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286B1 - 더블 비밀번호를 이용한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더블 비밀번호를 이용한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286B1
KR102152286B1 KR1020200061638A KR20200061638A KR102152286B1 KR 102152286 B1 KR102152286 B1 KR 102152286B1 KR 1020200061638 A KR1020200061638 A KR 1020200061638A KR 20200061638 A KR20200061638 A KR 20200061638A KR 102152286 B1 KR102152286 B1 KR 102152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m
information
password
financial
smar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석영
장윤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저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저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저건설
Priority to KR1020200061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2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286B1/ko
Priority to PCT/KR2021/003852 priority patent/WO202123567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6Software aspects at AT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3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by means of a passwor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7Surveillance aspects at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11Software architecture within ATMs or in relation to the ATM network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3 정보 관리기에 저장 및 관리하고, 평상 시에 ATM을 사용할 때는 제1 비밀번호를 이용해 입금이나 출금을 실행하고, 범죄자의 협박에 의해 사용자가 ATM을 사용할 때는 제2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제3 정보 관리기를 통해 ATM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금융권 서버 또는 경찰 관련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경찰이 현장에 출동하여 범인을 검거할 수 있도록 하는, 더블 비밀번호를 이용한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ATM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제3 정보 관리기; 및 ATM의 입금, 출금, 계좌이체를 포함하는 금융거래를 제1 비밀번호 또는 제2 비밀번호에 따라 제어하되, ATM으로부터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제3 정보 관리기로 ATM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금융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제3 정보 관리기는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된 ATM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더블 비밀번호를 이용한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 및 방법{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criminal finance using double password}
본 발명은 더블 비밀번호를 이용한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금 자동 입출금기(Automated Teller Machine, 이하 ATM)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3 정보 관리기에 저장 및 관리하고, 평상 시에 ATM을 사용할 때는 제1 비밀번호를 이용해 입금이나 출금을 실행하고, 범죄자의 협박에 의해 사용자가 ATM을 사용할 때는 제2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제3 정보 관리기를 통해 ATM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금융권 서버 또는 경찰 관련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경찰이 현장에 출동하여 범인을 검거할 수 있도록 하는, 더블 비밀번호를 이용한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ATM을 통해 현금 입출금이나 계좌이체 등을 실행할 때 현금카드나 신용카드를 이용한다. 이러한 신용카드나 현금카드 등은 거래상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신용카드 신청자(정상 사용자) 이외에는 알지 못하도록 설정된 비밀번호를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신용카드 및 현금카드 비밀번호 이중화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비밀번호 이중화 시스템은, 사용자가 카드를 ATM에 삽입하고, 비밀번호를 누르게 되면 ATM에서는 이를 인식하여 비밀번호를 판독한다(S10).
비밀번호 판독단계(S10)에서 ATM이 판독하는 비밀번호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일반 비밀번호와, 사용자가 잘못 입력한 오류 비밀번호, 사용자가 위급상황 시 타인에게 공개할 목적으로 입력한 비상 비밀번호를 판독하게 된다.
ATM은, 일반 비밀번호로 판독되면 사용자가 요구하는 인출금액을 인출시킨 뒤 카드를 반출하여 정상적으로 종료를 하게 되고, 오류 비밀번호로 판독되면 카드를 반출하여 카드 사용자가 다시 카드를 삽입한 상태에서 비밀번호를 재차 입력할 수 있도록 작동을 하게 된다.
하지만,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가 비상 비밀번호일 경우에는 오류 비밀번호로 판독하였을 때와 마찬가지로 오류 메시지를 표출하면서, ATM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해 온라인으로 연결된 금융권 서버와 경찰청 서버로 알림 신호를 전송하고, 금융권 서버 및 경찰청 서버에서는 다시 ATM이 설치된 지역을 관할하는 지역 지구대의 상황판 디스플레이에 경보음과 함께 해당 ATM의 위치가 팝업창으로 표출될 수 있도록 작동된다(S20).
이후, ATM에서는 재차 입력된 비상 비밀번호에 의해 카드 사용자의 도주를 지연시키면서, 카드 사용자가 이를 알지 못하도록 정상적으로 현금을 인출하도록 작동된다.
그런데, 전술한 종래 비밀번호 이중화 시스템은, ATM에 삽입된 현금 카드나 신용 카드가 ATM을 설치한 은행과 동일한 은행일 경우에만 유효하고, 타금융권 또는 타은행일 경우에는 ATM의 위치 정보를 알 수 없어 금융권 서버와 경찰청 서버로 해당 ATM의 위치 정보를 전송해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 선행 특허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2743호(2008.10. 02. 등록)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신용카드 및 현금카드 비밀번호 이중화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3 정보 관리기에 저장 및 관리하고, 평상 시에 ATM을 사용할 때는 제1 비밀번호를 이용해 입금이나 출금을 실행하고, 범죄자의 협박에 의해 사용자가 ATM을 사용할 때는 제2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제3 정보 관리기를 통해 ATM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금융권 서버 또는 경찰 관련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경찰이 현장에 출동하여 범인을 검거할 수 있도록 하는, 더블 비밀번호를 이용한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ATM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제3 정보 관리기; 및 ATM의 입금, 출금, 계좌이체를 포함하는 금융거래를 제1 비밀번호 또는 제2 비밀번호에 따라 제어하되, ATM으로부터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제3 정보 관리기로 ATM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금융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제3 정보 관리기는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된 ATM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금융관리 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ATM을 국내에 각 지역의 지점이나 영업점에 분산 배치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및 관리하는 은행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제2 비밀번호를 입력받은 ATM은, 자신의 기기 번호와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를 은행 서버로 전송하고, 은행 서버는 상기 ATM의 소속 정보가 동일 은행인 경우에, 제3 정보 관리기에 근거하여 ATM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 후, ATM의 위치 정보 및 금융범죄 신고 메시지를 경찰 관련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이를 확인한 경찰이 현장에 출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 비밀번호를 입력받은 ATM은, 자신의 기기 정보와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를 은행 서버로 전송하고, 은행 서버는 상기 ATM의 소속 정보가 타은행인 경우에, ATM에 대한 기기 정보와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가 포함된 금융범죄 신고 메시지를 즉시 경찰 관련 장치로 전송하여 경찰 관련 기관에 신고하고, 경찰 관련 장치는 제3 정보 관리기로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된 ATM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제3 정보 관리기는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된 ATM에 대한 위치 정보를 경찰 관련 장치로 제공함으로써, 이를 확인한 경찰이 현장에 출동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금융관리 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ATM을 국내에 각 지역의 지점이나 영업점에 분산 배치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및 관리하는, 예를 들면, 나이스 신용기관에서 운영하는 금융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제2 비밀번호를 입력받은 ATM은, 자신의 기기 정보와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를 금융 서버로 전송하고, 금융 서버는, ATM에 대한 기기 정보와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를 제3 정보 관리기로 전송하며, 제3 정보 관리기는, ATM의 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 및 금융범죄 신고 메시지를 경찰 관련 장치로 전송하여, 이를 확인한 경찰이 ATM이 있는 현장에 출동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금융관리 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ATM을 국내에 각 지역의 지점이나 영업점에 분산 배치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및 관리하는 은행 서버 또는 금융 서버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동하는 별도의 장치(서버)일 수 있다.
한편, 금융관리 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ATM에 대하여, 금융기관별, 카드사별, 증권사별로 구분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ATM에서 제2 비밀번호가 사용된 것에 대하여, 일자별, 주별, 월별, 년별로 사용 횟수, 사용 시간대, 사용 금융유형, 사용 지역을 산출하여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통계 데이터에 근거하여 각 입력 변수에 따른 함수 관계를 설정해 ATM 범죄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금융관리 서버는, ATM 범죄 모델에 년도, 월, 일, 주를 입력 변수로 입력하여 어느 지역에서 어느 시간대에 어떤 금융 유형의 ATM 범죄가 발생했는지를 예측하고, 예측된 날짜와 시간대, ATM 범죄 유형을 사전에 경고 메시지로 ATM 관련 은행이나 기관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ATM은, RF 인터페이스를 위한 안테나,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 및 유선 통신을 위한 포트들을 포함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및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와 유선 통신을 위한 포트들을 통해 통신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유닛(MCU)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와 안테나를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스마트 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선 통신을 위한 포트들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스마트 단말의 태깅을 인식하기 위한 제 1 포트; 및 스마트 단말로부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기록(write)을 인식하기 위한 제 2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포트는 에너지 수확 영역 검출(Energy Harvest Field Detection) 포트를 포함하고, 제 2 포트는 무선 주파수 기록(Radio Frequency Write In Progress)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결합은 제 2 포트의 풀-업(pull-up) 저항의 인에이블 및 디스에이블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로서 제 1 포트의 출력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의 결합 신호는 제어 유닛에 대한 인터럽트 신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인터럽트 신호가 로우(low)에서 하이(high)로 토글-업(toggle-up)되고 태깅 유효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제어 유닛은 스마트 단말의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태깅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인터럽트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토글-다운되고 이벤트 종료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제어 유닛은 스마트 단말의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로부터의 태깅 해제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인터럽트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토글-다운되고 소정의 시간 기간 이내에 다시 로우에서 하이로 토글-업 되는 경우, 제어 유닛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대한 스마트 단말의 기록(write)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대한 스마트 단말의 기록(write)으로 인식하는 경우, ATM의 기기 번호와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를 금융 서버로 전송하고, 금융 서버는 제3 정보 관리기로 ATM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제3 정보 관리기는 ATM의 기기 번호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금융 서버로 제공하며, 금융 서버는, ATM의 기기 번호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 및 긴급 출동 요청 메시지를 ATM에 대응되어 있거나 ATM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보안업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인터럽트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토글-다운되고 임계 시간 이내에 다시 로우에서 하이로 토글-업 되는 경우, 제어 유닛은 무효 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된 ATM에 대응되어 있는 보안업체 서버 또는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된 ATM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보안업체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유닛은, 스마트 단말의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태깅으로 인식하는 경우, ATM의 기기 번호와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를 금융 서버로 전송하고, 금융 서버는 제3 정보 관리기로 ATM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제3 정보 관리기는 ATM의 기기 번호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금융 서버로 제공하며, 금융 서버는, ATM의 기기 번호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 및 긴급 출동 요청 메시지를 ATM에 대응되어 있거나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보안업체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보안업체에서 보안 요원이 ATM이 있는 현장에 즉시 출동하여 범인을 검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죄 금융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ATM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제3 정보 관리기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동하는 금융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범죄 금융 제어 방법으로서, (a) 하나의 ATM으로부터 제2 비밀번호가 금융관리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b) 금융관리 서버가 하나의 ATM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3 정보 관리기로 요청하는 단계; 및 (c) 제3 정보 관리기가 하나의 ATM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단계에서 하나의 ATM은, 자신의 기기 정보와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를 금융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b) 단계에서 금융관리 서버는 하나의 ATM에 대한 기기 정보와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를 제3 정보 관리기로 전송하여 하나의 ATM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c) 단계에서 제3 정보 관리기는 하나의 ATM의 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금융관리 서버로 제공하며, 금융관리 서버는, 하나의 ATM의 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 및 금융범죄 신고 메시지를 경찰 관련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a) 단계에서 하나의 ATM은, 자신의 기기 정보와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를 금융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b) 단계에서 금융관리 서버는 상기 ATM의 소속 정보가 타은행인 경우에, ATM에 대한 기기 정보와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를 제3 정보 관리기로 전송하며, (c) 단계에서 제3 정보 관리기는, ATM의 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 및 금융범죄 신고 메시지를 경찰 관련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범죄 금융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ATM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제3 정보 관리기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동하는 금융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범죄 금융 제어 방법으로서, (a) 하나의 ATM이 제2 비밀번호를 입력받으면, 자신의 기기 정보와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를 금융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금융관리 서버가 상기 ATM의 소속 정보가 동일 은행인지 타은행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c) 금융관리 서버가 상기 ATM의 소속 정보가 타은행인 경우에, 하나의 ATM에 대한 기기 정보와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가 포함된 금융범죄 신고 메시지를 경찰 관련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d) 경찰 관련 장치가 하나의 ATM에 대한 기기 정보와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를 제3 정보 관리기로 전송하여 하나의 ATM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e) 제3 정보 관리기가 하나의 ATM에 대한 위치 정보를 경찰 관련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카드 비밀번호를 평소에 사용하는 제1 비밀번호와, 위급 상황 시 공개할 수 있는 제2 비밀번호로 구성하고, 제2 비밀번호를 ATM에서 입력받을 때에는 금융권 서버와 경찰 관련 서버로 ATM 위치 전송 및 금융 범죄를 신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ATM을 통한 금융 범죄 발생을 방지하고, 경찰이 현장에 출동하여 범인을 검거할 수 있다.
또한, ATM에 삽입된 현금 카드나 신용 카드가 ATM을 설치한 은행과 동일하지 않은 타은행일 경우에도 ATM의 위치 정보를 금융권 서버와 경찰 관련 서버로 전송해 줌으로써 전국 어디에서든지 ATM 금융 범죄 발생에 대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신용카드 및 현금카드 비밀번호 이중화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비밀번호를 입력받은 ATM이 동일 은행에서 운영하는 ATM인 경우의 금융 거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비밀번호를 입력받은 ATM이 타 은행에서 운영하는 ATM인 경우의 금융 거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비밀번호가 제2 금융권에 속한 ATM에 입력되는 경우의 ATM 금융 거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융관리 서버에서 ATM별 제2 비밀번호 사용 통계를 저장 및 관리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융관리 서버에서 각 ATM 별로 1일 동안 제2 비밀번호가 사용된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여 관리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융관리 서버에서 각 ATM 별로 1개월 동안 제2 비밀번호가 사용된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여 관리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융관리 서버에서 각 ATM 별로 1년 동안 제2 비밀번호가 사용된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여 관리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융관리 서버에서 1년 동안 ATM별 제2 비밀번호가 사용된 횟수를 리스팅하여 관리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융관리 서버에서 각 ATM별 1년 발생횟수를 내림차순으로 리스팅한 후 행정 지역, 일별, 월별, 주거 지역 간의 관계를 학습하여 ATM 범죄 모델을 생성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위한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스마트 단말의 태깅을 인식하기 위한 인터럽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스마트 단말의 태깅 해제를 인식하기 위한 인터럽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스마트 단말의 기록 동작을 인식하기 위한 인터럽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가 유선으로 통신하는 ATM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죄 금융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범죄 금융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그에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제 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더블 비밀번호를 이용한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ATM(110~114), 금융관리 서버(120), 제3 정보 관리기(130) 및 경찰 관련 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하나 이상의 ATM(110~114), 금융관리 서버(120), 제3 정보 관리기(130) 및 경찰 관련 장치(14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는 인터넷(Internet)이나 공중 전화망(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등의 유선 통신망을 포함하거나,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RFID 통신 등의 근거리 통신망과 HSPA, 3GPP, 4G, 5G의 이동 통신망 등의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ATM(110~114)은, 국내에서 동일 은행의 각 지역에 있는 지점이나 영업점 등에 분산 배치되거나, 타은행의 각 지역에 있는 지점이나 영업점 등에 분산 배치되거나, 타금융권의 각 지역에 있는 지점이나 영업점 등에 분산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ATM(110~114)은, 사용자로부터 현금 카드나 신용 카드가 삽입되면, 화면 상에 비밀번호 입력란을 표시함과 더불어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하는 음성을 출력한다. 이어, 복수의 ATM(110~114)은 사용자로부터 제1 비밀번호를 입력받으면 현금 입금이나 출금, 계좌이체 등의 금융 거래를 실행하고, 제2 비밀번호를 입력받으면 자신의 기기 번호와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를 금융관리 서버(120)로 전송한다.
금융관리 서버(120)는 ATM의 입금, 출금, 계좌이체를 포함하는 금융거래를 제1 비밀번호 또는 제2 비밀번호에 따라 제어하되, ATM으로부터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제3 정보 관리기(130)로 ATM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
여기서, 금융관리 서버(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ATM(110~114)을 제1 금융권의 국내에 각 지역의 지점이나 영업점에 분산 배치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및 관리하는 은행 서버일 수 있다. 즉, 금융관리 서버(120)는 사용자들이 시중에서 이용하고 있는 제1 금융권인 예컨대, 우리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농협은행 등에서 금융 거래를 위해 운영하고 있는 은행 서버일 수 있다.
또한, 금융관리 서버(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ATM(110~114)을 제2 금융권의 국내에 각 지역의 지점이나 영업점에 분산 배치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및 관리하는 금융 서버일 수 있다. 즉, 금융관리 서버(120)는 제1 금융권인 은행을 제외한 금융기관 예를 들면, 나이스 신용기관에서 금융 거래를 위해 운영하고 있는 금융 서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금융관리 서버(120)는 각 실시 예에서 은행 서버(120)로 지칭할 수 있고, 금융 서버(120)로도 지칭할 수 있다.
한편, 금융관리 서버(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ATM(110~114)을 국내에 각 지역의 지점이나 영업점에 분산 배치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및 관리하는 은행 서버 또는 금융 서버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동하는 별도의 장치(서버)일 수 있다.
제3 정보 관리기(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ATM(110~114)에 대한 기기번호(단말ID), 위치(주소), 관리기관(은행ID/지점ID), 관리자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따라서 제3 정보 관리기(130)는 금융관리 서버(120)나 경찰 관련 장치(140)로부터의 ATM 위치 요청에 따라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된 ATM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3 정보 관리기(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ATM(110~114)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DB)일 수 있다. 즉, 하나 이상의 ATM(110~114)이 모두 동일 은행권에서 운영하는 ATM인 경우, 하나 이상의 ATM(110~114)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3 정보 관리기(130)는 금융관리 서버(120)에서 운영하는 데이터베이스(DB)로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ATM에 대한 위치 정보는 은행 ID, 지점 ID, 단말기 ID(기기번호), 주소, GPS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정보 관리기(130)는 금융관리 서버(120)가 설치된 장소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원격지에 별도의 장치로 설치될 수 있으며, 금융관리 서버(120)의 내부에 포함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금융관리 서버(120)가 설치된 장소와 동일한 장소에 별도의 장치로 설치될 수 있다.
경찰 관련 장치(14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금융관리 서버(120) 및 제3 정보 관리기(1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찰청 서버, 경찰서 서버, 파출소 컴퓨터, 경찰 단말기 등이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비밀번호를 입력받은 ATM이 동일 은행에서 운영하는 ATM인 경우의 금융 거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범죄자의 협박에 의해 현금 카드나 신용 카드 등을 ATM(112)에 삽입하고, 예컨대, 현금 인출을 위해 제2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에, 제2 비밀번호를 입력받은 ATM(112)은 자신의 기기 정보와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를 금융관리 서버(120)로 전송한다. 여기서, ATM(112)의 기기 정보는 기기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금융관리 서버(120)는 현금 카드나 신용 카드 등을 발행한 은행과 동일한 은행에서 운영하거나, ATM(112)을 설치한 은행과 동일한 은행에서 운영하는 은행 서버이다. 예를 들면, 금융관리 서버(120)는 동일한 은행 내에 분산되어 있는 다수의 지점들을 관리하는 은행 본점 서버일 수 있다.
제3 정보 관리기(130)는 다수의 지점들에 설치되어 있는 ATM이나, 공공기관이나 지하철 역사 등 공공 장소에 설치되어 동일 은행권에 소속된 모든 ATM들(110~114)의 기기 정보를 비롯한 상세 주소 등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동일 은행권에 소속된 모든 ATM들(110~114)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3 정보 관리기(130)는 금융관리 서버(120)의 데이터베이스(DB) 역할을 담당한다. 도 3에서는 데이터베이스(DB) 역할을 담당하는 제3 정보 관리기(130)를 금융관리 서버(120)와 별도의 장치로 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금융관리 서버(120)의 내부에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은행 서버로서 금융관리 서버(120)는 제2 비밀번호를 입력받은 ATM(112)의 소속 정보가 동일 은행인 경우에, 제3 정보 관리기(130)로 ATM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 이때, 제3 정보 관리기(130)는 동일 은행에서 운영하는 모든 ATM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DB)이다.
이어, 제3 정보 관리기(130)는 ATM(112)의 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은행 서버인 금융관리 서버(120)로 제공한다. 이때, 제3 정보 관리기(130)는 ATM(112)의 위치 정보로서 위도와 경도 좌표로 제공하거나, 행정 주소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ATM(112)의 위치 정보는 은행 ID, 지점 ID, 단말기 ID(기기번호), 주소, GPS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은행 서버로서 금융관리 서버(120)는, ATM의 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 및 금융범죄 신고 메시지를 경찰 관련 장치(140)로 전송한다.
따라서, 경찰 관련 장치(140)는 해당 ATM(112)이 설치된 지역을 관할하는 담당 경찰에게 현장으로 출동하도록 지시함으로써 담당 경찰이 현장에 출동하여 해당 범인을 검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비밀번호를 입력받은 ATM이 타 은행에서 운영하는 ATM인 경우의 금융 거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범죄자의 협박에 의해 현금 카드나 신용 카드 등을 ATM(112)에 삽입하고, 예컨대, 현금 인출을 위해 제2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금융관리 서버(120)는 사용자의 현금 카드나 신용 카드 등을 발행한 은행 서버이고, 사용자가 현금 카드 등을 삽입한 ATM(112)은 타은행 소속이며, 타은행 서버에서 운영 및 관리를 담당한다.
이에, 제2 비밀번호를 입력받은 ATM(112)은, 자신의 기기 정보와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를 타은행 서버(122)로 전송한다.
타은행 서버(122)는 하나의 ATM(112)에 입력된 현금 카드 등이 동일 은행에서 발급된 것이 아니므로, 제2 비밀번호와 ATM 기기 정보 등을 금융 결제원으로 보내고, 금융 결제원은 현금 카드 등을 발급한 은행에 해당하는 금융관리 서버(120)로 전송한다.
금융관리 서버(120)는 입력된 제2 비밀번호에 대응된 계좌 정보에 대하여, 하나의 ATM(112)에 삽입된 현금 카드 등에서 요청한 현금 인출 등의 금융 거래를 승인하고, 제2 비밀번호에 따른 금융범죄 상황임을 인지하여, 하나의 ATM(112)에 대한 기기 정보와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가 포함된 금융범죄 신고 메시지를 즉시 경찰 관련 장치(140)로 전송하여 경찰 관련 기관에 신고한다.
이에, 경찰 관련 장치(140)는 제3 정보 관리기(130)로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된 하나의 ATM(112)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
제3 정보 관리기(130)는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된 ATM(112)에 대한 위치 정보를 경찰 관련 장치(140)로 제공한다. 이때, ATM(112)의 위치 정보는 은행 ID, 지점 ID, 단말기 ID(기기번호), 주소, GPS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경찰 관련 장치(140)는 해당 ATM(112)이 설치된 지역을 관할하는 담당 경찰에게 현장으로 출동하도록 지시함으로써 담당 경찰이 현장에 출동하여 해당 범인을 검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비밀번호가 제2 금융권에 속한 ATM에 입력되는 경우의 ATM 금융 거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범죄자의 협박에 의해 현금 카드나 신용 카드 등을 ATM(112)에 삽입하고, 예컨대, 현금 인출을 위해 제2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제2 비밀번호를 입력받은 ATM(112)은 제2 금융권에서 운영하는 ATM 단말기이다. ATM(112)의 기기 정보는 은행 ID, 지점 ID, 단말기 ID(기기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2 비밀번호를 입력받은 ATM(112)은, 자신의 기기 정보와 제2 비밀번호를 제2 금융권 서버로 전송하고, 제2 금융권 서버는 ATM(112)의 기기 정보와 제2 비밀번호를 금융 결제원으로 보내며, 금융 결제원은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를 관리하는 금융관리 서버(120)로 ATM(112)의 기기 정보와 제2 비밀번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금융관리 서버(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ATM(110~114)을 국내에 각 지역의 지점이나 영업점에 분산 배치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및 관리하는, 제2 금융권인 예를 들면, 나이스 신용기관에서 운영하는 금융 서버일 수 있다.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를 관리하는 금융관리 서버(120)는, ATM(112)에 대한 기기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ATM(112)이 다른 금융권 소속이므로 해당 ATM(112)의 위치 정보를 알지 못해 ATM(112)에 대한 기기 정보와 제2 비밀번호를 제3 정보 관리기(130)로 전송하여 ATM의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 즉, 금융관리 서버(120)는 제2 비밀번호를 입력받은 ATM(112)이 타 금융권에서 운영하는 ATM이기 때문에 해당 ATM(112)의 위치 정보를 알 수 없어 제3 정보 관리기(130)로 제2 비밀번호를 입력받은 ATM(112)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것이다.
제3 정보 관리기(130)는, ATM(112)의 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 및 금융범죄 신고 메시지를 경찰 관련 장치(140)로 전송한다. 이때, ATM(112)의 위치 정보는 은행 ID, 지점 ID, 단말기 ID(기기번호), 주소, GPS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경찰 관련 장치(140)는 해당 ATM(112)이 설치된 지역을 관할하는 담당 경찰에게 현장으로 출동하도록 지시함으로써 담당 경찰이 현장에 출동하여 해당 범인을 검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융관리 서버에서 ATM별 제2 비밀번호 사용 통계를 저장 및 관리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융관리 서버(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ATM(110~114)에 대하여, 금융기관별, 카드사별, 증권사별로 구분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ATM(110~114)에서 제2 비밀번호가 사용된 것에 대하여, 일자별, 주별, 월별, 년별로 사용 횟수, 사용 시간대, 금융거래 유형, 사용 지역을 산출하여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통계 데이터에 근거하여 각 입력 변수에 따른 함수 관계를 설정해 ATM 범죄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ATM에 대한 위치 정보는 은행 ID, 지점 ID, 단말기 ID(기기번호), 주소(상세 주소), GPS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금융관리 서버(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ATM(110~114)에서 제2 비밀번호가 사용된 것에 대하여, 일자별, 주별, 월별, 년별로 사용 횟수, 사용 시간대, 금융거래 유형, 사용 지역 등을 데이터로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금융관리 서버(1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ATM(110~114)에서 제2 비밀번호가 1일 동안 사용된 것에 대하여 데이터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융관리 서버에서 각 ATM 별로 1일 동안 제2 비밀번호가 사용된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여 관리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금융관리 서버(120)는 각 ATM 별로 기기번호, 관리기관, 지역, 관리자, 설치된 지역 상세 주소, 거래유형, 거래일자, 거래 시간대, 거래 횟수 등을 집계 및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ATM에 대한 위치 정보는 은행 ID, 지점 ID, 단말기 ID(기기번호), 주소(상세 주소), GPS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금융관리 서버(1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ATM(110~114)에서 제2 비밀번호가 1개월 동안 사용된 것에 대하여 데이터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융관리 서버에서 각 ATM 별로 1개월 동안 제2 비밀번호가 사용된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여 관리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금융관리 서버(120)는 각 ATM 별로 기기번호, 관리기관, 지역, 관리자, 설치된 지역 상세 주소, 거래유형, 거래일자, 거래 시간대, 거래 횟수 등을 1개월 동안 날짜 별로 집계 및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ATM에 대한 위치 정보는 은행 ID, 지점 ID, 단말기 ID(기기번호), 주소(상세 주소), GPS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금융관리 서버(1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ATM(110~114)에서 제2 비밀번호가 1년 한해 동안 사용된 것에 대하여 데이터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융관리 서버에서 각 ATM 별로 1년 동안 제2 비밀번호가 사용된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여 관리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금융관리 서버(120)는 각 ATM 별로 기기번호, 관리기관, 지역, 관리자, 설치된 지역 상세 주소, 거래유형, 거래일자, 거래 시간대, 거래 횟수 등을 한해 동안 월별로 집계 및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ATM에 대한 위치 정보는 은행 ID, 지점 ID, 단말기 ID(기기번호), 주소(상세 주소), GPS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금융관리 서버(120)는, 1년 한해 동안 각 ATM 별로 제2 비밀번호가 사용된 것을 총 집계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발생 횟수가 많은 순위부터 낮은 순위로 리스팅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융관리 서버에서 1년 동안 ATM별 제2 비밀번호가 사용된 횟수를 리스팅하여 관리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금융관리 서버(120)는 각 ATM 별로 1년 동안 제2 비밀번호가 사용된 총 횟수를 높은 순서로부터 내림차순으로 정리하여 리스팅할 수 있다.
또한, 금융관리 서버(120)는, 1년 한해 동안 각 ATM 별로 제2 비밀번호가 사용된 것을 총 집계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정 지역, 일별, 월별, 주거 지역을 포함하는 항목에 따라 분류하고, 각 항목 별로 총 발생 횟수가 높은 순서로부터 내림차순으로 리스팅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융관리 서버에서 각 ATM별 1년 발생횟수를 내림차순으로 리스팅한 후 행정 지역, 일별, 월별, 주거 지역 간의 관계를 학습하여 ATM 범죄 모델을 생성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융관리 서버(120)는 1년 동안 제2 비밀번호가 사용된 횟수를 내림차순으로 리스팅한 자료에 근거하여 행정 지역과 발생횟수 간의 관계, 일별과 발생횟수 간의 관계, 월별과 발생횟수 간의 관계, 주거 지역과 발생횟수 간의 관계를 학습한 후 행정 지역, 일별, 월별, 주거 지역에 따른 제2 비밀번호 사용도를 추정하는 ATM 범죄 모델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어, 금융관리 서버(120)는 ATM 범죄 모델에 입력 변수로 행정 지역, 월, 일, 주거 지역 등을 각각 입력하여 어느 지역에서 어느 시간대에 어떤 금융 유형의 ATM 범죄가 발생했는지를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금융관리 서버(120)는 예측된 행정 지역, 주거 지역, 날짜와 시간대, ATM 범죄 유형을 사전에 경고 메시지로 ATM 관련 은행이나 기관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200)은, 스마트 단말(10),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 및 ATM(110)을 포함한다.
스마트 단말(10)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단말기로서,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이다.
스마트 단말(10)은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모바일, 원격국, 원격 단말,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 단말,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비(UE)로도 지칭될 수 있다.
스마트 단말(10)은 셀룰러 폰, 무선 전화, 세선 시작 프로토콜(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개인 디지털 보조기기(PDA), 무선 접속 능력을 가진 핸드헬드 디바이스, 연산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다른 처리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에 국한되어 스마트 단말(10)을 제한해서는 아니된다. 스마트 단말(10)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와의 무선 근거리 통신을 위해 액티브 장치인 NFC 모듈을 포함하는 모든 장치로 이해되어야 한다. 스마트 단말(10)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의 안테나(21)를 통해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는 스마트 단말(1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ATM(110)과 유선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유선 통신은 시리얼 통신, USB 통신, I2C 통신, SPI 통신 등을 포함한다.
듀얼 일터페이스 NFC 태그(20)는 RF 인터페이스를 위한 안테나(21),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22) 및 유선 통신을 위한 포트들(23)을 포함한다.
RF 인터페이스를 위한 안테나(21)는 공기 중의 무선 주파수에 따른 신호를 마치 도선이 연결된 것과 같이하여 데이터에 대한 송수신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며 안테나(21)는 무선 근거리(예컨대, 10 cm) 통신을 지원한다.
일반적으로, 안테나(21)는 루프 안테나로 구성되고, 루프 안테나는 PCB, FPCB, 일반 도선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22)는 일반적으로 비휘발성 메모리(NVM)로서 예를 들어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일 수 있다. EEPROM으로 구현되는 경우 메모리(22)는 전기적 신호를 가해줌으로써 내부 데이터가 지워지게 되어 데이터 삭제를 위한 전용 이레이저는 필요하지 않으며 하나의 라이터(writer)를 이용해 기록 및 삭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EEPROM은 약 100만번 정도의 반복 기록 횟수의 제한이 있을 수 있다.
유선 통신을 위한 포트들(23)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에 대한 스마트 단말(10)의 태깅을 인식하기 위한 포트(제 1 포트) 및 스마트 단말(10)로부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에 대한 기록(write)을 인식하기 위한 포트(제 2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에 대한 스마트 단말(10)의 태깅을 인식하기 위한 제 1 포트는 예를 들어 에너지 수확 영역 검출(Energy Harvest Field Detection, 이하 EH_FD)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10)로부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에 대한 기록을 인식하기 위한 제 2 포트는 예를 들어 무선 주파수 기록(Radio Frequency Write In Progress, 이하 RF_WIP)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을 위한 포트들(23)은 ATM(110)으로부터 데이터 수신을 위한 포트들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2C 유선 통신의 경우, SCL(serial clock) 포트 및/또는 SDA(serial data) 포트를 통한 유선 통신을 통해 ATM(110)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의 메모리(22)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 ATM(110)은, RF 인터페이스를 위한 안테나(21),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22) 및 유선 통신을 위한 포트들(23)을 포함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 및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와 유선 통신을 위한 포트들을 통해 통신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유닛(MCU)(31)을 포함할 수 있다.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에 대한 스마트 단말(10)의 태깅을 인식하기 위한 제 1 포트의 동작 특성은 다음과 같다.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는 동작 전원을 스마트 단말(10)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스마트 단말(10)은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며 스마트 단말(10)이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에게 일정 범위 이내에 근접하게 되면 그 발생된 전자기장이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의 동작 전원으로 동작하게 된다. 제 1 포트는 전술한 스마트 단말(10)의 전자기장의 유무를 검출하는 포트로서, 전자기장의 존재가 확인되면 신호 파형이 토글-업된다.
한편,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는 ATM(110)과 유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유선 라인을 통해 ATM(110)으로부터 동작 전원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스마트 단말(10)로부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에 대한 기록을 인식하기 위한 제 2 포트의 동작 특성은 다음과 같다.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가 스마트 단말(10)로부터 동작 전원을 입력 받고 있는 동안에 스마트 단말(10)이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의 메모리(22)에 대한 기록(Wrting) 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토글-업 되어 있던 신호 파형은 토글-다운되며,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신호 파형은 다시 토글-업된다. 제2 포트는 토글-업된 신호 파형이 토글-다운되고 다시 토글-업되었다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스마트 단말(10)이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의 메모리에 대한 기록을 수행하였다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전술한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를 포함하는 유선 통신을 위한 포트들(23)은 ATM(110)과의 유선 통신을 지원한다. 구체적으로, 유선 통신을 위한 포트들(23)은 유선 라인으로 ATM(110)의 제어 유닛(MCU, 31)과 연결된다.
ATM(110)은 제어 유닛(31)을 포함하고, 제어 유닛(31)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와 유선 통신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단말(10)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의 메모리(22)에 대해 무선 근거리 통신을 통해 기록 및 판독을 수행할 수 있고, ATM(110)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의 메모리(22)에 대해 유선 통신을 통해 기록 및 판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를 스마트 단말(10) 및 ATM(110)이 서로 공유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면, ATM(110)은 금융관리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현금카드 또는 신용카드 정보와 계좌 정보를 유선 통신을 통해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의 메모리(22)에 기록할 수 있고, 기록 이후에, 스마트 단말(10)은 메모리(22)에 저장된 계좌 정보를 무선 근거리 통신으로 판독함으로써 제공받을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는 구조 요청 등을 스마트 단말(10)을 이용한 태킹으로 메모리(22)에 기록할 수 있고, 기록된 구조 요청 데이터를 ATM(110)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금융관리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스마트 단말(10) 및 ATM(110)은 전통적인 통신 방식이 아닌 메모리 공유 방식으로 서로 소통하는 것이므로, ATM(110)은 스마트 단말(10)이 태깅하였는지, 태깅이 해제되었는지, 스마트 단말(10)에 의한 데이터의 기록이 있었는지 등에 대해서 인식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은 ATM(110)이 스마트 단말(10)의 동작을 인식하기 위한 방식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ATM(110)의 제어 유닛(31)에 대해 인터럽트를 발생시킴으로써 스마트 단말(10)의 동작 여부 및 동작의 종류를 ATM(110)이 인식할 수 있다. 인터럽트를 위해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10)의 태깅을 인식하기 위한 제 1 포트 및 스마트 단말(10)로부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에 대한 기록을 인식하기 위한 제2 포트의 결합을 이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포트는 대표적으로 EH_FD 포트일 수 있고, 제2 포트는 대표적으로 RF_WIP 포트일 수 있다.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의 결합 방식은, 제 2 포트의 풀-업(pull-up) 저항의 인에이블 및 디스에이블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로서 제 1 포트의 출력을 사용하는 방식이 이용된다.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위한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서는 제 1 포트는 EH_FD 포트이고 제 2 포트는 RF_WIP 포트인 것으로서 설명한다.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로 스마트 단말(10)이 태깅되는 경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의 IC는 스마트 단말(10)에서 생성하는 전자기장에 의해 전원이 생성된다. 그 생성된 전원은 도 13 및 도 14에서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의 IC의 EH_FD로 출력이 된다. EH_FD의 출력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 IC의 VCC 포트로 입력되어 동작 전원으로도 사용할 수 있고, 스마트 단말(10)이 태깅되어 있다는 상태를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도 활용될 수 있다.
RF_WIP 신호는 스마트 단말(10)로부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로 태깅 상태에서 데이터 기록이 발생되는 경우에 출력이 하이에서 로우로 토글-다운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다시 로우에서 하이로 토글-업되어 기록이 발생되었다는 것을 알려주는 신호이다.
이러한 RF_WIP 포트는 기본적으로 오픈-드레인(Open-drain) 포트이다. 오픈-드레인 포트는 그 특성상 포트 외부에 풀업(pull-up) 저항이 없으면 출력을 발생할 수 없다. 여기서 RF_WIP는 스마트 단말(10)이 태깅되었다는 것을 전제로 기록 동작이 발생되므로 EH_FD가 로우인 상태에서는 결코 발생될 수 없는 신호이다. 따라서, 도 13 및 도 14에서 RF_WIP의 풀업 저항의 인에이블이 EH_FD 신호에 따라 제어될 수 있도록, EH_FD 포트 및 RF_WIP 포트를 결합하였다. 즉, 도 13 및 도 14에서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의 RF_WIP 출력과 GEN INT 단의 출력 신호는 EH_FD 및 RF_WIP의 결합인 EH_FD + RF_WIP로서 구성되어 있다.
GEN INT의 출력단의 저항(R11)은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 저항인 동시에 RF_WIP의 풀업 저항이 되는 것이다. GEN INT에서 EH_FD가 로우(Low)이면 출력단 트랜지스터(Q2)는 도통이 되어 EH_FD + RF_WIP 노드는 GND와 연결되기 때문에 R11은 풀업 저항으로서 동작하지 않는다. EH_FD가 하이(High)이면 출력단 트랜지스터(Q2)는 도통이 되지 않아 R11은 풀업 저항으로서의 동작이 가능하며, EH_FD + RF_WIP 노드는 하이 상태가 되어 스마트 단말(10)이 태깅되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스마트 단말(10)로부터 데이터 기록이 발생하면, EH_FD + RF_WIP 신호는 일정 시간 동안 로우(Low)로 토글-다운되었다가 다시 하이(High)로 토글-업되므로, 기록 동작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스마트 단말의 태깅을 인식하기 위한 인터럽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ATM(110)의 제어 유닛(31)에 대한 인터럽트 신호로서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의 신호가 결합된 결합 신호가 이용된다. 제 1 포트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에 대한 스마트 단말(10)의 태깅을 인식하기 위한 포트로서 예를 들면 EH_FD 포트일 수 있고, 제 2 포트는 스마트 단말(10)로부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에 대한 기록을 인식하기 위한 포트로서 예를 들면 RF_WIP 포트일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의 결합 신호가 로우(low)에서 하이(high)로 토글-업되고, 태깅 유효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 유닛(31)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에 대한 스마트 단말(10)의 태깅으로 인식한다.
태깅 유효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을 도입한 이유는, 스마트 단말(10)의 태깅 시에 신호 파형이 스테이블 하게 토글-업 되지 않고 어느 정도의 쵸핑(chopping)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비접촉 RF 방식을 이용하는 태깅이기 때문에, 이러한 쵸핑이 발생할 여지가 더욱 크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효한 태깅만을 검출하기 위해 태깅 유효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을 도입하였다. 시스템 설정이나 본 시스템의 동작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지만, 태깅 유효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은 500 ms 일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스마트 단말의 태깅 해제를 인식하기 위한 인터럽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ATM(110)의 제어 유닛(31)에 대한 인터럽트 신호로서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의 결합 신호가 이용된다. 제 1 포트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에 대한 스마트 단말(10)의 태깅을 인식하기 위한 포트로서 예를 들면 EH_FD 포트일 수 있고, 제 2 포트는 스마트 단말(10)로부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에 대한 기록을 인식하기 위한 포트로서 예를 들면 RF_WIP 포트일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의 결합 신호가 하이(high)에서 로우(low)로 토글-다운되고 이벤트 종료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100ms)을 경과하는 경우, 제어 유닛(31)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에 대한 스마트 단말(10)의 태깅 해제로 인식한다.
이벤트 종료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을 도입한 이유는, 스마트 단말(10)의 태깅으로 인해 신호 파형이 토글-업 된 이후에,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토글-다운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스마트 단말(10)의 일시적인 접촉 거리 증가로 인해 제 1 포트의 신호가 토글-다운될 수도 있고, 스마트 단말(10)이 메모리(22)에 대한 기록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토글-다운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효한 태깅 해제만을 검출하기 위해 이벤트 종료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을 도입하였다. 시스템 설정이나 본 시스템의 동작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지만, 이벤트 종료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은 100 ms일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스마트 단말의 기록 동작을 인식하기 위한 인터럽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ATM(110)의 제어 유닛(31)에 대한 인터럽트 신호로서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의 결합 신호가 이용된다. 제 1 포트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에 대한 스마트 단말(10)의 태깅을 인식하기 위한 포트로서 예를 들면 EH_FD 포트일 수 있고, 제 2 포트는 스마트 단말(10)로부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에 대한 기록을 인식하기 위한 포트로서 예를 들면 RF_WIP 포트일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의 결합 신호가 하이(high)에서 로우(low)로 토글-다운되고 소정 시간의 기간 이내에 다시 로우(low)에서 하이(high)로 토글-업 되는 경우, 제어 유닛(31)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의 메모리(22)에 대한 스마트 단말(10)의 기록 동작을 인식한다.
소정 시간의 기간은 미리 결정된 값일 수 있으며 스마트 단말(10)의 메모리(22)에 대한 기록 시에 발생하게 되는 토글-다운 유지에 상응할 수 있다. 시스템 설정이나 본 시스템의 동작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지만, 스마트 단말(10)의 기록 동작 인식을 위한 소정 시간의 기간은 7ms를 초과하고 10ms 미만인 시간의 기간일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의 결합 신호가 하이(high)에서 로우(low)로 토글-다운되고 임계 시간 이내에 다시 로우(low)에서 하이(high)로 토글-업되는 경우, 제어 유닛(31)은 무효 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단말(10)이 일시적으로 멀어지거나 다른 잡음에 의해 토글-다운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기간이 임계 시간 이내라면 제어 유닛(31)은 이러한 현상을 유의미한 동작으로 인식하지 않고 무효 동작으로 인식한다. 시스템 설정이나 본 시스템의 동작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지만, 무효 동작 인식을 위한 임계 시간은 7 ms일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가 유선으로 통신하는 ATM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서의 ATM(110)은 유선 신호 수신기(35), 인터럽트 생성기(36) 및 동작 인식부(37)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의 유선 신호 수신기(35), 인터럽트 생성기(36) 및 동작 인식부(37) 등은 모두 통합하여 이전의 실시 예에서의 제어 유닛(MCU, 31)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의 ATM(110)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와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는 스마트 단말(1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안테나(21),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22), 및 ATM(110)과의 유선 통신을 위한 포트들(23)을 포함한다. 유선 통신을 위한 포트들(230)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에 대한 스마트 단말(10)의 태깅을 인식하기 위한 제 1 포트 및 스마트 단말(10)로부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에 대한 기록을 인식하기 위한 제 2 포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 1 포트는 EH_FD(Energy Harverst Field Detection) 포트일 수 있고, 제 2 포트는 RF_WIP(Radio Frequency Write In Progress) 포트일 수 있다.
유선 신호 수신기(35)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로부터 유선 신호들을 수신하며, 이를 위해 유선 신호 수신기(35)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와 유선 라인으로 연결된다. 유선 신호 수신기(35)가 수신하는 유선 신호들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에 대한 스마트 단말(10)의 태깅을 인식하기 위한 제 1 포트의 신호 및 스마트 단말(10)로부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에 대한 기록을 인식하기 위한 제 2 포트의 신호를 포함한다.
인터럽트 생성기(36)는 유선 신호 수신기(35)가 수신하는 신호들에 기초하여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한다.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인터럽트 생성기(36)는 제 1 포트 신호 및 제 2 포트 신호를 결합하는 방식을 채택한다. 구체적으로, 제 1 포트 신호 및 제 2 포트 신호를 결합하는 방식은, 제 2 포트의 풀-업 저항의 인에이블 및 디스에이블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로서 제 1 포트의 출력을 사용하는 방식이 이용된다. 제 1 포트 및 제2 포트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는 도 13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동작 인식부(37)는 인터럽트 생성기(36)에서 생성되는 인터럽트 신호에 기초하여 스마트 단말(10)의 동작을 인식한다. 구체적으로 동작 인식부(37)가 인식하는 스마트 단말(10)의 동작은 스마트 단말(10)의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에 대한 태깅, 스마트 단말(10)의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로부터의 태깅 해제,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의 메모리(22)에 대한 스마트 단말(10)의 기록 및 무효 동작을 포함한다.
동작 인식부(37)는 인터럽트 신호가 로우(low)에서 하이(high)로 토글-업되고, 태깅 유효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에 대한 스마트 단말(10)의 태깅으로 인식한다. 시스템 설정이나 본 시스템의 동작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지만, 태깅 유효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은 500 ms 일 수 있다.
동작 인식부(37)는 인터럽트 신호가 하이(high)에서 로우(low)로 토글-다운되고 이벤트 종료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에 대한 스마트 단말(10)의 태깅 해제로 인식한다. 시스템 설정이나 본 시스템의 동작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지만, 이벤트 종료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은 100 ms일 수 있다.
동작 인식부(37)는 인터럽트 신호가 하이(high)에서 로우(low)로 토글-다운되고 소정의 시간 기간 이내에 다시 로우(low)에서 하이(high)로 토글-업되는 경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의 메모리(22)에 대한 스마트 단말(10)의 기록 동작을 인식한다. 시스템 설정이나 본 시스템의 동작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지만, 스마트 단말(10)의 기록 동작 인식을 위한 소정의 시간 기간은 7ms를 초과하고 10ms 미만인 시간 기간일 수 있다.
동작 인식부(37)는 인터럽트 신호가 하이(high)에서 로우(low)로 토글-다운되고 임계 시간 이내에 다시 로우(low)에서 하이(high)로 토글-업되는 경우, 무효 동작으로 인식한다. 시스템 설정이나 본 시스템의 동작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지만, 무효 동작 인식을 위한 임계 시간은 7 ms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200)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된 ATM(110)에 대응되어 있는 보안업체 서버 또는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된 ATM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보안업체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TM(110)에서, 제어 유닛(31)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의 메모리(22)에 대한 스마트 단말(10)의 기록(write)으로 인식하는 경우, ATM(110)의 기기 번호와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를 금융관리 서버(120)로 전송한다.
이에, 금융관리 서버(120)는 제3 정보 관리기(130)로 ATM(110)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제3 정보 관리기(130)는 ATM(110)의 기기 번호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금융관리 서버(120)로 제공한다.
따라서, 금융관리 서버(120)는, ATM(110)의 기기 번호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 및 긴급 출동 요청 메시지를 ATM(110)에 대응되어 있거나, ATM(110)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보안업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31)은, 스마트 단말(10)의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에 대한 태깅으로 인식하는 경우, ATM(110)의 기기 번호와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를 금융관리 서버(120)로 전송한다. 이에, 금융관리 서버(120)는 제3 정보 관리기(130)로 ATM(110)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제3 정보 관리기(130)는 ATM(110)의 기기 번호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금융관리 서버(120)로 제공한다. 따라서, 금융관리 서버(120)는, ATM(110)의 기기 번호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 및 긴급 출동 요청 메시지를 ATM(110)에 대응되어 있거나,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보안업체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보안업체에서 보안 요원이 ATM이 있는 현장에 즉시 출동하여 범인을 검거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죄 금융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100)은, 하나의 ATM(112)으로부터 제2 비밀번호가 금융관리 서버(120)로 전송된다(S192).
이때, 하나의 ATM(112)은, 범죄자의 협박에 의해 사용자가 제2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자신의 기기 정보와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를 금융관리 서버(120)로 전송한다. 이때, 하나의 ATM(112)에 대한 기기 정보는 은행 ID, 지점 ID, 단말기 ID(기기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 금융관리 서버(120)는 하나의 ATM(112)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3 정보 관리기(130)로 요청한다(S194).
이때,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된 하나의 ATM(112)이 금융관리 서버(120)와 동일한 은행에서 운영하는 ATM 단말기인 경우, 하나의 ATM(112)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3 정보 관리기(130)는 금융관리 서버(120)에서 운영하는 데이터베이스(DB)로서 기능을 수행한다.
즉, 금융관리 서버(120)는 ATM(112)의 소속 정보가 동일 은행인 경우에, 제3 정보 관리기(130)로 하나의 ATM(112)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
이어, 제3 정보 관리기(130)는 하나의 ATM(112)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S196).
이때, 제3 정보 관리기(130)는 하나의 ATM(112)의 기기 번호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금융관리 서버(120)로 제공한다. 이때, 하나의 ATM(112)에 대한 위치 정보는 은행 ID, 지점 ID, 단말기 ID(기기번호), 주소(상세 주소), GPS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금융관리 서버(120)는, 하나의 ATM(112)의 기기 번호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 및 금융범죄 신고 메시지를 경찰 관련 장치(14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가 타은행 계좌인 경우 또는 제2 비밀번호를 입력받은 하나의 ATM(112)이 타은행에서 운영하는 ATM 단말기인 경우에, 금융관리 서버(120)는 하나의 ATM(112)을 동일 은행에서 운영하지 않아, 하나의 ATM(112)에 대한 위치 정보를 알 수 없으므로, 하나의 ATM(112)에 대한 기기 번호와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가 포함된 금융범죄 신고 메시지를 경찰 관련 장치(140)로 전송한다.
따라서, 경찰 관련 장치(140)는 제3 정보 관리기(130)로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된 ATM(112)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제3 정보 관리기(130)는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된 ATM(112)에 대한 위치 정보를 경찰 관련 장치(140)로 제공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범죄 금융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200)은, 하나의 ATM(112)에서 제2 비밀번호를 입력받으면, 자신의 기기 번호와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를 금융관리 서버(120)로 전송한다(S2010).
이어, 금융관리 서버(120)는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가 동일은행 계좌인지 타은행 계좌인지를 판단한다(S2020).
즉, 금융관리 서버(120)는 제2 비밀번호를 입력받은 하나의 ATM(112)이 동일 은행에서 운영하는 ATM 단말기인지 아니면 타 은행에서 운영하는 ATM 단말기인지를 판단한다. 이는 하나의 ATM(112)이 동일 은행에서 운영하는 ATM 단말기이면 해당 ATM의 위치 정보를 알 수 있고, 타 은행에서 운영하는 ATM 단말기이면 해당 ATM의 위치 정보를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이어, 금융관리 서버(120)는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가 타은행 계좌인 경우에, 하나의 ATM(112)에 대한 기기 번호와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가 포함된 금융범죄 신고 메시지를 경찰 관련 장치(140)로 전송한다(S2030).
즉, 금융관리 서버(120)는 제2 비밀번호를 입력받은 ATM(112)이 타 은행에서 운영하는 ATM 단말기로 판단되면, 해당 ATM의 위치 정보를 알 수 없으므로 바로 관할 경찰서에 신고하여, 관할 경찰서에서 해당 ATM의 위치를 조회하여 출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어, 경찰 관련 장치(140)가 하나의 ATM(112)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3 정보 관리기(130)로 요청한다(S2040).
이어, 제3 정보 관리기(130)는 하나의 ATM(112)에 대한 위치 정보를 경찰 관련 장치(140)로 제공한다(S2050). 이때, 하나의 ATM(112)에 대한 위치 정보는 은행 ID, 지점 ID, 단말기 ID(기기번호), 주소(상세 주소), GPS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경찰 관련 장치(140)는 해당 ATM(112)이 설치된 지역을 관할하는 담당 경찰에게 현장으로 출동하도록 지시함으로써 담당 경찰이 현장에 출동하여 ATM 범인을 검거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3 정보 관리기에 저장 및 관리하고, 평상 시에 ATM을 사용할 때는 제1 비밀번호를 이용해 입금이나 출금을 실행하고, 범죄자의 협박에 의해 사용자가 ATM을 사용할 때는 제2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제3 정보 관리기를 통해 ATM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금융권 서버 또는 경찰 관련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경찰이 현장에 출동하여 범인을 검거할 수 있도록 하는, 더블 비밀번호를 이용한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 : 스마트 단말 20 :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21: RF 인터페이스 안테나 22 : 메모리
23: 유선 통신 포트들 31: 제어 유닛(MCU)
35 : 유선 신호 수신기 36 : 인터럽트 생성기
37 : 동작 인식부 100, 200 :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
110~114 : ATM 120 : 금융관리 서버
122 : 타은행 서버 130 : 제3 정보 관리기
140 : 경찰 관련 장치

Claims (10)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ATM;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ATM과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스마트 단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ATM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제3 정보 관리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ATM에서 제2 비밀번호가 사용된 것에 대하여, 일자별, 주별, 월별, 년별로 사용 횟수, 사용 시간대, 금융거래 유형, 사용 지역을 데이터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ATM의 입금, 출금, 계좌이체를 포함하는 금융거래를 제1 비밀번호 또는 제2 비밀번호에 따라 제어하되, 상기 ATM으로부터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3 정보 관리기로 상기 ATM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금융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금융관리 서버는, 1년 동안 각 ATM 별로 제2 비밀번호가 사용된 것을 총 집계하여 행정 지역, 일별, 월별, 주거 지역을 포함하는 항목에 따라 분류하고, 각 항목 별로 총 발생 횟수가 높은 순서로부터 내림차순으로 리스팅한 자료에 근거하여 행정 지역과 발생횟수 간의 관계, 일별과 발생횟수 간의 관계, 월별과 발생횟수 간의 관계, 주거 지역과 발생횟수 간의 관계를 학습한 후 행정 지역, 일별, 월별, 주거 지역에 따른 제2 비밀번호 사용도를 추정하는 ATM 범죄 모델을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금융관리 서버는, 상기 ATM 범죄 모델에 입력 변수로 행정 지역, 년도, 월, 일, 시간대, 주거 지역을 입력하여, 입력한 지역에서 해당 년도, 월, 일, 시간대에 발생된 금융 유형의 ATM 범죄를 예측하고, 예측된 행정 지역, 주거 지역, 날짜와 시간대, ATM 범죄 유형을 사전에 경고 메시지로 ATM 관련 은행이나 기관에 제공하고,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는, RF 인터페이스를 위한 안테나,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 및 유선 통신을 위한 포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유선 통신을 위한 포트들은,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상기 스마트 단말의 태깅을 인식하기 위한 제 1 포트, 및 상기 스마트 단말로부터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기록(write)을 인식하기 위한 제 2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포트 및 상기 제 2 포트의 결합 신호가 로우(low)에서 하이(high)로 토글-업되고, 태깅 유효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ATM의 제어 유닛은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상기 스마트 단말의 태깅으로 인식하고,
    상기 제 1 포트 및 상기 제 2 포트의 결합 신호가 하이(high)에서 로우(low)로 토글-다운되고 이벤트 종료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ATM의 제어 유닛은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상기 스마트 단말의 태깅 해제로 인식하며,
    상기 제 1 포트 및 상기 제 2 포트의 결합 신호가 하이(high)에서 로우(low)로 토글-다운되고 소정 시간의 기간 이내에 다시 로우(low)에서 하이(high)로 토글-업 되는 경우, 상기 ATM의 제어 유닛은 상기 메모리에 대한 상기 스마트 단말의 기록 동작을 인식하며,
    상기 ATM 및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메모리를 서로 공유하되, 상기 ATM이 상기 금융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현금카드 또는 신용카드 정보와 계좌 정보를 유선 통신을 통해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고, 기록 이후에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계좌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제공받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ATM은 상기 스마트 단말의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태깅에 의해 상기 스마트 단말로부터 구조 요청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고,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상기 구조 요청 데이터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금융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관리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ATM을 국내에 각 지역의 지점이나 영업점에 분산 배치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및 관리하는 은행 서버인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밀번호를 입력받은 상기 ATM은, 자신의 기기 정보와 상기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를 상기 은행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은행 서버는 상기 ATM의 소속 정보가 동일 은행인 경우에, 상기 제3 정보 관리기에 근거하여 상기 ATM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ATM의 위치 정보 및 금융범죄 신고 메시지를 경찰 관련 장치로 전송하는,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밀번호를 입력받은 상기 ATM은, 자신의 기기 정보와 상기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를 상기 은행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은행 서버는 상기 ATM의 소속 정보가 타은행인 경우에, 상기 ATM에 대한 기기 정보와 상기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가 포함된 금융범죄 신고 메시지를 경찰 관련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경찰 관련 장치는 상기 제3 정보 관리기로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된 상기 ATM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제3 정보 관리기는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된 상기 ATM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경찰 관련 장치로 제공하는,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관리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ATM을 국내에 각 지역의 지점이나 영업점에 분산 배치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및 관리하는 금융 서버인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밀번호를 입력받은 상기 ATM은, 자신의 기기 정보와 상기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를 상기 금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금융 서버는, 상기 ATM에 대한 기기 정보와 상기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를 상기 제3 정보 관리기로 전송하며,
    상기 제3 정보 관리기는, 상기 ATM의 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 상기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 및 금융범죄 신고 메시지를 경찰 관련 장치로 전송하는,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
  7. 적어도 하나 이상의 ATM과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스마트 단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ATM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제3 정보 관리기; 및 상기 제3 정보 관리기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동하는 금융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범죄 금융 제어 방법으로서,
    (a)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ATM 중 하나의 ATM으로부터 제2 비밀번호가 상기 금융관리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b) 상기 금융관리 서버가 상기 하나의 ATM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제3 정보 관리기로 요청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3 정보 관리기가 상기 하나의 ATM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는, RF 인터페이스를 위한 안테나,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 및 유선 통신을 위한 포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유선 통신을 위한 포트들은,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상기 스마트 단말의 태깅을 인식하기 위한 제 1 포트, 및 상기 스마트 단말로부터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기록(write)을 인식하기 위한 제 2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포트 및 상기 제 2 포트의 결합 신호가 로우(low)에서 하이(high)로 토글-업되고, 태깅 유효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ATM의 제어 유닛은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상기 스마트 단말의 태깅으로 인식하고,
    상기 제 1 포트 및 상기 제 2 포트의 결합 신호가 하이(high)에서 로우(low)로 토글-다운되고 이벤트 종료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ATM의 제어 유닛은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상기 스마트 단말의 태깅 해제로 인식하며,
    상기 제 1 포트 및 상기 제 2 포트의 결합 신호가 하이(high)에서 로우(low)로 토글-다운되고 소정 시간의 기간 이내에 다시 로우(low)에서 하이(high)로 토글-업 되는 경우, 상기 ATM의 제어 유닛은 상기 메모리에 대한 상기 스마트 단말의 기록 동작을 인식하며,
    상기 ATM 및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메모리를 서로 공유하되, 상기 ATM이 상기 금융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현금카드 또는 신용카드 정보와 계좌 정보를 유선 통신을 통해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고, 기록 이후에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계좌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제공받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ATM은 상기 스마트 단말의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태깅에 의해 상기 스마트 단말로부터 구조 요청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고,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상기 구조 요청 데이터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금융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범죄 금융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하나의 ATM은, 자신의 기기 정보와 상기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를 상기 금융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금융관리 서버는 상기 하나의 ATM에 대한 기기 정보와 상기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를 상기 제3 정보 관리기로 전송하여 상기 하나의 ATM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3 정보 관리기는 상기 하나의 ATM의 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상기 금융관리 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금융관리 서버는, 상기 하나의 ATM의 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 및 금융범죄 신고 메시지를 경찰 관련 장치로 전송하는, 범죄 금융 제어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하나의 ATM은, 자신의 기기 정보와 상기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를 상기 금융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금융관리 서버는, 상기 ATM의 소속 정보가 타은행인 경우에, 상기 ATM에 대한 기기 정보와 상기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를 상기 제3 정보 관리기로 전송하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3 정보 관리기는, 상기 ATM의 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 상기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 및 금융범죄 신고 메시지를 경찰 관련 장치로 전송하는, 범죄 금융 제어 방법.
  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ATM과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스마트 단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ATM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제3 정보 관리기; 및 상기 제3 정보 관리기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동하는 금융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범죄 금융 제어 방법으로서,
    (a) 하나의 ATM이 제2 비밀번호를 입력받으면, 자신의 기기 정보와 상기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를 상기 금융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금융관리 서버가 상기 ATM의 소속 정보가 동일은행인지 타은행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금융관리 서버가 상기 ATM의 소속 정보가 타은행인 경우에, 상기 하나의 ATM에 대한 기기 정보와 상기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가 포함된 금융범죄 신고 메시지를 경찰 관련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경찰 관련 장치가 상기 하나의 ATM에 대한 기기 정보와 상기 제2 비밀번호에 대한 계좌 정보를 상기 제3 정보 관리기로 전송하여 상기 하나의 ATM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3 정보 관리기가 상기 하나의 ATM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경찰 관련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는, RF 인터페이스를 위한 안테나,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 및 유선 통신을 위한 포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유선 통신을 위한 포트들은,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상기 스마트 단말의 태깅을 인식하기 위한 제 1 포트, 및 상기 스마트 단말로부터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기록(write)을 인식하기 위한 제 2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포트 및 상기 제 2 포트의 결합 신호가 로우(low)에서 하이(high)로 토글-업되고, 태깅 유효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ATM의 제어 유닛은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상기 스마트 단말의 태깅으로 인식하고,
    상기 제 1 포트 및 상기 제 2 포트의 결합 신호가 하이(high)에서 로우(low)로 토글-다운되고 이벤트 종료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ATM의 제어 유닛은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상기 스마트 단말의 태깅 해제로 인식하며,
    상기 제 1 포트 및 상기 제 2 포트의 결합 신호가 하이(high)에서 로우(low)로 토글-다운되고 소정 시간의 기간 이내에 다시 로우(low)에서 하이(high)로 토글-업 되는 경우, 상기 ATM의 제어 유닛은 상기 메모리에 대한 상기 스마트 단말의 기록 동작을 인식하며,
    상기 ATM 및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메모리를 서로 공유하되, 상기 ATM이 상기 금융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현금카드 또는 신용카드 정보와 계좌 정보를 유선 통신을 통해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고, 기록 이후에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계좌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제공받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ATM은 상기 스마트 단말의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태깅에 의해 상기 스마트 단말로부터 구조 요청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고,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상기 구조 요청 데이터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금융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범죄 금융 제어 방법.
KR1020200061638A 2020-05-22 2020-05-22 더블 비밀번호를 이용한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152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638A KR102152286B1 (ko) 2020-05-22 2020-05-22 더블 비밀번호를 이용한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CT/KR2021/003852 WO2021235672A1 (ko) 2020-05-22 2021-03-29 더블 비밀번호를 이용한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638A KR102152286B1 (ko) 2020-05-22 2020-05-22 더블 비밀번호를 이용한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2286B1 true KR102152286B1 (ko) 2020-09-04

Family

ID=72470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638A KR102152286B1 (ko) 2020-05-22 2020-05-22 더블 비밀번호를 이용한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2286B1 (ko)
WO (1) WO202123567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5672A1 (ko) * 2020-05-22 2021-11-25 주식회사 대저건설 더블 비밀번호를 이용한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2007A (ko) * 1999-06-10 2001-01-05 주동인 이중 암호화에 의한 현금인출수단의 비정상 현금 인출 방지 방법
KR20040052424A (ko) * 2002-12-17 2004-06-23 이근만 불법 예금거래 보안방법 및 보안시스템
KR100862743B1 (ko) 2008-07-16 2008-10-10 조광현 신용카드 및 현금카드 비밀번호 이중화 시스템
KR20130050004A (ko) * 2011-11-07 2013-05-15 최대양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범죄행위에 이용되는 금융거래를 예방하는 방법
KR101574330B1 (ko) * 2015-02-09 2015-12-03 주식회사 기가코리아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286B1 (ko) * 2020-05-22 2020-09-04 주식회사 대저건설 더블 비밀번호를 이용한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2007A (ko) * 1999-06-10 2001-01-05 주동인 이중 암호화에 의한 현금인출수단의 비정상 현금 인출 방지 방법
KR20040052424A (ko) * 2002-12-17 2004-06-23 이근만 불법 예금거래 보안방법 및 보안시스템
KR100862743B1 (ko) 2008-07-16 2008-10-10 조광현 신용카드 및 현금카드 비밀번호 이중화 시스템
KR20130050004A (ko) * 2011-11-07 2013-05-15 최대양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범죄행위에 이용되는 금융거래를 예방하는 방법
KR101574330B1 (ko) * 2015-02-09 2015-12-03 주식회사 기가코리아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5672A1 (ko) * 2020-05-22 2021-11-25 주식회사 대저건설 더블 비밀번호를 이용한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35672A1 (ko) 202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63694A (zh) 利用设备状态或方位的近距离无线通信控制
JP2005128675A (ja) 電子マネー入金機
US10939237B2 (en) Synced audio signals between a device and ATM
US20160019548A1 (en) Secure Electronic Identification Device
CN1918579B (zh) 信息显示方法,移动信息设备和非接触式通信装置
CN112468975A (zh) 一种模拟卡的管理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KR102152286B1 (ko) 더블 비밀번호를 이용한 범죄 금융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8509283A (zh) 消息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706638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or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191760B1 (ko) 해외 금융거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65863A (ko)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 카드를 이용한 전자지갑 서비스를제공하는 장치,시스템,장치,방법 및 기록매체
CN103325167B (zh) 门锁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201718053U (zh) 非接触电子卡片终端
US20210090044A1 (en) Secure file transfer system using an atm
JP4371084B2 (ja) Atm利用限度額設定方法、atm利用限度額設定装置およびatm利用限度額設定用プログラム
JP2007026138A (ja) 不正カードの利用防止システムおよびatm
JP5944891B2 (ja) ローカル端末と複数の携帯機器との間で通信する携帯通信機器、システムおよび方法
RU2212708C2 (ru) Карточка со встроенной схемой, идентифицируемая по отпечатку пальца
KR101889616B1 (ko) 결제가 실행된 오프라인매장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지출동선을 트래킹하는 경제생활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단말
CN113066214B (zh) 一种基于5g网络远程监控的门禁系统
KR20040098407A (ko) 금융거래에 있어서 비상비밀번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18381A (ko) 정보 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정보처리장치 및기록매체
KR101338133B1 (ko) 다채널을 활용한 금융계좌개설방법
US11783337B2 (en) Mobile application-based error reporting
KR20120042185A (ko) 금융카드에 대한 출금 관리 방법 및 출금 관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