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3153B1 - 즉시 급탕시스템 - Google Patents

즉시 급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3153B1
KR101573153B1 KR1020140192356A KR20140192356A KR101573153B1 KR 101573153 B1 KR101573153 B1 KR 101573153B1 KR 1020140192356 A KR1020140192356 A KR 1020140192356A KR 20140192356 A KR20140192356 A KR 20140192356A KR 101573153 B1 KR101573153 B1 KR 101573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flow rate
water supply
supply pipe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2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테루 시마다
아이 유게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2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And Details Of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과제) 전용의 센서를 구비하는 일없이, 급탕상태인 것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한 즉시 급탕시스템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즉시 급탕시스템(1)은 제 1 공급관(2)을 유통하는 탕수를 가열하는 P급탕기(l0)와, 제 2 공급관(3)을 유통하는 탕수를 가열하는 N급탕기(30)와, 역지밸브(6)와, 제 2 유량센서(34)의 검출유량이 급탕검지유량 이상일 때에는, 순환펌프(16)를 정지한 상태에서 제 l 버너(12) 또는 제 2 버너(32)를 연소시키는 급탕운전을 실행하며, 제 2 유량센서(34)의 검출유량이 급탕검지유량 미만일 때는, 순환펌프(16)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제 1 버너(12)를 연소시키는 순환보온운전을 실행하는 연결컨트롤러(6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즉시 급탕시스템{IMMEDIATE HOT WATER SUPPLY SYSTEM}
본 발명은 출탕전(出湯栓)이 개방되었을 때에, 즉시 탕수가 공급되는 기능을 구비한 즉시 급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일단이 상수도에 접속됨과 아울러 타단이 출탕전에 접속된 공급관의 도중에, 공급관을 유통하는 탕수를 가열하는 복수대의 급탕기를 접속하고, 이들의 급탕기를 바이패스하여 공급관을 연통한 리턴관과, 공급관 및 리턴관으로 이루어지는 순환회로 내의 탕수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를 구비한 즉시 급탕시스템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즉시 급탕시스템에 있어서는, 출탕전이 폐쇄되어 급탕이 정지되어 있을 때에, 순환펌프를 작동시켜서 순환회로 내의 탕수를 순환시키면서, 급탕기를 유통하는 탕수를 가열하는 순환보온운전을 실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순환보온운전을 실행하여 순환회로 내의 탕수를 설정온도 부근에 유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출탕전을 개방했을 때에, 출탕전으로부터 즉시 탕수가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즉시 급탕시스템에 있어서는, 출탕전으로부터 탕수가 공급되고 있을 때(급탕상태일 때)에, 순환펌프를 정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로 인해, 급탕상태로 된 것을 검지하기 위해, 공급관을 흐르는 탕수의 유량을 검출하는 제 1 유량센서와, 리턴관을 흐르는 탕수의 유량을 검출하는 제 2 유량센서와, 급수관과 리턴관의 합류 개소에 설치한 제 3 온도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a) 제 3 온도센서의 검출온도가 급속히 저하되었을 때, 및 (b) 제 1 유량센서의 검출유량과 제 2 유량센서의 검출유량의 차이가 소정유량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순환펌프를 정지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4-286397호 공보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즉시 급탕시스템에 있어서는, 급탕상태일 때에 순환펌프의 작동을 정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급탕상태인 것을 검지하기 위해, 상기 즉시 급탕시스템과 같이, 리턴관을 흐르는 탕수의 유량을 검출하는 제 2 유량센서와, 리턴관과 급수관의 합류 개소에 설치한 제 3 온도센서를 전용으로 구비한 경우에는, 구성부품의 증가에 의해, 시스템의 구성이 복잡하게 됨과 아울러 시스템의 비용이 증대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배경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전용의 센서를 구비하는 일없이, 급탕상태인 것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한 즉시 급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즉시 급탕시스템은 일단이 상수도에 접속되고, 타단이 출탕전에 접속된 제 1 공급관과,
상기 제 1 공급관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연통하는 리턴관과,
상기 제 1 공급관의 도중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공급관을 유통하는 탕수를 가열하는 제 l 가열부와, 상기 제 1 공급관과 상기 리턴관으로 이루어지는 순환회로 내의 탕수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를 구비한 제 1 급탕기와,
상기 제 l 공급관의 상기 제 1 급탕기의 상류측과 하류측을 연통한 제 2 공급관과,
상기 제 2 공급관의 도중에 접속되어 상기 제 2 공급관을 유통하는 탕수를 가열하는 제 2 가열부와, 상기 제 2 공급관으로부터 유입되는 탕수의 유량을 검출하는 제 2 유량센서를 구비한 제 2 급탕기와,
상기 제 2 공급관에서 상기 제 2 급탕기로의 통수를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 2 급탕기에서 상기 제 2 공급관으로의 통수를 불능으로 하는 역지밸브와,
상기 제 2 유량센서의 검출유량이 소정의 급탕검지유량 미만일 때는, 상기 순환펌프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1 가열부를 작동시키는 순환보온운전을 실행하고, 상기 제 2 유량센서의 검출유량이 상기 급탕검지유량 이상일 때에는, 상기 순환펌프를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가열부와 상기 제 2 가열부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동시키는 급탕운전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순환보온운전이 실행되고 있을 때에, 상기 제 2 급탕기에 대해서는, 순환펌프에 의한 상기 제 2 가열부로의 탕수의 흡입은 실행되지 않고, 또한, 상기 역지밸브에 의해 상기 제 2 공급관의 하류측에서 상기 제 2 급탕기로의 탕수의 유입이 금지된다. 그로 인해, 상기 출탕전이 폐쇄되어 있으면, 제 2 유량센서의 검출유량은 상기 급탕검지유량 미만으로 된다.
그리고 상기 출탕전이 개방되면, 상기 제 2 공급관에서 상기 제 2 급탕기를 경유하여 상기 출탕전으로 탕수가 흐르드록 되기 때문에, 상기 제 2 유량센서의 검출유량이 상기 급탕검지유량 이상으로 된다. 그로 인해, 상기 순환보온운전의 실행중에, 상기 제 2 유량센서의 검출유량이 상기 급탕검지유량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상기 출탕전이 개방되어 급탕상태로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유량센서는, 상기 제 2 급탕기에 있어서 탕수가 유통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제 2 가열부에 의한 가열을 금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그로 인해, 전용의 센서를 설치하는 일없이, 급탕상태인 것을 검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급탕운전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급탕기는, 상기 제 2 공급관에서 상기 제 2 가열부로의 통수가 가능한 통수가능상태와, 상기 제 2 공급관에서 상기 제 2 가열부로의 통수가 불능인 통수불능상태를 전환하는 제 2 통수전환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급탕기와 상기 제 2 공급관과 상기 역지밸브를 가지는 제 2 급탕유닛을 복수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 2 급탕기 중의 적어도 1대를 상기 제 2 통수전환밸브에 의해 통수가능상태로 하여 상기 순환보온운전을 실행하고, 상기 순환보온운전의 실행중에, 해당 통수가능상태로 한 제 2 급탕기의 상기 제 2 유량센서의 검출유량이 상기 급탕검지유량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상기 순환보온운전을 종료 하고 상기 급탕운전을 실행하며,
상기 급탕운전의 실행중에, 통수가능상태인 상기 제 2 급탕기의 상기 제 2 유량센서의 검출유량의 총량에 따라서, 통수가능상태로 하는 상기 제 2 급탕기의 대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기 급탕운전의 실행중에, 통수가능상태인 상기 제 2 급탕기의 상기 제 2 유량센서의 검출유량의 총량에 따라서, 통수가능상태로 하는 상기 제 2 급탕기의 대수를 변경함으로써, 탕수의 사용유량에 따라서 효율이 좋은 급탕운전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급탕기는, 상기 제 1 공급관으로부터 유입되는 탕수의 유량을 검출하는 제 1 유량센서와, 상기 제 1 공급관에서 상기 제 1 가열부로의 통수가 가능한 통수가능상태와, 상기 제 1 공급관에서 상기 제 1 가열부로의 통수가 불능인 통수불능상태를 전환하는 제 1 통수전환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급탕기와 상기 제 1 공급관을 가지는 제 l 급탕유닛을 복수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탕운전의 실행중에, 통수가능상태인 상기 제 1 급탕기의 상기 제 1 유량센서의 검출유량의 총량에 따라서, 통수가능상태로 하는 상기 제 1 급탕기의 대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기 급탕운전의 실행중에, 통수가능상태인 상기 제 1 급탕기의 상기 제 1 유량센서의 검출유량의 총량에 따라서, 통수가능상태로 하는 상기 제 1 급탕기의 대수를 변경함으로써, 탕수의 사용유량에 따라서 효율이 좋은 급탕운전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은 즉시 급탕시스템의 구성도(순환보온운전상태).
도 2는 즉시 급탕시스템의 구성도(급탕운전상태).
도 3은 순환보온운전의 흐름도.
도 4는 급탕운전의 흐름도.
도 5는 각 급탕기의 우선도의 설명도.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즉시 급탕시스템(1)은 연결급탕형이며, 5대의 급탕기(10, 20, 30, 40, 50)와, 각 급탕기(10, 20, 30, 40, 50)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연결컨트롤러(60)와, 연결컨트롤러(60)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리모컨(7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즉시 급탕시스템(1)은, 일단이 상수도에 접속됨과 아울러 타단이 출탕전(9)에 접속된 제 1 공급관(2)과, 제 1 공급관(2)의 출탕전(9)과의 접속 개소 및 제 1 공급관(2)과 상수도의 접속 개소 사이를 연통한 리턴관(4)과, 리턴관(4)에 설치되어 리턴관(4)에서 제 1 공급관(2)으로의 통수를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제 1 공급관(2)에서 리턴관(4)으로의 통수를 불능으로 하는 역지밸브(5)를 구비하고 있다.
급탕기(10)는, 제 1 공급관(2)의 도중에 접속된 제 1 열교환기(11)와, 제 1 열교환기(11)를 가열하는 제 1 버너(12)와, 제 1 공급관(2)의 개방도를 조절하는 제 1 수량서보(13, 본 발명의 제 l 통수전환밸브의 기능을 포함한다)와, 제 1 공급관(2)으로부터 공급되는 탕수의 유량을 검출하는 제 1 유량센서(14)와, 제 1 공급관(2)으로 유출되는 탕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 1 온도센서(15)와, 제 1 공급관(2)으로부터 탕수를 흡입하여 제 1 공급관(2)과 리턴관(4)으로 이루어지는 순환회로 내의 탕수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16)와, 급탕기(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 1 급탕컨트롤러(1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1 열교환기(11)와 제 1 버너(12)에 의해, 본 발명의 제 1 가열부가 구성된다. 또한, 제 1 급탕컨트롤러(17)는 도시하지 않는 CPU, 메모리 등에 의해 구성된 전자회로유닛이며, 메모리에 보관된 급탕기(10)의 제어용 프로그램을 CPU에서 실행함으로써, 급탕기(10)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완수한다. 또한, 제 1 공급관(2)과 급탕기(10)에 의해, 본 발명의 제 1 급탕유닛이 구성된다.
급탕기(20)는 제 1 공급관(2)으로부터 분기하여 급탕기(10)의 상류측과 하류측을 연통한 분기관(29)의 도중에 접속되어 있다. 급탕기(20)는 급탕기(10)와 마찬가지로, 제 1 열교환기(21)와, 제 1 버너(22)와, 제 1 수량서보(23, 본 발명의 제 1 통수전환밸브의 기능을 포함한다)와, 제 1 유량센서(24)와, 제 1 온도센서(25)와, 순환펌프(26)와, 급탕컨트롤러(2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1 열교환기(21)와 제 1 버너(22)에 의해, 본 발명의 제 1 가열부가 구성된다. 또한, 급탕컨트롤러(27)는 도시하지 않는 CPU, 메모리 등에 의해 구성된 전자회로유닛이며, 메모리에 보관된 급탕기(20)의 제어용 프로그램을 CPU에서 실행함으로써, 급탕기(20)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완수한다. 또한, 분기관(29, 본 발명의 제 1 공급관에 상당한다)과 급탕기(10)에 의해, 본 발명의 제 1 급탕유닛이 구성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순환펌프(16, 26)를 구비한 급탕기(10, 20)를 P급탕기(펌프 있는 급탕기, 본 발명의 제 1 급탕기에 상당한다, 10, 20)라고 한다.
다음에, 급탕기(30)는 제 1 공급관(2)으로부터 분기하여 P급탕기(10, 20)의 상류측과 하류측을 연통하는 제 2 공급관(3)의 도중에 접속되어 있다. 급탕기(30)는 제 2 공급관(3)의 도중에 접속된 제 2 열교환기(31)와, 제 2 열교환기(31)를 가열하는 제 2 버너(32)와, 제 2 공급관의 개방도를 변경하는 제 2 수량서보(33, 본 발명의 제 2 통수전환밸브의 기능을 포함한다)와, 제 2 공급관(3)으로부터 유입되는 탕수의 유량을 검출하는 제 2 유량센서(34)와, 제 2 공급관(3)으로 유출되는 탕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 2 온도센서(35)와, 급탕기(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 2 급탕컨트롤러(37)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공급관(3)에는 제 2 공급관(3)에서 급탕기(30)로의 통수를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급탕기(30)에서 제 2 공급관(3)으로의 통수를 불능으로 하는 지수(止水)밸브(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열교환기(31)와 제 2 버너(32)에 의해, 본 발명의 제 2 가열부가 구성된다. 또한, 제 2 급탕컨트롤러(37)는 도시하지 않는 CPU, 메모리 등에 의해 구성된 전자회로유닛이며, 메모리에 보관된 급탕기(30)의 제어용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급탕기(30)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완수한다. 또한, 제 2 공급관(3)과 급탕기(30)에 의해, 본 발명의 제 2 급탕유닛이 구성된다.
급탕기(40)는 제 2 공급관(3)으로부터 분기하여 급탕기(30)의 상류측과 하류측을 연통한 분기관(49)의 도중에 접속되어 있다. 급탕기(40)는 급탕기(30)와 마찬가지로, 제 2 열교환기(41)와, 제 2 버너(42)와, 제 2 수량서보(43, 본 발명의 제 2 통수전환밸브의 기능을 포함한다)와, 제 2 유량센서(44)와, 제 2 온도센서(45)와, 제 2 급탕컨트롤러(4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2 열교환기(41)와 제 2 버너(42)에 의해, 본 발명의 제 2 가열부가 구성된다. 또한, 제 2 급탕컨트롤러(47)는 도시하지 않는 CPU, 메모리 등에 의해 구성된 전자회로유닛이며, 메모리에 보관된 급탕기(40)의 제어용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급탕기(40)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완수한다. 또한, 분기관(49, 본 발명의 제 2 공급관에 상당한다)과 급탕기(40)에 의해, 본 발명의 제 2 급탕유닛이 구성된다
급탕기(50)는 제 2 공급관(3)으로부터 분기하여 급탕기(30, 40)의 상류측과 하류측을 연통한 분기관(59)의 도중에 접속되어 있다. 급탕기(50)는 급탕기(30, 40)와 마찬가지로, 제 2 열교환기(51)와, 제 2 버너(52)와, 제 2 수량서보(53, 본 발명의 제 2 통수전환밸브의 기능을 포함한다)와, 제 2 유량센서(54)와, 제 2 온도센서(55)와, 급탕컨트롤러(5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2 열교환기(51)와 제 2 버너(52)에 의해, 본 발명의 제 2 가열부가 구성된다. 또한, 급탕컨트롤러(57)는 도시하지 않는 CPU, 메모리 등에 의해 구성된 전자회로유닛이며, 메모리에 보관된 급탕기(50)의 제어용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급탕기(50)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완수한다. 또한, 분기관(59, 본 발명의 제 2 공급관에 상당한다)과 급탕기(50)에 의해, 본 발명의 제 2 급탕유닛이 구성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순환펌프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급탕기(30, 40, 50)를 N급탕기(펌프 없음 급탕기, 본 발명의 제 2 급탕기에 상당한다, 30, 40, 50)라고 한다.
연결컨트롤러(60)는 도시하지 않는 CPU, 메모리 등을 구비한 전자회로유닛이며, 각 급탕기(10, 20, 30, 40, 50)의 제 1 급탕컨트롤러(17, 27) 및 제 2 급탕컨트롤러(37, 47, 57)의 사이에서 통신을 실행하여 각 급탕기(10, 20, 30, 40, 50)에 대한 작동의 지시와, 각 급탕기(10, 20, 30, 40, 50) 상태의 검지를 실행한다.
연결컨트롤러(60)에는 리모컨(70)이 접속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리모컨(70)을 조작함으로써, 출탕전(9)으로부터 공급되는 탕수의 온도(목표급탕온도), 순환보온운전을 실행하는 시간대(순환보온시간대)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이하, 도 3∼도 4에 나타낸 흐름도에 따라서, 연결컨트롤러(60)에 의한 「순환보온운전」과「급탕운전」의 실행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연결컨트롤러 (60)가 「순환보온운전」과「급탕운전」을 실행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제어부에 상당한다.
도 3은 「순환보온운전」의 흐름도이다. 연결컨트롤러(60)는 STEPl에서 각 급탕기(10, 20, 30, 40, 50)의 우선도를 순환보온운전용으로 설정한다. 연결컨트롤러(60)는 각 급탕기(10, 20, 30, 40, 50)의 우선도를 도 5의 (a)에 나타낸 설정표에 따라서 설정한다.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컨트롤러(60)의 접속커넥터 N0.l∼N0.5에 대해서, N0.4에 P급탕기(10)가 접속되고, N0.5에 P급탕기 (20)가 접속되며, N0.1에 N급탕기(30)가 접속되고, N0.2에 N급탕기(40)가 접속되며, N0.3에 N급탕기(50)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컨트롤러(60)는 도 5의 (a)의 설정표에 따라서, 급탕운전시는 우선순위를 P급탕기(10)→P급탕기(20)→N급탕기(30)→N급탕기(40)→N급탕기(50)의 순서로 우선순위를 높게 하여 설정한다(급탕운전용의 우선순위).
또한, 연결컨트롤러(60)는 순환보온운전시에는, 우선순위를 P급탕기(10, 20)→N급탕기(30)→N급탕기(40)→N급탕기(50)의 순서로 우선순위를 높게 하여 설정한다(순환보온운전용의 우선순위). 이 경우는, P급탕기(10, 20)는 같은 우선순위로 된다.
계속되는 STEP2에서, 연결컨트롤러(60)는 우선순위에 따라서 P급탕기(10, 20)에 대해서는, 제 1 수량서보(13.23)의 개방을 지시하는 제어를 송신한다. 또한, 연결컨트롤러(60)는 N급탕기(40, 50)에 대해서, 제 2 수량서보(43, 53)의 폐쇄를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도 1 및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P급탕기(10, 11) 및 N급탕기(30)에 대해서는, 제 1 수량서보(13, 23) 및 제 2 수량서보(33)가 개방된 상태(통수가능상태, 도 1, 2에서는 흰색의 삼각으로 나타내고 있다)로 된다. 또한, N급탕기(40, 50)에 대해서는, 제 2 수량서보(43, 53)가 폐쇄된 상태(통수불능상태, 도 1, 2에서는 흑색의 삼각으로 나타내고 있다)가 된다.
다음의 STEP3에서, 연결컨트롤러(60)는 P급탕기(10, 20)의 제 1 급탕컨트롤러(17, 27)에 대해서, 순환개시를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이 제어신호를 수신한 제 1 급탕컨트롤러(17, 27)는 순환펌프(16, 26)의 작동을 개시하고, 이에 따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l 공급관(2) 및 분기관(29)과 리턴관(4)으로 이루어지는 순환회로 내의 탕수의 순환이 개시된다.
제 1 급탕컨트롤러(17)는 제 1 유량센서(14)의 검출유량이 급탕검지유량(점화유량) 이상일 때에, 제 1 온도센서(15)의 검출온도가 목표급탕온도가 되도록, 제 1 버너(12)의 화력을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급탕컨트롤러(27)는 제 1 유량센서 (24)의 검출유량이 급탕검지유량 이상일 때에, 제 1 온도센서(25)의 검출유량이 목표급탕온도가 되도록, 제 1 버너(22)의 화력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제 1 공급관(2) 및 분기관(29)과 리턴관(4)으로 이루어지는 순환회로 내의 탕수가 P급탕기(10, 20)에서 가열되면서 순환하는 「순환보온운전」이 개시된다.
다음의 STEP4에서, 연결컨트롤러(60)는 각 급탕기(10, 20, 30, 40, 50)의 제 1 급탕컨트롤러(17, 27) 및 제 2 급탕컨트롤러(37, 47, 57)에 대해서, 유량센서 [제 1 유량센서(14, 24), 제 2 유량센서(34, 44, 54)]의 검출유량의 데이터 송신을 요구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그리고 제 1 급탕컨트롤러(17, 27) 및 제 2 급탕컨트롤러(37, 47, 57)로부터, 유량센서[제 1 유량센서(14, 24), 제 2 유량센서(34, 44, 54)]의 검출유량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계속되는 STEP5에서, 연결컨트롤러(60)는 「순환보온운전」의 실행중에, 순환보온조건이 성립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순환보온조건으로서는, 이하의 2가지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만족하는 것이 설정되어 있다.
(a) 리모컨(70)에 의해 설정된 순환보온시간대인 것,
(b) 리모컨(70)에 의해 순환보온의 개시 조작이 이루어진 것.
순환보온조건이 성립되어 있을 때는 STEP6으로 진행하고, 연결컨트롤러(60)는 N급탕기(30)의 제 2 유량센서(34)의 검출유량이 급탕검지유량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STEP6에서, 제 2 유량센서(34)의 검출유량이 급탕검지유량 미만일 때는, 제 2 공급관(3)에서 N급탕기(30)로 탕수가 유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출탕전(9)이 폐쇄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이 경우는 STEP5로 되돌아가고, 연결컨트롤러(60)는 「순환보온운전」의 제어를 계속한다.
한편, STEP6에서, 제 2 유량센서(34)의 검출유량이 급탕검지유량 이상일 때에는, 제 2 공급관(3)에서 N급탕기(30)로 탕수가 유입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출탕전(9)이 개방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이 경우는 STEP7로 진행하고, 연결컨트롤러(60)는 P급탕기(10)의 제 1 급탕컨트롤러(17) 및 P급탕기(20)의 제 1 급탕컨트롤러(27)에 대해서, 순환펌프(16, 26)의 정지를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순환펌프(16, 26)를 정지시킨다.
계속되는 STEP8에서, 연결컨트롤러(60)는 각 급탕기(10, 20, 30, 40, 50)의 우선순위를 도 5의 (a)에 나타낸 급탕운전용의 우선순위로 설정한다. 다음의 STEP9에서, 연결컨트롤러(60)는 우선순위에 따라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P급탕기(10)의 제 1 급탕컨트롤러(17)에 대해서, 제 1 수량서보(13)의 개방을 지시하는 신호를 송신하고, 다른 급탕기(20, 30, 40, 50)의 제 1 급탕컨트롤러(27) 및 제 2 급탕컨트롤러(37, 47, 57)에 대해서는, 수량서보(23, 33, 43, 53)의 폐쇄를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P급탕기(10)의 제 1 수량서보(13)만이 개방되고, 다른 급탕기 (20, 30, 40, 50)의 수량서보(23, 33, 43, 53)가 폐쇄된 상태로 된다. 그리고 계속되는 STEP10으로 진행하여 연결컨트롤러(60)는 「순환보온운전」에서 「급탕운전」의 제어로 이행한다.
또한, STEP5에서 순환보온운전이 성립되어 있지 않았을 때에도, STEP7로 분기하고, 연결컨트롤러(60)는 「순환보온운전」에서 「급탕운전」의 제어로 이행한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여 연결컨트롤러(60)에 의한 「급탕운전」의 실행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의 STEP20에서 우선도 1∼3의 P급탕기(10, 20)의 제 1 급탕컨트롤러 (17, 27) 및 N급탕기(30)의 제 2 급탕컨트롤러(37)에 대해서, 수량서보[제 1 수량서보(13, 23), 제 2 수량서보(33)]의 개방을 지시하는 신호를 송신하고, 우선도 4∼5의 P급탕기(40, 50)의 제 2 급탕컨트롤러(47, 57)에 대해서 수량서보[제 2 수량서보(43, 53)]의 폐쇄를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P급탕기(10, 20)의 제 1 수량서보(13, 23) 및 N급탕기(30)의 제 2 수량서보(33)가 개방되고, P급탕기(40, 50)의 제 2 수량서보(43, 53)가 폐쇄된 상태로 된다
도 2에서는 개방상태에 있는 제 1 수량서보(13, 23) 및 제 2 수량서보(33)를 흰색의 삼각으로 나타내고, 폐쇄상태에 있는 제 2 수량서보(43, 53)를 흑색 삼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상태에서는, P급탕기(10, 20)의 제 1 열교환기(11, 21) 및 N급탕기(30)의 제 2 열교환기(31)에서 가열된 탕수가 출탕전(9)으로부터 공급된다.
계속되는 STEP21에서, 연결컨트롤러(60)는 P급탕기(10, 20) 및 N급탕기(30, 40, 50)의 제 1 급탕컨트롤러(17, 27) 및 제 2 급탕컨트롤러(37, 47, 57)에 대해서, 제 1 유량센서(14, 24) 및 제 2 유량센서(34, 44, 54)의 검출유량의 데이터를 요구하는 신호를 각각 송신한다.
그리고 연결컨트롤러(60)는 제 1 급탕컨트롤러(17, 27) 및 제 2 급탕컨트롤러(37, 47, 57)로부터, 제 1 유량센서(14, 24) 및 제 2 유량센서(34, 44, 54)의 검출유량의 데이터를 각각 수신하여 제 1 유량센서(14, 24) 및 제 2 유량센서(34, 44, 54)의 검출유량을 인식한다.
계속되는 STEP22에서, 연결컨트롤러(60)는 제 1 유량센서(14, 24) 및 제 2 유량센서(34, 44, 54)의 검출유량의 총량이, 물 없음(검출유량의 총량이 제로)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검출유량의 총 유량이 물 없음이 아니었을 때는 STEP23으로 진행하고, 연결컨트롤러(60)는 검출유량의 총량에 의거하여 급탕능력이 부족한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있다. 또한, STEP22에서, 검출유량의 총량이 물 없음이었을 때에는, STEP30으로 분기하고, 연결컨트롤러(60)는 순환보온조건성립의 유무를 판단한다.
구체적은, 연결컨트롤러(60)는 검출유량의 총량이 미리 설정된 복수 단계의 한계값을 넘을 때마다, 급탕능력이 부족하다고 판단하고 STEP24로 진행한다. 그리고 연결컨트롤러(60)는 5대의 급탕기(10, 20, 30, 40, 50)에 대해서, 수량서보[제 1 수량서보(13, 23), 제 2 수량서보(33, 43, 53)]가 폐쇄되어 있는 급탕기 중, 우선도가 가장 높은 급탕기의 수량서보를 개방하여 운전상태(유통하는 물의 가열을 실행하는 상태)인 급탕기의 대수를 증가시키고, STEP22로 되돌아간다.
한편, STEP23에서, 급탕능력이 부족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STEP40으로 분기하고, 연결컨트롤러(60)는 급탕능력이 과잉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연결컨트롤러(60)는 제 1 유량센서(14, 24) 및 제 2 유량센서 (34, 44, 54)의 검출유량의 총량이 상기 복수 단계의 한계값보다도 적게 될 때마다, 급탕능력이 과잉이라고 판단하고 STEP41로 진행한다.
그리고 연결컨트롤러(60)는 5대의 급탕기(10, 20, 30, 40, 50)에 대해서, 수량서보[제 1 수량서보(13, 23), 제 2 수량서보(33, 43, 53)]가 개방되어 있는 급탕기(운전상태에 있는 급탕기) 중, 우선도가 가장 낮은 급탕기의 수량서보를 폐쇄하여 운전상태인 급탕기의 대수를 감소시킨다.
또한, STEP40에서 급탕능력이 과잉이 아니라고 판단했을 때에는 STEP40에서 STEP22로 진행하고, 이 경우는, 운전상태에 있는 급탕기의 대수는 변경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P급탕기(10, 20)와 N급탕기(30, 40, 50)에 대해서, 연속하여 우선도를 설정했지만,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P급탕기(10, 20)와 N급탕기(30, 40, 50)를 구별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해도 좋다.
이 경우는, 예를 들면, 순환보온운전시에, 순환부하에 따라서 P급탕기(10)의 순환펌프(16)만을 작동시키는 경우와, P급탕기(10)의 순환펌프(16) 및 P급탕기(20)의 순환펌프(26)의 쌍방을 작동시키는 경우를 전환하는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급탕운전시에, N급탕기(30, 40, 50)를 P급탕기(10, 20)보다도 우선적으로 작동시켜서 각 급탕기(10, 20, 30, 40, 50)의 총가동시간의 균일화를 도모하는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컨트롤러(60)를 급탕기(10, 20, 30, 40, 50)와는 별도로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연결컨트롤러(60)의 기능을 어느 하나의 급탕기의 급탕컨트롤러에 가지게 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리모컨은 급탕컨트롤러에 접속되는 구성으로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P급탕기 2대와 N급탕기 3대를 구비한 즉시 급탕시스템을 나타냈지만, P급탕기와 N급탕기를 적어도 1대씩 구비한 즉시 급탕시스템이면,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버너(가스버너, 등유버너 등)를 구비한 급탕기를 나타냈지만, 전기 등의 다른 종류의 열원을 사용하는 급탕기를 이용해도 좋다.
1: 즉시 급탕시스템
2: 제 1 공급관
3: 제 2 공급관
4: 리턴관
5, 6: 역지밸브
29, 39, 49, 59: 분기관
10, 20: P(순환펌프 있음)급탕기
17, 27: 제 1 급탕컨트롤러
30, 40, 50: N(순환펌프 없음)급탕기
11, 12: 제 l 열교환기
12, 22: 제 1 버너
13, 24: 제 1 수량서보
14, 24: 제 1 유량센서
15, 25: 제 1 온도센서
16, 26: 순환펌프
31, 41, 51: 제 2 열교환기
32, 42, 52: 제 2 버너
33, 43, 53: 제 2 수량서보
34, 44, 54: 제 2 유량센서
37, 47, 57: 제 2 급탕컨트롤러
60: 연결컨트롤러
70: 리모컨

Claims (3)

  1. 일단이 상수도에 접속되고, 타단이 출탕전에 접속된 제 1 공급관과,
    상기 제 1 공급관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연통하는 리턴관과,
    상기 제 1 공급관의 도중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공급관을 유통하는 탕수를 가열하는 제 1 가열부와, 상기 제 1 공급관과 상기 리턴관으로 이루어지는 순환회로 내의 탕수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를 구비한 제 1 급탕기와,
    상기 제 1 공급관의 상기 제 1 급탕기의 상류측과 하류측을 연통한 제 2 공급관과,
    상기 제 2 공급관의 도중에 접속되어 상기 제 2 공급관을 유통하는 탕수를 가열하는 제 2 가열부와, 상기 제 2 공급관으로부터 유입되는 탕수의 유량을 검출하는 제 2 유량센서를 구비한 제 2 급탕기와,
    상기 제 2 공급관에서 상기 제 2 급탕기로의 통수를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 2 급탕기에서 상기 제 2 공급관으로의 통수를 불능으로 하는 역지밸브와,
    상기 제 2 유량센서의 검출유량이 소정의 급탕검지유량 미만일 때는, 상기 순환펌프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1 가열부를 작동시키는 순환보온운전을 실행하고, 상기 제 2 유량센서의 검출유량이 상기 급탕검지유량 이상일 때에는, 상기 순환펌프를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가열부와 상기 제 2 가열부 중의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키는 급탕운전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시 급탕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급탕기는, 상기 제 2 공급관에서 상기 제 2 가열부로의 통수가 가능한 통수가능상태와, 상기 제 2 공급관에서 상기 제 2 가열부로의 통수가 불능인 통수불능상태를 전환하는 제 2 통수전환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급탕기와 상기 제 2 공급관과 상기 역지밸브를 가지는 제 2 급탕유닛을 복수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 2 급탕기 중의 적어도 1대를 상기 제 2 통수전환밸브에 의해 통수가능상태로 하여 상기 순환보온운전을 실행하고, 상기 순환보온운전의 실행중에, 해당 통수가능상태로 한 제 2 급탕기의 상기 제 2 유량센서의 검출유량이 상기 급탕검지유량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상기 순환보온운전을 종료 하고 상기 급탕운전을 실행하며,
    상기 급탕운전의 실행중에, 통수가능상태인 상기 제 2 급탕기의 상기 제 2 유량센서의 검출유량의 총량에 따라서, 통수가능상태로 하는 상기 제 2 급탕기의 대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시 급탕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급탕기는, 상기 제 1 공급관으로부터 유입되는 탕수의 유량을 검출하는 제 1 유량센서와, 상기 제 1 공급관에서 상기 제 1 가열부로의 통수가 가능한 통수가능상태와, 상기 제 1 공급관에서 상기 제 1 가열부로의 통수가 불능인 통수불능상태를 전환하는 제 1 통수전환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급탕기와 상기 제 1 공급관을 가지는 제 1 급탕유닛을 복수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탕운전의 실행중에, 통수가능상태인 상기 제 1 급탕기의 상기 제 1 유량센서의 검출유량의 총량에 따라서, 통수가능상태로 하는 상기 제 1 급탕기의 대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시 급탕시스템.
KR1020140192356A 2014-12-29 2014-12-29 즉시 급탕시스템 KR101573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356A KR101573153B1 (ko) 2014-12-29 2014-12-29 즉시 급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356A KR101573153B1 (ko) 2014-12-29 2014-12-29 즉시 급탕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3153B1 true KR101573153B1 (ko) 2015-12-01

Family

ID=54882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2356A KR101573153B1 (ko) 2014-12-29 2014-12-29 즉시 급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31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53633A (zh) * 2017-12-04 2018-07-06 中山市聚诚鑫通风设备有限公司 一种无冷水排出且节水热水器
CN112303906A (zh) * 2020-10-29 2021-02-02 青岛海信日立空调系统有限公司 一种热泵热水机组和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556B1 (ko) 2009-11-11 2012-04-2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병렬 보일러의 온수운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556B1 (ko) 2009-11-11 2012-04-2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병렬 보일러의 온수운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53633A (zh) * 2017-12-04 2018-07-06 中山市聚诚鑫通风设备有限公司 一种无冷水排出且节水热水器
CN112303906A (zh) * 2020-10-29 2021-02-02 青岛海信日立空调系统有限公司 一种热泵热水机组和控制方法
CN112303906B (zh) * 2020-10-29 2023-08-15 青岛海信日立空调系统有限公司 一种热泵热水机组和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3705B1 (ko) 열원장치
KR101615408B1 (ko) 급탕시스템
JP6092815B2 (ja) 給湯装置
US9228759B2 (en) Circulating-type hot-water supply device
US9951970B2 (en) Immediate hot-water supplying system
JP2016125692A (ja) 給湯システム
JP5712197B2 (ja) ヒートポンプ熱源システム
JP2011163660A (ja) 給湯システム
KR101573153B1 (ko) 즉시 급탕시스템
JP2014163590A (ja) 給湯暖房システム
JP5946685B2 (ja) 給湯システム
KR101514896B1 (ko) 히트펌프 난방시스템
JP5980176B2 (ja) 即時給湯システム
JP5516138B2 (ja) 給湯システム
JP5247621B2 (ja) 給湯暖房システム
JP5058193B2 (ja) 給湯システム
JP5479559B1 (ja) 給湯システム
KR102369221B1 (ko) 난방 시스템
JP5505129B2 (ja) 給湯システム
JP5816226B2 (ja) 貯湯式給湯装置
KR101581129B1 (ko) 급탕 난방 시스템
JP6635858B2 (ja) 即時給湯システム
JP4574592B2 (ja) 連結給湯システム
KR20140060773A (ko) 난방 온수 겸용 보일러
JP2012032042A (ja) 給湯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