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899B1 - 기어박스 마운팅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기어박스 마운팅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899B1
KR101572899B1 KR1020140082380A KR20140082380A KR101572899B1 KR 101572899 B1 KR101572899 B1 KR 101572899B1 KR 1020140082380 A KR1020140082380 A KR 1020140082380A KR 20140082380 A KR20140082380 A KR 20140082380A KR 101572899 B1 KR101572899 B1 KR 101572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gear box
damper
mounting assembly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2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엽
김석환
반선호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2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8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5Support of gearboxes, e.g. torque arms, or attachment to other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3Mounting or installation of gears or shafts in the gearboxes, e.g. methods or means for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림과 외부림의 사이에 댐퍼가 구비된 구조를 통해 기어박스를 단순하고 효율적으로 마운팅할 수 있는 기어박스 마운팅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기어박스 마운팅 어셈블리는, 기어박스를 장착하고자 하는 차체 또는 구조물에 구비된 원형의 중공홀에 장착되는 기어박스 마운팅 어셈블리로서, 상기 중공홀에 동축상으로 고정된 외부림;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탄성소재로 이뤄지며, 상기 외부림의 내경측에 일체로 구비된 댐퍼; 및 상기 댐퍼의 내경측에 일체로 구비되며, 구동축이 결합되는 기어박스의 결합부의 외표면 상에 고정된 내부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기어박스 마운팅 어셈블리{GEARBOX MOUNTING ASSEMBLY}
본 발명은 기어박스 마운팅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림과 외부림의 사이에 댐퍼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구조를 통해 기어박스를 단순하고 효율적으로 마운팅할 수 있는 기어박스 마운팅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박스(10)와 구동축(20)을 연결하는 구조에 있어서, 기어박스(10)를 차체 또는 구조물에 고정하는 방식은 기어박스(10) 측과 차체 또는 구조물 측에 다수의 브라켓(31, 33)을 볼트(34) 등의 결합수단으로 고정하고, 구동축(20)의 진동이 차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 브라켓(31, 33)에 댐핑수단(32)이 개별적으로 구비된 구조이다.
따라서, 기어박스(10)의 고정을 위해서는, 다수의 브라켓(31, 33), 다수의 댐핑수단(33), 다수의 결합수단(34) 등이 필요하며, 그에 따라 중량 및 원가가 상당히 높게 투입되고 있다.
또한, 다수의 브라켓(31, 33), 다수의 댐핑수단(33), 다수의 결합수단(34) 등을 적용하므로 조립 과정이 복잡하고 누적공차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등록특허 제10-0944877호(등록일자 2010년02월23일)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림과 외부림의 사이에 댐퍼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구조를 통해 기어박스를 단순하고 효율적으로 마운팅할 수 있는 기어박스 마운팅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어박스 마운팅 어셈블리는, 기어박스를 장착하고자 하는 차체 또는 구조물에 구비된 원형의 중공홀에 장착되는 기어박스 마운팅 어셈블리로서, 상기 중공홀에 동축상으로 고정된 외부림;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탄성소재로 이뤄지며, 상기 외부림의 내경측에 일체로 구비된 댐퍼; 및 상기 댐퍼의 내경측에 일체로 구비되며, 구동축이 결합되는 기어박스의 결합부의 외표면 상에 고정된 내부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림은 상기 구동축이 결합되는 상기 기어박스의 결합부의 외표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기어박스의 결합부의 외표면에 밀착되는 상기 내부림의 밀착면에는 제1오링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림은 상기 기어박스의 결합부의 외표면에 밀착되도록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제1밀착부 및 상기 제1밀착부의 외경측 부분에서 상기 기어박스의 반대측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밀착부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된 제1링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링결합부의 단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1결합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리브에 대응하는 댐퍼의 내측 일단부에는 제1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림은 상기 중공홀이 형성된 차체 또는 구조물의 외표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중공홀이 형성된 차체 또는 구조물의 외표면에 밀착되는 상기 외부림의 밀착면에는 제2오링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림은 상기 중공홀이 형성된 차체 또는 구조물의 외표면에 밀착되도록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제2밀착부 및 상기 제2밀착부의 내경측 부분에서 상기 기어박스 측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밀착부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된 제2링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링결합부의 단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2결합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리브에 대응하는 댐퍼의 외측 타단부에는 제2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내부림과 외부림의 사이에 댐퍼가 일체화된 구조를 통해 기어박스를 단순하고 효율적으로 마운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내부림과 외부림 간 사이의 댐퍼에 의하여 구동축의 회전 시 발생하는 진동을 최소화함은 물론 내부림의 제1결합리브, 외부림의 제2결합리브, 댐퍼의 제1결합홈 및 제2결합홈의 구조를 통해 내부림 및 외부림과 댐퍼 간의 상호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다품종 다수량의 종래 구조를 소품종 소수량으로 개선함에 따라 차량의 중량과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또한, 제1오링과 제2오링을 통해 금속 간의 직접 접촉을 피하고 먼지나 수분으로부터 밀폐를 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어박스의 마운팅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어박스의 마운팅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어박스 마운팅 어셈블리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어박스 마운팅 어셈블리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어박스 마운팅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어박스 마운팅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 방향을 기준으로 절단된 절단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일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 제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어박스 마운팅 어셈블리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박스를 장착하고자 하는 차체 또는 구조물(100)에 구비된 원형의 중공홀에 장착되는 기어박스 마운팅 어셈블리로서, 외부림(210), 댐퍼(220), 내부림(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어박스(10)는 여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구동축(20)의 단부가 결합되는 결합부(10a)가 구비된다.
상기 기어박스(10)의 결합부(10a)에는 구동축(20)의 일단부가 결합되며, 이에 따라, 상기 기어박스(10)는 상기 구동축(20)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차체 또는 구조물(100)은 기어박스가 장착되는 베이스 부분으로서 여러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어박스(10)의 결합부(10a)에 대응하는 수직한 부분에는 원형의 중공홀(100h)이 형성되고, 그 주변에는 밀착결합을 위한 밀착면이 형성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림(210)은 상기 중공홀(100h)에 동축상으로 고정되고, 상기 댐퍼(220)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무 등과 같은 탄성소재로 이뤄져 상기 외부림(210)의 내경측에 구비되며, 상기 내부림(230)은 상기 댐퍼(220)의 내경측에 구비된다. 상기 내부림(230)은 상기 기어박스(10)의 결합부(10a) 상에 고정된다.
먼저, 상기 내부림(23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림(230)은 상기 구동축(20)의 일단이 결합되는 상기 기어박스(10)의 결합부(10a)의 외표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된 링 형태의 부재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림(230)은 제1밀착부(230-1) 및 제1링결합부(230-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단면이 대략 'ㄱ'자 형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밀착부(230-1)는 상기 기어박스(10)의 결합부(10a)의 외표면에 밀착되도록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링 부분이고, 상기 제1링결합부(230-2)는 상기 제1밀착부(230-1)의 외경측 부분에서 상기 기어박스(10)의 반대측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밀착부(230-1)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된 부분이다.
상기 내부림(230)의 제1밀착부(230-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BT) 등의 결합수단을 통해 상기 기어박스(10)의 결합부(10a)에 고정장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제1밀착부(230-1)에는 볼트(BT)가 삽입되는 다수의 볼트공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기어박스(10)의 결합부(10a)에는 상기 다수의 볼트공에 대응하는 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어박스(10)의 결합부(10a)의 외표면에 밀착되는 상기 내부림(230)의 상기 제1밀착부(230-1)에는 복수의 제1오링(O2)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링결합부(230-2)의 단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1결합리브(230P)가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리브(230P)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댐퍼(220)에 대한 설명시 추가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외부림(21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림(210)은 상기 중공홀(100h)이 형성된 차체 또는 구조물(100)의 외표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된 링 형태의 부재로서, 상기 외부림(210)은 제2밀착부(210-1) 및 제2링결합부(210-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단면이 대략 'ㄱ'자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외부림(210)은 상기 내부림(23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내부림(23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밀착부(210-1)는 상기 중공홀(100h)이 형성된 차체 또는 구조물(100)의 외표면에 밀착되도록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링 부분이고, 상기 제2링결합부(210-2)는 상기 제2밀착부(210-1)의 내경측 부분에서 상기 기어박스(10) 측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밀착부(210-1)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된 부분이다.
상기 외부림(210)의 제2밀착부(210-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BT) 등의 결합수단을 통해 상기 차체 또는 구조물(100)의 외표면에 고정장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제2밀착부(210-1)에는 볼트(BT)가 삽입되는 다수의 볼트공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차체 또는 구조물(100)의 외표면에는 상기 다수의 볼트공에 대응하는 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체 또는 구조물(100)의 외표면에 밀착되는 상기 외부림(210)의 상기 제2밀착부(210-1)에는 복수의 제2오링(O1)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링결합부(210-2)의 단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2결합리브(210P)가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리브(210P)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댐퍼(220)에 대한 설명시 추가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댐퍼(22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댐퍼(220)는 상기 내부림(230)과 상기 외부림(210)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구성되며,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고무 등과 같은 탄성소재로 이뤄져 진동을 흡수하는 부분이다.
상기 댐퍼(220)는 상기 구동축(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길이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림(230)의 제1결합리브(230P)에 대응하는 댐퍼(220)의 내측 일단부에는 제1결합홈(220h2)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림(210)의 제2결합리브(210P)에 대응하는 댐퍼(220)의 외측 타단부에는 제2결합홈(220h1)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댐퍼(220)는 외부림(210), 내부림(230)의 제작 후, 제작된 외부림(210), 내부림(230)의 사이에 상기 댐퍼(200)가 형성될 수 있도록 일체식 사출성형 등의 방식을 통하여 외부림(210), 내부림(2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림(230)의 제1결합리브(230P)가 댐퍼(220)의 내측 일단부에 형성된 제1결합홈(220h2)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외부림(210)의 제2결합리브(210P)가 댐퍼(220)의 외측 타단부에 형성된 제2결합홈(220h1)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로 이뤄짐에 따라서, 내부림(230)과 외부림(210) 간의 축방향(구동축(20)의 축방향) 진동에 대해서 강성이 보강되므로, 결합리브와 결합홈이 없는 구조에 비해 상호 간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0:차체 또는 구조물
210:외부림
220:댐퍼
230:내부림

Claims (7)

  1. 기어박스를 장착하고자 하는 차체 또는 구조물에 구비된 원형의 중공홀에 장착되는 기어박스 마운팅 어셈블리로서,
    상기 중공홀에 동축상으로 고정된 외부림;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탄성소재로 이뤄지며, 상기 외부림의 내경측에 일체로 구비된 댐퍼; 및
    상기 댐퍼의 내경측에 일체로 구비되며, 구동축이 결합되는 기어박스의 결합부의 외표면 상에 고정된 내부림;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림은 상기 구동축이 결합되는 상기 기어박스의 결합부의 외표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기어박스의 결합부의 외표면에 밀착되는 상기 내부림의 밀착면에는 제1오링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림은 상기 기어박스의 결합부의 외표면에 밀착되도록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제1밀착부 및 상기 제1밀착부의 외경측 부분에서 상기 기어박스의 반대측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밀착부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된 제1링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박스 마운팅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결합부의 단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1결합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리브에 대응하는 댐퍼의 내측 일단부에는 제1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박스 마운팅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림은 상기 중공홀이 형성된 차체 또는 구조물의 외표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중공홀이 형성된 차체 또는 구조물의 외표면에 밀착되는 상기 외부림의 밀착면에는 제2오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박스 마운팅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림은 상기 중공홀이 형성된 차체 또는 구조물의 외표면에 밀착되도록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제2밀착부 및 상기 제2밀착부의 내경측 부분에서 상기 기어박스 측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밀착부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된 제2링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박스 마운팅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결합부의 단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2결합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리브에 대응하는 댐퍼의 외측 타단부에는 제2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박스 마운팅 어셈블리.
KR1020140082380A 2014-07-02 2014-07-02 기어박스 마운팅 어셈블리 KR101572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380A KR101572899B1 (ko) 2014-07-02 2014-07-02 기어박스 마운팅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380A KR101572899B1 (ko) 2014-07-02 2014-07-02 기어박스 마운팅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2899B1 true KR101572899B1 (ko) 2015-12-01

Family

ID=54882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2380A KR101572899B1 (ko) 2014-07-02 2014-07-02 기어박스 마운팅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8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030Y1 (ko) * 1999-10-12 2000-04-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선재 사상압연기 베벨기어박스의 백래쉬 및 치합조정장치
JP2000213652A (ja) 1999-01-25 2000-08-0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軸シ―ル構造
WO2011036920A1 (ja) 2009-09-24 2011-03-31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シール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3652A (ja) 1999-01-25 2000-08-0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軸シ―ル構造
KR200180030Y1 (ko) * 1999-10-12 2000-04-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선재 사상압연기 베벨기어박스의 백래쉬 및 치합조정장치
WO2011036920A1 (ja) 2009-09-24 2011-03-31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シール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515722A (ja) 液圧式マウント、特には自動車両のエンジンを搭載するための液圧式マウント
KR101560980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동력전달 장치
CN104704719A (zh) 用于电动马达的隔振安装件
CN109863321B (zh) 用于轴支承的弹性主体和轴支承
US9291228B2 (en) Vibration absorber
KR20010020401A (ko) 전기 모터용 감결합 장치
US9671002B2 (en) Torque converter having torsional vibration damping device
KR101572899B1 (ko) 기어박스 마운팅 어셈블리
JP5804246B2 (ja) 一体化捩り振動ダンパを備える弾性カップリング
WO2014185220A1 (ja) 防振装置
CN107972473B (zh) 用于混合动力变速器的发动机离合器电机联结结构
KR20150106638A (ko) 다이나믹댐퍼
US20150300374A1 (en) Electric Fan
US20180112718A1 (en) Motor connection structure of engine clutch for hybrid transmission
JP2009243503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JP5944282B2 (ja) 中空軸用ダイナミックダンパ
WO2020084857A1 (ja) 取付部材
JP5094300B2 (ja) 複数種類の防振装置
JP2009144845A (ja) 防振装置
JP2020045931A (ja) 筒型防振装置
KR101616075B1 (ko) 모터용 댐퍼
JP2018096492A (ja) 回転ダンパ
US20050066767A1 (en) Snap together linear vibration damper and method for assembly related application
JP2004176923A (ja) 振動吸収装置
JP7175104B2 (ja) トルク変動吸収ダン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5