 감시장치 지능형 관제시스템 제어방법
US117066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counter identity verification
Monteiro et al. A hybrid NFC–Bluetooth secure protocol for Credit Transfer among mobile phones
KR101664556B1 (ko) 사회 안전망 시스템 및 방법
CN202503545U (zh) 账号安全应用系统
KR101690850B1 (ko) 이동 음성 통신을 암호화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23092A (ko) 심리 분석 기반의 이상 상태 감지 방법 및 장치
Conti et al. A survey on context-based co-presence detection techniques
KR20180003897A (ko) 전자 문서의 유출 방지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0810097B1 (ko) 고객이미지 기록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00145028A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물품 배송 박스의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97596B1 (ko) 블록체인 기반의 보이스피싱 범죄 차단을 위한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19260A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개인대상범죄의 예방 및 대응 방법과 치안당국과의 정보공유 방법
KR20170127166A (ko) 상점 도어 개폐 방법
KR20230147512A (ko) 출입문에 설치된 도어락 장치와 연계하여 도어락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