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3176B1 - 냉난방 통풍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냉난방 통풍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3176B1
KR101573176B1 KR1020150071572A KR20150071572A KR101573176B1 KR 101573176 B1 KR101573176 B1 KR 101573176B1 KR 1020150071572 A KR1020150071572 A KR 1020150071572A KR 20150071572 A KR20150071572 A KR 20150071572A KR 101573176 B1 KR101573176 B1 KR 101573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cooling
ventilation system
condensed water
heating venti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1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정덕
Original Assignee
삼호중장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호중장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호중장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1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1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71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liquid ducts, e.g. for coolant liquids or refriger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난방 통풍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변 기체의 온도를 제어하는 열전모듈을 포함하는 냉난방 통풍시스템의 응축수를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전모듈에 상부가 결합되는 제1덕트; 및 상기 제1덕트의 하부와 결합되는 제2덕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덕트의 하부 내측은 상기 제2덕트의 상부 외측을 감싸면서 연결되고, 상기 제1덕트의 하부 내측과 상기 제2덕트의 상부 외측 사이에 응축수가 배출되는 공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통풍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냉난방 통풍시스템 내부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한 곳으로 모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난방 통풍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condensate water in cooling and heating ventilation system}
본 발명은 냉난방 통풍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난방 통풍시스템은 주로 차량에 사용되어 온 것으로 차량 시트의 상·하 내장재에 형성된 공기 분배층에 장착되어 여름에는 냉방된 공기를 겨울에는 난방된 공기를 공급하여 사용자에게 쾌적감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차량용 냉난방 통풍시스템은 열전모듈, 덕트 및 송풍기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이 중 열전모듈 주위에는 열전모듈과 주위의 온도차로 인하여 응축수가 발생할 수 있고 특히 상부의 열전모듈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덕트를 타고 흘러내려 덕트가 구부러진 부위에 응축수가 고이게 된다.
고인 응축수는 냉난방 통풍시스템 내부를 부식시키고 곰팡이가 발생하게 하여 냄새의 주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응축수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응축수의 제거에 관한 특허문헌으로 일본 공개특허 제2011-156944호가 있다. 이 기술은 덕트 표면에 다수의 홈을 형성하여 응축수가 분산 보관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냉난방 통풍시스템 내부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한 곳으로 모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주변 기체의 온도를 제어하는 열전모듈을 포함하는 냉난방 통풍시스템의 응축수를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전모듈에 상부가 결합되는 제1덕트; 및 상기 제1덕트의 하부와 결합되는 제2덕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덕트의 하부 내측은 상기 제2덕트의 상부 외측을 감싸면서 연결되고 상기 제1덕트의 하부 내측과 상기 제2덕트의 상부 외측 사이에 응축수가 배출되는 공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통풍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장치.
바람직하게는, 상기 응축수가 배출되는 공간의 하단에서 응축수를 포집하는 응축수 포집부; 및 상기 응축수 포집부에 결합되는 응축수 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통풍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덕트 하부 내측 일부는 상기 제2덕트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서 외측하방으로 굴곡되어 상기 제1덕트 내측을 따라 흐르는 응축수를 상기 응축수가 배출되는 공간으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통풍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응축수 포집부의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통풍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응축수 제거부는 상기 배출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흡수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통풍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덕트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흡수체에 열을 제공하여 수분 증발을 유도하는 열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통풍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기체를 상기 제2덕트 내부로 공급하는 송풍기; 및 상기 송풍기에 결합되어 외부 기체의 습도를 낮추는 습기 제거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통풍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덕트 일부에 형성된 개폐부; 상기 개폐부를 통하여 상기 제2덕트 일부 내측에 삽입되는 제2흡수체; 및 상기 개폐부 및 상기 제2덕트의 일부 표면에 부착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통풍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냉난방 통풍시스템 내부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한 곳으로 모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통풍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통풍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통풍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통풍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통풍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통풍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통풍시스템은 열전모듈(110), 송풍기(112), 제1덕트(120) 및 제2덕트(122)를 포함한다.
열전모듈(110)은 주변 기체의 온도를 제어하여 통풍되는 온도를 결정한다.
열전모듈(110)은 펠티어 소자를 포함한다. 펠티어 소자는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가 조합된 소자로 인가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가열 또는 냉각 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소자이다.
열전모듈(110)에는 펠티어 소자의 방열 효율을 높이기 위해 방열핀이 결합될 수 있다.
송풍기(112)는 외부의 공기를 덕트(120) 내로 유입하는 역할을 한다. 외부 공기와 송풍기(112) 사이에는 습기 제거제를 삽입할 수 있다. 습기 제거제는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낮추어 덕트(120) 내에 응축수가 생길 수 있는 가능성을 낮추어 준다.
제1덕트(120)는 상부가 열전모듈(110)과 결합되고, 하부는 제2덕트(122)와 결합된다.
제2덕트(122)는 상부가 제1덕트(120)의 하부와 결합된다.
도 2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통풍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덕트(120)의 하부 내측은 제2덕트(122)의 상부 외측을 감싸면서 연결되고 상기 제1덕트의 하부 내측과 상기 제2덕트의 상부 외측 사이에 응축수가 배출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1덕트(120)와 제2덕트(122)는 그 일부만이 연결되어 응축수가 시스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구조에 따른 응축수 제거장치에서 상부 열전모듈(110)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제1덕트(120)의 내측을 따라 흘러내려와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제1덕트(120) 내측 및 제2덕트(122) 외측 사이에 형성한 응축수가 배출될 수 있는 공간(S)으로 흘러들어 간다.
응축수가 배출될 수 있는 공간(S)으로 흘러들어간 응축수는 그대로 시스템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으며 흡수체로 흡수하거나 열을 가하여 증발시켜 제거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통풍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통풍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장치는 열전모듈(110), 송풍기(112), 제1덕트(120), 제2덕트(122), 응축수 포집부(130) 및 응축수 제거부(140)를 포함한다.
제1덕트(120)의 하부 내측 일부는 제2덕트(122)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서 외측하방으로 굴곡되다가 다시 내측으로 직경이 줄어들면서 제2덕트(122)의 표면에 접한다. 제1덕트(120) 하부 내측은 외측으로 점진적으로 굴곡되도록 하여 제1덕트(120) 내측을 따라 흐르는 응축수를 화살표 방향을 따라 응축수가 배출되는 공간(S)으로 유도되도록 한다.
응축수 포집부(130)는 응축수가 배출되는 공간(S)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응축수 포집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덕트(120) 하단이 제2덕트(130)의 외측에 근접하도록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응축수 제거부(140)는 응축수 포집부(130)에 결합된다. 응축수 제거부(140)는 포집된 응축수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며 스펀지, 종이 등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열선, 온풍장치 등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응축수 제거부(140)는 제1흡수체를 포함한다. 제1흡수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덕트(120) 하단 및 제2덕트(122)사이에 일부가 끼워져 결합되며 아래로 흘러내린 응축수를 하부로 확산시킨다. 즉,제1흡수체는 그 일부에서 흡수한 응축수를 제1흡수체 전체로 확산시켜 응축수의 증발 내지 건조를 용이하게 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통풍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통풍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장치는 열전모듈(110), 송풍기(112), 제1덕트(120), 제2덕트(122), 응축수 포집부(130), 응축수 제거부(140), 배출구(150) 및 열선(16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통풍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장치는 제2실시예에서의 제1덕트(120), 제2덕트(122)의 형상과 유사하나, 제1덕트(120)의 하단은 제2덕트(122)의 표면에 연결되어 응축수가 배출되는 공간(S)의 하방을 막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응축수는 제1덕트(120)의 하단 부근에 포집된다.
응축수 포집부(130)의 하단에는 복수의 배출구(150)가 형성된다.
응축수 제거부(140)는 배출구(15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흡수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제1흡수체는 물결처럼 굴곡된 실모양으로 형성하였다. 제1흡수체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배출구(150) 각각에 연결된다.
제1흡수체는 배출구(150)에서 흡수한 수분을 연장된 방향을 따라 확산시킨다. 제1흡수체는 그 일부에서 흡수한 응축수를 제1흡수체 전체로 확산시켜 응축수의 증발 내지 건조를 용이하게 한다.
열선(160)은 제2덕트(122) 표면에 형성되어 제1흡수체에 열을 제공하여 수분 증발을 유도한다.
열선(160)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열선(160)의 모양을 제1흡수체의 모양에 상응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선(160)은 배출구(15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물결처럼 굴곡된 실모양으로 형성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통풍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통풍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장치는 열전모듈(110), 송풍기(112), 제1덕트(120), 제2덕트(122), 개폐부(170), 제2흡수체(180) 및 덮개(190)를 포함한다.
개폐부(170)는 제2덕트(122)의 일부를 절개하여 미닫이 방식으로 형성하였다.
제2흡수체(180)는 개폐부(170)를 통하여 제2덕트(122) 일부 내측에 삽입된다. 개폐부(170)는 제2흡수체(180)를 삽입하고자 할 때 개방되고(도 5a), 제2흡수체(180)를 삽입 후에 폐쇄된다(도 5b).
제2흡수체(180)는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응축수가 배출되는 공간(S)으로 미처 빠지지 못하고 제2덕트(122) 내측을 따라 흘러내리는 응축수를 제거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덮개(190)는 개폐부(170) 및 제2덕트(122)의 일부 표면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덮개(190)는 제2덕트(122)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하여 제2덕트(122)의 절개된 부분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시스템의 유량 손실을 방지하여 준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0: 열전모듈
112: 송풍기
120: 제1덕트
122: 제2덕트
130: 응축수 포집부
140: 응축수 제거부
150: 배출구
160: 열선
170: 개폐부
180: 제2흡수체
190: 덮개

Claims (8)

  1. 주변 기체의 온도를 제어하는 열전모듈을 포함하는 냉난방 통풍시스템의 응축수를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전모듈에 상부가 결합되는 제1덕트;
    상기 제1덕트의 하부와 결합되는 제2덕트; 및
    응축수 포집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덕트의 하부 내측은 상기 제2덕트의 상부 외측을 감싸면서 연결되고, 상기 제1덕트의 하부 내측과 상기 제2덕트의 상부 외측 사이에 응축수가 배출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응축수 포집부는 상기 응축수가 배출되는 공간의 하단에서 응축수를 포집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통풍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포집부에 결합되는 응축수 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통풍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덕트 하부 내측 일부는 상기 제2덕트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서 외측하방으로 굴곡되어 상기 제1덕트 내측을 따라 흐르는 응축수를 상기 응축수가 배출되는 공간으로 유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통풍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포집부의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통풍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제거부는 상기 배출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흡수체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통풍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덕트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흡수체에 열을 제공하여 수분 증발을 유도하는 열선;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통풍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외부 기체를 상기 제2덕트 내부로 공급하는 송풍기; 및
    상기 송풍기에 결합되어 외부 기체의 습도를 낮추는 습기 제거제;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통풍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덕트 일부에 형성된 개폐부;
    상기 개폐부를 통하여 상기 제2덕트 일부 내측에 삽입되는 제2흡수체; 및
    상기 개폐부 및 상기 제2덕트의 일부 표면에 부착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통풍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장치.
KR1020150071572A 2015-05-22 2015-05-22 냉난방 통풍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장치 KR101573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572A KR101573176B1 (ko) 2015-05-22 2015-05-22 냉난방 통풍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572A KR101573176B1 (ko) 2015-05-22 2015-05-22 냉난방 통풍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3176B1 true KR101573176B1 (ko) 2015-11-30

Family

ID=54868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1572A KR101573176B1 (ko) 2015-05-22 2015-05-22 냉난방 통풍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31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8189A (ja) 2001-02-06 2002-08-14 Denso Corp 除加湿装置
JP2011156944A (ja) * 2010-01-29 2011-08-18 Toyota Motor Corp 車両用空調ダクト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8189A (ja) 2001-02-06 2002-08-14 Denso Corp 除加湿装置
JP2011156944A (ja) * 2010-01-29 2011-08-18 Toyota Motor Corp 車両用空調ダクト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3736B1 (ko) 차량용 냉난방기의 응축수 제거장치
CN204134455U (zh) 除湿装置
US10532633B2 (en) Dehumidifier for vehicle
US20150362262A1 (en) Control panel cooling device for machine tool
CN103791592B (zh) 用于温湿独立控制系统的降温除湿方法
CN217659753U (zh) 烘干系统及具有其的洗碗机
RU2402429C2 (ru) Узел вентилирования и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воздуха салона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03822343A (zh) 空调蓄湿加湿装置及应用该装置的空调室内机和空调系统
JP4673632B2 (ja) 空調システム
JP2009274587A (ja) 車両用除加湿装置
KR20170084729A (ko) 차량용 에어컨 습기 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100834191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제습기
KR101573176B1 (ko) 냉난방 통풍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장치
KR20100037419A (ko) 제습기구가 결합된 환풍기
KR20170127829A (ko) 스택 인클로저의 수분 제거 장치
JPH0285010A (ja) 冷房装置
JP6831167B2 (ja) 電動車両
KR101875761B1 (ko) 차량용 신발 건조 장치
CN102145321B (zh) 静电雾化装置及电动吸尘器
KR102141359B1 (ko) 전기-제어-박스-습기-방지-시스템
CA2537015A1 (en) Drying occupied buildings
US9638444B2 (en) Filter less A/C system
CN210168386U (zh) 一种制冷除湿散热功放
US20160368458A1 (en) Thermoelectric dehumidifying apparatus
CN203719083U (zh) 空调蓄湿加湿装置及应用该装置的空调室内机和空调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