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3185B1 - 옷깃용 편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옷깃이 부착되는 셔츠 - Google Patents

옷깃용 편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옷깃이 부착되는 셔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3185B1
KR101573185B1 KR1020150131540A KR20150131540A KR101573185B1 KR 101573185 B1 KR101573185 B1 KR 101573185B1 KR 1020150131540 A KR1020150131540 A KR 1020150131540A KR 20150131540 A KR20150131540 A KR 20150131540A KR 101573185 B1 KR101573185 B1 KR 101573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r
piece
knitted
knitted fabric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령국
김황조
Original Assignee
김령국
김황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령국, 김황조 filed Critical 김령국
Priority to KR1020150131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1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00Shi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00Shirts
    • A41B1/08Details
    • A41B1/12Neck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3/00Collars
    • A41B3/005Methods or devices for their manufactur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46Upper torso garments, e.g. sweaters, shirts, leot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옷깃용 편성물에 관한 것으로써, 한겹으로 마련되도록 편직되는 제1편부; 및 상기 제1편부의 단부에서 편직되어 형성되되,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편직되는 제2편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게가 가벼운 종래의 한겹 옷깃용 편성물의 장점이 그대로 유지되면서도, 셔츠를 장시간 사용하거나 복수회 세탁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옷깃의 구겨짐 또는 변형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Description

옷깃용 편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옷깃이 부착되는 셔츠{KNITTED FABRIC FOR COLLAR AND SHIRT ATTACHED COLLA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옷깃용 편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옷깃이 부착되는 셔츠에 관한 것으로써, 한겹으로 마련되는 제1편부의 양측 단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제2편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시킴으로써 수용공간에 지지부가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고, 이에 의해서, 구겨짐 또는 변형이 방지되는 옷깃을 제작할 수 있는 옷깃용 편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옷깃이 부착되는 셔츠에 관한 것이다.
옷깃이란, 상의의 목둘레부에 덧붙여 있는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와이셔츠, 폴로형 셔츠 등 다양한 종류의 상의에 이용된다.
이러한 옷깃은 한겹의 편성물로 마련되는 단면조직 형태의 옷깃(속칭, 요꼬에리), 두겹의 편성물로 마련되는 양면조직 형태의 옷깃(속칭, 양면 자카드 요꼬에리), 와이셔츠의 옷깃과 같은 몸판원단으로 마련되는 옷깃으로 구분된다.
상술한 한겹의 편성물로 마련되는 단면조직 형태의 옷깃은 국내산 횡편기로 편직가능하며, 두겹의 편성물로 마련되는 양면조직 형태의 옷깃은 일본의 시마 세이키 회사의 자카드 횡편기로 편직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두겹의 편성물로 마련되는 양면조직 형태의 옷깃의 경우, 상의의 장시간 사용 및 세탁 등에 의해 옷깃의 단부가 구겨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두겹의 편성물 사이에 합성수지재로 마련되는 지지체가 삽입되는 형태로 제작된다.
이러한 두겹의 편성물로 마련되는 양면조직 형태의 옷깃은 두겹의 편성물로 마련되기 때문에, 중량이 많이 나가 여름용 상의에 적용되기에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으며, 옷깃을 두겹의 편성물로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시간이 과다하게 투여될 뿐만 아니라, 편성물의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의의 전체 생산성 개선과 제조원가를 낮추기 위해서는 옷깃을 한겹의 편성물로 마련되는 단면조직 형태로 제조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한겹의 편성물로 마련되는 단면조직 형태의 옷깃의 경우, 한겹으로 마련되기 때문에, 상술한 지지체가 삽입되는 공간이 부재하여, 지지체를 편성물에 삽입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한겹의 편성물로 마련되는 단면조직 형태의 옷깃을 이용하여 제작된 상의는 지지체가 부재하는 것에 기인하여, 상의를 장시간 사용하거나, 세탁을 하는 경우, 옷깃의 단부가 쉽게 구겨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한겹으로 마련되는 제1편부의 양측 단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제2편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시킴으로써 수용공간에 지지부가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고, 이에 의해서, 구겨짐 또는 변형이 방지되는 옷깃을 제작할 수 있는 옷깃용 편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옷깃이 부착되는 셔츠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한겹으로 마련되도록 편직되는 제1편부; 및 상기 제1편부의 단부에서 편직되어 형성되되,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편직되는 제2편부를 포함하는 옷깃용 편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제1편부는, 외력에 의해 신축되도록 일면과 타면에 웨일패턴과 코스패턴이 교번하여 형성되는 고무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편부는, 일면에 웨일패턴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타면에 코스패턴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평편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편부의 단부가 지지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편부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편부는, 상기 제1편부의 단부에서 편직되어 형성되는 제1겹부; 및 상기 제1겹부와 상기 제1편부가 연결되도록 편직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겹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탄성체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합성수지재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중심측의 폭보다 단부의 폭이 더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지지부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한겹으로 마련되도록 편직되는 제1편부와, 상기 제1편부의 단부에서 편직되어 형성되되,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편직되는 제2편부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제1편부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옷깃용 편성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옷깃; 및 상기 옷깃이 부착되는 셔츠부를 포함하는 옷깃용 편성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옷깃이 부착되는 셔츠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게가 가벼운 종래의 한겹 옷깃용 편성물의 장점이 그대로 유지되면서도 셔츠를 장시간 사용하거나 복수회 세탁하는 경우 옷깃의 구겨짐 또는 변형이 효과적으로 방지됨으로써, 종래의 한겹 옷깃용 편성물의 단점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옷깃용 편성물의 정면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옷깃용 편성물의 제2편부의 하측 중심부분에 형성된 개구부에 지지부가 삽입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옷깃용 편성물의 제2편부 하측 가장자리부분에 형성된 개구부에 지지부가 삽입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옷깃용 편성물의 제1편부와 제2편부의 확대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옷깃용 편성물의 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옷깃용 편성물의 지지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옷깃용 편성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옷깃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옷깃용 편성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옷깃이 부착되는 셔츠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옷깃용 편성물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옷깃용 편성물의 정면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옷깃용 편성물의 제2편부의 하측 중심부분에 형성된 개구부에 지지부가 삽입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옷깃용 편성물의 제2편부 하측 가장자리부분에 형성된 개구부에 지지부가 삽입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옷깃용 편성물의 제1편부와 제2편부의 확대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옷깃용 편성물의 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옷깃용 편성물의 지지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옷깃용 편성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옷깃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옷깃용 편성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옷깃이 부착되는 셔츠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옷깃용 편성물(100)은 제1편부(110)와 제2편부(120)와 지지부(130)를 포함한다.
제1편부(110)는 한겹으로 마련되도록 편직된다. 이러한 제1편부(110)는 외력에 의해 신축되도록 일면과 타면에 웨일패턴과 코스패턴이 교번(交番)하여 형성되는 고무편(Rib Stitch)으로 마련될 수 있다. 고무편은 횡편기(Knitting Machine)로 편직될 수 있으며, 코스 방향으로의 신축성이 매우 커서, 목둘레나 소매끝, 밑단에 활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편부(110)는 고무편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한겹으로 마련될 수 있는 편성물이라면, 어떠한 것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여기서, 웨일(Wale)이란, 니트의 편지(編地)로서 코가 길이의 방향으로 연결된 줄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일반적으로 편성물의 경사(經絲)방향, 즉, 세로방향의 원사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여기서, 코스(Course)란, 니트의 편지(編地)로서 코가 좌우로 연결된 줄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일반적으로 편성물의 위사(緯絲)방향, 즉, 가로방향의 원사 단위를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편부(110)는 한겹으로 마련되기 때문에, 편성속도가 빠르고 원사의 소모가 적어 옷깃을 제조함에 있어,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제2편부(120)는 상술한 제1편부(110)의 단부에서 편직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써, 내부에 수용공간(s, 속칭, 후꾸로)이 형성되도록 편직된다. 이러한 제2편부(120)의 일면에는 웨일패턴이 형성되며 타면에는 코스패턴이 형성되는 평편(Plain Stitch)으로 마련될 수 있다. 평편은 횡편기(Knitting Machine)로 편직될 수 있으며, 다른 조직에 비해 얇고 편성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편부(120)는 평편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에 수용공간(s)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1편부(110)의 단부에서 편직형성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상술한 제2편부(120)는 제1겹부(121)와 제2겹부(122)를 포함한다. 제1겹부(121)는 일단부가 제1편부(110)의 단부에 연결되는 것으로써, 타단부에는 후술하는 제2겹부(122)가 연결된다. 제2겹부(122)는 제1겹부(121)와 제1편부(110)가 연결되도록 편직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써, 이러한 제1겹부(121) 및 제2겹부(122)에 의해 수용공간(s)이 형성된다.
제2편부(120)는 한 가닥 이상의 원사 및 스판덱스(Spandex)를 횡편기의 앞 바늘과 뒷 바늘이 톱니바퀴처럼 물려가며 편직될 수 있는데, 이때, 수용공간은 상술한 편직과정에서 모든 종류의 바늘을 사용하되, 앞 바늘 및 뒷 바늘을 번갈아 동작과 정지를 반복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공간(s)에는 후술하는 지지부(130)가 수용되는데, 지지부(130)가 수용공간(s)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제1겹부(121) 또는 제2겹부(122)에는 수용공간(s)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구부(v)가 형성된다.
이러한 개구부(v)는 제1겹부(121)의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겹부(121)의 중심부 또는 가장자리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v)가 제1겹부(121)의 세로방향을 따라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는 경우(도 3 참조), 지지부(13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개구부(v)는 제2겹부(122)의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겹부(122)의 중심부 또는 가장자리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v)가 제2겹부(122)의 세로방향을 따라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는 경우, 지지부(13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수용공간(s)은 지지부(130)가 수용공간(s) 내부에서 크게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도록 지지부(130)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2편부(120)는 양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양단부에 형성된 제2편부(120)의 각 수용공간(s)에는 후술하는 지지부(130)가 각각 수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편부(120)는 제1편부(110)를 형성하는 원사가 연속적으로 사용된다. 즉, 제1편부(110)의 편직이 완료된 다음, 원사의 교체 없이 제1편부(110)에서 사용된 원사가 그대로 사용되어 제2편부(120)가 편직된다. 종래의 두겹의 편성물을 이용하여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종래의 제조과정은, 두겹의 편성물을 각각 구성하는 원사 외에 별도의 원사를 이용하여 두겹의 편성물을 붙이는 과정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옷깃용 편성물(100)의 제2편부(120)의 제조과정에 따르면, 제1편부(110)의 원사를 그대로 이용하여 제2편부(120)를 제작하므로, 제조과정이 보다 단순해지고 신속해져, 전체 공정의 효율성이 대폭적으로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지지부(130)는 제1편부(110)의 단부를 지지하는 것으로써, 상술한 수용공간(s)에 수용된다. 상술한 지지부(130)는 수용공간(s)으로의 인입이 용이하도록, 탄성체, 즉, 합성수지(Synthetic Resine)재, 우레탄 재질 등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수용공간(s)에 수용되어 제2편부(120)의 단부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지지부(130)는 본체부(131)와 경사부(132)와 라운딩부(133)을 포함한다.
본체부(131)는 바(Bar)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으로써, 양단부에 후술하는 경사부(132)와 라운딩부(133)가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부(131)는 제1편부(110)의 높이방향의 길이의 절반 이하의 길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제1편부(11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방향의 길이의 절반으로 접혀서 셔츠부(340)에 부착되기 때문이다.
경사부(132)는 지지부(130)가 수용공간(s)으로의 인입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술한 본체부(131)의 양단부 방향으로 따라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된 것으로써, 본체부(131)의 양단부에서 연장형성되며, 후술하는 라운딩부(133)가 단부에 형성된다.
라운딩부(133)는 지지부(130)가 수용공간(s)에 수용된 이후 제2편부(120)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라운딩 처리된 것으로써, 상술한 경사부(132)에서 연장형성된다.
한편, 본체부(131)와 경사부(132)와 라운딩부(133)의 표면에는 복수개의 미세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미세돌기에 의해서, 지지부(130)가 수용공간(s)을 형성하는 제2편부(120)의 표면과 마찰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의해, 수용공간(s)에서의 지지부(130)의 움직임이 최소화되어 지지부(130)가 수용공간(s)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상술한 지지부(130)에 의해서, 제1편부(110)의 양단부가 각각 지지될 수 있고, 이에 의해서, 한겹으로 마련되는 옷깃이 부착되는 셔츠를 장시간 사용하거나 복수회 세탁하는 경우에도 옷깃의 구겨짐 또는 변형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제1편부(110)와 제2편부(120)와 지지부(13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옷깃용 편성물에 따르면, 한겹으로 마련되는 제1편부(110)의 양측 단부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130)가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는 옷깃용 편성물이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옷깃용 편성물(100)에 의해서, 무게가 가벼운 종래의 한겹 옷깃용 편성물의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셔츠를 장시간 사용하거나 복수회 세탁하는 경우에도 한겹의 옷깃의 구겨짐 또는 변형이 효과적으로 방지됨으로써, 종래의 한겹 옷깃용 편성물의 단점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지금부터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옷깃용 편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옷깃이 부착된 셔츠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옷깃용 편성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옷깃이 부착되는 셔츠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옷깃용 편성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옷깃이 부착되는 셔츠(3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옷깃용 편성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옷깃(200)과 셔츠부(3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옷깃용 편성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옷깃(200)은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옷깃용 편성물(100)을 추가공정을 통해 가공하고, 반으로 접어 깃형으로 제조한 것이다.
셔츠부(34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옷깃용 편성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옷깃(200)이 부착되는 것으로써, 와이셔츠, 폴로셔츠, 티셔츠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옷깃용 편성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옷깃(200)과 셔츠부(34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옷깃용 편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옷깃이 부착된 셔츠(300)에 의해서, 셔츠를 장시간 사용하거나 복수회 세탁하는 경우에도 한겹의 옷깃의 구겨짐 또는 변형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옷깃용 편성물
110 : 제1편부 120 : 제2편부
121 : 제1겹부 122 : 제2겹부
130 : 지지부 s : 수용공간
v : 개구부
2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옷깃용 편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옷깃
3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옷깃용 편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옷깃이 부착된 셔츠
340 : 셔츠부

Claims (11)

  1. 한겹으로 마련되도록 편직되는 제1편부; 및
    상기 제1편부의 단부에서 편직되어 형성되되,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편직되는 제2편부를 포함하는 옷깃용 편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편부는,
    외력에 의해 신축되도록 일면과 타면에 웨일패턴과 코스패턴이 교번하여 형성되는 고무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깃용 편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편부는,
    일면에 웨일패턴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타면에 코스패턴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평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깃용 편성물.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부의 단부가 지지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옷깃용 편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편부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깃용 편성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편부는,
    상기 제1편부의 단부에서 편직되어 형성되는 제1겹부; 및
    상기 제1겹부와 상기 제1편부가 연결되도록 편직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겹부를 포함하는 옷깃용 편성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탄성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깃용 편성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합성수지재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깃용 편성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중심측의 폭보다 단부의 폭이 더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깃용 편성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지지부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깃용 편성물.
  11. 한겹으로 마련되도록 편직되는 제1편부와, 상기 제1편부의 단부에서 편직되어 형성되되,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편직되는 제2편부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제1편부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옷깃용 편성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옷깃; 및
    상기 옷깃이 부착되는 셔츠부를 포함하는 옷깃용 편성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옷깃이 부착되는 셔츠.




KR1020150131540A 2015-09-17 2015-09-17 옷깃용 편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옷깃이 부착되는 셔츠 KR101573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540A KR101573185B1 (ko) 2015-09-17 2015-09-17 옷깃용 편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옷깃이 부착되는 셔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540A KR101573185B1 (ko) 2015-09-17 2015-09-17 옷깃용 편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옷깃이 부착되는 셔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3185B1 true KR101573185B1 (ko) 2015-12-01

Family

ID=54882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540A KR101573185B1 (ko) 2015-09-17 2015-09-17 옷깃용 편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옷깃이 부착되는 셔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31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9556A (ko) 2021-01-29 2022-08-05 김종진 단작을 포함하는 의류를 편성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제조된 의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7732B1 (en) 2000-01-03 2001-01-02 Marc Friedman Knitwear having no curl collars
KR100914762B1 (ko) 2008-09-18 2009-08-31 강정모 니트 옷깃용 신축성 니트 직물, 그 니트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 니트 직물을 이용한 셔츠 옷깃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7732B1 (en) 2000-01-03 2001-01-02 Marc Friedman Knitwear having no curl collars
KR100914762B1 (ko) 2008-09-18 2009-08-31 강정모 니트 옷깃용 신축성 니트 직물, 그 니트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 니트 직물을 이용한 셔츠 옷깃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9556A (ko) 2021-01-29 2022-08-05 김종진 단작을 포함하는 의류를 편성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제조된 의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7943B1 (ko) 리브풍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리브풍 편성포
KR101347667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1603889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TWI585254B (zh) 編織物之編織方法
KR101573185B1 (ko) 옷깃용 편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옷깃이 부착되는 셔츠
CN108754805B (zh) 一种针织编织方法、编织结构、编织面料及服装
KR101577282B1 (ko) 횡편기에서의 편성시작방법
ITMI972870A1 (it)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un manufatto del tipo maglietta body o simile con un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e manufatto
CN104746224A (zh) 针织物的编织方法
JP6347678B2 (ja) 編出し方法
ITCO20060032A1 (it) Prodotti tubolari di maglieria e calzetteria con doppia spugna e relativo metodo di produzione
KR101362079B1 (ko) 말림 방지 구조를 가진 속옷
JP5982416B2 (ja) 伸縮性緯糸挿入経編み地の製造方法
JP5984455B2 (ja)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JP5451193B2 (ja) 経編地
JP6518608B2 (ja) 筒状編地の編成方法
WO2010034631A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contoured article with hemmed flaps of knitting, o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knitwear, hosiery or the like
CN104856323A (zh) 柔软型面料
KR102247706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편성포
JP3168766U (ja) 編み地
KR20230148450A (ko) 옷깃 제작용 편성물
CN104746227A (zh) 编织物的编织方法以及编织物的制造方法
CN102534981A (zh) 针织物的压圈方法及针织物
JP6320133B2 (ja) ストライプ柄の筒状編地の編成方法
JP6535492B2 (ja) 筒状経編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