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226B1 -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226B1
KR101574226B1 KR1020150141677A KR20150141677A KR101574226B1 KR 101574226 B1 KR101574226 B1 KR 101574226B1 KR 1020150141677 A KR1020150141677 A KR 1020150141677A KR 20150141677 A KR20150141677 A KR 20150141677A KR 101574226 B1 KR101574226 B1 KR 101574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ne
distribution line
power
line communication
under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1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희
유재현
Original Assignee
성림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림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성림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50141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2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G01R31/021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맨홀 분기점, 지상개폐기, 지상뱅크 및 수용가의 전력 인입선에 구비되는 전력선통신장치와, 전력선통신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지중 배전선로의 상태정보를 전력선 통신(PLC)으로 수신하는 관리 서버로 구성되어,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지중 배전선로의 전류량, 누전량, 과전류량, 전력사용량, 도둑전류량, 또는 단선 상태를 실시간 원격진단할 수 있다. 또한 맨홀 분기점, 지상개폐기, 지상뱅크 및 수용가의 전력 인입선에 전력선통신장치를 구비하여 지중 배전선로의 누전, 과전류, 전력사용량, 도둑전류 및 단선에 의한 전기안전 사고를 실시간으로 원격진단할 수 있고, 또한 구획별 관리자는 휴대정보단말기를 통해 지중 배전선로의 상태정보(또는 가공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해당 지중 배전선로에 대해 신속한 점검 또는 유지보수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지중 배전선로의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온도가 제1 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지중 배전선로의 냉각을 위한 냉각물질을 분사하고 측정온도가 제2 설정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화재진압을 위한 소화제를 분사하도록 구성하여 지중 배전선로가 과열되거나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즉각적으로 냉각 또는 소화함으로써 지중 배전선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System for realtime remote diagnosing underground power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지중 배전선로의 상태를 측정하고 측정 정보를 전력선통신으로 원격지의 관리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지중 배전선로를 실시간으로 진단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지중 배전선로의 온도를 측정하여 지중 배전선로가 과열되거나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즉각적으로 냉각 또는 소화함으로써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지중 배전선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 지역의 전력수용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도로변에 전신주를 일정 간격으로 세우고, 이에 절연대와 애자를 이용하여 송배전선을 가설하는 가공 송배전 시설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가공 송배전 시설은 가공 송배전선이 복잡하게 얽혀 있게 되어 누전이나 단락 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태풍이나 강우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으며, 도심지 미관을 해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1973년도에 처음으로 송배전선의 지중화 사업이 시작되어 가공 송배전 시설의 설치가 기술적으로 불가능하고 유지보수가 곤란한 지역과, 가공선이 집중되어 있는 변전소 인출 부근, 고가도로, 고속도로, 철도 등을 횡단하는 장소, 부하밀도가 높고 고층빌딩으로서 공급 여력을 확보하는데 다회선 구성이 기술적으로 곤란한 장소, 사업비지원, 지역주민의 행정관서와의 업무협조가 원활한 지역 등 변전소 건설시나 기존 변전소 주변압기 증설시 다회선의 배전선을 인출하기 위해 전력구 또는 배전지중 대비관로를 시설하여 장차 부하 증가에 대비할 필요가 있는 지역에 집중적으로 송배전선의 지중화 사업을 추진하여 왔다.
최근에는 전기설비기술기준, 기타 관계 법규(도로법, 도시계획법, 건축법, 하천법, 공원법, 소방법 등에 의해 제한을 받아 가공 송배전 시설을 설치할 수 없는 지역, 지중공급지역, 지중배전 공급예정지역, 지중화 확정지역에서 송배전선로를 설치하는 경우, 행정관서 또는 고객의 요청으로 지중선로로 공급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인정되는 지역, 발전소와 변전소 인출구 등 회선수가 많아 가공 송배전 시설을 설치하기 곤란한 지역, 장경간으로 가공 송배전 시설의 설치가 곤란한 교량 지역, 기타 시설방법, 보안상 및 기술적으로 지중 선로로 시설함이 타탕한 지역에 대하여 지중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외국의 송배전선의 지중화율은 런던과 파리가 100%에 달하는 등 전 세계에서 송배전선의 지중화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지중 송배전선 시설은 설치 방식에 따라서 직매식과 관로식 및 전력구식으로 구분된다.
직매식은 배전선의 방호를 위하여 트러프(Through) 내에 케이블을 시설한 후 트러프와 케이블 사이에 모래를 채운 후 뚜껑을 덮는 방식이다. 매설깊이는 전기설비기술기준령에 의거 차량 등의 중량물의 압력을 받는 장소에는 1~2m 이상, 기타 장소에서는 60cm이상으로 하지만 타 지하매설물이 있을 경우에는 타 지하매설물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깊이를 조정하도록 하고 있다.
관로식은 관로와 맨홀을 설치한 후 케이블을 관로에 인입하여 맨홀 내에서 케이블을 접속할 수 있도록 포설하는 방식이다. 직매식과 같이 도로를 장기간 굴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없는 도심지의 교통량이 많은 장소에 적용되며, 차후 증설이 예상되는 장소의 재굴착시에 따르는 문제점을 고려하여 미리 관로와 맨홀을 설치한다.
전력구식은 지중에 작업자가 통행할 수 있는 크기의 터널을 구축하고 이 터널의 양 옆에 지지물(선반)을 설치하여 케이블을 지지물(선반)에 지지하는 방식이다. 암거식 또는 동도(洞道)식이라고도 한다. 전력구식은 케이블 수가 20가닥 이상인 경우와 변전소 인출부 같이 다회선이 요구되는 지역 등에 유리하며, 초고압 이상의 케이블을 사용할 경우 유지, 보수 및 점검 등의 편리성 및 열방산이 좋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중 배전선로는 배전선 자체의 불량, 굴착 공사로 인한 단선, 과전류로 인한 손상, 접속불량 등에 의하여 누전과 감전, 화재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굴착 공사 시 지중 배전선로 외상을 방지하기 위한 일환으로 현장술시자의 관할 구역 순시를 통해 굴착현장이 있는지 감시하고 있으며, 지중 배전선로에 이상이 발생하면 자동화 개폐기(지상개폐기)를 통해 전력공급을 차단하고 현장 현장작업자가 출동하여 보수하는 방식으로 사고에 대처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관리 방식을 사고에 대한 실시간 인지 및 이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불가능하며, 더욱이 도둑전력을 감시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97859호(2007.03.14. 등록)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이하, '선행기술1'이라 함)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1은 메모리에 접근이 용이하므로 메모리상에 저자오딘 필요정보를 절취하기 쉬워 보안상 매우 취약한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선행기술1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6161호(2014.12.18. 등록)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이하, '선행기술2'라 함)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2는 지중 배전선로가 과열되거나 화재가 발생한 경우, 즉각적으로 냉각 및 소화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화재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지중 배전선로를 실시간으로 원격진단할 수 있음과 아울러 지중 배전선로가 과열되었을 때 즉각적으로 냉각시킴과 아울러 지중 배전선로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즉각적으로 소화함으로써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97859호(2007.03.14. 등록)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중 배전선로의 상태를 측정하고 측정 정보를 전력선통신으로 원격지의 관리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지중 배전선로를 실시간으로 진단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지중 배전선로의 온도를 측정하여 지중 배전선로가 과열되거나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즉각적으로 냉각 또는 소화함으로써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지중 배전선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맨홀 분기점, 지상개폐기, 지상뱅크 및 수용가의 전력 인입선에 구비되는 전력선통신장치와, 상기 전력선통신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지중 배전선로의 상태정보를 전력선 통신으로 수신하는 관리 서버로 구성되어 상기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지중 배전선로의 전류량, 누전량, 과전류량, 전력사용량, 도둑전류량 또는 단선 상태를 진단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전력선통신장치는 CT(변류기) 또는 ZCT(영상변류기) 회로를 구성하여, 상기 맨홀 분기점, 지상개폐기, 지상뱅크 또는 수용가의 전력 인입선에 접속되는 접속부; 상기 관리 서버와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력선통신모뎀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전력선의 전류량을 측정하는 전류량검출부; 상기 전력선통신모뎀부 및 전류량검출부를 제어하는 원격진단제어부; 및 전력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상기 전력선통신모뎀부, 전류량검출부 및 원격진단제어부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 공급하는 전원부; 를 구성하되, 상기 시스템은 휴대정보단말기를 더 포함하여,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상태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한 가공정보를 이동통신사 또는 위성을 통해 상기 휴대정보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력선통신모뎀부는 클록펄스에 따라 동작시기가 결정되는 신호변환모듈과, 상기 신호변환모듈로부터 입출력되는 송수신 데이터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모듈과, 상기 전력선을 통해 신호처리모듈로 입출력되는 송수신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출력하는 커플러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신호변환모듈은 원격진단제어부와 디지털화된 송수신 데이터를 주고받고 아날로그화된 송수신 데이터를 상기 신호처리모듈과 주고받으며, 상기 신호처리모듈은 상기 신호변환모듈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증폭하여 상기 커플러모듈로 출력하며, 커플러모듈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신호변환모듈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원격진단제어부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류량검출부로부터 수신한 전류량을 기반으로 상태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통해 생성되고; 상기 전력선통신장치는 상기 상태정보와 함께 전력선통신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원격진단 시스템은 상기 메모리에 생성 저장된 상태정보를 필요시 즉시 USB를 포함한 휴대형 메모리로 옮겨 담을 수 있도록 비밀유지형 개폐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비밀유지형 개폐수단은 USB와 같은 저장장치를 꽂을 수 있는 입출력단자에 설치되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로 분리되어 조립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 일측에는 캠이 형성되며, 상기 캠은 USB를 꽂을 수 있는 삽입구를 열고 닫는 개폐문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캠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개폐문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캠은 90도 간격을 두고 철부와 요부가 반복되게 형성되어 가동부재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캠의 반경방향 일측에는 상기 캠의 회전방향에 따라 유동되는 걸림자가 걸림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걸림자의 일단은 상기 캠에 접촉되고 타단은 코일스프링에 결속되며, 상기 걸림자는 길이 방향으로 캠의 형상을 따라 라운드지게 가공되고, 길이 중간에는 원형돌출부가 돌출되며, 상기 걸림축은 상기 원형돌출부와 상기 코일스프링이 결속된 타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원형돌출부의 유동반경 내의 위치인 하부케이스 내부에는 하나의 스위칭소자가 설치되며, 상기 스위칭소자는 가동부재의 구동을 정지시기키 위해 탄성편으로 된 레버와, 상기 레버의 눌림과 해제에 따라 스위칭하는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의 동작에 따라 커먼(COM), 제1단자(NC), 제2단자(NO)의 선택적인 단자간 접속이 오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캠의 중심에는 가동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가동부재는 AC 모터로서 상기 캠을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커먼(COM)과 제1, 2단자(NC, NO) 간의 접점을 단속시켜 상기 개폐문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구성되며,
지중 배전선이 지지되는 선반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를 선반의 길이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수단과, 상기 이동대를 길이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시키는 이동대구동수단과, 상기 이동대에 탑재되는 냉각가스분사수단과, 상기 이동대에 설치되는 소화제분사수단과, 각 구간의 온도에 따라 상기 이동대를 과열구간 또는 화재발생구간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과열구간에 냉각가스를 분사하도록 함과 아울러 화재발생구간에 소화제를 분사하도록 하는 냉각 및 소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르면, 맨홀 분기점, 지상개폐기, 지상뱅크 및 수용가의 전력 [0012] 인입선에 전력선통신장치를 구비하여 지중배전선로의 누전, 과전류, 전력사용량, 도둑전류 및 단선에 의한 전기안전 사고를 실시간으로 원격진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에 의하면, 구획별 관리자는 휴대정보단말기를 통해 지중배전선로의 상태정보(또는 가공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해당 지중배전선로에 대해 신속한 점검 또는 유지보수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에 의하면, 지중 배전선로가 과열되는 경우 냉각가스분사수단에 의하여 냉각가스를 분사하여 냉각시킴으로써 배전선로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지중 배전선로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소화제분사수단에 의하여 소화제를 분사함으로써 화재를 신속히 진압할 수 있어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지중 배전선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온도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지중 배전선로의 온도가 과열로 간주될 수 있는 제1 설정온도보다 높을 경우에는 지중 배전선로가 과열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냉각가스분사수단에 의하여 냉각가스를 분사하여 냉각시킴으로써 배전선로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화재로 이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온도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지중 배전선로의 온도가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는 제2 설정온도보다 높을 경우에는 지중 배전선로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고 소화제분사수단에 의하여 소화제를 분사함으로써 화재를 신속히 진압할 수 있어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지중 배전선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지중 배전선로 시스템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지상개폐기를 보인 사진,
도 3은 지상뱅크를 보인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력선통신장치를 보인 기능블록도,
도 5는 전력선통신모뎀부를 보인 기능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을 보인 기능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비밀유지형 개폐수단을 보인 사시도 및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냉각 및 소화수단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냉각 및 소화수단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0은 냉각 및 소화 제어수단을 보인 기능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을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현재 한국전력에 의해 구축중인 지중배선선로 시스템에 대한 일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 배전선로 시스템은, 크게 전력관리처로부터 초고압의 전압이 지역변전소(20)로 공급되고, 지역변전소(20)에서는 공급받은 초고압을 고전압으로 강압시켜 맨홀(30)을 기점으로 분기(이하, '맨홀 분기점')되는 지중 배전선로를 통해 지상개폐기(40)(도 2 참조)로 공급한다.
이때 지상개폐기(40)는 강압된 고전압을 아파트 또는 상가 등의 고전압 수용가에 공급하고, 지상뱅크(50)(도 3 참조)를 통해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강압하여 가정과 같은 저전압 수용가에 공급하는 양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역변전소(20)에는 지중 배전선로 관리를 위한 한국전력 지점, 즉 전력관리소(10)가 연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각각의 맨홀 분기점, 지상개폐기(40), 지상뱅크(50) 및 수용가의 전력 인입선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통신장치(100)가 구비되어 실시간으로 전력선의 전류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류량 정보를 전력관리소(10)에 마련된 관리 서버(도 6 참조)로 전송함으로써,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지중 배전선로의 상태 변화를 실시간 진단할 수 있는 원격진단시스템이 구축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른 전력선통신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개폐기(40) 및 지상뱅크(50)의 전력 인입선(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의 단자)과 연결되는 접속부(110)와, 상기 관리 서버와 전력선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을 수행하는 전력선통신모뎀부(120)와, 상기 전력선의 전류량을 측정하는 전류량검출부(130)와, 전력선통신모뎀부(120) 및 전류량검출부(130)를 제어하는 원격진단제어부(140), 그리고 접속부(110)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선의 전압을 전력선통신모뎀부(120), 전류량검출부(130) 및 원격진단제어부(140)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 공급하는 전원부(150)로 구성된다.
전력선통신모뎀부(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록펄스(122)에 따라 동작시기가 결정되는 신호변환모듈(124)과, 신호변환모듈(124)로 입출력되는 송수신 데이터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모듈(126)과, 전력선을 통해 신호처리모듈(126)로 입출력되는 송수신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출력하는 커플러모듈(128)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호변환모듈(124)은 원격진단제어부(140)와 디지털화된 송수신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아날로그화된 송수신 데이터를 신호처리모듈(126)과 주고받고, 송수신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기능과 송수신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기능을 수행한다.
신호처리모듈(126)은 신호변환모듈(124)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증폭하여 커플러모듈(128)로 출력하는 기능과, 커플러모듈(128)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신호변환모듈(124)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커플러모듈(128)은 전력선으로부터 입력된 송수신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만을 추출하기 위하여 코일 및 커패시터로 구성된다.
이때의 특정 데이터는 원격진단제어부(140)의 동작제어에 의해 결정되는 송신모드 또는 수신모드에 따라 달리 설명될 수 있다.
즉, 송신모드일 경우 신호변환모듈(124)에서 출력되는 특정 주파수대의 송신 데이터를 의미하며, 수신모드일 경우 전력선에 흐르는 변조된 신호 중 전력선통신모뎀부(120)가 사용하는 특정 주파수대의 수신 데이터를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력선통신모뎀부(120)의 주요 기능은 전력선의 전압을 필터링하고 특정 통신 주파수를 커플링(Coupling)하여 전력선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에 있는 바, 본 발명이 상기한 전력선통신모뎀부(120)의 구성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류량검출부(130)는 접속부(110)에 연결된 전력선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이 측정치를 원격진단제어부(140)에 제공한다.
여기서, 전류량 측정 방식은 상기 접속부(110)에 구비되는 통상의 CT(변류기) 또는 ZCT(영상변류기) 회로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상기한 전류량 측정 방식의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접속부(110)는 CT 또는 ZCT 회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른 원격진단제어부(140)는 전류량검출부(130)로부터 수신한 측정치를 기반으로 하는 전류량, 누전량, 과전류량, 전력사용량, 도둑전류량, 또는 단선 여부에 대한 상태정보와 아울러 전력선통신장치(100)의 식별정보를 전술한 전력선통신모뎀부(120)를 통해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여기서, 식별정보는 관리 서버가 다수의 지상개폐기(40) 및 지상뱅크(50)에 구비되는 각각의 전력선통신장치(100)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일 식별자(Unique Identifier)의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원격진단제어부(140)는 상기 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화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142)를 더 구비한다.
메모리(142)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은 용이하게 갱신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전력선통신장치(100)는 지상개폐기(40) 및 지상뱅크(50)뿐만 아니라, 맨홀 분기점 및 수용가의 전력 인입선에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전력관리소의 관리 서버는 각각의 전력선통신장치(100)가 송신하는 상태정보를 취합하여 구획별로 지중 배전선로 상태와 아울러 수용가의 전력 소모량, 누전량, 과전류량, 전력사용량, 도둑전류량 또는 단선 상태를 진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력관리소(10)에 구비되는 관리 서버는 지중 배전선로의 상태를 지상개폐기 또는 지상뱅크별로 구획하여 지중 배전선로를 관리하는 관리자(이하, '구획별 관리자')에게 통지함으로써, 지중 배전선로에 대한 유지 보수를 신속히 처리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상개폐기 또는 지상뱅크별로 구획되는 것으로 설정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지중 배전선로로 구성된 전력선통신망(N)에 연동된 다수의 전력선통신장치(100)로부터 상태정보를 관리 서버(200)가 수신하여 상기 상태정보 또는 이를 기반으로 가공한 정보(이하, '가공정보')를 관리자의 휴대정보단말기(300)로 송신한다.
이때 관리 서버(200)가 휴대정보단말기(300)로 상태정보 또는 가공정보를 송신하기 위해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이동통신사(400a)를 이용할 수 있으며, 혹은 관리 서버(200)와 연동된 위성(400b)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가공정보란, 앞서 수신한 상태정보 다시 말해 전류량, 누전량, 과전류량, 전력사용량, 도둑전류량 또는 단선 여부를 포함한 지중 배전선로의 상태정보를 소정의 형식으로 가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식별정보 + 전류량 + 이상유무"와 같은 텍스트 혹은 그래픽 기반의 메시지일 수 있다.
따라서 이 메시지를 수신한 휴대정보단말기(300)의 구획별 관리자는 신속하게 해당 지상개폐기, 지상뱅크, 또는 수용가로 출동하여 점검 및 유지보수를 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관리자가 소지할 수 있는 상기 휴대정보단말기(300)의 형태는 PDA, 휴대폰, 휴대형 컴퓨터, 또는 전력관리소의 전용 단말기로 설정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이 전술한 휴대정보단말기(300)의 형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비밀유지형 개폐수단을 보인 것이다.
비밀유지형 개폐수단은 메모리(142)에 생성 저장된 상태정보를 필요시 즉시 USB와 같은 휴대형 메모리로 옮겨 담을 수 있도록 하되, 허가된 자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비밀유지형 개폐수단은 USB와 같은 저장장치를 꽂을 수 있고 상기 메모리(142)와 결선되어 있는 입출력단자의 개폐문에 설치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추가 실시예에 따른 비밀유지형 개폐수단은 상부케이스(500)와 하부케이스(510)로 분리되어 조립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하부케이스(510)의 내부 일측에는 캠(520)이 형성되고, 상기 캠(520)은 도시되지 않은 개폐문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캠(5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개폐문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개폐문은 USB와 같은 휴대형 메모리를 꽂을 수 있는 삽입구를 개폐하는 수단이다.
아울러, 상기 캠(520)은 90도 간격을 두고 철부(T)와 요부(G)가 반복되게 형성되어 후술되는 가동부재(560)의 구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또한, 상기 캠(520)의 반경방향 일측에는 상기 캠(5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유동되는 걸림자(530)가 걸림축(53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걸림자(530)의 일단은 상기 캠(520)에 접촉되고 타단은 코일스프링(540)에 결속된다.
여기에서, 상기 캠(520)에 접촉된 걸림자(530)의 일단은 상기 캠(520)의 회전에 따라 철부(T)와 요부(G)를 교대로 접촉하게 되므로 출몰동작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걸림자(530)는 상기 걸림축(532)을 중심으로 회전유동 가능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걸림자(530)는 길이 방향으로 캠(520)의 형상을 따라 라운드지게 가공되며, 길이 중간에는 원형돌출부(534)가 돌출되고, 상기 걸림축(532)은 상기 원형돌출부(534)와 상기 코일스프링(540)이 결속된 타단 사이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원형돌출부(534)의 유동반경 내의 위치인 하부케이스(510) 내부에는 하나의 스위칭소자(550)가 설치된다.
상기 스위칭소자(550)는 가동부재(560)의 구동을 정지시기키 위해 구비되며, 도시와 같이 탄성편으로 된 레버(152)와, 이 레버(552)의 눌림과 해제에 따라 스위칭하는 버튼(554)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554)의 동작에 따라 커먼(COM), 제1단자(NC), 제2단자(NO)의 선택적인 단자간 접속이 오프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캠(520)의 중심에는 가동부재(560)가 설치된다.
상기 가동부재(560)는 AC 모터를 사용하며, 상기 캠(520)을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커먼(COM)과 제1, 2단자(NC, NO) 간의 접점을 단속시키게 된다.
이때, 커먼(COM)과 제1단자(NC)가 통전되어 전압이 인가되면 개폐문이 클로즈(close)되는 닫힘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커먼(COM)과 제2단자(NO)가 통전되어 전압이 인가되면 개폐문이 오픈(open)되는 열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단자간 접점 조작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공지된 키입력방식(키패드를 이용한 비밀번호입력 방식) 혹은 비밀키를 소지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공지된 사항이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하여, 캠(520)의 회동에 따라 개폐문의 오픈과 클로스가 반복되므로 사용자는 개폐문을 연 상태에서 원하는 정보를 출력하여 따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러한 구조는 허가된 자가 접속했을 때만 자동으로 삽입구를 열어주기 때문에 비밀누출을 막을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냉각 및 소화 장치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냉각 및 소화 장치는 전력구터널에 설치되는 선반(1)에 배전선(2)이 지지되는 지중 배전선로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냉각 및 소화 장치는 상기 선반(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대(610)와, 상기 이동대(610)를 선반(1)의 길이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수단(620)과, 상기 이동대(610)를 길이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시키는 이동대구동수단(630)과, 상기 이동대(610)에 탑재되는 냉각가스분사수단(640)과, 상기 이동대(610)에 설치되는 소화제분사수단(650)과, 각 구간의 온도에 따라 상기 이동대(610)를 과열구간 또는 화재발생구간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과열구간에 냉각가스를 분사하도록 함과 아울러 화재발생구간에 소화제를 분사하도록 하는 냉각 및 소화 제어수단(6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내수단(620)은 상면에 좌우 상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한 쌍의 경사안내면(622)을 가지는 안내레일(621)과, 상기 이동대(610)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경사안내면(622)에 구름접촉하는 복수 쌍의 안내롤러(6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내레일(621)은 선반(1)의 상면 및 하면에서 돌출된 볼트(미도시)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미도시)에 의하여 선반(1)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볼트(미도시)는 선반(1)이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성되는 경우 선반(1)을 콘크리트로 타설하는 과정에서 볼트(미도시)가 매설되고 전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선반(1)이 철골구조물로 구성되는 경우 선반(1)의 전면에 볼트(미도시)를 용접 고정하여 전방으로 돌출되게 할 수 있다.
선반(1)에 대한 안내레일(621)의 고정은 볼트(미도시)를 안내레일(621)에 관통시키고 볼트(미도시)의 돌출단부에 너트(미도시)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내롤러(623)는 상기 이동대(610)의 하면에 돌출된 지지편(62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안내롤러(623)는 금속재 롤러본체에 절연고무를 코팅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대구동수단(630)은 선반(1)의 전면에 전장에 걸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드스크루(631)와, 상기 리드스크루(631)를 정역 회전시키는 구동모터(632)와, 상기 이동대(610)에 고정되어 상기 리드스크루(631)에 나사맞춤되는 너트박스(6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632)는 상기 안내레일(621)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장착판(634)에 장착된다. 상기 장착판(634)은 볼트/너트에 의하여 안내레일(621)에 결합할 수 있으며, 구동모터(632)는 볼트/너트에 의하여 장착판(634)에 장착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이들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냉각가스분사수단(640)은 상기 이동대(610)에 탑재되어 상기 배전선(2)을 향하여 설치되는 냉각가스분사노즐(641)과, 상기 이동대(610)에 탑재되는 냉각가스탱크(642)와, 상기 냉각가스분사노즐(641)과 냉각가스탱크(642)를 연결하는 냉각가스공급관(643)과, 상기 냉각가스공급관(643)의 도중에 설치되어 냉각가스를 가압이송하는 냉각가스컴프레서(644) 및, 상기 냉각가스분사노즐(641)과 냉각가스공급관(643) 사이에 설치되는 냉각가스개폐밸브(6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냉각가스분사노즐(641)은 도시예와 같이 하나만 설치할 수도 있으나 신속한 냉각을 위하여 복수개를 병렬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냉각가스탱크(642)는 도시예와 같이 이동대(610)에 탑재할 수도 있으나, 전력구터널 내의 적당한 장소에 비치하고, 냉각가스공급호스를 이용하여 냉각가스분사노즐(641)에 냉각가스를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냉각가스로서는 불활성가스 중에서 아르곤이나 질소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냉각가스로서 불활성가스를 사용하는 경우 주변의 공기(산소)를 차단하게 되므로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거나 소화할 수도 있다.
상기 소화제분사수단(650)은 상기 이동대(610)에 탑재되어 상기 배전선(2)을 향하여 설치되는 소화제분사노즐(651)과, 상기 이동대(610)에 탑재되는 소화제탱크(652)와, 상기 소화제분사노즐(651)과 소화제탱크(652)를 연결하는 소화제공급관(653)과, 상기 소화제공급관(653)의 도중에 설치되어 소화제를 가압이송하는 소화제컴프레서(654) 및, 상기 소화제분사노즐(651)과 소화제공급관(653) 사이에 설치되는 소화제개폐밸브(6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소화제탱크(652)는 도시예와 같이 이동대(610)에 탑재할 수도 있으나, 전력구터널 내의 적당한 장소에 비치하고, 소화제공급호스를 이용하여 소화제분사노즐(641)에 냉각가스를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소화제로서는 포말소화액 또는 분말소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냉각 및 소화 제어수단(660)은 상기 선반(1)을 일정 거리의 구간으로 획정하여 각 구간마다 설치되어 각 구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661)와, 상기 선반(1)과 이동대(610) 사이에 설치되어 선반(1)에 대한 이동대(610)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662)와, 상기 온도센서(661)에서 감지된 감지온도와 미리 설정된 과열간주 제1 설정온도와 화재발생간주 제2 설정온도와 비교하여 감지온도가 과열간주 제1 설정온도보다 높을 경우 상기 위치감지센서(662)의 위치감지신호에 따라 현재의 이동대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이동대구동명령과 냉각가스분사명령을 출력하고, 감지온도가 화재발생간주 제2 설정온도보다 높을 경우 상기 위치감지센서(662)의 위치감지신호에 따라 현재의 이동대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이동대구동명령과 소화제분사명령을 출력하는 냉각 및 소화 제어부(663)와, 상기 냉각 및 소화 제어부(663)의 이동대구동명령에 따라서 상기 이동대구동수단(630)에 이동대구동신호를 송출하는 이동대구동부(664)와, 상기 냉각 및 소화 제어부(663)의 냉각가스분사명령에 따라 상기 냉각가스분사수단(640)에 냉각가스분사신호를 송출하는 냉각가스분사구동부(665)와, 상기 냉각 및 소화 제어부(663)의 소화제분사명령에 따라 상기 소화제분사수단(650)에 소화제분사신호를 송출하는 소화제분사구동부(6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온도센서(661)는 온도를 측정하여 냉각 및 소화 제어부(663)로 송출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것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제1 설정온도는 배전선로의 온도가 위험수준에 도달하기 직전의 온도이고, 제2 설정온도는 화재가 발생하여 제1 설정온도보다 훨씬 높은 온도이다.
상기 위치감지센서(662)는 각 구간의 중간부에서 상기 선반(1)에 설치된 발광소자(662a)와 상기 발광소자(662a)와 대응하여 이동대(610)의 중간부에 설치된 수광소자(662b)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위치감지센서(662)는 발광소자(662a)와 수광소자(662b)가 일치되었을 때 그 위치에 대한 고유코드를 냉각 및 소화 제어부(663)에 송출함으로써 냉각 및 소화 제어부(663)가 이동대(610)의 현재 위치를 판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각 및 소화 제어부(663)는 상기 원격진단제어부(140)와 연계하여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과열된 배전선로를 냉각시키는 동작과 화재가 발생한 배전선로를 소화하는 것은 그 무엇보다도 매우 중요한 사안이므로 원격진단제어부(140)와 별도로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원격진단제어부(140)와 연계하여 냉각 및 소화 동작과 동시에 관리 서버(200)에 과열 및 화재 발생 상황과 냉각 및 화재진압 상황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동대구동부(664)는 냉각 및 소화 제어부(663)의 이동대구동명령에 따라 구동모터(631)에 대한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각가스분사구동부(665)는 상기 냉각 및 소화 제어부(663)의 냉각가스분사명령에 따라 냉각가스분사수단(640)의 냉각가스컴프레서(644)에 대한 가동신호와 냉각가스개폐밸브(645)의 개방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소화제분사구동부(666)는 상기 냉각 및 소화 제어부(663)의 소화제분사명령에 따라 상기 소화제분사수단(650)의 소화제컴프레서(654)에 대한 가동신호와 소화제개폐밸브(655)의 개방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동대(610)는 획정된 하나의 구간을 커버할 수 있는 길이방향 폭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구간의 길이방향 폭보다 작은 길이방향 폭으로 구성하고 이동대(610)에 탑재된 냉각가스분사수단(640)과 소화제분사수단(650)이 해당 구간 내에서 왕복이동하면서 냉각가스 또는 소화제를 분사하는 것에 의하여 냉각 또는 소화할 수 있다.
상기 냉각 및 소화 제어부(663)는 여러 구간의 온도센서(661)에서 온도감지신호 입력된 경우, 감지온도 중 가장 높은 온도로 감지된 구간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냉각 또는 소화를 할 수 있도록 이동대(610)가 해당 구간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각 및 소화 수단은 온도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지중 배전선로의 온도가 과열로 간주될 수 있는 제1 설정온도보다 높을 경우에는 지중 배전선로가 과열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냉각가스분사수단에 의하여 냉각가스를 분사하여 냉각시킴으로써 배전선로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화재로 이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온도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지중 배전선로의 온도가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는 제2 설정온도보다 높을 경우에는 지중 배전선로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고 소화제분사수단에 의하여 소화제를 분사함으로써 화재를 신속히 진압할 수 있어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지중 배전선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1 : 선반 2 : 배전선
10 : 전력관리소 20 : 지역변전소
30 : 맨홀 40 : 지상개폐기
50 : 지상뱅크 100 : 전력선통신장치
110 : 접속부 120 : 전력선통신모뎀부
122 : 클록펄스모듈 124 : 신호변환모듈
126 : 신호처리모듈 128 : 커플러모듈
130 : 전류량검출부 140 : 원격진단제어부
142 : 메모리 200 : 관리 서버
300 : 휴대정보단말기 400a : 이동통신사
400b : 위성 500 : 상부케이스
510 : 하부케이스 520 : 캠
530 : 걸림자 540 : 코일스프링
550 : 스위칭소자 560 : 가동부재
600 : 냉각 및 소화 장치 610 : 이동대
620 : 안내수단 630 : 이동대구동수단
640 : 냉각가스분사수단 650 : 소화제분사수단
660 : 냉각 및 소화 제어수단 661 : 온도센서
662 : 위치감지센서 663 : 냉각 및 소화 제어부
664 : 이동대구동부 665 : 냉각가스분사구동부
666 : 소화제분사구동부

Claims (1)

  1. 맨홀 분기점, 지상개폐기(40), 지상뱅크(50) 및 수용가의 전력 인입선에 구비되는 전력선통신장치(100)와, 상기 전력선통신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지중 배전선로의 상태정보를 전력선 통신(PLC)으로 수신하는 관리 서버(200)로 구성되어 상기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지중 배전선로의 전류량, 누전량, 과전류량, 전력사용량, 도둑전류량 또는 단선 상태를 진단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전력선통신장치(100)는 CT(변류기) 또는 ZCT(영상변류기) 회로를 구성하여, 상기 맨홀 분기점, 지상개폐기, 지상뱅크 또는 수용가의 전력 인입선에 접속되는 접속부(110); 상기 관리 서버(200)와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력선통신모뎀부(120);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전력선의 전류량을 측정하는 전류량검출부(130); 상기 전력선통신모뎀부 및 전류량검출부를 제어하는 원격진단제어부(140); 및 전력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상기 전력선통신모뎀부, 전류량검출부 및 원격진단제어부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 공급하는 전원부(150); 를 구성하되, 상기 시스템은 휴대정보단말기(300)를 더 포함하여, 상기 관리 서버(200)가 상기 상태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한 가공정보를 이동통신사(400a) 또는 위성(400b)을 통해 상기 휴대정보단말기(3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력선통신모뎀부(120)는 클록펄스(122)에 따라 동작시기가 결정되는 신호변환모듈(124)과, 상기 신호변환모듈(124)로부터 입출력되는 송수신 데이터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모듈(126)과, 상기 전력선을 통해 신호처리모듈로 입출력되는 송수신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출력하는 커플러모듈(128)을 포함하되, 상기 신호변환모듈(124)은 원격진단제어부(140)와 디지털화된 송수신 데이터를 주고받고 아날로그화된 송수신 데이터를 상기 신호처리모듈(126)과 주고받으며, 상기 신호처리모듈(126)은 상기 신호변환모듈(124)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증폭하여 상기 커플러모듈(128)로 출력하며, 커플러모듈(128)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신호변환모듈(124)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원격진단제어부(140)는 메모리(14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류량검출부(130)로부터 수신한 전류량을 기반으로 상태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메모리(14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통해 생성되고; 상기 전력선통신장치(100)는 상기 상태정보와 함께 전력선통신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원격진단 시스템은 상기 메모리(142)에 생성 저장된 상태정보를 필요시 즉시 USB를 포함한 휴대형 메모리로 옮겨 담을 수 있도록 비밀유지형 개폐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비밀유지형 개폐수단은 USB와 같은 저장장치를 꽂을 수 있는 입출력단자에 설치되며, 상부케이스(500)와 하부케이스(510)로 분리되어 조립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510)의 내부 일측에는 캠(520)이 형성되며, 상기 캠(520)은 USB를 꽂을 수 있는 삽입구를 열고 닫는 개폐문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캠(5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개폐문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캠(520)은 90도 간격을 두고 철부(T)와 요부(G)가 반복되게 형성되어 가동부재(560)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캠(520)의 반경방향 일측에는 상기 캠(5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유동되는 걸림자(530)가 걸림축(53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걸림자(530)의 일단은 상기 캠(520)에 접촉되고 타단은 코일스프링(540)에 결속되며, 상기 걸림자(530)는 길이 방향으로 캠(520)의 형상을 따라 라운드지게 가공되고, 길이 중간에는 원형돌출부(534)가 돌출되며, 상기 걸림축(532)은 상기 원형돌출부(534)와 상기 코일스프링(540)이 결속된 타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원형돌출부(534)의 유동반경 내의 위치인 하부케이스(510) 내부에는 하나의 스위칭소자(550)가 설치되며, 상기 스위칭소자(550)는 가동부재(560)의 구동을 정지시기키 위해 탄성편으로 된 레버(552)와, 상기 레버(552)의 눌림과 해제에 따라 스위칭하는 버튼(554)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554)의 동작에 따라 커먼(COM), 제1단자(NC), 제2단자(NO)의 선택적인 단자간 접속이 오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캠(520)의 중심에는 가동부재(560)가 설치되고, 상기 가동부재(560)는 AC 모터로서 상기 캠(520)을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커먼(COM)과 제1, 2단자(NC, NO) 간의 접점을 단속시켜 상기 개폐문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구성되며,
    지중 배전선(2)이 지지되는 선반(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대(610)와, 상기 이동대(610)를 선반(1)의 길이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수단(620)과, 상기 이동대(610)를 길이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시키는 이동대구동수단(630)과, 상기 이동대(610)에 탑재되는 냉각가스분사수단(640)과, 상기 이동대(610)에 설치되는 소화제분사수단(650)과, 각 구간의 온도에 따라 상기 이동대(610)를 과열구간 또는 화재발생구간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과열구간에 냉각가스를 분사하도록 함과 아울러 화재발생구간에 소화제를 분사하도록 하는 냉각 및 소화 제어수단(6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
KR1020150141677A 2015-10-08 2015-10-08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 KR101574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677A KR101574226B1 (ko) 2015-10-08 2015-10-08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677A KR101574226B1 (ko) 2015-10-08 2015-10-08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4226B1 true KR101574226B1 (ko) 2015-12-03

Family

ID=54872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677A KR101574226B1 (ko) 2015-10-08 2015-10-08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22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902B1 (ko) * 2016-05-12 2016-09-23 (주)화신파워텍 초고압 지중송전선로 진단 시스템
KR101742560B1 (ko) 2017-03-15 2017-06-01 유정남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
KR101774563B1 (ko) 2017-06-16 2017-09-04 김점주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
KR101803501B1 (ko) 2017-11-01 2017-11-30 홍현수 분포 온도 감시 시스템
CN110196378A (zh) * 2019-05-24 2019-09-03 北京海益同展信息科技有限公司 室内线缆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062819B1 (ko) 2019-10-21 2020-01-06 (주)세정이에프씨 단지 내 통신 케이블 고장 진단 시스템
KR102186779B1 (ko) * 2020-07-08 2020-12-04 (주)경동이앤지 지중배전선로의 실시간 감시 시스템
CN117148026A (zh) * 2023-10-31 2023-12-01 国网天津市电力公司经济技术研究院 一种电气自动化供电系统检测装置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754B1 (ko) 2005-11-15 2006-03-15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지중 송배전 선로의 고장위치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KR100697859B1 (ko) 2005-11-29 2007-03-22 김명호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지중배전선로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
KR101476161B1 (ko) 2014-07-14 2014-12-24 주식회사 서부전기 지중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
KR101523502B1 (ko) 2015-04-24 2015-06-10 (주)케이제이종합엔지니어링 변전 및 배전용 지중 케이블의 안전진단 설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754B1 (ko) 2005-11-15 2006-03-15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지중 송배전 선로의 고장위치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KR100697859B1 (ko) 2005-11-29 2007-03-22 김명호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지중배전선로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
KR101476161B1 (ko) 2014-07-14 2014-12-24 주식회사 서부전기 지중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
KR101523502B1 (ko) 2015-04-24 2015-06-10 (주)케이제이종합엔지니어링 변전 및 배전용 지중 케이블의 안전진단 설비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902B1 (ko) * 2016-05-12 2016-09-23 (주)화신파워텍 초고압 지중송전선로 진단 시스템
KR101742560B1 (ko) 2017-03-15 2017-06-01 유정남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
KR101774563B1 (ko) 2017-06-16 2017-09-04 김점주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
KR101803501B1 (ko) 2017-11-01 2017-11-30 홍현수 분포 온도 감시 시스템
CN110196378A (zh) * 2019-05-24 2019-09-03 北京海益同展信息科技有限公司 室内线缆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062819B1 (ko) 2019-10-21 2020-01-06 (주)세정이에프씨 단지 내 통신 케이블 고장 진단 시스템
KR102186779B1 (ko) * 2020-07-08 2020-12-04 (주)경동이앤지 지중배전선로의 실시간 감시 시스템
CN117148026A (zh) * 2023-10-31 2023-12-01 国网天津市电力公司经济技术研究院 一种电气自动化供电系统检测装置及方法
CN117148026B (zh) * 2023-10-31 2024-03-12 国网天津市电力公司经济技术研究院 一种电气自动化供电系统检测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4226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
KR101774563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
KR101742560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
KR101476161B1 (ko) 지중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
CN110689145A (zh) 轨道交通运维安全检修综合智能管理系统
US9608500B2 (en) Portable generator system for providing temporary power to an electrical-distribution system
Qiu et al. Geomagnetic disturbance: A comprehensive approach by American electric power to address the impacts
CN101752909B (zh) 操作回路远程校验方法
CN105118204A (zh) 一种高压绝缘头护层换位箱的防盗系统
CN108918949A (zh) 基于环流监测法的超高压休止电缆技防监控系统及方法
US20230113404A1 (en) Transformer and electric vehicle charger combination
CN105048293A (zh) 二次压板强制闭锁装置及其状态监控方法
JP2000161600A (ja) 流体供給経路の監視方法およびアンテナ装置
CN204706124U (zh) 一种室外休止电缆防盗监测系统
CN105067147A (zh) 轨道温度监测系统
CN204706116U (zh) 一种无源光纤总线式电力井盖位移监测系统
CN202838002U (zh) 电力电缆隧道集控系统
KR102089769B1 (ko) 지중배전선로 접속점별 고장구간 검출장치
Pham et al. Operational and safety considerations in designing a light rail DC traction electrification system
CN208753933U (zh) 一种电缆沟智能盖板
CN106639648A (zh) 防误碰跳闸变电站高压开关柜
JP2012202987A (ja) ハイテク機能を満載した電力量計端子ボックス。
CN104950206A (zh) 一种电力线路接地保护在线检测系统
Linja-aho et al. Electric Vehicle Charging Safety–State of Art, Best Practices and Regulatory Aspects
CN204706117U (zh) 一种无源式简易安装型的电力井盖位移监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