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8407A - 금융거래에 있어서 비상비밀번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금융거래에 있어서 비상비밀번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8407A
KR20040098407A KR1020030030753A KR20030030753A KR20040098407A KR 20040098407 A KR20040098407 A KR 20040098407A KR 1020030030753 A KR1020030030753 A KR 1020030030753A KR 20030030753 A KR20030030753 A KR 20030030753A KR 20040098407 A KR20040098407 A KR 20040098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password
financial transaction
account
finan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0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행곤
조윤호
Original Assignee
장행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행곤 filed Critical 장행곤
Priority to KR1020030030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8407A/ko
Publication of KR20040098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8407A/ko

Links

Landscapes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금지급기나 ATM, 모바일 전자결제 등을 이용하여 현금 인출이나 계좌이체 시 억압에 의한 금융 부정거래를 식별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이용자가 사전 정의한 비상계좌의 인출가능금액을 기초로 금융거래가 이루어지며, 이러한 상황 발생 시 경찰서 또는 보안업체에 통보하여 조기 진압이 가능하도록 하고, 해당 이용자 계정으로 재 금융거래를 요청할 경우 비상계좌를 기초로 금융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 만일의 인사 사고에 대비하고, 비상시를 고려한 비상대처방안 설정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금융거래에 있어서 비상비밀번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of financial transaction using Emergency Password Number}
본 발명은 금융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각종카드(신용카드, 현금카드, 휴대폰 신용카드) 및 통장 발급 시 비상 비밀번호를 추가 발급하여, 타인 억압에 의한 강제 현금인출 또는 계좌이체, 대금결제 시 비상비밀번호 입력을 통하여 비상사태발생을 관련 금융기관에 통보하고, 사전 정의된 비상계좌의 인출가능금액을 기초로 금융거래를 수행하는 비상비밀번호 관리 시스템 및 비상비밀번호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은행의 업무가 다양화됨에 따라 간단한 현금인출이나 입금 혹은 타 은행으로의 이체 등은 무인점포인 현금지급기나 ATM 등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유선인터넷뱅킹, 무선인터넷뱅킹 등에 의해서도 이루어지고 있다. 신용카드나 현금카드 혹은 통장 등을 이용해서 현금지급기나 ATM으로부터 현금을 인출하는 과정을 도1에 의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카드나 통장을 현금지급기나 ATM에 삽입(S110)하게 되면, 원하는 금융거래 내용을 선택(S120)하게 되고, 비밀번호 입력창에 비밀번호를 입력(S130)한 후 확인 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기 삽입된 카드나 통장의 계좌번호에 따른 입력 비밀번호가 맞는지를 체크(S140)한다. 만일 계좌정보와 비밀번호가 일치한 경우, 인출 금액을 입력하게 되면 원하는 금액이 인출(S150)된 후 금융거래가 종료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밀번호 입력오류 메시지를 출력(S160)하고 금융거래를 종료한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으로 금융 거래 수행 시 강압에 의한 강제 현금인출 시 금융계좌 소유자의 경제적 피해 및 육체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향후 모바일뱅킹이 활성화되어 치안 영향력이 떨어진 장소에서 강압에 의한 금융거래 발생 시 더욱 큰 사회적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금융거래가 가능한 단말기(예를 들면, 현금지급기, ATM, 폰뱅킹 가능 전화기, 모바일뱅킹 가능 단말기 등)를 통하여 부정 금융거래 시 정상 비밀번호 이외 다수의 비상비밀번호를 발행하여 불법 금융거래 발생 사실을 경찰서 또는 보안업체에 통보하고, 별도 비상계좌정보DB에 인출가능금액을 설정하여 경제적 피해 규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비상비밀번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금융계좌 소유자의 금융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정상계좌정보와 별도로 비상계좌DB를 생성하여 비상비밀번호 입력 이후 비상계좌DB를 중심으로 금융거래 처리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강압에 의한 현금 인출이나 계좌이체 시 사전 설정된 규모의 금액 이내로 피해 규모를 축소할 수 있으며, 강압자에게 일관된 금융정보를 보여 줌으로 금융계좌 소유자의 신변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황에 따른 한 개 이상의 비상비밀번호를 발행하여, 금융센터(실제적으로 금융거래 업무를 처리하는 곳)에서 금융계좌 소유자의 현재 처한 상황 파악이 가능하도록 하고, 부정 금융거래 발생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여 해당 정보를 경찰서 또는 보안업체 등에 통보하여 조기 사건 종결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부정 금융거래 발생 단말기의 특성 및 해당 단말기 주변의 보안 관련 장치의 특성을 파악하여 원격에서 현장의 이미지 또는 소리를 녹화하여 향후 부정 사건 수사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금융단말기를 이용한 금융거래 처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비밀번호 관리 시스템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비밀번호 관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용자금융정보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단말기정보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비밀번호 관리 시스템은, 금융 거래 이용자의 신상정보, 계좌정보, 비밀번호, 비상비밀번호, 정상계좌정보, 비상계좌정보 등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부(260); 상기 이용자의 금융거래 요청에 대한 신원확인 및 요청을 승인하는 인증부(240); 상기 이용자의 금융거래 요청 사항을 처리하는 서비스제공부(230); 상기 서비스제공부의 금융거래 처리 과정 중 입력 비밀번호가 비상비밀번호로 판명될 경우 부정 금융거래 사태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비상사태처리부(250); 및 이용자 이용 금융단말기와 처리 요청 및 처리 결과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220);를 구비한다.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된 이용자의 계좌정보와 입력 비밀번호를 상기 인증부로 전송하고, 인증부는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비밀번호의 일치성을 인증한다. 인증 결과 사전 정의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이용자의 정상계좌에 저장된 인출가능금액을 기초로 요청한 금융 거래를 송수신부를 통해 이용자의 금융 단말기로 금융 결과를 전송한다. 한편, 인증 결과 사전 정의된 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증부를 통해 비상비밀번호와의 일치성을 검사하여, 비상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비상사태처리부를 통해 사전 정의된 비상비밀번호의 유형을 기초로 금융계좌 소유주의 현 상황을 파악하고, 금융 거래 요청 단말기의 위치 확인이 가능한 경우 금융 거래 요청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며, 금융 거래 요청 단말기의 특성을 파악하여 파악된 정보와 더불어 경찰서 및 보안 업체에 부정 금융거래를 통보한다. 인증 결과 사전 정의된 비밀번호 및 비상비밀번호와도 일치하지않는 경우, 금융거래처리 불가의 에러 메시지를 송수신부를 통해 이용자의 금융 요청 단말기로 결과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입력된 비밀번호가 사전 정의된 비상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비상사태처리부를 통해 금융 거래 요청 단말기 주변에 별도로 설치된 보안 관련 장비(예를 들어, CCTV, 녹화기, 음성 녹음기 등)의 설치 유무를 확인하여, 원격 조정이 가능한 경우 보안 관련 장비에 증거 녹화를 지시한 후, 비상계좌에 설정된 인출가능금액을 기초로 금융거래를 처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상계좌에 설정된 인출가능금액이 정상계좌에 저장 된 인출가능금액 보다 큰 경우, 정상계좌에 저장된 금액을 비상계좌에 설정된 인출가능금액으로 치환하여 금융거래의 일관성을 유지한다.
상기 비상비밀번호는 금융 이용자의 상황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한 개 이상 사전 정의하여 발행 가능 하다. 또한, 비상비밀번호 입력을 통해 금융거래가 이루어 진 이후 다시 금융 거래를 요청한 경우, 정상 비밀번호가 입력될 지라도 금융 사태가 완전히 해결되기 전까지는 계속하여 비상비밀번호 입력 상태로 간주하여 비상계좌에 저장된 금액을 중심으로 요청된 금융거래를 처리한다. 이 경우, 현금 인출 및 현금 입금 등 비상계좌의 잔액 변화가 있을 경우, 이를 비상계좌에 반영하여 강압에 의한 금융거래 시 강압자에게 정보의 일관성을 줌으로 이용자의 신변 안전 및 경제적 피해 규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상비밀번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비밀번호 관리 시스템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금융거래요청단말기(210)은 전화선, 전용선, 인터넷선, 무선통신선 등 다양한 통신방식(270)으로 본 발명에 따른 비상비밀번호 관리 시스템과 송수신부(220)로 연결되어 있다. 금융거래요청단말기는 현금지급기, ATM, 폰뱅킹 가능 전화기, 모바일뱅킹 가능 휴대폰 등이다.
이용자의 금융 거래 요청 정보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비밀번호 관리 시스템의 송수신부(220)을 통하여 서비스제공부(230)로 전송되고, 서비스제공부(230)는 인증부(240)를 통해 전송 받은 계좌정보와 비밀번호가 데이터베이스부(260)에 사전 정의된 이용자금융정보DB(261)의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체크하도록 한다. 전송된 비밀번호가 이용자금융정보DB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고 비상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서비스제공부(230)는 이용자금융정보DB의 비상비밀번호발생 사실을 등록하고 비상사태처리부(250)로 하여금 금융거래 요청 단말기의 위치 확인 및 특성을 파악하여 상기에서 파악된 비상비밀번호의 유형과 함께 보안업체DB(252)에 등록된 업체 중 발생 위치를 고려하여 해당 업체에 비상사태발생 통보 및 파악된 정보를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비상사태처리부(230)는 금융단말기정보DB(251)에 저장된 금융거래 요청 단말기의 특성 외에 주변 보안 장치의 기능 및 통신가능 주소를 파악하여 이미지 촬영 및 음성 녹화를 지시한다.
서비스제공부(230)는 전송 받은 계좌정보의 비밀번호가 이용자금융정보DB(261)에 사전 정의된 비밀번호와 일치할 경우, 정상계좌DB(262)에저장된 인출가능감액을 기초로 요청된 금융거래를 처리하고, 사전 정의된 비밀번호 및 비상비밀번호들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요청된 금융거래 불가 메시지를 송수신부(220)를 통해 금융거래요청단말기(210)로 전송한다. 한편, 전송 받은 비밀번호가 등록된 비상비밀번호 중 1개와 일치한 경우, 비상계좌DB(263)의 해당 비상비밀번호에 사전 설정된 금액을 기준으로 요청 금융거래를 처리한다. 만약, 정상계좌DB(262)에 저장된 금액 보다 비상계좌DB(263)에 설정된 인출가능금액이 큰 경우 정상계좌DB에 저장된 인출가능금액을 비상계좌DB 인출가능금액으로 치환하여 금융거래의 일관성을 유지한다.
바람직하게, 전송 받은 비밀번호가 이용자금융정보DB에 사전 정의된 비밀번호와 일치할지라도 이용자금융정보DB(261)에 비상비밀번호발생 중으로 등록된 경우는 상기의 비상비밀번호 발생 시 처리과정과 동일하게 요청된 금융거래를 처리한다. 이는, 강압에 의한 금융 거래 시 금융거래 정보의 일관성을 유지하여 금융계좌 소유자의 신변안전확보 및 재산상 불이익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도 4에는 이용자금융정보DB(261)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금융계좌 소유자의 이름과 계좌번호정보, 비밀번호, 비밀번호별 사전 정의된 한 개 이상의 비상비밀번호, 비상비밀번호의 유형, 비상계좌설정금액 및 비상비밀번호 발생 여부를 체크하는 항목으로 구성된다. 비상비밀번호는 강압에 의한 인질 발생사실 여부 및 동행 인출 여부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여 발행 가능하다. 비상계좌설정금액은 비상계좌DB에 전송되어 보관되며, 비상비밀번호 발생 여부 항목은 금융거래 요청 시 입력된 비밀번호가 이용자금융정보DB(261)에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할 지라도 한번 이상의 비상비밀번호 발생 사실을 등록하여 비상 금융거래가 종료되기 전까지 계속 비상 금융거래로 간주하여 해당 계좌의 금융거래를 관리하도록 하는 항목이다.
도 5에는 금융단말기정보DB(251)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을 참조하면, 금융계좌 소유자의 이름과 계좌번호정보, 비상비밀번호 입력 금융단말기의 발생 위치 정보, 금융단말기의 유형, 해당 단말기를 포함하여 주변에 카메라 등 녹화 가능 장비의 존재유무를 나타내는 카메라 유무항목, 해당 장비를 원격에서 관리 가능한 통신 접속 주소인 카메라 IP항목, 해당 단말기를 포함하여 주변에 녹음 가능 장비의 존재유무를 나타내는 녹음가능항목, 해당 장비를 원격에서 관리 가능한 통신 접속 주소인 녹음기IP항목 등으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비밀번호 관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용자가 금융거래요청단말기(210)에서 희망 금융거래를 선택한다(S311). 금융거래요청단말기(210)는 삽입 또는 내장된 금융거래 가능 매체의 계좌정보 및 이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를 송수신부(220)을 통하여 서비스제공부(230)로 전송한다(S312). 금융거래 가능 매체는 현금지급기에 삽입되는 현금카드, 통장 및 금융계좌번호가 저장된 모바일뱅킹 가능 휴대폰 등이다.
인증부(240)는 수신된 비밀번호가 이용자금융정보DB(261)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지를 검색한다(S313).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이용자금융정보DB(261)에 저장된 비상비밀번호와 일치 여부를 체크한다(S316). 비상비밀번호와일치 할 경우, 서비스제공부(230)는 이용자금융정보DB(261)의 비상비밀번호발생 사실을 등록하고(S317), 비상사태처리부(250)는 금융거래요청단말기(210)의 위치와 단말기 특성, 비상비밀번호 유형을 파악(S318)하여 보안업체DB(252)에 등록된 업체 중 발생 위치를 고려하여 해당 업체에 파악된 정보와 함께 비상사태 발생을 통보한다(S319). 또한 비상사태처리부(230)는 금융단말기정보DB(251)에 저장된 금융거래 요청 단말기의 특성 외에 주변 보안 장치의 기능 및 통신 가능 주소를 파악(S320)하여 이미지 촬영 및 음성 녹화를 지시한다(S321). 또한, 비상계좌DB(263)의 해당 비상비밀번호에 사전 설정된 금액을 기준으로 요청 금융거래를 처리하는데(S325), 정상계좌DB(262)에 저장된 금액 보다 비상계좌DB(263)에 설정된 금액이 큰 경우 정상계좌DB에 저장된 금액을 비상계좌DB 금액으로 치환하여 요청 금융거래를 처리한다(S324). 물론, S323, S324 단계는 처음으로 비상비밀번호가 발생한 경우 1회만 수행한다.
한편, 수신된 비밀번호가 이용자금융정보DB(261)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지만, 이용자금융정보DB(261)의 비상비밀번호발생 사실 여부를 체크(S315)하여 현재 비상비밀번호발생 중인 경우, 상기의 비상사태처리 흐름인 S318, S319, S320, S321, S325 단계를 수행하고, 현재 비상비밀번호발생 사실이 없는 경우 정상계좌DB(262)에 저장된 금액을 기초로 요청 금융거래를 처리한다(S326).
만약, 수신된 비밀번호가 이용자금융정보DB(261)에 저장된 비밀번호 및 비상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금융거래 불가 메시지를 출력(S327)하고 금융거래를 종료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인의 강압과 같은 금융거래를 대비하여 한 개 이상의 비상비밀번호와 비상계좌를 등록함으로, 비상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금융계좌 소유자의 현재 상태를 파악 가능하고 비상계좌를 기초로 금융거래를 수행함으로 경제적 피해와 혹시 있을 육체적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현재 금융계좌 소유자의 상태 및 금융단말기의 위치, 특성 정보를 바탕으로 조기 사건 수습이 가능함으로 부정 금융 사건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금융 거래 이용자의 신상정보, 계좌정보, 비밀번호, 비상비밀번호, 비상비밀번호유형, 정상계좌정보, 비상계좌정보 등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부(260);
    상기 이용자의 금융거래 요청에 대한 신원확인 및 요청을 승인하는 인증부(240);
    상기 이용자의 금융거래 요청 사항을 처리하는 서비스제공부(230);
    상기 이용자의 입력 비밀번호가 비상비밀번호인 경우 비상 금융거래 사태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비상사태처리부(250); 및
    상기 이용자 이용 금융단말기와 처리 요청 및 처리 결과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비밀번호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비밀번호는 이용자의 상황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한 개 이상 발행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비밀번호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비상비밀번호 입력 시 사전 정의된 비상계좌의 인출가능금액을 기초로 금융거래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비밀번호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첫 비상비밀번호 입력 시 사전 정의된 비상계좌의 인출가능금액이 정상계좌에 저장된 인출가능금액 보다 큰 경우 정상계좌에 저장된 인출가능금액을 비상계좌의 인출가능금액으로 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비밀번호 관리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금융거래 요청 시 입력된 비밀번호가 사전 정의된 비밀번호와 일치할지라도 비상비밀번호 발생 이후의 금융거래는 비상계좌의 인출가능금액을 기초로 금융거래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비밀번호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사태처리부는 비상비밀번호 입력 시 비상비밀번호의 유형을 파악하고, 금융거래 요청 단말기의 위치 및 특성을 파악하여 가장 가까운 경찰서와 보안업체에 파악 정보와 함께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비밀번호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사태처리부는 비상비밀번호를 발생한 금융거래 요청 단말기를 포함하여 주변에 설치된 보안 가능 장비의 기능 및 통신가능 주소를 파악하여 원격에서 이미지 촬영 및 음성 녹음을 지시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비밀번호 관리 시스템.
  8. 금융거래 요청 단말기로부터 금융계좌정보, 입력 비밀번호를 전송 받는 단계;
    상기 입력 비밀번호를 사전 저장된 비밀번호 및 비상비밀번호와 비교 검색하는 단계;
    비상비밀번호와 일치하거나 기 비상비밀번호가 발생된 경우 비상 금융거래를 처리하는 단계;
    비밀번호와 일치하며 기 비상비밀번호 발생이 없는 경우 요청 금융거래를 처리하는 단계;
    비밀번호 및 비상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요청 금융거래를 불가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비밀번호 관리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비상 금융거래를 처리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비상비밀번호의 유형을 파악하고 금융거래 요청 단말기의 위치 및 특성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파악된 정보를 경찰서 또는 보안업체에 통보하는 단계;
    금융거래 요청 단말기를 포함하여 주변의 보안 가능 장치의 특성을 파악하는단계;
    상기 파악된 보안장치를 통해 이미지 촬영 및 음성녹음을 지시하는 단계;
    비상계좌에 등록된 인출가능금액을 기초로 요청 금융거래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비밀번호 관리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계좌에 등록된 인출가능금액이 정상계좌에 저장된 인출가능감액 보다 클 경우 정상계좌에 저장된 금액을 비상계좌의 인출가능금액으로 치환한다.
  11. 상기 제 8항에 기재된 각 단계를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30030753A 2003-05-14 2003-05-14 금융거래에 있어서 비상비밀번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984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753A KR20040098407A (ko) 2003-05-14 2003-05-14 금융거래에 있어서 비상비밀번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753A KR20040098407A (ko) 2003-05-14 2003-05-14 금융거래에 있어서 비상비밀번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407A true KR20040098407A (ko) 2004-11-20

Family

ID=37376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0753A KR20040098407A (ko) 2003-05-14 2003-05-14 금융거래에 있어서 비상비밀번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840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584B1 (ko) 2006-08-21 2007-10-1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의 비밀번호를 통한 안전보장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WO2013042891A1 (ko) * 2011-09-23 2013-03-28 Kim Han Seok 스마트폰 인증을 이용한 긴급콜 서비스와 온오프라인뱅킹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5023109A1 (ko) * 2013-08-12 2015-02-19 바쉔 주식회사 부가 코드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140558A (ko) * 2015-04-06 2015-12-16 전대연 확인_인증자 핸드폰을 이용한 금융거래확인 스마트 인증시스템
WO2016129858A1 (ko) * 2015-02-10 2016-08-18 박현수 부가 코드를 이용한 전자 기기, 제어 시스템, 기록 매체, 및 그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584B1 (ko) 2006-08-21 2007-10-1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의 비밀번호를 통한 안전보장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WO2013042891A1 (ko) * 2011-09-23 2013-03-28 Kim Han Seok 스마트폰 인증을 이용한 긴급콜 서비스와 온오프라인뱅킹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5023109A1 (ko) * 2013-08-12 2015-02-19 바쉔 주식회사 부가 코드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WO2016129858A1 (ko) * 2015-02-10 2016-08-18 박현수 부가 코드를 이용한 전자 기기, 제어 시스템, 기록 매체, 및 그 방법
KR20150140558A (ko) * 2015-04-06 2015-12-16 전대연 확인_인증자 핸드폰을 이용한 금융거래확인 스마트 인증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3691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transactions at a mobile device
US82856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a user's identity in electronic transactions
CN102368338A (zh) 一种对atm机上交易者身份进行验证的方法和系统
CN102663642A (zh) 一种金融交易验证的方法和系统
CN102197407A (zh) 安全支付交易的系统和方法
JPS5854426B2 (ja) 携帯形端末装置
US20210406909A1 (en) Authorizing transactions using negative pin messages
CN104680669A (zh) 一种金融业务交易系统和交易方法
JP2005122266A (ja) カード利用取引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カード利用取引処理用プログラム
US8635159B1 (en) Self-service terminal limited access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KR20040098407A (ko) 금융거래에 있어서 비상비밀번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4371084B2 (ja) Atm利用限度額設定方法、atm利用限度額設定装置およびatm利用限度額設定用プログラム
CN1987939A (zh) 手机确认方式以便在银行特约商户提取现金的方法及系统
KR101152892B1 (ko) 금융카드에 대한 출금 관리 방법 및 출금 관리 장치
KR20010083536A (ko) 휴대폰을 이용한 신용카드의 전자결제방법
JP2007025907A (ja)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JP2005115860A (ja) Atmを利用した払戻/預入システム、携帯端末および該システムを用いた新規な商取引方法
KR20110078147A (ko) 결제카드를 이용한 결제시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인증방법 및 시스템
EP3971851A1 (en) A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nstructing performance of a transaction which has been requested at an automated teller machine
KR101586643B1 (ko) 해외체류자를 위한 전자금융 인증 방법 및 서버
CN102129741A (zh) 一种银行卡防盗用的系统
KR20030092710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금융 자동화기기 거래방법
JP2016197297A (ja) 不正取引防止装置、不正取引防止方法、不正取引防止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00022724A (ko) 자동금융거래단말기의 안심거래서비스 제공방법
JP2002183439A (ja) 商取引における取引当事者のオンラインチェック方法、及び、商取引の取引当事者へのオンライン連絡方法、及び、オンライン了承情報取得方法、並びに、それらの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